KR101671240B1 -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 Google Patents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40B1
KR101671240B1 KR1020150161082A KR20150161082A KR101671240B1 KR 101671240 B1 KR101671240 B1 KR 101671240B1 KR 1020150161082 A KR1020150161082 A KR 1020150161082A KR 20150161082 A KR20150161082 A KR 20150161082A KR 101671240 B1 KR101671240 B1 KR 10167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ver
book
front shield
stretch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현 filed Critical 박동현
Priority to KR102015016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이블 커버에 있어서, 하측의 양쪽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전방가리개; 상기 전방가리개의 양쪽에 형성된 절곡라인을 따라 절곡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가리개; 및 상기 절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측면가리개 하측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면가리개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가리개 측으로 돌출되어 끼움부가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끼움부가 상기 전방가리개의 결합홈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ㄷ'형상으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를 연결하고, 배면이 테이블의 상측면 양쪽에 각각 지지되어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도서를 기대어 놓을 수 있는 도서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table cover}
본 발명은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일반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무실, 회사, 학원이나 학교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우리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실용 테이블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어, 학생들이 선생님의 수업을 잘 보고들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선생님의 시야가 확보되어 편안하게 수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실용 테이블은 수업이 끝난 후 혼자 학습을 하는 경우에 전면 및 주위가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학생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학습 능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독서실에서 사용되는 전방에 가리개가 설치된 테이블에서는 학생이 간단한 메모를 포스트잇을 사용하여 가리개에 붙이지만 포스트잇을 사용하여야 하는 점이 불편하였고, 가리개에 낙서를 하기 때문에 다음 사용자에게 불편하였으며, 낙서를 지우기도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교실용 테이블은 하측이 개방되어 있어,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조금씩 자세를 바꾸어 다리를 꼬아 앉거나, 혹은 의자에 양반다리를 하여 앉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자세는 테이블 아래로 노출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치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거치와 도서의 거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대를 소지해야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서의 용이한 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습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83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2604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등록번호 제03995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901243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거치부 및 도서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부의 상측면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도서를 기대어 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는 스마트폰과 도서를 거치하기 위해 별도의 거치부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며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에 따르면, 하측의 양쪽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전방가리개; 상기 전방가리개의 양쪽에 형성된 절곡라인을 따라 절곡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가리개; 및 상기 절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측면가리개 하측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면가리개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가리개 측으로 돌출되어 끼움부가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끼움부가 상기 전방가리개의 결합홈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ㄷ'형상으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를 연결하고, 배면이 테이블의 상측면 양쪽에 각각 지지되어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도서를 기대어 놓을 수 있는 도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 거치부는, 상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바가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끝단에 상하로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방가리개의 좌우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며, 하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도서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도서를 거치시킬 수 있는 도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가리개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도서지지부는, 상단이 절첩되어 상기 지지턱이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전방가리개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전방가리개 일측면에 형성되어,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을 체크하고, 체크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저장된 스트레칭 동작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50분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트레칭 동작은, 2가지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칭 동작을 5분동안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스마트폰 거치부 및 도서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부의 상측면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도서를 기대어 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는 스마트폰과 도서를 거치하기 위해 별도의 거치부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며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마다 스트레칭동작이 디스플레이되어 학습하는 동안 학습자가 스트레칭을 따라함에 따라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 및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테이블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테이블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의 도서 거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의 스마트폰 거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테이블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테이블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100)는 전방가리개(110), 측면가리개부, 받침부(130) 및 화이트보드 필름(140)을 포함한다.
먼저, 전방가리개(110)는 하측의 양쪽에 결합홈(11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가리개부는 측면가리개(120)와 고정부(122)를 포함한다.
측면가리개(120)는 전방가리개(110)의 정면 양쪽에 형성된 절곡라인을 따라 절곡가능하게 구비된다.
절곡라인은 수직절곡 또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절곡 또는 절첩이 되는 방향의 반대면에 반칼로 칼집이 내어져 형성된 것이다.
또한, 반칼이라는 것은 칼집을 반반 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스티커를 떼어낼 때, 스티커의 모양만 떼어지도록 칼집이 난 것을 반칼이라고 한다.
또한, 고정부(122)는 측면가리개(120)의 하측 모서리에 절곡가능하며 정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받침부(130)는 절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측면가리개(120)의 하측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130)는 전방가리개(110) 측으로 돌출되어 끼움부(1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 커버(100)는 전방가리개(110), 측면가리개부 및 받침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테이블 커버(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관 및 외부의 충격에 원래 모습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테이블 커버(100)는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절곡라인을 따라 'ㄷ'형상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받침부(130)는 측면가리개(120)와 수직으로 절곡되되, 결합홈(112)의 높이와 동일하게 절곡되어 끼움부(132)가 결합홈(112)에 결합된다.
이때, 끼움부(132)는 양쪽에 전방가리개(110)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끼움홈(134)이 형성된다.
즉, 도 3를 참조하면, 끼움홈(134)은 끼움부(132)가 결합홈(112)에 결합될 때, 결합홈(112)의 양쪽에 끼워져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는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으며, 간단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전방가리개(110), 측면가리개(120) 및 받침부(130)가 절곡된 테이블 커버(100)는 테이블(10)의 상측면에 받침부(130)의 배면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22)는 테이블(10) 하측면에 접촉되게 절곡되며 테이블(10) 하측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테이블 커버(100)가 테이블(10)의 상측에 직립고정되어 전방이 가려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별도의 고정수단은 벨크로테이프, 양면테이프, 자석 또는 흡착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를 테이블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의 도서 거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커버의 스마트폰 거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방가리개(110), 측면가리개(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한다.
전방가리개(110)는, 하측의 양쪽에 결합홈(112)이 각각 형성된다.
측면가리개(120)는, 전방가리개(110)의 양쪽에 형성된 절곡라인을 따라 절곡가능하게 구비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부(130)는, 절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측면가리개(120) 하측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되, 한 쌍의 측면가리개(120)에 각각 형성되며, 전방가리개(110) 측으로 돌출되어 끼움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받침부(130)는, 끼움부(132)가 전방가리개(110)의 결합홈(112)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ㄷ'형상으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를 연결하고, 배면이 테이블(10)의 상측면 양쪽에 각각 지지되어 테이블(10)의 상측에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직립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전방가리개(110), 측면가리개(120) 및 받침부(13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는, 측면고정부(210) 및 접착부(220)를 더 포함한다.
측면고정부(210)는, 한 쌍의 측면가리개(120) 하측 모서리에 절곡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1고정부(212)와 제2고정부(214)를 포함한다.
접착부(220)는, 제1고정부(212)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접착부재(222)와, 제2고정부(214)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2접착부재(224)를 포함한다.
이때, 제1접착부재(222)는, 하측면에 암벨크로가 형성되고, 제2접착부재(224)는, 상측면에 수벨크로가 형성된다.
즉, 테이블(10)의 상측에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테이블(10)의 하부에서는 제1접착부재(222)의 암벨크로와 제2접착부재(224)의 수벨크로가 서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는, 제1접착부재(222)와 제2접착부재(224)가 테이블(10)의 하측면에 지지되어 전방가리개(110)의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는 스마트폰 거치부(230)를 더 포함한다.
스마트폰 거치부(230)는, 테이블(10)의 상측에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부(130)의 상측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부(230)는, 하단지지바(232), 후면지지부재(234) 및 지지돌기(236)를 포함한다.
하단지지바(232)는,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130)의 상측면에 돌출형성된다.
후면지지부재(234)는, 일단이 하단지지바(232)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받침부(130)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중앙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고, 스마트폰의 일측면을 지지가능하다.
지지돌기(236)는, 후면지지부재(234)의 중앙이 절곡되어 중앙이 상부로 돌출된 후면지지부재(234)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면지지부재(234)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받침부(130)의 상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지지돌기(236)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은, 후면지지부재(234)의 타단이 다수개의 지지돌기(236)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됨에 따라 거치되는 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후면지지부재(234)는, 타단이 지지돌기(236)에 지지되지 않고 펼쳐졌을 때, 받침부(130)의 상측면에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236)가 관통되는 관통공(238)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는 도서 거치부(240)를 더 포함한다.
도서 거치부(240)는, 테이블(10)의 상측에 전방가리개(110)와 측면가리개(120)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가리개(110)의 정면에 도서를 기대어 놓을 수 있다.
이러한, 도서 거치부(240)는, 가이드부(242)와 이동부(244) 및 도서지지부(24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42)는, 전방가리개(110)의 정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바가 돌출되고, 슬라이딩바의 끝단에 상하로 가이드돌기가 돌출된다.
이동부(244)는, 가이드부(242)와 결합되어 전방가리개(110)의 좌우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이동된다.
도서지지부(246)는, 이동부(244)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며, 하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도서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턱(248)이 형성되며, 도서를 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방가리개(110)는, 가이드부(242)보다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끼움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서지지부(246)는, 상단이 절첩되어 지지턱(248)이 끼움공(114)에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전방가리개는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먼저, 감지부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감지부는 열, 빛, 온도, 압력, 소리 등의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에 따라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데, 감지부는 광 감지센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전방가리개 일측면에 형성되어, 영상이 출력된다.
제어부는,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을 체크하고, 체크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기 저장된 스트레칭 동작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은 스트레칭 동작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은, 50분이고,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트레칭 동작은, 2가지 이상이며, 제어부는, 스트레칭 동작을 5분동안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50분을 책상에 앉아 있으면 스트레칭 동작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쉬는 시간을 갖으며 스트레칭으로 굳은 몸을 풀어주어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이 충전된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은,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에 제공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테이블 100: 테이블 커버
110: 전방가리개 112: 결합홈
120: 측면가리개 122: 고정부
130: 받침부 132: 끼움부
134: 끼움홈

Claims (2)

  1. 하측의 양쪽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전방가리개;
    상기 전방가리개의 양쪽에 형성된 절곡라인을 따라 절곡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측면가리개; 및
    상기 절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측면가리개 하측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면가리개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가리개 측으로 돌출되어 끼움부가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끼움부가 상기 전방가리개의 결합홈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ㄷ'형상으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를 연결하고, 배면이 테이블의 상측면 양쪽에 각각 지지되어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상기 전방가리개와 측면가리개가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도서를 기대어 놓을 수 있는 도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 거치부는, 상기 전방가리개의 정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바가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끝단에 상하로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방가리개의 좌우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며, 하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도서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도서를 거치시킬 수 있는 도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가리개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도서지지부는, 상단이 절첩되어 상기 지지턱이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전방가리개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전방가리개 일측면에 형성되어,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을 체크하고, 체크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저장된 스트레칭 동작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50분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트레칭 동작은, 2가지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칭 동작을 5분동안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1020150161082A 2015-11-17 2015-11-17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10167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82A KR101671240B1 (ko) 2015-11-17 2015-11-17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82A KR101671240B1 (ko) 2015-11-17 2015-11-17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240B1 true KR101671240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082A KR101671240B1 (ko) 2015-11-17 2015-11-17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23B1 (ko) * 2020-09-11 2021-06-11 김봉수 다기능 듀얼 모니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76B1 (ko) 2000-09-18 2003-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순한 아이피와 이동성 아이피 서비스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100901243B1 (ko) 2008-10-01 2009-06-08 마진 상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교실 책상용 덮개 또는 가리개
KR20090008397U (ko) 2008-02-17 2009-08-20 이현우 튜브형 간이 학습 칸막이
KR20100126048A (ko) 2009-05-22 2010-12-01 최기홍 휴대용 다기능 책상 칸막이
KR101027077B1 (ko) * 2009-06-17 2011-04-05 김우진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
KR200459060Y1 (ko) * 2011-09-21 2012-03-22 박호걸 책상 가리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76B1 (ko) 2000-09-18 2003-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순한 아이피와 이동성 아이피 서비스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8397U (ko) 2008-02-17 2009-08-20 이현우 튜브형 간이 학습 칸막이
KR100901243B1 (ko) 2008-10-01 2009-06-08 마진 상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교실 책상용 덮개 또는 가리개
KR20100126048A (ko) 2009-05-22 2010-12-01 최기홍 휴대용 다기능 책상 칸막이
KR101027077B1 (ko) * 2009-06-17 2011-04-05 김우진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
KR200459060Y1 (ko) * 2011-09-21 2012-03-22 박호걸 책상 가리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23B1 (ko) * 2020-09-11 2021-06-11 김봉수 다기능 듀얼 모니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060Y1 (ko) 책상 가리개
US105658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exchange
KR101671240B1 (ko) 스트레칭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200474171Y1 (ko)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KR101671239B1 (ko) 학습시간을 알려주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101571324B1 (ko)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101671243B1 (ko) 사용여부판단이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101671241B1 (ko) 음성출력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101671242B1 (ko) 저장된 음악데이터가 출력되는 휴대용 테이블 커버
KR200353767Y1 (ko) 상판 각도조절식 책상
CN208941223U (zh) 多功能便携式支架
KR20190004516A (ko) 경사각이 조절되는 책상
CN209486934U (zh) 一种法律互动演示交流装置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CN201452176U (zh) 桌面倾斜角度可调的学生课桌
KR200329261Y1 (ko) 앞가림막을 구비한 학생용 책상
KR200311586Y1 (ko) 다기능 독서대
KR100238440B1 (ko) 착탈식 이동형 독서 겸용 경사 필기판
CN215076429U (zh) 智慧学习书桌
KR20190002844U (ko) 학습계획을 알려주는 휴대용 테이블 의자
CN213831089U (zh) 一种法律教学用具
CN216743965U (zh) 一种多功能支架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CN2660999Y (zh) 多功能课桌
CN113455819A (zh) 一种用于计算机教育的智能学习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