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847A -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847A
KR20200050847A KR1020190079522A KR20190079522A KR20200050847A KR 20200050847 A KR20200050847 A KR 20200050847A KR 1020190079522 A KR1020190079522 A KR 1020190079522A KR 20190079522 A KR20190079522 A KR 20190079522A KR 20200050847 A KR20200050847 A KR 2020005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ater
audience
movie
image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라
정성희
백현종
성인제
옥경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80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91184A1/en
Publication of KR2020005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2005/001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 A63J2005/008Smell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객들에게 그리너리 상영환경, 즉 자연 친화적인 상영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된 상영관 및 이러한 상영관 내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영관 내 고정형 좌석들 대신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을 구비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보다 개방된 공간에서 편한 자세로 영화 감상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영관 내부에 관객들에게 자연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자재들을 구비시킴으로써 관객들이 마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영화 감상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상영관 및 상영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A THEATER AND A SYSTEM THEREIN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관객들에게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된 상영관 및 이러한 상영관 내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영관 내 고정형 좌석들 대신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을 구비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보다 개방된 공간에서 편한 자세로 영화 감상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영관 내부에 관객들에게 자연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자재들을 구비시킴으로써 관객들이 마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영화 감상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상영관 및 상영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화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최근에는 영화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관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상영관 관련 기술 역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블록버스터 영화 콘텐츠는 많은 수의 관객들을 동원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각 상영관 운영주체들은 영화 콘텐츠 내의 특수효과들을 관객들에게 실감나게 전달하기 위하여 각종 장치들의 개발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최첨단의 기술력이 상영관 내에 집약되고 있는 상황은 아이러니하게도 적지 않은 관객들에게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상영관들은 오히려 영화 감상을 하면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고자 하였던 관객들의 외면을 받으면서 관객이 줄어드는 역효과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상영관들은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한 상영관 의자들을 한 공간 안에 나란히 배열하고 각각의 상영관 의자들에 좌석번호들을 부여하여 관객들이 정해진 좌석에서만 영화를 상영할 수 있게 하여 왔으며, 이에 관객들은 상영관 의자라는 제한된 공간에서만 움직일 수 있어 영화를 관람하는 데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종래의 상영관을 외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어 왔다. 나아가 종래의 상영관들은 영화 관람이라는 목적에만 충실하도록 설계되어 공간 자체가 어둡고 또한 천장, 벽면 등에 구비된 패널들 역시 어두운 색 계열로만 구성되어 있어 관객들은 상영관 방문시 항상 답답함, 폐쇄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상영관이 가지고 있던 공간적 문제점, 그리고 상영관을 보다 열린 휴식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관객들이 마치 피크닉을 즐기면서 영화 관람을 할 수 있는 듯한 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상영관을 제안하며, 또한 이러한 상영관 내 여러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영관 시스템을 제안한다.
등록실용신안 20-0486684호 (2018.06.14. 등록)
본 발명은 상영관의 바닥면에 매트형 좌석, 소파형 좌석, 막(幕)형 좌석 등과 같이 비고정형 좌석들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관객들이 종래 상영관 의자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만 영화 관람을 할 수 있었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본 발명은 관객들이 피크닉을 즐기면서 영화 관람을 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종래에 비해 개방감을 느낄 수 있는 상영관 환경,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영관의 바닥면이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관객들이 비고정형 좌석에 앉아 영화를 감상할 때에 앞 자리에 있는 다른 관객들에 의한 시야 방해를 최소화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관객들이 경사가 있는 야외 잔디밭에 앉아 영화를 관람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상영관과는 전혀 다른 환경의 상영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앞서 언급한 것에 그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하게 될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천장, 바닥면 및 벽면을 포함하되, 상영관의 전면에 구비된 메인 투사면; 상기 메인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바닥면 상에는 비고정형 좌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비고정형 좌석은 상기 바닥면 자체의 일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비고정형 좌석은 상기 바닥면 상에 구비된 매트형 좌석, 소파형 좌석, 또는 막(幕)형 좌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바닥면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비고정형 좌석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은, 상기 상영관의 천장,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서브 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은 상기 상영관의 천장,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모스패널(Moss Panel)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은 천장,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광섬유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출입문 주변에 향기를 분사하는 발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산소를 발생시켜 당해 상영관 내 산소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영관 시스템은 상영관의 전면에 구비된 메인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 및 상기 메인 프로젝터의 투사를 제어하는 상영관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영관은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상에는 비고정형 좌석이 구비되며,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투사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메인 프로젝터가 상기 메인 투사면 상에 제1자연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측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서브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투사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서브 프로젝터가 상기 측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자연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측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투사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제3자연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내부 공간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 내 산소농도를 모니터링 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천장에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자연영상, 영화, 및 광고가 투사되는 동안 상기 광섬유 조명장치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고정형 좌석들이 상영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관객들에게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객들 영화 관람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영관 내 제한적인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물을 활용한 인테리어를 구비시킴으로써 종래 폐쇄적인 공간으로만 여겨졌던 상영관 내 공간을 쾌적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격적인 영화 콘텐츠를 재생하기 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자연 환경이 담긴 영상을 상영관 내 재생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상영관 입장 후 쾌적한 환경에서 휴식을 취한 이후에 영화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영관의 실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영관의 전면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영관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상영관 내 바닥면이 기울어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객석단이 설치되어 있던 종래 상영관을 리모델링 한 상영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객석단 위로 바닥면이 형성된 상영관을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상영관 내부 모습이다.
도 8은 상영관의 바닥면 상에 구비되는 비고정형 좌석들의 배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상영관의 벽면 및 벽면에 구비된 모스 패널(Moss panel)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영관 내 구비된 발향장치 및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영관의 천장에 구비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상영관 시스템이 메인 프로젝터 또는 서브 프로젝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자연영상, 광고, 및 영화 콘텐츠를 재생하는 구간별 시간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영화 콘텐츠 시작 전 자연영상이 재생되는 시간 동안의 상영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컨셉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종래의 상영관과 달리 바닥면의 계단층 및 각 계단층에 고정 내지 설치되어 있던 의자들을 없애고 평평한 바닥면(20)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300)을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그 목적이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를 감상하게 하는 것뿐 아니라 마치 야외 피크닉 장소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듯한 감성을 느낄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상영관 내에 고정형 좌석들을 배제시킨 채 이동이 자유로운 비고정형 좌석들(300)을 배치함으로써 상영관 내부 공간을 개방적으로 변형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인테리어 및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구조를 뒤에서 전면을 항해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영관은 천장(10), 바닥면(20), 및 벽면(30)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영관의 내부 공간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투사면(100, 200) 및 프로젝터들(110, 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20)에는 비고정형 좌석들(3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천장(10), 바닥면(20), 및 벽면(30)은 상영관이라는 건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물들이며, 이들 구조물들에는 상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장치들, 그리고 쾌적한 상영환경 구현을 위해 필요한 인테리어 또는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10)에는 관객들이 휴식을 취할 때에 내부 공간을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800)가 구비될 수 있고, 바닥면(20)에는 잔디(바람직하게는 인조잔디)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벽면(30)에는 선태식물(이끼)이 깔린 모스 패널(400)(Moss panel)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영관 내 바닥면(20)이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종래 상영관에서의 관객석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여러 개의 층들이 계단으로 적층되어 경사를 이루고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에서는 계단형이 아닌 슬로프 형으로 바닥면(20)을 형성시킴으로써 관객들이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은 상영관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이에 따르면 바닥면(20)은 일정한 각도의 경사를 이루되, 바닥면(20)의 높이는 상영관의 전면(h1)보다 상영관의 후면(h2)이 더 높게 함으로써 상영관 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경사가 내려가는 구조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경사를 가지는 바닥면(20)은 뒤쪽에 자리를 잡은 관객들이 앞쪽 관객들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며, 위 바닥면(20)의 기울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4도 내지 5도로 함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4.2도로 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리너리 상영관은 기존 고정형 좌석들(상영관 의자들)이 설치되어 있던 객석단이 존재하는 공간 내에도 구현될 수 있는데, 가령 기존 상영관을 새롭게 그리너리 상영관으로 리모델링 하고자 하는 경우 등이 이러한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 는 종래의 상영공간 내에 계단형의 객석단이 존재할 때에 이를 철거하지 않고 객석단 위로 경사진 바닥면(20)을 형성시킴으로써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과거 고정형의 좌석들이 설치되어 있었던 상영공간들은 일반적으로 단차를 두기 위해 계단형의 객석단을 두었고, 객석단의 각 층에 고정형 좌석들을 설치하여 왔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미 기 건축되어 있는 상영공간들을 활용하게 될 필요도 있는데, 도 4는 이와 같이 기 건축되어 있는 상영공간, 즉 상영관을 개조하여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20)이 상기 객석단 상부 면적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20) 상에는 비고정형 좌석들(300, 310)이 배치될 수 있다. 객석단의 상부 면적을 덮도록 바닥면을 설치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방식의 시공법이 활용될 수 있겠으나, 예시적으로는 계단형의 객석단 각 층에 부재들을 배치함으로써 바닥면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를 가지는 객석단에는 판형 부재를 복수개의 층에 걸쳐 놓음으로써 하나의 바닥면(20)을 형성(방식1)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객석단의 각 층마다 직육면체 형상의 버팀용 부재 또는 직각 삼각형 형상의 경사 부재를 설치한 후 이 부재들 위에 판형 부재를 깔도록 함으로써(방식2)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방식1과 관련하여, 하나의 판형 부재는 별도의 버팀용 부재들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층에 걸치도록 놓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객석단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판형 부재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바닥면(20)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방식2와 관련하여, 객석단의 각 층에는 버팀용 부재들 또는 경사 부재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고, 그 위에 판형 부재를 덮음으로써 바닥면(20)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방식2에서처럼 객석단의 각 층에 버팀용 부재들 또는 경사 부재들을 설치한 뒤 판형 부재를 덮는 경우, 설계자로서는 바닥면(20) 중 일부 영역을 평평한 영역으로, 일부 영역을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도 4에는 바닥면의 기울기에 따라 A영역, B영역이 나뉘어 도시되어 있는데, A영역은 바닥면의 기울기가 수평면 대비 α의 각도를 가지며 B영역은 수평면 대비 β의 각도를 가지는 영역이고, 이 때 α는 β에 비해 더 작은 값이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A영역은 객석단의 기울기와 무관한 기울기를 가지는 반면, B영역은 객석단의 기울기(객석단 각 step의 모서리를 연결한 직선으로 정의됨)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객석단 상부에는 바닥면(20)이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영역들은 수평면 대비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 상에는 관객들의 안전을 위한, 또는 A영역 및 B영역 사이를 나누기 위한 펜스(3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언급한 방식1 또는 방식2는 계단식의 객석단 상에 비고정형 좌석들을 배치하기 위한 바닥면(20)을 형성시키는 방식의 일 예시들에 불과한 것이며, 이 외에도 바닥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앞선 도 4의 실시예와는 또 다른 형태의 바닥면 형성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미 상영공간 내에 계단형의 객석단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실시예이며, 다만 도 4와 달리 수평면 대비 작은 값의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들, 예를 들어 수평면 대비 3도 내지 6도, 더 바람직하게는 4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들이 복수 개 존재하고, 이 영역들을 연결하는 단차(390; 스텝)들로 구비되며, 각 영역들마다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도 5에서 펜스(340)에 의해 구별되어 있는 A영역과 B영역은, 바닥면 중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치된 영역이 모두 4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도 4에 대한 설명에서는 바닥면 상에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두 개의 영역들이 형성되되, 각 영역들이 단차(step)에 의해 구분되는 실시예를 설명한 바 있는데, 도 5에서의 바닥면 역시 도 4와 유사하게 복수 개의 영역들이 단차(step) - 이 때 단차의 기울기는 상기 바닥면과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며, 각 단차 상이에는 서로 상이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음 - 에 의해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객석단 상부에 형성된 바닥면들은 수평면과의 기울기가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각 영역들의 수평면과의 기울기는 영역 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한편, 도 4와 도 5를 참고할 때, 각 바닥면 영역들을 나누는 단차(step) 부분에는 펜스(340)들이 설치되어 단차 사이를 이동하는 관객들이 잡고 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어린이 관객들의 넘어짐을 예방하는 등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대한 설명에서는 자세하게 언급하지 않았으나 일응 객석단을 기초로 형성된 바닥면 위로는 쿠션감을 내는 쿠션부재(바람직하게는 잔디가 깔려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쿠션감 및 색깔로 이루어진 인조잔디)가 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영공간의 측벽면에는 식물 자체, 또는 식물이 충진되거나 부착된 패널이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6은 앞서 도 5에서와 같은 바닥면이 형성된 상영공간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도 6에 도시된 바닥면에는 계단식 통로(도면에서는 “계단”으로 표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계단식 통로는 설치된 바닥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이르기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바닥면 상의 계단식 통로는, 바닥면 상의 일부 영역, 다시 말해 기울어진 바닥면 (B영역)들과 단차 (step)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일부 영역들이 계단식 통로로 기능하도록 정의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바닥면 상에 별도의 계단식 구조물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단식 통로는 여타의 바닥면과 마찬가지로 쿠션부재가 시공될 수 있으며, 그 색깔 역시 잔디와 유사한 녹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너리 상영관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앞서 살펴 본 실시예들과 달리 기울기가 0도 내지 5도 미만의 바닥면으로 구성되고, 벽면은 목재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닥면의 기울기가 최소화 되는 경우, 비고정형 좌석에 앉는 관객들은 기울기가 더 가파른 바닥면에 비하여 더 안정성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바닥면의 경우 시공을 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없어 어느 공간에서나 쉽게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구현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벽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목재편(片)을 여러 조각 배열하여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목재편의 뒷편에는 초록색의 식물, 또는 식물이 식재된 패널들을 배치함으로써 목재와 식물의 조화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듯 평면에 가까운 바닥면 상에도 복수개의 비고정형 좌석들이 배열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린에 가까운 전방에는 빈백 타입의 비고정형 좌석이, 그리고 스크린과 먼 쪽 후방에는 막형 좌석이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천장(10), 바닥면(20), 및 벽면(30)은 후술하게 될 인테리어 및 장치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시 언급될 것이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에는 기본적으로 영화 상영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투사면(100, 200) 및 프로젝터(110, 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영관의 전면에는 메인 투사면(1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메인 투사면(100)은 흰색의 불투명 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매트 스크린(matte screen), 곡면을 가지는 렌티큘러 스크린(lenticular screen), 표면의 작은 구슬이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 비드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실버 스크린, 하이 게인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에는 전면의 메인 투사면(100) 외에 내부 측벽면(30), 천장(10), 또는 바닥면(20)에 형성되는 서브 투사면들(200a, b)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서브 투사면들(200a, b)이 각각 메인 투사면(100)과 직각을 이루고 있는 좌측 벽면, 우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위 서브 투사면들은 반드시 메인 투사면(100)과 동일한 재질의 투사면일 필요는 없으며 메인 투사면(10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투사면들은 반드시 메인 투사면(100)과 같이 스크린의 형태를 갖춘 것이 아닌 상영관 내부의 벽면(30)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투사면(100)이 흰색의 불투명한 천으로 이루어진 매트 스크린일 경우, 서브 투사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좌측 벽면(30), 또는 우측 벽면(30) 자체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서브 투사면은 콘크리트 벽면(30) 상에 형성된 인테리어 패널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천장(10) 또는 바닥면(20)에 형성되는 서브 투사면들 역시 해당 구조물 자체가 투사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영관 내에는 상기 투사면들(메인 투사면(100), 서브 투사면(200))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들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메인 투사면(100) 상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를 메인 프로젝터(110), 서브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를 서브 프로젝터(210)라 칭하기로 한다. 메인 프로젝터(110)가 구비되는 위치는 당해 메인 프로젝터(110)가 메인 투사면(100) 상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한 그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며, 예를 들어 상영관의 천장(10)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상영관 뒷편에 마련된 영사실의 바닥면(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서브 프로젝터(210)가 구비되는 위치 역시 각 서브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한 그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는 서브 투사면A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서브 프로젝터A(210a)가 상영관의 우측 천장(10)에, 그리고 서브 투사면B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서브 프로젝터B(210b)가 좌측 천장(10)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 바닥면(20)의 일부 또는 천장(10)의 일부를 서브 투사면으로 활용하는 경우 서브 프로젝터는 각각 천장(10) 또는 바닥면(20)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투사면을 향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영관 내에는 투사면 외에 자체적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영관의 천장(10), 벽면(30), 또는 바닥면(20) 중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당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메인 프로젝터(110)에서 투사하는 영상과 연계된 영상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바닥면(20)에 비고정형 좌석들(300)을 구비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좌석'이란 사전적 의미로 앉을 수 있게 마련된 자리를 의미하며,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비고정형 좌석이란 종래의 상영관에서 고정형으로 설치되었던 상영관용 의자에 대비되는 용어로, 상영관 바닥면(20) 상에 고정이 되지 않은 채 구비될 수 있는 좌석을 의미한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본 발명은 관객들이 야외의 넓은 잔디밭 또는 마당에서 피크닉을 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상영관이라는 공간 내에서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닥면(20) 상에 관객들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좌석을 마련함으로써 위와 같은 효과를 꾀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비고정형 좌석의 종류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바닥면(20) 그 자체 중 일부의 영역(타입1), 매트형 좌석(타입2), 소파형 좌석(타입3), 또는 막(幕)형 좌석(타입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는 매트형 좌석이 도면부호 300a로, 소파형 좌석이 도면부호 300b로 표시되어 있다.
타입1의 좌석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임의로 구획된 바닥면(20) 자체를 좌석으로 지정하여 관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영관의 바닥면(20)은 관객들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조잔디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바닥면(20) 상에 임의로 영역을 구획하여 관객들에게 좌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영역을 구획한다는 것의 의미는 바닥면(20) 상에 선(line)을 표시하여 다른 타입들과의 좌석 영역을 구분한다는 것일 수 있으며, 나아가 타입1의 좌석영역 내에서도 선으로 세부영역을 나눔으로써 각 관객들에게 지정된 영역을 알릴 수 있도록 영역을 구분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타입1의 좌석 상에서 관객들은 개인이 직접 준비한 깔개(돗자리)를 펼쳐 놓은 채 자리에 앉아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으며, 또는 깔개 없이 인조잔디 상에 그대로 자리를 잡은 채 콘텐츠를 관람할 수도 있다.
타입2 내지 타입4의 비고정형 좌석들과 관련하여, 각각의 비고정형 좌석은 상영관의 바닥면(20) 상에 그대로 놓임으로써 개개의 좌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매트형 좌석, 소파형 좌석, 막형 좌석은 각각이 하나의 완성품이며 그 자체로 바닥면(20) 상에 놓일 수 있는 물건으로 취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바닥면(20)에 고정시키거나 설치하는 방식의 것이 아닌 비고정형 좌석들을 바닥면(20) 상에 배치함으로써 관객들에게 보다 넓고 쾌적한 상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타입2 내지 타입4의 비고정형 좌석들의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타입2의 매트형 좌석은 1인 또는 2인이 눕거나 앉을 수 있는 매트리스로, 타입3의 소파형 좌석은 빈백(bean bag)으로, 타입4의 막(幕)형 좌석은 카바나(cabana)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비고정형 좌석들은 상영관 내 서로 다른 영역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는데 도 8은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메인 투사면(100)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부터 A영역, B영역, C영역이 나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는 타입2의 매트형 좌석, 타입3의 소파형 좌석, 타입4의 막형 좌석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에는 복수의 비고정형 좌석들(30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20), 바닥면(20)에 구비되는 비고정형 좌석들 외에 관객들이 피크닉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수단들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각 수단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도 9는 상영관 내 벽면(30)에 모스 패널(400)(Moss panel)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모스 패널(400)이란 이끼를 비롯한 선태식물이 내부에 채워진 패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스 패널(400)은 그 자체가 자연식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영관의 벽면(30)에 이를 구비시키는 경우 관객들에게 자연감성을 제공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모스 패널(400)은 복수개가 상영관 벽면(30)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상영관 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대형 패널 표면에 이끼 등의 선태식물을 채움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모스 패널(400)은 비단 관객들에게 자연감성을 제공하는 것 외에 공기정화, 먼지분해, 습도조절 등 식물이 가지고 있는 생태적 기능에 따른 효과도 제공할 있으며, 나아가 흡음, 단열 등 내부 충진재(여기서는 선태식물이 충진재에 해당)를 포함한 패널이 가지는 기재로서의 기능에 따른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상영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발향장치(600) 및 산소발생장치(700)들을 도시한 것이다. 발향장치(600)는 상영관 내부 공간에 향기를 분사 및 확산시키는 구성으로, 위 발향장치(6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분사구가 상영관 출입문(500)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향장치(600)는 상영관 출입문(500)을 향해 향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영관을 입장하는 관객이 감지될 때마다, 또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향기를 분사함으로써 입장 관객들이 상영관 초입에서부터 자연감성을 체감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향장치(600)는 출입문(500)을 들어오는 입장객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향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내부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발향장치(600)는 상영관 내 솔잎 향기, 피톤치드 향기 등을 제공함으로써 관객들이 느끼게 되는 피크닉 효과를 배가시키게 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할 때, 상영관 내부에는 복수의 산소발생장치(700)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산소발생장치(700)는 상영관 내부의 산소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의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소발생장치(700)가 자체적으로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수단을 갖추어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산소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하게 될 상영관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산소발생량을 조절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산소발생장치(700)가 관객들이 상영관에 입장한 시점부터 깨끗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줌으로써 관객들이 영화를 보면서 피로회복 및 기분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1은 상영관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800)의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상영관 내 조명시설은 상영관 내에서 이동하는 관객들의 시야를 밝히기 위한 용도의 것들이었다면, 본 발명의 상영관 내 구비되는 조명장치(800)들은 내부 공간의 조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관객들에게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가상의 자연환경을 연출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조명장치(800)는 상영관의 천장(10) 또는 벽면(30)에 설치된 광섬유 조명장치(8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1(a)는 천장(10)에 설치된 광섬유 조명장치(800)가 발광하는 모습을, 도 11(b)는 벽면(30)에 설치된 광섬유 조명장치가 발광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광섬유 조명장치(800)로 하여금 밤하늘의 별빛과 유사한 패턴으로 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관객들이 야외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구조와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한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상영관 내에는 메인 프로젝터(110), 서브 프로젝터(210) 등 영상 재생을 위한 프로젝터, 관객들에게 자연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발향장치(600), 산소발생장치(700), 조명장치(800) 등의 다양한 수단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들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영관 제어장치(1000)라는 중앙 장치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영관 제어장치(1000)는 연산이 가능한 중앙처리유닛 및 각종 명령어들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 일종의 컴퓨팅 장치이며, 해당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기 상영관 내 구비된 여러 장치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영관 제어장치가 상영관 내 각 장치들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영관 제어장치(1000)가 메인 프로젝터(110) 또는 서브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메인 프로젝터(110)와 서브 프로젝터는 모두 상영관 내 투사면을 향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구성들인데,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기 프로젝터들을 제어하여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투사하게 될 영상들을 당해 상영관 제어장치 내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시작되기 이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자연영상, 즉 자연물을 촬영한 영상을 메인 프로젝터(110) 또는 서브 프로젝터(210)를 통해 투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상영관 제어장치가 메인 프로젝터(110) 또는 서브 프로젝터(210)를 제어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각 시간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자연영상이 재생될 때의 상영관 내부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제어장치는 본 영화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에 앞서 자연영상을 재생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영화 콘텐츠의 시작이 6시 10분이라고 가정할 때에 종래 상영관에서는 일반적으로 5시 55분부터 15분간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후 영화 콘텐츠를 재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제어장치는 광고 콘텐츠의 시작 시각인 5시 55분보다 30분 빠른 5시 25분부터 자연영상을 재생한 후 5시 55분부터 광고 콘텐츠, 그리고 6시 10분부터 영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 콘텐츠의 시작 시각보다 미리 입장한 관객들에게 자연물을 촬영한 자연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관객들이 본격적인 영화 관람을 하기 전 가상의 자연 내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4 (a)는 5시 25분부터 30분동안의 상영관 내부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이에 따르면 상영관 제어장치는 메인 프로젝터(110) 및 서브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자연영상을 각각의 프로젝터들에 대응되는 투사면에 투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로젝터(110) 및 서브 프로젝터(210)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들은 각각 서로 상이한 독립적인 영상일 수도 있고, 또는 위 영상들은 각각 서로 다른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되는 것이긴 하나 원 영상이 하나의 파노라믹 영상인 것으로서 각각의 투사될 영상 영역이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14(b)는 서브 프로젝터(210)만을 사용하여 상영관의 벽면(30) 및 바닥면(20)에 자연영상을 투사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상영관 제어장치는 메인 프로젝터(110) 또는 서브 프로젝터들(210)을 제어하여 영화 콘텐츠가 시작하기 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자연영상을 투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자연영상을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앞선 설명에서 상영관 내에는 서브 투사면들 외에 자체적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는데,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 자연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영관 제어장치는 프로젝터 외에 상영관 내 구비된 발향장치(600), 산소발생장치(700), 조명장치(800)들도 제어할 수 있다.
발향장치(600)는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주기가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상영관 제어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움직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기초로 상기 발향장치(6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상영관 제어장치는 관객이 입장할 때마다 풀향기, 꽃향기 등의 자연향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관객이 입장과 동시에 자연감성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 내에 설치된 복수의 산소발생장치(700)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특히 상영관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산소발생장치(700)의 산소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산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상기 산소발생장치(700)의 내부가 구비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산소발생장치(700)와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 내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하여 현재 상영관 내 산소 농도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산소 농도를 수치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관객들이 가시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또는 이미지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관객들이 자신이 머물고 있는 상영관의 환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의 천장(10), 벽면(30), 또는 바닥면(20)에 설치된 조명장치(800)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장치(800)들은 바람직하게는 광섬유 조명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영관 제어장치는 자연영상 재생 중, 광고 재생 중, 그리고 영화 재생 중 광섬유 조명장치(800)들의 조도를 제어하여 관객들에게 다양한 상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 내에서 자연영상이 재생되는 시간 동안 조명장치(800)들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 때 상영관 제어장치는 현재 자연영상이 투사되고 있는 서브 투사면에 설치된 조명장치(800)를 특정 패턴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자연영상과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장면을 연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상영관 및 상영관 시스템 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천장 20 바닥면 30 벽면
100 메인 투사면 200a,b 서브 투사면
110 메인 프로젝터 210a,b 서브 프로젝터
300a,b 비고정형 좌석
400 모스 패널
500 출입구
600 발향장치 700 산소발생장치 800 조명장치

Claims (15)

  1. 천장, 바닥면 및 벽면을 포함하는 상영관에 있어서,
    상영관의 전면에 구비된 메인 투사면;
    상기 메인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바닥면 상에는 비고정형 좌석이 구비되는,
    상영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정형 좌석은,
    상기 바닥면 자체의 일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정형 좌석은,
    상기 바닥면 상에 구비된 매트형 좌석, 소파형 좌석, 또는 막(幕)형 좌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영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비고정형 좌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의 천장,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서브 프로젝터;
    를 더 포함하는,
    상영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의 천장,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상영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모스패널(Moss Panel)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의 천장, 벽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광섬유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상영관.
  9.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상영관의 출입문 주변에 향기를 분사하는 발향장치;를 더 포함하는,
    상영관.
  10. 제1항에 있어서,
    산소를 발생시켜 당해 상영관 내 산소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상영관.
  11. 상영관 시스템으로서,
    상영관의 전면에 구비된 메인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프로젝터; 및
    상기 메인 프로젝터의 투사를 제어하는 상영관 제어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상영관은 기울기를 가지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상에는 비고정형 좌석이 구비되며,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투사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메인 프로젝터가 상기 메인 투사면 상에 제1자연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측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서브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투사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서브 프로젝터가 상기 측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자연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측벽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영화가 투사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제3자연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당해 상영관의 내부 공간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상영관 내 산소농도를 모니터링 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산소발생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은, 천장에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영관 제어장치는, 자연영상, 영화, 및 광고가 투사되는 동안 상기 광섬유 조명장치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시스템.
KR1020190079522A 2018-11-02 2019-07-02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KR20200050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8080 WO2020091184A1 (en) 2018-11-02 2019-07-02 Theater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797 2018-11-02
KR20180133797 2018-11-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457A Division KR20210032362A (ko) 2018-11-02 2021-03-17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847A true KR20200050847A (ko) 2020-05-12

Family

ID=706793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22A KR20200050847A (ko) 2018-11-02 2019-07-02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KR1020210034457A KR20210032362A (ko) 2018-11-02 2021-03-17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457A KR20210032362A (ko) 2018-11-02 2021-03-17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508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4Y1 (ko) 2017-11-03 2018-06-20 (주)카스피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영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4Y1 (ko) 2017-11-03 2018-06-20 (주)카스피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영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362A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1833B2 (en) Entertainment venue and associated systems/methods
US10398990B2 (en) Rotating performance stage
KR20110139614A (ko) 특수 효과 설비를 포함하는 영상물 상영 시설
US5765314A (en) Sensory interactive multi media entertainment theater
JPH0868220A (ja) ドームシアター
KR20110139613A (ko) 영상물 상영 시설용 모션 의자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영상물 상영 방법
US20070188712A1 (en) Simulation of attendance at a live event
US9959082B2 (en) Environ system
JP3182729U (ja) ワンストップ多次元体験をもたらす科学技術シネマシティ
JP2012083388A (ja) 建築物の模型
US11859378B2 (en) Portable motion picture theater
KR101220597B1 (ko) 게임 기능을 구비한 영상물 상영 시설
Boyle Central and Flexible Staging: a new theater in the making
KR20200050847A (ko)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CN201187161Y (zh) 仰视影厅
US20180295354A1 (en) 4d platform for home use and 4d system for home use
KR20200060215A (ko)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구조
Park et al. The making of Kyongju VR theatre
JPWO2006006642A1 (ja) 映像演出システム及び映像演出方法
WO2020091184A1 (en) Theater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and system therefor
Park et al. Gyeongju VR theater: a journey into the breath of Sorabol
Weinstein Stage and Audience: Constructing relations and opportunities
WO2020105830A1 (en) Theater for providing greenery screening environment
JP2009104835A (ja) 演出装置およびその演出方法
Park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yongju VR theat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