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229A - Bow-leg revis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Bow-leg revis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229A
KR20200050229A KR1020180132990A KR20180132990A KR20200050229A KR 20200050229 A KR20200050229 A KR 20200050229A KR 1020180132990 A KR1020180132990 A KR 1020180132990A KR 20180132990 A KR20180132990 A KR 20180132990A KR 20200050229 A KR20200050229 A KR 20200050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bia
opening
fibula
thigh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0433B1 (en
Inventor
우석하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엔
Priority to KR102018013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5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95Wedge osteo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92Tib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ctor for a bent leg comprises: a fibula extending from an ankle of a bent leg toward a femur, and including a boundary separated, when viewed from a side, from the cartilage below the femur in the bent leg and obliquely facing the cartilage; a tibia disposed around the fibula, extending along the fibula to be in contact with the cartilage, including a wedge-shaped opening portion open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bula to be gradually closed towards the fibula, and locating, when viewed from a side, an opened end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in the periphery of the boundary of the fibula; and an implant bound to the tibia and connect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to each other at the tib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or for a bent leg can reduce a stress applied to the fibula, the cartilage and the femur.

Description

휜다리 교정 구조물{BOW-LEG REVISING STRUCTURE}BOD-LEG REVISING STRUCTURE}

본 발명은, 인체의 휜다리에 근위경골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의 적용 동안 휜다리의 경골에 임플란트(implant)를 부착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that attaches an implant to the tibia of the thigh during the application of High Tibial Osteotomy (HTO) to the thigh of the human body.

일반적으로, 인체의 휜다리는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타난다. 상기 선천적인 원인은 부모의 유전 인자,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한 구루병, 선천적인 뇌성마비, 선천적인 소아마비, 또는 인종적인 요인일 수 있다. 상기 후천적인 원인은 생활에서 유지되는 나쁜 자세, 걸음걸이 동안 습관적인 나쁜 걸음걸이, 또는 운동부족일 수 있다.Generally, the thigh of the human body is caused by at least one of congenital and acquired causes. The congenital causes may be genetic factors of parents, rickets caused by vitamin D deficiency, congenital cerebral palsy, congenital polio, or racial factors. The acquired causes may be bad postures maintained in life, bad gait habits during gait, or lack of exercise.

상기 휜다리는 안장다리(='X' 다리) 또는 밭장다리(='O' 다리)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인체(8)의 정상다리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뼈(6)와 대퇴골(4) 사이의 접접으로부터 시작하여 대퇴골(4)과 경골(2) 사이의 무릎을 지나 인체(8)의 발목(도면에 미도시)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기준선(R)을 따라 위치된다. The thigh is divided into saddle legs (= 'X' legs) or field legs (= 'O' legs). Here, the normal leg of the human body 8 starts from the contact between the pelvis 6 and the femur 4, as shown in Fig. 1 (a), and the knee between the femur 4 and the tibia 2 starts. Gina is located along a reference line R extending vertically to the ankle (not shown in the figure) of the human body 8.

이에 반해서, 상기 인체(8)의 밭장다리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다리의 기준선(R)으로부터 대퇴골(4)과 경골(2) 사이의 무릎을 인체(8)의 양 다리의 안쪽으로 변위(S1)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체(8)의 안장다리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다리의 기준선(R)으로부터 대퇴골(4)과 경골(2) 사이의 무릎을 인체(8)의 양 다리의 바깥쪽으로 변위(S2)시켜 형성된다. On the contrary, the long legs of the human body 8 are knees between the femur 4 and the tibia 2 from the reference line R of the normal leg as shown in Fig. 1 (b), both legs of the human body 8 It is formed by displacement (S1) inward. In addition, the saddle leg of the human body 8 is a knee between the femur 4 and the tibia 2 from the reference line R of the normal leg as shown in Fig. 1 (c) of both legs of the human body 8 It is formed by displacement (S2) outward.

상기 인체(8)의 척추(도면에 미도시)가 측면에서 볼 때 인체(8)의 갈비뼈(도면에 미도시)의 위와 아래에서 전방으로 S라인으로 돌출된 경추와 요추를 가지는데, 상기 밭장다리 또는 안장다리는 척추를 인체(6)의 전방으로 과도하게 밀어 위치시키는 척추 전만, 또는 척추를 인체(8)의 후방으로 과도하게 밀어 위치시키는 척추 후만, 또는 척추를 인체(8)의 측부로 과도하게 밀어 위치시키는 척추 측만을 야기시킨다.When the spine (not shown in the figure) of the human body 8 is viewed from the side, the ribs (not shown in the drawing) of the human body 8 have cervical and lumbar vertebrae project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line. The long limb or saddle leg is only the front of the spine where the spine is excessively pushed to the front of the human body 6, or only the back of the spine where the spine is excessively pushed to the rear of the human body 8, or the spine is moved to the side of the human body 8 Excessively pushed to cause scoliosis.

요즈음, 상기 밭장다리 또는 안장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인체(8)의 휜다리에 근위경골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 근위경골절골술은 인체(8)의 경골(20을 절개하여 경골(2)의 절개 부위 주변에 뼈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수행된다. 한편, 상기 뼈 플레이트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158호에 종래기술로써 개시되었다.These days, in order to correct the field limb or saddle leg, a High Tibial Osteotomy (HTO) is widely applied to the thigh of the human body 8.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is performed by cutting the tibia 20 of the human body 8 and attaching a bone plate around the incision site of the tibia 2. Meanwhile, the bone plate is convention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22158. It was disclosed as a technology.

상기 종래기술에서, 상기 뼈 플레이트는 뼈의 골절이나 손상, 또는 뼈의 약화된 부분들을 안정화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뼈 플레이트는 주걱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걱턱과 곧은 손잡이를 갖는다. 상기 주걱턱은 곧은 손잡이의 일 단부에 위치되어 손잡이에 고정되면서 손잡이의 일면과 마주한다. 그러나, 상기 뼈 플레이트는 인체에서 경골의 형상을 고려해 볼 때 경골의 근위경골절골술에서 경골의 여러 부위에서 범용으로 이용하는데 한계를 갖는다.In the prior art, the bone plate is used to stabilize bone fractures or damage, or weakened parts of the bone. To this end, the bone plate has a spatula shape and has a spatula jaw and a straight handle. The spatula jaw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aight handle and is fixed to the handle while facing one surface of the handle.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tibia in the human body, the bone plate has a limitation in universal use in various parts of the tibia in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of the tibia.

또한, 상기 뼈 플레이트는 근위경골절골술에 적용된 후 인체의 경골에 이용되는 때 인체의 하중을 받아 이용 시간에 따라 정 하중 또는 피로 하중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변형되거나 경골을 목적하는 형상대로 치료시키는 재료를 개시하지 못해 근위경골절골술에 적용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이후로, 본 발명은 밭장다리의 교정에 대해서 기술하고 안장다리의 교정도 동일한 기술로 전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one plate is applied to the proximal tibial osteotomy and when used in the tibia of the human body, it receives a load from the human body and deforms itself by a static load or a fatigue load depending on the usage time or treats the tibia in a desired shape. It has difficulty in applying to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Thereafter,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orrection of the field legs and the correction of the saddle legs can be developed with the same techniqu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158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2158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It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인체의 경골에 근위경골절골술의 적용 동안 경골의 형상에 따라 경골의 여러 부위에 범용으로 자유롭게 부착되고,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ximal tibial osteotomy to the tibia of the human body, it is universally freely attached to various parts of the tibi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ibia,

근위경골절골술의 적용 후, 인체의 하중을 단속적으로 받아도 자체 초기 형상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경골을 목적하는 형상대로 치료시키고,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the initial shape of the human body is properly maintained even when the human body is intermittently treated, and the tibia is treated in the desired shape.

근위경골절골술의 적용 후, 인체의 하중을 받는 동안, 경골 주변에 위치되는 다른 뼈 구성 요소에 인가되는 정하중의 크기를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igh corrective structure comprising an implant suitable for minimizing the magnitude of a static load applied to other bone components located around the tibia, while under the load of the human body, after application of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은, 인체의 휜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휜다리에 근위경골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도록, 상기 휜다리의 발목으로부터 대퇴골을 향해 연장하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휜다리에서 상기 대퇴골 아래의 연골(cartilage)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골과 경사지게 마주하는 경계선을 가지는 비골(fibular); 상기 비골 주변에서 상기 비골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연골과 접촉하고, 상기 비골의 반대편으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비골을 향해 점진적으로 폐쇄되는 쇄기 모양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 주변에 상기 개구부의 개구 끝점을 위치시키는 경골(tibial); 및 상기 경골에 결합되어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윗 부분과 상기 아랫 부분을 연결시키는 임플란트(implant)를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는,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초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골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융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gh corr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ankle of the thigh toward the femur so as to be used to implement a high tibial osteotomy (HTO) on the thigh to correct the thigh of the human body, when viewed from the side , A fibular having a boundary line spaced apart from the cartilage under the femur in the thigh and facing the cartilage obliquely; It has a wedge-shaped opening that extends along the fibula around the fibula and contacts the cartilage, and opens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bula and gradually closes toward the fibula, when viewed from the side, around the perimeter of the fibula Tibial to position the opening end of the opening in (tibial); And an implant coupled to the tibia to connec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wherein the implant is made of a superelastic material compris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It is characterized by rising, and rising from the opening of the tibia.

상기 비골은, 상기 대퇴골을 통해 인체의 하중을 인가받는 때, 상기 경골과 상기 대퇴골에서 삼각형의 이등변을 이루면서 상기 이등변의 개별 변과 상기 삼각형의 밑변 사이에 예각을 가지면, 상기 근위경골절골술의 수행 전 받는 응력 대비 수행 후 받는 응력을 작게 가질 수 있다.The fibula, when receiving a load from the human body through the femur, when having an acute angle between the individual sides of the isosceles and the base of the triangle while forming an isosceles of triangles in the tibia and the femur, before performing the proximal tibial osteotomy It is possible to have a small stress received after performing the stress compared.

상기 경골은, 상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비골에서 상기 경계선과 동일한 레벨 또는 상기 경계선보다 더 낮은 레벨 또는 상기 경계선보다 더 높은 레벨에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개구 끝점을 위치시킬 수 있다. The tibia, when viewed from the side, may position the opening end point of the opening at the same level as the boundary line at the fibula, or at a level lower than or above the boundary line.

상기 경골은, 상기 휜다리의 발목(ankle)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비골보다 더 연장하며,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 아래에서 상기 개구부의 입구를 가질 수 있다.The tibia extends more than the fibula based on the ankle of the thigh, and may have an opening of the opening below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상기 경골은, 상기 비골 주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경골의 폭을 반이상 절개시키며,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 아래에 상기 개구부의 입구를 가지면서 상기 개구부를 경사지게 구비할 수 있다.The tibia may cut the width of the tibia more than half through the opening around the fibula, and may have the opening inclined while having an opening of the opening below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상기 경골은,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볼 때,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아랫 부분보다 상기 윗 부분에서 상기 임플란트와 더 큰 폭으로 접촉될 수 있다. The tibia,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may be in greater contact with the implant in the upper portion tha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경골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아랫 부분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경골의 개구부 상에서 정점(頂點)을 이루면서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을 향해 기울어져 안착될 수 있다.The implant, when view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ris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and forms an apex on the opening of the tibia, tilt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Can settle down.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경골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몸체부와 목부와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경골 상에서 'T'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T' 자 형상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수직하게 볼록한 굴곡을 이루고 상기 'T' 자 형상의 상기 상부측에서 수평하게 볼록한 굴곡을 이룰 수 있다.The implant, when view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includes a body portion, a neck portion, and a head portion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have a 'T' shape on the tibia, and the ' A convex curve vertically convex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T-shape and a convex curve horizontally convex at the upper side of the 'T' shape can be achieved.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는,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경골의 사잇각보다 상기 목부와 상기 경골의 사잇각에서 더 큰 각을 이룰 수 있다.When view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the body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may achieve a greater angle at the angle between the neck portion and the tibia than the angle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tibia.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아랫 부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경골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exten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toward the opening in the tibia and partially overlap the opening, and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ibia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상기 목부는,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The neck may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toward the opening in the tibia and partially overlap with the opening, and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body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경골의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에서 상기 목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목부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The head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neck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tibia, and may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body portion or the neck portion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상기 머리부는 상기 비골 주변에서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좌편(左便) 머리부와 중간(中間) 머리부와 우편(右便)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편 머리부와 상기 우편 머리부는 상기 중간 머리부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고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의 굴곡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중간 머리부와 함께 상기 경골에 접촉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includes a left head portion, a middle head portion, and a postal head portion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around the fibula, and the left head portion and the postal head portion are in the middl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ead portion is located along the curva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to contact the tibia with the intermediate head.

상기 좌편 머리부와 상기 중간 머리부와 상기 우편 머리부는,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볼 때 상기 연골 가까이에서 상기 우편 머리부로부터 상기 좌편 머리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끝단에 가장자리 선을 한정하고,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직각 삼각형의 빗변에 상기 가장자리 선을 대응시키는 때, 상기 우편 머리부에서 상기 직각 삼각형의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펼쳐지는 사다리꼴의 밑변 아래에서 상기 사다리꼴의 나머지 변에 상기 가장자리 선을 대응시키는 때,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나머지 변 사이의 양 각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가질 수 있다.The left head portion, the middle head portion and the post head portion, when viewed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define an edge line at an end inclined toward the left head portion from the post head portion near the cartilage, and the implant When corresponding the edge line to the hypotenuse of the right-angled triangle extending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form an acute angle of the right-angled triangle at the postal head, and under the bottom of the trapezoid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When the edge line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of the trapezoid, both angles between the remaining sides of the trapezoi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를 통해 복수의 제1 결합홀을 한정하고, 상기 몸체부를 통해 하나의 제2 결합홀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홀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홀에서 개별 제1 결합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defin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through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define a second coupling hole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agents 1 coupling hole,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s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the second coupling hole is se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dividual first coupling holes.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몸체에서 두 개의 제1 결합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그루브(groove); 상기 몸체와 상기 목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그루브; 및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3 그루브를 더 한정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when viewed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 first groove (groove) located between the two first coupling holes in the body; A second groove located between the body and the neck; And a third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neck and the head.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양 가장자리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목부의 가까이에서 시작하여 상기 몸체부의 중앙 영역을 향해 연장하면서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모따기 홈을 더 한정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further define a chamfering groove so as to gradually deepen while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region of the body portion, starting from the vicinity of the neck portion individually at both edges of the body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상기 임플란트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은, 인체의 응력(steress)에 따른 신장률(strain)의 변화를 볼 때, 상기 인체에서 뼈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 주변에서 상기 뼈의 상기 히스테리 시스 곡선을 둘러쌀 수 있다.The hysteresis sheath curve of the implant may surround the hysteresis sheath curve of the bone around the hysteresis sheath curve of the bone in the human body when viewing a change in strain according to the stress of the human body.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초탄성 재료에 합금 금속 및 초탄성 플라스틱 및 초탄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l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loy metal, a superelastic plastic, and a superelastic polymer in the superelast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은, 인체의 경골에 근위경골절골술을 적용하는 동안 경골에 쇄기 모양의 개구부를 형성시켜 경골에서 개구부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 'T'자 형상의 임플란트를 부착시키고, 'T'자 형상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몸체부, 목부 및 머리부를 구비하여 경골 상에서 몸체부와 목부를 수직하게 볼록으로 굴곡시키면서 머리부를 수평하게 볼록으로 굴곡시키므로, 인체의 경골에 근위경골절골술의 적용 동안 경골의 형상에 따라 경골의 여러 부위에 범용으로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The thigh corr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pplying a proximal tibial fracture to the tibia of the human body, forms an opening in the shape of a claw in the tibia, attaching an 'T'-shaped implant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opening in the tibia,' Proximal tibial osteotomy in the tibia of the human body by providing a body part, a neck part, and a head par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T'-shaped to bend the body part and the neck vertically convexly on the tibia horizontally and convex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ibia during the application of can be universally attached to various parts of the tibia.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은, 인체의 경골에 근위경골절골술의 적용 후 경골에서 개구부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 부착되는 'T'자 형상의 임플란트에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한 초탄성재료를 적용하여 인체의 뼈와 유사하게 히스테리 시스 곡선을 보이므로 임플란트에서 정 하중 또는 피로 하중 제거시 영구 변형 없는 특성을 이용하여 경골에 인체의 하중을 단속적으로 받아도 임플란트의 자체 초기 형상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경골을 목적하는 형상대로 치료시킬 수 있다.An orthodont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ndle includ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in a 'T' shaped implant attached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opening in the tibia after application of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to the tibia of the human body. Since the elastic material is applied to show a hysteresis curve similar to the bones of the human body, the initial shape of the implant itself is appropriate even when the human body is intermittently subjected to the load on the tibia by using the property without permanent deformation when removing the static or fatigue load from the implant. It can be maintained to treat the tibia in the desired shape.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은, 경골 주변에 위치되는 비골의 측면을 볼 때, 근위경골절골술에서 경골에 위치시키는 쇄기 모양의 개구부의 개구 끝점을 비골의 경계선 주변에 위치시키므로, 경골에 근위경골절골술의 적용 후 인체의 정하중 또는 피로 하중을 받는 동안 경골에서 개구부의 개구 끝점에 발생되는 최대 하중을 경골 주변으로 원활하게 분산시켜 비골, 연골 및 대퇴골에서 받는 응력을 줄일 수 있다.The thigh corr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oking at the side of the fibula located around the tibia, the proximal tibia osteotomy is located in the tibia because the end point of the opening of the wedge-shaped opening positioned in the tibia is located around the perimeter of the fibula. After apply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ess on the fibula, cartilage and femur by smoothly dispersing the maximum load generated at the opening end of the opening in the tibia while receiving the static load or fatigue load of the human body.

도 1은, 종래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인체의 정상다리와 휜다리의 뼈구조를 비교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을 적용받은 인체의 휜다리의 뼈구조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서 임플란트의 히스테리 시스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의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서 임플란트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임플란트의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임플란트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임플란트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임플란트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을 인체의 휜다리의 뼈구조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bone structure of a normal leg and a thigh of a human body in order to apply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diagram partially showing the bone structure of the thigh of the human body to which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graph showing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implant in the thigh corrective structure of FIG. 2.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in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of FIG. 2.
5 is a rear view partially showing the implant of FIG. 4.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of FIG. 4.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implant of FIG. 4.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implant of FIG. 4.
9 to 1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ne structure of the thigh of the human body.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and length,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인체의 정상다리와 휜다리의 뼈구조를 비교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을 적용받은 인체의 휜다리의 뼈구조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서 임플란트의 히스테리 시스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bone structure of a normal leg and a thigh of a human body to apply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partially showing the bone structure of a thigh of a human body to which a leg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graph showing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implant in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of FIG. 2.

또한, 도 4는, 도 2의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서 임플란트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임플란트의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임플란트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in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of FIG. 2, FIG. 5 is a rear view partially showing the implant of FIG. 4, and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of FIG. 4.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70)은, 인체의 휜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휜다리에 근위경골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휜다리 교정 구조물(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골(fibular; 10), 경골(tibial; 30)과 임플란트(implant; 50)를 포함한다.1 to 6,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implement a high tibial osteotomy (HTO) on the thigh to correct the thigh of the human body. Here,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70 includes a fibular (10), a tibial (30), and an implant (50), as illustrated in FIG. 2.

상기 비골(10)은, 도 2에서, 휜다리의 발목으로부터 대퇴골(90)을 향해 연장하며, 측면에서 볼 때, 휜다리에서 대퇴골(90) 아래의 연골(cartilage; 80)로부터 이격되어 연골(80)과 경사지게 마주하는 경계선(도 12의 B)을 갖는다. 상기 경골(30)은, 도 2에서, 비골(10) 주변에서 비골(10)을 따라 연장되어 연골(80)과 접촉한다. The fibula 10, in FIG. 2, extends from the ankle of the thigh toward the femur 90,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artilage 80 is spaced apart from the cartilage 80 below the thigh 90 in the thigh And a boundary line (B in FIG. 12) facing the slope. The tibia 30, in FIG. 2, extends along the fibula 10 around the fibula 10 and contacts the cartilage 80.

상기 경골(30)은, 도 2 및 도 12를 참고하면, 비골(10)의 반대편으로부터 개구되어 비골(10)을 향해 점진적으로 폐쇄되는 쇄기 모양의 개구부(25)를 구비하며, 측면에서 볼 때, 비골(10)의 경계선(B) 주변에 개구부(25)의 개구 끝점(도 12의 P)을 위치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경골(30)은, 측면에서 볼 때, 비골(10)에서 경계선(B)과 동일한 레벨 또는 경계선(B)보다 더 낮은 레벨 또는 경계선(B)보다 더 높은 레벨에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을 위치시킨다.2 and 12, the tibia 30 has a wedge-shaped opening 25 that opens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bula 10 and gradually closes toward the fibula 10, when viewed from the side , Position the opening end point (P in FIG. 12) of the opening 25 around the boundary line B of the fibula 10. More specifically, the tibia 30, when viewed from the side, has an opening at the same level as the boundary line B in the fibula 10 or a level lower than the boundary line B or a higher level than the boundary line B. The opening end point P of (25) is located.

상기 경골(30)은, 도 2에서, 휜다리의 발목(ankle)을 기준으로 하여 비골(10)보다 더 연장하며, 비골(10)의 경계선(B) 아래에서 개구부(25)의 입구를 갖는다. 상기 경골(30)은, 도 2에서, 비골(10) 주변에서 개구부(25)를 통해 경골(30)의 폭을 반이상 절개시키며, 비골(10)의 경계선(B) 아래에 개구부(25)의 입구를 가지면서 개구부(25)를 경사지게 구비한다. 상기 경골(30)은, 도 2에서, 임플란트(50)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볼 때,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아랫 부분보다 윗 부분에서 임플란트(50)와 더 큰 폭으로 접촉된다.The tibia 30, in FIG. 2, extends more than the fibula 10 based on the ankle of the thigh, and has an entrance to the opening 25 below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The tibia 30, in FIG. 2, cuts the width of the tibia 30 more than half through the opening 25 around the fibula 10, and opens the opening 25 below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The opening 25 is inclined while having an inlet of. The tibia 30, in FIG. 2,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50, contacts the implant 50 at a greater width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do.

한편, 상기 임플란트(50)는, 도 2에서, 경골(30)에 결합되어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을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경골(30)과 임플란트(50)는, 나사 부재(6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임플란트(50)는,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초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경골(30)의 개구부(25)로부터 도 2와 같이 융기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plant 50, in Figure 2, is coupled to the tibia 30 to connec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Here, the tibia 30 and the implant 50 are coupled through a screw member 60. The implant 50 is made of a super-elastic material contain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and is raised as shown in FIG. 2 from the opening 25 of the tibia 30.

상기 임플란트(50)는, 초탄성재료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니켈(Ni)과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진 니티놀(nitinol)일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50)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은, 도 3에서, 인체의 하중을 받는 동안 응력(steress)에 따른 신장률(strain)의 변화를 볼 때, 인체에서 뼈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 주변에서 뼈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을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50)는 인체의 하중을 받는 동안 인체의 뼈와 유사한 신장률을 보인다.The implant 50 is a super-elastic material, and as shown in FIG. 3, preferably, may be nitinol made of nickel (Ni) and titanium (Ti). The hysteresis sheath curve of the implant 50 is, in FIG. 3, when viewing a change in strain according to stress while receiving a human body load, the hysteresis sheath of the bone around the hysteresis sheath curve of the human body Surround the curve. Therefore, the implant 50 exhibits an elongation similar to that of a human bone while receiving a load from the human body.

상기 임플란트(50)는, 도 2에서, 경골(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아랫 부분으로부터 솟아올라 경골(30)의 개구부(25) 상에서 정점(頂點)을 이루면서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윗 부분을 향해 기울어져 안착된다. The implant 50, in FIG. 2, as view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ibia 30, ris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and peaks on the opening 25 of the tibia 30頂點) while forming the inclination from the tibia 30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5 is seated.

상기 임플란트(50)는, 경골(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도 2 및 도 4를 고려하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몸체부(42)와 목부(44)와 머리부(49)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42)와 목부(44)와 머리부(49)는, 도 2 및 도 4를 고려하면, 경골(30) 상에서 'T' 자 형상을 가지며 'T' 자 형상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수직하게 볼록한 굴곡을 이루고 'T' 자 형상의 상부측에서 수평하게 볼록한 굴곡을 이룬다.The implant 50 includes a body portion 42, a neck portion 44, and a head portion 49,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FIGS. 2 and 4 when view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ibia 30. do. 2 and 4, the body portion 42, the neck portion 44, and the head portion 49 have an 'T' shape on the tibia 30, and an upper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T' shape It forms a vertically convex curve toward the side and a horizontally convex curve from the upper side of the 'T' shape.

여기서, 상기 몸체부(42)와 목부(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골(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삼각형(△A1A2A3)에서, 몸체부(42)와 경골(30)의 사잇각(α1)보다 목부(44)와 경골(30)의 사잇각(α2)에서 더 큰 각을 이룬다. 상기 몸체부(42)는, 도 2 및 도 4를 고려하면,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아랫 부분으로부터 개구부(25)를 향해 연장되어 개구부(25)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경골(30)의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경골(30)의 폭보다 더 작다.Here, the body portion 42 and the neck portion 44, as shown in FIG. 4, when view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ibia 30, in the triangle (ΔA1A2A3), the body portion 42 and tibia ( The angle of the neck 44 and the tibia 30 is larger than the angle of angle 30 of α1. 2 and 4, the body portion 42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25 toward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and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25, and the tibia ( When viewed at right angles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30), i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ibia 30.

상기 목부(44)는, 도 2 및 도 4를 고려하면,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윗 부분으로부터 개구부(25)를 향해 연장되어 개구부(25)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경골(30)의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몸체부(42)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머리부(49)는, 도 2 및 도 4를 고려하면, 경골(30)의 개구부(25)의 윗 부분에서 목부(44) 상에 위치되고, 경골(30)의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몸체부(42) 또는 목부(44)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2 and 4, the neck 44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5 toward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and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25, and the tibia 30 When viewed at right angles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it has the same width as the body portion 42. 2 and 4, the head portion 49 is located on the neck portion 4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25 of the tibia 30, and is viewed at right angles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30 At this time, it has a larger width than the body portion 42 or the neck portion 44.

상기 머리부(49)는, 도 5에서, 비골(10) 주변에서 비골(10)의 경계선(B)을 따라 좌편(左便) 머리부(46)와 중간(中間) 머리부(47)와 우편(右便) 머리부(48)를 포함한다. 상기 좌편 머리부(46)와 우편 머리부(48)는 중간 머리부(47)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고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윗 부분의 굴곡을 따라 위치되어 중간 머리부(47)와 함께 경골(30)에 접촉한다.The head portion 49, in Fig. 5, along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around the fibula 10, the left (左 便) head 46 and the middle (中間) head 47 and Includes a postal head 48. The left head 46 and the postal head 48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iddle head 47 and are positioned along the curva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to the middle head 47 ) In contact with the tibia 30.

여기서, 상기 좌편 머리부(46)와 중간 머리부(47)와 우편 머리부(4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골(10)의 경계선(B)을 따라 볼 때 연골(80) 가까이에서 우편 머리부(48)로부터 좌편 머리부(46)를 향해 기울어지는 끝단에 가장자리 선(L)을 한정한다.Here, the left head 46, the middle head 47 and the post head 48, as shown in Figure 5, cartilage 80 when viewed along the boundary line B of the fibula 10 The edge line L is defined at an end that is inclined toward the left head 46 from the postal head 48 at close range.

상기 좌편 머리부(46)와 중간 머리부(47)와 우편 머리부(48)는, 도 5에서, 임플란트(50)의 길이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직각 삼각형(△B1B2B3)의 빗변(B1, B3)에 가장자리 선(L)을 대응시키는 때, 우편 머리부(48)에서 직각 삼각형(△B1B2B3)의 예각(β)을 형성한다. The left-hand head 46, the middle head 47 and the post-head 48 are, in FIG. 5, hypotenuses B1, B3 of the right-angled triangle (ΔB1B2B3) extending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50. ), The acute angle β of the right-angled triangle ΔB1B2B3 is formed in the postal head portion 48 when the edge line L is associated with it.

상기 좌편 머리부(46)와 중간 머리부(47)와 우편 머리부(48)는, 도 6에서, 임플란트(50)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펼쳐지는 사다리꼴의 밑변(예를 들면, 일점 쇄선(C1, C4)) 아래에서 사다리꼴의 나머지 변(C1, C2, C3, C4)에 가장자리 선(L)을 대응시키는 때, 사다리꼴의 나머지 변(C1, C2, C3, C4) 사이의 양 각(γ1, γ2)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갖는다.The left head 46, the middle head 47, and the post head 48, in FIG. 6, a trapezoidal base (for example, a one-dot chain line that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50) C1, C4)) When matching the edge line L to the remaining sides of the trapezoid below (C1, C2, C3, C4), the angle (γ1) between the remaining sides of the trapezoid (C1, C2, C3, C4) , γ2).

또한, 상기 몸체부(42)와 목부(44)와 머리부(49)는, 도 4에서, 몸체부(42)와 목부(44)와 머리부(49)를 통해 복수의 제1 결합홀(H1)을 한정하고, 몸체부(42)를 통해 하나의 제2 결합홀(H2)을 한정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홀(H1)은, 도 4에서, 몸체부(42)와 목부(44)와 머리부(49)를 관통하여 몸체부(42)와 목부(44)와 머리부(49)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42, the neck portion 44 and the head portion 49, in Figure 4, the body portion 42, the neck 44 and the head portion 49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 ( H1) is defined, and one second coupling hole H2 is defined through the body portion 42.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H1), in Figure 4, through the body portion 42 and the neck 44 and the head portion 49, the body portion 42 and the neck portion 44 and the head portion 49 )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제2 결합홀(H2)은, 도 4에서, 임플란트(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때 복수의 제1 결합홀(H1)에서 개별 제1 결합홀(H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4, the second coupling hole H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dividual first coupling holes H1 in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H1 when view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50.

도 7은, 도 4의 임플란트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implant of FIG. 4.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임플란트(50A)는 도 4의 임플란트(5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50A)에서 몸체부(42A)와 목부(44A)와 머리부(49A)는, 임플란트(50A)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몸체부(42A))에서 두 개의 제1 결합홀(H1)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그루브(groove; 41), 몸체부(42A)와 목부(44A)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그루브(41), 및 목부(44A)와 머리부(49A) 사이에 위치되는 제3 그루브(41)를 더 한정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루브(41)는 임플란트(50A)에 신축성을 부가시켜 준다.Referring to FIG. 7, the implant 50A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implant 50 of FIG. 4. However, the body portion 42A, the neck portion 44A, and the head portion 49A in the implant 50A are two first in the body portion 42A when viewed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50A. A first groove (41)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hole (H1), the second groove (41) located between the body portion (42A) and the neck portion (44A), and the neck portion (44A) and head (49A) The third groove 41 located therebetween is further defined. The first to third grooves 41 add elasticity to the implant 50A.

도 8은, 도 4의 임플란트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implant of FIG. 4.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임플란트(50B)는 도 4의 임플란트(5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50B)에서 몸체부(42B)는, 임플란트(50B)의 길이 방향에 따라, 몸체부(42B)의 양 가장자리에서 개별적으로 목부(44B)의 가까이에서 시작하여 몸체부(42B)의 중앙 영역을 향해 연장하면서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모따기 홈(43)을 더 한정한다. 상기 모따기 홈(43)은 임플란트(50B)에 신축성을 부가시켜 준다.Referring to FIG. 8, the implant 50B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implant 50 of FIG. 4. However, in the implant 50B, the body portion 42B starts at the edges of the body portion 42B individually near the neck portion 44B, depending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mplant 50B, and the body portion 42B. The chamfering groove 43 is further defined to gradually deepen while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region of. The chamfer groove 43 adds elasticity to the implant 50B.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을 인체의 휜다리의 뼈구조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9 to 1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ne structure of the thigh of the human body.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인체의 휜다리, 예를 들면 밭장다리에서, 경골(30)과 대퇴골(90)은 연골(80)을 꼭지점으로 하여 도 9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이등변 삼각형은 경골(30)의 끝단부과 대퇴골(90)의 끝단부에서 동일한 예각(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밭장다리는 인체의 하중을 받는 단속적으로 동안 경골(30)과 대퇴골(90) 사이의 연골(80)에 과부하를 주어 연골(80)의 마모와 연골판의 파괴를 야기시킬 수 있다.9 to 14, in the thigh of the human body, for example, in a field leg, the tibia 30 and the femur 90 may form an isosceles triangle as shown in FIG. 9 using the cartilage 80 as a vertex. The isosceles triangle may have the same acute angle δ at the distal end of the tibia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femur 90. In this case, the field limb may overload the cartilage 80 between the tibia 30 and the femur 90 while intermittently receiving a load from the human body, thereby causing wear of the cartilage 80 and destruction of the cartilage plate. .

따라서, 상기 밭장다리의 교정을 위해, 상기 경골(30)에 휜다리 교정 구조물(70)을 사용하여 근위경골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휜다리 교정 구조물(70)은 대퇴부(90) 아래에서 비골(10), 경골(30)과 임플란트(50)를 도 10과 같이 포함하고, 경골(30)에 임플란트(50)를 접촉시켜 경골(30)과 임플란트(50)를 나사(60) 결합시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for the correction of the field limb, a proximal tibial osteotomy (HTO) may be performed using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70 on the tibia 30.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70 includes a fibula 10, a tibia 30, and an implant 50 under the thigh 90, as shown in FIG. 10, and the tibia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bia 30 30) and the implant 50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S. 11 and 12 by combining the screws 60.

상기 근위경골절골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경골(30)에 쇄기 모양의 개구부(25)가 도 11과 같이 형성되고, 그리고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아랫 부분과 윗 부분에 복수의 나사 수용홀(H3)이 도 11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골(30)의 개구부(25)는 시뮬레이션 상에서 휜다리의 뼈구조를 사용하여 비골(10)의 경계선(B) 주변에 다양한 실시예로 도 12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While performing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a claw-shaped opening 25 is formed in the tibia 30 as shown in FIG. 11, and a plurality of screws are provided i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opening 25 in the tibia 30. The receiving hole H3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11. Here, the opening 25 of the tibia 30 may be positioned as shown in FIG. 12 in various embodiments around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using the bone structure of the thigh in the simulation.

즉, 상기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은, 예를 들면, 비골(10)의 경계선(B)과 비교하여 개구부(25)의 정위치를 정하기 위해, 비골(10)의 경계선(B)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은, 예를 들면, 비골(10)의 경계선(B)과 비교하여 개구부(25)의 하단 위치를 정하기 위해, 비골(10)의 경계선(B)으로부터 경계선 아래를 향하여 -3.5mm 또는 -10mm 에 위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tibia 30, the opening end point P of the opening 25 is,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boundary line B of the fibula 10,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pening 25, the fibula 10 ) May be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the boundary line B. In addition, in the tibia 30, the opening end point P of the opening 25 is,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boundary line B of the fibula 10 to determine the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25, the fibula 10 ) May be located at -3.5 mm or -10 mm from the boundary (B) to below the boundary.

또한, 상기 경골(30)에서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은, 예를 들면, 비골(10)의 경계선(B)과 비교하여 개구부(25)의 상단 위치를 정하기 위해, 비골(10)의 경계선(B)으로부터 경계선(B) 위를 향하여 +6mm 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 상기 근위경골절골술(HTO)-수술 전은 경골에 개구부를 형성시키지 않은 비교 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 속한다. 상기 근위경골절골술(HTO)-수술후 개구 끝점-정위치와, 개구 끝점-하단 위치(= -3.5mm)와, 개구 끝점-하단 위치(= -10mm)와, 개구 끝점-상단 위치(= +6mm)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 속한다.In addition, in the tibia 30, the opening end point P of the opening 25 is compared with, for example,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to determine the top position of the opening 25, the fibula 10 ) From the boundary line (B) to the boundary line (B) may be located at + 6mm. Therefore, in FIG. 13, before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HTO) -surgery, it belongs to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n opening is not formed in the tibia. After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HTO) -surgery, the opening end-right position, the opening end-bottom position (= -3.5 mm), the opening end-bottom position (= -10 mm), and the opening end-top position (= +6 mm) ) Belongs to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그래프는, 도 10의 이등변 삼각형에서 경골(30)의 끝단부과 대퇴골(90)의 끝단부에서 예각(δ)을 가지는 때, 인체의 하중으로써 자중 조건(= 80 kgf)을 받는 동안 경골(30)과 함께 경골(30) 주변에 위치되는 비골(10), 연골(80), 발목에 주는 응력을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확보된 결과물이다. 이 경우에, 상기 인체의 하중은 도 13에서 정 하중이지만 인체의 움직임을 감안하는 때 정 하중 대신에 피로 하중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The graph of FIG. 13 shows the tibia while receiving the self-weight condition (= 80 kgf) as a load on the human body when the isosceles triangle of FIG. 10 has an acute angle (δ) at the distal end of the tibia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femur 90. It is the result obtained by using the simulator to apply stress to the fibula 10, cartilage 80, and ankle located around the tibia 30 along with the 30. In this case, the load of the human body is a static load in FIG. 13, but considering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t can be extended to a fatigue load instead of a static load.

도 13의 그래프에서, 상기 비골(10)은, 대퇴골(90)을 통해 인체의 하중으로써 자중 조건(= 80 kgf)을 인가받는 때, 경골(30)과 대퇴골(90)에서 삼각형의 이등변을 이루면서 이등변의 개별 변과 삼각형의 밑변 사이에 예각(δ)를 가지면, 근위경골절골술의 수행 전 받는 응력(stress) 대비 수행 후 받는 응력(stress)을 작게 가질 수 있다. 상기 근위경골절골술의 수행 후, 상기 비골(10)의 작은 응력은 휜다리를 가진 환자의 고통을 줄여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력(stree)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 미세스 등가 응력(Von mises equivalent stress)이다.In the graph of FIG. 13, the fibula 10 forms a triangular isosceles in the tibia 30 and the femur 90 when a self-weight condition (= 80 kgf) is applied as a load on the human body through the femur 90. Having an acute angle (δ) between the individual sides of the isosceles side and the bottom side of the triangle, it is possible to have a smaller stress received after th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tress received before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After performing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the small stress of the fibula 10 may reduce the pain of the patient with the thigh. Here, the stress (stree) is, as shown in Figure 14, von Mises equivalent stress (Von mises equivalent stress).

또한, 상기 비골(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골(90)을 통해 인체의 하중으로써 자중 조건(= 80 kgf)을 인가받는 때, 경골(30)과 대퇴골(90)에서 삼각형의 이등변을 이루면서 이등변의 개별 변과 삼각형의 밑변 사이의 각에 예각(δ)을 가지면, 근위경골절골술의 수행 후, 비골(10)의 경계선(B) 아래에 또는 비골(10)의 경계선(B)과 동일한 위치에 경골(30)의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을 구비하여 인가받는 응력 대비 비골(10)의 경계선(B) 위에 경골(10)의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을 구비하여 인가받는 응력을 작게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bula 10, as shown in Figure 13, when receiving a self-weight condition (= 80 kgf) as a load on the human body through the femur 90, the triangle in the tibia 30 and femur 90 Having an acute angle (δ) at an angle between the individual sides of the isosceles and the base of the triangle while forming an isosceles of, after performing the proximal tibial osteotomy, below the boundary line (B) of the fibula 10 or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10 (B) ) Has the opening end point (P) of the opening 25 of the tibia 30 at the same location as the stress applied to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against the applied stress (B) of the opening 25 of the opening 25 of the tibia 10 P) to have a small stress applied.

또한, 상기 경골(30)은, 대퇴골(90)을 통해 인체의 하중으로써 자중 조건(= 80 kgf)을 인가받는 때, 경골(30)과 대퇴골(90)에서 삼각형의 이등변을 이루면서 이등변의 개별 변과 삼각형의 밑변 사이의 각에 예각(δ)을 가지면, 근위경골절골술의 수행 후, 비골(10)의 경계선(B) 아래에 경골(30)의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을 구비하여 인가받는 응력 대비 비골(10)의 경계선(B) 위에 경골(30)의 개구부(25)의 개구 끝점(P)을 구비하여 인가받는 응력을 작게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ibia 30, when receiving the self-weight condition (= 80 kgf) as a load on the human body through the femur 90, the individual sides of the isosceles while forming an isosceles triangle in the tibia 30 and the femur 90 Having an acute angle (δ) at an angle between the and the base of the triangle, after performing the proximal tibial fracture, the opening end point P of the opening 25 of the tibia 30 is provided below the boundary line B of the fibula 10 By providing the end point P of the opening 25 of the tibia 30 on the boundary B of the fibula 10 compared to the applied stress, the applied stress may be small.

여기서, 상기 연골(80)과 발목도 비골(10) 또는 경골(30)과 유사한 현상을 갖는다.Here, the cartilage 80 and the ankle also have a phenomenon similar to the fibula 10 or tibia 30.

10; 비골, 25; 개구부
30; 경골. 50; 임플란트
60 나사 부재, 70; 휜다리 교정 구조물
80; 연골, 90; 대퇴골
10; Fibula, 25; Opening
30; tibia. 50; Implant
60 thread member, 70; Thigh correction structure
80; Cartilage, 90; femur

Claims (19)

인체의 휜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휜다리에 근위경골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을 구현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휜다리의 발목으로부터 대퇴골을 향해 연장하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휜다리에서 상기 대퇴골 아래의 연골(cartilage)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골과 경사지게 마주하는 경계선을 가지는 비골(fibular);
상기 비골 주변에서 상기 비골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연골과 접촉하고, 상기 비골의 반대편으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비골을 향해 점진적으로 폐쇄되는 쇄기 모양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 주변에 상기 개구부의 개구 끝점을 위치시키는 경골(tibial); 및
상기 경골에 결합되어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윗 부분과 상기 아랫 부분을 연결시키는 임플란트(implant)를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는,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초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골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융기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In the thigh correction structure that implements a High Tibial Osteotomy (HTO) on the thigh to correct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 fibular extending from the ankle of the thigh toward the femur, and viewed from the side, spaced apart from the cartilage below the thigh in the thigh and facing obliquely with the cartilage;
It has a wedge-shaped opening that extends along the fibula around the fibula and contacts the cartilage, and opens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bula and gradually closes toward the fibula,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around the perimeter of the fibula Tibial to position the opening end of the opening in (tibial); And
It is coupled to the tibia and includes an implant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The implant is made of a superelastic material contain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and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that rises from the opening of the tibi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골은, 상기 대퇴골을 통해 인체의 하중을 인가받는 때, 상기 경골과 상기 대퇴골에서 삼각형의 이등변을 이루면서 상기 이등변의 개별 변과 상기 삼각형의 밑변 사이에 예각(銳角)을 가지면, 상기 근위경골절골술의 수행 전 받는 응력 대비 수행 후 받는 응력을 작게 가지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bula, when receiving a load from the human body through the femur, when having an acute angle between the individual sides of the isosceles and the base of the triangle while forming an isosceles triangle of the tibia and the femur, the proximal tibia fracture A tread correction structure that has a smaller stress received after the performance than the stress received before the performa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은, 상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비골에서 상기 경계선과 동일한 레벨 또는 상기 경계선보다 더 낮은 레벨 또는 상기 경계선보다 더 높은 레벨에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개구 끝점을 위치시키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ibia,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as the boundary line at the fibula, or at a level lower than or above the boundary line, or at a level higher than the boundary li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은, 상기 휜다리의 발목(ankle)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비골보다 더 연장하며,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 아래에서 상기 개구부의 입구를 가지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ibia extends more than the fibula based on the ankle of the thigh, and the orthodontic structure having an entrance to the opening below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은,
상기 비골 주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경골의 폭을 반이상 절개시키며,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 아래에 상기 개구부의 입구를 가지면서 상기 개구부를 경사지게 구비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ibia,
Cut the width of the tibia more than half through the opening around the fibula,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having an opening of the opening below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and slanting the open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은,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볼 때,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아랫 부분보다 상기 윗 부분에서 상기 임플란트와 더 큰 폭으로 접촉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ibia,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implant at a greater width in the upper portion tha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경골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아랫 부분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경골의 개구부 상에서 정점(頂點)을 이루면서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을 향해 기울어져 안착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implant,
When look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that ris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and forms an apex on the opening of the tibia, while being seated inclin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경골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몸체부와 목부와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경골 상에서 'T'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T' 자 형상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수직하게 볼록한 굴곡을 이루고 상기 'T' 자 형상의 상기 상부측에서 수평하게 볼록한 굴곡을 이루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implant,
When look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It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neck portion and a head portion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have a 'T' shape on the tibia and form a vertical convex curve from the lower side of the 'T' shape to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T' shape Tread correction structures that form horizontally convex bend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는,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경골의 사잇각보다 상기 목부와 상기 경골의 사잇각에서 더 큰 각을 이루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When look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that forms a greater angle at the angle between the neck and the tibia than the angle between the body and the tibi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아랫 부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경골의 폭보다 더 작은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toward the opening in the tibia partially overlapping the opening,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ibia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ibi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neck portion,
The tibia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toward the opening and partially overlaps the opening,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body when viewed at a right angl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경골의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에서 상기 목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경골의 상기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목부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head portion,
Located on the neck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tibia,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body portion or the neck portion when viewed at a right angl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ibi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비골 주변에서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좌편(左便) 머리부와 중간(中間) 머리부와 우편(右便)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편 머리부와 상기 우편 머리부는 상기 중간 머리부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고 상기 경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윗 부분의 굴곡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중간 머리부와 함께 상기 경골에 접촉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head portion includes a left head portion, a middle head portion, and a postal head portion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around the fibula,
The left head portion and the postal head portion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iddle head and are positioned along the curva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tibia to contact the tibia with the middle hea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좌편 머리부와 상기 중간 머리부와 상기 우편 머리부는,
상기 비골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볼 때 상기 연골 가까이에서 상기 우편 머리부로부터 상기 좌편 머리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끝단에 가장자리 선을 한정하고,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향해 펼쳐지는 직각 삼각형의 빗변에 상기 가장자리 선을 대응시키는 때, 상기 우편 머리부에서 상기 직각 삼각형의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펼쳐지는 사다리꼴의 밑변 아래에서 상기 사다리꼴의 나머지 변에 상기 가장자리 선을 대응시키는 때,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나머지 변 사이의 양 각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가지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3,
The left head portion, the middle head portion and the postal head portion,
An edge line defined at an end inclined toward the left head from the postal head near the cartilage when viewed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fibula,
When the edge line corresponds to the hypotenuse of the right triangle extending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n acute angle of the right triangle is formed at the postal head,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angles between the remaining sides of the trapezoid when the edge line is mapped to the remaining sides of the trapezoid under the bottom of the trapezoid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를 통해 복수의 제1 결합홀을 한정하고,
상기 몸체부를 통해 하나의 제2 결합홀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홀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홀에서 개별 제1 결합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are defined through the body, the neck, and the head,
A second coupling hole is defined through the body portion,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re opened toward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The second coupling hole is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an individual first coupling hole in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when view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볼 때,
상기 몸체에서 두 개의 제1 결합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그루브(groove);
상기 몸체와 상기 목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그루브; 및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3 그루브를 더 한정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5,
The body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When view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 first groove located between two first coupling holes in the body;
A second groove located between the body and the neck; And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further defining a third groove located between the neck and the head.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양 가장자리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목부의 가까이에서 시작하여 상기 몸체부의 중앙 영역을 향해 연장하면서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모따기 홈을 더 한정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5,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 thigh correcting structure further defining a chamfer groove so as to gradually deepen while starting toward the central region of the body portion, starting from close to the neck portion at both edges of the body portion individual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은,
인체의 응력(steress)에 따른 신장률(strain)의 변화를 볼 때,
상기 인체에서 뼈의 히스테리 시스 곡선 주변에서 상기 뼈의 상기 히스테리 시스 곡선을 둘러싸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hysteresis curve of the implant,
When looking at the change in strain according to the stress of the human body,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surrounding the hysteresis curve of the bone around the hysteresis curve of the bone in the huma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초탄성 재료에 합금금속 및 초탄성 플라스틱 및 초탄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휜다리 교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implant is a thigh correction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lloy metal, a superelastic plastic, and a superelastic polymer in the superelastic material.

KR1020180132990A 2018-11-01 2018-11-01 Bow-leg revising structure KR102190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90A KR102190433B1 (en) 2018-11-01 2018-11-01 Bow-leg revis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90A KR102190433B1 (en) 2018-11-01 2018-11-01 Bow-leg revis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29A true KR20200050229A (en) 2020-05-11
KR102190433B1 KR102190433B1 (en) 2020-12-11

Family

ID=7072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990A KR102190433B1 (en) 2018-11-01 2018-11-01 Bow-leg revis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43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80341A1 (en) * 2012-12-21 2014-06-26 Mako Surgical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planning and performing an osteotomy
KR101522158B1 (en) 2014-12-18 2015-05-22 김윤기 Bone plate
KR20150097278A (en) * 2014-02-18 2015-08-26 (주)메디쎄이 T-type bone locking plate
WO2017195307A1 (en) * 2016-05-11 2017-11-16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80341A1 (en) * 2012-12-21 2014-06-26 Mako Surgical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planning and performing an osteotomy
KR20150097278A (en) * 2014-02-18 2015-08-26 (주)메디쎄이 T-type bone locking plate
KR101522158B1 (en) 2014-12-18 2015-05-22 김윤기 Bone plate
WO2017195307A1 (en) * 2016-05-11 2017-11-16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33B1 (en)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16867B2 (en) Fixation plate for use in the Lapidus approach
US8603091B2 (en) Pelvic and scapular bone plate and method for implantation
CN107847251B (en) Locked bone implant
US6123709A (en) Bone buttress plate and method of using same
US5346492A (en) Perforated metallic panels and strips for internal fixation of bone fractures and for reconstructive surgery
US20060015102A1 (en) Fastener implant for osteosynthesis of fragments of a first metatarsal bone that is broken or osteotomized in its proximal portion and a corresponding osteosynthesis method
AU698093B2 (en) A device to stabilise the lamina
US20080215096A1 (en) Devices to Stabilise the Lamina
US10932831B2 (en)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KR20120107955A (en) Mandibular fixation plate
JP2006524114A (en) Bone fixation plat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6280952A (en) Plate for fixing metatarsal bone
JP2009523538A (en) Adjustable bone plate
JPH1189854A (en) Cervical vertebra correcting holder
RU2699624C2 (en) Pre-formed implant for repositioning and fixation of centrolateral midfacial fracture
JP6760953B2 (en) Laminoplasty spacer
US2013001842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 vivo adjustable bone plate
JP2002500062A (en) Skull spring clip
JP6853607B2 (en) Bone implant with tether band
KR20200050229A (en) Bow-leg revising structure
EP3563779B1 (en) Dysphonia treatment tool
KR100997811B1 (en) A fixing device of laminoplasty in spinal column
CN204909615U (en) Road bridge meets steel sheet fixing system before cervical vertebra
KR20080092398A (en) System comprising a plate and pedicle screws, and its applications
KR20240020446A (en) Artificial bone for micro-invasiveness and inser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