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15A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를 효율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셔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를 효율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셔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2715A KR20200052715A KR1020180136056A KR20180136056A KR20200052715A KR 20200052715 A KR20200052715 A KR 20200052715A KR 1020180136056 A KR1020180136056 A KR 1020180136056A KR 20180136056 A KR20180136056 A KR 20180136056A KR 20200052715 A KR20200052715 A KR 202000527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toner
- shutter
- collection unit
- hook
- toner coll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거한 폐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부, 폐토너 수거부가 본체에 장착 시 배출구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로 이동하고, 폐토너 수거부가 본체에서 분리 시 배출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셔터 및 셔터는, 셔터를 닫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 후크, 및 셔터를 열림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 후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장치에 토너를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만든 다음, 이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소정의 화상을 출력한다.
상기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장치에서 용지로의 토너화상 전사시 감광매체에는 미전사 토너(이하, “폐토너”라 한다)가 남게 된다. 이 폐토너는 다음 화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는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장치에서 미처 전사되지 못하고 잔류한 폐토너를 수거하기 위한 폐토너 수거부가 마련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 및 폐토너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폐토너 수거부 및 폐토너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생략한 폐토너 수거부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부가 호퍼에 장착되어 셔터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부가 호퍼에 분리되어 셔터가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 및 폐토너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폐토너 수거부 및 폐토너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생략한 폐토너 수거부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부가 호퍼에 장착되어 셔터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부가 호퍼에 분리되어 셔터가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폐토너 수거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급지장치(20), 인쇄 엔진(30) 및 배출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적재되는 배출트레이(10a)가 마련되며, 배출트레이(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된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에 장착 및 탈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급지장치(20) 내에 배치되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급지장치(20)는 급지장치(2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용지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4)와,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전달받아 이송롤러(29)를 향해 이동시키는 포워드롤러(26)와, 포워드롤러(26)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용지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타드롤러(28)와, 픽업롤러(24) 상측에 배치되어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 엔진(30)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29)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급지장치(20)로부터 공급받은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 엔진(30)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및 정착기(70)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기(40)는 공급된 용지(P)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고, 정착기(70)는 가시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현상기(40)는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로 이루어져 노광기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와, 감광체(41)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41)의 정전잠상이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으로 현상되도록 하는 현상롤러(43)와, 감광체(41)의 표면이 대전되도록 하는 대전롤러(45)를 포함한다.
현상기(40)와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와 복수의 현상기(4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감광체(41)는 정전 잠상이 형성하고, 현상 카트리지(50)는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고, 전사기(60)는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50) 및 현상기(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를 저장하고, 정전잠상이 형성된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서론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을 만든다.
그리고, 전사기(60)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첩시켜 컬러 가시화상을 만드는 중간전사벨트(61)와, 중간전사벨트(61)에 형성된 컬러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최종전사롤러(63)를 포함한다. 중간전사벨트(61)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차례로 전사되어 중첩되고,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된다.
용지(P)에 전사되는 가시화상은 정착기(7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 표면에 융착된다. 정착기(70)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7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용지를 가열롤러(7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73)를 포함한다.
정착기(70)를 통과한 용지(P)는 배출 장치(8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용지(P)에 토너에 의한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현상기(40)에서는 불가피하게 폐토너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40)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체(41)에 잔류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수단은 감광체(4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감광체(41)에서 전사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폐토너의 저장을 위해 본체(10)의 일측에는 폐토너 수거부(100) 및 폐토너 저장부(300)가 설치된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감광체(41)에서 분리된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300)로 안내하고, 폐토너 저장부(300)는 폐토너 수거부(100)로부터 수거된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와 폐토너 저장부(300)는 호퍼(2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는 호퍼(200)를 통해 폐토너 저장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 및 폐토너 저장부(300)는 본체(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토너 수거부(100) 및 폐토너 저장부(300)는 각각 호퍼(200)의 상면(201) 및 하면(202, 도 3 참조)에 결합하여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될 수 있다.
폐토너는 중간전사벨트(61)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용지(P)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61) 상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 수거부(100)에 수용된다. 이러한 폐토너 역시 폐토너 저장부(300)로 배출된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폐토너 수거부 및 폐토너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개시된 폐토너 수거부 및 폐토너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클리닝 수단(미도시)에 의해 감광체(41) 및 중간전사벨트(6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수거부(100)로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감광체(41) 또는 중간전사벨트(61)의 표면으로부터 낙하하는 폐토너를 전달받는 유입구와, 그 하면(102, 도 5 참조) 일측에 형성되어 폐토너가 하측의 폐토너 저장부(300)로 전달되도록 하는 배출구(100a,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의 내부에는 폐토너를 배출구(100a)로 이송시키는 이송 오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오거는 폐토너 수거부(100)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폐토너 저장부(300)는 폐토너 수거부(100)와 연결 가능하도록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측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토너 저장부(300)는 폐토너 저장부(300)의 폐토너 유입구(미도시)가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 도 5 참조)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폐토너 저장부(30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는 호퍼(200)를 통해 폐토너 저장부(300)로 수거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에 수용된 폐토너는 폐토너 이송 오거(미도시)의 회전에 의하여 배출구(100a, 도 5 참조)로 이송되고, 이송된 폐토너는 호퍼(200)의 통과공(200a)을 통과하여 폐토너 저장부(300)로 배출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와 폐토너 저장부(300) 사이에는 폐토너 수거부(100)에서 배출되는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300)로 안내하기 위한 호퍼(200)가 배치될 수 있다.
호퍼(200)의 통과공(200a)은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와 폐토너 저장부(300)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와 폐토너 저장부(300)는 개별적으로 본체(10)에 착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퍼(200)는 폐토너 수거부(100) 및 폐토너 저장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와 폐토너 저장부(300)는 호퍼(20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호퍼(200)의 상측에 장착되고, 폐토너 저장부(300)는 호퍼(200)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토너 수거부(100) 및 폐토너 저장부(300)는 내부에 폐토너가 가득찬 경우에 호퍼(200)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폐토너 수거부(100) 및 폐토너 저장부(300)가 호퍼(200)에 장착될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 내의 폐토너가 유출되지 않도록 폐토너 수거부(1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셔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에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셔터(150)가 장착되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에는 셔터(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30,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폐토너 수거부(100)가 장착되는 호퍼(200)의 상면(201)에는 셔터(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호퍼(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호퍼(2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호퍼(200)에 장착 시,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도 7a참조)에 배치된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장착 방향에 반대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출구(100a)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도 7d 참조)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호퍼(200)로부터 분리 시, 열림 위치에 위치한 셔터(150)는 배출구(100a)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와 마찬가지로, 폐토너 저장부(300)도 폐토너 저장부(300)의 폐토너 유입구를 개폐하는 셔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폐토너 저장부(300)도 호퍼(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호퍼(2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셔터(350)가 장착되는 폐토너 저장부(300)의 상면(301)에는 셔터(3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30)가 형성될 수 있고, 폐토너 저장부(300)가 장착되는 호퍼(200)의 하면(202)에는 셔터(3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저장부(300)가 호퍼(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호퍼(200)에 장착 시, 폐토너 저장부(300)의 폐토너 유입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에 배치된 셔터(350)는 제1 방향을 따라 폐토너 유입구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폐토너 저장부(300)가 호퍼(2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호퍼(200)로부터 분리 시, 열림 위치에 위치한 셔터(350)는 폐토너 유입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폐토너 저장부(300)에 마련된 셔터(350)는 폐토너 수거부(100)에 마련된 셔터(150)와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폐토너 저장부(300)의 상면(301)에 형성된 가이드부(33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에 마련된 가이드부(130)와 구조가 동일하고, 폐토너 저장부(300)의 셔터(350)와 결합하는 호퍼(200)의 하면(202)에 형성된 셔터 위치 규제부는 호퍼(200)의 상면(201)에 형성된 셔터 위치 규제부(210)와 구조가 동일하다.
폐토너 저장부(300)에 마련된 셔터(350)와 폐토너 수거부(100)에 마련된 셔터(150)는 대칭적으로 호퍼(20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저장부(300)의 셔터(350)는 기본적으로 폐토너 저장부(300)의 셔터(150)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폐토너 수거부(100)에 마련된 셔터(150)에 대해 설명하며, 폐토너 저장부(300)에 마련된 셔터(35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생략한 폐토너 수거부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호퍼(200)의 상면(201)에 장착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됨에 따라,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에 형성된 배출구(100a)는 호퍼(200)의 통과공(200a)과 연결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와 호퍼(200) 사이에는 셔터(150)가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 또는 호퍼(200) 중 어느 하나에 셔터(150)를 가이드하는 셔터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 셔터(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 내부에 수용된 폐토너가 배출되는 배출구(100a)를 개폐할 수 있다.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셔터 가이드부(13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폐토너 수거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셔터(150)는 후술하는 셔터 가이드부(130, 도 5참조)의 가이드홈(131, 도 5참조)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31)을 내에서만 제1 방향(A) 및 제2 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150)는 가이드홈(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부(100)의 내측에 수용된 폐토너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기 위해 닫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결합 시에 폐토너 수거부(100) 내에 수용된 폐토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열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셔터(150)는 셔터(150)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후술하는 셔터 가이드부(130) 및 셔터 위치 규제부(230)와 결합 가능한 제1 후크(153)와 제2 후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153)는 셔터(150)를 닫힌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후크(155)는 셔터(150)를 열린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후크(153)는 셔터(15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153)는 외측으로 돌출된 절곡부(153a)와 절곡부(153a)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위를 갖는 제1 텐션 후크(15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부(153a)는 셔터(15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53a)는 제2 후크(155)에 인접한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텐션 후크(153b)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절곡부(153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텐션 후크(153b)는 후술하는 셔터 가이드부(130, 도 5 참조)의 고정홈(133, 도 5 참조)을 탄성 가압하여 셔터(150)가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텐션 후크(153b)는 후술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 도 6 참조)의 가압리브(231, 도 6 참조)에 의해 제2 후크(155)와 가까워지도록 내측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내측 방향으로 가압된 제1 텐션 후크(153b)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의 삽입홈(233, 도 6 참조)에 삽입되어 셔터(150)의 닫힘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후크(15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절개된 홈인 슬릿(155a)과 슬릿(155a) 상에 구비되어 탄성 변위를 갖는 제2 텐션 후크(15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릿(155a)은 셔터(15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155a)은 제1 후크(153)와 인접하고, 제1 후크(153)의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텐션 후크(155b)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슬릿(155a)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슬릿(155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텐션 후크(155b)의 타단은 외력에 의한 탄성변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텐션 후크(155b)는 연장된 타단 끝에 삼각형의 형상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55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에는 셔터(150)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셔터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셔터 가이드부(130)는 폐토너 수거부(10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폐토너 수거부(100)가 장착되는 호퍼(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에는 셔터(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셔터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셔터 가이드부(130)는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호퍼(200)의 셔터 위치 규제부(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셔터 가이드부(130)는 셔터(150)가 안착되는 가이드홈(131)과, 셔터(150)를 닫힘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홈(133)과, 셔터(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35)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31)에 셔터(150)가 안착될 수 있고, 가이드홈(131)에 안착된 셔터(150)는 가이드홈(131)을 따라 제1 방향(A) 및 제2 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131)은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31)은 폐토너 수거부(1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31)은 배출구(100a)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131)은 배출구(100a)를 중심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150)는 가이드홈(131)을 따라 제1 방향(A)으로 이동하면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가 개방된 열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셔터(150)는 가이드홈(131)을 따라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면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가 폐쇄된 닫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홈(131)의 제2 방향 타단에는 지지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37)는 가이드홈(131)이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셔터(150)가 가이드홈(131)을 빠져나가지 않도록 셔터(150)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홈(133)은 셔터(150)가 닫힘 위치에 위치할 때 셔터(15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셔터(150)를 닫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셔터(150)가 닫힘 위치에 위치 시, 셔터(150)의 제1 후크(153)는 고정홈(13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133)에 삽입된 셔터(150)의 제1 후크(153)에 의해 셔터(150)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고정홈(133)은 가이드홈(131)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33)은 제1 방향에 가이드홈(131)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133a)과, 제2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153)는 경사면(133b)을 따라 고정홈(133)에 삽입될 수 있고, 수직면(133a)에 의해 제1 후크(153)의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5)은 가이드홈(131)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135)은 가이드홈(131)의 제1 방향(A)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135)은 폐토너 수거부(100)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5)은 셔터(150)의 제2 후크(155)의 일측을 지지하여 셔터(150)를 폐토너 수거부(100)와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5)은 셔터(160)의 제1 후크(153)와 제2 후크(155)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셔터(150)가 가이드 레일(135)에 진입하면, 즉,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의 일측을 지지하면 셔터(150)는 호퍼(200)에 구속되어 폐토너 수거부(100)의 장착 방향과 반대되는 제1 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1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셔터(150)는 제1 방향(A)으로 이동 시, 가이드 레일(135)에 걸려 가이드홈(131)을 벗어나 이동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호퍼(200)의 상면(201)에는 셔터(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는 호퍼(20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호퍼(200)에 장착되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셔터 위치 규제부(230)는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부(100)의 셔터 가이드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셔터 위치 규제부(230)는 셔터(150)의 제1 후크(153)를 가압하는 가압리브(231),셔터(15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33) 및 제2 후크(155)가 걸리는 제2 후크 걸림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리브(231)는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결합 시, 제1 후크(153)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리브(231)는 호퍼(200)의 양단에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리브(231)는 호퍼(200)의 통과공(200a)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리브(231)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제1 후크(153)가 삽입홈(233)으로 삽입되도록 제1 후크(153)의 양단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후크(153)의 양단이 가압됨에 따라 셔터(150)는 셔터 가이드부(130)의 고정홈(133)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닫힘 위치에서 고정된 셔터(150)는 고정이 해제되고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장착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셔터(15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삽입홈(233)은 가압리브(231)에 의해 가압된 제1 후크(15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삽입홈(233)의 제2 방향의 일단에는 지지면(233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233a)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터(1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면(233a)에 의해 셔터(150)는 통과공(200a)까지 이동할 수 없다.
즉,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지지면(233a)에 의해 셔터(150)는 더 이상 제2 방향(B)으로 이동할 수 없어 열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후크 걸림홈(235)은 호퍼(200)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크 걸림홈(235)은 삽입홈(233)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크 걸림홈(235)은 제2 후크(155)의 걸림돌기(155c)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후크(155)는 제2 후크(155)의 일측이 가이드 레일(13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155)의 걸림돌기(155c)가 제2 후크 걸림홈(235)에 걸려 열림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 시, 셔터(150)의 제2 후크(155)는 제2 후크 걸림홈(235)에 삽입되어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 장착된 경우 제2 후크(155)의 일단은 가이드 레일(13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155)의 타단은 제2 후크 걸림홈(235)에 삽입되어 셔터(150)를 열림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호퍼(200)에서 분리 시에, 제2 후크 걸림홈(235)에 걸린 제2 후크(155)는 제2 후크(155)의 일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를 지지하지 않을 때까지 호퍼(200)에 동작이 구속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를 지지하지 않을 때까지 폐토너 수거부(10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후크(155)는 제2 후크 걸림홈(235)을 빠져나와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폐토너 수거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이동하는 셔터(1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부가 호퍼에 장착되어 셔터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기 전에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를 폐쇄한 닫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때 셔터(150)는 닫힘 위치에 고정되어 닫힘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셔터(150)는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홈(131)을 따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터(150)는 제1 후크(153)가 고정홈(133)에 삽입 고정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제1 후크(153)의 제1 텐션 후크(153b)가 고정홈(133)의 수직면(133a)을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셔터(15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셔터(150)는 셔터(150)의 일단이 지지돌기(137)에 의해 지지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셔터(150)가 배출구(100a)를 확실하게 폐쇄하기 때문에 폐토너 수거부(100)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의 폐토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150)는 제1 텐션 후크(153b)의 외측면을 가압한 후 제1 방향으로 밀어야 닫힘 위치에서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셔터(150) 고정력의 신뢰성이 높아 의도하지 않게 폐토너 수거부(100)의 출구가 개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부(100)를 본체에 장착하기 위해 폐토너 수거부(100)가 장착 방향인 제2 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토너 수거부(100)는 호퍼(200)에 결합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의 결합 과정에서 셔터(150)는 호퍼(200)에 형성된 셔터 위치 규제부(230)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셔터(150)의 닫힘 위치에서 폐토너 수거부(100)를 호퍼(200)에 결합시키게 되면, 호퍼(200)에 형성된 가압리브(231)에 의해 제1 텐션 후크(153b)의 고정홈(133)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해제되므로 셔터(150)가 닫힘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의 결합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고정홈(133)에 삽입 고정된 제1 후크(153)는 가압리브(231)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1 후크(153)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셔터(150)의 닫힌 위치에서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후크(153)는 가이드홈(131)의 외측면에 가압되어 가이드홈(131)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후크(153)는 삽입홈(233)을 따라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150)의 일단이 삽입홈(233)의 지지면(233a)에 지지될 때까지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셔터(150)의 일단이 지지면(233a)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155)의 일측이 가이드 레일(135)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 경우 셔터(150)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에 의해 더 이상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호퍼(200)에 구동이 구속될 수 있다.
셔터(150)는 페토너 수거부(100)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제2 방향(B)으로 이동하지만, 셔터(150)는 호퍼(200)의 셔터 위치 규제부(230)에 의해 지지되어 폐토너 수거부(100)에서 볼 때, 장착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1 방향(A)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제2 후크(155)는 걸림돌기(155c)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가이드 레일(135)에 의해 지지되어 셔터(150)가 가이드 레일(135)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부(100)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셔터(150)는 호퍼(200)에 동작이 구속되어 셔터(150)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후크(155)의 걸림돌기(155c)는 셔터 위치 규제부(230)의 제2 후크 걸림홈(235)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후크(155)의 일측은 가이드 레일(13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155)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55c)는 제2 후크 걸림홈(235)에 삽입 고정되기 때문에 셔터(150)는 열림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150)는 열린 위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셔터(150)에 의해 배출구(100a)가 폐쇄되어 폐토너가 폐토너 수거부(100)에 쌓여 폐토너 수거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를 본체에 장착하는 동작만으로 셔터(15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출구를 개방할 수 있어 셔터(150)의 개방이 용이하다.
도 8a, 도 8b,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부가 호퍼에 분리되어 셔터가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부(10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를 개방한 열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셔터(150)의 제2 후크(155)는 제2 후크 걸림홈(235)에 고정되어 셔터(150)를 열림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부(100)는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제1 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에,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호퍼(200)에 구동이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수거부(100)에서 볼 때,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제2 후크(155)의 일측은 가이드 레일(13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155)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55c)는 제2 후크 걸림홈(235)에 삽입 고정되기 때문에 셔터(150)는 호퍼(200)에 고정되어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제1 방향(A)으로 이동할 수 없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의 일측을 지지하지 않을 때까지 셔터(150)와 독립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하면(10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를 빠져나갈 때까지 호퍼(200)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 8c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를 빠져나가면 제2 후크(155)는 일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후크(155)는 제2 후크 고정홈(133)을 빠져나와 호퍼(20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의 배출구(100a)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닫힘 위치에 위치한 셔터(150)는 제1 후크(153)에 의해 고정홈(133)에 고정되어 닫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5)이 제2 후크(155)를 빠져나간 이후부터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에 동작이 구속될 수 있다. 즉, 셔터(150)는 폐토너 수거부(100)와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를 분리하기 위한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셔터(150)가 배출구(100a)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수거부(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할 때, 폐토너 수거부(100)에 잔류하는 폐토너가 배출구(100a)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150)를 닫힘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폐토너 수거부(100)의 분리 동작으로 셔터(150)에 의해 배출구(100a)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셔터(150)에 의해 배출구(100a)가 폐쇄될 때까지, 셔터 위치 규제부(230)가 셔터(150)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셔터(150)와 호퍼(200) 사이를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폐토너 수거부(100)의 본체(10)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출구(100a)의 닫힘 위치까지 셔터(150)를 확실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는 닫힘 위치에 고정된 셔터(150)와 함께 호퍼(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부(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될 때 셔터(150)가 배출구(100a)를 폐쇄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폐토너 수거부(100) 내의 폐토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150)는 닫힘 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셔터(150)가 닫힘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토너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100 : 폐토너 수거부
130 : 셔터 가이드부 150, 350 : 셔터
153: 제1 후크 155: 제2 후크
200: 호퍼 300: 폐토너 저장부
130 : 셔터 가이드부 150, 350 : 셔터
153: 제1 후크 155: 제2 후크
200: 호퍼 300: 폐토너 저장부
Claims (15)
-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거한 폐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부;
상기 폐토너 수거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부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 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셔터; 및
상기 셔터는,
상기 셔터를 상기 닫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 후크; 및 상기 셔터를 상기 열림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폐토너 수거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폐토너 수거부는 상기 셔터가 상기 열림 위치 및 상기 닫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셔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셔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
상기 제1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셔터를 상기 폐토너 수거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일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홈의 후방에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셔터의 외측으로 돌출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위를 갖는 제1 텐션 후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텐션 후크는 상기 고정홈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셔터를 닫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화상형성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위치 규제부는,
상기 폐토너 수거부가 장착되는 방향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리브;
상기 가압리브에 의해 가압된 제1 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압리브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오목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가 걸리는 제2 후크 걸림홈;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걸개된 홈으로 형성된 슬릿;
상기 슬릿 상에 구비되어 탄성 변위를 갖는 제2 텐션 후크; 및
상기 제2 텐션 후크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폐토너 수거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제2 후크 걸림홈에 걸려 상기 셔터를 열림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폐토너 수거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면 상기 셔터는 상기 본체에 구속되어 상기 폐토너 수거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제2 후크의 일측을 빠져나가면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부에 구속되어 상기 폐토너 수거부와 함께 구동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폐토너 수거부의 분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1 후크와 반대로 상기 폐토너 수거부의 장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폐토너를 수거하기 위한 폐토너 수거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폐토너 수거부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저장부;
상기 폐토너 수거부와 상기 폐토너 저장부를 연결하는 호퍼(hopper); 및
상기 폐토너 수거부와 상기 호퍼 사이에 배치된 제1 셔터 및 상기 폐토너 저장부와 상기 호퍼 사이에 배치된 제2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각각,
상기 폐토너 수거부 및 상기 폐토너 저장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 시 호퍼와 연결되는 열림 위치와 상기 폐토너 수거부 및 상기 폐토너 저장부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 시 상기 호퍼와 연결이 해제되는 닫힘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닫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 후크 및 상기 열림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폐토너 수거부 및 상기 제2 셔터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폐토너 저장부에는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셔터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폐토너 수거부 및 상기 폐토너 저장부가 장착되는 호퍼에는 셔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셔터 위치 규제부가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056A KR20200052715A (ko) | 2018-11-07 | 2018-11-07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를 효율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셔터 |
PCT/US2019/060051 WO2020097192A1 (en) | 2018-11-07 | 2019-11-06 | Shutter for effectively opening and closing waste toner collector of image form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056A KR20200052715A (ko) | 2018-11-07 | 2018-11-07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를 효율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셔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715A true KR20200052715A (ko) | 2020-05-15 |
Family
ID=7061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056A KR20200052715A (ko) | 2018-11-07 | 2018-11-07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를 효율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셔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52715A (ko) |
WO (1) | WO202009719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2390B1 (ko) * | 2000-12-29 | 2002-11-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
JP2004139031A (ja) * | 2002-09-24 | 2004-05-13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JP4723317B2 (ja) * | 2005-08-31 | 2011-07-13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280770B2 (ja) * | 2006-01-11 | 2009-06-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2018
- 2018-11-07 KR KR1020180136056A patent/KR20200052715A/ko unknown
-
2019
- 2019-11-06 WO PCT/US2019/060051 patent/WO202009719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97192A1 (en) | 2020-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46492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1874625B2 (en) |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a member configured to be pressed by a memb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666282B2 (en) |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developer cartridge | |
KR102333305B1 (ko) |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 |
JP4884549B2 (ja) | 廃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 |
US10935926B2 (en) |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195803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820358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 |
JP5839823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20140056628A1 (en) | Image Forming Device Having Belt Cleaner and Drum Cleaner Both Provided in One of Drum Units | |
US1096291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untable unit for discharging developer | |
JP2020170201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US813118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639162B2 (en) |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1235995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 |
US1007341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200052715A (ko)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수거부를 효율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셔터 | |
US11086269B2 (en) |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849151B2 (en) | Photosensitive member unit | |
WO2021183177A1 (en) |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 |
JP2019095707A (ja) |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630836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2303029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21096421A (ja) | 光学ヘッド保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2048496A (ja) | 画像形成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