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423A -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423A
KR20200046423A KR1020180127564A KR20180127564A KR20200046423A KR 20200046423 A KR20200046423 A KR 20200046423A KR 1020180127564 A KR1020180127564 A KR 1020180127564A KR 20180127564 A KR20180127564 A KR 20180127564A KR 20200046423 A KR20200046423 A KR 2020004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puter
event message
virtual hid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18012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423A/ko
Priority to PCT/KR2019/013974 priority patent/WO2020085790A1/ko
Publication of KR2020004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가, 무선통신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등록장치확인 단계 수행결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구비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상기 콤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SYSTEM CAPABLIE OF INTEGRATING PLURAL HETEROGENEOUS DEVICES WITH SINGLE MULTI-TOUCH DEVICE}
본 발명은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는 내장된 중앙연산장치(이하 "CPU"라 칭함)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 기능까지 구비됨으로써 회사에서의 작업에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또한 은행거래, 학습, 정보획득,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가정에서의 사용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에 자료(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입력수단으로서 키보드와 마우스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키보드와 마우스는 1인이 사용가능하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불편한 점이 많다.
무선통신기기를 HID(Human Interface Device)로 사용한 특허문헌의 일 예를 들면 한국특허등록 KR 10-1824964(마우스 동작가능한 통신단말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가, 무선통신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등록장치확인 단계 수행결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구비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상기 콤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통신기기;
컴퓨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무선통신기기는 각각 모니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모니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 및
상기 등록장치확인 단계 수행결과,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상기 무선통신 기기에 포함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상기 컴퓨터에 포함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인, 다수의 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와 같은 기능이 지원되지 않은 모니터를 가진 컴퓨터라도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터치 기능이 있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니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도 2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또는 '앱'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 또는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파일 시스템'은 '저장장치, 입출력 제어, 기본 파일시스템, 파일조직 모듈, 가상 파일시스템'과 같이 여러 개의 계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가상 파일시스템은 컴퓨터의 OS(운영체체)에 따라서 파일 시스템에 포함되거나(예를 들면, 리눅스와 같은 OS)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면, 윈도우와 같은 OS).
이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본원 명세서에서 '파일 시스템'은 가상 파일 시스템이 포함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 가상 파일 시스템을 포함한 파일 시스템, 가상 파일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이고, 용어 '부'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200)와 컴퓨터(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와 컴퓨터(100-1)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도 2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와 컴퓨터(10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와 이러한 운영체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모니터를 구비한 컴퓨터일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과 같은 것일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 발명은 테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일 수 있다.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 발명은 테블릿 PC, 또는 PDA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바일 무선통신기기의 일부는 동종기기일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이종기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은 컴퓨터(100)와 다수의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를 포함할수 있다. 여기서, 도면 번호 '200'은 구별의 실익이 없는 한 다수의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를 전부 지시하거나 또는 다수의 모바일 무선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컴퓨터(100)에 다수의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를 펜, 마우스, 터치 스크린과 같은 가상 HID(Human Interface Device)로 등록하고, 이들을 컴퓨터의 입력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무선통신기기(200)를 예를 들면 펜, 마우스, 터치 스크린과 같은 가상 HID(Human Interface Device)로서 설정등록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등록은, 가상 HID로서의 사용등록과, 가상 HID의 종류를 정하는 종류등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등록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를 가상 HID로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것이고, 종류등록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를 어떠한 종류(예: 펜, 마우스, 터치 스크핀)의 가상 HID로 사용할지를 등록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등록시에,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통신기기 ID(이하, '장치ID')와 해상도(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기기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컴퓨터(100)에게 전송하며, 컴퓨터(100)는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장치ID와 해상도를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는 도 5의 (a)에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해상도'는 모니터의 화면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0)는, 또한, 설정등록을 위해서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장치ID에 가상 HID ID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즉, 컴퓨터(100)는, 장치ID, 해상도, 및 가상 HID ID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는 도 5의 (b)에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0)는, 또한, 설정등록을 위해서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장치ID에 가상 HID ID를 생성하여 할당하고, 장치ID, 해상도, 가상 HID ID, 및 컴퓨터의 해상도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등록시에,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는 등록하고자하는 모바일 장치ID와 해상도(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기기(200)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와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에게 전송하며, 컴퓨터(100)는 수신한 장치ID와 해상도와 장치 종류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는 도 5의 (c)에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를 어떠한 종류의 HID로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는, 펜, 마우스, 터치 스크린 중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를 어떤 종류의 장치로 사용할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등록시에,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장치ID와 해상도(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기기(200)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와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100)에게 전송하며, 컴퓨터(100)는 장치ID에 가상 HID ID를 생성하여 한 후, 장치ID, 해상도, 및 가상 HID ID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는 도 5의 (d)에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등록시에,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장치ID와 해상도(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기기(200)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와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100)에게 전송하며, 컴퓨터(100)는 장치ID에 가상 HID ID를 생성하여 한 후, 장치ID, 해상도, 및 가상 HID ID, 컴퓨터 해상도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는 설정등록을 위한 정보를 컴퓨터(10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설정등록을 위한 정보는 무선통신기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ID와 무선통신기기(100)에 포함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설정등록을 위한 정보는 무선통신기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ID와 무선통신기기(100)에 포함된 모니터의 해상도와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00)는 그러한 설정등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장치ID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기기(100)를 유일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통신기기(100)에 부여된 맥어드레스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한편, 가상 HID ID는, 예를 들면, 컴퓨터(100)가 컴퓨터(100) 내에서 다른 가상 HID와 식별하기 위해서 생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기기(200)는 또한 무선통신기기(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한 이벤트를 컴퓨터(100)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무선통신기기(200)의 움직임과 무선통신기기(200)에 포함된 모니터상의 사용자 터치 동작을 포함하며, 컴퓨터(100)에게 송신하는 이벤트는 이벤트가 발생된 무선통신기기(200)의 장치ID와 모니터의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0)는 복수의 무선통신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기기(200)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무선통신기기(200)가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를 수행하며, 등록장치확인수행결과, 무선통신기기(200)가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무선통신기기(200)에 포함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컴퓨터(100)에 포함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컴퓨터(100)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장치정보에 포함된 장치ID에 대응된 해상도를 이용하여, 이벤트에 포함된 좌표를 컴퓨터(100)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서, 도 2에는 도시된 구성요소이지만 도 3과 도 4에는 표시되어 않거나, 도 3과 도 4에는 도시된 구성요소이지만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멀티터치 통합용 앱과, 가상 HID 관리부의 동작을 위주로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터(100-1)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세서, 기억장치(메모리 포함), 가상 HID 관리부, 장치정보, 가상 HID 드라이버, 주변기기,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통신부, 다양한 하드웨어(모니터 포함), 및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세서는 다른 구성요소들(기억장치(메모리 포함), 가상 HID 관리부, 장치정보, 가상 HID 드라이버, 주변기기, 운영체제, 통신부, 다양한 하드웨어(모니터 포함), 및 다양한 응용프로그램)과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100-1)에 의해 관리되어 저장되는 장치정보는 예를 들면 도 5의 (a), 또는 (b)와 같은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HID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 및 장치정보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컴퓨터(100-1)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 장치정보 등록부, 및/또는 가상 HID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로딩시켜서 실행시킨다.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는, 멀티터치 통합용 앱, 장치정보, 운영체제, 및 리소스(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프로세서, 모니터, 및 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프로세서는 다른 구성요소들(멀티터치 통합용 앱, 장치정보, 운영체제, 및 리소스(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과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컴퓨터(100-1)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의 기억장치는 메모리, RAM, 및 ROM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장치정보는 무선통신기기(200-1)의 장치ID와 해상도(무선통신기기(200-1)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르게(Alternatively),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장치정보는 장치 종류에 대한 데이터(무선통신기기(200-1)를 어떠한 종류의 HID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나타내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터치 통합용 앱은 장치정보 송신부, 이벤트 메시지 송신부, 및 입력 이벤트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Alternatively), 멀티 터치 통합용 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프로세서는, 장치정보 송신부, 이벤트 메시지 송신부, 입력 이벤트 수집부,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메모리에 로딩시켜서 실행시킨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의 장치정보 송신부는 장치정보(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의 장치ID,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컴퓨터(100-1)에게 송신하는 장치정보송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장치정보 송신부는 장치정보(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의 장치ID,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1)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기억장치에 저장 및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이벤트 수집부는 무선통신기기(200-1)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수집하는 이벤트수집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이벤트 메시지 송신부는 수집된 이벤트를 컴퓨터(100-1)에게 송신하는 이벤트송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이벤트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이벤트는 무선통신기기(200-1)의 움직임이나 무선통신기기(200-1)에 포함된 모니터상의 사용자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컴퓨터(100-1)의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는 무선통신단말(200-1)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200-1)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단말(200-1)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컴퓨터(100-1)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장치정보에,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등록장치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등록장치확인단계 수행결과, 무선통신단말(200-1)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무선통신단말(200-1)에 구비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컴퓨터(100-1)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표변환단계는 등록장치확인단계와 동시에 수행거나 등록장치확인단계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좌표변환단계는 장치종류확인단계와 동시 또는 전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HID 드라이버는,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에 의해 변환된 좌표(이하, '변환좌표')를 컴퓨터(100-1)에 구비된 운영체제에게 제공하는 변환좌표제공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운영체제 또는 운영체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응용 프로그램이 변환좌표를 사용한다. 한편, 변환좌표제공단계는 좌표변환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도 2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서 도 2에는 도시된 구성요소이지만 도 6과 도 7에는 표시되어 않거나,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이지만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5,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멀티터치 통합용 앱과 가상 HID 관리부의 동작을 위주로 제2실시예를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장치종류를 장치정보에 포함시켜 관리하고, 복수의 모바일 무선통신기기들을 서로 다른 종류의 가상 HID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비교하면, 제2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는 장치ID, 해상도, 및 장치 종류를 포함하는 장치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컴퓨터는 장치 종류에 따른 각각의 가상 HID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이벤트를 송신해온 무선통신기기(200-2)의 장치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치종류에 따른 가상 HID 드라이버를 실행시킨다는 측면에서 제1실시예와는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정등록시에,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장치ID와 해상도(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기기(200-2)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와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에게 전송하며, 컴퓨터(100-2)는 수신한 장치ID와 해상도와 장치 종류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정보는 도 5의 (c)에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설정등록시에,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장치ID와 해상도(등록하고자 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기기(200-2)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와 장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100-2)에게 전송하며, 컴퓨터(100-2)는 장치ID에 가상 HID ID를 생성한 후, 장치ID, 해상도, 가상 HID ID, 컴퓨터 해상도를 1:1로 대응시켜서 장치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성적인 측면에서,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100-2)는 가상 HID 드라이버 선택부와, 장치종류에 따른 복수의 가상 HID 드라이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100-2)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장치정보는, 장치ID와 해상도 뿐만 아니라 장치종류도 포함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는 사용자가 장치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장치정보는, 장치ID와 해상도 뿐만 아니라 장치종류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상술한 구성에 따른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장치 종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가 선택한 장치 종류가 무엇인지를 장치정보송신부에게 알려준다.
장치정보 송신부는 장치정보(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의 장치ID,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 장치 종류)를 기억장치에 저장 및 관리한다.
장치정보송신부는 또한 장치정보(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의 장치ID, 모바일 무선통신기기(200-2)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 장치 정류)를 컴퓨터(100-2)에게 송신하는 장치정보송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100-2)는 장치정보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장치정보를, 도 5의 (c)와 (d)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컴퓨터(100-2)의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는 무선통신단말(200-2)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200-2)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를 수행한다.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도 5의 (c)와 (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단말(200-2)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도 5 (c)와 (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단말(200-2)이 어떤 종류의 장치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장치종류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컴퓨터(100-2)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장치ID에 대응된 장치 종류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장치종류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종류확인단계는 등록장치확인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등록장치확인단계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등록장치확인단계 수행결과, 무선통신단말(200-2)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무선통신단말(200-2)에 구비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컴퓨터(100-2)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HID 드라이버 선택부가, 복수의 가상 HID 드라이버들 중에서, 장치종류확인 단계의 수행결과 확인된 가상 HID 장치의 종류에 맞는 가상 HID 드라이버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가상 HID 드라이버 실행단계를 수행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HID 드라이버 실행단계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HID 드라이버가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에 의해 변환된 좌표를 컴퓨터에 구비된 운영체제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운영체제 또는 운영체제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응용 프로그램이 변환좌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컴퓨터: 100, 100-1, 100-2
모바일 무선통신기기: 200. 200-1, 200-2

Claims (9)

  1. 컴퓨터에,
    이벤트 메시지 수신부가, 무선통신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등록장치확인 단계 수행결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구비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상기 콤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상 HID 드라이버가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에 의해 변환된 좌표를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운영체제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장치들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장치ID 및 각각의 장치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등록장치확인단계와 상기 좌표변환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장치정보에서 상기 장치ID와 상기 해상도는 서로 대응되어 있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가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 또는 상기 장치ID에 대응된 가상 HID ID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어떤 종류의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장치종류확인 단계;
    가상 HID 드라이버 선택부가, 복수의 가상 HID 드라이버들 중에서, 상기 장치종류확인 단계의 수행결과 확인된 가상 HID 장치의 종류에 맞는 가상 HID 드라이버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가상 HID 드라이버 실행단계; 및
    상기 가상 HID 드라이버 실행단계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HID 드라이버가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에 의해 변환된 좌표를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운영체제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장치들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장치ID, 각각의 장치에 구비된 모니터의 해상도, 및 가상 HID ID를 포함한 장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등록장치확인단계, 상기 좌표변환단계, 및 장치종류확인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장치정보에서 상기 장치ID, 상기 해상도, 및 상기 가상 HID ID는 서로 대응되어 있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상 HID 드라이버들은, 펜 가상 HID 드라이버, 마우스 가상 HID 드라이버, 및 터치 스크린 가상 HID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통신기기;
    컴퓨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무선통신기기는 각각 모니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모니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ID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등록장치확인단계; 및
    상기 등록장치확인 단계 수행결과, 상기 무선통신기기가 가상 HID 장치로서 등록된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 상기 무선통신기기에 포함된 모니터 상에서의 좌표임 - 를 상기 컴퓨터에 포함된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통신기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모바일 프로세서 -, 상기 모바일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 상기 모바일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며, 및 상기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기기기에 구비된 모니터는 상기 모바일 프로세서와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무선통신기기에 포함된 메모리는
    상기 모바일 프로세서가
    장치정보를 상기 컴퓨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장치정보는 무선통신기기를 식별하는 장치ID와 무선통신기기에 포함된 모니터의 해상도를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기에 포함된 메모리는, 또한,
    상기 모바일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한 이벤트를 상기 컴퓨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움직임과 상기 무선통신기기에 포함된 모니터상의 사용자 터치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에게 송신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무선통신기기의 장치ID와 모니터의 해상도를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KR1020180127564A 2018-10-24 2018-10-24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KR20200046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64A KR20200046423A (ko) 2018-10-24 2018-10-24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PCT/KR2019/013974 WO2020085790A1 (ko) 2018-10-24 2019-10-23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64A KR20200046423A (ko) 2018-10-24 2018-10-24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154A Division KR20200116894A (ko) 2020-10-05 2020-10-05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423A true KR20200046423A (ko) 2020-05-07

Family

ID=7033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64A KR20200046423A (ko) 2018-10-24 2018-10-24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6423A (ko)
WO (1) WO20200857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9068B3 (de) * 2002-06-28 2004-02-05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it Touch-Screen Display
KR100589944B1 (ko) * 2003-09-02 2006-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o 장치의 공통 제어를 지원하는 모바일 플랫폼이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i/o 장치 제어방법
US20080320500A1 (en) * 2007-06-25 2008-12-25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human interface device in an aggregate computer system
US20100287569A1 (en) * 2008-11-06 2010-11-11 Kuan-Wen Chen Computer, inpu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229812B1 (ko) * 2013-07-11 2021-03-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펜을 사용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컴퓨터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790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097B2 (en) Dynamic schema inference and enforcement
CN101151608B (zh) 开发人员容易地找出或扩展系统上周知位置的能力
US84524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device communication
US9882994B2 (en) Providing a sensor composite service based on operational and spatial constraints
JP4729262B2 (ja) ロケーション・アウェアネスのアーキテクチャとシステム
RU2673008C2 (ru) Опыт поддержки пользователей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генерируемой виртуальной средой
US20050108439A1 (en) Inpu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949708B2 (en) Using a remote handheld device as a local device
JP6250842B2 (ja) Usbオーバーipを用いた、別のデバイスとの非usbセンサの共有
US10542103B2 (en) Location based multi-device communication
US20050183034A1 (en) Menu management in an OLE document environment
US10310876B2 (en) Executing application code based on manner of accessing a hard disk
KR20200046423A (ko)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KR20200046425A (ko)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KR20200116894A (ko)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KR20210131113A (ko) 다수의 이종기기를 하나의 멀티 터치 기기로 통합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
JP2019160287A (ja)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52405A (ko) Usb 형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US20240143485A1 (en) Presubmit Test Run Minimization Analysis Using Runtime Isolation Guarantees
US11068543B2 (en) Component and object management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Kwo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ipheral sharing mechanism on pervasive computing with heterogeneous environment
US10303442B2 (en) Distributed build and compile statistics
KR20210155449A (ko) 무선 주변 디바이스들의 서버 간 통합 페어링 관리 시스템
CN117149619A (zh) 文件的自动化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7369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ストレージ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