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171A -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171A
KR20200049171A KR1020180132113A KR20180132113A KR20200049171A KR 20200049171 A KR20200049171 A KR 20200049171A KR 1020180132113 A KR1020180132113 A KR 1020180132113A KR 20180132113 A KR20180132113 A KR 20180132113A KR 20200049171 A KR20200049171 A KR 2020004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filter
bag body
catalys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039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영우그린텍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우그린텍, 김영수 filed Critical (주)영우그린텍
Priority to KR102018013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039B1/ko
Priority to CN201910193239.8A priority patent/CN109833683A/zh
Publication of KR2020004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 및 외측으로 번갈아가며 주름진 별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내,외측 돌출부(11,12)가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된 필터백 본체(1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촉매가 충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도넛형으로 된 내외측 메쉬망(21,22)와, 상기 내외측 메쉬망(21,22) 사이에 충전된 촉매층(23)으로 이루어지는 촉매모듈(2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상단과 상기 촉매모듈(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고정되는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하는 상단결합부(3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을 밀폐되도록 마무리하는 하단캡(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Filter for Dust Collector using Catalyst}
본 발명은 분진 뿐만아니라 NOx와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 여과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필터의 폴리싱시 필터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한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 집진기는 여과포를 필터로 사용하여 충돌, 차단, 확산, 정전기의 메카니즘에 의해 분진을 제거하는 전통적인 대기오염방지시설이다.
이 장치는 분진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여 여러개의 여과포로 통과시켜 분진을 포집하게 되는데, 통상 원통형 필터백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필터백은 원단을 소정의 폭으로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고, 가로로 절단된 원단을 소정의 길이로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각각 절단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여과포를 소정의 원통형으로 잇기 위한 측면 이음매를 형성한다.
원통형 필터백의 길이가 길게 되는 경우에는 필터백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강도가 적어 필터의 내부에 필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메쉬망 형태와 같은 형상유지구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먼지가 필터의 외주연에 너무 쌓이게 되면 심각한 저항을 유발시켜 공기가 유통되지 못하게 되므로 적절한 시점에서 여과포를 청소해 재조정하기 위해 여과포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펄스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싱을 하게 되는데, 폴리싱시에 필터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터 외부에 필터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필터 형상유지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 형상유지장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다수의 금속봉과 원형으로된 다수의 링을 접합시켜 원통형의 금속망체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금속망체는 집진시에 필터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위에 금속봉과 링에 의해 자국이 남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 필터가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망체는 분진 및 오염, 화학성분 등이 함유된 고온다습한 최악의 환경에서는 금속봉과 링의 접합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접합부위의 강도가 저하되고 특히, 필터의 폴리싱시 접합부위가 분리되어 결국 필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필터 형상유지장치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체로 되는 경우도 있으나, 원통형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금속판을 원통형태로 말아 양쪽 단부를 서로 맞대거나 겹쳐 용접하거나, 드로잉, 인발 등을 이용하여 원통체로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원통형체의 경우, 일정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금속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필터 형상유지장치가 무겁고,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필터의 내부에 메쉬망 형태와 같은 형상 유지구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필터의 외부에 폴리싱시 필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필터 형상유지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백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필터백의 재질은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미세먼지 입자와 가스상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게 될 때, 분진이 함유된 공기를 여과하는 데는 용이하나, NOx와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진 뿐만아니라 NOx와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 여과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시 및 폴리싱시 필터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한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는, 주방향을 따라 내측 및 외측으로 번갈아가며 주름진 별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내,외측 돌출부(11,12)가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된 필터백 본체(1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촉매가 충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도넛형으로 된 내외측 메쉬망(21,22)와, 상기 내외측 메쉬망(21,22) 사이에 충전된 촉매층(23)으로 이루어지는 촉매모듈(2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상단과 상기 촉매모듈(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고정되는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하는 상단결합부(3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을 밀폐되도록 마무리하는 하단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백 본체(10)을 서로 연결하는 필터백 연결부(50); 각각의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여과시 및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투입될 때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구속하여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링(6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은 직물로 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에 봉재되어 결합되고, 상기 형상유지링(60)이 상기 필터백 연결부(50) 내측에 수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중간부위에 외주연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폴리싱시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형상으로 된 다수의 스프링(7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측 돌출부(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스프링(7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의 스프링 고정구(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측 메쉬망(2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 메쉬망(21)의 내측을 지지하며, 여과시 상기 촉매층(23)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상부로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 상기 촉매층(23) 내부로 압축공기가 하부로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스페이서(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는 필터가 긴 경우에 필터의 내부에 메쉬망 형태와 같은 형상 유지구를 삽입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필터의 외부에 폴리싱시 필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필터 형상유지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필터백의 구조가 간단하며, 필터백 본체(10)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 상기 형상유지링(60)이 구비되게 되므로 필터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여과시 및 폴리싱시에 원활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폴리싱시에 압축공기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함께 필터백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게 됨으로써 폴리싱에 필요한 공기를 대량으로 공급하게 되어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폴리싱 시간의 단축 및 폴리싱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분진 뿐만 아니라 NOx와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촉매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에 스프링이 스프링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과 집진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여과 집진시스템에서 필터백 본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과 압축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압축공기 공급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촉매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에 스프링이 스프링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는, 필터백 본체(10); 촉매모듈(20); 상단결합부(30); 하단캡(40); 필터백 연결부(50); 형상유지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 및 외측으로 번갈아가며 주름진 별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내,외측 돌출부(11,1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메타-아라미드(meta-aramid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pps), 유리섬유(fiber glass), 아크릴(acrylic) 등등 외에 합성수지 및 친환경 소재 등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촉매모듈(20)은,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촉매모듈(20)은, 촉매가 충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도넛형으로 된 내외측 메쉬망(21,22)와, 상기 내외측 메쉬망(21,22) 사이에 충전된 촉매층(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촉매모듈(20)의 촉매층(23)은 입자형태로 된 그래뉼러(granular) 형태로 될 수 있으며, 벌크(bulk)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촉매층(23)은 중간부위에서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커지도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우측 횡단면도 참조).
이렇게 상기 촉매층(23)이 중간부위에서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커지도록 내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하는 것은 상기 촉매층(23)이 입자형태로 된 그래뉼러(granular) 형태로 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촉매층(23)이 점점 하부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이렇게 되면 촉매을 통과하는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촉매층(23)의 여과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촉매모듈(20)의 내측에는 촉매층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9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우측 횡단면도 참조).
상기 스페이서(90)는, 상기 내측 메쉬망(2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 메쉬망(21)의 내측을 지지하며, 여과시 상기 촉매층(23)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상부로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 상기 촉매층(23) 내부로 압축공기가 하부로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90)는 십자형태로 구비되어 여과된 공기의 유동 및 폴리싱시의 압축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단결합부(30)는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상단과 상기 촉매모듈(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고정되는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상단결합부(30)는 직물 또는 부직포로 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에 봉재되어 결합되고, 내측에 스냅링(21)이 수용되며 상기 스냅링이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고정판에 형성된 고정공(미도시됨)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단결합부(30)는 상기 스냅링(21) 대신에 고정공보다 직경이 큰 거치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링은 고정공보다 직경이 크므로 상기 고정판에 걸쳐지게 되어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하단캡(40)은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을 밀폐되도록 마무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에 의해 분진을 여과하며, 촉매모듈에 의해 NOx와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 여과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총길이는 2 내지 3m 정도가 되는데, 너무 길게 되면 필터백 본체(10)의 여과시에 강도가 저하되므로, 필터백 본체(10)가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된다. 또한, 필터백 본체(10)의 외주연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백 본체(1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펄스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싱을 하게 되는데, 폴리싱시에 필터백 본체(10)가 부풀게 된다.
이러한 것을 줄이기 위해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필터백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어느 정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길이는 30 내지 100 c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필터백 본체(10)의 강도는 크게 되나, 많은 필터백 연결부(50)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 효율이 저하되게 되며, 필터백 본체(10)의 길이가 너무 길면 필터백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필터백 본체(10)는 상하로 적어도 2개 이상이 되도록 하고, 필터백 본체(10)를 필터백 연결부(50)로 연결되도록 하며, 폴리싱시에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구속하는 형상유지링(60)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은 상기 필터백 본체(1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은 상기 필터백 본체(10)보다 유연성이 있는 연성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압축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후술할 상기 필터백 연결부(50)보다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유지링(60)은 각각의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여과시 및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투입될 때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구속하여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100)는, 여과시에는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백 본체(10)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백 본체(10) 내부를 거쳐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는, 상부에서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투입되게 되며, 투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백 본체(10)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백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게 된다.
이때, 폴리싱시에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투입되면 상기 필터백 본체(10)보다 연성재질로 된 상기 필터백 연결부(50)로 집중되게 되나,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는 상기 형상유지링(60)이 구비되어 강성을 가지게 되므로 투입된 압축공기는 완충되게 되고 완충된 압축공기는 상기 필터백 본체(10)로 이동되어 상기 필터백 본체(10)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필터백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어느 정도 가질 수 있고, 필터백 본체(10)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 상기 형상유지링(60)이 구비되게 되므로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구속하여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여과시 및 폴리싱시에 원활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은 직물 또는 부직포 등으로 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에 봉재되어 결합되고, 상기 형상유지링(60)이 상기 필터백 연결부(50) 내측에 수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유지링(60)은, 이중 직물로 된 상기 필터백 연결부(5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봉재되도록 하여 형상유지링(60)이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 형상유지링(60)이 삽입되는 형상유지링 수용부(미도시됨)가 구비되도록 하고 형상유지링 수용부에 지퍼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형상유지링을 수용되도록 하여 지퍼를 잠금으로써 형상유지링(60)이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폴리싱시에 필터백 본체(1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백 본체(10)에 스프링(70)과 스프링 고정구(80)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70)은 각각의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중간부위에 외주연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폴리싱시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형상으로 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구(80)은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측 돌출부(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스프링(7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 고정구(80)은 "ㄷ"자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쪽에 리벳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벳고정공(81)이 형성된다. 아울러, 외측 돌출부(12)에도 리벳삽입공(12a)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구(80)의 내측에 스프링(70)의 양단부위 및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측 돌출부(12)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고정구(80)을 리벳팅하여 스프링(70)의 양단부 및 필터백 본체(10)의 외측 돌출부(12)를 고정함으로써 스프링(7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구(80) 및 스프링(70)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루는 방사형태로 고정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집진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과 집진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여과 집진시스템에서 필터백 본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과 압축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과 도 9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압축공기 공급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여과 집진시스템은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와, 상단캡(110)과, 압축공기 공급관(120)과, 압축공기 공급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는 행렬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캡(110)은, 각각의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상기 상단결합부(3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에 의해 여과된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필터백 본체(10) 내부로 압축공기를 투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20)은, 다수개의 상기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1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행 또는 열로 나란하게 길게 설치되며 행 또는 열에 위치한 다수개의 상기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100)의 상부로 압축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130)는, 상기 상단캡(110)의 상부에 삽입결합되며, 각각의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20)과 연통되고, 상기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100)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20)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상기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1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130)는,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삽입부(131)와 압축공기 배출부(132)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상단캡(110)의 상부에 삽입결합되며 상하로 관통되되 상단부위에 직경이 커지는 벨마우스 형태로 된다.
상기 압축공기 배출부(132)는 상기 삽입부(131)의 외부에 튜브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압축공기 배출부(132)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20)과 연통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공(132a)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삽입부(131)의 상단부위의 벨마우스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상기 삽입부(131)의 상단부위의 벨마우스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게 되면, 상기 삽입부(131)의 하부로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압축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삽입부(131)의 상부는 진공상태가 되므로 상기 삽입부(131)의 상부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함께 빨려들게 되어 상기 삽입부(131)의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압축공기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함께 필터백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게 됨으로써 폴리싱에 필요한 공기를 대량으로 공급하게 되어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의 폴리싱 시간의 단축 및 폴리싱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단캡(110)의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벤츄리(115)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벤츄리가 구비되게 되면 압축공기의 유입을 용이하도록 하며 압축공기의 유입속도를 증가시켜 폴리싱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벤츄리는 다단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의 유입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벤츄리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도 6에서와 같이 집진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각각 고정판(211)에 고정되게 되며, 압축공기 공급부(130)는 필터백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 공급수단(220)에 의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필터백 본체(1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과시에는 집진기 본체(210)의 공기 유입부(212)로 여과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필터백 본체(1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213)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필터백 본체 11,12: 내,외측 돌출부
12a: 리벳삽입공 20: 촉매모듈
30: 상단결합부 40: 하단캡
50: 필터백 연결부 60: 형상유지링
70: 스프링 80: 스프링 고정구
81: 리벳고정공 90: 스페이서
110: 상단캡 120: 압축공기 공급관
130: 압축공기 공급부 131: 삽입부
132: 압축공기 배출부 132a: 압축공기 유입공

Claims (5)

  1.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 및 외측으로 번갈아가며 주름진 별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내,외측 돌출부(11,12)가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된 필터백 본체(1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촉매가 충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도넛형으로 된 내외측 메쉬망(21,22)와, 상기 내외측 메쉬망(21,22) 사이에 충전된 촉매층(23)으로 이루어지는 촉매모듈(2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상단과 상기 촉매모듈(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고정되는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하는 상단결합부(3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하단을 밀폐되도록 마무리하는 하단캡(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 본체(1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백 본체(10)을 서로 연결하는 필터백 연결부(50);
    각각의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여과시 및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투입될 때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구속하여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링(6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 연결부(50)은 직물로 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에 봉재되어 결합되고, 상기 형상유지링(60)이 상기 필터백 연결부(50) 내측에 수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중간부위에 외주연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폴리싱시 상기 필터백 본체(1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형상으로 된 다수의 스프링(70);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측 돌출부(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스프링(7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의 스프링 고정구(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메쉬망(2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 메쉬망(21)의 내측을 지지하며, 여과시 상기 촉매층(23)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상부로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백 본체(10)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는 폴리싱시에 상기 촉매층(23) 내부로 압축공기가 하부로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스페이서(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KR1020180132113A 2018-10-31 2018-10-31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KR10226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13A KR102262039B1 (ko) 2018-10-31 2018-10-31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CN201910193239.8A CN109833683A (zh) 2018-10-31 2019-03-14 利用催化剂的过滤除尘器用过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13A KR102262039B1 (ko) 2018-10-31 2018-10-31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171A true KR20200049171A (ko) 2020-05-08
KR102262039B1 KR102262039B1 (ko) 2021-06-15

Family

ID=6688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13A KR102262039B1 (ko) 2018-10-31 2018-10-31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2039B1 (ko)
CN (1) CN1098336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278A (ko) 2020-07-08 2022-01-17 (주)영우그린텍 촉매 케이지와 필터형태 유지부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KR20220026157A (ko) * 2020-08-25 2022-03-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KR20220061668A (ko) 2020-11-06 2022-05-13 변재룡 자동 필터 먼지제거장치
KR20230003935A (ko) * 2021-06-30 2023-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65B1 (ko) * 2020-05-07 2022-04-13 송창용 촉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CN111821855B (zh) * 2020-07-17 2021-05-14 空哲环境工程(上海)有限公司 化学催化模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21B1 (ko) * 2006-11-01 2008-02-15 조광섭 공기증폭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분사장치
KR101112481B1 (ko) * 2011-11-11 2012-02-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용 매달림 방식 카트리지를 구비한 여과장치
KR20170001977A (ko) * 2015-06-29 2017-01-06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101727954B1 (ko) * 2016-06-03 2017-05-02 김영수 집진기용 필터 지지구조
KR20170139765A (ko) * 2016-06-10 2017-12-20 한국기계연구원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1484B (zh) * 2010-12-07 2012-07-04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体化的除尘与气态污染物脱除装置
CN204502615U (zh) * 2015-03-23 2015-07-29 江苏国信淮安生物质发电有限公司 一种除尘器褶皱形滤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21B1 (ko) * 2006-11-01 2008-02-15 조광섭 공기증폭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분사장치
KR101112481B1 (ko) * 2011-11-11 2012-02-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용 매달림 방식 카트리지를 구비한 여과장치
KR20170001977A (ko) * 2015-06-29 2017-01-06 김선헌 집진기용 필터백
KR101727954B1 (ko) * 2016-06-03 2017-05-02 김영수 집진기용 필터 지지구조
KR20170139765A (ko) * 2016-06-10 2017-12-20 한국기계연구원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278A (ko) 2020-07-08 2022-01-17 (주)영우그린텍 촉매 케이지와 필터형태 유지부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KR20220026157A (ko) * 2020-08-25 2022-03-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KR20220061668A (ko) 2020-11-06 2022-05-13 변재룡 자동 필터 먼지제거장치
KR20230003935A (ko) * 2021-06-30 2023-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039B1 (ko) 2021-06-15
CN109833683A (zh)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9171A (ko)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CA2496217C (en) Filter mounting system
US20240139666A1 (en) Filter element having inner support and methods
CN101282750B (zh) 血液过滤装置及其制造方法
US20040149666A1 (en) Filtering system for a pool or spa
US20120246907A1 (en) Canister air fil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80120949A1 (en) Filter assembly
US6858052B2 (en) Filter cartridge mounting structure
JP2009000680A (ja) フィルターバッグ構造体
JP2000502606A (ja) 分離装置
KR102484724B1 (ko) 촉매 케이지와 필터형태 유지부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KR20100007485U (ko)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EP2511000A1 (en) Improved utilization of powdered sorbent for mercury control from coal-fired power plants
CN206843205U (zh) 一种活性炭纤维滤芯
CA2182934A1 (en) Filtration bag
CN206843206U (zh) 一种高效除氯活性炭滤芯
KR20120011792A (ko) 코어리스 필터 카트리지
CN106964216B (zh) 用于去除气体污染物的过滤装置
US3859065A (en) Dust collector element
KR101959433B1 (ko) 케이지 없이 사용가능한 유연형 주름필터
KR102412475B1 (ko) 집진 장치
KR100973294B1 (ko) 여과집진장치
US3333403A (en) Spacer rings for dust collector bags
CN210522046U (zh) 一种布袋除尘器
CN217092548U (zh) 一种高效防静电的过滤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