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802B1 -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802B1
KR102101802B1 KR1020190010596A KR20190010596A KR102101802B1 KR 102101802 B1 KR102101802 B1 KR 102101802B1 KR 1020190010596 A KR1020190010596 A KR 1020190010596A KR 20190010596 A KR20190010596 A KR 20190010596A KR 102101802 B1 KR102101802 B1 KR 10210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flow path
wash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4029A (en
Inventor
전제욱
김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유로와, 상기 출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출수밸브와,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버튼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case to purify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and a water supply passage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er. I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the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taken out,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to the outlet and the outlet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provided on the outlet passag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passage, a user receiving a washing command from the user and the operating unit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to be opened or closed intermittently, the user The cleaning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valve only operate the button at th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oceed to.

Figure 112019009904073-pat00001
Figure 112019009904073-pat00001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ater purifiers are used for household purposes as a mechanism to remove impurities by filtering water.

상세히,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wate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o remove floating substances or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ap water using a filte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d take out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Various water purifiers such as purified water as well as hot and cold water have been released. And, 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having a small size and capable of being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또한, 정수기의 내부에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되며, 배관에 밸브, 취수구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밸브, 취수구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일 수 있고, 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pipe for flowing purified water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er, and a valve, a water intake port,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pipe. When the water purifier is used for a long tim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may be caught in piping, valves, and water intake ports, and microorganisms and the like may breed.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정수기의 유로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정수기의 본체에서 커버를 분리하고, 외부로 노출된 각종 배관들을 별도의 세척장치에 연결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clean the flow path of the water purifi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ver must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and various pipes exposed to the outside must be connected to a separate washing device.

한국공개특허 10-2001-0111954호에 따르면, 침전필터와 프리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포스트 카본필터의 순으로 설치되고, 정수유로 및 취출노즐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111954, a water purifier is installed in order of a precipitation filter, a pre-carbon filter, a membrane filter, and a post carbon filter, and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flow path and a take-out nozzl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정수유로를 따라 곧바로 출수노즐로 공급된다.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along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또한, 냉수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경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쿨링탱크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냉수유로를 따라 출수노즐로 공급되기도 한다. 또한, 온수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경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온수탱크를 거치면서 가열된 후 온수유로를 따라 출수노즐로 공급되기도 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cold water function,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a cooling tank and then supplied to the outlet nozzle along the cold water flow pat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ater purifier having a hot water function,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along the hot water flow path.

상기와 같이, 필터에서 출수된 정수는 출수노즐로 취출되기 까지 여러개의 유로와 밸브 및 탱크 등을 거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flow paths, valves, and tanks until it is taken out to the discharge nozzle.

이때,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밸브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일 수 있고, 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used for a long tim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may be caught in piping, valves, and the like, and microorganisms or the like may breed.

따라서, 유로, 밸브 등은 주기적으로 살균시킬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sterilize the flow path, the valve, and the like.

종래의 경우, 유로, 밸브 등의 살균 과정이 복잡해서 대부분 별도의 트레이닝을 받은 전문 코디네이터가 방문하여 정수기의 유로, 밸브 등을 살균처리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s complicated, most of the specialized coordinators who have received training separately visited and sterilized the flow path and the valve of the water purifier.

따라서, 사용자가 정수기의 유로, 밸브 등의 살균 필요성을 인지하더라도, 원하는 시점에 정수기의 살균을 진행할 수 없었고, 전문 코디네이터의 방문 케어로 인해 정수기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even if the user recognizes the need to sterilize the flow path and valve of the water purifier, sterilization of the water purifier could not be performed at a desired time,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of the water purifier had to be increased due to visit care by a professional coordinator. .

또한, 종래의 경우 정수기의 유로, 밸브 등의 살균처리를 위해 별도의 살균키트를 구비해야만 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a separate sterilization kit had to be provided for sterilization treatment of a flow path and a valve of the water purifier.

이 경우, 살균키트를 구비하는 데 비용이 추가되고, 살균키트를 통한 살균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 사용자가 살균을 직접 진행하기에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sterilize the user by adding a cost to the sterilization kit and having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sterilization operation through the sterilization kit.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에서 부터 출수노즐 또는 배출구와 연결된 출수유로 까지 정수기 내부의 전체 유로 및 밸브를 세척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washing the entire flow path and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or the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버튼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automatically washing a flow path and a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by simply pressing a button at a user's desired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살균 키트 또는 살균 모듈을 연결하지 않고,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cleaning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sterilization kit or sterilization module.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 펌프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washing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by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circulation pump.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 내부에 세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고도,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washing the flow paths and valves inside the water purifier without having a separate space for washing inside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곧바로 세척이 정지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stopped immediately by a user's command even when the washing is in progress.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이 진행되는 상태 및 세척이 완료된 시점을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promptly confirming and coping with a user in a state in which washing is in progress and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사용자가 처리할 필요 없이 곧 바로 배수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by draining immediately without the user having to process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유로의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냉수를 취출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by a user even while washing of the purified water passage is in progr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출수를 통해 유로 및 배관의 세균을 배출시킨 뒤 맥동세척이 이루어져 맥동의 압력에 의해 세균이 유로 및 밸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bacteria from being attached to a flow path and a valve by pulsation pressure after pulsation washing is performed after discharging bacteria from the flow path and piping through continuous water discharge.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유로 및 배관의 부착세균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increasing the removal rate of bacteria attached to the flow path and piping of the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유로와, 상기 출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출수밸브와,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case to purify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and a water supply passage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er, I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the water outlet nozzle through which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taken out,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nd an outlet valve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 outlet valve provided on the outlet passage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passage, and an operation unit receiving a washing instruction from a user and a washing instruction input to the operating unit. I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pen or close intermittently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It shall be.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버튼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살균 키트 또는 살균 모듈을 연결하지 않고,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순환 펌프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정수기 내부에 세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고도,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ashing of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only by pressing a button at a user's desired time. In addition,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sterilization kit or sterilization module,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can be cleaned. In addi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circulation pump, washing of the flow path and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may be performed by the water pressur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Further,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pace for washing inside the water purifier,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can be cleaned.

또한, 상기 조작부는, 세척버튼 및 출수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세척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세척이 진행되고, 세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세척버튼을 다시 누르면, 세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곧바로 세척이 정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washing button and a water discharge button, the user presses the washing button and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washing proceeds, and in the process of wash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washing button again, the washing is stopped. It is characterized by. 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washing is in progress, the washing may be stopped immediately by a user's comman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세척상태에 따른 알림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세척과정이 진행되는 상태와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세척이 진행되는 상태 및 세척이 완료된 시점을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for visually and / or audibly outputting a notification according to a washing state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is different from a washing process in progress and a washing completion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and cope with the state in which the washing is in progress and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세척명령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밸브와 출수밸브를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개방시키는 제1연속출수단계와, 상기 제1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밸브 또는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맥동형성단계와, 제2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밸브와 출수밸브를 기설정된 제3시간 동안 개방시키는 제2연속출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step of inputting a washing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1 continuous water discharge step, and when the first time passe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to open or close intermittently for a preset second time, and the second time When it passes,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second continuous water discharge step of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for a predetermined third time.

이에 따르면, 정수유로의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냉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연속출수를 통해 유로 및 배관의 세균을 배출시킨 뒤 맥동세척이 이루어져 맥동의 압력에 의해 세균이 유로 및 밸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의 유로 및 배관의 부착세균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cold water can be taken out by the user even while the washing of the purified water passage is in progres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teria from being attached to the flow path and the valve due to the pressure of the pulsation after pulsation washing is performed after discharging bacteria from the flow path and the pipe through the continuous water dischar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the attached bacteria in the flow path and the piping of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에서 부터 출수노즐 또는 배출구와 연결된 출수유로 까지 정수기 내부의 전체 유로 및 밸브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washing the entir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or the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버튼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shing of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only by pressing a button at a user's desired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살균 키트 또는 살균 모듈을 연결하지 않고,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sterilization kit or sterilization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can be cleaned.

본 발명에 따르면, 순환 펌프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circulation pum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to wash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by the water pressure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 내부에 세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고도,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밸브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pace for washing inside the water purifi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to wash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곧바로 세척이 정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ashing is in progres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shing can be stopped immediately by a user's command.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이 진행되는 상태 및 세척이 완료된 시점을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and cope with the state in which the washing proceeds and the time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사용자가 처리할 필요 없이 곧 바로 배수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by immediately drain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without the user having to process it.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유로의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냉수를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take out cold water even while the washing of the purified water flow is in progress.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출수를 통해 유로 및 배관의 세균을 배출시킨 뒤 맥동세척이 이루어져 맥동의 압력에 의해 세균이 유로 및 밸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leasing bacteria in the flow path and piping through continuous water discharge, pulsation washing is performed, thereby preventing bacteria from being attached to the flow path and the valve due to the pressure of the puls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의 유로 및 배관의 부착세균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the attached bacteria in the flow path and the pipe of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시간에 정수기의 유로 및 배관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lean the flow path and the pipe of the water purifier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에서의 유로 및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동 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급수밸브에 입력되는 온,오프 신호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맥동생성 유무에 따른 세균제거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and a valve i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lsation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n and off signals input to the water supply valv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comparing the removal rate of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ls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components. It may be easily implement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xamples of the same invention idea, but in order not to be damaged, the invention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each drawing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re may be a specific part not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awing, or may be exaggerated according to the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120)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100),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210)이 구비된 출수모듈(200) 및,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2, the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11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case 110 to filter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ncluding 120, water outlet nozzle 210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suppl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 May include a water extraction module 200 provided therein, and a tray 300 provided below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먼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형은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를 구성할 수 있다.First, the external shap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may be formed by the case 110. The case 110 includes a front cover 11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front, a rear cover 112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back, a base 113 that forms a bottom surface, and a top cover 114 that forms an upper surface. It may be composed of side panels 115 forming both sides.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114, and a pair of side panels 115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the case 110 ).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114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nd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 114) may be formed convexly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o have curvatur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노즐(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출수모듈(20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ater outlet nozzle 2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n addition, the outlet nozzle 210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f the outlet module 200 formed to protrude in front of the front cover 111. Therefore, water purifi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may be taken out.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탑커버(114)에는 상기 장착홈(111a,114a)이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For this, the mounting grooves 111a and 114a are formed in the front cover 111 and the top cover 114 so that the water outlet module 200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세히, 장착홈(111a)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 상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장착홈(114a)는 상기 탑 커버(114)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In detail, the mounting groove 111a has a concave shape downward from the center top of the front cover 111, and the mounting groove 114a has a concave shape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top cover 114.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Inside the case 110, a filter 120 for water purification and a filter bracket 130 on which 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are mounted are provided.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이 장착되는 출수모듈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bracket 130 includes a bottom portion 131 coupled with the base 113, a filter receiving portion 132 in which the filter 120 is accommodated, and an outlet module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outlet module 200 is mounted. It can be composed of (133).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bottom portion 1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base 113, and is coupled to the base 113.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31, and the bottom surface shape of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132 may be formed.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locked and restrained by a hook method on the base 113, and may also be fixed by a screw that is faste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3.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recessed space from the front (left in the drawing) to the rear (right in the drawing) so that the filter 120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filters 120 may be mounted on the filter accommodation unit 130. The filter 120 is for purification of raw water (tap water) supplied, and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filters having various functions.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1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socket 134 on which the filter 120 is mounted, and the filter socket 134 is provided with a pip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The piping can be connected to multiple valves (not shown). Therefore,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120 in order to be directed to a valve (not shown) for water supply.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는 물론, 쿨링 탱크(150)와 가열 어셈블리(160)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and the valves (not shown) may be heated with the cooling tank 150 as well as the filter 120. The assembly 16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selectively supply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출수모듈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상단에 상부에서 하부로 장착홈(133a)가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출수모듈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e water receiving module mounting portion 13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132. The water outlet module mounting portion 13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groove 133a is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the top so that the water outlet module 200 can be insert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 module mounting portion 13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ont cover 111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mounting portion 133.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shielded by a top cover 114.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A compressor 141 and a condenser 14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3. In addition, a cooling fan 143 is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to be configured to cool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As the compressor 141, an inverter type compressor capable of adjusting the cooling capacity by varying the frequency may be used. Therefore, cooling of purified water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142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se 113 and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112a formed in the rear cover 112. The condenser 142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flat tube type refrigerant tubes multiple times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hile simultaneously using the space efficiently and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denser bracket 144.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The condenser bracket 144 is formed with a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to which the condenser 142 is fixed and a tank mounting portion 146 on which a cooling tank 150 for making cold water can be mounted.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form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condenser 142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142. In addition,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is formed such that the cooling fan 143 and the discharge port 112a face each opening, thereby enabling effective cooling of the condenser 142.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And, the tank mounting portion 146 is formed above the condenser bracket 144, that is,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150 is inserted into the tank mounting part 146 so that the tank mounting part 146 fixes the cooling tank 150.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수용되고,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냉각유로(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정수는 냉각유로(151)를 따라 쿨링 탱크(150) 내부를 순환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oling tank 150 is for cooling purified water to make cold water, and cooling wat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purified water is filled. In addition,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cooling tank 150, and a cooling passage 151 is formed so that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can pass through the cooling tank. Therefore, the purified water may be cooled while circulating inside the cooling tank 150 along the cooling passage 151.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One side of the filter bracket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35 extending toward the cooling tank 150. The support plate 135 is provided above the compressor 141 and extends from the filter bracket 130 to the condenser bracket 144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s 160 and 170 are mounted.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17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가열 어셈블리(16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와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s 160 and 170 may include a heating assembly 160 for making hot water and a control assembly 17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control assembly 17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e combined in a single module state, and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135 in a combined state.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을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정수된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 heating assembly 160 is for heating purified water, and can heat purified water in a variety of known ways, including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The heating assembly 160 is capable of heating water at an instant and rapid speed during a hot water extraction operation, and can take out hot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The control assembly 17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to control the compressor 141, the cooling fan 143, and various valves and sensors, the heating assembly 160, etc. It is composed. The control assembly 170 may be modularized and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PCBs divided into multiple parts for each function.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purifier 10 takes out only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fish ratio for controlling the same may be omitted, and at least one or more fish ratios may be omitted in this manner.

한편, 정수기(10)의 필터(120)에서 출수된 정수는 출수노즐(210) 또는 배수구로 취출되기 까지 여러 개의 유로와 밸브 등을 거치게 된다.Meanwhil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120 of the water purifier 10 passes through several flow paths and valves until it is taken out to the discharge nozzle 210 or the drain.

이때,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로, 밸브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일 수 있고, 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used for a long tim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may be caught in the flow path, the valve, and the like, and microorganisms or the like may breed.

따라서, 유로, 밸브 등을 주기적으로 살균시킬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sterilize the flow path, the valve, and the like.

본 발명의 경우, 맥동(pulsation)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유로 및 밸브를 살균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terilize the flow path and the valve using puls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에서의 유로 및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and a valve i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급수원(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120)로 공급하는 급수유로(510)와, 상기 급수유로(5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510)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520)와,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110)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유로(531,532,533,534) 및, 상기 출수유로(531,532,533,534)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유로(531,532,533,534)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출수밸브(541,542,543,544)를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channel 510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to the filter 120, and on the water supply channel 510 , Water supply valve 520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510, an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to the case 110 outside It may include an outflow passage (531,532,533,534) to be supplied, and an outflow valve (541,542,543,544) provided on the outflow passage (531,532,533,534)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flow passage (531,532,533,534).

또한,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410) 및 상기 조작부(410,420)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520) 또는 상기 출수밸브(541,542,543,5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o the manipulation unit 410 and the manipulation unit 410,420 receiving a washing command from a user,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520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541,542,543,544 is opened or closed intermittently.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o contro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된 컨트롤 어셈블리(170)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70)와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를 의미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mean the above-described control assembly 170, or may mean a controll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assembly 17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10)는 상기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출수모듈(200)의 전면에는 출수버튼(420)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4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nd a water extraction button 42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상기와 같이 조작부(410)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220)의 상면에는 조작부(41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operation unit 410 to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200,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41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20.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410)가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키가 큰 어른 사용자의 경우 손쉽게 정수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의 경우, 출수모듈(200)의 상면에 구비된 조작부(410)를 인지할 수 없고, 인지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없어, 무작위로 조작부(410)를 눌러 뜨거운 물이 출수되면서 손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4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200, so that a tall adult user can easi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mall child user,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operation unit 4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200, and even if it is recognized, it cannot be easily operated, so that hot water is discharged by pressing the operation unit 410 at random. This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ing hands.

반면, 출수버튼(420)은 출수모듈(2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아이 사용자까지 출수버튼(420)을 인지할 수 있고, 출수를 원할 경우 손쉽게 출수버튼(420)을 조작하여,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discharge button 42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2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ater discharge button 420 as well as an adult user as well as a small child, and when the water discharge is desired, the water discharge button 420 is easily provided. By maneuvering,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water extraction.

일 예로, 상기 조작부(410)는 터치패널로 구비되고, 출수 용량을 선택하는 용량버튼(411), 온수를 선택하고, 나아가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선택하는 온수버튼(412), 정수를 선택하는 정수버튼(413), 냉수를 선택하는 냉수버튼(414), 연속출수를 선택하는 연속버튼(415) 및, 세척명령을 입력하는 세척버튼(416)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410 is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 capacity button 411 for selecting the water discharge capacity, a hot water selection, and further, a hot water button 412 for sel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o be discharged, and for selecting water purification. It may include a water purification button 413, a cold water button 414 for selecting cold water, a continuous button 415 for selecting continuous water, and a washing button 416 for inputting a washing command.

또한, 상기 조작부(4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는 가독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조작부(410)를 조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4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rear to front. Therefore,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can operate the operation unit 410 in a state where readability is secured.

이하, 상기 정수기(10)의 유로 및 밸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path and the valve of the water purifier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정수기(10)는 외부의 급수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 및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상기 출수노즐(210)로 공급하거나 배출구로 배출한다.The water purifier 10 purifies and cools or heat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1 and then supplies it to the outlet nozzle 210 or discharges it to the outlet.

상기 정수기(10)는 급수유로(510)에 의해 외부의 급수원(1)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1 by a water supply passage 510 to receive water.

또한, 상기 급수유로(510)에는, 급수원(1)에서 필터(12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급수밸브(5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급수밸브(520)가 열리면, 급수원(1)에서 필터(120)로 물이 공급되고, 급수밸브(520)가 닫히면, 급수원(1)에서 필터(120)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ssage 51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520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to the filter 120. For example,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open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to the filter 120, and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clos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to the filter 120 is supplied. It can be blocked.

또한, 급수유로(510)에는 필터(120)로 공급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flow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 flow rate supplied to the filter 12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510.

상기와 같이 급수유로(510)를 통해 상기 급수원(2)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필터(120)를 거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As described abov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2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510 is purified by purifi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이때, 상기 필터(120)는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 구비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조합해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lter 12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and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various types of filters when provided in plural.

일 예로, 상기 필터(120)는 3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 그리고, 상기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filters 120 may be provided, and may include a free carbon filter and a post carbon filter, and a membrane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ree carbon filter and the post carbon filter.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정수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정수는 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고, 배출유로를 통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o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일 예로,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분기부(550)를 통과하면서, 정수유로(531), 냉수유로(532), 온수유로(533)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may be divided into a purified water flow path 531, a cold water flow path 532, and a hot water flow path 533 while passing through the branch 550.

여기서 정수유로(531), 냉수유로(532), 온수유로(5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it is revealed that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531,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and the warm water flow path 533 may be omitted.

먼저, 상기 정수유로(531)는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노즐(21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정수유로(531)에는 정수밸브(541)가 구비되어, 정수유로(531)를 통과하는 정수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First, the purified water passage 531 transfers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to the water outlet nozzle 210 side. In addition, the water purification passage 531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ication valve 541, and can regulate the flow of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passage 531.

한편, 상기 냉수유로(532)는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노즐(210) 측으로 전달하되, 냉수유로(532) 상에 구비된 쿨링탱크(150)에서 정수를 냉각시킨 후, 출수노즐(21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냉수유로(532)에는 냉수밸브(542)가 구비되어, 냉수유로(532)를 통과하는 정수 또는 냉수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delivers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but after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cooling tank 150 provided on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In addition,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is provided with a cold water valve 542, and can regulate the flow of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상기 정수유로(531) 및 냉수유로(532)는 각각 별도로 출수노즐(210)과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2in-1out 타입의 커넥터(560)와 연결된 후, 공통유로(535)를 통해 출수노즐(2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유로(535)에는 상기 공통유로(535)를 통과하는 정수 또는 냉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공통밸브(54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531 and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after being connected to a separate 2in-1out type connector 560, the water discharge nozzle (535) through the common flow path 535 210). In addition, the common flow path 535 may be provided with a common valve 545 that regulates the flow of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mmon flow path 535.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10)는 상기 공통유로(535)에서 분기된 배출유로(534) 및 상기 배출유로(534)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로(534)를 통과하는 정수 또는 냉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배출밸브(5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534 and the discharge flow path 534 branched from the common flow path 535, the flow of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534 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valve 544 to regulate.

상기 배출유로(534)로 빠져나온 유체는 출수노즐(210)이 아닌 정수기(10)의 후방 또는 측방에 형성된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534)는 정수기(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배출유로(534)의 말단은 개수대 또는 하수구 등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luid exiting the discharge passage 534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a separate outlet formed at the rear or 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rather than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ssage 534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534 may be connected to a sink or sewer.

한편, 상기 온수유로(533)는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노즐(210) 측으로 전달하되, 온수유로(533) 상에 구비된 가열 어셈블리(160)에서 정수를 가열시킨 후, 출수노즐(21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온수유로(533)에는 온수밸브(543)가 구비되어, 온수유로(533)를 통과하는 정수 또는 온수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수밸브(543)는 분기부(550)와 가열 어셈블리(16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flow path 533 delivers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to the water outlet nozzle 210, but after heat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heating assembly 160 provided on the hot water flow path 533,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In addition, the hot water flow path 533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valve 543,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purified water or hot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flow path 533. At this time, the hot water valve 54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ranch 550 and the heating assembly 160.

또한, 가열 어셈블리(160)와 출수노즐(210) 사이에도 온수의 유동을 2차적으로 단속하는 제2온수밸브(54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econd hot water valve 546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outlet nozzle 210 to secondarily regulate the flow of hot water.

또한, 온수유로(533)에는 가열 어셈블리(160)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 또는 가열 어셈블리(160)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ot water flow path 533 may be provided with a flow control valve that controls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eating assembly 160 or the amount of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assembly 160.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10)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160)에 포함된 온수 탱크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유로(537) 및 세이프티 밸브(5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547)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am flow path 537 and a safety valve 547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when heating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ncluded in the heating assembly 160. You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by steam. The safety valve 547 is configured to open at a set pressure,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in a range in which steam discharge inside the hot water tank can be smoothly performed.

한편, 상기 증기유로(537)는 배출유로(534)와도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에서 배출된 증기 역시 배출유로(534)를 통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am flow path 537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534. Therefore,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tank may als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34.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10)의 맥동세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ulsation washing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로부터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맥동이 생성된다.First,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a pulsation is generated.

일 예로, 사용자가 조작부(410)의 세척버튼(416)을 누른 뒤, 출수버튼(420) 눌르면 제어부는 세척명령을 인지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wash button 416 of the operation unit 410 and then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420,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washing command.

이후,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520) 또는 상기 출수밸브(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pen or close the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520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intermittently.

일 예로, 상기 조작부(410)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출수밸브(540)는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520)는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41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utlet valve 540 to be open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0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or closed intermittently.

만약, 출수유로(531,532)가 정수유로(531)와 냉수유로(532)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정수유로(531)에 구비된 정수밸브(541)는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520)는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여, 급수유로(510) 및 정수유로(531)를 맥동세척할 수 있다.If, the water outlet passage (531,532)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passage 531 and a cold water passage 532,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541 provid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assage 531 to open, and the water supply valve ( 520 may be intermittently controlled to open or close, so that the water supply channel 510 and the water purification channel 531 may be pulsated.

이후, 정수유로(531)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상기 냉수유로(532)에 구비된 냉수밸브(542)는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520)는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여, 급수유로(510) 및 냉수유로(531)를 맥동세척할 수 있다.Then, when the washing of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531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ld water valve 542 provided in the cold water flow path 532 to be open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intermittently controlled to open or close. , The water supply flow path 510 and the cold water flow path 531 may be pulsated.

상기와 같은 세척과정에서 생성된 세척수는 출수노즐(210)로 빠져나가거나, 배출유로(534)를 통해 정수기(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generated in the washing process may be discharg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34.

상기와 같이 정수유로(531) 먼저 세척한 후 냉수유로(532)의 세척이 진행되면, 사용자는 정수유로(531)를 세척하는 동안에도, 냉수를 취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washing the purified water channel 531 first and then washing the cold water channel 532, the user may take out cold water while washing the purified water channel 531.

만약, 출수유로가 온수유로(533)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온수유로(533)에 구비된 온수밸브(543)는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520)는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여, 급수유로(510) 및 온수유로(533)를 맥동세척할 수도 있다.If, when the water outlet flow path includes a hot water flow path (533),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ot water valve (543) provided in the hot water flow path (533) to open,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opened or closed intermittently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hannel 510 and the hot water channel 533 may be pulsated.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410)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520)는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밸브(540)는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41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520 to be opened, and the water outlet valve 540 may be intermittently opened or closed.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410)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520)와 상기 출수밸브(540)는 서로 교차되게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41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to be intermittently opened or closed intersecting each other.

즉, 급수밸브(520)가 열리면서 출수밸브(540)가 닫히고, 급수밸브(520)가 닫히면서 출수밸브(540)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520 to be opened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to be clos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0 to be closed to open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410)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520)와 상기 출수밸브(540)가 동시에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41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to open or close at the same time intermittently.

즉, 급수밸브(520)가 열리면서 출수밸브(540)고 열리고, 급수밸브(520)가 닫히면서 출수밸브(540)도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opened and the water outlet valve 540 is opened and open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clos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is also closed.

이 밖에서, 정수기(10) 내부의 유로에 맥동이 형성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various embodiments may occur in a range in which a pulsation may be formed in a flow path inside the water purifier 10.

상기와 같이 밸브(520,540)중 어느 하나를 여닫는 것을 반복하면, 유로(510,531,532,533,534)에는 난류가 생성되고, 맥동이 생성된다.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any one of the valves 520 and 540 is repeated as described above, turbulence is generated in the flow paths 510,531,532,533,534, and pulsations are generated.

상기와 같이 생성된 난류 및 맥동에 의해 유로(510,531,532,533,534) 및 밸브(520,540)의 내부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ternal washing of the flow paths 510,531,532,533,534 and the valves 520,540 may be performed by the turbulence and pulsation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특히, 별도의 살균키트나 살균모듈, 별도의 순환 펌프 없이 급수원(1)의 수압에 의해서만 유로(510,531,532,533,534) 및 밸브(520,540)의 세척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lean the flow paths 510,531,532,533,534 and valves 520,540 only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ource 1 without a separate sterilization kit or sterilization module or separate circulation pump.

또한,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곧바로 개수대나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a sink or a sewer to facilitate user convenience.

참고로, 사용자가 세척버튼(416)을 눌러, 세척명령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척버튼(416)을 다시 누르면, 세척이 정지될 수 있다. For reference, when the user presses the washing button 416, and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when the user presses the washing button 416 again, washing may be stopp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세척상태에 따른 알림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알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600 for visually and / or aurally outputting a notification according to a washing stat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상세히, 상기 알림부(600)는 외부로 빛을 출력하는 LED 램프(610) 및/또는 외부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20)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include an LED lamp 610 outputting light to the outside and / or a speaker 620 outputting notification soun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알림부(600)는, 세척과정이 진행되는 상태와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output different notifica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process is in progress and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is completed.

따라서, 사용자는 LED 램프(610)의 색상 또는 깜빡거림의 패턴을 통해 세척완료 여부를 확인하거나, 알림음을 통해 세척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the washing is completed through the color of the LED lamp 610 or the pattern of blinking, or confirm whether the washing is completed through the notification sound.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직수식 정수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irect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직수식 정수기'라 함은, 쿨링탱크(150) 및/또는 가열 어셈블리(160)의 가열 탱크에 냉수 및 온수가 저장된 상태가 아니라, 취출노즐(210)로 냉수 또는 온수의 취출이 진행될 때, 순간적으로 냉각 및/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정수기를 의미한다.In general, the term 'direct water purifier' does not mean that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stored in the heating tank of the cooling tank 150 and / or the heating assembly 160, but that cold water or hot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blowing nozzle 210. As it progresses, it means a water purifier in a manner in which cooling and / or heating are performed instantaneously.

만약, 직수식 정수기가 아니라, 냉수탱크에 일정량의 냉수를 저장하거나, 온수탱크에 일정량의 온수를 저장하는 저수식 정수기일 경우, 급수밸브(520) 및/또는 출수밸브(540)의 간헐적 온/오프에 의해 생성된 맥동이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에서 손실되고, 나아가 생성된 맥동이 전부 소멸될 수 있다. 따라서, 맥동에 의한 유로의 세척이 불가하게 된다. If, instead of a direct water purifier, in the case of a low water purifier that stores a certain amount of cold water in a cold water tank or a certain amount of hot water in a hot water tank, intermittent on / off of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The pulsation generated by the off may be lost in the cold water tank or the hot water tank, and further, the generated pulsations may be completely eliminated. Therefore, washing of the flow path by pulsation becomes impossible.

이와 같이 맥동이 소멸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수식 정수기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pulsation disappearing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adopt a direct water purifier.

직수식 정수기의 경우, 쿨링탱크(150) 및/또는 가열 어셈블리(160)의 가열 탱크에 냉수 및 온수가 저장된 상태가 아니고, 쿨링탱크(150) 및/또는 가열 어셈블리(160)의 가열 탱크에 코일 등의 형태를 갖는 유로(151)가 구비된 상태이므로, 급수밸브(520) 및/또는 출수밸브(540)의 간헐적 온/오프에 의해 생성된 맥동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정수기 내부의 전체 유로에 맥동이 가해져, 맥동에 의한 유로 및 배관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irect water purifier,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not stored in the heating tank of the cooling tank 150 and / or the heating assembly 160, and the coil is heated in the heating tank of the cooling tank 150 and / or the heating assembly 160. Since the flow path 151 having the shape of the back is provided, the pulsation generated by the intermittent on / off of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nd thus, inside the water purifier Pulsation is applied to the entire flow path, and washing of the flow path and piping by the pulsation can be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맥동 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lsation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맥동세척명령을 대기한다(S1). 3 to 6, the control unit waits for a pulse cleaning command (S1).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410) 및/또는 출수버튼(4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세척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사용자는 조작부(410)의 세척버튼(416)과 출수버튼(420)을 순서대로 눌러 세척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a wash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410 and / or the water extraction button 420 (S2). The user may input a washing command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washing button 416 and the water outlet button 420 of the operation unit 410.

만일,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급수밸브(520)와 출수밸브(540)를 개방시킨다(S3).If a washing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detects this, and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S3).

따라서, 급수원(1)에서 공급된 물은 급수유로(510) 및 출수유로를 거쳐 연속 출수될 수 있다. 이때, 급수유로(510) 및 출수유로를 통과한 물은 출수노즐(210)로 배출되거나, 배출유로(534)를 통해 정수기(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may be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510 and the water discharge passage. At this time,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510 and the water discharge passage may be discharg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or the water purifier 1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34.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t1)만큼 연속출수가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Thereafter,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continuous water extraction has been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1 through the timer 171 (S4).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통해 제4설정시간 동안 연속출수가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continuous water extraction has been performed for a fourth preset time through the timer 171.

만약, 맥동세척 전 연속출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맥동의 압력에 의해 유로 및 밸브로 세균이 부착될 우려가 있다. If continuous effluent is not made before pulsation washing, there is a fear that bacteria may adhere to the flow path and the valve due to the pressure of the pulsation.

따라서, 맥동세척 전 연속출수를 먼저 진행하여, 유로 및 밸브의 세균을 1차적으로 미리 배출시킨다.Therefore, the continuous effluent prior to pulsation washing is performed first, and bacteria in the flow path and the valve are first discharged in advance.

일례로,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통해 연속출수가 30초 동안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30초가 지나면 다음 단계(S5)를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tinuous watering has been performed for 30 seconds through the timer 171 and may proceed to the next step S5 after 30 seconds have passed.

상기 단계(S4)에서, 연속출수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급수밸브(520)와 출수밸브(540)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제어한다(S5).In the step (S4), when the continuous water discharge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70 is opened in the state of any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the other is opened intermittently It is controlled to close (S5).

일 예로, 출수밸브(540)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급수밸브(520)가 간헐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outlet valve 540 may be controlled to open, and the water feed valve 520 may b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intermittently.

상기 제어부(170)는 급수밸브(520)가 제1설정시간 동안 열리고, 제2설정시간 동안 닫히는 동작을 2회 이상 반복하도록 상기 급수밸브(5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520 such that the water supply valve 520 is opened for the first set time and repeat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to be repeated two or more times.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출수밸브(540)가 제1설정시간 동안 열리고, 제2설정시간 동안 닫히는 동작을 2회 이상 반복하도록 상기 출수밸브(540)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outlet valve 540 to repeat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valve 540 for a first set time and closing for a second set time two or more times.

따라서, 정수기(10) 내부에는 맥동이 생성되면서, 정수기(10) 내부의 유로 및 밸브가 맥동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Therefore, while the pulsation is generated inside the water purifier 10, th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10 can be washed by the pulsation.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t2)만큼 맥동세척이 진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Thereafter,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pulsation washing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2 through the timer 171 (S6).

상기 단계(S6)에서,맥동세척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급수밸브(520)와 출수밸브(540)를 개방시킨다(S7).In the step (S6), when the pulsation washing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S7).

따라서, 급수원(1)에서 공급된 물이 연속 출수된다.Ther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is continuously discharged.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t3)만큼 연속출수가 진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Thereafter,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the continuous water extraction proceeds for a predetermined time t3 through the timer 171 (S8).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통해 제3설정시간 동안 연속출수가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continuous water extraction has been performed for a third preset time through the timer 171.

상기 단계(S8)에서, 연속출수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급수밸브(520)와 출수밸브(540)를 닫고, 세척모드를 종료한다.In the step (S8), when the continuous water discharge time reaches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closes the water supply valve 520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and ends the washing mode.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급수밸브에 입력되는 온,오프 신호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n and off signals input to the water supply valv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맥동형성단계(S5)는, 상기 급수밸브(520) 또는 출수밸브(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초 동안 개방(on)되고 1초 동안 차폐(off)되는 동작을 10회 이상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e pulsation forming step (S5),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520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540 is open for 1 second and is blocked for 1 second. It can be controlled to repeat 10 or more times.

또한, 상기 제1연속출수단계(S3), 맥동형성단계(S5), 제2연속출수단계(S7)는 총 5분 동안 진행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inuous water extraction step (S3), the pulsation formation step (S5), and the second continuous water extraction step (S7) may be performed for a total of 5 minutes.

도 8은 맥동생성 유무에 따른 세균제거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8 is a graph comparing the removal rate of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lsation.

도 8을 참조하면, 맥동을 주지 않고, 연속 출수를 5분 동안 진행한 경우, 부착세균제거율이 53.81%이며, 연속출수를 5분 동안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1초 단위로 맥동을 10회 공급한 경우, 부착세균제거율이 87.51%이다.Referring to FIG. 8, when pulsation is not performed and continuous extraction is performed for 5 minutes, the attachment bacteria removal rate is 53.81%, an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ntinuous extraction for 5 minutes, pulsation is performed 10 times in 1 second increments. When supplied, the removal rate of attached bacteria was 87.51%.

따라서, 맥동을 10회만 공급해줘도 부착세균제거율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ven if only 10 pulses were supplied, the attachment bacteria removal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제1연속출수단계(S3), 맥동형성단계(S5), 제2연속출수단계(S7)를 총 5분 이상 진행하더라도, 부착세균제거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the first continuous extraction step (S3), the pulsation formation step (S5), and the second continuous extraction step (S7)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5 minutes or more, the removal rate of the attached bacteria did not increase any mo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에서 부터 출수노즐 또는 배출구와 연결된 출수유로 까지 정수기 내부의 전체 유로 및 밸브를 세척하되, 5분 이내의 짧은 시간으로 정수기의 유로 및 배관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flow path and the valve inside the water purifier are washed from the water supply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discharge path connected to the outlet nozzle or outlet, but the flow path and piping of the water purifier are washed within a short time within 5 minut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Claims (22)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유로;
상기 출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출수밸브;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설정시간 동안 개방(open)되고, 제2설정시간 동안 차단(close)되는 동작을 2회 이상 반복하여, 맥동(puls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3설정시간 동안 급수밸브와 출수밸브가 동시에 개방(open)되어 연속출수가 진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맥동(pulse) 생성 전, 제4설정시간 동안 급수밸브와 출수밸브가 동시에 개방(open)되어, 연속출수가 진행되게 제어하는 직수식 정수기.
A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case to purify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A water supply channel that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to the filter;
A water supply valv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the water outlet nozzle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filter;
An outflow passage for supply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 outflow valve provided on the outflow passage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flow passage;
An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a washing command from a user; And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o the operation unit,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is opened for a first set time and closed for a second set time to repeat the operation twice or mor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generate a pulsation, and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to open at the same time during the third set time so that continuous water discharge proceeds.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water purifying valve and the water outlet valve are simultaneously opened for a fourth predetermined time before generating the pulsation, so that the continuous water discharge is controll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출수노즐로 공급하는 취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밸브는 상기 취출유로 상에 구비된 취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outlet passage includes a water outlet passage that supplies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water outlet nozzle, and the water outlet valve includes a water outlet valve provided on the water outlet passa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는, 상기 취출유로에서 분기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수밸브는 상기 배출유로 상에 구비된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outlet flow path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flow path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flow path,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valve provid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는, 일단이 상기 필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출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취출유로로 전달하는 정수유로를 더 포함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outlet flow pat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flow path, the direct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water purification flow path for passing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extraction flow path.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는, 일단이 상기 필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취출유로와 연결되는 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수유로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쿨링탱크가 구비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outlet flow path, a water purifier of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cold wat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take-out flow path, the cold water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cooling tank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는, 일단이 상기 필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수유로와 연결되는 온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유로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하는 온수탱크가 구비되는 직수식 정수기. .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 outlet passag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hot water passag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assage, the hot water passage is a direct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hot water tank f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출수밸브는 열리고, 상기 급수밸브는 간헐적으로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water outlet valve is open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is intermittently turned on / of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는 열리고, 상기 출수밸브는 간헐적으로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is intermittently turned on / of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출수밸브는 서로 교차되게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are turned on / off to cross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와 출수밸브는 동시에 온/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outlet valve are turned on / off at the same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세척버튼 및 출수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세척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세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washing button and a water discharge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wash button and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a direc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washing proceeds.
제 12항에 있어서,
세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세척버튼을 다시 누르면, 세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process of wash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washing button again, the direc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is stopp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세척상태에 따른 알림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unit for visually and / or aurally outputting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washing state to the outside of the cas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세척과정이 진행되는 상태와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알림을 출력하는 직수식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notification unit is a direct water purifier that outputs different notifications in a state in which a washing process is in progress and a state in which washing is completed.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직수식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세척명령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세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밸브와 출수밸브를 기설정된 제4설정시간 동안 개방시키켜, 연속출수를 진행하는 제1연속출수단계;
상기 제4설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밸브 또는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 동안 개방되고, 제2설정시간 동안 닫히는 동작을 2회 이상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맥동을 생성하는 맥동형성단계;
맥동형성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밸브와 출수밸브를 기설정된 제3설정시간 동안 개방시켜, 연속출수를 진행하는 제2연속출수단계를 포함하는 직수식 정수기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rec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o 15,
An input step of inputting a washing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unit;
A first continuous water discharge step in which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are opened for a preset fourth set time by the control unit to continuously discharge water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When the fourth preset time has elapsed,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outlet valve is opened during the first preset time and closed during the second preset time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s or the outflow valves, and is preset by controlling. A pulsation step of generating pulsations over time;
When the pulsation forming step is finished, the control method of the direct-type water purifier including a second continuous water discharge step in which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are opened for a preset third set time by the control unit to perform continuous water discharg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속출수단계가 진행되는 제4설정시간은 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A control method of the direct-typ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set time during which the first continuous water extraction step is performed is 30 seconds.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형성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 또는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초 동안 개방(on)되고 1초 동안 차폐(off)되는 동작을 10회 이상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pulsation forming step,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discharge valve is opened (on) for 1 second and shielded (off) for 1 second to be repeated 10 or more times. How to control the formula water purifier.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속출수단계, 맥동형성단계, 제2연속출수단계는 5분 이내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정수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continuous water discharge step, pulsation forming step, the second continuous water discharge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direc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ceeds within 5 minutes.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정수유로;
상기 정수유로와 연결된 공통유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통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
상기 공통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공통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공통밸브;
상기 공통유로에서 분기된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상에 설치된 배출밸브;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배출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설정시간 동안 개방(open)되고, 제2설정시간 동안 차단(close)되는 동작을 2회 이상 반복하여, 맥동(puls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제3설정시간 동안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배출밸브가 동시에 개방(open)되어 연속출수가 진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맥동(pulse) 생성 전, 제4설정시간 동안 급수밸브와 출수밸브가 동시에 개방(open)되어, 연속출수가 진행되게 제어하는 직수식 정수기.
A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case to purify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A water supply channel that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to the filter;
A water supply valv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A water purif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A common flow path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connected to the common flow path water outlet nozzle through which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taken out;
A common valve provided on the common flow path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common flow path;
A discharge channel branched from the common channel;
A discharge valve installed on the discharge passage;
An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a washing command from a user; And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of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discharge valve is opened for a first set time and closed for a second set time to repeat the operation twice or more. , Control to generate puls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discharge valve to be open (open) at the same time for a third set time to proceed with continuous water flow,
When the washing comm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water purifying valve and the water outlet valve are simultaneously opened for a fourth predetermined time before generating the pulsation, so that the continuous water discharge is controlled.
삭제delete
KR1020190010596A 2019-01-28 2019-01-28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1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96A KR102101802B1 (en) 2019-01-28 2019-01-28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96A KR102101802B1 (en) 2019-01-28 2019-01-28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891A Division KR101945831B1 (en) 2017-03-03 2017-03-03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940A Division KR102223818B1 (en) 2020-04-10 2020-04-10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29A KR20190014029A (en) 2019-02-11
KR102101802B1 true KR102101802B1 (en) 2020-04-17

Family

ID=6537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596A KR102101802B1 (en) 2019-01-28 2019-01-28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4361A1 (en) * 2020-12-28 2022-06-3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6734A (en) * 2007-12-04 2009-06-25 Fujiwara Techno-Art Co Ltd Cleaning method of filtr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326B1 (en) * 2014-03-05 201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6734A (en) * 2007-12-04 2009-06-25 Fujiwara Techno-Art Co Ltd Cleaning method of filtr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4361A1 (en) * 2020-12-28 2022-06-3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29A (en)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831B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988507A1 (en) Water purifier
AU2021290390B2 (en) Water Purifier
KR102101802B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0732A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03580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7102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567932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N105776685B (en) Water purifier
KR101335747B1 (en) Water purifier
KR101285425B1 (en) Water handling apparatus
KR101296549B1 (en) A washing kit for water purifier
KR101335813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water purifier
KR101612815B1 (en) Cleaning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furifier using the same
KR20130006017A (en) Water purifier and filter flushing method thereof
AU2022202423B2 (en) Water purifier
KR20240064147A (en) water purifier
KR101304818B1 (en) Water purifier sterilization apparatus
JP3553190B2 (en) Circulation connection device
TWM609243U (en) Drinking water sterilization device
JPH10235337A (en) Water distribution system
KR20240050791A (en) Water purifier
JP3616147B2 (en) Hot water circulation treatment equipment
JP3687801B2 (en) Bath equipment
KR19990039004A (en) Drain pipe of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