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598A -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598A
KR20200052598A KR1020180135740A KR20180135740A KR20200052598A KR 20200052598 A KR20200052598 A KR 20200052598A KR 1020180135740 A KR1020180135740 A KR 1020180135740A KR 20180135740 A KR20180135740 A KR 20180135740A KR 20200052598 A KR20200052598 A KR 2020005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iew image
color
preview
filter valu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서우
유진필
Original Assignee
신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서우 filed Critical 신서우
Priority to KR102018013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598A/ko
Publication of KR2020005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04N5/2329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5/2329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은,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특정 필터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정 필터값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PREVIEW IMAGE}
본 발명은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에서 실내/실외 여부와 사물/인물 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값을 추천하고, 동시에 프리뷰 영상의 노출, 밝기, 채도, 선명도 등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대량으로 생산되어 다수의 사람들에게 판매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 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으며, 일부 단말기는 전자 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말기(terminal)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하여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다음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및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은 사진을 촬영한 다음 선택된 필터값을 적용하여 사진을 새로 저장하거나 또는 사진 촬영 전 제공되는 프리뷰 영상에 복수의 필터값을 하나씩 적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의 필터값은 사용자의 선택 폭이 여전히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에 적용되는 필터값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리뷰 영상의 실내/실외 여부와 사물/인물 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값을 추천하고, 동시에 프리뷰 영상의 노출, 밝기, 채도, 선명도 등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에서 실내/실외 여부와 사물/인물 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값을 추천하고, 동시에 프리뷰 영상의 노출, 밝기, 채도, 선명도 등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천된 프리뷰 영상의 필터값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함으로써, 사진 촬영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통해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필터값과 사용자의 보정이 동시에 반영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편리성 및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촬영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은,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특정 필터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정 필터값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필터값이 반영된 프리뷰 영상에 대한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미지 객체 인식을 통해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에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에 관한 시간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 각각의 색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 각각의 색감을 기반으로 소정의 농도를 가진 복수의 색상이 포함되는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필터값이 반영된 프리뷰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보정 정보를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의 장치는,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전자 기기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색감 검출부; 상기 색감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특정 필터값을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특정 필터값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여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감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미지 객체 인식을 통해 상기 프리뷰 영상에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뷰 영상이 실외로 판단된 경우, 시간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감 검출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색감을 기반으로 소정의 농도를 가진 복수의 색상이 포함된 색감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에서 실내/실외 여부와 사물/인물 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값을 추천하고, 동시에 프리뷰 영상의 노출, 밝기, 채도, 선명도 등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는 추천된 프리뷰 영상의 필터값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함으로써, 사진 촬영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는 전자 기기를 통해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필터값과 사용자의 보정이 동시에 반영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편리성 및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촬영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S200)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 영상에 대한 보정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필터값의 저장 및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S200)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도시한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의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하는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widge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젯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지 않고, 컨텐츠나 기능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지칭하며, 예컨대 날씨, 달력, 계산기, 뉴스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위젯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 용어 '어플리케이션'은 위젯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이러한 프리뷰 영상 보정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참고로,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S200)의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색감 검출부(120), 제어부(130), 카메라부(140), 통신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및 저장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전자 기기의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촬영 수단의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전자 기기의 시각 등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색감 검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색감 검출부(120)는 프리뷰 영상의 노출, 밝은 부분의 밝기, 어두운 부분의 밝기, 전체적인 밝기, 전체적인 채도, 선명도 등을 검출 및 분석하여 해당 프리뷰 영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감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감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색상이 포함된 소정의 농도를 가진 색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감 검출부(120)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색을 분석하여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퍼센트) 등)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가장 높은 비율의 색상을 우선순위로 하여 소정의 비율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포함된 색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색감 검출부(120)는 전문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 및 분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 시간대, 날씨, 사물 등을 감안하여 특정 색감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감 검출부(120)는 여름 또는 겨울의 계절 변화에 따른 특정한 색감(예를 들어, 빨간색, 하늘색, 노란색 등)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프리뷰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색감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최소한의 전처리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선형 분류 방식 즉, 자동화 방법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카테고리가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집된 복수의 데이터와 실시간 프리뷰 영상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당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으로 이미지 객체 인식을 통해 프리뷰 영상에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순차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어부(130)는 분류된 영상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특정 필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자동화 방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프리뷰 영상의 특정 필터값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필터값은 인식 서비스를 통해 특정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전문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필터값이 지정되는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카메라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추출된 특정 필터값을 프리뷰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카메라부(140)는 이미지(예를 들어, 정지 영상 등)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및/또는 후면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를 들어, LED, xeno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추출된 특정 필터값이 프리뷰 영상에 반영된 상태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카메라부(140)는 이미지 및 동영상 촬영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130)에 의해 특정 필터값으로 보정된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필터값이 선택되어 프리뷰 영상에 반영되는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보정 정보가 입력되어 프리뷰 영상에 반영된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40)는 특정 필터값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보정 정보가 동시에 반영되는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프리뷰 영상이 실외로 판단된 경우, 시간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감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부(130)에 의해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통신부(150)를 통해 시간 정보 및/또는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50)는 아침, 점심, 저녁 등으로 구분된 시간 정보와 눈, 비, 맑음 등으로 구분된 기상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상기 정보를 반영하여 특정 필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부(15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50)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색감 검출부(120), 제어부(130), 사용자 입력부(160), 저장부(17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60)는 제어부(130)에 의해 특정 필터값이 반영된 프리뷰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보정 정보를 프리뷰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60)는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프리뷰 영상과 관련된 보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60)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통해 프리뷰 영상에 대한 대비, 하이라이트, 쉐도우, 밝기, 노출, 선명도 및 R, G, B, C, M, Y 값 등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개성이 표현된 필터값을 프리뷰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
즉,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이미지 촬영 및/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해 보정 정보가 반영된 프리뷰 영상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부(160)는 기계식 입력 수단 또는 터치식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식 입력 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동작 및 특정 필터값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에는 소정의 컨텐츠, 특정 필터값에 대한 전문가 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70)에는 또는 저장부(170)와는 별개로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을 위한 추가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특정 필터값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추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실 또는 분실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각 엘리먼트(110, 120, 130, 140, 150, 160, 170)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해당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특정 필터값을 결제 하기 위한 서버, 등)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사용자에게 특정 필터값을 제시하는 소정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아이콘 영역에 대한 터치(touch) 동작에 의해 복수의 특정 필터값이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도 3a의 (b) 참조).
예를 들어, 특정 필터값은 색감 검출부(120)를 통해 인식된 색감을 기반으로 인식 서비스를 통해 추천된 제1 특정값(예를 들어, 도 3a의 (c)의 pic 1)과, 전문가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하는 제2 특정 필터값(예를 들어, 도 3a의 (c)의 pic 2)과, 그리고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제3 특정 필터값(예를 들어, 도 3a의 (c)의 pic 3)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 특정 필터값, 제2 특정 필터값 및 제3 특정 필터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필터값이 해당 프리뷰 영상에 반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도 3a의 (c) 참조).
다음으로, 도 3b 및 도 3c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을 기반으로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미지 객체 인식을 통해 출력된 프리뷰 영상에서 인물과 사물을 인식하여 해당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웹 크롤링(web crawling) 또는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활용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프리뷰 영상의 HSV(색상, 채도, 명도 등)와 LUV(조도 등)를 각각 추출하여 수집된 각각의 데이터와 상호 비교 판단함으로써, 해당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실내 사물, 실내 인물, 실외 사물, 실외 인물 등)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은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 각각의 색감을 기반으로 해당 프리뷰 영상에 대한 색감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프리뷰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M * N (예를 들어, M, N은 자연수)의 비율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개별 프리뷰 영상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추출하는 방법 등을 통해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 영상에 대한 보정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사용자로부터 보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아이콘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보정 정보를 수신하여 프리뷰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필터값이 반영된 프리뷰 영상에 대해 추가 작업을 선택할 수 있으며(도 4의 (a) 참조),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프리뷰 영상에 대한 노출 값, 채도, 명도, 선명도, 하이라이트, 대비, 쉐도우, 밝기, R, G, B, C, M, Y 값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목록이 표시되고(도 4의 (b) 참조), 상기 복수의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목록에 대한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각각의 목록에 대응하는 보정 효과가 프리뷰 영상에 실시간으로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도 4의 (c)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필터값의 저장 및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에 반영된 특정 필터값이 저장부(170)에 별도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정 필터값은 추후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특정 필터값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는 제어부(130)에 의해 추출되는 특정 필터값과,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보정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특정 필터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특정 필터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부(170)에 별도로 저장되거나 또는 삭제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실시간 프리뷰 영상에서 실내/실외 여부와 사물/인물 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값을 추천하고, 동시에 프리뷰 영상의 노출, 밝기, 채도, 선명도 등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는 추천된 프리뷰 영상의 필터값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함으로써, 사진 촬영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는 전자 기기를 통해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필터값과 사용자의 보정이 동시에 반영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편리성 및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촬영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색감 검출부 130: 제어부 140: 카메라부 150: 통신부 160: 사용자 입력부 170: 저장부

Claims (12)

  1. 전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프리뷰 영상 보정 방법으로서,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특정 필터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정 필터값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터값이 반영된 프리뷰 영상에 대한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 보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미지 객체 인식을 통해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에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 보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에 관한 시간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 각각의 색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 각각의 색감을 기반으로 소정의 농도를 가진 복수의 색상이 포함되는 색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터값이 반영된 프리뷰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보정 정보를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7. 컴퓨터에 의해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로서,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전자 기기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검출하는 색감 검출부;
    상기 색감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특정 필터값을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특정 필터값을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여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감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프리뷰 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프리뷰 영상의 배경이 실외인지 또는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미지 객체 인식을 통해 상기 프리뷰 영상에서 인물 및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이 실외로 판단된 경우, 시간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색감 검출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별 프리뷰 영상의 색감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색감을 기반으로 소정의 농도를 가진 복수의 색상이 포함된 색감을 검출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영상에 반영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의 보정 장치.
KR1020180135740A 2018-11-07 2018-11-07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52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40A KR20200052598A (ko) 2018-11-07 2018-11-07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40A KR20200052598A (ko) 2018-11-07 2018-11-07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98A true KR20200052598A (ko) 2020-05-15

Family

ID=7067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740A KR20200052598A (ko) 2018-11-07 2018-11-07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5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3065A (zh) * 2020-10-19 2021-0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及装置
KR102593156B1 (ko) * 2023-08-23 2023-10-24 이효원 사진 보정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7478802A (zh) * 2023-10-30 2024-01-30 神力视界(深圳)文化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3065A (zh) * 2020-10-19 2021-0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及装置
CN112243065B (zh) * 2020-10-19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及装置
KR102593156B1 (ko) * 2023-08-23 2023-10-24 이효원 사진 보정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27785B1 (ko) * 2023-08-23 2024-01-19 이효원 사진 보정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7478802A (zh) * 2023-10-30 2024-01-30 神力视界(深圳)文化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5932B2 (ja) デジタル画像撮影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597680B1 (ko) 맞춤형 화질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185286B2 (en) Combining effective images i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ameras
WO2018072271A1 (zh) 一种图像显示优化方法及装置
CN111654635A (zh) 拍摄参数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579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US89474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96722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CN112954210B (zh) 拍照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200052598A (ko) 프리뷰 영상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31733A1 (zh) 视频特效生成方法及终端
WO2019183775A1 (zh) 一种智能辅助控制方法和终端设备
US11996123B2 (en) Method for synthesizing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20417417A1 (en) Content Opera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7990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image editing
WO2020192692A1 (zh) 图像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
CN103810471A (zh) 识别文档图像的方法和装置及其拍摄方法
US100558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TW201344546A (zh) 相片資料夾之代表縮圖之自動選擇方法及自動選擇系統
CN106815803B (zh) 图片的处理方法及装置
US20110064319A1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ntent reproduction program
CN105338237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US10216381B2 (en) Image capture
CN109040729B (zh) 图像白平衡校正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120229503A1 (en) Reproduc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reproduc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