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808A -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808A
KR20200049808A KR1020207008658A KR20207008658A KR20200049808A KR 20200049808 A KR20200049808 A KR 20200049808A KR 1020207008658 A KR1020207008658 A KR 1020207008658A KR 20207008658 A KR20207008658 A KR 20207008658A KR 20200049808 A KR20200049808 A KR 2020004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terminal device
indication signal
drx indicat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134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개시하며, 해당 방법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주기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타겟 DRX 주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DRX 지시 신호에 따라 해당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N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DRX 지시 주기는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해당 DRX 지시 신호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N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한다.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부동한 시간에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켜,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력 절약을 고려하여, 불연속 전송(Discontinuous Reception, DRX) 메커니즘이 도입되고 있다. 각 DRX 주기(DRX Cycle)에는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및 슬립 기간(Opportunity for DRX)이 포함되고, 활성화 기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슬립 기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 수신을 중단하여(단말기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출 중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므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활성화 기간에서 제어 채널을 검색하도록 DRX 메커니즘을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하지만, 단말기 디바이스는 활성화 기간에서 단지 기회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서비스 부하가 낮은 경우에도 소수의 DRX 주기에서만 스케줄링되고, DRX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단말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기회는 더 적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메커니즘이 구성된 후, 다수의 활성화 기간에서 제어 채널을 검출할 수 없지만 여전히 웨이크 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불연속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자신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기간 중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하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색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에 의해 송신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여기서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이고,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이다.
제 2 양태로서, 불연속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이 필요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위치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고,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의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여기서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이고,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이다.
제 3 양태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모든 가능한 양태의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모든 가능한 양태의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조작을 실행하는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양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모든 가능한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조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모든 가능한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조작을 실행하는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 5 양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수신기, 메모리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모든 실현 가능한 방법을 실행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3 양태에서 제공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실현시킨다.
제 6 양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수신기, 메모리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모든 실현 가능한 방법을 실행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4 양태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실현시킨다.
제 7 양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양태를 실행시켜, 다양한 실현 방식의 임의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제 8 양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양태를 실행시켜, 다양한 실현 방식의 임의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제 9 양태에서, 시스템 칩이 제공되고, 시스템 칩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명령어가 실행되면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현한다.
제 10 양태에서, 시스템 칩이 제공되고, 시스템 칩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명령어가 실행되면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현한다.
제 11 양태는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컴퓨터에 제 1 양태 또는 제 1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킨다.
제 12 양태는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컴퓨터에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용 장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DRX 주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불연속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DRX 주기의 확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DRX 주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불연속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시스템,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복신(Time Divi ion Duplex :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TS),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처리(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의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 PLMN )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SM 또는 CDMA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 WCDMA 시스템의 기지국(NodeB : NB), LTE 시스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 eNB 또는 eNodeB),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의 PLMN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용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는 단말기 디바이스(2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말기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가 송신하는 동기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나타낸 화살표는 단말기 디바이스(2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하는 상향/하향 전송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 to Device : D2D) 네트워크 또는 기계 대 기계/사람(Machine to Machine/Man : M2M)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가르킬 수 있고, 도 1은 예시적인 단순화된 모식도일 뿐이며, 네트워크는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주기(DRX Cycle)에는 활성화 기간(on duration)과 슬립 기간(Opportunity for DRX)이 포함되고,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는 활성화 기간, 즉 on duration 기간 내에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검출(또는 수신)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슬립 기간, 즉 Opportunity for DRX 기간 내에 PDCCH의 수신을 중단하여(이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PDCCH 또는 페이징 메시지의 블라인드 검출을 중단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므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웨이크 업 기간에서 PDCCH를 검출하기 위한 웨이크 업 상태에 있고, 슬립 기간에서 채널이나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활성화 기간에서 제어 채널을 검출하도록, DRX 메커니즘을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하지만, 단말기 디바이스는 활성화 기간에서 단지 기회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서비스 부하가 낮은 경우에도 소수의 DRX 주기에서만 스케줄링되고, DRX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단말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기회는 더 적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메커니즘이 구성된 후, 다수의 DRX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제어 채널을 검출하지 못하지만, 이러한 DRX의 활성화 기간에서 여전히 웨이크 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자신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복수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실제로 자신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획득하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슬립 상태를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해당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CCH의 검출에 사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페이징 메시지의 검출에도 사용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은 RRC 아이들(idle) 상태에서의 DRX 메커니즘이며, 이 경우 DRX 주기는 페이징 주기이다. 페이징 무선 프레임(Paging Frame, PF)은 특정된 무선 프레임 또는 시스템 프레임이라고 지칭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PF의 특정 서브 프레임, 즉 페이징 시점(Paging Occasion, PO)에서 페이징(Paging) 메시지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해당 PO에서 페이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Paging Radio Network Tempory Identity P-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되고,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나타내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전송될 수 있다 . DRX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주기(DRX cycle)마다 하나의 PO만 검출하면 된다. 즉, 각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DRX 주기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만이 사용될 수 있고, PF는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프레임이며, PO는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PF의 서브 프레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불연속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도 1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20)이다. 도 3과 같이 해당 불연속 수신 방법은 단계 310 내지 단계 330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한다.
단계 320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해당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해당 DRX 지시 신호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해당 M 개의 DRX 주기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단계 330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DRX 지시 신호에 따라 해당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해당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불연속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DRX 지시 신호를 해당 타겟 DRX 주기에서 검출할 수도 있고(예를 들어,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첫 번째 타임 슬롯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한다), 또는 타겟 DRX 주기 이전에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해당 DRX 지시 신호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는 M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 즉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을 나타낸다.
즉,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는 타겟 DRX 주기 또는 타겟 DRX 주기 이전에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DRX 지시 신호의 유효 시간 길이이며, 해당 DRX 지시 신호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주기(즉,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부동할 수 있다. M의 구체적인 수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합의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310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
구체적으로, 하나의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를 구성하고, 하나의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 중의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 중 어느 DRX 주기에서 자신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한 후, 해당 타겟 DRX 주기 또는 타겟 DRX 주기 이전에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DRX 지시 신호의 지시에 따라 해당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DRX 주기(DRX Cycle), DRX 지시 주기 및 DRX 지시 신호 주기는 부동한 의미를 가지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DRX 주기는 도 2에 나타낸 시간 주기이며, DRX 지시 주기는 M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한 후 직후의 DRX 지시 주기에서 모두 DRX 지시 신호의 지시 즉,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DRX 지시 신호 주기는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고, 이러한 N 개의 DRX 주기 중 부동한 DRX 주기는 각각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해 사용된다. M은 N과 동일할 수 있고, 부동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프레임이라고 약칭함)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여기서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즉, K는 0 또는 양의 정수)이며,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K=0일 때,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프레임은 mod(SFN, N×T1)=0을 만족하고, 길이는 NХT와 동일한 기간이다. N=4 인 경우, SFN=0, SFN=4×T, SFN=8×..., SFN=N×T를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K=1인 경우,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프레임이 mod(SFN, N×T1)=1을 만족시키고, 또한 길이가 N×T와 동일한 기간이다. N=4 인 경우, SFN=1, SFN=4×T+1, SFN=8×T+1 ..., SFN=N×T+1을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와 같이 단계 310은 단계 311과 단계 312를 포함한다.
단계 311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해당 오프셋 값은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해당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계 312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오프셋 값에 따라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해당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N=4, 즉 DRX 지시 신호 주기가 4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오프셋 값이 0인 경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가 해당 N 개의 DRX 주기 중 첫 번째 DRX 주기임을 나타내며, 오프셋 값이 1인 경우, 해당 타겟 DRX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 중 두 번째 DRX 주기임을 나타내며, 오프셋 값이 2인 경우, 해당 타겟 DRX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 중 세 번째 DRX 주기임을 나타내며, 오프셋 값이 3인 경우, 해당 타겟 DRX 주기가 상기 N 개의 DRX 주기 중 네 번째 DRX 주기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그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식 1
선택적으로, 단계 311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것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sr Equipment Identity, UE-ID)에 따라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은 mod(UE-ID, N) 또는 (UE-ID) mod N으로 기술된다. 여기서 N은 하나의 DRX 지시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이며, mod는 mod 함수이다.
방식 2
선택적으로, 단계 311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것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 또는 (Cell ID) mod N으로 기술된다. 여기서 N은 하나의 DRX 지시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이며, mod는 mod 함수이다.
방식 3
선택적으로, 단계 311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것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것을 포함하고, 해당 제 1 구성 정보는 해당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3 가지 방식 중 하나에 따라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한 후, 해당 오프셋 값에 따라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DRX 지시 주기에서 확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4, 즉 하나의 DRX 지시 신호 주기에 4 개의 DRX 주기가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이 0인 것으로 확정한 경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도 5에 나타낸 DRX 지시 신호 주기 중 첫 번째 DRX 주기 이전에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즉,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 중 첫 번째 DRX 주기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DRX 주기이다. 해당 DRX 지시 신호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DRX 지시 주기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슬립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슬립 상태에 있으며, M=4일 때,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가 DRX 지시 신호 주기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이 1인 것으로 확정한 경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두 번째 DRX 주기 이전에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DRX 지시 신호가 웨이크 업을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DRX 지시 주기 중의 M 개의 DRX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상태에 있다.
도 5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DRX 지시 신호는 M 개의 DRX 주기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한 번에 지시할 수 있고, 이러한 M 개의 DRX 주기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DRX 지시 주기이다. 사용되는 타겟 DRX 주기가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지시 주기의 위치도 부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310 이전에, 즉,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기 이전에, 해당 방법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의해 송신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해당 제 2 구성 정보는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의 길이, 즉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관한 DRX 지시 신호는 파워 업의 어태치 과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한 구성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제 1 구성 정보 및/또는 제 2 구성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결 상태에 있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전용 시그널링 또는 MAC CE를 통해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 및/또는 제 2 구성 정보 등의 관련된 구성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320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하고, 해당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해당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 하나에 소속되는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동시에 지시할 수 있다. 해당 디바이스 그룹 내의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또한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하는 N 개의 서브 세트로 분할되고, 각 서브 세트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DRX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N 개의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의 지시에 따라 슬립 또는 웨이크 업을 확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지만, N 개의 DRX 주기의 각 DRX 주기에서 송신되는 DRX 지시 신호는, 각 DRX 주기에 대응하는 서브 세트의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일 DRX 주기에서 송신한 DRX 지시 신호가 웨이크 업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는 DRX 지시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일 DRX 주기에서 송신한 DRX 지시 신호가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DRX 주기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DRX 지시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슬립된다.
DRX 지시 신호 주기를 설정하고,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을 DRX 지시 신호 주기의 부동한 DRX 주기로 설정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의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을 동시에 지시하는 경우, 이 그룹 중의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 중 몇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만 또는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만 웨이크 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동시에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없는 기타 단말기 디바이스도 웨이크 업될 필요가 있으므로, 기타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DRX 주기에서 송신하는 DRX 지시 신호는 동일한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을 지시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 그룹 내의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 주기 중 부동한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디바이스 그룹 내의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단말기 디바이스는 불필요하게 웨이크 업되는 것을 피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일한 디바이스 그룹에 할당되더라도, 해당 디바이스 그룹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부동한 시간(예를 들어, 부동한 오프셋 값에 대응하는 부동한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여, 동일한 디바이스 그룹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의 서로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디바이스 그룹 내에는 8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포함되고, 하나의 DRX 지시 신호 주기에는 4 개의 DRX 주기가 포함된다. 그러면, 이러한 4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즉, 각 DRX 주기는 대응하는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만을 위한 DRX 지시 신호의 검출에 사용된다. 이 8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 중의 각 단말기 디바이스가 어느 DRX 주기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지는 , 예를 들어, 상기 3 가지 방식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오프셋 값에 따라 어느 DRX 주기에서 자신이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ID에 따라 각 단말기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DRX 주기가 확정되고, 단말기 디바이스(1)와 단말기 디바이스(4)는 첫 번째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단말기 디바이스(2)와 단말기 디바이스(5)는 두 번째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단말기 디바이스(3)와 단말기 디바이스(6)은 세 번째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단말기 디바이스(4)와 단말기 디바이스(8)은 네 번째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한다.
[표 1]
Figure pct00001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2)라고 가정하면, 단말기 디바이스(2)는 DRX 지시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상태에 있고, 그 DRX 지시 주기는 예를 들어, 두 번째 DRX 주기로부터 시작되는 M 개의 DRX 주기, 또는 직후의 DRX 주기 즉 세 번째 DRX 주기로부터 시작되는 M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 번째 DRX 주기에서 단말기 디바이스(5)와 단말기 디바이스(2)만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단말기 디바이스(5)와 단말기 디바이스(2)만 웨이크 업되고, 웨이크 업을 필요로하지 않는 기타 단말기 디바이스 웨이크 업되지 않는다. 8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동시에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여 동시에 웨이크 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부동한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면, 두 번째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자신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하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불연속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10)일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해당 불연속 수신 방법은 단계 610 및 단계 620를 포함한다.
단계 6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단계 620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가 구성되고, 하나의 DRX 지시 신호 주기는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러한 N 개의 DRX 주기에서 모두 대응하는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DRX 지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DRX 지시 신호에 따라,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즉,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될 수 있다. 이 하나의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 중의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DRX 지시 신호 주기 중 부동한 DRX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그룹의 단말기 디바이스 중의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웨이크 업을 통지해야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고, 타겟 DRX 주기에서 웨이크 업을 지시하는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타겟 DRX 주기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DRX 지시 신호의 지시 따라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즉,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이 필요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위치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고,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을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 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는 T2=mod(SFN, M×T1)을 만족시키고, 여기서 SFN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위치하는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T2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길이이며, T1은 DRX 주기의 길이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고,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자세한 내용은, 상기 도 3 ~ 도 5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전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기능 및 내부 로직에 의해 확정되어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700)의 블록도이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확정 유닛(710), 송수신 유닛(720) 및 처리 유닛(730)을 포함한다.
확정 유닛(710)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 유닛(720)은 상기 확정 유닛(710)에 의해 확정된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처리 유닛(730)은 상기 송수신 유닛(720)에 의해 검출된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자신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하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를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송신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는 T2=mod(SFN, M×T1)을 만족시키고, 여기서 SFN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위치하는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T2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길이이며, T1은 DRX 주기의 길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확정 유닛(810)과 송수신 유닛(820)을 포함한다.
확정 유닛(810)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 은 양의 정수이다.
송수신 유닛(820)은 상기 확정 유닛(810)에 의해 확정된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이 필요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위치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고,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을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810)은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8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8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8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820)은 또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820)은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는 T2=mod(SFN, M×T1)을 만족시키고, 여기서 SFN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위치하는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T2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길이이며, T1은 DRX 주기의 길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900)의 개략 구성도이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프로세서(910), 송수신기(92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910), 송수신기(920) 및 메모리(930) 사이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해당 메모리(930)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910)는 송수신기(9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메모리(930)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프로세서(910)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920)는 상기 프로세서(910)에 의해 확정된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상기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송수신(920)에 의해 검출된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검출된 상기 DRX 지시 신호의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자신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하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을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수신기(920)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92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송신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는 T2=mod(SFN, M×T1)을 만족시키고, 여기서 SFN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위치하는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T2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길이이며, T1은 DRX 주기의 길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9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메모리(93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91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93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1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실행으로 직접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1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료되도록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 내에 구성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930)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30) 내의 정보를 호출하고,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900)는 상기 방법(300)의 방법 (300)을 실행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700)에 대응하고,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900)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상기 방법 (300)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동작 또는 과정을 각각 실행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 및 메모리(1030)을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 및 메모리(1030)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메모리(1030)는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에 의해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송수신기(1020)을 제어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해당 프로세스(1010)는 불연속 수신(DRX) 지시 주기에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DRX 지시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신호의 검출에 사용되며, 상기 DRX 지시 주기는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지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N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해당 송수신기(1020)는 상기 프로세서(1010)에 의해 확정된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N 개의 DRX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 시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이 필요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위치에서 해당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이후의 DRX 지시 주기의 활성화 기간에서 자신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을 유지하여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DRX 지시 신호가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및 슬립을 지시하는 경우,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시간 위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할 때, 서로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소비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0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020)은 또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020)은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는 T2=mod(SFN, M×T1)을 만족시키고, 여기서 SFN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위치하는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T2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길이이며, T1은 DRX 주기의 길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10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메모리(103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1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03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01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 실행으로 직접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01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료되도록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 내에 구성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1030)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의 정보를 호출하고,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000)는 상기 방법(600)의 방법(600)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에 대응하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상기 방법(6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과정을 각각 실행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1의 시스템 칩(1100)은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3) 및 메모리(1104)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프로세서(1103) 및 메모리(1104)은 내부 연결 경로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프로세서(1103)는 메모리(1104) 내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1103)는 방법의 실시예의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300)을 실현할 수 있다. 간결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1103)는 방법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600)을 실현할 수 있다.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실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48)

  1.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에 의해 송신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내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이고,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3.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1. 제 1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2. 제 13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4. 제 13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이고,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5. 확정 유닛, 송수신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인 단말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확정 유닛에 의해 확정된 상기 DRX 주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송수신 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DRX 지시 신호의 검출을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송수신 유닛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3.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송신된 제 2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4. 제 25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6. 제 25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이고,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37. 확정 유닛 및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M 개의 DRX 주기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주기이고, M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상기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상기 확정 유닛에 의해 확정된 상기 타겟 DRX 주기에서 또는 상기 타겟 DRX 주기 이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DRX 지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의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가 N 개의 DRX 주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N=M 또는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확정하고,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 상기 타겟 DRX 주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DRX 주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UE-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UE-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주 셀 또는 서비스 셀의 셀 식별자(Cell ID)에 따라 상기 오프셋 값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mod(Cell ID, N)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4. 제 37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상기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5. 제 37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전용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요소(MAC CE)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에 포함된 DRX 주기의 수량 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6. 제 37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의 M 개의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에서 웨이크 업 또는 슬립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 중의 N 개의 DRX 주기에 대응되고, 상기 N 개의 DRX 주기 내의 각 DRX 주기는 대응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DRX 지시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 중의 하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소속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속된 디바이스 그룹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UE-ID,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액세스 레벨, 또는 상기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확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8. 제 37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신호 주기의 시작 시스템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mod(SFN, N×T)=K를 만족시키고,
    K는 미리 설정된 자연수이고, T는 DRX 주기에 포함된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07008658A 2017-09-07 2017-09-07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345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0954 WO2019047128A1 (zh) 2017-09-07 2017-09-07 非连续接收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808A true KR20200049808A (ko) 2020-05-08
KR102345134B1 KR102345134B1 (ko) 2021-12-31

Family

ID=6563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658A KR102345134B1 (ko) 2017-09-07 2017-09-07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11076445B2 (ko)
EP (1) EP3634044A4 (ko)
JP (1) JP7053802B2 (ko)
KR (1) KR102345134B1 (ko)
CN (2) CN116233988A (ko)
AU (1) AU2017430818B2 (ko)
BR (1) BR112020004302A2 (ko)
CA (1) CA3074758C (ko)
MX (1) MX2020002631A (ko)
RU (1) RU2747388C1 (ko)
SG (1) SG11202001948TA (ko)
WO (1) WO2019047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9312B2 (en) * 2018-11-20 2023-02-21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a channel occupancy time declared by an interfering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260026B (zh) * 2020-02-10 2022-08-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处理方法、终端、装置以及介质
WO2022021033A1 (zh) * 2020-07-27 2022-0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467333B (zh) * 2021-07-28 2022-12-20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开机控制电路及开机控制方法
CN115843089A (zh) * 2021-09-15 2023-03-24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非连续接收下的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454A (ko) * 2010-01-12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8196A1 (en) * 2004-06-18 2005-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tection of notific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69957B2 (en) 2007-02-0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1973B2 (en) * 2010-02-17 2013-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ast dormancy requests in communication systems
CN105898848B (zh) 2010-09-30 2019-08-06 索尼公司 电子设备、通信方法以及用户设备
US20120207069A1 (en) 2011-02-10 2012-08-16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timizations
WO2012149319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CN102932883B (zh) * 2011-08-12 2018-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drx的方法和系统
US8964672B2 (en) * 2011-11-04 2015-02-24 Blackberry Limited Pag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CN103220798B (zh) * 2012-01-19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数据通信方法、基站与用户设备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CN103582087B (zh) * 2012-07-20 2017-05-31 华为终端有限公司 非连续接收参数配置方法、数据发送方法及设备
US9332584B2 (en) * 2012-10-18 2016-05-03 Apple Inc.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scaling in a wireless device
WO2014179915A1 (zh) 2013-05-06 2014-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rx操作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9667386B2 (en) 2013-11-13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s for coverage enhancements
US9232555B2 (en) 2014-03-05 2016-01-05 Apple Inc. User equipment with improved DRX performance
US10499451B2 (en) 2014-06-13 2019-12-03 Apple Inc. Adaptive C-DRX management
US11006406B2 (en) * 2014-07-31 2021-05-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covery reference signal occasion configuration
US10420164B2 (en) 2015-04-03 2019-09-17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configuring an extended DRX
WO2016163665A1 (en) * 2015-04-09 2016-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a drx timer in a carrier aggregation with at least one scell operating in an unlicensed spectrum and a device therefor
US9603185B2 (en) 2015-05-05 2017-03-21 Acer Incorporated Method of manag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52284A1 (en) * 2015-09-24 2017-03-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CN110999413B (zh) * 2017-08-11 2023-06-23 5G Ip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新无线电中的不连续接收的装置和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454A (ko) * 2010-01-12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96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134B1 (ko) 2021-12-31
EP3634044A1 (en) 2020-04-08
CA3074758C (en) 2023-05-09
AU2017430818A1 (en) 2020-04-16
BR112020004302A2 (pt) 2020-09-08
US20230254935A1 (en) 2023-08-10
SG11202001948TA (en) 2020-04-29
US11903082B2 (en) 2024-02-13
US20210329733A1 (en) 2021-10-21
CN110679200A (zh) 2020-01-10
RU2747388C1 (ru) 2021-05-04
JP2020537834A (ja) 2020-12-24
CA3074758A1 (en) 2019-03-14
EP3634044A4 (en) 2020-07-08
JP7053802B2 (ja) 2022-04-12
MX2020002631A (es) 2020-07-20
US11076445B2 (en) 2021-07-27
US20210014927A1 (en) 2021-01-14
US11653408B2 (en) 2023-05-16
CN116233988A (zh) 2023-06-06
WO2019047128A1 (zh) 2019-03-14
AU2017430818B2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603B1 (ko) 불연속 수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JP7457751B2 (ja) 間欠受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KR102345134B1 (ko) 불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WO2020029272A1 (zh) 唤醒信号的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3518452A (zh) 一种检测方法及装置
WO2020164143A1 (zh) 非连续接收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