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097A -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097A
KR20200053097A KR1020180136260A KR20180136260A KR20200053097A KR 20200053097 A KR20200053097 A KR 20200053097A KR 1020180136260 A KR1020180136260 A KR 1020180136260A KR 20180136260 A KR20180136260 A KR 20180136260A KR 20200053097 A KR20200053097 A KR 2020005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ea bag
carbon dioxide
carbonated beverage
ba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규
Original Assignee
유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민규 filed Critical 유민규
Priority to KR102018013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097A/ko
Publication of KR2020005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01F3/0479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01F3/048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2081/002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음료를 간편하게 제조하기 위한 탄산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산음료 제조기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시트르산과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가 수용되는 티백형 용기; 상기 티백형 용기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 용기; 상기 주 용기의 상측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용기 뚜껑; 상기 용기 뚜껑과 연결되어 상기 주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만 허용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역류방지밸브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에 연결되는 보조 뚜껑;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뚜껑에 음료용 용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주 용기에 상기 티백형 용기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탄산가스가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음료용 용기로 주입되게 하여 탄산음료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탄산음료 제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Carbonated beverage maker using tea bag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탄산음료를 간편하게 제조하기 위한 탄산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청량음료에는 사이다, 콜라, 소다수 등이 포함된다.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설탕을 녹인 물에 산미료, 향료, 때로는 착색료를 가해 시럽을 만들고, 일정량의 시럽을 병에 담고 이산화탄소를 가압하여 용해시킨 물을 채워서 마개를 막는다. 산미료로는 시트르산이 많이 이용되고, 콜라에서는 인산이 사용된다.
이러한 탄산음료는 병마개를 개봉하여 일정량을 섭취한 후 마개를 닫아 잔량을 냉장고에 보관한다. 그러나, 마개를 개봉하면 상당량의 탄산가스가 대기 중으로 날아가거나, 마개를 닫은 후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탄산가스가 새어나가게 되어 탄산음료 특유의 맛이 상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장치가 식당이나 패스트 푸드점 등에서 다수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탄산가스 주입 장치는 대부분 공업용 장치이므로 가격이 비싸고 리필용 충전가스도 비싼 가격에 판매된다.
따라서,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가정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거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탄산음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탄산음료 제조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부피로 인해 휴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011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탄산음료 제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시트르산과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가 수용되는 티백형 용기; 상기 티백형 용기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 용기; 상기 주 용기의 상측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용기 뚜껑; 상기 용기 뚜껑과 연결되어 상기 주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만 허용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역류방지밸브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에 연결되는 보조 뚜껑;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뚜껑에 음료용 용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주 용기에 상기 티백형 용기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탄산가스가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음료용 용기로 주입되게 하여 탄산음료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호스는 상기 보조 뚜껑을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탄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상단에 연결되는 압력조절밸브;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탄산음료 제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티백형 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의 주 용기과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티백형 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의 주 용기과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티백형 용기를 이용하여 탄산음료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탄산음료 제조기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산음료 제조기(100)는 티백형 용기(101), 주 용기(110), 용기 뚜껑(120), 역류방지밸브(130), 압력조절밸브(140), 연결호스(150), 보조 뚜껑(160)을 포함한다.
티백형 용기(101)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시트르산 고체시료(102)와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103)가 수용된다. 시트르산 고체시료(102)와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103)는 물과 화학반응에 의해 탄산가스를 발생시킨다.
주 용기(110)는 용기 내에 티백형 용기(101)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 용기(110)는 티백형 용기(101)에 수용되는 시트르산 고체시료(102)와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103)의 양에 따라 다른 크기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주 용기(110)의 상측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주 용기(1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역류방지밸브(130)는 용기 뚜껑(120)과 연결되어 주 용기로(110)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만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유체 흐름은 허용되기 않게 한다. 역류방지밸브(130)는 주 용기로(110)에서 발생된 탄산가스가 음료용 용기(1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산가스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조절밸브(140)는 주 용기로(110)에서 발생된 탄산가스가 음료용 용기(1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압의 압력이 발생했을 때 주 용기(110)가 폭발할 위험성을 고려하여 주 용기로(110) 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병 형태의 주 용기(110)는 6기압의 압력까지 견디므로, 최대 압력을 5기압으로 하여 5기압 이상일 때 압력조절밸브(140)가 개방되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호스(150)는 역류방지밸브(130)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호스(150)는 주 용기(110)에서 발생된 탄산가스를 음료용 용기(1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조 뚜껑(160)은 연결호스(150)에 연결된다. 보조 뚜껑(160)은 음료용 용기(10)의 상부 입구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조 뚜껑(160)은 일반적인 페트병 형태의 음료용 용기(10)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호스(150)는 보조 뚜껑(160)을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0a)를 구비한다. 연장부(150a)에는 옆면에 탄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151)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연장부(150a)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151)는 주 용기(110)에서 발생된 탄산가스가 음료용 용기(10)로 이동되어 작은 기체 입자 형태로 분사될 수 있게 하여, 음료에 용해되는 기체의 표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음료용 용기(10) 내에 탄산가스의 용해 속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 용기(110)과 용기 뚜껑(120)을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탄산음료 제조기를 휴대할 때 주 용기(110)는 없이 연결부품만 휴대하여 탄산음료를 만들 수 있다. 즉, 일반 페트병을 연결부품에 탈부착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뚜껑(160)에 음료용 용기(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주 용기(110)와 용기 뚜껑(120)을 분리한 후, 주 용기(110) 내에 시트르산 고체시료(102)와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103)가 들어있는 티백형 용기(101)와 일정량의 물을 넣고, 용기 뚜껑(120)을 닫는다.
티백형 용기(101) 내의 시트르산 고체시료(102)와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103)는 물과 반응하여 다량의 탄산가스를 발생시킨다. 주 용기(110)에서 발생된 탄산가스는 역류방지밸브(130)와 연결호스(150)를 통해 음료용 용기(10)로 유입된다. 이때, 탄산가스는 연장부(150a)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151)를 통해 작인 기체 입자 형태로 분사되어 음료에 탄산가스를 빨리 용해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 가능한 탄산음료 제조기(100)에 따르면, 티백형 용기(101)를 이용하여 저렴하고 간편하게 장소에 상관없이 주 용기(110) 내에서 탄산가스를 발생시켜 탄산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탄산음료 제조기(10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탄산음료 제조기(100)는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산음료 제조기(100)는 학습분야에서 실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체를 액체로부터 녹이는 실험을 할 때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체와 액체 사이 닿는 면적이 클수록 기체가 빨리 녹을 수 있는데, 탄산음료 제조기(100)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명할 때 활용할 수 있다.
탄산음료로 만들 용액을 온도의 차이, 연결호스(150)의 연장부(150a)에 형성되는 개구(151)의 유무, 시트르산 고체시료(102)와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103)의 비율을 조절하여 생성하는 탄산가스의 양 조절을 통해 위에서 말한 세 가지 조건(온도, 압력, 표면적)에 따른 기체용해 속도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재미있는 실험과 함께 구상하여 최종적으로 탄산수까지 만들어 마시는 활동으로 연계된다면 화학분야의 좋은 학습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탄산음료 제조기
101 : 티백형 용기
102 : 시트르산 고체시료
103 :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
110 : 주 용기
120 : 병뚜껑
130 : 역류방지밸브
140 : 압력조절밸브
150 : 연결호스
150a : 연장부
151 : 개구
160 : 보조 뚜껑

Claims (3)

  1. 탄산음료 제조기에 있어서,
    물과 반응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시트르산과 탄산수소나트륨 고체시료가 수용되는 티백형 용기;
    상기 티백형 용기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 용기;
    상기 주 용기의 상측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용기 뚜껑;
    상기 용기 뚜껑과 연결되어 상기 주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만 허용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역류방지밸브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에 연결되는 보조 뚜껑;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뚜껑에 음료용 용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주 용기에 상기 티백형 용기와 물을 넣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탄산가스가 상기 연결호스를 통해 음료용 용기로 주입되게 하여 탄산음료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탄산음료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는 상기 보조 뚜껑을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탄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탄산음료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상단에 연결되는 압력조절밸브;
    를 더 포함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KR1020180136260A 2018-11-08 2018-11-08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KR20200053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60A KR20200053097A (ko) 2018-11-08 2018-11-08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60A KR20200053097A (ko) 2018-11-08 2018-11-08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97A true KR20200053097A (ko) 2020-05-18

Family

ID=7091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60A KR20200053097A (ko) 2018-11-08 2018-11-08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0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116B1 (ko) 1990-08-17 1999-09-01 와이즈버그 피터 탄산 음료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116B1 (ko) 1990-08-17 1999-09-01 와이즈버그 피터 탄산 음료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814B1 (ko) 음료 공급 장치
US10081530B2 (en) Fluid pressurization and dispensing system
CN101394768B (zh) 将饮料分配到饮用容器中的装置及方法
JP2019116322A (ja) カートリッジホルダ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533872A (ja) 液体生成物を調製するためにベース液体と組み合わせられる液体成分の一人分供給量で充填された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
CN110272011B (zh) 饮料供应装置
RU2017141417A (ru) Работающий при низком давлении бытовой автомат прохладительных напитков
US20090224000A1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US10668437B2 (en) Gas filling system
WO2016203611A1 (ja) 水素溶解液体吐出ポットおよび加圧された水素溶解液体を生成する方法
KR20140074695A (ko) 탄산음료 제조기
KR20150135994A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20170063715A (ko) 가변 압력을 이용한 음료 분배 방법
WO1998042613A2 (en) Pressurisable beverage dispense system
KR20200053097A (ko) 티백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는 탄산음료 제조기
KR101898024B1 (ko)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NZ240804A (en) Charging flexible-walled containers with nitrogen-pressurised liquid food products: holding tank for subsidence of foaming
RU169830U1 (ru) Капс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7296508B2 (en) Simple inexpensive home carbonation device
MX2021000923A (es) Dispensador de liquido para dispensar agua y bebida saborizada.
KR101434901B1 (ko)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KR200484847Y1 (ko) 액체 용기용 디스펜서
KR20220088470A (ko) 디스펜스 헤드 및 음료 공급 시스템
WO2015178440A1 (ja) 水素添加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に使用する液体容器
KR200173366Y1 (ko)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