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021A -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021A
KR20200050021A KR1020180131355A KR20180131355A KR20200050021A KR 20200050021 A KR20200050021 A KR 20200050021A KR 1020180131355 A KR1020180131355 A KR 1020180131355A KR 20180131355 A KR20180131355 A KR 20180131355A KR 20200050021 A KR20200050021 A KR 20200050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business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tasks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민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송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민 filed Critical 송성민
Priority to KR102018013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021A/ko
Publication of KR2020005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6단계의 정부 기능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중앙 정보 및 지방자치단체의 업무 관리 시스템(이하, 온나라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실무자 중심의 업무 관리 지원 시스템으로, 기능 분류 체계 중 업무의 최소 단위인 단위 과제를 실무자 관점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과제의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지 않던 구두/대면 지시 과제의 관리를 통해 유사ㆍ중복 업무의 수행을 최소화하고, 업무 수행 과정 중 습득한 개인의 경험 및 업무 지식 노하우(Know-how)의 효율적 재활용 및 빅데이터 기반의 업무특성 분석을 통해 향후 업무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NSOLIDATED SYSTEM AND METHOD OF TASK MANAGEMENT FOR HAND ON WORKER}
본 발명은 실무자 중심의 통합업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정부 업무 관리 시스템(이하 '온-나라 시스템')의 문제를 보완하여 업무 효율성과 실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10-0553452는 정부의 각 조직 내 또는 조직 간에 업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정부 업무 관리 시스템은 등록특허공보 10-0553452와 같이 정부 기능 분류 체계에 따른 단위 과제별로 과제 카드를 생성하여 조직 내 개인 간 또는 조직 간 과제 업무의 수행, 보고, 검토, 인수인계, 이관 등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존 정부의 업무 관리 시스템은 단위 과제별 업무 효율 증가와 협업 체계의 개선, 업무 공백의 방지가 어느 정도는 가능하였으나, 톱다운(Top-Down) 방식의 과제 관리 체계하에서 단위 과제가 모호하게 설정되어 있어 업무 진행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정부기능분류체계 기반의 단위 과제 규모가 실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수준으로 세분화 되지 않은 점과 기존 업무 관리 시스템의 문서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단위 과제를 기반으로 한 과제 카드가 존재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첫째, 정부 기능 분류 체계 기반의 단위 과제 규모가 실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수준으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 업무의 누락, 중복, 혼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기존 업무 관리 시스템의 문서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단위 과제를 기반으로 한 과제 카드가 존재해야하기 때문에, 단위 과제가 없는 긴급 과제 및 과/팀 내부 지시 과제의 경우 문서의 생산 및 기록 관리를 할 수 없거나, 임의에 과제 카드와 연관 지어 문서를 생산, 기록하게 된다.
셋째, 불명확한 단위 과제와 기존 업무 관리로서 처리가 불가능한 구두/대면 중심의 지시 관리로 인하여 누가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하는지 확인이 어려워 동일·유사 업무가 중복하여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관리자는 구두/대면 업무에 대한 업무 진행상태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넷째, 구두/대면 업무처리가 반영되지 않은 기존 업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업무 인수인계를 수행하나, 단위 과제만으로는 실무 관점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어렵고, 과제 카드에는 연관성 낮은 문서자료들이 혼재되어 있어 업무 파악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된다.
다섯째, 구두/대면 지시 업무가 다른 실무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실제 수행한 업무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없어, 수행한 업무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일에 대한 동기부여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553452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웹 기반의 업무 관리 시스템을 App 기반의 개인 업무 관리 지원 시스템으로의 확장 및 보완을 통해 기 운용 시스템에 영향이 없이 단위 과제의 적정한 세분화 방안 및 구두/대면 중심의 드러나지 않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은,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단위 과제를 조회하여 게시하는 통합 업무 관리 서버와,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이미 게시된 단위 과제에 대해 세부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 및 저장하는 실무자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무자 단말은, 상기 저장된 세부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저장된 문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는, 상기 실무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세부 과제와 상기 업로드 된 문서를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무자 단말은,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등록된 세부 과제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여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단위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제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방법은, 과제 관리자 단말이 단위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단위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통합 업무 관리 서버가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단위 과제를 조회하여 게시하는 단계와, 실무자 단말이 상기 게시된 단위 과제에 대한 세부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세부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실무자 단말이 상기 등록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문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가 상기 실무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세부 과제와 상기 업로드 된 문서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단위 과제를 실무자의 입장에서 적정한 수준으로 세분화하고 관리할 수 있어 정부 기관의 업무 특성 파악에 용이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부정책 활용 및 최적의 의사 결정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그동안 드러나지 않은 개별 공무원의 전체 업무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업무 진행에 대하여 과제 관리자와 실무 담당자 간의 실시간 진행 상태 공유가 가능하여, 과 또는 팀 내부자 간의 신뢰성 개선 및 공무원 조직 내부 일 하는 분위기 조성에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결과물 중심의 단편적이고 제약적인 업무 인수인계 방식에서 탈피하여 드러나지 않은 일을 포함한 전체 진행 업무에 대한 효율적 인수인계 및 지식 전수가 가능하여 인수 인계로 인한 업무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도시된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이 어떻게 종래의 온-나라 시스템을 보완, 확장하여 동작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비공식 지시 업무에 대한 업무 정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도시된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이 어떻게 종래의 온-나라 시스템을 보완, 확장하여 동작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 실무자 단말(120, 130) 및 시스템 관리자 단말(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기존 정부에서 운영하는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을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단위 과제의 불명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업무 누락, 중복, 혼재를 방지하고, 단위 과제와 관련된 과제카드의 미등록 시 문서관리 프로세스 자체를 진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실무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해당 단위 과제를 세분화한 세부과제로 생성함으로써 업무의 누락, 중복, 혼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긴급과제와 같이 단위 과제에 대한 과제카드가 미등록 상태인 경우에도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선수행 후등록 프로세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위 과제나 과제카드가 없는 비공식 지시 업무의 경우에도 문서 작성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업무 문서들의 보관과 검색은 물론 업무 실적의 산정에 있어서도 누락없이 최적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기존의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 내부망을 통해 연결되고, 실무자 단말(120)은 기존의 실무자 단말에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되며 내부망을 통해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기존의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을 보완 및 확장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로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120, 130)에는 본 발명의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기존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따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단위 과제와 관련된 자료들(문서, 메모 보고, 일지 등)이 해당 과제카드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 과제는 업무의 최소 단위로서, 현재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서는 개인의 최소 업무 단위가 아닌 부서의 최소 업무 단위로 책정되고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단위 과제는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 상에서 취급되는 정부 부서의 최소 업무 단위 과제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 기 저장된 단위 과제와 관련된 자료들을 조회하여 전송 받고, 이를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무자 단말(120)의 로그인 이력이나 시스템 오류 등의 로그 관리를 수행하고 작업 진행 상태 등의 이력을 관리하거나, 통계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실무자 단말(120)로부터 수행되고 있는 단위 과제에 대한 업무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무자 단말(12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의해 게시되는 단위 과제를 조회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 온-나라 시스템(10) 하에서, 실무자는 실무자의 현재 업무가 속하는 단위 과제를 조회하고 해당 단위 과제가 속하는 과제카드에 문서를 작성하여 등록해야 하는데, 기존의 단위 과제는 그 범위가 불분명하여 실제 업무를 위한 수준 정도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았다.
예를 들어, A 부서 소속의 일반 서무인 a 담당자는 ㉠부서의 비품 관리, ㉡부서 지출 업무 처리, ㉢부서 일정 관리 현황 전파, ㉣부서 직원 경조사 관리를 업무로 수행하지만, 이러한 업무들 중 일부(예컨대, ㉠ 및 ㉡)는 부서의 최소 업무 단위인 단위 과제(예컨대, 단위 과제명은 ‘일반업무’)로 묶여 있거나 아예 단위 과제에 해당되지 않는 업무(예컨대, ㉢ 및 ㉣)가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a 담당자가 ㉠부서의 비품 관리와 ㉡부서 지출 업무를 처리할 때, 각각의 업무에 관련된 기안이나 전자문서들은 상기 ‘일반업무’로 명명된 단위 과제와 관련된 과제카드에 함께 등록된다.
이러한 업무 내용이 계속적으로 누적되면, a 담당자는 비품 관리와 지출 업무 처리를 공통의 단위 과제인 ‘일반업무’로 한꺼번에 관리하기 때문에 관련 업무의 내용을 추후에 다시 찾기 어려워지며, b 담당자에게 업무 인계 시 b 담당자 역시 업무 파악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무자 단말(120)은 단위 과제의 세분화, 즉, 상기 단위 과제에 있어서 실무자의 현재 업무에 대응되는 세부 과제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한 세부 과제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담당자는 단위 과제인 ‘일반업무’를 실제 업무에 맞게 ‘부서 비품 관리’와 ‘부서 지출 업무 관리’로 세분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세부 과제를 실무자 단말(120)에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등록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실무자 단말(120)은 실무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위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 및 저장하고 이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실무자 단말(120)에 의해 업 로드 되는 단위 과제별 세부 과제와 해당 전자 문서를 등록하여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서는 단위 과제에 대한 과제카드가 존재하여야만 문서 작성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과제카드가 아직 등록되기 전의 긴급 과제나 구두, 대면 지시 업무로 애초에 과제카드가 없는 비공식 지시 업무에 대해서는 실무 담당자가 해당 과제의 문서를 작성하거나 기록 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긴급히 처리를 요하는 상기 긴급 과제의 경우, 실무 담당자들은 업무의 특성상 유사해 보이는 임의의 과제카드에 해당 긴급 과제의 문서를 작성하여 기록하게 되고, 과제카드에는 연관성이 없는 문서들이 혼재 되거나 업무 누락, 업무 중복이 발생하며, 업무 인수 인계 시 업무 파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과제카드 자체가 없는 비공식 지시 업무의 경우 기존의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 의해서는 업무 처리 자체가 불가능하고, 업무를 이행하여도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는 기록이 남지 않아 업무 수행에 대한 실적 제시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무자 단말(120)은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해당 단위 과제(예컨대, 상기 긴급 과제)의 과제카드가 등록되기 전이라도, 상기 긴급 과제에 대한 문서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무자 단말(120)은 상기 비공식 지시 업무의 경우와 같이 과제카드가 등록되지 않는 추가 업무에 대해서도 문서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무자 단말(120)을 통해 문서가 작성 및 저장된 경우, 실무자 단말(120)은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로 상기 작성한 문서를 송신하여 통합 업무관리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해당 단위 과제(상기 긴급 과제)에 대한 과제카드가 온-나라 시스템(10) 또는 통합 업무 관리 서버(100)에 등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며, 해당 단위 과제에 대한 과제카드가 추후 등록되는 경우, 상기 실무자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문서를 온-나라 시스템(10)의 문서 관리 프로세스에 연계시켜 업로드 할 수 잇다.
또한,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상기 비공식 지시 업무와 같이 앞으로도 과제카드가 등록되지 않을 업무에 대해 작성된 문서 역시, 진행상태를 확인하고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렇듯 본원 발명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긴급 과제와 같은 선수행 후계획 과제나 비공식 지시 업무와 같은 추가 과제에 대해서도 문서 작성이 가능하고, 추후 해당 과제카드와 연계한 문서 업로드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업무 중복, 업무 누락, 업무 혼재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다시 앞서 언급한 a 담당자의 예를 들어보면, ㉢부서 일정 관리 현황 전파와 ㉣부서 직원 경조사 관리 업무는 단위 과제에 해당되지 않는 업무로 추후 과제카드가 등록되지 않는 업무이지만, 본 발명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실무자 단말(120)을 통해 상기 ㉢, ㉣ 업무(비공식 지시 업무)에 대해서도 업무의 정의 및 문서 작성이 가능하여 추후 a 담당자의 실적 산정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비공식 지시 업무에 대한 업무 정의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상기 ㉢부서 일정 관리 현황 전파 업무에 대한 예이고, 도 3(b)는 상기 ㉣부서 직원 경조사 관리 업무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각각의 업무에 대해, 실무자 단말()은 지시자, 지시번호, 지시 제목, 지시일자, 추진 기간, 지시구분, 지시내용, 주관부서, 이행담당자 등에 대한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실무자 단말(120)은 업무 인수인계서를 작성함으로써 단위 과제별은 물론이고 세부 과제별로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업무 인수인계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세부 과제에 대한 각 문서별로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인수인계를 요청할 수도 있다.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실무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인수인계를 수행하여 등록하고, 업무를 인수받을 실무자 단말(130)로 업무 인수인계를 알람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인사랑 조직/사용자 정보 시스템(20)에 등록된 조직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수인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무 인수인계서를 개시하여 인수자가 해당 자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후, 인수자는 실무자 단말(130)을 통해 인수할 자료가 있음을 확인하고,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로부터 자료를 수신하여 인수 검토를 확정한다.
실무자 단말(130)로부터 인수 확정이 일정 기간이 경과되어도 확정되지 않는다면,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는 인수인계 종료일 이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되면 인수 검토를 자동으로 확정하여 인수 인계에 따른 데이터 일관성을 확보한다.
추가적으로,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이미 완료된 단위 과제를 게시하여 다른 실무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완료 전이라 하더라도 현재 진행 중인 단위 과제에 대해 다른 열람 권한이 부여된 실무자들에게 공유하여 다른 단위 과제의 수행에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단위 과제를 통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과제 관리자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가 단위 과제나 세부 과제의 통합 또는 분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과제 관리자 단말(130)이 단위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단위 과제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를 통해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 등록한다(S101).
다음으로,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가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10)에 기 저장된 단위 과제를 조회하여 게시한다(S102).
순차적으로, 실무자 단말(120)이 게시된 단위 과제에 대한 세부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세부 과제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등록한다(S103).
그 후, 실무자 단말(120)이 등록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문서를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에 업로드한다(S104).
다음으로, 통합 업무 관리 서버(110)가 실무자 단말(120)에 의해 등록된 세부 과제와 업로드 된 문서를 게시한다(S105).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온-나라 시스템
20 : 인사랑 시스템
100: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110: 통합 업무 관리 서버
120: 실무자 단말
130: 과제 관리자 단말

Claims (5)

  1.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단위 과제를 조회하여 게시하는 통합 업무 관리 서버;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이미 게시된 단위 과제에 대해 세부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 및 저장하는 실무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실무자 단말은,
    상기 저장된 세부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저장된 문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는,
    상기 실무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세부 과제와 상기 업로드된 문서를 게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무자 단말은,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등록된 세부 과제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여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단위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단위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제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4. 과제 관리자 단말이 단위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단위 과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통합 업무 관리 서버가 온나라 업무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단위 과제를 조회하여 게시하는 단계;
    실무자 단말이 상기 게시된 단위 과제에 대한 세부 과제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실무자 단말이 상기 등록된 세부 과제에 대한 문서를 작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문서를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업무 관리 서버가 상기 실무자 단말에 의해 등록된 세부 과제와 상기 업로드된 문서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방법.
KR1020180131355A 2018-10-30 2018-10-30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0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55A KR20200050021A (ko) 2018-10-30 2018-10-30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55A KR20200050021A (ko) 2018-10-30 2018-10-30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021A true KR20200050021A (ko) 2020-05-11

Family

ID=7072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55A KR20200050021A (ko) 2018-10-30 2018-10-30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0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452B1 (ko) 2005-08-16 2006-02-21 대한민국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452B1 (ko) 2005-08-16 2006-02-21 대한민국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xit et al. Integration of facility management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 review of key issues and challenges
US8799210B2 (en) Framework for supporting transi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of an organization
Wohlrab et al. Collaborative traceability managem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han et al. Factors generating risks during requirement engineering process in global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Sahara et al. Real-time data integration of an internet-of-things-based smart warehouse: a case study
US20090265137A1 (en) Computer-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failure analysis
Rajvanshi et al. A comprehensive mobile application tool for disease surveillance, workforce management and supply chain management for Malaria Elimination Demonstration Project
Abrantes et al. Preparing project based organizations for change
Tillmann Using the Last Planner System to tackle the social aspects of BIM-enabled MEP coordination
Agarwal et al. Compliance-as-code for cybersecurity automation in hybrid cloud
Leung et al. Assessing knowledge assets: Knowledge audit of a social service organization in Hong Kong
Iqbal et al. Significant requirements engineering practices for software development outsourcing
JP7346337B2 (ja) 定期検査情報連携システムおよび定期検査情報連携方法
Astri et al. Information System Strategic Planning with Enterprise Architecture Planning
Sihvonen et al. Improving release and patch management processes: An empirical case study on process challenges
Jebreen et al. Empirical Study of Analysts' Practices in Packaged Software Implementation at Small Software Enterprises.
Andrews et al. Pre-hospital retrieval and transport of road trauma patients in Queensland: A process mining analysis
KR20200050021A (ko) 실무자 중심의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rönevall et al. Designing an integrated project, program and portfolio system-a case study of healthcare
Yankah et al. Appraisal of Mobile Apps fo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Construction Project Teams
US201003249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mpliance with Loan Servicing Legislation
Gustavsson The impact of agile coordination practices on conditions for successful coordination
Valverde et al. DSS based it service support process reengineering using ITIL: A case study
Miranda et al. Implementation of a Public Works Communication Management Model
Soares De Toledo Managing Architectural Technical Debt in Micro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