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66A -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66A
KR20200052766A KR1020180136168A KR20180136168A KR20200052766A KR 20200052766 A KR20200052766 A KR 20200052766A KR 1020180136168 A KR1020180136168 A KR 1020180136168A KR 20180136168 A KR20180136168 A KR 20180136168A KR 20200052766 A KR20200052766 A KR 20200052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cup
cutting
moving
unit
vinyl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677B1 (ko
Inventor
강건민
이상로
박광우
강선희
Original Assignee
강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민 filed Critical 강건민
Priority to KR102018013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01D34/00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for automated or remotely controlled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15Cutt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은,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를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비닐하우스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상기 비닐하우스의 미나리 생장을 위한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센서, 수위센서, 속도센서의 감지값이 전달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신호 송신이 가능하고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이동상태, 상기 각 센서들의 감지값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센서의 감지값을 기초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구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특히 단말을 통해 통신 가능한 영역 어디에서든지 미나리 수확 상황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농가 고령화 및 종래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에서 야기되는 생산성 저하, 고수확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농업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Smart water dropwort harvest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에서도 미나리 수확 상황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농가 고령화 및 종래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에서 야기되는 생산성 저하, 고수확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농업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나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서, 향이 강하고 해독작용이 뛰어나 약재로도 사용되며, 김치의 재료나 샐러드, 생채, 녹즙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나리는 돌미나리와 물미나리로 구분되는데, 보통 미나리라고 하면 줄기가 길고 상품성이 높은 물미나리를 의미한다. 또, 돌미나리는 본래 계곡의 샘터나 들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물미나리에 비해 줄기가 짧고 잎사귀가 많은 특징이 있고, 근래에는 야생에서 채취하기보다는 밭에서 재배하여 상품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밭미나리라고도 한다.
물미나리는 논에서 주로 재배하여 보통 논미나리라 하며 물을 채운 물속에서 재배하고 겨울철에는 미나리의 동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약 60㎝ 정도 채운 상태로 재배한다.
이러한 미나리는 11월에서 이듬해 5월까지가 제철인 야채이므로 겨울철에 수확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온이 낮은 물속에서 자라는 미나리를 수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즉, 미나리를 인력으로 수확하면, 작업자들이 겨울철에 수온이 낮은 깊은 물속에서 허리를 숙여 미나리의 뿌리를 절단하여 수확하여야 하므로, 수확속도가 느리고 거머리나 불편한 작업 환경 등으로 인해 작업자들에게 여러가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미나리가 자라는 지반은 연약 지반이어서 작업자들의 발이 빠지는 경우가 많아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 뿐만 아니라, 칼이나 낫을 이용하여 뿌리에 근접한 줄기의 하단을 절단하거나 삽을 이용하여 미나리의 뿌리를 캐야 하는 힘든 작업으로 인해 수확속도가 현저하게 느리다. 이에 따라 미나리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을 동원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많은 인원을 동원하여 동시에 수확하여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
즉, 종래의 미나리를 인력으로 수확하는 종래의 수확방법에 의하면, 작업자들에게 여러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수확속도가 느려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5802호(2012.07.0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에서도 미나리 수확 상황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농가 고령화 및 종래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에서 야기되는 생산성 저하, 고수확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농업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미나리를 수확하기 위한 미나리 수확시스템으로서,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미나리 줄기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수확물을 저장 가능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를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비닐하우스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상기 비닐하우스의 미나리 생장을 위한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센서, 수위센서, 속도센서의 감지값이 전달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신호 송신이 가능하고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이동상태, 상기 각 센서들의 감지값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제어서버; 및 상기 모니터링 제어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 가능하며, 상기 모니터링 제어서버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원격 제어 가능한 단말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는, 회전하면서 미나리 줄기를 절단 가능한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미나리를 이송 가능한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절단 미나리를 저장 가능한 저장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를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부;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를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폭 이동부; 및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를 비닐하우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높이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 이동부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양단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볼 스크루 축; 및 상기 볼 스크루 축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블록을 볼 스크루 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 이동부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절단부가 결합되는 볼 스크루 축; 및 상기 볼 스크루 축을 회전시켜 상기 절단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볼 스크루 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폭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 이송컨베이어, 저장박스는 메인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 이동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에 의한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센서의 감지값을 기초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구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특히 단말을 통해 통신 가능한 영역 어디에서든지 미나리 수확 상황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농가 고령화 및 종래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에서 야기되는 생산성 저하, 고수확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농업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에서 미나리 수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의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와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은 시설하우스에서 수중 재배되는 미나리를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에서도 미나리 수확 상황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농가 고령화 및 종래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에서 야기되는 생산성 저하, 고수확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농업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은 비닐하우스(10)에서 수중 재배되는 미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 이동부(200), 위치센서(300), 수위센서(400), 속도센서(500), 제어부(600), 모니터링 제어서버(700) 및 단말(800)을 포함한다.
먼저,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는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미나리 줄기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수확물을 일정량 저장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는 절단부(110), 이송컨베이어(120) 및 저장박스(130)를 포함한다.
절단부(110)는 실질적으로 미나리 줄기 부분을 절단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회전날(140)과 회전날(1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 설치되는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관련 도면에서 회전날(140)은 한 쌍의 스크루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나리 줄기를 절단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송컨베이어(120)는 하우징(150) 상부에 마련되어 회전날(140)에 의해 커팅된 미나리 부분을 후방의 저장박스(130)로 이송시킨다. 이송컨베이어(12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일측은 하우징(150)에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저장박스(130) 상단에 연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절단된 미나리를 순차적으로 후방 이송시킨다.
다음, 저장박스(130)는 절단부(110) 및 이송컨베이어(120)의 후방에 마련되어 절단된 미나리를 일정량 수납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저장박스(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단부(110) 및 이송컨베이어(120)의 비닐하우스 기준 좌우 폭방향 이동시에도 원활하게 절단 미나리를 수납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단부(110), 이송컨베이어(120) 및 저장박스(130)는 메인 플레이트(160) 상에 설치되며, 비닐하우스의 길이, 폭, 높이 방향을 따라 메인 플레이트(160)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절단부(110), 이송컨베이어(120) 및 저장박스(13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다음, 이동부(200)는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따라 각각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부(210), 폭 이동부(220) 및 높이 이동부(23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이동부(210)는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양단 이동블록(170)이 결합되는 볼 스크루 축(211)과, 볼 스크루 축(211)을 회전시켜 이동블록(170)을 볼 스크루 축(21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모터(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는 메인 플레이트(160)의 상측으로 이격된 이동블록(170)을 더 포함하고 메인 플레이트(160)와 이동블록(17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높이 이동부(230)를 통해 연결 가능하다.
전후 이동부(210)는 일종의 볼 스크루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서, 볼 스크루 축(211)은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 양단 영역 근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의 뼈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볼 스크루 축(211)의 일측에는 전후 구동모터(21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되며, 전후 구동모터(212)의 정역 구동에 따라 이동블록(170)이 볼 스크루 축(211)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이에 따라 결국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전후 방향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후 이동부(210)의 구동을 통해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나리를 자동 수확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이동부(220)는 비닐하우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절단부(110)가 결합되는 볼 스크루 축(221)과, 볼 스크루 축(221)을 회전시켜 절단부(110)와 이송컨베이어(120)를 볼 스크루 축(22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폭 구동모터(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볼 스크루 축(221)은 메인 플레이트(160) 상에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회전시키기 위한 폭 구동모터(22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단부(110),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50)이 볼 스크루 축(221)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폭 구동모터(222)의 정역 구동에 의해 절단부(110), 이송컨베이어(120)는 메인 플레이트(160)의 폭 방향, 즉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미나리를 수확할 수 있으므로 내부 면적이 큰 비닐하우스의 미나리 수확도 전체적으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이동부(230)는 이동블록(170)에 설치되어 메인 플레이트(160)를 승강 가능한 실린더(231)와, 이동블록(170)과 메인 플레이트(160) 사이를 연결하여 실린더(231)에 의한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32)을 포함한다.
실린더(231)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로드 단부 또는 로드와 연결되는 별도의 연결바가 메인 플레이트(160)에 연결되어 실린더(231) 구동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160)의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승강을 유도한다.
가이드봉(232)의 하단은 메인 플레이트(160)에 고정되고 상단은 이동블록(170)을 관통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승강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며,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비닐하우스의 바닥을 기준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수중 침수를 방지하여 전체 장치의 이상 발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미나리의 절단 부위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미나리의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센서(300)는 비닐하우스(10)에 다수개 설치되어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센서(300)는 적외선 센서 또는 발광부(수광부)를 갖는 센서로 적용 가능하다.
수위센서(400)는 비닐하우스(10)의 미나리 생장을 위한 물 수위를 감지하도록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속도센서(500)는 메인 플레이트(160) 또는 비닐하우스(10)에 설치되어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며, 일 예로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된 경우 각 센서간의 신호 감지 딜레이 타임을 감지하여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일종의 제어패널로서 이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위치센서(300), 수위센서(400), 속도센서(500)의 감지값을 수신하게 된다.
모니터링 제어서버(700)는 비닐하우스(10)와 이격된 농업인 자택, 마을 회관 등에 설치 가능하고, 제어부(6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신호 송신이 가능하고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이동상태, 각 센서들의 감지값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농업인은 원격지에서 미나리 수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인터넷 통신망 등을 통해 제어부(600)로 이동부(200)의 구동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속도, 승강, 전후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단말(800)은 모니터링 제어서버(7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 가능하며, 모니터링 제어서버(7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이동부(200)의 구동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농업인은 모니터링 제어서버(700)를 통해 자택 등지에서 미나리 수확상태를 점검하고 관련 구동 구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지만, 단말(800)을 통해 통신 가능한 영역 어디에서든지 이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인 미나리 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확인 및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비닐하우스 100: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
110: 절단부 120: 이송컨베이어
130: 저장박스 170: 이동블록
200: 이동부 210: 전후 이동부
220: 폭 이동부 230: 높이 이동부
300: 위치센서 400: 수위센서
500: 속도센서 600: 제어부
700: 모니터링 제어서버 800: 단말

Claims (6)

  1.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미나리를 수확하기 위한 미나리 수확시스템으로서,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미나리 줄기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수확물을 저장 가능한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00);
    상기 비닐하우스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00);
    상기 비닐하우스의 미나리 생장을 위한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00);
    상기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500);
    상기 이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센서, 수위센서, 속도센서의 감지값이 전달되는 제어부(600);
    상기 제어부(6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신호 송신이 가능하고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이동상태, 상기 각 센서들의 감지값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제어서버(700); 및
    상기 모니터링 제어서버(7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 가능하며, 상기 모니터링 제어서버(7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200)의 구동을 원격 제어 가능한 단말(800)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는,
    회전하면서 미나리 줄기를 절단 가능한 절단부(110);
    상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미나리를 이송 가능한 이송컨베이어(12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절단 미나리를 저장 가능한 저장박스(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부(210);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폭 이동부(220); 및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를 비닐하우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높이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동부(210)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미나리 절단 및 저장부(100)의 양단 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볼 스크루 축(211); 및
    상기 볼 스크루 축(211)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블록(170)을 볼 스크루 축(21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모터(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폭 이동부(220)는,
    상기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절단부(110)가 결합되는 볼 스크루 축(221); 및
    상기 볼 스크루 축(221)을 회전시켜 상기 절단부(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20)를 볼 스크루 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폭 구동모터(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10), 이송컨베이어(120), 저장박스(130)는 메인 플레이트(16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 이동부(230)는,
    상기 이동블록(170)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160)를 승강 가능한 실린더(231); 및
    상기 이동블록(170)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16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231)에 의한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KR1020180136168A 2018-11-07 2018-11-07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KR10215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68A KR102150677B1 (ko) 2018-11-07 2018-11-07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68A KR102150677B1 (ko) 2018-11-07 2018-11-07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66A true KR20200052766A (ko) 2020-05-15
KR102150677B1 KR102150677B1 (ko) 2020-09-01

Family

ID=7067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68A KR102150677B1 (ko) 2018-11-07 2018-11-07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36B1 (ko) 2023-02-13 2023-09-0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미나리 종묘 수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30B1 (ko) * 2006-06-19 2007-12-17 대한민국 벤치 재배형 딸기 수확 로봇 시스템
KR20090053029A (ko) * 2007-11-22 2009-05-27 박기인 녹차 자동 수확시스템
KR101165802B1 (ko) 2010-10-27 2012-07-20 (주)한서정공 수중 미나리 수확기
KR20160004333A (ko) * 2013-04-30 2016-01-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 및 통신 감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30B1 (ko) * 2006-06-19 2007-12-17 대한민국 벤치 재배형 딸기 수확 로봇 시스템
KR20090053029A (ko) * 2007-11-22 2009-05-27 박기인 녹차 자동 수확시스템
KR101165802B1 (ko) 2010-10-27 2012-07-20 (주)한서정공 수중 미나리 수확기
KR20160004333A (ko) * 2013-04-30 2016-01-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 및 통신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677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399B2 (en) Harvesting robots for hydroponics
US11129344B2 (en) Central processing horticulture
Billingsley et al. Robotic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KR101483391B1 (ko)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WO2006063314A2 (en) Agricultural robot system and method
CN104025801A (zh) 一种温室雾培蔬菜收获机
CN107135736A (zh) 一种定植板培育蔬菜的采收装置
EP3692777A1 (en) Machine for agricultural use
KR20200052766A (ko) 스마트 미나리 수확시스템
RU2421975C1 (ru) Жатвенный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очесыванием и измельчения незерновой части растений
KR101760887B1 (ko) 잔디밭 관리장치
WO2022123448A1 (en) Robotic farm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165802B1 (ko) 수중 미나리 수확기
KR102270218B1 (ko) 자율주행 관리로봇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버섯 재배관리 시스템
US2747357A (en) Adjustable reel for crop handling implement
CN202050692U (zh) 前置式双圆盘割草机
CN103814686B (zh) 一种偏心凸轮齿杆状圆盘切刀式地瓜秧收获机
CN205510863U (zh) 一种榨菜收割机的机头结构
CN212645895U (zh) 一种大棚用光照强度检测装置
KR102430887B1 (ko) 관리로봇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버섯 재배관리 시스템
CN211430212U (zh) 一种升降式绿植种植装置
CN218184050U (zh) 一种薯类收获机的深度调节机构
CN109964652A (zh) 草莓采摘装置
Rieger Developments in vineyard mechanisation and precision management
KR102430319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버섯 스마트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