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460A - 열 경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 경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460A
KR20200050460A KR1020207007918A KR20207007918A KR20200050460A KR 20200050460 A KR20200050460 A KR 20200050460A KR 1020207007918 A KR1020207007918 A KR 1020207007918A KR 20207007918 A KR20207007918 A KR 20207007918A KR 20200050460 A KR20200050460 A KR 2020005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composition
acid
epoxy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지 펠라카니
후이펭 퀴안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5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8/225 - C08G18/2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03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epoxy compounds having no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41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oxyeth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28Isocyanates; Thio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08G59/72Complexes of boron 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열 경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 경화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 에폭시 물질 및 루이스산-아민 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열 경화 조성물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드 기 비를 갖는다.

Description

열 경화 조성물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열 경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형태는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에폭시 물질 및 루이스산-아민 착물을 포함하는 열 경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열 경화 조성물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드 기 비를 갖는다.
경화된 물질은 특히 복합재 응용을 비롯한 다수의 응용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복합재 응용의 예는 장섬유 사출성형(long fiber injection: LFI), 수지 이송 성형(resin transfer molding: RTM), 인발,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및 주입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수의 응용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롭고 개선된 경화성 물질 및/또는 방법의 개발에 대해서 산업에서 계속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에폭시 물질(여기서 열 경화 조성물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가짐); 및 루이스산-아민 착물을 포함하는 열 경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요약은 각각의 개시된 실시형태 또는 본 개시내용의 모든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이하의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다 특정하게 예시한다. 응용 전반에 걸쳐 여러 곳에서, 실시예가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 목록을 통해 지침이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에, 언급된 열거된 목록은 대표적인 그룹으로만 역할을 하고, 배제적인 목록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열 경화 조성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열 경화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에폭시 물질 및 루이스산-아민 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열 경화 조성물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갖는다. 놀랍게도, 열 경화 조성물에서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은, 상이한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갖는 다른 조성물과 비교할 때, 이롭게 감소된 점도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 경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열 경화 조성물은 열 경화성이다. 즉, 열 경화 조성물은 비교적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는 경화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응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고, 이어서, 비교적으로 더 높은 온도에서 경화, 예를 들어, 반응할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열 경화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성물은 열을 사용한 경화가 바람직할 때 추후 사용을 위해서 이롭게 저장될 수 있다. 즉, 열 경화 조성물은 실온에서 안정적이다.
열 경화 조성물은 연장된 가용 시간(pot life)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장된 가용 시간"은 4시간 이상의 가용 시간을 지칭한다. 이러한 연장된 가용 시간은, 열 경화 조성물이 작업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비교적 더 짧은 가용 시간을 갖는 일부 다른 조성물보다 더 긴 시간 기간 동안, 표면에 도포될 수 있게 되는 것을 이롭게 도울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경화되어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경화된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생성물은 본 명세서에 추가로 논의된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 경화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성분을 지칭한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에 더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니트(neat)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니트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이 아닌 이소시아네이트를 지칭한다.
다양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고/있거나 니트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고/있거나 본 명세서에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은 니트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평균 1.0 초과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분자, 예를 들어 평균 1.0 초과의 평균 작용기를 갖는 분자를 지칭한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특히 톨루엔 2,4-/2,6-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다량체 MDI, 트리이소시아네이토노난(TIN), 나프틸 디이소시아네이트(NDI),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IPDI)),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2-메틸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HDI),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4,4'-디이소시아네이토-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토-2,2-디시클로헥실프로판, 3-이소시아네이토메틸-1-메틸-1-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MCI), 1,3-디이소옥틸시아네이토 -4 -메틸시클로헥산, 1,3 -디이소시아네이토-2-메틸시클로헥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 언급된 이소시아네이트뿐만 아니라, 우레트디온, 이소시아누레이트, 카르보디이미드, 우레토이민, 알로파네이트 또는 뷰렛 구조 및 이들의 조합물을 비롯한 부분적으로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다량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의 기술에서 "다량체"는 더 높은 분자량의 유사체 및/또는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다량체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더 높은 분자량의 유사체 및/또는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는 1.0 초과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분자의 평균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는 1.5 내지 8.0의 평균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1.5 내지 8.0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는 1.5, 1.7, 2.0, 2.3, 2.5, 2.7 또는 3.0의 하한 내지 8.0, 7.5, 7.0, 6.7, 6.5, 6.3, 6.0, 5.7 또는 5.5의 상한의 평균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80 g/eq 내지 500 g/eq의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을 가질 수 있다. 80 내지 500 g/eq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는 80, 82, 84, 90 또는 100의 하한 내지 500, 450, 400, 375 또는 350 g/eq의 상한의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을 가질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의 형성 및 이의 열분해와 함께 상응하는 폴리아민의 포스젠화에 의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로겐 클로라이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예컨대 상응하는 폴리아민을 우레아 및 알코올과 반응시켜 폴리카르바메이트를 얻고, 이의 열분해에 의해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알코올을 얻는 포스젠-프리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상업적인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다른 상업적인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상표명 VORANATE™, 예컨대 VORANATE™ M2940(다량체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PAPITM 하에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성 조성물의 5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0.5 내지 15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 조성물의 50; 60 또는 70 wt%의 하한 내지 95; 93; 또는 90 wt%의 상한일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 경화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은 예비중합체,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로 지칭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은,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 생성되는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NCO) 기 중 하나가 디올의 OH 기 중 하나와 반응하고; 디올의 나머지 단부가 또 다른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생성된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이 양 단부에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갖는 것을 규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화되기 때문에, 그것은 이소시아네이트 처럼 반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할 때,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은 더 높은 분자량, 더 높은 점도, 더 낮은 중량 기준 이소시아네이트 함량(NCO %) 및 더 낮은 증기압을 갖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응용에 이로울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의 형성 시에,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은 1.1 : 1.0 초과; 1.5 : 1.0 초과 또는 2.0 : 1.0 초과의 당량비로 반응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다른 공지된 조건 및/또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올"은 1개 분자당 평균 1.0개 초과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분자를 지칭한다. 다양한 폴리올을 사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물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예를 들어,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올을 비롯한 8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다가 알코올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비롯한,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기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성질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있다. 디카르복실산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리 디카르복실산은 상응하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어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의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 대체될 수 있다. 몇몇 특정 예는, 예를 들어 20 내지 35:35 내지 50:20 내지 32 중량부의 비율의 석신산, 글루타르산 및 아디프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혼합물, 및 아디프산 및 프탈산 및/또는 프탈산 무수물 및 아디프산의 혼합물, 프탈산 또는 프탈산 무수물의 혼합물, 이소프탈산 및 아디프산, 또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및 아디프산의 디카르복실산 혼합물 및 테레프탈산 및 아디프산의 혼합물 또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및 아디프산의 디카르복실산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2가 및 다가 알코올의 예로는 특히, 에탄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1,2- 및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이 있다. 몇몇 특정 예는 에탄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또는 상기 디올 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 특히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및 1,6-헥산디올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더욱이, ε-카프로락톤과 같은 락톤 또는 ω-히드록시카프로산 및 히드로벤조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촉매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에스테르화 촉매의 존재 하에, 불활성 기체 분위기, 예를 들어 질소, 일산화탄소, 헬륨, 아르곤 내에서, 약 150℃ 내지 약 250℃의 용융 온도에서, 주위 압력 또는 감압 하에, 목적하는 산가에 도달할 때까지, 유기, 예를 들어 지방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및 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의 혼합물,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다가알코올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규정하며, 상기 목적하는 산가는 10 미만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에스테르화 혼합물이 주위 압력 하에 상기 언급된 온도에서 중축합되고, 후속해서, 80 내지 30, 예를 들어 40 내지 30의 산가에 도달할 때까지 500 밀리바 미만, 예를 들어 50 내지 150 mbar의 압력 하에 중축합됨을 규정한다. 적합한 에스테르화 촉매의 예로는, 금속, 금속 옥시드 또는 금속염 형태의 철, 카드뮴, 코발트, 납, 아연, 안티몬, 마그네슘, 티타늄 및 주석 촉매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축합은 또한, 예를 들어 공비 증류에 의한 응축수의 제거를 위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또는 클로로벤젠과 같은 희석제 및/또는 첨가물(entrainer)의 존재 하에 액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유기 폴리카르복실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다가 알코올과 1:1 내지 1:1.8의 몰비, 예를 들어 1:1.05 내지 1:1.2의 몰비로 중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제조의 경우에, 음이온성 중합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촉매로서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소듐 히드록시드 또는 포타슘 히드록시드,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예컨대 소듐 메톡시드, 소듐 에톡시드, 포타슘 에톡시드 또는 포타슘 이소프로폭시드가, 결합된 형태 내에 2 내지 8개의 반응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시제 분자를 첨가하면서, 또는 알킬렌 모이어티 내에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로부터 루이스산, 그중에서도 예컨대 안티몬 펜타클로라이드, 보론 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 또는 촉매로서 표백토를 사용한 양이온성 중합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알킬렌 옥시드의 예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1,3-프로필렌 옥시드, 1,2- 및 2,3-부틸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및 1,2-프로필렌 옥시드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렌 옥시드는 개별적으로, 대안적으로 하나씩,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개시제 분자의 예로는, 물, 유기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석신산, 아디프산,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및 여러 가지 아민,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알킬 모이어티 내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및 방향족, 비치환된 또는 N-모노-, N,N- 및 N,N'-디알킬-치환된 디아민, 예컨대 비치환된 또는 모노- 또는 디알킬-치환된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1,3-프로필렌-디아민, 1,3- 및 1,4-부틸렌 디아민, 1,2-, 1,3-, 1,4-, 1,5- 및 1,6-헥사메틸렌디아민, 아닐린, 사이클로헥산디아민, 페닐렌디아민, 2,3-, 2,4-, 3,4- 및 2,6-톨릴렌디아민 및 4,4'-, 2,4'- 및 2,2'-디아미노디페닐메탄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적합한 개시제 분자로는, 알칸올아민,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 N- 메틸- 및 N-에틸에탄올아민, 디알칸올아민, 예를 들어 디에탄올아민, N-메틸- 및 N-에틸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알칸올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및 암모니아, 및 다가 알코올, 특히 이가 및/또는 삼가 알코올, 예컨대 에탄디올, 1,2- 및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및 수크로스, 다가 페놀, 예를 들어 4,4'-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및 4,4'-디히드록시-2,2-디페닐 프로판, 레졸, 예를 들어 페놀과 포름알데하이드의 축합의 올리고머 생성물, 및 페놀, 포름알데하이드 및 디알칸올아민의 매닉 축합물, 및 멜라민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폴리올이, 적어도 하나의 알킬렌 옥시드, 예를 들어 에틸렌 옥시드 또는 1,2-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1,2-프로필렌 옥시드 및 에틸렌 옥시드를, 적어도 2개의 반응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아미노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화합물 상에 개시제 분자로서 음이온성 중첨가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음을 규정한다. 개시제 분자의 예로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헤미 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바람직하게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또는 적어도 2개의 폴리카르복실산들의 혼합물,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살리실산, p- 및 m-히드록시벤조산 및 갈산, 아미노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안트라닐산, m- 및 p-아미노벤조산, 폴리페놀, 예를 들어 레조르시놀이 있고,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및 디히드록시-2,2-디페닐프로판, 페놀, 포름알데하이드 및 디알칸올아민, 바람직하게는 디에탄올아민의 매닉 축합물, 및 방향족 폴리아민, 예를 들어 1,2-, 1,3- 및 1,4-페닐렌디아민, 예를 들어, 2,3-, 2,4-, 3,4- 및 2,6-톨릴렌디아민, 4,4'-, 2,4'- 및 2,2'-디아미노-디페닐메탄, 폴리페닐-폴리메틸렌-폴리아민, 예를 들어 아닐린과 포름알데하이드의 축합에 의해 형성된 대로의 디아미노-디페닐메탄과 폴리페닐-폴리메틸렌-폴리아민의 혼합물, 및 적어도 2개의 폴리아민의 혼합물이 있다.
히드록실-함유 폴리아세탈의 예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4,4'-디히드록시에톡시디페닐디메틸메탄, 헥산디올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이 있다. 적합한 폴리아세탈은 또한, 환식 아세탈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히드록실-함유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예는, 예를 들어 1,3- 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디올을 디아릴 카르보네이트,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스겐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올의 예는 다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올 중에서, 상표명 VORANOL™, 예컨대 VORANOL™ 8000LM, VORANOL™ 230-238, VORANOL™ 4000LM, VORANOL™ 1010L, 및 VORANOL™ 230-660; TERCAROLTM; 및 VORATEC™; 뿐만 아니라 폴리글리콜 P2000 및 폴리글리콜 P425 하의 폴리올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 모두는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은 200 g/mol 내지 15,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은 200; 250; 300; 350; 또는 400 g/mol의 하한 내지 15,000; 12,500; 10,000; 또는 9,000 g/mol의 상한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올은 1 초과의 명목상 히드록실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폴리올은 1.5; 1.6; 1.7; 2.0; 2.2; 2.5; 또는 3.0 g/mol의 하한 내지 8.0; 7.0; 6.0; 5.7; 5.5; 5.3; 또는 5.0의 상한의 명목상 히드록실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은 8.0% 내지 50.0%의 %NCO를 가질 수 있다. 8.0% 내지 50.0%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은 8.0, 8.5, 9.0, 9.5, 10.0 또는 11.0%의 하한 내지 50.0, 45.0, 40.0, 35.0, 33.0 또는 30.0%의 상한의 %NCO를 가질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의 %NCO는 미반응 NCO의 질량과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의 총 질량의 몫x100%, 즉, %NCO = ((미반응 NCO의 질량)/(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의 총 질량)) x 100%로 결정될 수 있다. %NCO는 ASTM D5155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열 경화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고, 에폭시 수지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에폭시 물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폭시 물질"은 1개 분자당 평균 1.0개 이상의 에폭시(옥시란) 기, 예를 들어, 1.0 이상의 평균 작용기를 갖는 물질을 지칭한다. 에폭시 물질은 방향족 에폭시 물질, 지환족 에폭시 물질, 지방족 에폭시 물질, 헤테로시클릭 에폭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유용한 에폭시 물질의 예시적인 예는 문헌[The Handbook of Epoxy Resins by H. Lee and K. Neville, published in 1967 by McGraw-Hill, New York]에 기재되어 있다.
방향족 에폭시 물질의 예는 디비닐아렌 디옥시드, 폴리페놀의 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 예컨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4,4'-디히드록시바이페닐, 페놀 노볼락, 크레졸 노볼락, 트리스페놀 (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2,2-테트라(4-히드록시페닐)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및 1,6-디히드록시나프탈렌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지환족 에폭시 물질의 예는 적어도 하나의 지환족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산화제를 사용하여 시클로헥센 고리 또는 시클로펜텐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에폭시드화시킴으로써 수득된 시클로헥센 옥시드 또는 시클로펜텐 옥시드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특별한 예는 수소화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1-메틸시클로헥실-3,4-에폭시-1-메틸헥산 카르복실레이트; 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2,2-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판;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에폭시드;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디옥틸 에폭시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 및 디-2-에틸헥실 에폭시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지방족 에폭시 물질의 예는 지방족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이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지방족 장쇄 다염기산의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비닐-중합에 의해서 합성된 단독중합체, 및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다른 비닐 단량체의 비닐-중합에 의해서 합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특별한 예는 폴리올의 글리시딜 에테르, 예컨대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 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의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의 헥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를 지방족 폴리올,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글리세린에 첨가함으로써 획득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지방족 장쇄 이염기성산의 디글리시딜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폭시 물질의 예는 다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폭시 물질 중에서 올린 에폭시(Olin Epoxy)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표명 D.E.R.™, 예컨대 D.E.R.™ 330, D.E.R.™ 331 및 D.E.R.™ 731 하의 것을 포함한다.
에폭시 물질은 80 g/eq 내지 6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가질 수 있다. 80 g/eq 내지 600 g/eq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에폭시 물질은 하한 of 80, 90, 100 또는 110 g/eq 내지 600, 575, 550 또는 500 g/eq의 상한의 에폭시 당량을 가질 수 있다.
에폭시 물질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성 조성물의 3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3 내지 25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에폭시 물질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 조성물의 3.0; 3.5 또는 4.0 wt%의 하한 내지 25; 23; 또는 20 wt%의 상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 경화 조성물은 루이스산- 아민 착물, 예를 들어, 루이스산-아민 부가물을 포함한다. 루이스산- 아민 착물은 1:1 비의 루이스산 대 아민을 갖는다.
루이스산- 아민 착물은 루이스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루이스산"은 염기로부터 전자쌍을 받아들일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루이스산의 예는 예를 들어, 보론 트리할로게나이드, 예컨대 삼염화붕소 및 삼플루오린화붕소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루이스산- 아민 착물은 아민을 포함한다. 다양한 아민이 루이스산-아민 착물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아민의 예는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및 N,N-디메틸벤질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3차 아민이 루이스산- 아민 착물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음을 규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루이스산- 아민 착물이 삼염화붕소-N,N-디메틸옥틸아민 착물임을 규정한다. 삼염화붕소-N,N-디메틸옥틸아민 착물은 하기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루이스산- 아민 착물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보론 트리할라이드-아민 착물임을 규정한다:
Figure pct00002
식 중,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18 알킬이다.
루이스산- 아민 착물은 공지된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루이스산-아민 착물의 예는 다수의 가속화제, 특히 예컨대, 헌츠만(Hunstma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DY 9577을 포함한다.
루이스산- 아민 착물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성 조성물의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0.5 내지 15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루이스산-아민 착물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 조성물의 0.5; 0.7 또는 1.0 wt%의 하한 내지 15; 13; 또는 12 wt%의 상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 경화 조성물은 700 g/mol 이상인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은 700; 800; 900; 1,000; 또는 1,500 g/mol의 하한 내지 15,000; 12,500; 10,000; 또는 9,000 g/mol의 상한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폴리올은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바와 같은 폴리올일 수 있되, 단 폴리올은 700 g/mol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700 g/mol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 조성물의 최대 5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은 열 경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경화 조성물의 0.1; 0.3; 0.5; 0.7 또는 1.0 wt%의 하한 내지 5.0; 4.5; 4.0; 3.5 또는 3.0 wt%의 상한일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는 특히 공촉매(co-catalyst); 탈형제(de-molding agent); 용매; 충전제; 안료; 강인화제; 유동 개질제; 접착 촉진제; 희석제; 안정화제; 가소제; 촉매 탈활성화제; 난연제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양의 첨가제가 상이한 응용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갖는다. 3:1 내지 20:1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열 경화 조성물은 3:1, 3.5:1 또는 4:1의 하한 내지 20:1, 18:1 또는 15:1의 상한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가질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1:1 내지 15:1의 에폭시 기 대 루이스산-아민 착물의 몰 당량비를 갖는다. 1:1 내지 15:1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열 경화 조성물은 1:1, 1.3:1 또는 1.5:1의 하한 내지 15:1, 12:1 또는 10:1의 상한의 에폭시 기 대 루이스산-아민 착물의 몰 당량비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열 경화 조성물이 보강(reinforcement)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규정한다. 예를 들어, 유리가 섬유 또는 매트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특히 탄소 섬유 및/또는 아라미드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 섬유는 예를 들어, 절단 및/또는 정렬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열 경화 조성물은 예를 들어, 대략 20℃에서 이롭게 안정적이다. 열 경화 조성물은 20℃에서 6시간 내지 14일 동안 안정적일 수 있다. 6시간 내지 14일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열 경화 조성물은 20℃에서 6시간, 9시간, 12시간, 18시간 또는 24시간의 하한 내지 14일, 12일, 10일, 9일 또는 7일의 상한 동안 안정적일 수 있다. 실온에서의 안정성은 다양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정성"은 열 경화 조성물의 유용성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20℃에서 특정 시간 또는 일 이후에, 열 경화 조성물이 경화되어 경화된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 열 경화 조성물은 안정적이다. 안정성은 점도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을 것이고, 열 경화 조성물이 필요에 따라서 열에 대한 노출 후에 여전히 중합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안정성의 상기 정의는 열 경화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대기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수분 간의 비교적 느린 반응을 지칭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열 경화 조성물은 연장된 가용 시간을 이롭게 갖는다. 열 경화 조성물은 4시간 이상 내지 48시간의 가용 시간을 가질 수 있다. 4시간 내지 48시간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열 경화 조성물은 4, 6, 12, 15, 18 또는 24시간의 하한 내지 48, 40, 36, 34, 32 또는 30시간의 상한의 가용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가용 시간은 초기 혼합 점도가 2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의 양으로서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온(23˚C)에서 특정 초기 점도, 예를 들어, 1000 밀리파스칼-초(mPas) 미만의 점도를 갖는 조성물은, 조성물 혼합이 시작되는 시간에서부터 조성물이 특정 초기 점도에 비해서 2배인 점도를 갖는 시간까지의 간격으로서 측정된 가용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점도는 예를 들어, ASTM D4287에 의해서 기재되는 바와 같이 규정된 온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열 경화 조성물은 비교적 더 낮은 온도에서는 경화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응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고, 이어서, 개시 온도라고 지칭될 수 있는 비교적 더 높은 온도에서 경화, 예를 들어, 반응할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80℃ 내지 150℃의 개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80℃ 내지 150℃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범위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열 경화 조성물은 80, 85, 90, 95 또는 100℃의 하한 내지 150, 147, 145, 143 또는 140℃의 개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은 개시 온도에 대한 노출 시 경화되어 경화된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는 10초 내지 10분의 기간 동안 본질적으로 완결될 수 있다. 열 경화 조성물을 경화, 예를 들어, 가열하는 것은 다수의 방법, 특히 예컨대 인발, 필라멘트 와인딩, 장섬유 사출성형(long fiber injection: LFI), 수지 이송 성형(resin transfer molding: RTM), 주입, 및 시트 성형 화합물(sheet moulding compound: SMC)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경화된 생성물은 다수의 응용에 이로울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생성물은 다수의 물품, 특히, 예컨대 복합재, 코팅, 접착제, 잉크, 캡슐화제(encapsulation) 및 주물(casting)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경화된 생성물은 15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생성물은 150; 155; 160; 170; 또는 175℃의 하한 내지 270; 265; 260; 255; 또는 250℃의 상한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경화된 생성물이 20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음을 규정한다.
경화된 생성물은 30 MPa 이상의 굴곡 강도(flexural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생성물은 30; 33; 또는 35 MPa의 하한 내지 150; 140; 또는 130 MPa의 상한의 굴곡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경화된 생성물은 2% 이상의 굴곡 변형률(flexural strai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생성물 폴리올은 2.0; 2.3; 또는 2.5%의 하한 내지 10; 9; 또는 8%의 상한의 굴곡 변형률을 가질 수 있다.
경화된 생성물은 1200 MPa 이상의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생성물은 1200; 1250; 또는 1300 MPa의 하한 내지 4000; 3000; 또는 2800 MPa의 상한의 굴곡 탄성률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하여, 물질에 대한 다양한 용어 및 지정이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 VORAMER™ RF1024;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다량체 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렌 옥시드 디올/에틸렌 옥시드 캡핑된 트리올 반응 생성물; %NCO 대략 14.5 내지 15.2%;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이소시아네이트 성분(니트 이소시아네이트; VORANATE™ M2940; 다량체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내지 2.5의 평균 작용기; 이소시아네이트 당량 132 g/eq;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에폭시 물질(D.E.R.™ 330;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176 내지 185 g/eq의 에폭시 당량; 올린 에폭시로부터 입수 가능함); 루이스산-아민 착물(DY 9577; 삼염화붕소-아민 착물, 헌츠만로부터 입수 가능함); 내부 이형제(internal mold release)(INT-PUL-24; 악셀 플라스틱스 리서치 래보러토리즈 인크.(Axel Plastics Research Laboratories Inc.)로부터 입수 가능함); 에폭시 물질(D.E.R.™ 331;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182 내지 192 g/eq의 에폭시 당량; 올린 에폭시로부터 입수 가능함); 에폭시 물질(D.E.R.™ 731;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30 내지 145 g/eq의 에폭시 당량; 올린 에폭시로부터 입수 가능함); 폴리올(VORANOL™ 8000LM; 프로필렌 글리콜-개시 폴리에테르 폴리올, 명목상 히드록실 작용기 2; 수평균 분자량 8,000 g/mol;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이소시아네이트™ 30 OP(30%의 2,4-MDI를 갖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폴리올(VORANOL™ P2000; 프로필렌 옥시드 디올; 당량 1,000 g/eq;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폴리올(VORANOL™ CP 6001; 에틸렌 옥시드 캡핑된 트리올; 당량 2,000 g/eq;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랩 합성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785.6 g의 이소시아네이트™ 50 OP(50%의 2,4-MDI를 갖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 및 214.4 g의 VORANOL™ 230-238(글리세린 개시 폴리에테르 폴리올; 명목상 히드록실 작용기 3; 수평균 분자량 700 g/mol;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 가능함)을 질소 하에서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대략 75 내지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대략 22.5%의 %NCO를 갖는 랩 합성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형성하였다.
%NCO(이소시아네이트 함량)를 2개의 적정 스탠드, 2개의 용매 펌프 및 오토 샘플러 캐러셀(carousel)이 장착된 Mettler DL55 자동 적정기를 사용하여 ASTM D5155(폴리우레탄 원료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의 측정 - 방법 C)에 따라 결정하였다. 샘플을 트리클로로벤젠 중에 용해시키고, 톨루엔 중에서 과량의 디부틸아민과 혼합하고, 2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메탄올로 희석하고, 그 후 용액을 20 mL 뷰렛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1.0 N 염산(수성)으로 전위차 적정하였다. 블랭크 분석을, 샘플을 첨가하지 않고,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2회 수행하였다. 블랭크 분석의 평균은 하기 식을 사용한 % NCO의 계산에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B는 블랭크에 의해 소비된 산의 부피(mL)(2회 평균)이고, S는 샘플에 의해 소비된 산의 부피(mL)이고, N은 산의 노르말 농도이고, 4.202는 퍼센트로의 전환을 위해 조정된 이소시아네이트(NCO) 모이어티(moiety)의 당량 중량이고, W는 샘플의 무게(g)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열 경화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각각의 실시예의 경우, 표 1 및 표 2에 열거된 항목을 혼합에 의해서 각각의 용기에서 합하였다.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D를, 표 1 및 표 2에 열거된 항목이 아닌 표 3에 열거된 항목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육안 관찰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D가 각각 실온에서 적어도 6시간 동안 안정적이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는데, 그 이유는 겔화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5℃에서 시작하는 2.5℃/min의 온도 증가 및 10/s의 전단 속도로 AR2000 레오미터(티에이 인스트루먼트(TA instrument))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이 시작되는 온도로서 정의된 개시 온도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D에 대해서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보고한다.
가용 시간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어진 온도에서, 수지 성분 및 경화제(hardener) 성분의 혼합물이 특정 응용을 위해서 작업 가능한 시간 기간을 지칭한다. 25℃의 온도 및 10/s의 전단 속도에서 AR2000 레오미터(티에이 인스트루먼트)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C에 대한 가용 시간을 결정하였고; ASTM D428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점도를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보고한다.
Figure pct00007
표 4의 데이터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각각이 116 내지 135℃의 개시 온도를 갖는 열 경화 조성물임을 나타낸다.
표 4의 데이터는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이 연장된 가용 시간을 갖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각각이 24시간 초과의 가용 시간을 가짐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바와 같이, 연장된 가용 시간을 갖는 열 경화 조성물은 다수의 응용에서 이로울 수 있다.
40℃의 온도 및 10/s의 전도 속도에서 3시간 동안 AR2000 레오미터(티에이 인스트루먼트)를 사용하여 점도 증가를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보고한다.
Figure pct00008
표 5의 데이터는 실시예 7이 0% 점도 증가를 갖는 반면, 비교예 D는 37% 점도 증가를 가졌음을 나타낸다. 표 5의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이 다른 조성물, 즉, 5 중량% 초과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비교할 때 이로운 감소된 점도 증가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감소된 점도 증가는 놀라운 것인데, 그 이유는 비교예 D의 경우 VORAMER™ RF1024의 양이 실시예 7과 비교할 때 50 g에서 20 g으로 감소되었기 때문이며; 그러나, 비교예 D는 VORAMER™ RF102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30 g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포함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개별 성분이 아니라,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갖는 열 경화 조성물에 이롭게 감소된 점도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9, 경화된 생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각각을 주형에 넣고, 125℃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켰고, 그 다음 150℃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9를 형성하였다. 주형은 이형재로 코팅되고,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서 압축된 두 장의 듀오(Duo)-호일 알루미늄 사이에 배치된 "U"자-형상의, 1/8 인치 두께의 알루미늄 스페이서로부터 제조되었다. 고무 튜빙은 스페이서의 내부를 따르는 가스켓 재료로 사용되었다. 주형을 함께 고정시키는데, "U"자 형상의 스페이서의 개방 단부는 위로 향하고, 듀오-호일은 금속판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었다.
유리 전이 온도, 굴곡 강도, 굴곡 변형률 및 굴곡 탄성률을 실시예 18 및 실시예 19에 대해서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보고한다. ASTM D4065-12 방법을 사용하여 동적 기계적 열 분석(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sis: DMTA)에 의해서 유리 전이 온도를 결정하였다. DMTA를 티에이 인스트루먼트 레오미터(모델: ARES)에서 측정하였다. 직사각형 샘플(약 6.35 cm x 1.27 cm x 0.32 cm)을 고체 상태 고정물에 넣고 진동 비틀림 하중을 가했다. 샘플을 3℃/분의 속도 및 1 헤르츠(Hz) 진동수로 대략 -80℃에서 대략 200℃까지 열적으로 램프(ramp)시켰다. 16:1 스팬(span)-대-두께 비를 사용하는 ASTM D790을 사용하여 굴곡 강도, 굴곡 변형률 및 굴곡 탄성률을 결정하였다. 샘플을 대략 1/2 인치 두께를 갖는 3 인치 길이 막대로 절단하였다. ASTM D638(유형 I) 방법에 따라서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파괴 인성(fracture toughness)을 스크류-구동 재료 시험기(Instron Model 5567)에 의해서 ASTM D5045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컴팩트-텐션 형상(Compact-tension geometry)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9
표 6의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열 경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된 생성물이 다수의 응용을 위해서 이로울 수 있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 목적하는 굴곡 강도, 목적하는 굴곡 변형률 및/또는 목적하는 굴곡 탄성률을 비롯한 다수의 이로운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10)

  1. 열 경화 조성물(heat curing composition)로서,
    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에폭시 물질(상기 열 경화 조성물은 3:1 내지 20:1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대 에폭시 기 당량비를 가짐); 및
    루이스산-아민 착물을 포함하는, 열 경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1 내지 15:1의 에폭시 기 대 루이스산-아민 착물의 몰 당량비를 갖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니트(neat)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700 g/mol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상기 열 경화 조성물의 5 중량% 이하인, 열 경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열 경화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경화된 생성물.
  7. 제6항의 경화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복합재, 코팅, 접착제, 잉크, 캡슐화제(encapsulation) 또는 주물(casting)인, 물품.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열 경화 조성물을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화된 생성물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경화 조성물을 가열시키는 단계는 상기 경화 조성물을 60℃ 내지 200℃의 온셋(onsett)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경화 조성물을 가열시키는 단계는 인발,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장섬유 사출성형(long fiber injection: LFI), 수지 이송 성형(resin transfer molding: RTM), 주입 및 시트 성형 화합물(sheet moulding compound: SM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정을 포함하는, 경화된 생성물.
KR1020207007918A 2017-09-01 2018-08-29 열 경화 조성물 KR20200050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1700098410 2017-09-01
IT102017000098410 2017-09-01
PCT/US2018/048470 WO2019046382A1 (en) 2017-09-01 2018-08-29 THERMOSETTING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460A true KR20200050460A (ko) 2020-05-11

Family

ID=6076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918A KR20200050460A (ko) 2017-09-01 2018-08-29 열 경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47606A1 (ko)
JP (1) JP2020532596A (ko)
KR (1) KR20200050460A (ko)
CN (1) CN111065664A (ko)
WO (1) WO2019046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00649A1 (ko) * 2019-11-18 2021-05-27
JP7160219B1 (ja) * 2020-12-21 2022-10-25 東レ株式会社 熱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とその成形品、繊維強化複合材料、繊維強化複合材料用成形材料、および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5972A (en) * 1968-02-26 1971-02-23 Gen Motors Corp Structural adhesives from urethane prepolymers,polyepoxides,latent solid diamines,and lewis acid amine complexes
DE3323123A1 (de) * 1983-06-27 1985-0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Hitzehaertbare reaktionsharzmischungen
DE3323122A1 (de) * 1983-06-27 1985-05-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aktionsharzformstoffen
US4705838A (en) * 1986-07-07 1987-11-10 Ashland Oil, Inc. Acceleration of rate of cure in boron trifluoride amine catalyzed cure of epoxy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2596A (ja) 2020-11-12
US20210147606A1 (en) 2021-05-20
WO2019046382A1 (en) 2019-03-07
CN111065664A (zh)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7252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1850580B1 (ko)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JP7247115B2 (ja) 調節可能なポットライフを有する2成分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5728383B2 (ja) イソシアネート系強靱化剤を含んでなるベンゾオキサジン系組成物
CN104093762B (zh) 包含环氧树脂的可固化多异氰酸酯组合物
US20230159693A1 (e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isocyanate-based tougheners
KR102481812B1 (ko)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기재 중합체 및 섬유 강화된 복합재
KR20200050460A (ko) 열 경화 조성물
CN113966356A (zh) 增韧的双组分环氧组合物
JP6593573B1 (ja) 硬化性組成物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
JP5049408B2 (ja) ベンゾオキサジン環を有する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成形体及び硬化体
JP2013533917A (ja) 僅かに変性されたプレポリマーおよびその使用
EP3917982B1 (en) Isocyanate reactive compositions
WO2019011510A1 (en) PROCESS FOR PRODUCING FUNCTIONALIZED POLYESTERS
US20150353673A1 (en) Epoxy resin, method for producing epoxy resi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cured article
US20220064365A1 (en) Compact polyurethane
EP3917983B1 (en) Beta-hydroxyphosphonate functionalized polyols
EP3864063A1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prepreg binder composition, a prepreg and use thereof
US10227459B2 (en) Fiber-plastics composites and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se fiber-plastics composites
CN118019772A (zh) 抗开裂双组分环氧树脂组合物
CN116867831A (zh) 在没有额外金属连接技术的情况下适用于预固化方法的热固化性环氧树脂组合物
JP2013185034A (ja) ベンゾオキサジ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成形体及び硬化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