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936A -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936A
KR20200046936A KR1020180128766A KR20180128766A KR20200046936A KR 20200046936 A KR20200046936 A KR 20200046936A KR 1020180128766 A KR1020180128766 A KR 1020180128766A KR 20180128766 A KR20180128766 A KR 20180128766A KR 20200046936 A KR20200046936 A KR 2020004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finishing
piec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시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시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시앤시
Priority to KR102018012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936A/ko
Publication of KR2020004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패널이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감패널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마감패널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고 마감패널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FIXING STRUCTURE OF PANEL FOR FINISHING WALL}
본 발명은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은 마감패널이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은 건축물의 외부로 보여지는 바깥쪽 벽면을 일컫는 것으로, 과거에는 주로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돌 등으로 치장하였지만, 최근 들어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외장재를 고정시켜 외관의 미려함은 물론 단열성능 또한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벽돌이나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의 시공으로는 이루지 못하는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외장재의 재료로는 유리, 석재, 금속, 합성섬유 등이 있다. 외장재의 시공 방법으로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마감패널 등을 잉카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도 1은 종래 벽체용 외장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벽체용 외장재의 구조는 장식재(10), 지지관(30) 및 앵커볼트(40)를 포함한다. 장식재(1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임의의 도안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장식재(10)는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지지관(30)은 장식재(10) 후면에 결합되어 벽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관(30)은 장식재(10)를 앵커볼트(40)로 고정시킬 때 충격을 방지하는 기능을 겸한다.
앵커볼트(40)는 일측은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관(30)에 고정되어 장식재(10)를 벽체에 고정시킨다. 이때, 볼트(미도시)의 머리부(미도시)가 장식재(10)를 가압한 상태에서, 볼트의 나사부(미도시)가 앵커볼트(40)에 결합된다. 그러나 볼트의 머리부가 장식재를 강하게 가압해야 하므로, 장식재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9415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감패널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마감패널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고, 마감패널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벽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에 관통되되 일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감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피스부; 및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로 벽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내부패널; 상기 내부패널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부패널; 및 상기 내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부의 일단부가 상기 마감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피스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단열재와 맞닿는 상기 내부패널의 내면 방향으로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내부패널의 내면을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외부패널을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부패널을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가 상기 외부패널을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와셔의 외면에는 오목하게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에 보조패킹부가 밀착되고, 상기 결합핀은, 상기 보조패킹부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조패킹부와 상기 안착홈을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스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마감패널에 밀착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패킹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패널은 가압부가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고, 외부패널은 결합부재가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마감패널은 피스부 및 결합부재에 의하여 이중으로 가압되어, 마감패널은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스부의 타단부는 외부패널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므로, 결합부재가 외부패널을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가압하지 않아도 되어, 외부패널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와셔와 결합핀을 이용하여 패킹부를 마감패널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피스부와 마감패널 사이는 수밀하게 방수되고, 결합핀과 와셔 사이는 보조패킹부에 의하여 수밀하게 방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부재가 마감패널 방향으로 가압되되 결합부재와 마감패널 사이에 패킹부가 구비되어, 패널지지부와 마감패널 사이의 틈이 패킹부에 의하여 수밀하게 방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벽체용 외장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는 건축물의 벽체(W)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0)과, 후술하는 피스부(300)에 지지된 상태로 벽체(W)에 격자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200)과, 마감패널(200)을 벽체(W)에 고정시키는 피스부(300)와, 피스부(300)의 노출된 단부를 커버하는 패킹부(400)와, 패킹부(400)를 마감패널(2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0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벽체(W)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은 예를 들면 '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감패널(200)은 벽체(W)를 커버하는 외장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벽체(W)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내부패널(210)과, 내부패널(210)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부패널(220)과, 상호 마주보는 내부패널(210)의 내면과 외부패널(220)의 내면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230)를 포함한다. 단열재(230)는 열을 차단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예를 들면 암면, 폼 폴리스티렌, 경질 우레탄 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재(230)는 건물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건물을 보온함에 있어, 결로의 방지, 실내 환기의 조화, 열손실 방지에 따른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를 가진다. 외부패널(220)은 단열재(230)의 외면에 배치되어, 단열재(230)를 커버하는 한편,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으로, 단열재(230)를 덮도록 판형 등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패널, 대리석, 합성수지판재, 시멘트압축강화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200)은 불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화재시 화염이 마감패널(200)을 타고 확산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마감패널(200) 사이의 틈새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할 수도 있다.
피스부(300), 패킹부(400) 및 결합부재(500)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피스부(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마감패널(200)에 관통된 상태로 벽체(W)에 결합된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된다. 마감패널(200)에는 피스부(300)가 관통되도록 미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부(3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100)에 삽입되는 삽입부(302)와, 마감패널(200)에 삽입되는 패널지지부(304)로 구분된다. 삽입부(302)는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0)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 결합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지지프레임(100)이 생략되고 삽입부(302)가 벽체(W)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패널지지부(304)는 삽입부(302)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벽체(W)의 반대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패널지지부(304)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지지부(304)의 길이방향과 수직 단면은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패널지지부(304)는 삽입부(302)와 연결되는 일측은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삽입부(30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타측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패널지지부(304)의 길이는 마감패널(200)의 외부패널(220)과 내부패널(210) 사이의 이격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W)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패널지지부(304)의 외측 단부는 외부패널(22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마감패널(200)의 외부로 노출되되, 마감패널(2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패널지지부(304)의 외측 단부는 외부패널(220)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므로, 후술하는 결합부재(500)가 외부패널(220)을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가압하지 않아도 되어, 외부패널(22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패널지지부(304)의 외측 단부에 오목하게 결합홈(304 a)이 형성된다. 한편, 벽체(W)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패널지지부(304)의 내측의 외주연에는 가압부(306)가 돌출 형성되어, 패널지지부(304)에 마감패널(200)이 삽입된 상태로 마감패널(200)에 관통 위치될 때, 가압부(306)는 내부패널(2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부패널(210)을 지지프레임(100)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패킹부(400)는 패널지지부(304)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방수 성능을 갖는 판형의 슬리콘 가스켓 또는 고무 가스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킹부(40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결합부(504)가 관통되도록 미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500)는 패킹부(400)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머리부(502)와, 상기 머리부(502)의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홈(304a)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504)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부재(50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504)가 패킹부(400)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홈(304a)에 나사 결합되면, 머리부(502)는 마감패널(200) 방향으로 가압되어, 패널지지부(304)와 마감패널(200) 사이의 틈이 패킹부(400)에 의하여 수밀하게 방수된다. 이처럼 결합부재(500)와 마감패널(200) 사이에 패킹부(400)가 구비되므로, 피스부(300)와 마감패널(200) 사이는 수밀하게 방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패널(210)은 가압부(306)가 지지프레임(100) 방향으로 가압하고, 외부패널(220)은 결합부재(500)가 지지프레임(100)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마감패널(200)은 가압부(306) 및 결합부재(500)에 의하여 이중으로 가압되며, 따라서, 마감패널(200)은 피스부(300) 및 결합부재(500)에 의하여 이중으로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의 결합부재(50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제조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 제품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의 피스부에 패킹부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는 결합부재(510)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피스부(300)는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삽입부(302)와 마감패널(200)에 삽입되는 패널지지부(304)를 포함한다. 패킹부(400)는 패널지지부(304)를 덮도록 마감패널(200)에 위치된다.
결합부재(510)는 와셔(512), 보조패킹부(516) 및 결합핀(514)을 포함한다. 와셔(51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패킹부(400)의 외면을 덮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벽체(W)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와셔(512)의 외면 중앙에는 오목하게 안착홈(512a)이 형성된다. 또한, 와셔(512)의 내면 중앙은 안착홈(512a)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과 비례하여 볼록하게 볼록부(5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와셔(512)의 내면 중앙과 밀착되는 패킹부(400)는 와셔(512)의 내면 중앙의 볼록한 부분과 비례하여 오목하게 오목안내부(400a)가 형성된다. 보조패킹부(516)는 안착홈(512a)에 밀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실리콘 가스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핀(514)은 와셔(512)를 마감패널(20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패킹부(516)의 외면을 덮도록 안착홈(512a)에 안착되는 머리부(514a)와, 머리부(514a)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되 보조패킹부(516)와 상기 안착홈(512a)을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부(300)의 결합홈(304a)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돌부(514b)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와셔(512)와 결합핀(514)을 이용하여 패킹부(400)를 마감패널(200)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피스부(300)와 마감패널(200) 사이는 수밀하게 방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핀(514)과 와셔(512) 사이는 보조패킹부(516)에 의하여 수밀하게 방수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와셔(512)와 결합핀(514)을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분리 결합시키는 이유는 와셔(512)와 결합핀(514)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 시중에 나와 있지 아니하고, 와셔(512)와 결합핀(514)은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재료 특성상, 이들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별도로 제조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중에서 구하기 용이한 와셔(512)와 결합핀(514)을 이용하여 패킹부(400)가 피스부(300)를 수밀하게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지지프레임 200: 마감패널
210: 내부패널 220: 외부패널
230: 단열재 300: 피스부
302: 삽입부 304: 패널지지부
304a: 결합홈 306: 가압부
400: 패킹부 400a: 오목안내부
500: 결합부재 502: 머리부
504: 결합부 510: 결합부재
512: 와셔 512a: 안착홈
512b: 볼록부 514: 결합핀
514a: 머리부 514b: 결합돌부
516: 보조패킹부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벽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에 관통되되 일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감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피스부; 및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로 벽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내부패널;
    상기 내부패널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부패널; 및
    상기 내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부의 일단부가 상기 마감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피스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단열재와 맞닿는 상기 내부패널의 내면 방향으로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내부패널의 내면을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외부패널을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부패널을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가 상기 외부패널을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외면에는 오목하게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에 보조패킹부가 밀착되고,
    상기 결합핀은, 상기 보조패킹부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조패킹부와 상기 안착홈을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마감패널에 밀착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패킹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피스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KR1020180128766A 2018-10-26 2018-10-26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KR20200046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66A KR20200046936A (ko) 2018-10-26 2018-10-26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66A KR20200046936A (ko) 2018-10-26 2018-10-26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36A true KR20200046936A (ko) 2020-05-07

Family

ID=7073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766A KR20200046936A (ko) 2018-10-26 2018-10-26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69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119A1 (en) * 2021-08-26 2023-03-02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Building covering system incorporating a building panel, and methods of forming and installing the same
WO2024028534A1 (es) * 2022-08-04 2024-02-08 Estil Guru, S.L. Panel impermeabilizante perfeccionad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153B1 (ko) 2016-12-02 2018-10-04 전상훈 벽체용 장식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153B1 (ko) 2016-12-02 2018-10-04 전상훈 벽체용 장식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119A1 (en) * 2021-08-26 2023-03-02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Building covering system incorporating a building panel, and methods of forming and installing the same
WO2024028534A1 (es) * 2022-08-04 2024-02-08 Estil Guru, S.L. Panel impermeabilizante perfeccionad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KR100867273B1 (ko)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및 후발포 수성연질 단열재를 이용한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KR20200046936A (ko) 벽체 마감용 외장재의 고정 구조
KR101534320B1 (ko)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외단열 시공방법
KR20140046769A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US9909305B2 (en) Composite wall assembly
KR20200103985A (ko) 건축용 단열패널 시공시스템
KR101406142B1 (ko) 건축구조물의 마감패널 고정구
KR20090062505A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두께 조절 및 연결시스템
KR20100114250A (ko) 건축물의 벽체단열 시공방법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387933Y1 (ko) 조립식 단열재 패널
KR20110004758U (ko) 복합단열패널
KR200384807Y1 (ko) 베란다 세대간 칸막이
KR20080017772A (ko) 벽체 마감용 패널
KR20180111328A (ko)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KR102255185B1 (ko)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KR200306356Y1 (ko) 건축용 조립식패널의 받침부재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162376B1 (ko) 전도열 차단 구조 및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JPH1068180A (ja) 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