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961A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961A
KR20200052961A KR1020207011324A KR20207011324A KR20200052961A KR 20200052961 A KR20200052961 A KR 20200052961A KR 1020207011324 A KR1020207011324 A KR 1020207011324A KR 20207011324 A KR20207011324 A KR 20207011324A KR 20200052961 A KR20200052961 A KR 2020005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peater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3570B1 (en
Inventor
노리히로 쵸토쿠
히로야스 다바타
유타카 마츠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는 슬레이브 유닛 및 중계기의 각 무선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각 무선기기로부터 송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검지하는 프로브 검지부와,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부와 송신원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제어부를 구비한다. 중계기는, 무선 통신부와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면, 슬레이브 유닛과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하도록 구성된다. 접속 제어부는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와 중계기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부와 중계기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wireless device of a slave unit and a repeater, a prob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each wireless device, and a probe response to a transmission source of a probe request, thereby transmit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source. A connection control unit is provided to establish a wireless LAN connection therebetween. The repeater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slave unit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disconnected. I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when the transmission source is a slave unit, and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is disconnected, and then the probe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slave unit. do.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슬레이브 유닛 및 중계기의 각 무선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wireless device of the slave unit and repeater.

일반적인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에서는,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 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가 사용된다. 이 경우, 슬레이브 유닛은 마스터 유닛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 있지 않아도, 중계기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 있으면, 중계기와의 무선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중계기를 통해서 마스터 유닛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In a general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system, a repeater that relay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aster unit and a slave unit is used. In this case, even if the slave unit is no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ster unit, if it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epeate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relay is possib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unit is possible through the repeater.

상술한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서 중계기와 무선 접속되는 슬레이브 유닛이 이동함으로써 중계기와 마스터 유닛 양쪽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 버리는 상황(이하, 「특정 상황」이라고 칭함)이 발생하면, 마스터 유닛, 중계기 및 슬레이브 유닛의 각각의 전파가 간섭한다. 그 결과, 무선 LAN 시스템에서의 통신 효율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무선 LAN 시스템에서는, 슬레이브 유닛은 전파 강도가 보다 강한 쪽의 액세스 포인트와 우선하여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상황이 발생한 경우라도, 마스터 유닛보다도 중계기의 전파 강도가 강하면,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전환할 수가 없다. In the above-described wireless LAN system, when a slave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peater moves with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epeater, and a situation occu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situation") that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both the repeater and the master unit, The respective radio waves of the master unit, repeater and slave unit interfere.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in the wireless LAN system is lowered. In order to avoid such interferenc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from the repeater to the master unit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However, in a typical wireless LAN system, the slave unit is configured to make a wireless connection in preference to the access point of the stronger radio wave intensity. Therefore, even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if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repeater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master unit,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cannot be switched from the repeater to the master unit.

또한, 슬레이브 유닛이 이동할 때에 이동전의 AP(Access Point)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후의 AP에 핸드 오버(hand over)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이동전의 AP로부터 이동후의 AP로 전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In addition, when a slave unit moves, a handover request is sent to the AP after moving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AP (Access Point) before moving, thereby switching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from the AP before moving to the AP after moving. This technique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일본 특개 2008-20559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205596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을, 예를 들면 IEEE 802.11 규격의 무선 LAN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특수한 장치를 슬레이브 유닛에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범용 단말을 사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범용 단말이 사용되었을 경우라도,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적절히 전환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Here, when the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pplied to, for example, a wireless LAN system of IEEE 802.11 standard, since a special device needs to be provided in the slave unit, a general-purpose terminal cannot be used as a slave unit. Therefore, in such a wireless LAN system, even when a general-purpose terminal is used as a slave unit, a technique for properly switching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from the repeater to the master unit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범용 단말이 사용된 경우라도,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적절히 전환할 수 있는 무선 LAN 시스템의 실현에 기여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even when a general-purpose terminal is used as a slave unit, a wireless LAN capable of properly switching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from the repeater to the master unit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It is an object to obta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system.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는, 슬레이브 유닛 및 중계기의 각 무선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각 무선기기로부터 송신되어 무선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검지하는 프로브 검지부와, 프로브 검지부에 의해서 검지되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을 특정하고, 특정한 송신원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부와 송신원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제어부를 구비하고, 중계기는, 무선 통신부와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면, 슬레이브 유닛과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하도록 구성되고, 접속 제어부는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와 중계기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부와 중계기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하는 것이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wireless device of a slave unit and a repeater, a prob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each wireless device a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robe detection unit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transmission source is provided by specifying the transmission source of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is and transmitting the probe response to the specific transmission source, and the repeater is a wireless LA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nnection is disconnected, the wireless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slave units, an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transmission source is a slave unit and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After disconnecting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s, the slave unit that is the source of transmission As to transmit the probe response.

본 발명에 의하면,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범용 단말이 사용된 경우라도,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적절히 전환할 수 있는 무선 LAN 시스템의 실현에 기여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wireless LAN system which can suitably switch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a slave unit from a repeater to a master unit when a specific situation arises, even when a universal terminal is used as a slave uni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무선 LAN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처리되는 접속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의 접속 제어부의 제어 처리에 의해서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가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전환되는 케이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의 접속 제어부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련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무선 LAN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ter unit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a MAC address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mas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equence processed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a master unit and a slave unit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in which a connection destination of a slave unit is switched from a repeater to a master unit by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of the master unit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performed b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of the master unit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or a corresponding part, and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무선 LAN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LAN 시스템은 마스터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1)(이하, 마스터 유닛(1)이라고 칭함)와,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을 구비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wireless LAN system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ster unit 1) having a function as a master unit, a repeater 2, and a slave unit 3.

또한, 도 1에서는, 마스터 유닛(1)의 통신 에어리어 A1과, 중계기(2)의 통신 에어리어 A2와, 슬레이브 유닛(3)의 통신 에어리어 A3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마스터 유닛(1)과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고,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1, the communication area A1 of the master unit 1, the communication area A2 of the repeater 2, and the communication area A3 of the slave unit 3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in FIG. 1, a case where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and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is illustrated. hav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레이브 유닛(3)은 마스터 유닛(1)의 통신 에어리어 A1 내에 들어가 있지 않기는 하지만, 마스터 유닛(1)과 무선 접속되는 중계기(2)의 통신 에어리어 A2 내에 들어가 있다. 슬레이브 유닛(3)은 중계기(2)와 무선 접속되어 있으므로, 중계기(2)를 통해서 마스터 유닛(1)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although the slave unit 3 does not enter the communication area A1 of the master unit 1, it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A2 of the repeater 2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ster unit 1. Since the slave unit 3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peater 2,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unit 1 is possible through the repeater 2.

중계기(2)는 마스터 유닛(1)과의 무선 LAN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프로브 요구를 송신한다. 프로브 요구에는, 그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그 송신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 중계기(2)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요구가 마스터 유닛(1)에 의해서 수신되고, 마스터 유닛(1)으로부터 중계기(2)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오면, 마스터 유닛(1)과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The repeater 2 periodically transmits a probe request in order to attempt a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master unit 1. The probe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and the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source. When the probe request sent from the repeater 2 is received by the master unit 1, and the probe response returns from the master unit 1 to the repeater 2,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슬레이브 유닛(3)은 마스터 유닛(1) 또는 중계기(2)와의 무선 LAN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프로브 요구를 송신한다.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요구가 마스터 유닛(1)에 의해서 수신되고, 마스터 유닛(1)으로부터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오면, 마스터 유닛(1)과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한편,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요구가 중계기(2)에 의해서 수신되고, 중계기(2)로부터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오면,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The slave unit 3 periodically sends a probe request in order to attempt a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master unit 1 or the repeater 2. When the probe request sent from the slave unit 3 is received by the master unit 1, and the probe response returns from the master unit 1 to the slave unit 3, the master unit 1 and the slave unit 3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if the probe request sent from the slave unit 3 is received by the repeater 2, and the probe response returns from the repeater 2 to the slave unit 3,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In betwe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또한, 중계기(2)는, 마스터 유닛(1)과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면, 슬레이브 유닛(3)과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계기(2)는, 마스터 유닛(1)과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무선 LAN 접속이 마스터 유닛(1)측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단절되면, 중계 기능을 정지한다. 중계 기능이 정지되면,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고, 중계기(2)는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의 프로브 요구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마스터 유닛(1)과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다시 확립되면, 중계기(2)의 중계 기능의 정지가 해제된다. 중계 기능의 정지가 해제되면, 중계기(2)는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의 프로브 요구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중계기가 구비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repeater 2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slave units 3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s 1 is disconnected. Specifically, the repeater 2 stops the relay function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is disconnected according to control from the master unit 1 side. When the relay function is stoppe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is disconnected, and the repeater 2 becomes unable to receive a probe request from the slave unit 3.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re-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the suspension of the relay function of the repeater 2 is released. When the stop of the relay function is canceled, the repeater 2 can receive a probe request from the slave unit 3. Such a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provided by a general repeater.

다음으로, 마스터 유닛(1)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중계기(2) 및 슬레이브 유닛(3)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고, 마스터 유닛(1)의 구성이 본원의 기술적 특징에 상당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중계기(2) 및 슬레이브 유닛(3)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마스터 유닛(1)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aster uni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urther,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master unit 1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is omitted here,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aster unit 1 is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마스터 유닛(1)은, 예를 들면,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프로그램 데이터, 고정값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갱신하여 순서대로 고쳐쓰기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통신기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도 2에 있어서, 마스터 유닛(1)은 무선 통신부(11), 프로브 검지부(12), 기억부(13) 및 접속 제어부(14)를 구비한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ster uni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unit 1 updates, for example, a microcomputer that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a ROM (Read Only Memory) that stores data such as program data and fixed value data, and stored data in order. It is realized by a random access memory (RAM) to be written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 Fig. 2, the master unit 1 includes a radio communication unit 11, a probe detection unit 12, a storage unit 13,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14.

무선 통신부(11)는 중계기(2) 및 슬레이브 유닛(3)의 각 무선기기와 무선 통신한다. 프로브 검지부(12)는 각 무선기기로부터 송신되어 무선 통신부(11)에 의해서 수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검지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each wireless device of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The probe detection unit 12 detects a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each wireless device a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기억부(13)는 각 무선기기의 타입과, 각 무선기기의 MAC 어드레스와, 각 무선기기의 상태가 관련지어진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기억한다. The storage unit 13 stores a list of MAC addresses in which the type of each wireless device, the MAC address of each wireless device, and the state of each wireless device are associated.

여기서, 기억부(13)에 기억되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의 일례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1)의 기억부(13)에 기억되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Here, an example of the MAC address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a MAC address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of the master uni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있어서, 「타입」은 무선 LAN 시스템 내의 미리 등록되는 무선기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는, 미리 등록되는 무선기기가 슬레이브 유닛(3) 및 중계기(2)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MAC 어드레스」는 「타입」으로 나타내지는 무선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각 무선기기에 개별로 할당된다. 「상태」는 「미접속」, 「근접」 및 「접속중」의 3종류로 구분된다. In Fig. 3, "type" indicates a wireless device that i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wireless LAN system, and here, a case where the wireless devices that are registered in advance are slave units 3 and repeaters 2 is illustrated. The "MAC address" is information for specifying a wireless device represented by "Type", and is individually assigned to each wireless device. The "stat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not connected", "close" and "connecting".

또한, 「미접속」은 무선 통신부(11)에 프로브 요구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 대응하는 무선기기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근접」은 무선 통신부(11)에 프로브 요구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 대응하는 무선기기가 존재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부(11)와 대응하는 무선기기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접속중」은 무선 통신부(11)와 대응하는 무선기기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In addition, "unconnected" indicates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does not exist within a range that a probe request reach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Proximity" means a state in which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within the range where the probe request reach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Shows. "Connecting" indicates a state in which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a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이와 같이,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서는, 각 무선기기의 타입과, 각 무선기기의 MAC 어드레스와, 각 무선기기의 상태가 관련지어져 있다.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타입」 및 「MAC 어드레스」는, 무선 LAN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서 미리 등록된다. 또한,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상태」는 초기값이 「미접속」이며, 접속 제어부(14)에 의해서 갱신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AC address list, the type of each wireless device, the MAC address of each wireless device, and the state of each wireless device are associated. In the MAC address list, "type" and "MAC address" are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wireless LAN system. In the MAC address list, the "state" has an initial value of "not connected" and is updated b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와,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검지부(12)에 의해서 검지되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프로브 검지부(12)에 의해서 검지되는 프로브 요구에 포함되는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타입을 선택함으로써, 송신원을 특정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specifie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12. Specificall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identifies the transmission source by referring to the MAC address list and selecting a type corresponding to the MAC address of the transmission source included in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12.

접속 제어부(14)는 특정한 송신원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부(11)와 그 송신원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을 확립한다.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establishes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transmission source by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a specific transmission source.

여기서, 무선 통신부(11)와 각 무선기기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처리되는 일반적인 접속 시퀀스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1)과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처리되는 접속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ere, a general connection sequence processed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each wireless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equence processed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slave unit 3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레이브 유닛(3)이 송신하는 프로브 요구가 도달하는 범위에 마스터 유닛(1)이 존재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유닛(1)의 무선 통신부(11)는, 그 프로브 요구를 수신하고, 프로브 검지부(12)는 무선 통신부(11)에 의해서 수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검지한다. When the master unit 1 exists in a range that the probe request transmitted by the slave unit 3 reaches, as shown in FIG. 4,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1 of the master unit 1 receives the probe request. , The probe detection unit 12 detects a probe request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이어서, 프로브 검지부(12)에 의해서 검지되는 프로브 요구에 대해서 프로브 응답이 마스터 유닛(1)으로부터 슬레이브 유닛(3)으로 되돌아온다. 이어서, 슬레이브 유닛(3)과 마스터 유닛(1) 양방으로부터 인증이 행해진다. 마지막으로,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 마스터 유닛(1)에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 요구가 송신되고, 마스터 유닛(1)으로부터 슬레이브 유닛(3)으로 어소시에이션 응답이 되돌아옴으로써, 슬레이브 유닛(3)과 마스터 유닛(1)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Subsequently, a probe response is returned from the master unit 1 to the slave unit 3 in response to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12. Subsequently, authentication is performed from both the slave unit 3 and the master unit 1. Finally, an association request is sent from the slave unit 3 to the master unit 1, and the association response is returned from the master unit 1 to the slave unit 3, thereby causing the slave unit 3 and the master to retur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units 1.

또한, 마스터 유닛(1)과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처리되는 접속 시퀀스와,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처리되는 접속 시퀀스는, 도 4에 나타내는 시퀀스와 마찬가지이다. Further,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and a connection sequence processed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The connection sequence to be processed is the same as the sequence shown in FIG. 4.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와,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이하와 같은 특징적인 제어 처리를 행한다. 즉,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when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is the slave unit 3, an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are as follows. Characteristic control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at is,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and then transmits a probe response to the slave unit 3 as a transmission source.

즉, 중계기(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유닛(1)과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면, 슬레이브 유닛(3)과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중계기(2)의 구성을 활용하여,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킴으로써,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간접적으로 단절시킨다. That is, the repeater 2, as described above, disconnects the established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slave unit 3 when the established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master unit 1 is disconnected. Consists of. Thus, by utiliz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2,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so that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are disconnected. Indirectly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그 후,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 통신부(11)와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Thereafter,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transmits the probe response to the slave unit 3,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Thereby,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slave unit 3.

이와 같이,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 처리는, 송신원으로부터의 프로브 요구가 검지되고 나서, 프로브 응답이 송신원으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동안에 행해지는 처리이다. In this wa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when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is the slave unit 3, and further,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fter disconnecting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and the repeater 2, a probe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slave unit 3 as a transmission source. In addition, such a control process is a process performed while a probe request from a transmission source is detected, until a probe response returns to the transmission source.

따라서, 상술한 특정 상황이 발생한 경우라도, 슬레이브 유닛(3)의 접속처를 중계기(2)로부터 마스터 유닛(1)으로 적절히 전환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above-mentioned specific situation occurs,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3 can be appropriately switched from the repeater 2 to the master unit 1.

다음으로, 상술한 접속 제어부(14)의 특징적인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더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1)의 접속 제어부(14)의 제어 처리에 의해서 슬레이브 유닛(3)의 접속처가 중계기(2)로부터 마스터 유닛(1)으로 전환되는 케이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앞의 도 1에 나타내는 상황에 있어서, 중계기(2)와 무선 접속되는 슬레이브 유닛(3)이 이동하여, 마스터 유닛(1) 및 중계기(2) 양쪽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는 상황을 생각하고 있다. Next, the characteristic control processing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control unit 14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case in which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3 is switched from the repeater 2 to the master unit 1 by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of the master uni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In addition, in FIG. 5,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 the slave unit 3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peater 2 moves and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both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Is thinking.

앞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유닛(1)은 중계기(2)와 무선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슬레이브 유닛(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 요구를 송신하기 때문에, 마스터 유닛(1)의 통신 에어리어 A1 내에 들어갔을 경우,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 송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무선 통신부(11)가 수신하고, 프로브 검지부(12)가 그 프로브 요구를 검지하게 된다. 이 경우,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aster unit 1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peater 2. In addition, since the slave unit 3 transmits a probe request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transmits a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slave unit 3 when it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A1 of the master unit 1. Is received, and the probe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probe request.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source of the probe request is the slave unit 3, and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다. 이것에 의해, 중계기(2)의 중계 기능이 정지되게 되고, 그 결과,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게 된다. 다만, 접속 제어부(14)는 슬레이브 유닛(3)으로부터 송신되는 프로브 신호가 프로브 검지부(12)에 의해서 검지되지 않게 되면,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을 다시 확립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Thereby, the relay function of the repeater 2 is stopped, and as a resul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is disconnected. However,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re-establishes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when the prob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lave unit 3 is no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12. do.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을 돌려준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접속 시퀀스가 처리되므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유닛(1)과 슬레이브 유닛(3)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즉, 상술한 특정 상황이 발생한 경우라도, 접속 제어부(14)의 제어 처리에 의해서, 슬레이브 유닛(3)의 접속처를 중계기(2)로부터 마스터 유닛(1)으로 전환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and returns a probe response to the slave unit 3,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Since the connection sequence shown in FIG. 4 is processed by this, as shown in FIG. 5,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slave unit 3. That is, even whe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ituation occurs,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3 can be switched from the repeater 2 to the master unit 1 by the control processing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접속 제어부(14)는, 추가로, 무선 통신부(11)와 각 무선기기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의 확립 상황을 관리함으로써,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의 「상태」를 갱신한다.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further updates the "status" in the MAC address list by managing the establishment status of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each wireless device.

다음으로, 상술한 접속 제어부(14)의 특징적인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1)의 접속 제어부(14)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련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Next, the characteristic control processing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control unit 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flowchart showing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performed b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of the master uni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의 플로차트의 일련의 처리는, 무선 통신부(11)에 의해서 수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프로브 검지부(12)가 검지했을 경우에 행해진다. In addition, the series of processing of the flowchart of FIG. 6 is performed when the probe detection unit 12 detects a probe request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스텝 S101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검지부(12)에 의해서 검지된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을 특정하고, 처리가 스텝 S102로 진행된다. In step S101,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identifies the transmission source of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12,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102.

구체적으로는,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요구에 포함되는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이어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취득한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타입을 선택하고, 선택한 타입을 송신원으로서 특정한다. 접속 제어부(14)는, 취득한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타입이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송신원을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 Specificall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acquires the MAC address of the transmission source included in the probe request. Next,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refers to the MAC address list, selects a type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MAC address, and specifies the selected type as a transmission source. I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MAC address does not exist in the MAC address list,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assumes that the sender has not been identified.

스텝 S102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스텝 S101에서 특정한 송신원이 중계기(2)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102,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transmission source is the repeater 2 in step S101.

스텝 S102에 있어서, 송신원이 중계기(2)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3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02에 있어서, 송신원이 중계기(2)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5로 진행된다. In step S10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source is the repeater 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02 that the transmission source is not the repeater 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5.

스텝 S103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프로브 신호의 송신원인 중계기(2)의 상태를, 「미접속」으로부터 「근접」으로 갱신하고, 처리가 스텝 S104로 진행된다. 또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중계기(2)의 상태가 「근접」 또는 「접속중」이면, 중계기(2)의 상태를 갱신하는 일 없이,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In step S103,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updates the status of the repeater 2,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signal, in the MAC address list from "unconnected" to "proximity",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104. In addition, if the status of the repeater 2 in the MAC address list is "near" or "connecting" in the MAC address list,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ends the processing without updating the status of the repeater 2.

스텝 S104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한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가 「근접」 또는 「접속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104,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checks the status of the slave unit 3 with reference to the MAC address list,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status of the slave unit 3 is "near" or "in connection". Judge.

스텝 S104에 있어서,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가 「근접」 또는 「접속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이 경우,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인 중계기(2)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오지 않는다. In step S10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us of the slave unit 3 is "near" or "connecting", the processing ends. In this case, the probe response does not return to the repeater 2 that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한편, 스텝 S104에 있어서,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가, 「근접」 및 「접속중」 중 어느 것도 아닌, 즉, 「미접속」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처리가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스텝 S109에 있어서,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인 중계기(2)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온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104, when the status of the slave unit 3 is determined to be neither "near" or "in connection", that is, "not conn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9. In this case, in step S10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be response is returned to the repeater 2,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스텝 S105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스텝 S101에서 특정한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105,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transmission source is the slave unit 3 in step S101.

스텝 S105에 있어서,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6으로 진행된다. In step S105,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source is the slave unit 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6.

한편, 스텝 S105에 있어서,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이 경우,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송신원으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오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105,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source is not the slave unit 3, the processing ends. In this case, since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has not been confirmed, the probe response does not return to that source.

스텝 S106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프로브 신호의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를, 「미접속」으로부터 「근접」으로 갱신하고, 처리가 스텝 S107로 진행된다. 또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가 「근접」 또는 「접속중」이면, 슬레이브 유닛(3)의 상태를 갱신하는 일 없이,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In step S106,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updates the status of the slave unit 3,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signal, from the "non-connected" to "proximity" in the MAC address list,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107. do. 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causes the processing to end without updating the status of the slave unit 3 if the status of the slave unit 3 in the MAC address list is "near" or "connecting". do.

스텝 S107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중계기(2)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한 중계기(2)의 상태가 「접속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스텝 S107에서는,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게 된다. In step S107,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refers to the MAC address list, checks the status of the repeater 2,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status of the repeater 2 is "connecting". That is, in step S107,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refers to the MAC address list to determine whether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스텝 S107에 있어서, 중계기(2)의 상태가 「접속중」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8로 진행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7 that the state of the repeater 2 is "connecting",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8.

한편, 스텝 S107에 있어서, 중계기(2)의 상태가, 「접속중」이 아닌, 즉, 「근접」 또는 「미접속」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처리가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스텝 S109에 있어서,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온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107, when the state of the repeater 2 is judged not to be " connecting ", i.e., " proximity " In this case, in step S10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be response returns to the slave unit 3,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이와 같이,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한다. In this wa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is a slave unit that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when the slave unit 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have not established a wireless LAN connection. (3) Probe response is transmitted.

스텝 S108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LAN 접속의 인증을 취소하기 위한 신호를 중계기(2)에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키고, 처리가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스텝 S109에 있어서,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온다. 또한, 접속 제어부(14)는,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중계기(2)의 상태를, 「접속중」으로부터 「미접속」으로 갱신한다. In step S108,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by sending a signal for canceling the authentication of the wireless LAN connection to the repeater 2,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109. In this case, in step S10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be response returns to the slave unit 3,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updates the state of the repeater 2 in the MAC address list from "connecting" to "unconnected".

이와 같이,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다. 이것에 의해, 중계기(2)와 슬레이브 유닛(3)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된다. In this wa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isconnect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Thereby,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 2 and the slave unit 3 is disconnected.

스텝 S109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14)는 스텝 S101에서 특정한 송신원으로, 무선 통신부(11)를 통해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하고,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접속 시퀀스가 처리됨으로써, 프로브 요구에 대해서 프로브 응답이 되돌아온 송신원과, 마스터 유닛(1)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된다. 또한, 접속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와 송신원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면,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 송신원의 상태를, 「근접」으로부터 「접속중」으로 갱신한다. In step S109,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transmits a probe respons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to the specific transmission source in step S101, and the processing ends. In this case, by processing the connection sequence shown in Fig. 4,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transmission source whose probe response has returned to the probe request. In addition,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transmission source,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updates the status of the transmission source from "proximity" to "in connection" in the MAC address list.

이와 같이, 접속 제어부(14)는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3)이고, 또한,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부(11)와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3)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한다. In this way,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when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is the slave unit 3, and further, when a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repeater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fter disconnecting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and the repeater 2, a probe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slave unit 3 as a transmission source.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무선 LAN 시스템의 적용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무선 LAN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Next,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wireless LAN system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device 100 to which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 마스터 유닛(1)은 승강로(101)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고, 감시 장치(10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감시 장치(102)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각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도시하지 않음)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마스터 유닛(1)은 인터넷 등의 상위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감시 장치(102)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 결과를, 마스터 유닛(1)을 통해서 원격의 감시 센터(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한다. In the elevator apparatus 100 shown in FIG. 7, the master unit 1 is provided below the hoistway 101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apparatus 102. The monitoring device 102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elevator control panel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of the elevator device 100. The master unit 1 is connected to an upp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monitoring device 102 monitors the state of the elevator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result to the remote monitoring center (not shown) through the master unit 1.

중계기(2)는 승강로(10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슬레이브 유닛(3)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보수원이 소지하는 보수 점검용의 휴대 단말로서, 보수원의 층상 간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The repeater 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01. The slave unit 3 is,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for maintenance check carried by the maintenance personnel of the elevator apparatus 100, and moves along with movement between floors of the maintenance personnel.

슬레이브 유닛(3)은, A층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유닛(1)의 통신 에어리어에만 들어가고, B층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유닛(1)과 중계기(2) 양쪽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가며, C층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중계기(2)의 통신 에어리어에만 들어가 있다. The slave unit 3 enters only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ster unit 1 when it is located on the A floor, and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both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when it is located on the B floor. , When located on the C floor, only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epeater 2.

예를 들면, 중계기(2)와 무선 접속되는 슬레이브 유닛(3)이 C층으로부터 B층으로 이동하면, 슬레이브 유닛(3)은 마스터 유닛(1) 및 중계기(2) 양쪽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라도, 상술한 접속 제어부(14)의 제어 처리에 의해서, 마스터 유닛(1)과 중계기(2)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어 슬레이브 유닛(3)의 접속처가 중계기(2)로부터 마스터 유닛(1)으로 전환된다. For example, when the slave unit 3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peater 2 moves from the C layer to the B layer, the slave unit 3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both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 Even in such a situatio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master unit 1 and the repeater 2 is disconnected by the control processing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4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3 is mastered from the repeater 2. The unit 1 is switched.

이상,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검지한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이 슬레이브 유닛이고, 또한, 중계기와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중계기와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한 후, 송신원인 슬레이브 유닛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 유닛과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계기는,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면, 슬레이브 유닛과의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하도록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transmission source of the detected probe request is a slave unit, an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peater,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 is disconnected. After that, it is configured to establish a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slave unit by transmitting the probe response to the slave unit as the transmission source. In addition, the repeater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slave unit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disconnected.

이것에 의해, 적절한 타이밍에서 슬레이브 유닛의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의 핸드 오버가 행해지므로, 무선 LAN 시스템에서의 안정된 통신을 계속할 수 있고, 또한, 슬레이브 유닛의 개수(改修)가 불필요하므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범용 단말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범용 단말이 사용되었을 경우라도,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슬레이브 유닛의 접속처를 중계기로부터 마스터 유닛으로 적절히 전환할 수 있는 무선 LAN 시스템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As a result, handover from the repeater of the slave unit to the master unit is performed at an appropriate timing, so that stable communication in the wireless LAN system can be continued, and the number of slave units is unnecessary, so as a slave unit. A general purpose terminal becomes available. Therefore, even when a general-purpose terminal is used as a slave unit,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 wireless LAN system that can properly switch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lave unit from the repeater to the master unit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 무선기기의 타입과, 각 무선기기의 MAC 어드레스가 관련지어진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을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MAC 어드레스 리스트가 이용됨으로써,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의 정확한 특정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specify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by referring to the list of MAC addresse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each wireless device and the MAC address of each wireless device. By using such a MAC address lis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specify the source of the probe request.

추가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 무선기기의 타입과, 각 무선기기의 MAC 어드레스에 더하여, 추가로, 각 무선기기의 상태가 관련지어진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중계기와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MAC 어드레스 리스트가 이용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와 중계기 사이의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to the type of each wireless device and the MAC address of each wireless device, further refers to a list of MAC addresses to which the state of each wireless device is associated, and repeaters and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wireless LAN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By using such a MAC address lis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repeater is established.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1)는, 상술한 마스터 유닛으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1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unction as a repeater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as the master unit described above.

1 무선 통신 장치(마스터 유닛), 2 중계기, 3 슬레이브 유닛, 11 무선 통신부, 12 프로브 검지부, 13 기억부, 14 접속 제어부, 100 엘리베이터 장치, 101 승강로, 102 감시 장치. 1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ster unit), 2 repeaters, 3 slave units, 11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12 probe detection units, 13 storage units, 14 connection control units, 100 elevator units, 101 hoistways, 102 monitoring units.

Claims (4)

슬레이브 유닛 및 중계기의 각 무선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각 무선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프로브 요구를 검지하는 프로브 검지부와,
상기 프로브 검지부에 의해서 검지되는 상기 프로브 요구의 송신원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송신원으로 프로브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송신원의 사이에 무선 LAN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무선 통신부와의 사이의 상기 무선 LAN 접속이 단절되면, 상기 슬레이브 유닛과의 사이의 상기 무선 LAN 접속을 단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송신원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이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중계기의 사이에 상기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중계기 사이의 상기 무선 LAN 접속을 단절시킨 후, 상기 송신원인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상기 프로브 응답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wireless device of the slave unit and repeater,
A prob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each wireless device a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that establishes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transmission source by specifying a transmission source of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and transmitting a probe response to the specific transmission source,
The repeater,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slave units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disconnecte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When the transmission source is the slave unit, an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after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is disconnected, the transmission source is th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probe response to a slave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송신원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이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중계기의 사이에 상기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송신원인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상기 프로브 응답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control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probe response to the slave unit that is the transmission source when the transmission source is the slave unit an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무선기기의 타입과, 각 무선기기의 MAC 어드레스가 관련지어진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프로브 검지부에 의해서 검지되는 상기 프로브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의 상기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타입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송신원을 특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ype of each wireless device and the MAC address list associated with the MAC address of each wireless device is further provide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pecifying the transmission source by selecting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MAC address of the transmission source included in the probe request detected by the probe detection unit with reference to the MAC address lis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MAC 어드레스 리스트는 각 무선기기의 상기 타입과, 각 무선기기의 상기 MAC 어드레스에 더하여, 추가로, 각 무선기기의 상태가 관련지어지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와 각 무선기기 사이의 상기 무선 LAN 접속의 확립 상황을 관리함으로써, 상기 MAC 어드레스 리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MAC 어드레스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중계기의 사이에 상기 무선 LAN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MAC address list i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each wireless device and the MAC address of each wireless device, in addition, the state of each wireless device is associate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By managing the establishment status of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each wireless device, the status in the MAC address list is update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peater with reference to the MAC address list.
KR1020207011324A 2018-02-19 2018-02-19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23435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5708 WO2019159355A1 (en) 2018-02-19 2018-02-1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961A true KR20200052961A (en) 2020-05-15
KR102343570B1 KR102343570B1 (en) 2021-12-28

Family

ID=6761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324A KR102343570B1 (en) 2018-02-19 2018-02-19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3824B1 (en)
KR (1) KR102343570B1 (en)
CN (1) CN111345069B (en)
WO (1) WO201915935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53A (en) * 2020-06-29 2022-01-05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idelink radio link fail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5596A (en) 2007-02-16 2008-09-04 Oki Electric Ind Co Ltd Radio la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handover between service areas
KR20170123267A (en) * 2016-04-28 2017-11-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2419B2 (en) * 2005-07-25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Monitor terminal
JP4647001B2 (en) * 2008-11-07 2011-03-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484399B2 (en) * 2011-05-31 2014-05-07 株式会社Nttドコモ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elay node, and radio base station
JP5582239B2 (en) * 2013-09-03 2014-09-03 富士通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32632B1 (en) * 2013-11-14 2018-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Remote control system, in-home device, relay apparatus,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110331B2 (en) * 2014-04-08 2017-04-05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Connection control system, control server,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4320818B (en) * 2014-10-27 2018-02-23 深圳市蜂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erminal connection management mechanism of wireless repeater applied to WLAN
EP3035728A1 (en) * 2014-12-16 2016-06-22 Thomson Licensing Method of selectively enabling a wireless access point or repeater
KR101878626B1 (en) * 2015-07-13 2018-07-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5596A (en) 2007-02-16 2008-09-04 Oki Electric Ind Co Ltd Radio la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handover between service areas
KR20170123267A (en) * 2016-04-28 2017-11-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53A (en) * 2020-06-29 2022-01-05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idelink radio link fail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9355A1 (en) 2019-08-22
CN111345069B (en) 2022-04-19
CN111345069A (en) 2020-06-26
JPWO2019159355A1 (en) 2020-02-27
JP6593824B1 (en) 2019-10-23
KR102343570B1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516B2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52093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 wireless infrastructure network environment
JP4710549B2 (en) Access point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ccess point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819459B1 (en) Ue context release method, enb and home enb gateway
EP23129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connection u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8515013A (en) Device manager for service routing
KR102343570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10222522A1 (en) Radio Station System for a Wireless Network
JP6072746B2 (en) Access point devic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communication connection release method and program
JP2000261361A (en) Radio relay system and radio relaying method
KR102317212B1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US11708237B2 (en) Communication for elevator service request
US10873874B2 (en) Base station, radio relay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cancelling a connection to a base station during an overload condition
KR101920487B1 (en) Method for relaying of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JP43009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10757589B2 (en) Method and a first network entity for handling control plane context information
KR102086086B1 (en) Apparatus and methdo for controlling access
JP3751940B2 (en) Wireless base station switching method
US112908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ata coll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1211367A (en) Radio repeater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9189018A (en) Radio-communication network system
JP3929193B2 (e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06074201A (en) Access point, mobile terminal, radio la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00112902A1 (en) Base station, radio relay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5252416A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management table following movement of terminal in wireless la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