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586A -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586A
KR20200046586A KR1020180127958A KR20180127958A KR20200046586A KR 20200046586 A KR20200046586 A KR 20200046586A KR 1020180127958 A KR1020180127958 A KR 1020180127958A KR 20180127958 A KR20180127958 A KR 20180127958A KR 20200046586 A KR20200046586 A KR 2020004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information
shopping mall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596B1 (ko
Inventor
김형민
김경율
Original Assignee
(주)플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로우 filed Critical (주)플로우
Priority to KR102018012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5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국의 언어로 게재된 클라이언트 쇼핑몰 제품을 제2국 언어의 온라인 마켓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웹을 분석하여 게재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순차적으로 우선순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최우선 순위인 제품의 정보 그룹을 포함하여 웹크롤링하는 웹크롤링부, 웹크롤링된 정보를 제2국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자동 번역부, 및 제2국의 온라인 마켓에 제2국의 언어로 된 제품 게재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 등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smart product registration system and online e-commerc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통해 제1국 온라인 쇼핑몰의 제품을 자동으로 제2국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시켜 소비자가 타국 제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판매자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타국의 온라인 쇼핑몰에 제품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류 열풍으로 인해 한국 제품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과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매년 중국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량이 50% 이상씩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중국인의 한국 해외 직접 구매량은 2조 3천억원을 넘어서고 있다.
이처럼 중국 고객들이 한국 제품을 필요로 하고 있고, 국내 온라인 쇼핑몰들은 보다 쉽고 간편하게 중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원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온라인 쇼핑몰들은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갈망이 있지만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벽이 높아 섣부르게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공개번호 "특2001-0016436"호의 "인터넷을 이용한 판매, 결제 및 인증 시스템"이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인터넷을 이용한 판매, 결제 및 인증 시스템은 인터넷 망에 연결되고, 인터넷 쇼핑몰에 전시된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을 허가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물품 구매 요청에 따라 물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물품 데이터 베이스; 상기 물품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자 데이터 베이스;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되는 물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물품의 판매를 의뢰한 판매자가 지정한 결제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의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 서버에서 결재된 정보를 제공받아 판매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결제 서버에서 결제된 내역이 상기 쇼핑몰 서버와 판매자에게 통보되고, 상기 판매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국 온라인 쇼핑몰의 제품을 자동으로 제2국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시켜 소비자가 타국 제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판매자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타국의 온라인 쇼핑몰에 제품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포함하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 목적에 대하여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국의 언어로 게재된 클라이언트 쇼핑몰 제품을 제2국 언어의 온라인 마켓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웹을 분석하여 게재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순차적으로 우선순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최우선 순위인 제품의 정보 그룹을 포함하여 웹크롤링하는 웹크롤링부; 웹크롤링된 정보를 제2국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자동 번역부; 및 제2국의 온라인 마켓에 제2국의 언어로 된 제품 게재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 등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1국의 제품 가격 정보를 제2국의 화폐로 환전하는 환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구매자의 기호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 분석하여 구매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소셜큐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쇼핑몰에서의 판매회수, 판매율, 후기개수, 후기점수, 클릭율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분석하여 인기 제품을 선별하고 상기 웹크롤링부가 인기 제품만 선택적으로 웹크롤링하도록 하는 인기 제품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마켓에 게재된 제품의 과거 판매량, 판매 추이, 소셜큐레이션부에서 구매자의 기호 분석에 따라 추천된 잠재 구매자의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분석하여 고객 주문량을 예측하여 판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매자가 제2국으로 제품을 미리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 물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쇼핑몰에서 수집된 URL들을 단위 텍스트로 분할하여 계층별로 분류하고, 각 단위 텍스트들의 계층 순서를 결정하고, 계층별 조합을 통해 새로운 URL을 생성한 후, 제품 정보가 있는 웹주소로 확인된 경우 자동으로 URL을 신규 등록하는 URL 자동 등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국의 언어로 제품을 게재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상기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상기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으로부터 제2국의 언어로 제품 정보를 제공받아 제품을 게재하는 온라인 마켓; 및 상기 온라인 마켓과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구매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마켓에 게재된 제품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을 포함하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은 제1국 온라인 쇼핑몰의 제품을 자동으로 제2국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시켜 소비자가 타국 제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판매자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타국의 온라인 쇼핑몰에 제품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 효과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작동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구성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와 보조 출력 장치에 관한 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국의 언어로 제품을 게재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 상기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으로부터 제2국의 언어로 제품 정보를 제공받아 제품을 게재하는 온라인 마켓(30), 상기 온라인 마켓(30)과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구매자 단말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쇼핑몰(20),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 온라인 마켓(30), 구매자 단말기(40)는 무선 통신 또는/및 유선 통신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온라인 마켓(30) 서버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구매자 단말기(40)는 스마트폰, PC, 테블릿 등일 수 있으며, 온라인 마켓(30)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온라인 마켓(30)은 스마트폰앱의 형태로 구매자 단말기(40)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의 흐름도로서, 먼저 클라이언트 쇼핑몰(20)의 웹을 분석하여 게재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순차적으로 우선순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 단계.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최우선 순위인 제품의 정보 그룹을 포함하여 웹크롤링하는 단계, 웹크롤링된 정보를 제2국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단계, 제2국의 온라인 마켓(30)에 제2국의 언어로 된 제품 게재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 등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을 포함하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제1국 온라인 쇼핑몰의 제품을 자동으로 제2국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시켜 소비자가 타국 제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판매자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타국의 온라인 쇼핑몰에 제품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 웹크롤링부, 자동 번역부, 제품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소셜큐레이션부, 인기 상품 선별부, 환전 처리부, 빅데이터 물류 관리부, 데이터베이스부, 결제 처리부, 환불 처리부, 판매량 산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분석부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의 웹을 분석하여 게재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클라이언트 쇼핑몰(20)은 제품의 정보만을 게재하는 경우는 드물며, 각종 광고, 쇼핑몰 특유의 구매 방법 안내, 쇼핑몰 특유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따른 컨텐츠, 취소 방법, 환불 방법 등 각종 정보가 게재된다. 이 모든 정보를 무분별하게 웹크롤링하는 경우 서버의 과부하가 문제되며, 무분별한 정보를 모두 온라인 마켓(30)에 게재하는 경우 온라인 마켓(30)의 운영 원칙이나 구성과 맞지 않는 등 문제된다. 따라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어떤 그룹들의 정보를 웹크롤링하여 온라인 마켓(30)에 게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 쇼핑몰 분석부는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여 필수적으로 웹크롤링하도록 하고, 취소 환불 정보 그룹, 배송 안내 그룹, 온라인 마켓(30)과 호환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컨텐츠 그룹, 호환이 되지 않는 컨텐츠 그룹, 광고 그룹 등 기타 그룹들을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순차적으로 우선순위 설정한다.
쇼핑몰 분석부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의 URL들을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업데이트된 내용이 존재하고, 그 업데이트된 내용에 제품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웹을 분석하여 정보들을 그룹화, 우선순위화하여 웹크롤링부가 웹크롤링하도록 한다.
쇼핑몰 분석부는 기저장된 URL을 주기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저장되지 않은 URL이라도 수집된 URL을 기초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URL을 인공지능으로 찾아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URL을 별도 기입하여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일례로서, 쇼핑몰 분석부(또는 URL 자동 등록부를 별도 구비할 수 있음)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에서 수집된 URL들을 단위 텍스트로 분할하여 URL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조합하여 저장되지 않은 URL을 찾아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 문법(syntax) 에 따라, 슬래쉬(/), 물음표(?) 등의 특수 문자를 기준으로 URL 구조를 단위 텍스트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path1/path2?key1=val1&key2=val2'라는 URL이 존재하는 경우, www, example, com, path1, path2, key1, key2의 단위 텍스트들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텍스트들 각각의 속성으로서, www, example, com은 호스트 주소에 해당하고, path1과 path2는 경로, key1과 key2는 쿼리(query)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http://blog.example.com/path1?key3=val1&key1=val2'라는 URL은 blog, example, [0059] com, path1, key3, key1의 단위 텍스트들로 분할되고, 여기서, blog, example, com은 호스트 주소, path1은 경로, key3과 key1은 쿼리에 해당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http://www.example.com/path4?key3=val1'라는 URL은 www, example, com, path4, key3의 단위 텍스트들로 분할되고, www, example, com은 호스트 주소, path4는 경로, key3은 쿼리에 해당할 수 있다.
각 URL들의 val 값은 단위 텍스트로 구분되지 않았지만, 구현예에 따라서, val 값도 단위 텍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path1/path2?key1=val1&key2=val2'라는 URL은, www, example, com, path1, path2, key1, key2의 단위 텍스트 뿐만 아니라, val1, val2의 단위 텍스트로 더 분할될 수 있는 것이다.
쇼핑몰 분석부는 URL들로부터 분할된 단위 텍스트들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각 단위 텍스트들의 계층 순서를 결정하고, 계층별 조합을 통해 새로운 URL을 생성하여 실제 웹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품 정보가 있는 웹주소인 경우 자동으로 URL을 신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위 텍스트는 유사 텍스트로 확장될 수 있다. 일례로, ‘path1’과 같은 문자와 숫자의 결합의 경우 다양한 숫자로 추가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순차적으로 숫자를 올리면서 유사 텍스트를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다.
웹크롤링부는 쇼핑몰 분석부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최우선 순위인 제품의 정보 그룹을 필수로 웹크롤링하며, 기타 그룹들의 경우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일부만을 웹크롤링한다. 어느 그룹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 어느 그룹까지 웹크롤링할 것인지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과 온라인 마켓(30)의 운영원칙, 웹 구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웹크롤링된 정보는 제1국의 언어로 되어 있으므로, 자동 번역부는 온라인 마켓(30)의 게재 언어인 제2국 언어로 자동 번역하게 된다. 자동 번역부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내에 번역기가 구비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구글 번역기나 네이버 번역기 등 온라인 번역기에 접속하여 번역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품 등록부는 온라인 마켓(30)에 제2국의 언어로 번역된 제품 게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제품 등록부는 온라인 마켓(30)에 접속하여 직접 제품을 등록할 수도 있으며, 온라인 마켓(30)에 제품 등록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마켓(30)에서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쇼핑몰(20)의 웹을 분석하여 게재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최우선 순위인 제품의 정보 그룹을 포함하여 웹크롤링하는 웹크롤링부, 웹크롤링된 정보를 제2국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자동 번역부, 및 제2국의 온라인 마켓(30)에 제2국의 언어로 된 제품 게재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 등록부를 포함한다.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환전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전 처리부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에 게재된 제품 가격 정보는 제1국의 화폐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2국의 화폐로 환전하여 온라인 마켓(30)에 게재하게 된다. 환전 처리부는 실시간으로 또는 하루 특정 시간에 환율을 반영하여 가격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환전 처리부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온라인 마켓(30)에 별도 구비되어 온라인 마켓(30)에서 실시간 환율을 반영할 수도 있다.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소셜큐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셜큐레이션부는 구매자의 기호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 분석하여 구매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함으로써, 구매자의 쇼핑 효율성을 도모하고, 구매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구매자의 온라인 마켓 만족도를 높여 재방문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기법에 사용되는 데이터로는 회원 가입시 설문 조사 내용, 브랜드, 제품 종류 등 구매이력, 구매 제품과 함께 구매하여 매칭 가능성이 높은 제품, 구매자가 구매한 제품을 구매한 타구매자들의 구매 브랜드 및 제품 등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인기 제품 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쇼핑몰(20)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제품을 모두 웹크롤링하여 온라인 마켓(30)에 제품 등록하는 경우 판매가 저조한 제품이 포함되어 구매자의 쇼핑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불필요하게 웹크롤링을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인기 제품 선별부는 클라이언트 쇼핑몰(20)에서의 판매회수, 판매율, 후기개수, 후기점수, 클릭율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분석하여 인기 제품을 선별하고 상기 웹크롤링부가 인기 제품만 선택적으로 웹크롤링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빅데이터 물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제1국의 제품을 제2국의 온라인 마켓(30)에 등록하여 제2국에 제품을 판매하는데 주로 사용되므로, 제1국에서 제2국으로 해외배송이 필요하게 된다. 해외배송은 국내배송에 비하여 배송 기간이 길므로, 온라인 마켓(30)에서의 미래 판매량을 예측할 수 있다면, 제2국의 제품 재고를 관리할 수 있으며, 미리 제2국으로 제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여 배송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빅데이터 물류 관리부는 온라인 마켓(30)에 게재된 제품의 과거 판매량, 판매 추이, 소셜큐레이션부에서 구매자의 기호 분석에 따라 추천된 잠재 구매자의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분석하여 고객 주문량을 예측하여 판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매자가 제2국으로 제품을 미리 배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은 웹크롤링 정보, 번역본, 고객 정보, 분석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40)를 통해 제품이 선택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40)가 제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였을 때 요청을 받아들여 제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 처리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구매 제품에 대한 환불 요청이 있을 때 결제 처리된 비용을 환불 계좌로 송금하는 환불 처리부, 온라인 마켓(30)에 게재된 제품별 판매량을 산출하는 판매량 산출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를 요청받았을 때 특정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를 구매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사이트 주소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처리부, 환불 처리부, 판매량 산출부, 사이트 주소 전송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10) 대신에 온라인 마켓(30)에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40)와 연결된 보조 출력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Online) 구매시 스마트폰에 보조 출력 장치(50)를 연결하였을 때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조 출력 장치(5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실히 확인한 후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케이블을 통해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와 연결되었는지 감시하는 USB 연결 감시부와; 상기 서버측 제품 선택 완료 전송부로부터 제품 선택 완료 신호를 수신받았을 때 USB 통신을 통해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에 제품 선택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구매자측 제품 선택 완료 전송부;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로부터 USB 통신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40)에 의해 선택된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요청 신호를 수신받는 상세 설명 요청 신호 수신부;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로부터 USB 통신을 통해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요청 신호를 수신받았을 때 상기 온라인 마켓(30)에 선택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를 요청하는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 요청부; 상기 온라인 마켓(30)에 선택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를 요청한 후 상기 온라인 마켓(30)으로부터 전송된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를 수신받는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 수신부; 및 상기 온라인 마켓(30)로부터 전송받은 선택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를 보조 출력 장치(50)로 전송하는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40)와 USB 케이블을 통해 통신 접속되는 USB 통신부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USB 통신을 통해 제품 선택 완료 신호를 수신받는 제품 선택 완료 신호 수신부; 상기 제품 선택 완료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품 선택 완료 신호를 수신받았을 때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이 기재된 웹 사이트(Web Site) 주소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40)에게 요청하는 제품 상세 설명 요청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 웹 사이트 주소를 수신받는 보조 출력 장치(50)측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 수신부;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측 상세 설명 사이트 주소 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이 기재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웹 페이지(Web-Page)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40)와 보조 출력 장치(50)에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40)와 보조 출력 장치(50)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이전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모듈이 부가 장착된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40)에 장착된 인증 모듈은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40)가 보조 출력 장치(50)와 USB 통신을 통해 접속되었을 때 구매자 단말기(40)의 아이디(ID)를 보조 출력 장치(50)로 전송하는 아이디 전송부와;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로부터 USB 통신을 통해 인증 넘버를 수신하는 인증 넘버 수신부; 및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로부터 수신받은 인증 넘버를 암호화 함수에 적용하여 암호화한 다음, USB 통신을 통해 보조 출력 장치(50)로 전송하는 암호화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에 장착된 인증 모듈은 도 7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USB 통신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40)의 아이디를 수신하는 아이디 수신부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받은 아이디가 보조 출력 장치(50)에 저장된 아이디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아이디 확인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아이디가 보조 출력 장치(50)에 저장된 아이디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면, USB 통신을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 인증 넘버를 전송하는 인증 넘버 전송부; USB 통신을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인증 넘버를 복호화하여 인증 번호를 추출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부를 통해 추출된 인증 번호가 상기 인증 넘버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인증 넘버일 경우 인증 절차를 완료하는 반면, 상기 복호화부를 통해 추출된 인증 번호가 상기 인증 넘버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인증 넘버가 아닐 경우 상기 보조 출력 장치(50)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40)간에 데이터 교환을 차단하는 인증 넘버 확인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20: 클라이언트 쇼핑몰
30: 온라인 마켓
40: 구매자 단말기
50: 보조 출력 장치

Claims (8)

  1. 제1국의 언어로 게재된 클라이언트 쇼핑몰 제품을 제2국 언어의 온라인 마켓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웹을 분석하여 게재된 제품의 정보 그룹과 제품과 무관한 기타 정보 그룹들을 구분하고 제품의 정보 그룹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기타 그룹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순차적으로 우선순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쇼핑몰 분석부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최우선 순위인 제품의 정보 그룹을 포함하여 웹크롤링하는 웹크롤링부;
    웹크롤링된 정보를 제2국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자동 번역부; 및
    제2국의 온라인 마켓에 제2국의 언어로 된 제품 게재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 등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국의 제품 가격 정보를 제2국의 화폐로 환전하는 환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구매자의 기호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 분석하여 구매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소셜큐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쇼핑몰에서의 판매회수, 판매율, 후기개수, 후기점수, 클릭율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분석하여 인기 제품을 선별하고 상기 웹크롤링부가 인기 제품만 선택적으로 웹크롤링하도록 하는 인기 제품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온라인 마켓에 게재된 제품의 과거 판매량, 판매 추이, 소셜큐레이션부에서 구매자의 기호 분석에 따라 추천된 잠재 구매자의 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분석하여 고객 주문량을 예측하여 판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매자가 제2국으로 제품을 미리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 물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쇼핑몰에서 수집된 URL들을 단위 텍스트로 분할하여 계층별로 분류하고, 각 단위 텍스트들의 계층 순서를 결정하고, 계층별 조합을 통해 새로운 URL을 생성한 후, 제품 정보가 있는 웹주소로 확인된 경우 자동으로 URL을 신규 등록하는 URL 자동 등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7. 제1국의 언어로 제품을 게재하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의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상기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으로부터 제2국의 언어로 제품 정보를 제공받아 제품을 게재하는 온라인 마켓;
    상기 온라인 마켓과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구매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마켓에 게재된 제품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KR1020180127958A 2018-10-25 2018-10-25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KR10225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58A KR102257596B1 (ko) 2018-10-25 2018-10-25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58A KR102257596B1 (ko) 2018-10-25 2018-10-25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86A true KR20200046586A (ko) 2020-05-07
KR102257596B1 KR102257596B1 (ko) 2021-05-31

Family

ID=7073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58A KR102257596B1 (ko) 2018-10-25 2018-10-25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5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94A (ko) * 2020-07-01 2022-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뮬레이터를 활용한 상품 데이터 크롤링 장치 및 방법
KR20220034489A (ko) * 2020-09-11 2022-03-18 차정민 상품 자동 등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97384B1 (ko) * 2021-04-09 2022-05-12 이현진 1인 창업 지원의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04511B1 (ko) * 2022-02-17 2022-06-07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34173A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비주얼 상품의 판매량을 예측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매량을 예측하는 방법
KR102572657B1 (ko) * 2022-06-22 2023-08-30 주식회사 더벨린소프트 온라인 쇼핑몰에 업로드할 상품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098A (ja) * 2001-03-05 2002-09-13 Toshiba Tec Corp 携帯端末による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596407B1 (ko) * 2014-10-07 2016-02-24 한국옐로우페이지주식회사 국가 간 교류 증진을 위한 전자상거래 연동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6662A (ko) *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다나와 인터넷쇼핑몰의 최저가격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수집된 최저가격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KR101717063B1 (ko) * 2015-12-30 2017-03-17 네이버 주식회사 웹 크롤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크롤링 방법
KR101860679B1 (ko) * 2017-08-31 2018-05-23 강원호 육류 수요 및 생산량 예측을 통한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098A (ja) * 2001-03-05 2002-09-13 Toshiba Tec Corp 携帯端末による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596407B1 (ko) * 2014-10-07 2016-02-24 한국옐로우페이지주식회사 국가 간 교류 증진을 위한 전자상거래 연동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6662A (ko) *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다나와 인터넷쇼핑몰의 최저가격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수집된 최저가격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KR101717063B1 (ko) * 2015-12-30 2017-03-17 네이버 주식회사 웹 크롤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크롤링 방법
KR101860679B1 (ko) * 2017-08-31 2018-05-23 강원호 육류 수요 및 생산량 예측을 통한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94A (ko) * 2020-07-01 2022-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뮬레이터를 활용한 상품 데이터 크롤링 장치 및 방법
KR20220034489A (ko) * 2020-09-11 2022-03-18 차정민 상품 자동 등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34173A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비주얼 상품의 판매량을 예측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매량을 예측하는 방법
KR102397384B1 (ko) * 2021-04-09 2022-05-12 이현진 1인 창업 지원의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04511B1 (ko) * 2022-02-17 2022-06-07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2657B1 (ko) * 2022-06-22 2023-08-30 주식회사 더벨린소프트 온라인 쇼핑몰에 업로드할 상품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596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96B1 (ko)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CA2847067C (en) Mobile platform for redeeming deals
KR100460008B1 (ko)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5531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64615B1 (ko) 빅데이터 기반 쇼핑몰 플랫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31946B1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US11777925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ing ephemeral identity for digital user identification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20180071204A (ko) 이미지의 태그정보 기반 상품정보 제공 및 구매 방법 및 장치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2562A (ko) 인터넷을 통한 특정지역의 지리정보를 포함한 상업정보제공시스템.
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US20190114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
KR20170109301A (ko) 지능형 선택기능이 탑재된 구매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5467B1 (ko) 인터랙티브 쇼핑파일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00050056A (ko) 지역 정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
KR101498799B1 (ko)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102585096B1 (ko) 제품 컨텐츠 제작 기법을 활용한 쇼핑몰 광고 시스템
KR20010078839A (ko) 사용자의 자국어에 의한 전 세계 인터넷(Internet) 상품비교 검색 구매 시스템.
WO2016009571A1 (ja) 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及び商品販売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商品販売支援方法
KR20230030396A (ko) 광고비 낭비 없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70094355A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2681A (ko) 온라인 마켓(장터)에서의 상품등록시 실시간 가격시세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