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889A -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889A
KR20200047889A KR1020180128657A KR20180128657A KR20200047889A KR 20200047889 A KR20200047889 A KR 20200047889A KR 1020180128657 A KR1020180128657 A KR 1020180128657A KR 20180128657 A KR20180128657 A KR 20180128657A KR 20200047889 A KR20200047889 A KR 2020004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smart window
flexible
window film
electrochro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433B1 (ko
Inventor
김중현
박찬일
김영노
임소은
Original Assignee
안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철 filed Critical 안성철
Priority to KR102018012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과율 조절과 동시에 UV/IR 차단이 가능하고, 유기 소재만을 이용하여 스마트 필름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을 사용하여 투명전극특성과 전기변색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변색(Electrochromic)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필름은 전기변색층과 전극이 분리된 방식인 반면, 본 발명의 유기 전도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필름은 전도성 고분자 단일층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도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필름은 투과율 조절과 동시에 UV 차단층을 구비함으로써 UV/IR 차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Electrochromic flexible smart window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과율 조절과 동시에 UV/IR 차단이 가능하고, 유기 소재만을 이용하여 스마트 필름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윈도우는 외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자체적으로 조절하여 내부 에너지 손실을 줄이면서 소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제어 기술을 의미하며, 에너지 절감 및 효율 향상과 함께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정보 전자 디스플레이 분야뿐만 아니라 건축 및 수송 분야까지 다양한 기술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한 차세대 미래형 기술이다.
한편 스마트 필름 시장은 에너지 절감과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른 수요확대로 향후 시장이 급격히 성장될 전망이다. 최근에는 단열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에너지 절감/고단열소재 제품 생산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스마트 필름이 고기능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각광을 받으며 에너지 절약형 빌딩 및 각종 운송수단용 창호 등에 사용되는 등 연구가 활발하고, 국내에서도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필름은 썬팅 필름처럼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 조절만을 중점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근적외선 차단 기능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변색(Electrochromic)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필름은 전해질층 / 전기변색층(이온저장층) / 전극 / 유연기판 등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로 제작되어 필름의 구조를 단순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제8537451호는 전기변색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특허의 전기변색 장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42a) 상부에 ITO층(44a)이 코팅되어 있으며, ITO층(44a) 상부에 PEDOT(46)이 코팅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전극층의 유연성이 부족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인듐으로 인한 공급량 부족 문제를 가지고 있는 ITO 전극을 사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8537451호 (2013.09.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소재만으로 구성된 전도성 고분자 단일층을 이용하여 스마트 필름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20 % 이상의 투과율 변화가 가능하고 90% 이상 자외선 및 근적외선 차단이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투과율은 조절하면서 자외선 차단 및 열에너지를 차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유연성 기재;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및 상기 유기 전극층의 상부에 형성된 전해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소듐 타입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Na), 증류수, 글리세롤 및 D-소르비톨을 혼합하여 형성된 고체 유기 전해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및 유연성 기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UV 차단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은, 유연성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 전극층의 상부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소듐 타입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Na), 증류수, 글리세롤 및 D-소르비톨을 혼합하여 형성된 고체 유기 전해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및 유연성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UV 차단제를 도포하여 UV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을 사용하여 투명전극특성과 전기변색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변색(Electrochromic)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필름은 전기변색층과 전극이 분리된 방식인 반면, 본 발명의 유기 전도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필름은 전도성 고분자 단일층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도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필름은 투과율 조절과 동시에 UV 차단층을 구비함으로써 UV/IR 차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Vis 투과율) 및 근적외선 차단율(IR 차단율)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유연성 기재(10),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20) 및 전해질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성 기재(10)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polyethylene),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및 폴리설폰(polysulfo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의 고분자가 포함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20)은 상기 유연성 기재(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20)을 사용함으로써 투명전극특성과 전기변색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변색(Electrochromic)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필름은 전기변색층과 전극이 분리된 방식인 반면, 본 발명의 유기 전도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필름은 전도성 고분자 단일층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EDOT:PSS만을 사용할 경우 전기전도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경우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PEDOT:PSS의 낮은 전기전도도를 현저히 향상시킴으로써 전도성 고분자 단일층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전기변색 및 유기 투명전극의 단일층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고 5분 교반후, 5um 이하의 필터로 처리한 후 유연필름(PET) 기판위에 #40 bar(wet thickness 81.4um)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50℃ 조건에서 4분간 건조시켜,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하이브리드 층(단일층)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전해질층(30)은 상기 유기 전극층(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해질층(30)은 소듐 타입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Na), 증류수, 글리세롤 및 D-소르비톨을 혼합하여 형성된 고체 유기 전해질층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30)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40) 및 유연성 기재(5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성 기재(50)의 상부에 UV 차단층(60)이 형성될 수 있다. UV 차단층(60)은 유연성 기재(50)의 한쪽 면에 UV 차단제를 도포후 120℃ 조건에서 2분간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은, 유연성 기재(10)를 준비하는 단계(S10); 유연성 기재(10)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유기 전극층(20)의 상부에 전해질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S20의 유연성 기재(10)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전도성 고분자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고 5분 교반하는 단계; 5um 이하의 필터로 처리한 후 유연필름(PET) 기판위에 #40 bar(wet thickness 81.4um)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50℃ 조건에서 4분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하이브리드층(단일층)을 제조하였다.
S30의 유기 전극층(20)의 상부에 전해질층(30)을 형성하는 단계는, 분자량 60,000의 소듐 타입 poly(styrenesulfonate) (PSSNa)와 3차 증류수, 글리세롤, D-소르비톨을 (4:4:1:1 wt%) 비율로 혼합한 후 5분 동안 교반하고 sonicator를 이용하여 5분동안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하이브리드 층 위에 도포한 후, 150℃ 조건에서 3분간 건조시켜 고체 타입의 유기 전해질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30)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40) 및 유연성 기재(5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50)의 상부에 UV 차단제를 도포하여 UV 차단층(6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전도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필름은 선택적으로 투과율은 조절 가능하면서 UV/IR 차단 기능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필름의 구조를 단순화 하였기 때문에 제작 공정에서도 그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 단일층 제조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고 5분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5um 이하의 필터로 처리한 후 유연필름(PET) 기판위에 #40 bar(wet thickness 81.4um)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150℃ 조건에서 4분간 건조시켜,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하이브리드 층을 제조하였다.
2. 고체 타입의 유기 전해질층 제조
분자량 60,000의 소듐 타입 poly(styrenesulfonate) (PSSNa)와 3차 증류수, 글리세롤, D-소르비톨을 (4:4:1:1 wt%) 비율로 혼합한 후 5분 동안 교반하고 sonicator를 이용하여 5분동안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제조된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하이브리드 층 위에 도포한 후, 150℃ 조건에서 3분간 건조시켜, 고체 타입의 유기 전해질층(30)을 제조하였다.
3. UV 차단층이 포함된 전기변색 소자 제조
상기 제조된 다층 구조(PET /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 고체 전해질)의 필름 위에 유기 투명전극/전기변색 하이브리드 층을 덮어 150℃ 조건에서 1분간 건조시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변색 소자의 한쪽 면에 UV 차단제를 도포후, 120℃ 조건에서 2분간 건조시켜, UV 차단층(60)이 포함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Vis 투과율) 및 근적외선 차단율(IR 차단율)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표 1은 이를 정리한 실험 데이터이다.
도 2 및 표 1에 따르면, 가시광선 영역에서 20 % 이상의 투과율 변화가 가능하고, 90% 이상의 자외선 및 근적외선 차단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투과율은 조절하면서 자외선 차단 및 열에너지를 차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구분 차단율
(Voltage : 0V)
차단율
(Voltage : 3V)
UV 99.9 % 99.9 %
IR 90.4 % 86.0 %
Visible 39.1 % 18.0 %
한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50: 유연성 기재 20, 40: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30: 전해질층 60: UV 차단층

Claims (11)

  1. 유연성 기재;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및
    상기 유기 전극층의 상부에 형성된 전해질층;
    을 포함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소듐 타입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Na), 증류수, 글리세롤 및 D-소르비톨을 혼합하여 형성된 고체 유기 전해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해질층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및 유연성 기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UV 차단층이 형성된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6. 유연성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 전극층의 상부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고형분 함량 1.0~1.3%의 수분산 되어있는 PEDOT:PSS 용액에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EG(Ethylene glycol)를 5~7 wt%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소듐 타입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Na), 증류수, 글리세롤 및 D-소르비톨을 혼합하여 형성된 고체 유기 전해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의 상부에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전기변색을 하는 유기 전극층 및 유연성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의 상부에 UV 차단제를 도포하여 UV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80128657A 2018-10-26 2018-10-26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5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57A KR102156433B1 (ko) 2018-10-26 2018-10-26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57A KR102156433B1 (ko) 2018-10-26 2018-10-26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889A true KR20200047889A (ko) 2020-05-08
KR102156433B1 KR102156433B1 (ko) 2020-09-17

Family

ID=7067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57A KR102156433B1 (ko) 2018-10-26 2018-10-26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4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98A (ko) *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에이팩 Led 집단조명등 디밍 및 절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3489A (ko) * 2020-06-10 2021-12-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WO2024003399A1 (fr) * 2022-06-30 2024-01-04 Valeo Vision Module coloré, véhicule automobile et procédé de changement de couleur associé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924A1 (ja) * 2008-06-03 2009-12-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86452A (ja) * 2011-03-06 2012-09-27 Heraeus Precious Metals Gmbh & Co Kg Pedot/pssを固体電解質として含有するコンデンサにおける電気パラメータをポリグリセロールによって改善するための方法
US8537451B2 (en) 2008-03-26 2013-09-17 Smr Patents S.A.R.L. Processes for producing electrochromic substrates and electrochromic articles made therefrom
KR20170040615A (ko) * 2015-10-05 2017-04-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451B2 (en) 2008-03-26 2013-09-17 Smr Patents S.A.R.L. Processes for producing electrochromic substrates and electrochromic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9147924A1 (ja) * 2008-06-03 2009-12-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86452A (ja) * 2011-03-06 2012-09-27 Heraeus Precious Metals Gmbh & Co Kg Pedot/pssを固体電解質として含有するコンデンサにおける電気パラメータをポリグリセロールによって改善するための方法
KR20170040615A (ko) * 2015-10-05 2017-04-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98A (ko) *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에이팩 Led 집단조명등 디밍 및 절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3489A (ko) * 2020-06-10 2021-12-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KR20220018539A (ko) * 2020-06-10 2022-02-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US11747697B2 (en) 2020-06-10 2023-09-05 Skc Co., Ltd. Electrochromic device
WO2024003399A1 (fr) * 2022-06-30 2024-01-04 Valeo Vision Module coloré, véhicule automobile et procédé de changement de couleur associés
FR3137464A1 (fr) * 2022-06-30 2024-01-05 Valeo Vision Module coloré, véhicule automobile et procédé de changement de couleur associé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433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Stretchable cephalopod‐inspired multimodal camouflage systems
KR20200047889A (ko)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i et al. Multispectral thermal management designs for net-zero energy buildings
KR101158425B1 (ko) 결정성 텅스텐 산화물 나노입자 분산형 졸겔(Sol-Gel) 코팅용액을 이용한 전기변색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2576168B (zh) 用于显示器、照明装置和太阳能电池的具有改善的光学性能和电性能的导电膜或电极
KR101656466B1 (ko) 이온젤 스마트 윈도우 제조방법
CN103996549B (zh) 一种纤维素纳米纤维电致变色超级电容器的制备方法
CN102759835B (zh) 一种纤维状柔性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764331B (zh) 一种超快响应、防过充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656490B1 (ko)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7630029B2 (en) Conductive absorption layer for flexible displays
JP6425080B2 (ja) 光学デバイス
US9651844B2 (en) Reversible electrochemical mirror
CN111752061B (zh) 用于柔性电致变色薄膜的准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ardoso et al. Three‐Mode Modulation Electrochromic Device with High Energy Efficiency for Windows of Buildings Located in Continental Climatic Regions
Zheng et al. Review on recent progress in WO 3-based electrochromic films: preparation methods and performance enhancement strategies
CN206339807U (zh) 一种智能调光变色夹胶玻璃
CN106886113A (zh) 电致变色显示元件
KR20180129161A (ko) 전기변색소자
Cossari et al. All Solid‐State Flexible Electrochromic‐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s on Single‐Plastic Substrate for See‐Through Display Technologies
KR102106269B1 (ko) 유기계 열전 소자를 포함한 발전 장치
JP5803021B2 (ja) 暗オフ状態透過性と明オン状態透過性を有するspd膜
CN113253533A (zh) 柔性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JP2004317877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Chen et al. Energy efficient thermochromic smart windows based on polymers and metal ox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