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48A -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48A
KR20200052748A KR1020180136119A KR20180136119A KR20200052748A KR 20200052748 A KR20200052748 A KR 20200052748A KR 1020180136119 A KR1020180136119 A KR 1020180136119A KR 20180136119 A KR20180136119 A KR 20180136119A KR 20200052748 A KR20200052748 A KR 2020005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wer
power generation
blade
wi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102018013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748A/ko
Publication of KR2020005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상판과 하판 그리고 동일한 크기와 각도를 갖는 가이드들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며, 공기유입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공기배출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 바람을 증속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면을 갖는 프레임이 형성되어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WIND POWER GENERATION MODULE AN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가이드들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며, 공기유입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공기배출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 공기를 증속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면을 갖는 프레임이 형성되어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 시스템은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로, 바람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풍력발전 시스템은 다른 발전 시스템에 비해 효과적인 부지 이용이 가능하고, 공해 및 폐기물이 배출이 없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바람의 풍속이 낮은 지역에서는 발전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발전이 이루어지더라도 바람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이 매우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풍력 발전 시스템은 자연적인 바람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10-0810990호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집중시켜 저속의 바람이라도 풍속의 가속화를 구현하고, 최적의 바람 각도를 유도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력 발전 시스템은 자연현상에 의한 바람을 이용함으로써 꾸준한 전기 생산이 불가능하며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아 손쉽게 설치할 수 없으며, 풍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타워의 높이를 높이거나 블레이드의 크기와 개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전체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효과적으로 공기를 증속 시켜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정성을 높인 풍력 발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1766(발명의 명칭 : 풍력 발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듈형 수직축 풍력 발전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가이드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며, 공기유입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공기배출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 공기를 증속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면을 갖는 프레임이 형성되어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상기의 프레임은 블레이드의 상부와 하부에 팔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하며, 이 상판과 하판 사이에 여덟 개의 가이드들이 연결되고, 상기 하판 아래에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너레이터로 구성되는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제작되는 상판의 중심부에는 회전축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회전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을 형성하는데, 이 영역은 공기배출부에서 나와 회전 날개를 회전시킨 공기를 프레임 밖으로 배출시키는 영역으로 연속적인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서 블레이드가 원활한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풍력 발전 모듈과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으로 제작된 하판의 중심부는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에 연결하기 위한 구형의 영역 또는 그보다 큰 크기의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을 가지는데 그 공간은 상판과 같이 블레이드의 회전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풍력 발전 모듈과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하판 그리고 여덟 개의 가이드들이 조립된 외측에는 넓은 면적의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작은 면적을 갖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고, 이때 각각의 공기배출부는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상판과 하판 그리고 동일한 크기와 각도를 갖는 가이드들은 단순한 판형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또한 손쉽게 제조와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저렴한 유지 보수 비용과 관리가 용이한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상측에 태양발전부가 구비되어 풍력 발전과 함께 태양 발전 가능한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 발전 모듈이 높이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 될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 한 층이거나 둘 이상 적층 된 적층체가 이웃하게 위치되고 서로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어 발전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이 둘 이상의 풍력 발전 모듈을 적층을 할 경우 적층 되는 풍력 발전 모듈의 하판은 바람의 통로를 만들어서 아래의 풍력 발전 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적층 된 풍력 발전 모듈의 블레이드로 보내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은 단면이 다면체 형태를 가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팔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이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에 여덟 개의 가이드(120)들이 연결되고, 그 중앙에 블레이드(200)를 구성하는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상판(111)의 중심부에는 회전축(21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113)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되는 구형의 빈 공간(113)은 공기배출부(102)에서 나와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킨 바람을 배출시키는 영역으로 연속적인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서 블레이드(200)가 원활한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의 하판(112)에는 블레이드(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는 제너레이터(300)를 연결하기 위한 구형의 영역(114) 또는 그보다 큰 크기의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을 가지는데 그 공간은 상판과 같이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여덟 개의 가이드(120)들은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의 각 모서리에서 상판(111)의 내측 경계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며, 각 가이드(120)들의 외측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0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공기배출부(1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100) 단면의 중심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으로부터 복수개의 회전날개(22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들은 공기배출부(102) 영역이 더 좁아지도록 공기유입부(101)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사이가 하는 좁아지도록 형성하며, 블레이드(200)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동일한 크기와 각도를 갖는 가이드(120)들은 단순한 판형태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태양발전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풍력 발전 모듈(M)을 이용하며,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이 복수 개 이웃하게 위치되고, 서로 고정부(T)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이 높이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둘 이상 적층을 할 경우 적층 되는 풍력 발전 모듈(M)의 하판(112)은 바람의 통로(115)를 만들어 아래의 풍력 발전 모듈(M)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적층 된 풍력 발전 모듈(M)의 블레이드(200)로 보내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풍력 발전 모듈(M)과 풍력 발전시스템(1000)은 전체 구성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가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블레이드의 상부와 하부에 조립된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여덟 개의 가이드(120)들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되며, 외측으로 형성된 공기유입부(101)보다 내측의 작은 면적을 갖는 공기배출부(102)를 형성하는 구조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공기를 증속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면을 갖는 프레임(100)이 형성되어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단면이 다면체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으로 구성하고, 이때 상기 상판(111)의 중심부에는 회전축(210)에 연결되는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만큼 제거되는데, 이 제거되는 빈 공간(113)은 공기배출부(102)에서 나와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킨 공기를 배출시키는 영역으로 연속적인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서 블레이드(200)가 원활한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하판(112)의 중심부는 구형의 빈 공간(114)은 블레이드(200)와 제너레이터(300)를 연결하기 위한 영역을 또는 그보다 큰 크기의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을 가지는데 그 공간은 상판(111)과 같이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가이들(120)들, 내부에 형성된 블레이드(200)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00)와 연결된 제너레이터(300)는 공기를 증속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면을 갖는 프레임(100)이 형성되어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에 여덟 개의 가이드(120)들을 연결하고, 각각의 가이드(120)들은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의 각 모서리에서 상판의 내측 경계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가이드(120)들 사이에는 외측으로 이루어지는 넓은 면적의 공간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01)가 형성되고, 전기를 발전시키는 제너레이터(300)와 블레이드(200) 갖춘 내측으로는 공기배출부(102)가 형성되는데. 이 공기배출부(102)가 블레이드(200)의 회전 방향으로 치우치게 가이드(120)가 형성되어 블레이드(200)의 회전을 더욱 원활히 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와 같은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동일한 크기와 각도를 갖는 가이드(120)들은 단순한 판형태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프레임(100)의 상측에 태양발전부(500)가 구비되어 풍력 발전과 함께 태양 발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풍력 발전 모듈이 높이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 될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 한 층이거나 둘 이상 적층 된 적층체가 이웃하게 위치되고 서로 고정부(T)를 통해 고정되어 발전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둘 이상 적층을 할 경우 적층 되는 풍력 발전 모듈의 하판(112)은 바람의 통로(115)를 만들어서 아래의 풍력 발전 모듈(M)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적층 된 풍력 발전 모듈(M)의 블레이드(200)로 보내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바람의 통로는 상판(111)과 같이 중심축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00)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113)을 형성하거나 하판에 구멍이나 슬릿(115)을 내어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풍력 발전 모듈(M)과 풍력 발전시스템(1000)은 전체 구성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가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풍력 발전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위에서 본 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전면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상판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하판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다른 하판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다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시스템의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풍력 발전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위에서 본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전면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상판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하판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다른 하판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모듈의 다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은 프레임(100), 상판(111), 하판(112), 가이드(120), 블레이드(200) 및 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을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도 1과 도 7에서, 4면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은 블레이드(2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5면 또는 그 이상을 갖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단면이 다면체 형태인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모서리를 형성하는 부분만 존재하며, 각 면이 중공 되어 있어서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가이드(120)들이 형성하는 공기유입부(10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112)아래에 블레이드(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는 제너레이터(300)가 있으며, 이 제너레이터(300)에서 전기가 발생한다.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공기유입부(101) 그리고 내측으로 공기배출부(102)가 형성되는 가이드(120)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 단면의 중심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2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200)의 상부와 하부에 팔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이 조립된다. 상기 상판(111)의 중심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10)에 연결된 회전날개(220)가 회전하는 영역만큼 제거되는데, 이 제거되는 빈 공간(113)은 공기배출구(102)에서 나와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킨 바람을 배출시키는 영역으로 연속적인 바람의 흐름을 만들어서 블레이드(200)가 원활한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블레이드(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300)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판(111)에 형성되는 구형의 영역(113)은 블레이드(200)의 회전반경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여 바람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112)에는 블레이드(200)의 회전축(210)와 연결되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300)에 연결되는 구형의 영역(114) 또는 그보다 큰 크기의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을 가지는데 그 공간은 상판(111)과 같이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에는 여덟 개로 이루어진 가이드(120)들을 연결하고, 각각의 가이드(120)들은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의 각 모서리에서 상판의 내측 경계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가이드(120)들 사이에는 외측으로 이루어지는 넓은 면적의 공간에는 바람을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101)가 형성되고, 블레이드(200)를 갖춘 내측으로는 공기 배출부(102)가 형성되는데. 이때 공기배출부(102)는 블레이드(200)의 회전 방향으로 치우치게 가이드(120)가 형성되어 블레이드(200)의 회전을 더욱 원활히 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와 같은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동일한 크기와 각도를 갖는 가이드(120)들은 단순한 판형태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풍력 발전 모듈(M)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태양발전부(500)가 더 구비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태양발전부(500)는 태양전지 셀(Photovoltaic Cell or Solar Cell) 다수가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연결되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풍력 발전 모듈(M)은 풍력 발전과 함께 태양광 발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풍력 발전 모듈(M)을 이용하는 형태이다. 특히,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은 프레임(100)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장착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풍력 발전량은 현저하게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높이 방향으로 한층이거나 둘 이상 적층 된 적층체가 복수 개 이웃하게 위치되고, 서로 고정부(T)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T)는 풍력 발전 모듈(M)들을 서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적층 되지 않은 한 층의 풍력 발전 모듈(M) 4개가 고정부(T)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이 외에도, 한층의 풍력 모듈이거나 적층체가 나란한 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풍력 발전 모듈(M)의 적층 개수, 적층체의 배치 개수 및 방법은 더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풍력 발전 모듈(M) 및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적층 가능한 형태이며, 가이드(110)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공기를 증속하여 풍력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면을 갖는 프레임(100)이 형성되어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둘 이상 적층을 할 경우 적층 되는 풍력 발전 모듈(M)의 하판(112)은 바람의 통로(115)를 만들어, 아래의 풍력 발전 모듈(M)에서 배출되는 바람을 다시 적층 된 풍력 발전 모듈의 블레이드(200)로 보내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하판(112)에서 형성되는 바람의 통로는 상판(111)과 같이 중심축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00) 영역만큼 제거되는 빈 공간(113)을 형성하거나 하판에 구멍이나 슬릿을 내어 형성할 수 있는데, 공간은 상판(111)과 같이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6은 복수 개의 슬릿을 가진 바람의 통로(115)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한 하판(102)한 예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풍력 발전 모듈(M)과 풍력 발전시스템(1000)은 전체 구성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가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 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풍력 발전 시스템
M : 풍력 발전 모듈
100 : 프레임 101 : 공기유입부
102 : 공기배출부 111 : 상판
112 : 하판 113 : 상판에 제거되는 구형의 빈 공간
114 : 하판에 제거되는 구형의 빈 공간
115 : 하판에 형성되는 바람의 통로(슬릿)
120 : 가이드 200 : 블레이드
210 : 회전축 220 : 회전날개
300 : 제너레이터 500 : 태양발전부
T : 고정부

Claims (8)

  1. 단면이 다면체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100)의 블레이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팔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팔각형의 상판과 하판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판의 내측 경계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형태의 가이드(120);
    상기 프레임(100) 단면의 중심에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2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상부에 조립되는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11) 내측으로는 중심축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00)의 회전 영역만큼 제거된 구형의 빈 공간(11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모듈(M).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하부에 조립되는 팔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하판(112) 내측으로는 블레이드(200)와 제너레이터(300)를 연결하기 위해 중심축에 형성되는 빈 공간(114)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모듈(M)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0)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판(112) 내측으로는 바람의 통로(11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모듈(M)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에는 바람이 유입되는 공기유입부(10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형성하는 공기배출부(102)는 블레이드(200) 회전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가이드(200)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모듈(M).
  6.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태양발전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모듈.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풍력 발전 모듈(M)을 이용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이 복수 개 이웃하게 위치되고, 서로 고정부(T)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 풍력 발전 모듈(M)이 높이 방향으로 둘 이상 적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
KR1020180136119A 2018-11-07 2018-11-07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KR20200052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19A KR20200052748A (ko) 2018-11-07 2018-11-07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19A KR20200052748A (ko) 2018-11-07 2018-11-07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48A true KR20200052748A (ko) 2020-05-15

Family

ID=7067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19A KR20200052748A (ko) 2018-11-07 2018-11-07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7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23031A (zh) * 2022-12-16 2023-05-16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力驱动装置及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66B1 (ko) 2015-06-26 2015-11-26 (주)지인테크 풍력발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듈형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66B1 (ko) 2015-06-26 2015-11-26 (주)지인테크 풍력발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듈형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23031A (zh) * 2022-12-16 2023-05-16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力驱动装置及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103B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axial flow rotor
US5391926A (en) Wind turbine particularly suited for high-wind conditions
EP2609325B1 (en) Vertical axis turbine
US7008171B1 (en) Modified Savonius rotor
US9294013B2 (en) Buildings with wind-energy-conversion systems
US20090218823A1 (en) Wind turbin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peller-type rotors
KR102068128B1 (ko)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KR102068132B1 (ko)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US20140064918A1 (en) Device and system for harvesting the energy of a fluid stream
KR101237535B1 (ko) 풍향전환 풍력 발전기
WO2010074670A1 (en) Fluid turbine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20200052748A (ko) 풍력 발전 모듈 및 풍력 발전 시스템
WO2007066207A2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power from complementary renewable sources
KR20150070696A (ko) 풍력 발전 유니트 및 수직 적층형 풍력 발전 시스템
JP2013127235A (ja) 全方位ユニット連結風力発電機
KR102655634B1 (ko) 와류 동적 발전 구조물
JPH08232831A (ja) 建造物の庇を風収集誘導板とした積層タワーの風力発電装置
US20230340939A1 (en) Vortex dynamic power generation structure
WO2012030243A1 (en) Scalable vertical wind power generator
EP4279735A1 (en) Vortex dynamic power generation structure
KR102634072B1 (ko) 중앙 집중식 수직형 풍차
KR101970815B1 (ko) 블레이드 및 풍력 발전 모듈
AU2022202619B2 (en) Vortex dynamic power generation structure
CA2418082A1 (en) Wind turbine with inlet cells
GB2619271A (en) Vortex dynamic power gener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