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682A -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682A
KR20200049682A KR1020190137709A KR20190137709A KR20200049682A KR 20200049682 A KR20200049682 A KR 20200049682A KR 1020190137709 A KR1020190137709 A KR 1020190137709A KR 20190137709 A KR20190137709 A KR 20190137709A KR 20200049682 A KR20200049682 A KR 2020004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electrolyte
gel polymer
polyme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4428B1 (en
Inventor
정철수
박하빈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4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additive capable of improving rate capability and improving a lifespan characteristic at high voltage. Specifically, the electrolyte additive inclu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below.

Description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커패시터{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Gel polymer electrolyte and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comprising the same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gel polymer electrolyte and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comprising the same.

최근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technology has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various types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전기화학 커패시터에서 액체 전해질이 널리 사용되나, 누액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매의 휘발성 및 불안정성으로 인해 고온, 고전압 등의 조건에서 그 구동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Liquid electrolytes are widely used in electrochemical capacitor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ing becomes unstable under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voltage due to solvent volatile and instabilit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체 전해질을 대체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적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of apply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in place of a liquid electrolyte has been studied.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겔 폴리머 전해질은, 기존의 액체 전해질과 대비하여, 전기 화학적 특성이 열위하게 나타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리튬 이온 전지보다도 고출력특성이 요구되는 수퍼커패시터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겔 폴리머 전해질이 더욱 부적합하다.Howeve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which is generally known, has a limitation in that electrochemical properties are inferior to conventional liquid electrolytes. As a result, generally known gel polymer electrolytes are more unsuitable for supercapacitors that require higher output characteristics than lithium ion batter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율 수용력(rate capability) 향상 및 수명 특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커패시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el polymer electrolyte and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including the same, which simultaneously achieve high rate capability improvement and life characteristic improv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겔 고분자 전해질은 고율 수용력(rate capability)을 향상 및 높은 전압에서의 수명 특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시킬 수 있는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한다.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additive capable of simultaneously achieving high rate capability and improving life characteristics at high voltage.

구체적으로 전해질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electrolyte additive inclu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1), R 1 to R 4 each represents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13.)

전해질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The electrolyte additive inclu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2에서 R5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2, R 5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yl group.

R6은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포르밀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에스터기, 아미드기, 시안산기, 이소시안산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술포닐기, 술포기, 술피닐기, 아민,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R 6 is hydrogen,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ryl group, heteroaryl group, halogen atom, haloformyl group, carbonyl group, aldehyde group, carboxyl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cyanic acid group, It represents an isocyanate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sulfonyl group, sulfo group, sulfinyl group, amine, hydroxy group or alkoxy group.)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may be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3 below.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3에서, R7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3), R 7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yl group.

R8은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포르밀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에스터기, 아미드기, 시안산기, 이소시안산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술포닐기, 술포기, 술피닐기, 아민,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R 8 is hydrogen,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ryl group, heteroaryl group, halogen atom, haloformyl group, carbonyl group, aldehyde group, carboxyl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cyanic acid group, It represents an isocyanate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sulfonyl group, sulfo group, sulfinyl group, amine, hydroxy group or alkoxy group.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X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m은 1 내지 22의 정수를 나타낸다.)m represents an integer from 1 to 22.)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R3 및 R4는 수소일 수 있다.In Formula 1, R 1 and R 2 are each a hydrogen or methyl group, and R 3 and R 4 may be hydrogen.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In Formula 1, n may represent an integer from 1 to 4.

화학식 3에서 상기 R7 및 R8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X는 -CH2- 일 수 있다.In Formula 3, R 7 and R 8 are each a hydrogen or methyl group, and X may be -CH 2- .

전해질 첨가제를 1 내지 8 중량% 포함할 수 있다.It may contain 1 to 8% by weight of electrolyte additives.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 1:1 내지 3:1일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1: 1 to 3: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겔 고분자 전해질은 아세토 나이트릴 용매 및 전해질염을 포함한다.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etonitrile solvent and an electrolyte sa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술한 겔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el polymer electrolyte described above.

양극 및 음극;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된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고분자 막을 포함할 수 있다.Anode and cathode; It may include a gel polymer electrolyt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polymer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구동 전압에서의 수명특성 안정화와 동시에 고율 수용력(rate capability) 향상을 통한 높은 커패시턴스 구현이 가능하다.By u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high capacitance through stabilizing life characteristics at a high driving voltage and improving rate cap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구동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By u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driving voltage.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시간에 따른 개방회로전압 (open circuit voltag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충방전 율속에 대한 커패시턴스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4에서 사이클별 커패시턴스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4에서 커패시턴스 회복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서 사이클별 양극 및 음극 간의 전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5에서 벌크의 사이클 전후의 EIS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 5에서 계면의 사이클 전후의 EIS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실험예 6에서 율별 충방전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measuring an open circuit voltage over time in Experimental Example 1.
2 is a graph measuring the ion conductivity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3 is a graph measuring capacitance for charge / discharge rate in Experimental Example 3.
4 is a graph measuring capacitance for each cycle in Experimental Example 4.
5 is a graph measuring capacitance recovery rate in Experimental Example 4.
6 is a graph measuring voltag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for each cycle in Experimental Example 4.
7 is a graph measuring the EIS resistance before and after the bulk cycle in Experimental Example 5.
8 is a graph measuring the EIS resistance before and after the cycle of the interface in Experimental Example 5.
9 and 10 is a graph measuring the charge and discharge performance by rate in Experimental Example 6.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at a value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are understood herein. To aid,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scrupulous use of the disclos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The term “~ (step)” or “step of” a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ombination of these" includ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rki form means one or more mixtures or combin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rki form, the components It means to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명세서에서 "치환"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 실란기; 알킬실란기; 알콕시실란기; 에틸렌옥실기 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Substitu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t least one hydrogen of the compound is a C1 to C30 alkyl group; C1 to C10 alkoxy groups; Silane group; Alkylsilane groups; Alkoxysilane group; It means substituted with ethyleneoxyl group.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를 의미한다. "Hetero" as used herein means an ato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 O, S, and P, unless otherwise defined.

상기 알킬기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1 내지 C6인 저급 알킬기, C7 내지 C10인 중급 알킬기, C11 내지 C20의 고급 알킬기일 수 있다. The alkyl group may be a C1 to C20 alkyl group, specifically, a C1 to C6 lower alkyl group, a C7 to C10 intermediate alkyl group, or a C11 to C20 higher alkyl group.

예를 들어, C1 내지 C4 알킬기는 알킬쇄에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나타낸다.For example, a C1 to C4 alkyl group means that there are 1 to 4 carbon atoms in the alkyl chain, which are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n-butyl, iso-butyl, sec-butyl and t-butyl. Indicates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전형적인 알킬기에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이 있다. Typical alkyl groups include methyl group, ethyl group, propyl group, isopropyl group, butyl group, isobutyl group, t-butyl group, pentyl group, hexyl group, cyclopropyl group, cyclobutyl group, cyclopentyl group, and cyclohexyl group. .

위와 같은 정의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은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ased on the above defin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se are presented as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겔 고분자 전해질은 고율 수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할 시, 높은 커패시턴스 구현이 가능하며 또한 높은 구동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additive capable of improving a high rate capacity. Therefore, when using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capacitance can be realized and a high driving voltage can be secur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고율 수용력이란 이온과 전자의 상대적 이동도 차이로 인해 충방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커패시턴스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rate capacity means an ability to improve a phenomenon in which the capacitance is reduced as the charge / discharge speed increases due to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mobility of ions and electrons.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ditive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1), R 1 to R 4 each represents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분자당 2개인 모노머를 사용한다. 이처럼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분자당 2개인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겔화를 유도시켜 겔 고분자 전해질로서의 물리적성능을 향상 및 고율 수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충방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nomer having two acrylate or methacrylate groups per molecule is used. As such, by using a monomer having two acrylate or methacrylate groups per molecule, sufficient gelation can be induced to improve physical performance as a gel polymer electrolyte and to increase the rate of charge and discharge, thereby increasing the rate of charge and dischar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 간의 연결기로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폴리(에틸렌 옥시기)를 사용한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폴리(에틸렌 옥시기)는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oly (ethylene oxy group) is used as a linking group between acrylate or methacrylat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oly (ethylene oxy group)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improve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및 R4는 수소일 수 있다.In the formula (1), R 1 to R 4 each represents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Specifically, R 1 and R 2 are each a hydrogen or methyl group, and R 3 and R 4 may be hydrogen.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n이 너무 길 경우, 활물질간, 더 나아가 활물질 기공 사이 첨가제가 함침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모노머 및 고분자의 적절한 전기화학 성능 유도가 일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n은 1 내지 4의 정수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n은 2 또는 3일 수 있다.In the formula (1), n represents an integer from 1 to 13. If n is too long, it may be difficult to induce prope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monomers and polymers because additives between active materials and even between active material pores may not be impregnated. More specifically, n may be an integer from 1 to 4. More specifically, n may be 2 or 3.

n이 서로 다른 화합물이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n은 평균(수평균) n 값을 의미한다.When a compound in which n is different is used in combination, n means an average (number average) n value.

전해질 첨가제는 일 성분계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다 성분계일 수 있다. The electrolyte additive may be a one-component system or a multi-component system including two or more components.

다 성분계일 경우, 전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외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multi-component system,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1.

전해질 첨가제는 일 성분계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다 성분계일 수 있다.The electrolyte additive may be a one-component system or a multi-component system including two or more components.

전해질 첨가제는 2종의 성분을 포함하고, 성분간 중량 비율이 1:1 내지 3:1일 수 있다. 성분간 중량 비율이 너무 낮을 경우, 즉, 1:1 미만일 경우, 겔 고분자 화할 경우, 겔 화가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성분간 중량 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 즉 3:1 초과일 경우, 겔 고분자 화할 경우, 경도 및 이온전도도의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1:1 내지 2.9:1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2:1 내지 2.8:1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3:1 내지 2.7:1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5:1 내지 2.5:1일 수 있다.The electrolyte additive includes two components, and the weight ratio between components may be 1: 1 to 3: 1. When the weight ratio between components is too low, that is, less than 1: 1, when gel polymerizing, a problem that gelation does not proceed may occur. When the weight ratio between components is too high, i.e., greater than 3: 1, when gel polymerizing, a problem of reduction in hardness and ionic conductivity may occur. More specifically, it may be 1.1: 1 to 2.9: 1. More specifically, it may be from 1.2: 1 to 2.8: 1. More specifically, it may be 1.3: 1 to 2.7: 1. More specifically, it may be 1.5: 1 to 2.5: 1.

추가로 첨가되는 전해질 첨가제의 종류로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해질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electrolyte additive added may include an acrylate-based or methacrylate-based monomer.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lyte additive may include an acrylate-based or methacrylate-based monomer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화학식 2에서 R5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2, R 5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yl group.

R6은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포르밀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에스터기, 아미드기, 시안산기, 이소시안산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술포닐기, 술포기, 술피닐기, 아민,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R 6 is hydrogen,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ryl group, heteroaryl group, halogen atom, haloformyl group, carbonyl group, aldehyde group, carboxyl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cyanic acid group, It represents an isocyanate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sulfonyl group, sulfo group, sulfinyl group, amine, hydroxy group or alkoxy group.)

전해질 첨가제는 겔 폴리머 전해질 상태일 수 있다. 겔 폴리머 전해질인 경우, 고전압, 고수명, 고온에서의 내구성 및 누액 방지 점에서 유리하다.The electrolyte additive may be in a gel polymer electrolyte state. In the case of a gel polymer electrolyt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high voltage, high life, durability at high temperatures, and prevention of leakage.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분자당 작용기를 1개 내지 6개 포함할 수 있다. 작용기가 너무 많아 질 경우, 심각한 겔화로 인한 경도 및 이온전도도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acrylate-based or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contain 1 to 6 functional groups per molecule. If there are too many functional groups, a problem of reduction in hardness and ionic conductivity due to serious gelation may occur.

작용기는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한다.Functional groups include acrylate groups or methacrylate groups.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폴리 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 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The acrylate-based or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include polyalkylene glycol or polyalkylene oxide. By containing polyalkylene glycol or polyalkylene oxid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on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폴리 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의 길이는 1 내지 22일 수 있다. 폴리 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의 길이가 너무 길어질 경우, 심각한 겔화로 인한 경도 및 이온전도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 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의 길이는 3 내지 15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polyalkylene glycol or polyalkylene oxide may be 1 to 22. When the length of the polyalkylene glycol or the polyalkylene oxide is too long, a problem that hardness and ion conductivity decrease due to severe gelation may occur.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polyalkylene glycol or polyalkylene oxide may be 3 to 15.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ditive may further include an acrylate-based or methacrylate-based monomer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3 below.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화학식 3에서 R7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3, R 7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yl group.

R8은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포르밀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에스터기, 아미드기, 시안산기, 이소시안산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술포닐기, 술포기, 술피닐기, 아민,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R 8 is hydrogen,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ryl group, heteroaryl group, halogen atom, haloformyl group, carbonyl group, aldehyde group, carboxyl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cyanic acid group, It represents an isocyanate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sulfonyl group, sulfo group, sulfinyl group, amine, hydroxy group or alkoxy group.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X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m은 1 내지 22의 정수를 나타낸다.)m represents an integer from 1 to 22.)

더욱 구체적으로 R8는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일 수 있다. m은 1 내지 15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 8 may be hydrogen,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m may represent an integer from 1 to 15.

더욱 구체적으로 R7 및 R8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X는 -CH2- 일 수 있다. m은 2 내지 8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 7 and R 8 are each a hydrogen or methyl group, and X may be -CH 2- . m may represent an integer from 2 to 8.

이러한 첨가제는 전해질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가 전해질 내에 너무 많이 포함되면, 전해질을 통한 전자의 교류를 방해하여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첨가제가 전해질 내에 너무 적게 포함되면, 첨가제로 인한 고율 수용력 상승 효과가 미미하여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2 내지 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3 내지 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첨가제는 4 내지 7 중량% 포함될 수 있다.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8%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electrolyte. If the additive is contained too much in the electrolyte, it may interfere with the exchange of electrons through the electrolyte and deteriorate the properties of 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If the additive i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too littl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igh-capacity capacity due to the additive may be insignifica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may be deteriorated. More specifically,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2 to 8% by weight. More specifically,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3 to 8% by weight. More specifically,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4 to 7% by weight.

전해질 첨가제가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전체 첨가제의 합량으로 전술한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lyte additive contains two or more types of components, the total amount of the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range.

전해 용매는 전해질염을 용해 또는 해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해 용매는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락톤, 에테르, 에스테르, 설폭사이드, 아세토나이트릴, 락탐, 케톤 및 이들의 할로겐 유도체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환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FEC) 등이 있고, 선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및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등이 있다. 락톤의 예로는 감마부티로락톤(GBL)이 있으며, 에테르의 예로는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틸 포메이트, 에틸 포메이트, 프로필 포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피발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설폭사이드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이 있고, 상기 락탐으로는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이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이 있다. 또한, 이들의 할로겐 유도체도 사용 가능하며, 이상의 예시된 전해질 전해 용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전해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electrolytic solvent is used to dissolve or dissociate the electrolyte salt. Typically, the electrolytic solv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cyclic carbonate, linear carbonate, lactone, ether, ester, sulfoxide, acetonitrile, lactam, ketone and halogen derivatives thereof. Examples of cyclic carbonates include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butylene carbonate (BC),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and examples of linear carbonates include diethyl carbonate (DEC) and dimethyl carbonate (DMC). ), Dipropyl carbonate (DPC), ethyl methyl carbonate (EMC), and methyl propyl carbonate (MPC). Examples of lactones are gamma-butyrolactone (GBL), and examples of ethers are dibutyl ether, tetrahydrofuran, 2-methyltetrahydrofuran, 1,4-dioxane, 1,2-dimethoxyethane, 1, 2-diethoxy ethane. Examples of such esters include methyl formate, ethyl formate, propyl format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butyl propionate, methyl pivalat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ulfoxide includes dimethyl sulfoxide, etc., the lactam includes N-methyl-2-pyrrolidone (NMP), and the ketone includes polymethylvinyl ketone. In addition, these halogen derivatives can also be used,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ified electrolyte electrolytic solvents. Moreover, it is known that these electrolytic solvent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 들 중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는, 커패시터 계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설포란 (Sulfolane), 카보네이트 (Carbonate) 계 용매보다 유전율 (Dielectric constant)이 낮기 때문에, 점도가 낮아, 동일 경화도 대비 비교적 고함량의 폴리머를 첨가한 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용매에 대해서는, 적은 양의 폴리머로도 경화도가 높은 전해질이 형성됨과 동시에 점도의 급상승으로 인한 이온전도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겔 고분자 전해질은 단순히 경화도만 높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진보된 고율 수용력 (Rate capability)를 높일 수 있는 고분자의 충분한 함량이 전극에 함침이 불가능하며 이온전도도의 급감 효과가 고율 수용력의 상승 효과보다 지대한 효과를 미치게 되므로 전반적인 셀 성능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Among these, acetonitrile solvent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dielectric constant than that of sulfolane and carbonate based solvents used in capacitor-based electrochemical capacitors, and thus has viscosity. Low, it is possible to prepare a gel polymer electrolyte to which a polymer having a relatively high content compared to the same curing degree is added. For other solvents, an electrolyte with a high degree of curing is form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polymer, and at the same time, ionic conductivity due to a sharp increase in viscosity is rapidly reduced. Such a gel polymer electrolyte has only a high degree of hardening, and a sufficient amount of a polymer capable of increasing the advanced rate capabilit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impregnated into the electrode, and the sharp reduction effect of ion conductivity has a synergistic effect of high rate capacity. It is difficult to expect to improve the overall cell performance because it has a greater effect.

겔 고분자 전해질은 전해질염을 더 포함한다. 전해질염은 전해 용매에 해리되어 전기화학 커패시터 내에서 이온 전도의 성분으로 작용하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양이온의 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BPBF4(spirobipyrrolidinium tetrafluoroborate), TEABF4, EMIBF4, TEMABF4, LIPF6, LiBF4, LiTFSI, LiBETI,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4F9SO3, LiSbF6,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y+1SO2)(단, x, y는 자연수), LiCl, LiI,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겔 고분자 전해질 내 전해질염의 함량은, 전해질 내의 전해 용매(L)에 대한 몰수(mol)로, 0.5 내지 3.0 M일 수 있다. 이 경우, 겔 고분자 전해질은 겔 형태로서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전해질염이 전해 용매에 용해되어 양이온의 효과적인 이동에 기여할 수 있다.The gel polymer electrolyte further includes an electrolyte salt. The electrolyte salt dissociates in the electrolytic solvent and acts as a component of ion conduction in 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and may serve to promote the movement of cations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For example, SBPBF 4 (spirobipyrrolidinium tetrafluoroborate), TEABF 4 , EMIBF4, TEMABF 4 , LIPF 6 , LiBF 4 , LiTFSI, LiBETI, LiSbF 6 , LiAsF 6 , LiClO 4 , LiCF 3 SO 3 , Li (CF 3 SO 2 ) 2 N, LiC 4 F 9 SO 3 , LiSbF 6 , LiAlO 4 , LiAlCl 4 , LiN (C x F 2x + 1 SO 2 ) (CyF 2y + 1 SO 2 ) (where x, y is a natural number), LiCl, LiI,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salt 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is the number of moles (mol) with respect to the electrolytic solvent (L) in the electrolyte, and may be 0.5 to 3.0 M. In this case,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ay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as a gel form, and the electrolyte salt may be dissolved in an electrolytic solvent, contributing to effective movement of c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술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olymer electroly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수퍼커패시터(supercapacitor, SC) 일 수 있다. 수퍼커패시터에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ostatic double-layer capacitor), 슈도커패시터(electrochemical pseudocapacitor),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 등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may be a supercapacitor (SC). Supercapacitors include an electrostatic double-layer capacitor, an electrochemical pseudocapacitor, and a hybrid capacitor.

이하에서는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수퍼커패시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해질 첨가제를 첨가하는 기술적 사상을 다른 커패시터로도 용이하게 전용할 수 있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apaci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a supercapaci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divert the technical idea of adding an electrolyte additive to other capacitors.

커패시터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및 겔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The capacitor includes an electrode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gel polymer electrolyte.

전극 활물질로 적용될 수 있는 양극과 음극 활물질로는, 이중층 용량을 가지는 모든 탄소 재료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활성탄, 활성탄소 섬유, 카본에어로겔, 전도성 고분자, 금속산화물, 천연섬유, 비정질 카본, 플라렌(fullerene), 나노 튜브 및 그래핀 (graphene)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as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y carbon material having a double-layer capacity is possible, for example, activated carbon, activated carbon fiber, carbon aerogel, conductive polymer, metal oxide, natural fiber, amorphous carbon, flaren (fullerene), nanotubes and graphene (graphe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수퍼 커패시터의 두 전극은, 전술한 겔 고분자 전해질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이온성(ionically)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wo electrodes of the supercapacitor may be physically separated by the above-described gel polymer electrolyte, and at the same time, ionic connection may be m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극의 표면에 고분자 막이 형성됨으로써, 전해질염의 추가 반응을 막고 고전압에서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고분자 막에 의해 불필요한 패러데이(faradic) 반응이 억제된다. 이러한 고분자 막은 양극 또는 음극 중 한 극에만 형성되거나, 양극 및 음극 모두에 고분자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의 표면이란 전해질 방향으로의 표면을 의미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 membran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preventing further reaction of the electrolyte salt and smoothly operating at high voltage. That is, unnecessary faradic reactions are suppressed by the polymer membrane. The polymer film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polymer film may be formed on bot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means th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고분자 막은 전해질 첨가제가 중합한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 첨가제 내의 2중 결합이 끊어지면서, 연속적인 첨가 반응이 일어나 탄소 사슬이 길어져 고분자가 형성되게 된다. The polymer membrane may include a polymer polymerized with an electrolyte additive. As the double bond in the electrolyte additive is broken, a continuous addition reaction occurs and the carbon chain is lengthened to form a polymer.

고분자 막은 0.1 내지 5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막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전극 보호의 목적이 달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고분자 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전극의 미세기공이 막혀 비표면적이 크게 감소되며 충방전 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The polymer film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0.1 to 50 nm. If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is too thin, the purpose of electrode protection may be difficult to achieve. If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is too thick, the micropore of the electrode is blocked, and thus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greatly reduced and charge / discharge capacity may be reduced.

겔 고분자 전해질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gel polymer electrolyte has been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아래의 4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following four methods.

방법 1: 전극 및 세퍼레이터를 조립하여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조립체를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하고, 전해질염을 포함하지 않는 전해질에 함침하는 단계; 밀봉 및 큐어링하는 단계; 조립체 해채 후 전해질을 주액하는 단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 1: assembling the electrode and separator to produce an assembly; Impregnating the assembly with an electrolyte containing an electrolyte additive and no electrolyte salt; Sealing and curing; Injecting the electrolyte after disassembling the assembly; And sealing.

방법 2: 전극 및 세퍼레이터를 조립하여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전해질 첨가제 및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주액하는 단계; 밀봉 및 큐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 2: assembling the electrode and separator to produce an assembly; Injecting an electrolyte containing an electrolyte additive and an electrolyte salt; Sealing and curing.

방법 3: 전극 상에 전해질 첨가제 및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도포하거나 함침하는 단계; 전극 및 세퍼레이터를 조립하여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밀봉 및 큐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 3: coating or impregnating an electrolyte containing an electrolyte additive and an electrolyte salt on the electrode; Manufacturing an assembly by assembling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Sealing and cur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M 농도의 SBPBF4(spirobipyrrolidinium tetrafluoroborate)을 용해시킨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를 기본 전해질으로 사용하였다.Acetonitrile solvent in which SBPBF 4 (spirobipyrrolidinium tetrafluoroborate) at a concentration of 1.0 M was dissolved was used as a basic electrolyt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1의 전해질에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methacrylate, PEGMEA, n은 4 또는 5) 5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To 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polyethylene glycol methyl meth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polyethylene glycol methyl methacrylate, PEGMEA, n is 4 or 5) was added 5% by weight to prepare an electrolyte.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의 전해질에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및 PEGMEA를 중량비로 3:2로 첨가하고, 총 첨가량을 5 중량%로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To 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nd PEGME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were added at a weight ratio of 3: 2, and the total amount added was added at 5% by weight to prepare an electrolyte.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의 전해질에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5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5%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was added to 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to prepare an electrolyt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1의 전해질에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10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An electrolyte was prepared by adding 10%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to 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1의 전해질에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15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An electrolyte was prepared by adding 15%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to 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1의 전해질에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n은 4 또는 5) 5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by adding 5% by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n is 4 or 5)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 1의 전해질에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n은 8 또는 9) 5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by adding 5 wt%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n is 8 or 9)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비교예 1의 전해질에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n은 13) 5중량%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An electrolyte was prepared by adding 5% by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n is 13)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to the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커패시터의 제조Capacitor Manufacturing

두 개의 활성 탄소(Active carbon) 전극 사이에, 셀룰로오스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파우치셀로 조립하였다.Between two active carbon electrodes, a cellulose separator was interposed and assembled into a pouch cell.

cell에 비교예 1 내지 7 및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전해질을 주입하고, 18시간 동안 60℃의 열을 가하여 겔화하였다.Cells were injected with the electrolyt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7 and Examples 1 and 2, and gelled by heating at 60 ° C. for 18 hours.

실험예 1 : 이온 저장 능력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ion storage capacity measurement

0.1 A g-1의 방전 속도로 0 V까지 방전 후, 2 시간 동안의 개방회로전압 (open circuit voltage, OCV)을 측정하였다. After discharge to 0 V at a discharge rate of 0.1 A g-1, open circuit voltage (OCV) for 2 hours was measured.

도 1에 나타나듯이,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대비 빠른시간안에 개방회로전압이 상승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실시예 2의 전극 주변의 겔 폴리머 전해질의 영향으로 이온을 더욱 근거리에 머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율에서 더욱 빠른 충방전이 가능해질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고율 수용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Examp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 circuit voltage was increased in a shorter time than Comparative Example 1, and this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round the electrode of Example 2, which further ionizes ions You can see that Through this, it is thought that faster charging and discharging will be possible at high rates, so it is judged that the high rate capacity can be improved.

실험예 2 : 이온 전도도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Measurement of ion conductivity

16 mm의 직경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디스크 사이에 셀룰로오스 세퍼레이터를 넣고 전해질을 주액 및 함침시켜 파우치로 밀봉한 뒤, 각 전해질에 대해 EIS를 이용하여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Cellulose separator was inserted between stainless disks having a diameter of 16 mm, and the electrolyte was injected and impregnated and sealed with a pouch, and then ion conductivity was measured using EIS for each electrolyte.

도 2에 나타나듯이, 비교예 1 대비 모든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은 이온전도도가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의 경우 비교예 1 대비 약간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나,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2 보다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은 몰 비율로 실시예 2에 사용된 모노머가 비교예 2에 사용된 모노머 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된 모노머 몰 비율 = 9:4) 이온전도도가 향상되었지만, 비교적 실시예 2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을 통해, 실시예 2를 통한 고율 수용력 향상과 비교예 2를 통한 이온전도도 향상 효과를 동시에 이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ll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confirmed to have a poor ionic conductivity.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a slightly inferior appearance was observed in Comparative Example 1, but in the case of Example 2, the inferiority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confirmed. In Example 1, the ionic conductivity was improved because the monomer used in Example 2 was contained in a molar ratio more than the monomers used in Comparative Example 2 (molar ratio of monomers used = 9: 4). You can see that it looks close. Therefore, through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igh-rate capacity through Example 2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on conductivity through Comparative Example 2 can be simultaneously used.

실험예 3 : 전해질 별 충방전 성능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charge and discharge performance for each electrolyte

제조된 cell을 20℃에서 각 율별 0.1, 0.2, 0.4, 0.8, 1.6, 3.2 A g-1 율로 CC(constant current; galvanostatic) charge, CC discharge, 0 ~ 3.4 V 충방전을 실시하였다. 각 율 별 5회씩 사이클 실험 실시 후, 각 율별 5회째 사이클 용량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The prepared cells were subjected to CC (constant current; galvanostatic) charge, CC discharge, and 0 to 3.4 V charge and discharge at a rate of 0.1, 0.2, 0.4, 0.8, 1.6, and 3.2 A g -1 for each rate at 20 ° C. After performing the cycle experiment five times for each rate, the fifth cycle capacity for each rate was measured and shown in FIG. 3.

도 3에 나타나듯이,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 단순히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만 구현되므로 전체적인 충방전 율속 (current rate)에서 비교예 1이 비교예 2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는 도 1에서 확인된 이온 저장능력이 비교예 1보다 높으므로, 고율에서의 수용력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경우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모노머 조성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므로 이온전도도가 실시예 2보다 약간 향상되었으며, 고율 수용력 또한 포함하고 있으므로, 커패시턴스가 모든 셀 대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since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simply implement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ance, it can be seen that Comparative Example 1 is similar to or slightly higher than Comparative Example 2 in the overall charge / discharge rate. In Example 2, since the ion storage capacity confirmed in FIG. 1 is higher than that in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pacity at a high rate is increased. In the case of Example 1, since both the monomer composition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included, the ionic conductivity was slightly improved compared to Example 2, and the high-capacity capacity was also included,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apacitance was increased compared to all cells. .

실험예 4 : 사이클 수명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Cycle life evaluation

제조한 cell을 상온 20 ℃에서 0 ~ 3.4 V 충방전을 3.2 A g-1 율로 CC-charge, CC-discharge로 5000회 사이클 충방전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충방전 사이클 용량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The prepared cells were charged and discharged 0 to 3.4 V at room temperature at 20 ° C for 5000 cycles with CC-charge and CC-discharge at 3.2 A g -1 rate. The charge / discharge cycle capacity was measured and is shown in FIG. 4.

또한, 커패시턴스 회복률을 도 5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capacitance recovery rate is shown in FIG. 5.

또한, 양극/음극 전압을 도 6에 나타내었다.Also, the anode / cathode voltage is shown in FIG. 6.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 3.4 V 충방전 시 가장 낮은 수명 특성을 보였다. 이는 저율로 이차 전지의 커패시턴스 회복 테스트를 실시 한 결과 회복되지 않는 성분이 생성되어서 나타나는 수명 열화 현상으로 해석된다.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경우, 3.4 V 충방전 시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이며, 실시예 1의 수명 특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율에서의 커패시턴스의 회복이 비교예 1과 비교예 2보다 더욱 향상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며, 실시예 2보다 실시예 1의 수명 특성이 더 우수한 것은 음극에서의 전압대가 실시예 1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모습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사이클 테스트 동안 커패시턴스 감소율은 비교예 1이 약 49 %, 실시예 2가 약 25 %, 비교예 2가 약 33 %, 실시예 1이 약 19 %로, 실시예 1의 수명 감소율이 가장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t exhibited the lowest lifespan characteristics at 3.4 V charge and discharge. This is interpreted as a deterioration in the lifespan due to the generation of a component that does not recover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apacitance recovery test of a secondary battery at a low rate. In the case of Example 2 and Example 1, it exhibited excellent life characteristics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3.4 V, and it was found that the life characteristics of Example 1 were better. This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because the recovery of the capacitance at a low rate is more improved than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better the life characteristics of Example 1 than Example 2, the voltage band at the cathode remains stable in Example 1 It seems to be due to the appearance. During the cycle test, the capacitance reduction rate was about 49% in Comparative Example 1, about 25% in Example 2, about 33%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about 19% in Example 1, indicating that the lifespan reduction rate of Example 1 was the lowest. Can be confirmed.

실험예 5 : EIS 저항 평가Experimental Example 5: EIS resistance evaluation

제조한 cell을 20 ℃에서 사이클 수명 평가 전과 후에 3.4 V 충전을 한 상태로 10mV의 amplitude로 30 mHz에서 200 kHz사이의 주파수 범위로 EIS를 측정하였다. The EIS was measured in the frequency range between 30 mHz and 200 kHz at a amplitude of 10 mV with a 3.4 V charge in the prepared cell before and after the cycle life evaluation at 20 ° C.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듯이, 전체적으로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 벌크 저항과 계면 저항 모두 사이클 전 대비 후에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면 저항의 증가량이 벌크 저항의 증가량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사용된 모노머 조성이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1의 경우 실험예 3과 4에서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각 저항 성분의 증가율 또한 실시예 2 정도로 유지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7 and 8, as a whol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bulk resistance and the interfacial resistance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cycle, and that the increase in the interfacial resistance was greater than the increase in the bulk resistance. Can be confirm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nomer composition used in Example 2 was a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resistance, and in the case of Example 1, in addition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Experimental Examples 3 and 4, the increase rate of each resistance component was also maintained to the extent of Example 2. there was.

실험예 6: 전해질 별 충방전 성능 측정Experimental Example 6: Measurement of charge and discharge performance for each electrolyte

제조된 cell을 20℃에서 각 율별 0.1, 0.2, 0.4, 0.8, 1.6, 3.2 A g-1 율로 CC(constant current; galvanostatic) charge, CC discharge, 0 내지 3.4 V 충방전을 각 율 별 5회씩 실험 실시 하였다. 초기 20 ℃에서 각 율 별 5회째 사이클 용량을 측정하여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The prepared cells were tested at a rate of 0.1, 0.2, 0.4, 0.8, 1.6, 3.2 A g-1 for each rate at 20 ° C, and CC (constant current; galvanostatic) charge, CC discharge, 0 to 3.4 V charging and discharging 5 times for each rate Was conducted. The 5th cycle capacity at each rate at the initial 20 ° C was measured and shown in FIGS. 9 and 10.

도 9에서 나타나듯이, 첨가제 함량이 많아질수록 활물질에 포함되는 폴리머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며, 이로 인한 전해질 저항의 증가 효과가 액상 전해질 수용 능력보다 커져 효율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it can be seen that as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ncreases, the amount of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active material increases,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lectrolyte resistanc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liquid electrolyte, thereby decreasing efficiency.

도 10에서 나타나듯이, 첨가제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분자의 개수가 적어지며, 젤 폴리머 전해질의 폴리머 구조가 듬성듬성해져서 액상 전해질을 수용하는 능력이 약해져 효율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it can be confirmed that a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dditive increases, the number of molecules decreases, and the polymer structure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becomes sparse, resulting in weakening of the ability to accommodate the liquid electrolyte, resulting in decreased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can be implemented a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첨가제;
아세토나이트릴 용매; 및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pat00012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3

(화학식 2에서 R5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R6은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포르밀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에스터기, 아미드기, 시안산기, 이소시안산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술포닐기, 술포기, 술피닐기, 아민,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An electrolyte additive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cetonitrile solvents; And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an electrolyte salt.
[Formula 1]
Figure pat00012

(In the formula (1), R 1 to R 4 each represents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13.)
[Formula 2]
Figure pat00013

(In Formula 2, R 5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yl group.
R 6 is hydrogen,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ryl group, heteroaryl group, halogen atom, haloformyl group, carbonyl group, aldehyde group, carboxyl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cyanic acid group, It represents an isocyanate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sulfonyl group, sulfo group, sulfinyl group, amine, hydroxy group or alkoxy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겔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3]
Figure pat00014

(화학식 3에서, R7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R8은 수소,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할로겐 원자, 할로포르밀기, 카르보닐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에스터기, 아미드기, 시안산기, 이소시안산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술포닐기, 술포기, 술피닐기, 아민,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m은 1 내지 22의 정수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is a gel polymer electrolyte that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3 below.
[Formula 3]
Figure pat00014

(In the formula (3), R 7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yl group.
R 8 is hydrogen,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ryl group, heteroaryl group, halogen atom, haloformyl group, carbonyl group, aldehyde group, carboxyl group, ester group, amide group, cyanic acid group, It represents an isocyanate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sulfonyl group, sulfo group, sulfinyl group, amine, hydroxy group or alkoxy group.
X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m represents an integer from 1 to 2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R3 및 R4는 수소인 겔 고분자 전해질.
According to claim 1,
In Formula 1, R 1 and R 2 are each a hydrogen or methyl group, and R 3 and R 4 are hydrog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인 겔 고분자 전해질.
According to claim 1,
The n is an integer of 1 to 4 gel polymer electrolyte.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3에서 상기 R7 및 R8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X는 -CH2- 인 겔 고분자 전해질.
According to claim 2,
In Formula 3, R 7 and R 8 are each a hydrogen or methyl group, and X is -CH 2 -gel polymer electroly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첨가제를 1 내지 8 중량% 포함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
According to claim 1,
A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1 to 8% by weight of the electrolyte addit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첨가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 1:1 내지 3:1인 겔 고분자 전해질.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e additive is a gel polymer electrolyte in which the weight ratio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is 1: 1 to 3: 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커패시터.An electrochemical capacitor comprising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8항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상기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커패시터.

The method of claim 8,
Anode and cathode;
The gel polymer electrolyt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comprising a polymer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an anode and a cathode.

KR1020190137709A 2018-10-31 2019-10-31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 KR1022344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2310 2018-10-31
KR1020180132310 201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682A true KR20200049682A (en) 2020-05-08
KR102234428B1 KR102234428B1 (en) 2021-03-31

Family

ID=7067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09A KR102234428B1 (en) 2018-10-31 2019-10-31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508A (en)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6358A (en)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508A (en)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6358A (en)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영주 저, '아크릴레이트계 첨가제에 의한 에너지 저장 장치용 전극의 부동태화,'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8년 2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428B1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568B1 (en) Polymer by thermal gelation with functional group for chelating transition metal ion
KR101073233B1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055144B1 (en) Electrolyte including amide compound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same
US8767376B2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9472829B2 (en) Method for stabilizing LiPF6, electrolyte solu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KR20180001989A (en)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KR102541104B1 (en) Lithium salt mixture and its use as battery electrolyte
JP2020510278A (en) Electrolyte additives for lithium-ion battery systems
WO2020111094A1 (en) Electrochemical device negativ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negativ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KR20190122260A (en) Electrolyt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in Lithium-ion Batteries
US10601076B2 (en)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gel polymer electrolyte
KR102289777B1 (en) Mixtures of potassium and lithium salts and their use in batteries
CN113130890B (en) Lithium ion battery
JP6116029B2 (en) Gel electrolyte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2335794B1 (en)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234428B1 (en)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apaciter comprising the same
KR102001985B1 (e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gel polymer electroly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163082B1 (en)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20149973A (en) Secondary battery
JP5727985B2 (en) Battery electrode and battery using the same
CN103715459A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lyte thereof
KR101906462B1 (en)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61560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7251934B2 (en) Electrolyte, alkali metal ion secondary battery, and additive for electrolyte
KR102377667B1 (en) Composition for polymer electrolyte,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electroly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