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763A -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763A
KR20200053763A KR1020180137010A KR20180137010A KR20200053763A KR 20200053763 A KR20200053763 A KR 20200053763A KR 1020180137010 A KR1020180137010 A KR 1020180137010A KR 20180137010 A KR20180137010 A KR 20180137010A KR 20200053763 A KR20200053763 A KR 2020005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analysis
area
f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기준
Original Assignee
조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준 filed Critical 조기준
Priority to KR102018013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763A/en
Publication of KR2020005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of analyzing a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a server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receiving at least one piece of food selection information which becomes an analysis subject from a user; displaying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a first area of a display screen such that the food information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receiving a food analysis request for food subject to analysis corresponding to the fo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from the user; conducting food analysis on the food subject to analysis; displaying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food subject to analysis in a second area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food subject to analysis in a third area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reas.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can include calorie ratio information of carbohydrate-protein-fat of all the food subject to analysis.

Description

식품 정보에 기초한 식품 조합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식품 정보에 기초한 식품 조합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ood combin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a server technology for perform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foods selected by a user.

현대 사회에서는 자급자족으로 살아가는 소수의 사람들 외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한 곳에서 물류를 통해 배달되어 오는 식품들을 섭취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직접 음식을 만들어서 섭취하는 경우든 외부에서 조리되어 있는 음식을 구매하는 경우든 간에 관계없이, 식품의 원산지나 해당 식품이 포함하고 있는 영양 정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In the modern society, most people, besides a small number of people who live on a self-sufficient basis, consume food delivered from various places through logistics. Therefore, people began to take an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food or the nutriti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ood,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made and consumed by themselves or by purchasing food cooked outside.

또한, 식품의 안전성 측면에서뿐 아니라, 영양 균형의 관리 측면에서도 이와 같은 식품 정보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다. 식품에 대해 관심이 지대한 사람들은 식품을 구매할 때에 해당 식품의 포장에 기재되어 있는 원재료 정보와 영양 정보 등을 유심하게 살피기도 하지만, 보통의 일반 소비자들은 기재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른 식품과 비교하는 등의 행위를 수행하기에는 시간적인 여건과 분석에 필요한 사전지식 등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In addition, not only in terms of food safety, but also in the management of nutritional balanc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such food information have increased. People who are very interested in food, when purchasing food, pay close attention to the raw material information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packaging of the food, but ordinary consumers check the information and analyze it to analyze other foods. In most cases, time conditions and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analysis were insufficient to perform such activities as comparing with.

사람들은 하루에 다양한 식품들을 섭취하는데, 자신이 섭취한 여러가지 식품들 전부에 대한 유해성 분석 또는 영양 분석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다수 존재하였다. 또한, 타인이 수행해준 식품 분석 자료를 접하더라도 이는 자신이 섭취한 음식들의 조합과 거리가 먼 경우가 많았다.People eat a variety of foods a day,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nducting a hazard analysis or nutritional analysis of all the foods they have consumed. In addition, even if they came across food analysis data provided by others, they were often far from the combination of foods they consumed.

이에, 소비자들이 자신이 섭취한 식품들을 직접 선택하게 한 뒤, 해당 식품들에 포함된 성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소비자들에게 표시해주는 새로운 플랫폼이 개발되었다.Accordingly, a new platform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select the foods they consume, and then comprehensively analyze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foods and visualize the analysis results to display them to the consumers.

등록특허공보 제10-1466626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66626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 조합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purpose of performing analysis on food combinations selected by a user and visualizing the resul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식품 분석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가 자신이 섭취한 식품들에 포함된 영양 성분과 권장 섭취량을 손쉽게 비교하고, 자신이 과거에 분석 요청 했던 식품들과 현재 분석 요청 했던 식품에 포함된 영양 성분 또한 비교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식품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food analysis result to a user, a user easily compares a nutritional component included in foods that he or she ingests with a recommended intake amount, and requests foods that he or she has previously analyzed and current analysis request The aim is to provide the results of food analysis by visualizing the nutrition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oods to be compa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에 기초한 식품 조합 분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 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품 정보가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정보에 대응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구별되는 제3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양소 분석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od combin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receiving at least one food selection information to be analyzed from the user; Displaying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so as to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Receiving a food analysis request for foods to be analyz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o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from a user; Performing food analysis on the foods to be analyzed; Displaying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foods to be analyzed in a second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on the foods to be analyzed in a third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herein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s a carbohydrate-protein of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Can include fat calorie ratio information.

상기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영양소 분석 정보에 포함되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가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목표 열량 비율 정보와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ori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arbohydrate-protein-fat included in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rget calori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arbohydrate-protein-fat.

상기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에서 표시되는 상기 영양소 분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의 영양소에 대한 섭취량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dication of an intake amount and a daily recommended amount of at least one significant nutrient.

상기 유의 영양소에 대한 섭취량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는,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dications for the intake amount and daily recommended amount for the nutrient of the significance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together on one graph, chart, diagram, or diagram.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식품 첨가물 분석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함유된 식품첨가물의 EWG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reg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EWG grade information of food additives contained in the foods to be analyzed.

상기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하고자 하는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하고자 하는 영양소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cludes: loading analysis information on a past food analysis request performed by the user; In displaying the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n the second area, each of the food additive analysis items to be displayed matches the food additive analysis item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ing as much as possible; And displaying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n the third area, so that each nutrient analysis item to be displayed matches the nutrient analysis item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상기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별 통계, 식품첨가물의 용도별 통계 또는 식품 브랜드별 통계를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과 구별되는 제4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statistics for each food additive, statistics for each use of food additives, or statistics for each food brand in the fourth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to third areas.

상기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과 조합되는 경우 종합 영양 점수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되거나 영양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으로 산정되는 추천 식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판별하고, 판별된 추천 식품을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과 구별되는 제5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when combined with the foods to be analyzed, at least one or more recommended foods for which a total nutritional score is calculat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a nutritional grade is calculated as a specific grade or more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recommended food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n a fifth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to third areas.

상기 종합 영양 점수를 산출하거나 상기 영양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의 정보에 포함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중량 비율을 열량 비율로 환산하고, 환산된 상기 열량 비율이 각각 기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에 대한 열량 비율이 기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포함되는 개수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통해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 조합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종합 영양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 조합에 대한 영양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overall nutritional score or calculating the nutritional grade includes converting the weight ratio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n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recommended foods into a calorie ratio, and the converted calorie ratio is Determining whether each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s through different algorithm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lories, protein, and fat ratio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total nutrition score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the recommended food comb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 and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the recommended food comb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nutrition score. And calculating a nutritional grade f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관리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식품 조합을 구성하는 식품 조합 구성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을 수행하는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각각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 및 상기 제1 영역 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품 정보가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3 영역 내에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시각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 내에 표시되는 영양소 분석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form a food combination by receiving at least one food information to be analyzed from a user; A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that receives a food analysis request for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and performs food analysis on the foods to be analyzed; A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for displaying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on the display screen; And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rst area to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in the second area, and the food to be analyzed in the third area. It includes a content visualization unit for displaying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ield,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hird area may include the carbohydrate-protein-fat calorie ratio information of the entire food to be analy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들이 포함된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사용자에 따라 커스터마이징된 식품 분석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an analysis on a food combination including foods selected by a user, food analysis results customized according to individual user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분석 결과를 다양한 시각화 방식을 통해 표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식품 분석 결과를 인지함에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food analysis results through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it may be convenient for a user to recognize food analysis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과거에 수행했던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과, 현재 수행하는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compare the analysis result of the food combination he has performed in the past wi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ood combin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플랫폼이 동작하는 환경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홈 화면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맞춤형 조회순위 화면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랭킹 화면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상품톡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기능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식품 분석 요청에 따라 식품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정보를 시각화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식품 정보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view briefly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2 to 16 are exemplary views related to a home screen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related to a customized inquiry ranking screen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emplary diagram related to a ranking screen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0 are exemplary views related to product talk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7 are exemplary views related to an analysis function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food analysis and visualizes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food analysis request.
29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자"라고 함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식품 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식품을 선택하여 해당 식품에 대한 영양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소비자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ser" may mean a consumer who wants to access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and select a desired food to obtain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food.

본 명세서 상에서 "식품 조합"이라 함은 사용자가 분석 대상으로 선택한 식품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식품 조합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식품 조합에는 하나의 식품만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면 식품 조합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식품에 대해서만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od combination" may mean a set of foods selected by the user for analysis. The food combin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ood. That is, only one food can be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n this case, when the analysis for the food combination is performed, the analysis can be performed for only one foo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플랫폼이 동작하는 환경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briefly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도 1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제공 플랫폼의 동작 환경은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 정보 제공 플랫폼은 특정 식품에 포함된 식품첨가물과 영양소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들의 조합에 대한 식품 분석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식품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an operating environment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may include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n external server 300.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provides food information including food additives and nutrient information contained in a specific food to a user, visualizes food analysis information about a combination of foods selected by the user, and reflects user feedback. It performs the function of updating food information.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각종 식품 관련 정보를 보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며,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stores various food-related information and performs analysis on the food combination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visualizes the analysis result in a form to be provided to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분석되는 식품 조합에 대한 각종 정보는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에서 계산, 산정 및 관리되어 그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various information on the food combination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lculated, calculated, and managed by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required for an application 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사용자 단말기(200)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입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 central processing unit such as a CPU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n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like.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based on all types of handhelds that can be connected to a web server through a network, such as a mobile phone, smart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ablet PC, etc.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personal computer (for example,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etc.),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etc.,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mong digital devices equipped with computing power It may be on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는 루트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것일 수 있다.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무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상에서 유료로 등록된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가격을 지불하여야 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사는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또한,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수익 창출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 상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는 광고의 게재 기간에 따른 광고비를 광고주로부터 받을 수도 있지만, 광고가 노출되는 빈도수, 광고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광고주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웹 페이지로 링크되는 횟수 등을 기반으로 하여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받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oute in which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through various application store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or free, but the user may have to pay a predetermined price to downloa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registered for a fee on the application store and install it on the user terminal 200. The producer of the application may also generate revenue through this. In addition, the revenue generation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occur through advertisements exposed o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e creator of the application may receive an advertisement fee from the advertiser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s running period, but based on the frequency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the number of times an advertisement is selected from the user and linked to a web page related to the advertiser's product or service. You may also receive advertising fees.

외부 서버(300)는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와 별도로 존재하는 서버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300)는 신규한 식품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이 정보를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의 시점에 식품 정보를 업데이트 받을 수 있다.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이와 같이 업데이트된 식품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새롭게 추가된 식품들을 선택하여 이를 통해 신규의 식품 조합을 구성하거나, 기존의 식품 조합 구성에 새롭게 추가된 식품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external server 300 is a server that exists separately from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server 300 performs update of new food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Can be transferred to. That is,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update food information periodically or at any time from the external server 300.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newly added foods through the updated food information, thereby configuring a new food combination, or to select the newly added foods to the existing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have.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상기와 같이 외부 서버(300)로부터 식품의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신하거나, 웹 상에 공개된 정보를 크롤링을 하여 계속해서 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수집된 정보는 서버 관리자에 의하여 검수가 진행되어 검수를 통과한 후에 서버 상에 등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식품을 식품 조합에 추가하는 기능 등은 해당 식품이 검수 통과 후 서버 상에 등록되면 진행될 수 있다.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receive an update for foo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or crawl information published on the web to continuously collect food-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registered on the server after the inspection is processed and passed by the server administrator, and the function of adding the specific food to the food combination by the user passes the inspection. After registering on the server, it can proce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정보 제공 플랫폼 내에서 동작하는 각 주체들이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등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each actor operating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to communicate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or wireles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 I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known World Wide Web (WWW).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26을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26의 화면에서 개시되는 내용들은 편의상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들인 '홈', '랭킹', '상품톡', '분석' 에서 각각 기술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분석' 메뉴에서 나타내는 화면들을 선택함으로써 '홈' 또는 '랭킹'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페이지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screens of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26.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screens of FIGS. 2 to 26 are described in the menus 'home', 'ranking', 'product talk', and 'analysis'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for convenience,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to this. no. For example, by selecting screens displayed in the 'analysis' menu, it may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a pag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home' or 'ranking'.

도 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홈 화면과 관련된 예시도이다.2 to 16 are exemplary views related to a home screen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도 2와 같은 홈 화면(201)이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화면(201)은 식품검색영역(203), 성분등급 가이드 영역(205), 영양등급 가이드 영역(207), 맞춤형 조회순위 영역(209) 및 분류페이지 영역(211)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executed, the home screen 201 as shown in FIG. 2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me screen 201 includes a food search area 203, an ingredient grade guide area 205, a nutrition grade guide area 207, a customized inquiry ranking area 209, and a classification page area 211. It can include at least.

식품검색영역(203)은 정보를 얻고자 하는 특정 식품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식품검색영역(203)이 활성화되는 입력(예: 터치 등)이 수신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2의 화면(201)을 도 3의 화면(301)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3의 화면(301)은 인기 태그들로 식품을 검색할 수 있는 인기태그 검색영역(303), 실시간 검색어 순위로 식품을 검색할 수 있는 실시간 검색어 영역(305), 그리고 사용자의 최근 검색 내용으로 식품을 검색할 수 있는 나의 최근 검색 영역(307)을 각각 구별되는 영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search area 203 is a screen through which a user can enter a specific food item to obtain information. When an input (eg, touch, etc.) in which the food search area 203 is activ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s receive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shown on the screen 201 of FIG. 2. It can be switched to the screen 301. The screen 301 of FIG. 3 is a popular tag search area 303 that can search for food with popular tags, a real-time search term area 305 that can search for food in real-time search keyword ranking, and a user's recent search content. My recent search area 307 for searching food may be included as a distinct area.

또한, 도 2와 도 3의 식품검색영역은 식품스캔 아이템(213, 313)을 포함할 수 있다. 식품스캔 아이템(213, 313)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식품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보다 간편하게 식품 정보를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및 인식 과정은 예컨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텍스트 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ood search area of FIGS. 2 and 3 may include food scan items 213 and 313. When an input for selecting food scan items 213 and 313 is receive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activate the camera modul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is collec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The food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by analyzing the image. Through this, users can more easily transmit food information to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The analysis and recognition process may use, for example, an image analysis algorithm and a text recognition algorith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 또는 도 3의 식품검색영역을 통해 특정 식품(예: 짜장)이 입력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해당 특정 식품(예: 짜장)과 관련된 식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 내지 도 6은 스크롤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When a specific food (eg, Jjajang) is input through the food search area of FIG. 2 or 3,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a specific food (eg, Jjajang) as shown in FIGS. 4 to 6. It can display food information related to. In this case, FIGS. 4 to 6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by a scroll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소정 기준 별로 식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짜장'이 입력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 '식품첨가물', '상품' 및 '태그'별로 식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display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For example, when a 'jajangjang' is input,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food by 'category', 'food additive', 'product' and 'tag' as shown in FIGS. 4 to 6.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이 경우, 도 4 내지 도 6에 표시된 영역들 중 일부 기준(예: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표시된 식품 정보 중 어느 하나(40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도 7의 화면(701)과 같이 해당 식품 정보와 관련된 상품 정보가 표시된다. 이러한 도 7의 화면(701)은 도 4 내지 도 6에 표시된 영역들에 대한 기준이 복수개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명일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 '태그' 등과 같은 기준 영역에 포함된 식품명인 경우이다. 만약, 도 4 내지 도 6에 표시된 영역들 중 '상품' 영역에 포함된 식품명이 그 자체로 특정 상품 정보인 경우 도 7의 화면(701)은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401 of food information display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some criteria (for example, a category) among the areas shown in FIGS. 4 to 6 is received, the screen 701 of FIG. 7 and Likewis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screen 701 of FIG. 7 may be displayed when the criteria for the areas shown in FIGS. 4 to 6 are food n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the case of food names included in the reference area such as 'category' and 'tag'. If the food name included in the “product” area among the areas shown in FIGS. 4 to 6 is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n itself, the screen 701 of FIG. 7 may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화면(701)은 식품 첨가물 필터링 영역(703) 및 인기 상품순 필터링 영역(705)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creen 701 of FIG. 7 may include a food additive filtering area 703 and a popular product filtering area 705.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식품 첨가물 필터링 영역(703) 또는 인기 상품순 필터링 영역(705)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8 또는 도 9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8의 화면을 통해 각 식품첨가물 등급을 단일 또는 중복으로 체크할 수 있고,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체크된 항목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만을 도 7의 화면(70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9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우선순위로 고려하여 도 7 화면(701)의 표시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다.When a selection input for the food additive filtering area 703 or the popular product filtering area 705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as shown in FIGS. 8 or 9. The screen can be displayed. The user can check each food additive grade through the screen of FIG. 8 in a single or redundant manner, an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only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item on the screen 701 of FIG. 7 ).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reconstruct the display content of the screen 701 of FIG. 7 by considering items selected in FIG. 9 as priority.

상기 도 7의 화면(701)에 표시된 특정 상품 정보(707) 또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의 화면을 통해 특정 상품 정보가 선택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은 상품정보 페이지(100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은 상품정보 페이지(1001)는 스크롤 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707 displayed on the screen 701 of FIG. 7 or the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screens of FIGS. 4 to 6 described above,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shown in FIG. 10. The product information page 1001 as shown in FIG. 14 may be displayed. The product information page 1001 such as FIGS. 10 to 14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through scroll or drag inpu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정보 페이지(1001)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역(1003), 식품첨가물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1005), 식품에 대한 영양등급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영역(10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영역(1003), 제2 영역(1005) 및 제3 영역(1007)은 서로 구별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관적으로 구분되는 영역들을 통해, 사용자는 본인이 선택한 식품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한 식품첨가물 정보, 그리고 영양등급을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duct information page 1001 includes a first area 1003 representing information about a product, a second area 1005 repres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food additives, and a third representing nutritional grade information about food. The region 1007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region 1003, the second region 1005, and the third region 1007 may be configured as region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Through these intuitively divided areas,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ed by the user, food additive information on the food, and nutrition level.

제1 영역(1003)에는 식품 사진, 해당 식품의 명칭(예: 처음먹는 순한짜장) 및 브랜드 정보(예: 아이배냇)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영역(1005)에는 식품 첨가물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영역(1007)에는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된 영양등급 정보(예: 'B')와 코멘트(예: "트랜스지방이 없어요")가 표시될 수 있다. The first area 1003 may include a food picture, a name of the corresponding food (eg, first-time authentic jjokjang), and brand information (eg, a child stream). Food additiv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005, and nutrition grade information (eg, 'B') and comments determined by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1007. (Example: "There is no trans fat") may be displayed.

또한, 식품정보 페이지(1001)는 분석담기 아이템(1009), 상품톡 기재 영역(1011)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담기 아이템(1009)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할 식품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품톡 기재 영역(1011)이 선택되는 경우,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식품에 대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작성한 상품톡을 외부 서버(예: SNS 서버 등)로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age 1001 may include an analysis report item 1009 and a product talk description area 1011. When a selection input of the analysis report item 1009 is receive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provide a food analysis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when the product talk description area 1011 is selecte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display an area for writing a comment for the food (not shown). In this case,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share the product talk created by the user to an external server (eg, an SNS server, etc.).

식품정보 페이지(1001)에 포함된 상품톡 알림받기 체크박스(1013)가 선택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식품에 대한 상품톡(예: 댓글)이 기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e product talk notification check box 1013 included in the food information page 1001 is selected, when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records product talks (for example, comments) for the corresponding food, , May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한편, 식품정보 페이지(1001)는 상품정보 공유 아이템(10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품톡 공유와 달리,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품정보 공유 아이템(1015)을 통해 상품 정보 자체를 외부 서버(예: SNS 서버 등)로 공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ood information page 1001 may include a product information sharing item 1015. Unlike the aforementioned product stock sharing,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share the product information itself to an external server (eg, an SNS server, etc.) through the product information sharing item 1015.

도 11에서는 상기 도 10의 식품정보 페이지(1001)와 연속되는 식품정보 페이지(1101)가 표시되며, 해당 식품정보 페이지(1101)는 추천 상품(1103), 입력된 식품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신규상품이 등록되는 경우 알림받을 수 있는 체크박스(1105) 및 식품첨가물 정보 세부 영역(1107)을 포함할 수 있다.In FIG. 11, a food information page 1101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ood information page 1001 of FIG. 10 is displayed, and the food information page 1101 includes a recommended product 1103 and a new product in a category to which the input food belongs. When registered, a check box 1105 that can be notified and a detailed area 1107 of food additiv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도 12에서는 상기 도 11의 식품정보 페이지(1101)와 연속되는 식품정보 페이지(1201)가 표시되며, 해당 식품정보 페이지(1201)는 영양성분분석 영역(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성분분석 영역(1203)은 도 13의 식품정보 페이지(1301)를 통해서도 도시된다. In FIG. 12, a food information page 1101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ood information page 1101 of FIG. 11 is displayed, and the food information page 1201 may include a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area 1203. The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area 1203 is also shown through the food information page 1301 of FIG. 13.

구체적으로, 식품정보 페이지(1301)는 영양등급 정보(1303), 이를 도식화한 그래프 영역(1305) 및 코멘트 영역(1307)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ood information page 1301 may include nutritional grade information 1303, a graph area 1305 schematically illustrating it, and a comment area 1307.

영양등급 정보(1303)를 살펴보면, 식품에 대한 영양 등급이 A 등급부터 E 등급까지 분류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화면에 'A', 'B', 'C', 'D', 'E'의 텍스트가 모두 표시되고, 해당 식품이 실제로 해당하는 영양 등급을 표시하기 위해 특정 영역(예: B)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도록(예: 보다 진하게) 표시하는 방식으로 시각화가 수행될 수 있다.Looking at the nutrition grade information 1303, the 'A', 'B', 'C', 'D', and 'E' on the screen to indicate that the nutrition grade for the food is classified from A grade to E grade. Visualization can be performed by displaying all text and displaying the tex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e.g., B)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exts (e.g., darker) in order to display the nutritional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ood. have.

그래프 영역(1305)를 살펴보면, 5가지의 영양 성분 점수를 표시하기 위해서 가장 외각의 제1 다각형이 정오각형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 꼭지점에는 탄단지 비율, 열량 등과 같은 영양 성분에 대한 텍스트 및 관련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1 다각형의 중심으로부터 각 꼭지점까지 연결되는 직선 상에서, 각 꼭지점에 표시되는 영양 성분 점수의 크기에 대응되는 길이를 상기 제1 다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측정한 위치가 선정되며, 선정된 위치들이 연결되어 제1 다각형 내부에 제2 다각형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다각형은 최외각에 표시된 오각형 내부에 영양 성분 점수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Looking at the graph area 1305, the outermost first polyg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regular pentagon to display five nutritional component scores. And related scores. Then,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polygon to each vertex,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nutritional component score displayed at each vertex is selecte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polygon, and the selected positions are connected. The second polygon may be displayed inside the first polygon.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polyg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tritional component scores inside the pentagon indicated on the outermost side.

코멘트 영역(1307)을 살펴보면, 탄단지 비율과 포화지방 함량에 대한 코멘트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에 대한 정보, 열량 점수, 나트륨 점수, 당 점수, 트랜스 지방 점수 또는 포화 지방 점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코멘트가 선택될 수 있으며, 코멘트 별로 설정되어 있는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된 코멘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comment area 1307, comments on the ratio of the carbonaceous complex and the saturated fat content are displayed. Pre-set comments may be select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calorie ratio of carbohydrate-protein-fat of the user-selected food, calorie score, sodium score, sugar score, trans fat score, or saturated fat score, which are set for each comment. At least some of the comment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홈 화면(201)의 성분등급 가이드 영역(205)과 영양등급 가이드 영역(207)은 각각 식품에 첨가된 식품첨가물 등급이 어떤식으로 식품 정보에 표시되는지와 식품에 첨가된 영양 등급이 어떤식으로 식품 정보에 표시되는지를 도 15 및 도 16과 같이 가이드하는 영역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해당 식품이 얼마나 유해성이 있는지와 얼마나 균형잡힌 식품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 2, the component grade guide area 205 and the nutrition grade guide area 207 of the home screen 201 are respectively displayed on the food information and how the food additive grade added to the food is displayed on the food information. It is an area that guides how the nutritional grade added to the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rough this, users can intuitively check how harmful the food is and how balanced the food is.

또한, 도 2의 맞춤형 조회순위 영역(209)에서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조회되는 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컨대, 본인 또는 아이의 성별, 나이, 식품 알레르기 보유 여부, 자녀수, 자신이 원하는 식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식단 정보는 예컨대, 저당 식단, 저염 식단, 저탄수화물 식단, 고단백 식단, 저지방 식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식품 취향을 입력할 수 있는데 밥과 빵, 커피와 과일 주스, 담백한 맛과 단맛, 순한맛과 매운맛, 육류와 해산물 중 자신이 선호하는 편을 선택할 수 있다.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는 식품들에 대한 영양 성분 점수 및 영양 등급 등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식품들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염 식단을 원하는 경우,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밥, 죽, 면 등의 카테고리 내에서 영양등급이 A로 산정되었고, 100g 당 나트륨 중량이 120mg 이하인 식품들을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ustomized inquiry ranking area 209 of FIG. 2, food information that is searched in real time based on use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gender or age of the child or the child, whether or not a food allergy is present, the number of children, and diet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he desired diet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low sugar diet, a low salt diet, a low carbohydrate diet, a high protein diet, and a low fat diet.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his / her food taste, such as rice and bread, coffee and fruit juice, light and sweet, mild and spicy, and meat and seafoo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recommends foods of a category desired by the user by comparing nutritional component scores and nutritional grades for food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categor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can do.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a low-salt diet,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has a nutritional grade of A in a category such as rice, porridge, or cotton, and a sodium weight per 100 g is 120 mg or less. Foods can be recommended.

사용자는 상기 맞춤형 조회순위 영역(209)을 가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17과 같이 연속되는 맞춤형 조회순위 영역(1701)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맞춤형 조회순위 영역(1701) 또는 이와 인접한 영역에는 댓글정보 아이템(1703, 1705)이 표시되며, 해당 댓글정보 중 어느 하나인 베스트 댓글(1707)이 표시된다. 베스트 댓글(1707)은 해당 식품에 대해서 가장 많은 수의 긍정 피드백(예: 좋아요 등)을 받은 댓글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베스트 댓글(1707)은 특정 댓글정보 아이템(1705)에 대응되도록 표시되므로,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베스트 댓글(1707)이 표시되는 댓글정보 아이템(1705)을 다른 댓글정보 아이템(1703)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베스트 댓글(1707)이 어떤 식품에 관련되어 표시되는지를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may drag and input the customized inquiry ranking area 209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response,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select a continuous customized inquiry ranking area 1701 as shown in FIG. 17.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comment information items 1703 and 1705 are displayed in the customized inquiry ranking area 1701 or the adjacent area, and the best comment 1707, which is one of the corresponding com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best comment (1707) may be determined as a comment that receives the highest number of positive feedbacks (eg, likes, etc.) for the food. Since the best comment 1707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comment information item 1705,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differs from the comment information item 1705 in which the current best comment 1707 is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comment information item 1703. Thereby,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check which food the best comment 1707 is displayed for.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랭킹 화면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카테고리별로 식품을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식품들의 종합 영양 점수와 영양 등급을 기초로 하여 식품별 랭킹을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별 랭킹을 산정함에 있어,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의 활동을 바탕으로 측정되는 식품에 대한 선호도, 관심도 및 관여도 등이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식품에 대해 사용자들이 입력한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이를 '긍정' 및 '부정' 척도로 수치화하고 이를 점수에 합산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들의 피드백 또한 식품 랭킹 산정에 반영할 수 있다.18 is an exemplary diagram related to a ranking screen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classify foods into categories and calculate rankings by food based on the total nutrition score and nutrition grade of foods included in each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alculating the ranking for each food, preferences, interests, and involvement of the food measured based on the activities of users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be reflected.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nalyzes texts input by users for food, quantifies it on a 'positive' and 'negative' scale, and adds the feedback to the users in such a way that it is added to the score. It can be reflected in the ranking calculation.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과자/간식, 유제품/아이스크림, 냉장/냉동/반찬, 유아식품, 커피/차, 기타음료, 통조림 등과 같이 전체의 식품군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식품들에 대한 랭킹을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산정된 랭킹 정보는 도 18과 같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lassifies the entire food group into various categories, such as confectionery / snack, dairy / ice cream, refrigerated / frozen / side dish, baby food, coffee / tea, other beverages, canned food, and the like. The ranking of foods included in each category can be calculated. Rank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is method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s shown in FIG. 18.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상품톡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19 내지 도 20과 같이 주간 BEST 상품톡 유저, 최신 상품톡, 나의 상품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19 to 20 are exemplary views related to product talk in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display weekly BEST product talk user, latest product talk, and my product talk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19 to 20.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기능과 관련된 예시도이다.21 to 27 are exemplary views related to an analysis function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메뉴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21 to 25 show a screen displayed on the analysis menu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21 내지 도 25에 표시되는 화면은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스크롤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도 21 내지 도 25에 표시되는 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1 내지 도 25에 표시되는 화면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스크롤 기능을 사용함에 따라 도 21 내지 도 25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적어도 일부분들을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5의 화면은 도면 순서대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 기능을 통해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 하여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도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는 도 21의 하단 부분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에는 도 22의 상단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That is, the screens shown in FIGS. 21 to 25 may be displayed as one screen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may display the screens shown in FIGS. 21 to 25 by using the scroll function on the user terminal 200. You can switch between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creens displayed in FIGS. 21 to 25 are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and at least some of the screens displayed in FIGS. 21 to 25 a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s the user uses the scroll function. You can check together. For example, the screens of FIGS. 21 to 25 may be arrang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order of drawing, 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scroll through the screen to the bottom through the scroll function to check the drawings arranged at the bottom.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FIG. 21 may be display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nd the upper part of FIG. 22 may be display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screen.

이하, 도 21 내지 도 25에 표시되는 화면은 연속된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21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1 영역, 도 22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2 영역, 도 23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3 영역, 도 24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4 영역, 도 25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5 영역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screens shown in FIGS. 21 to 25 a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in a continuous form. 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ed in FIG. 21 is the first area, the screen displayed in FIG. 22 is the second area, the screen displayed in FIG. 23 is the third area, the screen displayed in FIG. 24 is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and FIG. 25 The screen to be described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fth area.

도 21은 제1 영역(2101)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분석할 식품을 선택하면 선택한 식품 정보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형태로 표시되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 정보는 각각 이미지를 포함하는 섬네일(2103)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식품추가 아이템(2105)을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검색화면(예: 도 3의 화면(301))에서 추가적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2101) 내에 포함되는 리셋 아이템(2107)을 선택하여 지금까지 선택된 식품 정보를 전부 한 번에 삭제할 수 있다. 21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area 2101, and when a user selects a food to be analyzed, the selected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visually distinct form. The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2103 each containing an image, and the user selects the food addition item 2105 in a search screen (for example, the screen 301 in FIG. 3) that is additionally displayed. You can choose additional food. The user selects the reset item 2107 included in the first area 2101 to delete all of the food information selected so far at once.

사용자는 자신이 분석하기 원하는 분석 대상 식품들을 모두 선택한 후에, 실시간 분석 보기 영역(2109)을 선택하여 자신이 구성한 식품 조합에 대한 식품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분석' 기능 화면에 최초로 입장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는 제1 영역(2101)만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시간 분석 보기 영역(2109)을 선택하면 제1 영역 내에 표시된 분석 대상 식품들의 분석에 의해 제2 내지 제5 영역(2201, 2301, 2401, 2501)이 추가적으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After the user selects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that he or she wants to analyze, the user may select the real-time analysis viewing area 2109 to perform food analysis on the food combinations he or she ha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first enters the 'analysis' function screen, only the first area 2101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real-time analysis view area 2109, The second to fifth regions 2201, 2301, 2401, and 2501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and displayed by analysis of foods to be analyzed displayed in one region.

도 22는 제2 영역(2201)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에서와 같이 제2 영역(2201)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든 분석 대상 식품에 포함되는 식품첨가물의 개수가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등급에 해당하는 식품 첨가물의 수 정보(2203)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분석 대상 식품들이 포함하고 있는 10대 주의성분의 개수 정보(2205)와 발암물질의 개수 정보(2207)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FIG. 22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second region 2201 and may display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on foods to be analyz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22, the number of food additives included in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selected by the user may be classified and displayed in the second region 2201.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ood additives corresponding to each grade (2203) may be displayed in a graph form,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10 major components contained in foods to be analyzed (2205)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arcinogens (2207) It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도 23는 제3 영역(2301)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은 3대 영양소 분석 정보를 표시하는 제3-1 영역과, 유의 영양소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제3-2 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3-1 영역에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 전체에 대한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2305)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표시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목표 열량 비율 정보(2303)와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3-2 영역에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 전체에 대한 유의 영양소 함유 정보(2307)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유의 영양소 분석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에 포함된 섭취량 정보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의 영양소에 대한 섭취량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는 도 23에서와 같이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함께 표시될 수 있다.FIG. 23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third area 2301 and may display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on foods to be analyzed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area may be divided into a 3-1 area displaying three major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and a 3-2 area including significant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n the 3-1 area, the calorie content ratio 2305 of carbohydrate-protein-fat to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configur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and such indication is the target calorie of carbohydrate-protein-fat It may be displayed adjacent to the ratio information 2303. In the 3-2 area, the nutrient-containing information 2307 of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a graph form. Significant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intak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food selected by the user and an indication of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and the indication of the intake amount and the recommended daily amount for the significant nutrient is one graph, chart as shown in FIG. 23. , Can be displayed together on a diagram or diagram.

도 24는 제4 영역(2401)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해 산정된 통계가 표시될 수 있다.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통계는 식품첨가물의 종류, 식품첨가물의 용도, 식품 브랜드 종류, 식품 카테고리 등에 대해서 산정될 수 있으며, 도 24에서는 그 일부가 도시되었다.24 is a screen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2401, and statistics calculated for foods to be analyzed select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Statistics on foods to be analyzed can be calculated for the type of food additives, the use of food additives, food brand types, food categories, etc., and a part of them is illustrated in FIG. 24.

도 25는 제5 영역(2501)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들과 함께 조합되는 경우 종합 영양 점수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되거나 영양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으로 산정되는 추천 식품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추천 식품 정보(2503)가 제5 영역(2501) 내에서 표시됨에 있어 해당 식품의 유해성 정보와 등급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FIG. 25 is a screen displayed in the fifth area 2501, and when combined with foods selected by a user for analysis, a total nutritional score is calculat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a recommended food whose nutritional grade is calculated above a certain level Can be. Referring to FIG. 25, since the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2503 is displayed in the fifth area 2501, the harmful information and the ra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ood may be displayed together.

도 26은 도 22에서 전술된 것과 유사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 제공화면으로, 제2 영역(2601)을 표시하고 있다. 제2 영역(2601) 상에는 날짜 아이템(2603)이 존재하여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여 자신이 과거에 식품 분석을 수행한 날짜를 선택하여 해당 날짜의 분석 결과와 현재의 분석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은 각각 과거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FIG. 26 is a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similar to the one described above in FIG. 22, and displays the second area 2601. A date item 2603 exists on the second region 2601, and the user can select it and select a date on which the food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past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e with the current analysis result. Referring to FIG. 26, the food additive analysis items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 match each of the food additive analysis items included in the past food analysis information.

도 27은 도 23에서 전술된 것과 유사한 영양소 분석 정보 제공화면으로, 제3 영역(2701)을 표시하고 있다. 도 26에서 사용자가 날짜 아이템(2603)을 선택하여 현재의 분석 결과와 선택된 과거 날짜의 분석 결과의 비교 요청을 하는 경우, 제3 영역(2701)에 표시되는 영양소 분석 정보 또한 현재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와 과거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3 영역(2701)에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 전체에 대한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2703)가 표시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했던 식품 분석에서 계산된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2705)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유의 영양소 함유 정보(2707)가 그래프 형태로 표시됨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현재 식품 분석 정보와 과거의 식품 분석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영역(2701) 상에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정보가 표시됨에 있어, 과거 식품 분석에 의한 영양소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FIG. 27 is a screen for providing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in FIG. 23, and displaying a third area 2701. In FIG. 26, when the user selects a date item 2603 and requests a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 analysis result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lected past date,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hird area 2701 is also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nalysis result. And information on past analysis results can be displayed together. In the third area 2701, carbohydrate-protein-fat calorie ratio information 2703 for all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configured by the user is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carbohydrates calculated in the food analysis that the user has performed in the past -Protein-fat calorie ratio information 2705 may be displayed. Further, even when the significant nutrient-containing information 2707 is displayed in a graph form, the user's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and past food analysi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As shown in FIG. 27, since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s displayed on the third area 2701, each of the nutrient analysis items by the past food analysis is the current food analysis It may be displayed to match the nutrient analysis item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의 식품 분석 요청에 따라 식품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정보를 시각화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28 is a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food analysis and visualizes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food analysis request.

도 28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 내에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S2801).Referring to FIG. 28,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receive food selection information to be analyzed from a user and display it to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S2801).

이후,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 요청을 수행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이를 수신하고 해당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S2803).Thereafter, when the user performs a food analysis request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receive it and perform food analysis on the foods (S2803).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분석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제2 영역 내에 표시하고(S2805), 영양소 분석 정보를 제3 영역 내에 표시하며(S2807),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해 산정된 통계 자료를 제4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S2809).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분석 대상 식품들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식품을 선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5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S2811).In provid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nalysis to the user,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displays the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in the second area (S2805), and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n the third area. It is displayed (S2807), and statistical data calculated for foods to be analyzed can be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S2809).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select a food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with foods to be analyzed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food in the fifth area (S2811).

최종적으로,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제1 영역 내지 제5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시각화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기(200)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Finally,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to fifth areas to the user terminal 200 in a visualiz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가 제1 내지 제5 영역에 대한 시각화를 수행하는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8의 흐름도와 같이 표시된 것이며, 그 순서는 흐름도에 나타난 순서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 which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performs visualization of the first to fifth areas is displayed as the flowchart of FIG. 28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order 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rder of appearance is not limited.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29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는 식품 조합 구성부(110),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 추천 식품 판별부(140),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 컨텐츠 시각화부(170),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a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a food combination analysis execution unit 120, a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a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and a nutrition score And a rating calculation unit 150, a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a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a communication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식품 조합 구성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신이 분석하고자 하는 식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선택한 식품들을 통해 식품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식품 조합 구성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들을 포함하는 식품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The food combination component 110 may receive at least one food selection information to be analyzed from the user. The user may configure food combinations through selected foods by selecting at least one food to be analyzed 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may receive at least one or more food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nfigure a food combination including foods selected by the user.

식품 조합 구성부(110)는 상기와 같은 식품 조합 구성을 구성함에 있어, 식품 조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별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식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각종 식품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아이디를 생성하고 해당 아이디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등의 사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식품 조합 구성부(110)는 아이디 또는 전화번호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In configuring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may manage information on the food combination for each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user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ood related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nstalled on his or her user terminal 200, and for this purpose, an ID is provided. You can perform pre-tasks such as creating and logging in with the corresponding ID.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may classify users based on an ID or a phone number, etc., and store and manage food combination information configured by a corresponding user for each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조합 구성부(11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식품의 선택 정보뿐 아니라, 식품의 삭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구성한 식품 조합에서 특정 식품을 제거하고 싶은 경우 해당 식품의 삭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식품의 삭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식품 조합 구성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식품 조합 구성부(110)는 이와 같이 특정 식품에 대한 삭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품을 식품 조합에서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from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food selection information as well as food dele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a specific food from the food combination that he or she has configured, the user can select to delete the food, and in this case, the deletion information of the food can be transferr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 The food combination component 110 may receive the deletion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food as described above and delete the food from the food combination.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식품 조합에 포함되어 있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receive an analysis request for a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perform food analysis on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 조합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개별 식품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식품 첨가물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 첨가물의 개수를 산출함에 있어, 식품 조합에 포함된 분석 대상 식품들에 함유된 식품첨가물의 EWG 등급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perform analysis by integrating information about each individual foo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basically calculate the number of food additives included in each product. In calculating the number of food additives,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be based on EWG grade information of food additives contained in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EWG 등급이란, 미국의 공신력 있는 비영리 환경시민단체인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에 의해 선정된 등급으로,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가 식품 첨가물의 개수를 산출함에 있어 참조하는 정보는 EWG 등급 내의 식품 점수(Food Score)가 책정됨에 있어 고려되는 식품 첨가물 등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WG grade is a grade selected by the United States' publicly recognized non-profit environmental citizen organization, 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 and the information referenced by the food associ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in calculating the number of food additives is within the EWG grade. It may include food additive grade information that is considered in establishing a food score.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첨가물 정보를 추출하고, 식품첨가물의 등급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분석 대상 식품들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첨가물을 다섯가지 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첨가물들을 안전 등급, 저위험 등급, 중위험 등급, 고위험 등급, 성분 미표기 등급으로 분류하고,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이 각각의 분류 등급에 해당하는 식품첨가물을 함유하고 있는 숫자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첨가물 중 10대 주의성분에 해당하는 것이 몇 개인지, 발암물질은 몇 개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 10대 주의 성분은 아질산나트륨, 캐러맬 색소,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브롬산칼륨, 타르색소, 오르토페닐페놀, 티아벤다졸, 차아염소산나트륨, 아황산염, 벤조산나트륨 또는 사카린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extract food additive information contained in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and perform classification of food additi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classify food additives contained in foods to be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For example,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classifies food additives into safety grades, low risk grades, medium risk grades, high risk grades, and non-component grades, and the analysis target foods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s are classified in respective classification grades. The number of food additives corresponding to can be calculated. In this process,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calculate how many of the food additives contained in the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correspond to the ten major components and how many carcinogens are. Ingredients of the 10 states include sodium nitrite, caramel color, aspartame, sucralose, acesulfame potassium, potassium bromate, tar color, orthophenylphenol, thiavendazole, sodium hypochlorite, sulfite, sodium benzoate or sodium saccharin. can do.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분석 대상 식품들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분류하고 추출하고, 당, 포화지방, 나트륨과 같은 기타 유의 영양소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extract nutrient information contained in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separately classifies and extracts information on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which are three major nutrients, in extracting nutrient information contained in foods to be analyzed, sugar, Information on other significant nutrients such as saturated fat and sodium can be extracted.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 조합이 함유하고 있는 3대 영양소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 식품 조합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개별 식품들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중량 정보를 통해,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지방은 1g당 9kcal, 단백질과 탄수화물은 1g당 4kcal의 열량을 신체 내에서 발생시키기 때문에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이와 같은 에너지 환산계수를 이용하여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중량 비율을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비율로 환산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extracts the three major nutri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ood combination, 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for all the individual foods constituting the food combination, carbohydrate-protein -Calculate the percentage of calories in f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ood generally generates 9 kcal per 1 g of fat and 4 kcal per 1 g of protein and carbohydrates,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uses such energy conversion factors as carbohydrates , The weight ratio of protein and fat can be converted to the ratio of calori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 조합이 함유하고 있는 유의 영양소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 식품 조합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개별 식품들에 대한 당, 포화지방, 나트륨, 트랜스 지방의 중량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합산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식품 조합의 총 유의 영양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extracts weight information of sugar, saturated fat, sodium, and trans fat for all the individual foods constituting the food combination in extracting significant nutri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ood combination. The total significant nutrient information of the food combination can be extracted by performing the summation.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식품 조합을 구성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통계를 산정할 수 있다.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가 산정하는 통계에 포함되는 항목은 식품첨가물의 종류, 식품첨가물의 용도, 식품 브랜드 종류, 식품 카테고리 종류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예를 살펴보면, 식품첨가물의 종류의 경우 식품 조합 내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아질산나트륨, 코르빈산, 비타민 C 등의 식품첨가물이 포함된 분석 대상 식품의 숫자에 따라 통계가 산정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 용도의 경우, 식품 조합 내에서 향료, 산도조절제, 유화제, 증점제, 향미증진제 등의 용도로 분류되는 식품첨가물이 각각의 분석 대상 식품에 포함된 숫자를 합하여 통계가 산정될 수 있다. 식품 브랜드 종류의 경우에는 식품 조합 내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이 어떠한 브랜드에서 출시된 식품인지에 따라 통계가 산정될 수 있으며, 식품 카테고리 종류의 경우에는 식품 조합 내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이 유제품, 과자, 라면, 음료 등의 카테고리 분류 중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 식품인지에 따라 통계가 산정될 수 있다.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calculate statistics on foods to be analyzed that constitute the food combination. Items included in the statistics calculated by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include food additive types, food additive uses, food brand types, and food category types. Looking at each example, in the case of the types of food additives, statistics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oods to be analyzed that include food additives such as sodium hydrogen carbonate, sodium nitrite, corbic acid, and vitamin C in the food combination. In the case of the use of food additives, statistics may be calculated by summing the numbers included in the foods to be analyzed for food additives classified for use as flavors, acidity regulators, emulsifiers, thickeners, flavor enhancers, etc. within the food combination. In the case of the food brand type, statistics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which brand the food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s released from, and in the case of the food category type, the food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s dairy, confectionery, Statistics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which category of food items, such as ramen and beverage, are categoriz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사용자가 자신이 구성한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면, 분석이 수행된 식품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가 저장하는 정보는 분석이 수행된 식품 조합에 포함된 식품들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이 과거에 분석을 수행한 식품 조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추후에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food combination in which the analysis is performed when the user performs analysis on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foods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where analysis is performed.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hen a user requests information about a food combination that has been analyzed in the past, or may be used by the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later.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과거에 수행된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을 현재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된 분석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해줄 것을 요구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를 로드(load)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는 사용자가 과거에 요청한,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으며,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는 이와 같은 정보를 로드하여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의해 수행된 분석 정보를 현재 진행되는 식품 분석 요청 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to display an analysis of the food combinations performed in the past by comparing the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user terminal 200, and performed by the user Analysis information for past food analysis requests can be loaded. As described above,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may stor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food combination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past, and the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loads such information and stores past food. The analysis information performed by the analysis reque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long with the current food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사용자가 분석 대상 식품들을 선택하여 식품 조합을 구성하고 해당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는 경우, 분석 대상 식품들과 조합된는 경우에 있어 종합 영양 점수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되거나 영양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으로 산정되는 추천 식품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천 식품 판별을 수행하기 위해서,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에 의해 산정되는 종합 영양 점수 및 영양 등급을 참조할 수 있다.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when the user selects foods to be analyzed to form a food combination and requests an analysis for the food combination, the combined nutritional scores a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hen combined with foods to be analyz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food that is calculated or calculated as a nutritional grade above a certain grade. In order to perform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in the above manner,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may refer to the overall nutrition score and nutrition grade calculated by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 산출 및 영양 등급 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의 정보에 포함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중량 비율을 열량 비율로 환산하고, 환산된 상기 열량 비율이 각각 기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상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에 대한 열량 비율이 기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포함되는 개수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통해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계산된 상기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 조합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종합 영양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 조합에 대한 영양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the overall nutrition score and calculate nutrition grade for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by the user.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converts the weight ratio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f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recommended foods into calorie ratios, and the converted calorie ratios are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Subsequently, the nutrition score and the grad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a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 through a different algorithm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lories, protein, and fat ratio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nutrition score and the grade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overall nutrition score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the recommended food comb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 and based on the calculated overall nutrition score Nutritional grades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recommended food combinations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포함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중량 정보와, 1g당 9kcal, 단백질과 탄수화물은 1g당 4kcal와 같은 에너지 환산계수를 이용하여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총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총 열량이 속하는 기준 구간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통해 열량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ritional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includes weight information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included in foods to be analyzed, and energy such as 9 kcal per 1 g and protein and carbohydrate 4 kcal per 1 g. The conversion factor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heat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Thereafter, the nutrition score and the grad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the calorie score through different algorithms according to a reference section to which the total calories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belong.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식품 조합에 포함된 나트륨 중량의 기준 구간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통해 나트륨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계산된 식품 조합의 총 열량에 적어도 분적으로 기초하여 당, 트랜스 지방 및 포화 지방과 같은 유의 영양소에 대한 기준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구간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대응시켜 유의 영양소에 대한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the sodium score through different algorithms according to the reference section of sodium weight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n addition,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sets a reference interval for significant nutrients such as sugar, trans fat, and saturated fat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total calories of the calculated food combination, an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t reference interval. Corresponding algorithms can be used to calculate scores for significant nutrients.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는 계산된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 열량 점수, 나트륨 점수, 당 점수, 포화 지방 점수 및 트랜스 지방 점수에 기초하여 식품 조합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종합 영양 점수를 기초로 하여 식품 조합에 대한 영양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The nutritional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the overall nutritional score for the food comb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 calorie score, sodium score, sugar score, saturated fat score, and trans fat sc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nutrition level for the food comb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nutrition score.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 및 영양 등급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과 함께 조합되는 경우, 즉, 식품 조합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종합 영양 점수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되거나 영양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으로 산정되는 추천 식품을 판별할 수 있다.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may grasp the overall nutrition score and nutrition grade for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through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and the combination with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f, that is, when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food for which the overall nutritional score is calculat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nutritional grade is calculated to be above a certain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추천 식품의 판별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임의의 식품을 추가하는 경우에 산출되는 종합 영양 점수와 산정되는 영양 등급을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임의의 식품 또는 식품들을 식품 조합에 추가하면서 각 경우마다 산출되는 종합 영양 점수와 산정되는 영양 등급에 따라 추천 식품을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in order to perform the discrimination of the recommended food, calculates the overall nutritional score and the calculated nutritional grade when adding any food to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may determine the recommended food according to the total nutritional score calculated in each case and the calculated nutritional grade while adding any food or foods to the food combin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에서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 및 영양 등급을 산출하고 산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종합 영양 점수를 향상시킬 수 있거나 영양 등급을 상승시킬 수 있는 식품의 조건을 도출하여 해당 조건에 알맞은 식품을 추천 식품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식품 판별부(140)는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있어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과 함께 조합될 때에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이 기준 구간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을 추천 식품으로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is an algorithm us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and calculating the overall nutrition score and nutrition grade for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ed by the user in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By analyzing and deriving the conditions of foods that can improve the overall nutrition score or increase the nutrition grad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foods suitable for the conditions as recommended foods. For example,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may supplement the nutritional component that is insufficient in the food composition configured by the user, or when combined with the food composition configured by the user, the calorie ratio of carbohydrate-protein-fat is within the reference section. Food that allows entry can be determined as a recommended food.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함께 분석하기 원하는 분석 대상 식품들을 선택하여 식품 조합을 구성하고 해당 식품 조합에 대한 식품 분석 요청을 수행하였을 경우,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자가 수행한 식품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수행한 식품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분석 정보가 시각화되는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foods to be analyzed by the user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configures the food combination and performs a food analysis request for the food combination, 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performs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 visualizing and providing the result of the food analys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food analysis request performed by the user at 100, the user may play a role of distinguishing the area where the analysis information is visualized.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품 정보가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사용자가 식품 분석 요청을 수행하면 제1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분석 대상 식품들로 구성된 식품 조합의 분석 결과가 표시될 수 있는 영역들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area generating unit 160 may display a first area on which the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on the display screen. Thereafter, when the user performs a food analysis request, 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may additionally display areas in which an analysis result of a food combination composed of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irst area can be displayed.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표시할 제2 영역을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으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를 표시할 제3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구별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가 표시될 제3 영역을, 3대 영양소 분석 정보가 표시되는 제3-1 영역과 기타 유의 영양소 분석 정보가 표시되는 제3-2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may display a second area for displaying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for foods to be analyzed i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nd display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for foods to be analyzed. The third region may be displayed at positions distinct from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displays a third area in which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on foods to be analyzed is displayed, a 3-1 area in which three major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other significant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t can also be divided into 3-2 areas displayed.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식품 조합을 구성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통계를 표시할 제4 영역을 제1 내지 제3 영역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는 추천 식품 판별부(140)에 의해 판별된 추천 식품을 표시할 제5 영역을 제1 내지 제4 영역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may display a fourth area to display statistics on foods to be analyzed constituting a food combin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to third areas. Also, 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may display the fifth area to display the recommended food determined by the recommended food determination unit 140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to fourth areas.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가 생성한 영역들 내부에 표시될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시각화된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분석 대상 식품으로 선택된 식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살펴보면, 각각의 식품이 사진을 포함하는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determine content to be displayed inside the areas generated by 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and generate it in a visualized form. Looking at the first area in which food information selected as the food to be analyzed by the user is displayed, each foo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including a picture.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을 살펴보면,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안전 등급, 저위험 등급, 고위험 등급, 성분 미표기 등급으로 분류된 식품첨가물의 수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상기와 같이 여러 항목을 그래프 형태로 나타냄에 있어, 각 항목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또한, 그래프와 별도로 분석 대상 식품들이 포함하고 있는 10대 주의성분의 개수와 발암물질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Looking at the second area in which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for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is displayed,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includes food additives classified into a safety class, a low risk class, a high risk class, and an ingredient not indicated class. The number can be displayed in graph form.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display various items in a graph form as described above, so that colors of each item may be differently displayed.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also display the number of the ten caution components and the number of carcinogens included in the foods to b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graph.

영양소 분석 정보가 표시되는 제3 영역을 살펴보면,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에 대해 산출된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을 비율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비율 그래프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목표 열량 비율 정보와 인접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목표 열량 비율 정보와 식품 조합에 대해 분석된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을 인접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섭취한 3대 영양소의 비율이 목표치와 차이를 갖는 정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Looking at the third area where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display the ratio of calories of carbohydrate-protein-fat calculated for all foods to be analyzed in the form of a ratio graph, and this ratio graph Can be display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rget calorie ratio information of carbohydrate-protein-fat. As described above, by displaying the target calorie ratio information of carbohydrate-protein-fat and the calorie ratio of carbohydrate-protein-fat analyzed for the food combination adjacently, the user can determine that the ratio of the three major nutrients he ingested is different from the target value. You can easily grasp the degree of having.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유의 영양소 분석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가 구성한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당, 포화 지방, 나트륨 또는 트랜스 지방 등의 영양소에 대한 중량 정보와 함께, 당, 포화 지방, 나트륨 또는 트랜스 지방 등의 영양소에 대한 일일 권장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일 권장량 표시는 유아의 경우에 있어서의 일일 권장량과, 성인의 경우에 있어서의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displays weight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for nutrients such as sugar, saturated fat, sodium, or trans fat contained in all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configured by the user, and Together, you can indicate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for nutrients such as sugar, saturated fat, sodium or trans fat.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display may include a daily recommended amount in the case of an infant and an indication of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in the case of an ad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시각화부(170)가 표시하는 유의 영양소에 대한 섭취량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는,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각 영양소별로 자신의 섭취량과 일일 권장량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intake amount and daily recommended amount of the significant nutrients displayed by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graph, chart, diagram, or diagram. Through this func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compare his or her intake and daily recommendation for each nutri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에 의해 로드된 과거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를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제2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하고자 하는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서와 같이, 식품첨가물에 대한 각 분류에 있어 현재의 분석 정보와 과거의 분석정보가 항목별로 각각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또한,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정보를 제3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하고자 하는 영양소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서와 같이, 상이한 날짜에 수행된 식품 조합 분석에 의해 나타난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에 대한 막대 비율 그래프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유의 영양소에 대해서도 유사한 표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display th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loaded by the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together with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displays the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n the second area, so that each food additive analysis item to be displayed is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It can be marked to match the additive analysis. For example, as in FIG. 26, in each classification of food additives, current analysis information and past analysi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djacent to each item.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also displays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n the third area, and each nutrient analysis item to be displayed is a nutrient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It can be marked to match the analysis i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a bar ratio graph for the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hown by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ed on different dates may be displayed in adjacent regions, and similar display methods may be applied to significant nutrients. Can be.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통계치가 표시되는 제4 영역을 살펴보면,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식품첨가물의 종류, 식품첨가물의 용도, 식품 브랜드 종류, 식품 카테고리 종류 등으로 각각 산정된 통계치를 1위부터 미리 정해진 순위까지 표시되는 랭킹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순위와, 해당 순위에 해당하는 항목과 함께, 해당 항목이 몇 개로 집계되어 해당 순위에 위치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시각화할 수 있다.Looking at the fourth area where the statistical values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are displayed,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starts from the 1st statistical value calculated by the type of food additive, the use of the food additive, the food brand type, and the food category type. It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ranking displayed up to a predetermined rank.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visualize information on the ranking, along with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ranking, and how many items are aggregated and positioned in the corresponding ranking.

분석 대상 식품들과의 조합이 추천되는 추천 식품이 표시되는 제5 영역을 살펴보면,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추천 식품 판별부(140)에 의해 선택된 추천 식품들을 제5 영역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추천 식품들은 해당 식품이 포함하고 있는 식품첨가물의 등급 정보, 종합 영양 점수 또는 영양 등급 중 일부가 함께 표시되는 형태로 제5 영역 내부에 표시될 수 있다.Looking at the fifth area where recommended foods that are recommended for combination with foods to be analyzed are displayed,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may display the recommended foods selected by the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inside the fifth area. . The recommended foods may be displayed inside the fifth area in the form of displaying some of the grade information of the food additives included in the food, the overall nutrition score, or a portion of the nutrition gr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80)는 식품 정보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 및 외부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80)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00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external server 300. The communication network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80 to perform communication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or wireles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network (MAN).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WAN), etc.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제어부(190)는 식품 조합 구성부(110),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 추천 식품 판별부(140),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 컨텐츠 시각화부(170) 및 통신부(18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식품 조합 구성부(110),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 추천 식품 판별부(140),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 컨텐츠 시각화부(170) 및 통신부(18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includes a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a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a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a recommended food determination unit 140, a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and a display A function for controlling data flow between the region generating unit 160,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 unit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combination component unit 110, a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120, a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a recommended food discrimination unit 140, nutrition scores and grade calculation The government 150, the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160,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control each to perform a unique function.

도 29에서 식품 조합 구성부(110),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120), 과거 분석 정보 비교부(130), 추천 식품 판별부(140), 영양 점수 및 등급 산정부(150),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160) 및 컨텐츠 시각화부(170)는 제어부(190)를 기능적으로 분류한 구성이므로 하나의 제어부(190)로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FIG. 29, the food combination configuration unit 110, the food combination analysis execution unit 120, the past analysis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30, the recommended food determination unit 140, the nutrition score and grade calculation unit 150, and the display area generation The unit 160 and the content visualization unit 170 are configured to functionally classify the control unit 190, and thus may be integrated and configured as one control unit 19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섭취하였거나 섭취 예정인 분석 대상 식품들을 선택하여 식품 조합을 구성하고, 식품 조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청하고 수신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식품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것과 같이 다양한 시각화 방식을 통해 식품 분석 결과를 제공받음으로써, 식품 분석 결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식품 분석을 위해 소요하여야 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selects foods to be analyzed that he or she has consumed or intends to consume, configures a food combination, and requests and receives an analysis result for the food combination, thereby analyzing food in a desired manner. You can do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food analysis results through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food analysis results, thereby saving the time that the user has to spend for food analysi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software modules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식품 정보 관리 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외부 서버
100: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user terminal
300: external server

Claims (10)

컴퓨팅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식품 분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 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품 정보가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정보에 대응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구별되는 제3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양소 분석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 method for displaying food analysis information, which is performed on a computing system,
Receiving at least one food selection information to be analyzed from the user;
Displaying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so as to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Receiving a food analysis request for foods to be analyz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o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from a user;
Performing food analysis on the foods to be analyzed;
Displaying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foods to be analyzed in a second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area; And
And displaying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on the foods to be analyzed in a third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cluding the total calorie content of the carbohydrate-protein-fat of the food to be analy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소 분석 정보에 포함되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목표 열량 비율 정보와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arbohydrate-protein-fat calori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rget calori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arbohydrate-protein-fat,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소 분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의 영양소에 대한 섭취량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dication of the intake and daily recommended amount of at least one significant nutri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의 영양소에 대한 섭취량 및 일일 권장량에 대한 표시는,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3,
A method for displaying food analysi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ions for the intake amount and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for the significant nutrient are displayed together on one graph, chart, diagram, or diagr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식품 첨가물 분석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함유된 식품첨가물의 EWG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Method for displaying food analysi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ased on the EWG grade information of the food additives contained in the food subject to analys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하고자 하는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과거의 식품 분석 요청에 대한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하고자 하는 영양소 분석 항목 각각이 현재의 식품 분석 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분석 항목과 매칭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Loading analysis information on past food analysis requests performed by the user;
In displaying the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n the second area, each of the food additive analysis items to be displayed matches the food additive analysis item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ing as much as possible; And
In displaying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past food analysis request in the third area, each of the nutrient analysis items to be displayed is displayed to match the nutrient analysis items included in the current food analysis information. A method of displaying food analysis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별 통계, 식품첨가물의 용도별 통계 또는 식품 브랜드별 통계를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과 구별되는 제4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displaying food analysis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statistics for each food additive, statistics for each use of food additives, or statistics for each food brand on the fourth area distinct from the first to third areas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과 조합되는 경우 종합 영양 점수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되거나 영양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으로 산정되는 추천 식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판별하고, 판별된 추천 식품을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과 구별되는 제5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combined with the foods to be analyzed, at least one recommendation food for which a total nutritional score is calculat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a nutritional grade is calculated to be above a certain level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recommended foods are identified in the first to third regions. And displaying in a fifth area distinct from the food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영양 점수를 산출하거나 상기 영양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의 정보에 포함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중량 비율을 열량 비율로 환산하고, 환산된 상기 열량 비율이 각각 기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에 대한 열량 비율이 기 정해진 기준치 이내에 포함되는 개수에 따라 상이한 알고리즘을 통해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 조합에 대한 종합 영양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종합 영양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및 추천 식품 조합에 대한 영양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분석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verall nutrition score or calculating the nutrition grade may include:
Converting the weight ratio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f the foods and recommended foods to be analyzed into a calorie ratio,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verted calorie ratio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s through different algorithm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lories, protein, and fat ratio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Based on the calculated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score, a total nutritional score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recommended food combinations is calculated, and the foods to be analyzed and the recommended food combination are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nutritional scores. A method of displaying food analysis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estimating a nutritional grade for the product.
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식품 분석 정보를 표시하는 식품 정보 관리 서버로서,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식품 조합을 구성하는 식품 조합 구성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품 조합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 분석을 수행하는 식품 조합 분석 수행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각각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생성부; 및
상기 제1 영역 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품 정보가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3 영역 내에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에 대한 영양소 분석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시각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 내에 표시되는 영양소 분석 정보는 상기 분석 대상 식품들 전체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열량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 관리 서버.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displays food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 food combination construc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r more food information to be analyzed from a user to form a food combination;
A food combination analysis performing unit that receives a food analysis request for foods to be analyzed included in the food combination and performs food analysis on the foods to be analyzed;
A display area generation unit for displaying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on the display screen; And
Foo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rst area is visu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od additive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oods to be analyzed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foods to be analyzed ar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Includes a content visualization unit for displaying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nutrient analysis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hird area includes calorie ratio information of carbohydrate-protein-fat of all the foods to be analyzed, a foo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KR1020180137010A 2018-11-09 2018-11-09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537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10A KR20200053763A (en) 2018-11-09 2018-11-09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10A KR20200053763A (en) 2018-11-09 2018-11-09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63A true KR20200053763A (en) 2020-05-19

Family

ID=7091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10A KR20200053763A (en) 2018-11-09 2018-11-09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76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96A (en) * 2020-12-18 2022-06-27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quality and grade of cheongju and sake
KR102471425B1 (en) * 2021-12-23 2022-11-25 이근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26B1 (en) 2013-06-24 2014-11-28 주식회사 비디스낵 Method for valuating food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26B1 (en) 2013-06-24 2014-11-28 주식회사 비디스낵 Method for valuating food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96A (en) * 2020-12-18 2022-06-27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quality and grade of cheongju and sake
KR102471425B1 (en) * 2021-12-23 2022-11-25 이근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nnmann et al. Consumer preferences for farmed and ecolabeled turbot: A North German perspective
Atkinson et al. Class and cuisine in contemporary Britain: the social space, the space of food and their homology
US201902954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od analysi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and health management
CA30926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od analysi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and health management
Northstone et al. Dietary patterns of men in ALSPAC: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and comparison with women's dietary patterns
Xu et al. Would you bring home ugly produce? Motivators and demotivators for ugly food consumption
Kim et al. Comparing online reviews of hyper-local restaurants using deductive content analysis
Phan et al. Motivations for meal and snack times: Three approaches reveal similar constructs
Yue et al. Marketing organic and conventional potatoes in Germany
Phan et al. Healthy# fondue# dinner: analysis and inference of food and drink consumption patterns on instagram
Petrescu et al. Consumer evaluation of food quality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cues. A comprehensive cross-country study
KR20200053763A (en) Method of analyzing food combination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Ebner et al. How are the processing and nutrient dimensions of foods interconnected? an issue of hierarchy based on three different food scores
Grebitus et al. Perceived quality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ork markets in Germany
Ares et al. Food choice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y for Uruguayan consumers
Gugliucci et al. The content of Instagram posts featuring ultra-processed products through the lens of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Puteri et al. Booming the bugs: How can marketing help increase consumer acceptance of insect-based food in Western countries?
KR20210052123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food information service and server using the same
Yusuf et al. A market-oriented innovative quality framework for the investigation of competitive entry opportunities into new seafood markets for producers
Hobbs et al. Analysis of consumer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in pet food: Implications for marketing and brand strategy
Gao et al. " Honey= sugar" means unhealthy: investigating how people apply knowledge to rate food's healthiness
Vida Consumer attitudes and preferences about the pork meat in Hungary
Yoo et al. Exploring the nexus between food and veg* n lifestyle via text mining-based online community analytics
Lim et al. Design implications for a community-based social recipe system
Martínez-Garmendia et al. Effect of harvesting alternatives on the quality of US North Atlantic Bluefin Tu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