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110A - Water disp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110A
KR20200047110A KR1020180129151A KR20180129151A KR20200047110A KR 20200047110 A KR20200047110 A KR 20200047110A KR 1020180129151 A KR1020180129151 A KR 1020180129151A KR 20180129151 A KR20180129151 A KR 20180129151A KR 20200047110 A KR20200047110 A KR 2020004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lter
water pi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수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110A/en
Publication of KR2020004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on which a filter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is mounted.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a plurality of filter heads. The plurality of filter heads are fluidly connected by a connecting cap. A division wall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cap.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싱 장치{Water dispensing apparatus}Water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ing device.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온도의 물을 원하는 양 만큼 취출할 수 있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a device that supplies water, and may be defined as a device capable of taking out a desired amount of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냉장고와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와 정수기에 구비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단순히 정수된 물의 공급뿐만 아니라, 냉수와 온수까지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Such a water dispensing devic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but is typically applied to refrigerators and water purifiers. In particular, the water dispensing devic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water purifier is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Recently, a water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not only purified water but also cold water and hot water has been developed in the water dispensing device.

뿐만 아니라, 살균수 생성을 위한 전해조가 구비되어, 과일과 채소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싱 장치도 출시되고 있다. 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that is equipped with an electrolytic cell for generating sterilized water and capable of washing fruits and vegetables has been released.

아래의 선행 기술에 따르면, 원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프리 필터(또는 프리 카본 복합 필터)와 UF 필터(또는 UF중공사막 필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급수되는 물은 프리 필터를 거친 다음 UF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기타 중금속 물질이 걸러진다.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or art, a filte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ers is provided to purify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supplied from a raw water supply pipe. The filter assembly generally consists of a pre-filter (or free carbon composite filter) and a UF filter (or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Then, the water to be fed passes through a pre-filter and then passes through the UF fil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other heavy metal substances.

그리고, 아래 선행 기술의 도 10에 개시되는 도면 및 설명에 따르면,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은 커넥팅 캡을 통과한 후 곧바로 제 2 필터로 흘러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기존의 커넥팅 캡은 인접하는 두 개의 필터 간 유동을 직접 연결해 주는 연결 유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필터로 유입되는 물은 취출 모드가 무엇인지에 관계없이 모든 필터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And,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disclosed in FIG. 10 of the prior art below,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is configured to flow to the second filter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cap. That is, the existing connecting cap is used as a connecting flow path means for directly connecting the flow between two adjacent filters. Therefo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passes through all the filters regardless of what the take-out mode is.

최근에는 급수 배관의 어느 지점에 전해조가 구비되는 살균수 배관이 분지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상기의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는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종래의 급수 유로 구조에 따르면, 음용수 취출의 경우 뿐만 아니라 살균수 취출의 경우에도 프리 필터와 UF 필터를 거친 물이 살균수 배관으로 공급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취출 모드에 따라 물이 선택적으로 UF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모든 취출 모드에서 UF 필터를 거친 물이 취출되는 상황이다. Recently, the above filter assembly is mounted 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which a sterilizing water pipe equipped with an electrolytic cell is branched at a point in the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water supply flow path structure disclosed in the prior art, it is not only for drinking water extraction In the case of sterilized water extraction,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and UF filter is supplied to the sterilized water pipe. In other words,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that allows water to selectively pass through the UF filter according to the take-out mod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F filter is taken out in all the take-out modes.

이러한 경우, UF 필터를 통과한 물이 필요하지 않은 살균수 사용 모드에서도 UF 필터가 불필요하게 사용되므로, UF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UF filter is unnecessarily used even in a sterilized water use mode that does not require water passing through the UF filter, the life of the UF filter is shortened.

한국등록특허 제10-1760210호(2017년07월1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60210 (July 14,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원수 공급관의 일 지점에 장착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출구측 배관에서 분지되는 음용수 배관 및 살균수 배관; 상기 살균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이 취출되는 살균수 파우셋; 및 상기 음용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이 취출되는 음용수 파우셋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 1 헤드와, 상기 제 2 필터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 2 헤드, 및 상기 제 1 헤드와 상기 제 2 헤드의 연결 부위에 장착되는 커넥팅 캡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캡은,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하는 제 1 출수 포트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하는 제 입수 포트와, 상기 캡 바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하는 제 1 입수 포트, 및 상기 캡 바디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하는 제 2 출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lter assembly mounted to a point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Drinking water pipe and sterilized water pipe branched from the outlet pipe of the filter assembly; A sterilized water faucet through which water flowing along the sterilized water pipe is taken out; And a drinking water faucet through which water flowing along the drinking water pipe is taken out, wherein the filter assembly includes 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filter. The paper includes a first head, a second head fitted with an upper end of the second filter, and a connecting cap mounted on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head and the second head, wherein the connecting cap is formed therein. A cap body including a partition wall dividing a flow path into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a first outlet port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The first oil in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the first inlet port formed at one end of the cap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channel, and the second oil inle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p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can and a second water outlet port.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따르면, 음용수 취출 목적이 아닌 살균수 취출 목적의 경우에는 급수되는 물이 UF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프리 필터만 통과하도록 커넥팅 캡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UF 필터의 수명이 연장되어 필터 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sterilizing water extraction purpose other than drinking water extraction purpose, the connecting cap so that the water to be fed does not pass through the UF filter but only the pre-filt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the life of the UF filter is prolong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replacement cost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구성 및 유로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커넥팅 캡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커넥팅 캡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헤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sink.
Figure 2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the flow path configuration of the water dispensing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cap mounted to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cap cut along 4-4 of FIG. 3;
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d constituting the filter assemb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필터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of a water dispensing device and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구성 및 유로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ater dispensing device provided in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the flow path configuration of the water dispensing device.

이하에서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구비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물 가공 장치는, 정수기와 같이 싱크대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sink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ater processing devic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ink,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s shown in the sink Note that it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될 수 있다. 1 and 2,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kitchen sink.

상세히,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1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물 가공 장치(100)와, 상기 싱크대(1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파우셋(faucet)(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가공 장치(100)는 원수 공급관(101)에 연결되어, 상기 원수 공급관(101)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냉수, 정수, 온수, 및 살균수로 가공하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es a water processing device 100 installed in a space formed under the sink 10 and a faucet 200 erected on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10. can do. The water process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101, it can be understood as a device for process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101 into cold water,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sterilized water.

상기 파우셋(200)은, 상기 싱크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파우셋 바디(230)와, 상기 파우셋 바디(230)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음용수 파우셋(210) 및 살균수 파우셋(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ucet 200 includes a faucet body 230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nk 10, a drinking water faucet 210 and a sterilized water faucet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aucet body 230 ( 220).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과 상기 살균수 파우셋(220)은 상기 파우셋 바디(2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 파우셋(220)은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살균수 파우셋(220)의 출수구(221)와 음용수 파우셋(210)의 출수구(211)가 간섭 또는 중첩되어, 살균수가 음용수로 오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and the sterilizing water faucet 2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aucet body 230. In addition, the sterilized water faucet 220 may be designed to ro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spaced apart from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terilized water is misused as drinking water because the outlet 221 of the sterilized water faucet 220 and the outlet 211 of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are interfered or overlapped.

또한, 상기 파우셋 바디(230)의 내부에는 후술할 드레인 절환 밸브(190)가 내장되고, 상기 드레인 절환 밸브(190)의 일측 출구에는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으로 연장되는 출수 배관이 연결되고, 타측 출구에는 서브 드레인 배관(109)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드레인 배관(190)는 후술할 메인 드레인 배관(108)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드레인 배관(109)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첵밸브(C)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ain switching valve 1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built in the faucet body 230, and an outlet pipe extending to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is connected to one outlet of the drain switching valve 190, , The sub-drain pipe 109 is connected to the other outlet. In addition, the sub-drain pipe 190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pipe 10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check valve C for preventing backflow may be installed in the sub-drain pipe 109.

그리고, 상기 파우셋(200)은 연결 배관(107) 및 후술할 살균수 배관(103)에 의하여 상기 물 가공 장치(100)와 연결된다. Then, the faucet 200 is connected to the water processing apparatus 100 by a connecting pipe 107 and a sterilizing water pipe 10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과 살균수 파우셋(220)의 상면에는 각각 음용수와 살균수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을 통하여 취출되는 음용수의 형태는, 냉수, 정수, 및 온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and the sterilized water faucet 220 may be provided with input buttons for inputting drinking water and sterilized water extraction commands, respectively. The form of drinking water taken out through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may include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이하에서는 상기 물 가공 장치(100)의 내부 구성 및 유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a flow path of the water process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원수 공급관(101)이 연장되고, 상기 원수 공급관(101)에는 감압 밸브(110), 필터 어셈블리(120), 및 유량 감지부(130)가 물의 흐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The raw water supply pipe 101 extends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0, the filter assembly 120, and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30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raw water supply pipe 101 in the flow direction of water.

상기 감압 밸브(110)는 물의 압력을 낮추어 물이 적절한 압력으로 취출되도록 한다.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0 lowers the pressure of the water so that water is taken out at an appropriate pressure.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는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과 유해 물질을 걸러준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는, 제 1 필터(121)와 제 2 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121)는 프리 필터(또는 프리 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필터(122)는 UF필터(또는 UF 복합 필터 또는 UF 중공사막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120 filters various impurities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raw water. The filter assembly 120 may include a first filter 121 and a second filter 122. The first filter 121 may include a pre-filter (or free carbon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122 may include an UF filter (or UF composite filter or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상기 유량 감지부(13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감지한다. The flow sensor 130 detects the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20.

상기 원수 공급관(101)은 상기 제 1 필터(121)의 출구와 상기 유량 감지부(130)의 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유량 감지부(130)의 출구에서 음용수 배관(102)과 살균수 배관(103)으로 나뉘어진다. The raw water supply pipe 101 connects the outlet of the first filter 121 and the inlet of the flow sensor 130, and the drinking water pipe 102 and the sterilized water pipe at the outlet of the flow sensor 130 ( 103).

그리고, 상기 음용수 배관(102)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 상에 상기 제 2 필터(122)가 놓인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량 감지부(130)의 출구에서 상기 음용수 배관(102)으로 흐르는 물은, 상기 제 2 필터(122)를 통과하게 된다. Then, the second filter 122 is placed on the flow path formed by the drinking water pipe 102. In other words, the water flowing from the outlet of the flow rate sensor 130 to the drinking water pipe 102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122.

반면, 상기 살균수 배관(103)은 상기 제 2 필터(122)를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상기 살균수 파우셋(220)으로 연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103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122 and extends directly to the sterilizing water faucet 220.

상기 유량 감지부(130)의 출구에서 분지되어 연장되는 상기 살균수 배관(103)에는, 물의 흐름 방향으로, 개폐 밸브(V), 및 전해조(140)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개폐 밸브(V)와 전해조(140) 사이에 첵밸브(check valve)(C)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첵 밸브(C)는 상기 전해조(140)로 공급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erilizing water pipe 103 that is branched and extended from the outlet of the flow rate sensing unit 130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an opening / closing valve V and an electrolytic cell 140 in the flow direction of water.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a check valve (C) may be mounted between the on-off valve (V) and the electrolytic cell (140). The check valve (C) prevents the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zer 140 from flowing backward.

상기 전해조(140)에서는 전기 분해를 통해서 살균수가 생성된다. In the electrolyzer 140,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상기 살균수 배관(103)은 상기 살균수 파우셋(220)의 입수구에 연결된다. The sterilizing water pipe 103 is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sterilizing water faucet 220.

한편, 상기 음용수 배관(102)은, 상기 유량 감지부(130)의 출구와 상기 제 2 필터(122)의 입수구를 연결하는 제 1 음용수 배관(102a)과, 상기 제 2 필터(122)의 출수구에서 연장되는 제 2 음용수 배관(102b)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drinking water pipe 102 includes a first drinking water pipe 102a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30 and the inlet of the second filter 122, and the outlet of the second filter 122 It includes a second drinking water pipe (102b) extending from.

상세히, 상기 제 2 음용수 배관(102b)의 단부에서, 상기 음용수 배관(102)은 온수 배관(104)과, 냉수 배관(105), 및 정수 배관(106)으로 분지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 2 음용수 배관(102b)의 단부에서 온수 배관(104)과 비온수(non-hot water) 배관으로 먼저 나뉘어진 다음, 상기 비온수 배관은 다시 냉수 배관(105)과 정수 배관(106)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온수 배관, 냉수 배관, 및 정수 배관이 한 지점에서 3 갈래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detail, at the end of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e 102b, the drinking water pipe 102 is branched into a hot water pipe 104, a cold water pipe 105, and a purified water pipe 106. As an example, the end of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e (102b) is first divided into a hot water pipe 104 and a non-hot water pipe, and then the non-hot water pipe is again a cold water pipe 105 and a purified water pipe ( 106).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ot water piping, cold water piping, and water purification piping ar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hree branches at one point.

상기 비온수 배관의 어느 지점에는 첵밸브(C)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온수 배관(104)과, 냉수 배관(105) 및 정수 배관(106)에는 개폐 밸브(V)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정수, 및 온수 출수 명령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해당 배관에 장착된 개폐 밸브(V)가 개방된다. A check valve (C) may be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non-hot water pipe, and the on / off valve (V) may be mounted on the hot water pipe (104), the cold water pipe (105), and the purified water pipe (106). . Then, when any of the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outflow commands are input, the on-off valve V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pipe is opened.

또한, 상기 온수 배관(104)에 구비되는 개폐 밸브(V)의 출구측에는 유량 조절부(160)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유량 조절부(160)의 출구측에는 온수 모듈(170)이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low control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provided on the hot water pipe 104, and a hot water module 170 may be moun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low control unit 160. have.

상기 유량 조절부(160)는 써미스터일 수 있고, 상기 온수 모듈(17)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온수 배관(104)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를 설정 온도로 가열하도록 한다. The flow control unit 160 may be a thermistor, and a heater is mounted on the hot water module 17 to heat drinking water flowing along the hot water pipe 104 to a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냉수 배관(105)의 일측에 장착되는 상기 개폐 밸브(V)의 출구측에는 냉수 모듈(180)이 장착되어, 냉수 배관(105)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를 설정 온도로 냉각하도록 한다. 상기 냉수 모듈(180)은, 냉각수가 담긴 냉각 탱크와, 상기 냉각 탱크에 설치되는 증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105)은 상기 냉각 탱크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증발 배관에 의하여 냉각된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105)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가 열교환하여, 냉수 배관(105)을 따라 흐르는 음용수가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ld water module 180 is moun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V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ld water pipe 105 to cool drinking water flowing along the cold water pipe 105 to a set temperature. The cold water module 180 may include a cooling tank containing cooling water and an evaporation pipe installed in the cooling tank. In addition, the cold water pipe 105 is designed to pass through the cooling tank, and the cooling water cooled by the evaporation pipe and the drinking water flowing along the cold water pipe 105 exchange heat to flow along the cold water pipe 105. Drinking water can be cooled to a temperature lower than room temperature.

한편, 상기 정수 배관(106)과 냉수 배관(105) 및 온수 배관(104)은 상기 연결 배관(170)의 입구단에서 합지되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정수,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한 형태의 물이 상기 연결 배관(107)을 따라 흘러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의 출수구(211)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water pipe 106 and the cold water pipe 105 and the hot water pipe 104 are laminated at the inlet end of the connection pipe 170,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input, any one of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The water of the flow along the connecting pipe 107 is discharged to the outlet 211 of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또한, 상기 온수 모듈(170)에는 드레인 배관(108)이 연장되어, 상기 온수 모듈(170)에서 생성되는 온수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듈(170)에 연결되는 드레인 배관(108)은 메인 드레인 배관(108)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메인 드레인 배관(108)에는 안전 밸브(S)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듈(170)의 히터가 오작동하여 온수 모듈(170)이 과열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안전을 위해서 상기 안전 밸브(S)가 개방되고, 온수의 일부 및 수증기가 상기 메인 드레인 배관(108)을 통하여 물 가공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in pipe 108 is extended to the hot water module 170 so that a part of the hot water generated in the hot water module 1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rain pipe 108 connected to the hot water module 170 may be defined as a main drain pipe 108, and a safety valve S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drain pipe 108. When the heater of the hot water module 170 malfunctions and the hot water module 170 is overheated, the safety valve S is opened for safety, and part of the hot water and water vapor are the main drain pipe 108 Through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rocessing apparatus 100.

또한, 상기 연결 배관(107)의 어느 지점에는 드레인 절환 밸브(190)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드레인 절환 밸브(190)는 상기 파우셋 바디(2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ain switching valve 190 may be mounted at a point of the connection pipe 107, and the drain switching valve 19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acet body 230.

상기 드레인 절환 밸브(190)의 출구단에는 서브 드레인 배관(109)과 음용수 취출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음용수 취출 배관은 상기 음용수 파우셋(210)에 연결된다. 상기 서브 드레인 배관(109)의 출구단은 상기 메인 드레인 배관(108)에 연결된다. A sub-drain pipe 109 and a drinking water extraction pipe are connected to an outlet end of the drain switching valve 190, and the drinking water extra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faucet 210. The outlet end of the sub-drain pipe 109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pipe 10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커넥팅 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커넥팅 캡의 절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cap mounted to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cap cut along 4-4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캡(4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캡바디(41)와, 상기 캡 바디(41)의 외주면에서 상기 캡 바디(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출수 포트(45) 및 제 2 입수 포트(46)와, 상기 캡 바디(41)의 외주면에서 상기 캡바디(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터(42)와, 상기 서포터(42)의 단부에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캡 바디(41)를 덮는 차폐판(43)과, 상기 캡 바디(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구속부(43), 및 상기 한 쌍의 구속부(4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캡 바디(41)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connecting cap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body 41 is formed with a flow path therein, and the cap body 4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41 ) And a first outlet port 45 and a second intake port 46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and a supporter 42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ap body 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41 ), A shield plate 43 that is formed to be round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end of the supporter 42 to cover the cap body 41, and a pair of restraining port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41 ( 43), and a guide portion 44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41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estraining portions 43.

상세히, 상기 캡 바디(41)의 양 단부에는 상기 캡 바디(4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1 입수 포트(414) 및 제 2 출수 포트(415)가 각각 돌출된다.In detail, the first inlet port 414 and the second outlet port 415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body 41 are projected at both ends of the cap body 41,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출수 포트(45)와 상기 제 2 입수 포트(46)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출수 포트(45)에 연결되는 배관과 상기 제 2 입수 포트(46)에 연결되는 배관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first outlet port 45 and the second inlet port 46 may extend longer than the other. This may be understoo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ort 45 and the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ort 46.

또한, 상기 한 쌍의 구속부(43)는 상기 캡바디(41)의 외주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배치되고,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휘어져서 탄성을 가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restraining portions 43 are disposed at points facing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41, and may be bent in a U-shape or a V-shape to have elasticity.

또한, 상기 가이드부(44)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의 헤드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 캡(40)이 헤드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44 is inserted into the head of the filter assembly 120, so that the connecting cap 40 does not deviate from the head.

한편, 상기 캡 바디(41)의 내부에는 구획벽(413)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413)은 상기 제 1 출수 포트(45)와 상기 제 2 입수 포트(46)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413)에 의하여 상기 캡 바디(41) 내부 유로는 제 1 유로(411)와 제 2 유로(412)로 분할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수 포트(414)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 1 유로(411)를 따라 흘러 상기 제 1 출수 포트(45)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수 포트(46)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 2 유로(412)를 따라 흘러 상기 제 2 출수 포트(415)로 안내된다. Meanwhile, a partition wall 413 is formed inside the cap body 41, and the partition wall 413 i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between the first outlet port 45 and the second inlet port 46. Is formed. The inner passage of the cap body 41 is divided into a first passage 411 and a second passage 412 by the partition wall 413. Then,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port 414 flows along the first flow path 411 and is guided to the first outlet port 45. T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port 46 flows along the second flow path 412 and is guided to the second outlet port 415.

도 5는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헤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d constituting the filter assembly.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120)의 헤드는, 상기 제 1 필터(121)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 1 필터(123)와, 상기 제 2 필터(122)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 2 헤드(124)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캡(40)은 상기 제 1 헤드(123)와 제 2 헤드(124)가 연결되는 부분이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head of the filter assembly 120 includes a first filter 123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lter 121 is coupled, and a second head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lter 122 is coupled. It includes (124), the connecting cap 40 is mounted to the first head 123 and the second head 124 is connected to the portion.

상세히, 상기 제 1 헤드(123)의 일측에는 상기 감압 밸브(110)의 출구에서 연장되는 원수 공급관(101)이 연결되는 제 1 입수구(12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헤드(123)의 타측에는 제 1 출수구(123b)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 캡(40)의 제 1 입수 포트(414)는 상기 제 1 출수구(123b)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출수 포트(45)와 제 2 입수 포트(46)에는 L 자형 커넥터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출수 포트(45)에 연결되는 급수 배관은 상기 유량 감지부(130)의 입구단에 연결된다.In detail, a first inlet 123a to which a raw water supply pipe 101 extending from an outlet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0 is connect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head 123. Then, a first outlet 123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ead 123, and a first inlet port 414 of the connecting cap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123b. In addition, L-shaped connectors may be mounted to the first outlet port 45 and the second outlet port 4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ort 45 is connected to the inlet end of the flow sensor 130.

또한, 상기 제 2 헤드(124)의 일측에는 제 2 입수구(124a)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캡(40)의 제 2 출수 포트(415)는 상기 제 2 입수구(124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헤드(124)의 타측에는 제 2 출수구(124b)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second inlet 124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ead 124, and the second outlet port 415 of the connecting cap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124a. Further, a second outlet port 124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ead 124.

또한, 상기 음용수 배관(102)의 제 1 음용수 배관(102a)의 토출단(또는 출수구)은 상기 제 2 입수 포트(46)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음용수 배관(102b)의 입구단(또는 입수구)은 상기 제 2 출수구(124b)에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end (or outlet) of the first drinking water pipe 102a of the drinking water pipe 1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ort 46, and the inlet end (or inlet) of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e 102b )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124b.

상기 제 1 헤드(123)와 제 2 헤드(124) 및 상기 커넥팅 캡(40)이 연결된 조립체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low path formed in the assembly where the first head 123, the second head 124, and the connecting cap 40 are connected is as follows.

상세히, 상기 감압 밸브(110)를 통과한 원수는 상기 제 1 입수구(123)를 통하여 상기 제 1 헤드(123)로 유입되고, 상기 제 1 필터(121)를 통과하면서 1차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출수구(123b)로 토출된다. In detail,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0 flows into the first head 123 through the first inlet 123, and the first filtering is per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121, It is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23b).

상기 제 1 출수구(123b)로 토출되는 물은 상기 커넥팅 캡(140)의 제 1 유로(411)를 따라 상기 제 1 출수 포트(45)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출수 포트(45)로 토출되는 물은 상기 유량 감지부(130)로 흐르고, 상기 유량 감지부(1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음용수 배관(102)과 상기 살균수 배관(103) 중 어느 한 쪽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량 감지부(13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와 감압 밸브(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이 경우는 상기 제 1 출수 포트(45)의 출구에 연결되는 급수 배관의 단부에서 제 1 음용수 배관(102a)과 제 2 음용수 배관(102b)이 나뉘어진다. The water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23b is guided to the first outlet port 45 along the first flow path 411 of the connecting cap 140. And, the water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port 45 flows to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30,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30 is the drinking water pipe 102 and the sterilization water pipe 103 ). Here,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30 is not excluded from being disposed between the filter assembly 120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10, in this case of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irst outlet port 45 At the end, the first drinking water pipe 102a and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e 102b are divided.

만일, 사용자가 살균수 생성을 위한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유량 감지부(1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제 2 필터(122)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상기 살균수 배관(103)을 따라 상기 전해조(140)로 흐른다. If the user selects a mode for generating sterilized water,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30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122 but immediately follows the sterilized water pipe 103 and the electrolytic cell ( 140).

반면, 사용자가 음용수 취출을 위한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유량 감지부(1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제 1 음용수 배관(102a)을 따라 흘러 상기 제 2 입수 포트(46)로 안내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a mode for taking out drinking water,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rate sensor 130 flows along the first drinking water pipe 102a and is guided to the second intake port 46.

상기 제 2 입수 포트(46)로 안내된 물은 상기 제 2 헤드(124)의 제 2 입수구(124a)를 통하여 상기 제 2 헤드(124)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헤드(124)로 안내된 물은 상기 제 2 필터(122)를 통과하면서 2차 필터링된 후 상기 제 2 출수구(124b)를 통하여 상기 제 2 음용수 배관(102b)으로 흐르게 된다. The water guided to the second inlet port 46 is guided into the second head 124 through the second inlet 124a of the second head 124. Then, the water guided to the second head 124 is secondly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122 and then flows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b to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e 102b.

상기 커넥팅 캡(40) 내부의 구획벽(413)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121)를 통과한 물은 곧바로 제 2 필터(122)로 흐르지 않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의 외부로 배출된 후, 음용수 취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필터(122)로 다시 유입된다. After the partition wall 413 inside the connecting cap 40,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121 does not flow directly to the second filter 122 bu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assembly 120. , Only when the drinking water extraction command is input, it flows back into the second filter 122.

따라서, 살균수가 생성되는 살균수 취출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필터(121)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제 2 필터(122)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 2 필터(122)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n the sterilized water extraction mode in which sterilized water is generated, sinc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121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122, the life of the second filter 122 is extended. .

Claims (8)

원수 공급관의 일 지점에 장착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출구측 배관에서 분지되는 음용수 배관 및 살균수 배관;
상기 살균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이 취출되는 살균수 파우셋; 및
상기 음용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이 취출되는 음용수 파우셋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 1 헤드와,
상기 제 2 필터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 2 헤드, 및
상기 제 1 헤드와 상기 제 2 헤드의 연결 부위에 장착되는 커넥팅 캡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캡은,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하는 제 1 출수 포트와,
상기 캡 바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하는 제 입수 포트와,
상기 캡 바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하는 제 1 입수 포트, 및
상기 캡 바디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하는 제 2 출수 포트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 filter assembly mounted at a point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Drinking water pipe and sterilized water pipe branched from the outlet pipe of the filter assembly;
A sterilized water faucet through which water flowing along the sterilized water pipe is taken out; And
And a drinking water faucet through which water flowing along the drinking water pipe is taken out,
The filter assembly,
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A first head fitted with an upper end of the first filter,
A second head fitted with an upper end of the second filter, and
And a connecting cap mounted on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head and the second head,
The connecting cap,
A cap body including a partition wall divid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into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A first outlet port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 first intake port exten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A first inlet port formed at one end of the cap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nd a second outlet po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p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의 입수구에는 상기 원수 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헤드의 출수구는 상기 제 1 입수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irst head,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of the first hea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수 포트는 상기 제 2 헤드의 입수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dispensing port is a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hea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배관과 상기 살균수 배관은, 상기 제 1 출수포트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급수 배관의 단부에서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nking water pipe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the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ranch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ort extend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배관은,
상기 음용수 배관과 상기 살균수 배관이 분지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입수 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음용수 배관과,
상기 제 2 출수 포트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 2 음용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용수 배관의 출구단은 상기 음용수 파우셋에 연결되고,
상기 살균수 배관의 출구단은 상기 살균수 파우셋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nking water pipe,
A first drinking water pipe extending from a point where the drinking water pipe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are branch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ort;
And a second drinking water pipe connected and extended to the second outlet port,
The outlet end of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faucet,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end of the sterilizing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fauc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수 포트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급수 배관에 구비되는 유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용수 배관과 상기 살균수 배관은 상기 유량 감지부의 출구측에서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low rate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is extended,
The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nking water pipe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are branched from the outlet side of the flow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용수 배관은, 온수 배관, 냉수 배관, 및 정수 배관으로 분지된 후 어느 지점에서 합지되고,
상기 합지되는 부분과 상기 음용수 파우셋은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is branched into a hot water piping, cold water piping, and purified water piping, and then laminated at any point.
The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ting portion and the drinking water faucet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배관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는 전해조와,
상기 냉수 배관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는 냉수 모듈과,
상기 온수 배관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는 온수 모듈, 및
상기 살균수 배관,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의 어느 지점에 각각 장착되는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 electrolytic cell mounted at any point of the sterilizing water pipe,
A cold water module mounted at any point of the cold water pipe,
A hot water module mounted at any point of the hot water pipe,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valve mounted at any point of the sterilizing water piping, cold water piping, and hot water piping.
KR1020180129151A 2018-10-26 2018-10-26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2000471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51A KR20200047110A (en) 2018-10-26 2018-10-26 Water disp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51A KR20200047110A (en) 2018-10-26 2018-10-26 Water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10A true KR20200047110A (en) 2020-05-07

Family

ID=7073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51A KR20200047110A (en) 2018-10-26 2018-10-26 Water disp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1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286A (en) *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Househol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ndersink type dual dispenser that can use both antibacterial-agent and purified water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10B1 (en) 2016-03-29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ng apparatus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10B1 (en) 2016-03-29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ng apparatus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286A (en) *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Househol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ndersink type dual dispenser that can use both antibacterial-agent and purified wate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878A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AU2021290390B2 (en) Water Purifier
KR20200047110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200047102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110008627A (en) Cold water purifier
KR102394470B1 (en) A Water purifier
CN114477583A (en) Water purifier
KR100993891B1 (en) Purifier
KR102177297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fil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US20150344321A1 (en) Water filter assembly
US9216894B2 (en) Drinking water server
KR102316706B1 (en) A water purifier
CN216569559U (en) Water dispenser connection structure
KR102101802B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28415B1 (en) Hot Tank for Directly Draining Type Water Purifier
CN106237856B (en) Intelligent water purifier without water purifying tank
EP3453439B1 (en)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device
KR100620576B1 (en) Pump for Purifier
KR100657766B1 (en) Water purifier
CN220338865U (en) Waterway system of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KR102040685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KR20120113166A (en) Cleaning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furifier using the same
CN220245680U (en) Water purifier with hot tank assembly
CN214433682U (en) Water making equipment
CN214433681U (en) Water mak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