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759A -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759A
KR20200045759A KR1020180126664A KR20180126664A KR20200045759A KR 20200045759 A KR20200045759 A KR 20200045759A KR 1020180126664 A KR1020180126664 A KR 1020180126664A KR 20180126664 A KR20180126664 A KR 20180126664A KR 20200045759 A KR20200045759 A KR 20200045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yling
avatar
personal color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은비
Original Assignee
홍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비 filed Critical 홍은비
Priority to KR102018012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759A/ko
Publication of KR2020004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사용자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한 후 사용자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상기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반영하여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퍼스널 컬러가 반영된 맞춤 스타일링을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PERSONAL COLOR MATCHING STYLING SYSTEM}
본 발명은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반영한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맞춤 스타일링을 제안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각 개인마다 고유의 특징적인 신체 색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인마다의 고유의 특징적인 신체 색을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라 한다. 즉, 퍼스널 컬러는 인격적 색체와 신체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피부, 머리카락 및 눈동자의 색채 등 각자 타고난 고유의 인체 색상을 의미한다.
최근 화장술 및 패션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여 사용자의 신체 색상에 가장 적합한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에 어울리는 색채를 제안하는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은 타고난 신체의 색(피부색, 머리카락색, 눈동자색)을 통해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사계절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따듯하고 부드러운 신체 색을 지닌 사람을 봄 유형, 차갑고 부드러운 신체 색을 지닌 사람을 여름 유형, 따뜻하면서도 짙은 신체 색을 지닌 사람을 가을 유형, 차갑고 강한 느낌의 신체 색을 지닌 사람을 겨울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사계절 유형 각각에 대응되어 복수의 서로 다른 색상이 정의되어 있으며, 사계절 유형에 따르면 따듯하면서 부드러운 색은 봄, 차가우면서 부드러운 색은 여름, 따뜻하면서 딱딱한 색은 가을, 차가우면서 딱딱한 색은 겨울로 분류한다.
이를 통해 퍼스널 컬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색을 기반으로 결정된 계정 유형에 속하는 색상을 추천하며, 해당 색상을 기초로 사용자가 화장품이나 머리 또는 의복의 색상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은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얼굴 굴곡 또는 피부 질감 등을 고려하지 않고 신체 색만을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3124호(2015년10월27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 특징점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할 수 있는 퍼스널 컬러 및 스타일링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여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기반으로 맞춤형 스타일링을 추천할 수 있는 퍼스널 컬러 및 스타일링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와 체형을 반영한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최종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기반으로 그에 맞는 스타일링을 3D 아바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효율적인 쇼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사용자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한 후 사용자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상기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반영하여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얼굴의 특징 점이 반영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 사용자 이미지(image) 및 사용자 체형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 및 체형이 모두 촬상된 것일 수 있다.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는 아바타 얼굴에 메쉬를 적용하여 피부 질감 표현을 위한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전역 명암 및 채도 조절하여 쉐더(shader)를 구현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할 수 있다.
아바타는 3D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쇼핑하고자 하는 쇼핑 물품을 제공하는 쇼핑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아바타는 상기 쇼핑 서버에서 쇼핑 시 쇼핑 품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방법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얼굴 및 사용자 특징점을 분석하여 아바타의 얼굴을 생성하는 단계, 아바타 얼굴에 메쉬를 적용하여 피부 질감 표현을 위한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전역 명암 및 채도 조절하여 쉐더(shader)를 적용하는 단계, 분석된 사용자의 특징점을 반영하여 어울리다고 판단되는 컬러 스펙트럼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중 체형 정보를 분석하여 아바타의 바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아바타의 바디에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에 진단된 퍼스널 컬러가 반영되어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할 수 있다.
아바타의 얼굴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3D로 변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쇼핑 서버에 접속하여 쇼핑 시 사용자가 선택한 쇼핑 물품을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여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3D 아바타에 피부 질감, 명암 및 채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사용자만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체형을 반영한 아바타 바디를 생성하고, 아바타에 진단된 퍼스널 컬러가 반영된 맞춤형 스타일링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쇼핑 서버에 접속하여 쇼핑 시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쇼핑 품목을 선택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에서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스타일링 제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단말기(100),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 및 쇼핑 서버(30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얼굴 및 신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에 전달한다. 단말기(100)는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및 신체 정보를 입력받거나 카메라가 설치되어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 및 신체 등을 촬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에 전달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얼굴 및 신체 정보 외에 사용자의 소장 의류 정보를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아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렇게 전달된 3D 아바타는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추후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해 쇼핑 서버(300)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 등의 품목을 쇼핑할 때 단말기(100)에 저장된 3D 아바타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쇼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은 다음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및 신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반영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고,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바탕으로 그에 맞는 맞춤 스타일링을 제공한다.
또한,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및 신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반영한 3D 아바타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3D 아바타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다시 전달된다. 이때, 3D 아바타는 사용자의 얼굴 특징이 반영되고 그에 따른 퍼스널 컬러가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의 상세 구성은 다음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쇼핑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쇼핑 리스트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구성 중 단말기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카메라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 및 쇼핑 서버(300)와 연결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정보, 즉 얼굴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식 파일로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3D 아바타를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쇼핑 서버(300)로부터 쇼핑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사용자 또는 특정 대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는 통신부(110)를 통해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로 전송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드 등일 수 있다.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입력받고, 이렇게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해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로 전송된다.
저장부(140)는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부(110)로부터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와 쇼핑 서버 관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3D 아바타는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쇼핑 서버(3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 시 피팅(fitting)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 사용자 입력 정보 및 3D 아바타 등의 각종 정보를 외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이미지(image), 사용자 입력 정보 및 3D 아바타 등의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카메라부(120) 및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 및 이미지가 통신부(110)를 통해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3D 아바타 등이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쇼핑 서버(300)에 접속된 것을 판단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3D 아바타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외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의 상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에서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240), 아바타 생성 모듈(250), 스타일링 매칭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210)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된다.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즉 얼굴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3D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모듈(21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가 직접 가지고 있는 의류, 화장품 등의 물품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가 입력되었다면, 사용자의 얼굴 굴곡, 주름, 피부색, 색소 침착 등의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은 주변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 굴곡, 주름, 피부색, 색소 침착 등의 변화를 함께 분석한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이 밝은 경우, 사용자의 얼굴 굴곡으로 인한 음영 영역을 분석한다던지 피부색의 변화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통신 모듈(210)를 통해 입력받아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은 사용자의 목둘레, 키, 가슴 너비, 팔길이,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허벅지 둘레 등을 반영하여 체형을 분석한다.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의류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성향 및 평소 좋아하는 스타일링을 분석할 수 있다.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은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에서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한다.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은 단순히,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피부색만을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는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굴곡, 얼굴형, 피부색, 주름, 색소 침착 등을 모두 고려하고, 또한, 주변 환경까지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한다.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은 주변 환경에 의해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퍼스널 컬러를 진단할 수 있다.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은, 예를 들어, 웜(Warm) 타입, 쿨(Cool) 타입 및 그레이스케일(Grayscale) 타입 등으로 나누어 진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24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에 의해 진단된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 및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 및 체형 등이 반영되어 생성된 3D 아바타를 저장한다.
아바타 생성 모듈(25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3D 아바타를 생성한다. 이때, 3D 아바타는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가 반영된 상태로 생성된다. 또한, 3D 아바타는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형까지 반영된 아바타일 수 있다.
아바타 생성 모듈(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같이 사용자의 이미지(image),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진을 페이셜 매핑(Facial Mapping)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image)를 바탕으로 (b)와 같은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 생성 모듈(250)이 페이셜 매핑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바타 생성 모듈(250)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이미지를 바탕으로 모래시계형(표준형), 삼각형, 역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으로 나눈 후 이를 바탕으로 3D 아바타 바디를 생성한다. 이때, 아바타 생성 모듈(250)은 얼굴과 바디의 비율 또한 분석하여 이를 모두 반영된 3D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스타일링 매칭 모듈(260)은 퍼스널 컬러 진단 모듈(230)을 통해 진단된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 및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어울릴 수 있는 스타일링을 제공할 수 있다.
스타일링 매칭 모듈(260)은 사용자가 쇼핑 서버(3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쇼핑 물품을 선택한 후 3D 아바타에 적용할 경우, 쇼핑 물품의 사이즈를 분석하여 3D 아바타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얼굴 및 체형 등이 모두 반영된 3D 아바타에 사용자가 선택된 물품을 직접 매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를 통해 쇼핑 서버(300)에 접속하는 경우,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 모듈(270)은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인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7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에 전송되도록 저장하고,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을 통해 분석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240)에 저장하거나 퍼스널 진단 모듈(230) 및 아바타 생성 모듈(25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서 피부색 만을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의 굴곡, 피부색, 주름, 색소 침착, 피부 질감 등을 모두 분석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주변 환경에 따른 얼굴의 굴곡, 피부색, 주름, 색소 침착, 피부 질감 등의 변화를 모두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퍼스널 컬러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맞는 스타일링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 본인의 얼굴 정보 및 신체 정보가 실질적으로 반영된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바타를 통해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합리적인 온라인 쇼핑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쇼핑 서버(300)에 접속 시 퍼스널 컬러를 바탕으로 스타일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원할 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쇼핑 시 또는 외출 시 사용자의 얼굴 정보 및 체형 정보 등이 모두 반영된 3D 아바타(510)를 사용자의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분석된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520)가 사용자의 아바타(510)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퍼스널 컬러(520)는 복수의 컬러가 표시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환경에 의해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모두 반영하여 복수의 퍼스널 컬러가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퍼스널 컬러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선택하면 상기 컬러에 해당되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품목들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거나 쇼핑 서버(300)의 쇼핑 품목 중 해당 컬러의 쇼핑 품목들만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쇼핑 서버(300)에 나타난 쇼핑 품목 중 원하는 쇼핑 품목 또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물품들을 아바타(510)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스타일링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얼굴 정보가 입력되면(S610)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에서 사용자 특징점을 추출한다(S620). 이때, 사용자 특징점은 사용자 얼굴의 굴곡, 피부색, 주름, 색소 침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특징점을 반영한 3D 아바타 얼굴을 생성한다(S630). 이후, 3D 아바타 얼굴에 메쉬를 적용하여(S640) 피부 질감 표현을 위한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추출한다(S650).
이후, 3D 아바타에 전역 명암 및 채도 조절하여 쉐더(shader)를 구현한다(S660).
이후, 보다 사용자의 특징점이 반영되도록 다시 한번 얼굴의 굴곡, 피부색, 피부 질감 등을 분석하여 어울리다고 판단되는 컬러 스펙트럼을 추천한다(S670).
이후, 명도별 피부색을 분석하여 HTML 색상표로 표현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680). 여기서, 색상표는, 예를 들어, 피부색은 웜(Warm) 타입, 쿨(Cool) 타입, 탁하고 차분한 타입으로 단계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웜 타입은 색상환에서 옐로우(Yellow)로 인접해가는 색상일 수 있고, 쿨 타입은 색상환에서 블루(Blue)로 인접해가는 색상일 수 있다. 이렇게 타입별 컬러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동하고, 분류는 색상 타입별로 상기와 같이 웜 타입, 쿨 타입으로 분류한 후 색감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 즉, 낮인지 밤인지 저녁때인지 등에 따라 또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3D 아바타에 피부 질감, 명암 및 채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사용자만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의 스타일링 제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체형 정보가 입력되면(S710)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220)에서 사용자 체형을 분석한다(S720).
이후, 분석된 사용자 체형을 바탕으로 3D 아바타 바디(body)를 생성한다(S730). 이때, 아바타는 표준형, 삼각형, 역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의 도형으로 바디가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예를 들어, 팔길이, 가슴둘레, 가슴 너비, 키, 다리길이,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등이 모두 반영되어 있어 보다 사용자의 체형과 가장 유사하게 아바타 바디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740). 이때, 키워드란 사용자가 연출하고 싶은 이미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를 나가는지, 출근하는지, 나들이 가는지 등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기분이 키워드가 될 수도 있다.
이후, 키워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키워드를 분석하여(S750)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반영하여 키워드에 맞는 스타일링을 추천한다(S760). 한편,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 체형을 반영한 아바타 바디를 생성하고, 아바타에 진단된 퍼스널 컬러가 반영된 맞춤형 스타일링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쇼핑 서버(300)에 접속하여 쇼핑 시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쇼핑 품목을 선택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200: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
300: 쇼핑 서버

Claims (9)

  1.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사용자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한 후 사용자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상기 진단된 퍼스널 컬러를 반영하여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를 포함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얼굴의 특징 점이 반영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 사용자 이미지(image) 및 사용자 체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 및 체형이 모두 촬상된 것인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서버는 상기 아바타 얼굴에 메쉬를 적용하여 피부 질감 표현을 위한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전역 명암 및 채도 조절하여 쉐더(shader)를 구현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는 3D로 구현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쇼핑하고자 하는 쇼핑 물품을 제공하는 쇼핑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아바타는 상기 쇼핑 서버에서 쇼핑 시 쇼핑 품목에 적용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6.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얼굴 및 사용자 특징점을 분석하여 아바타의 얼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얼굴에 메쉬를 적용하여 피부 질감 표현을 위한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전역 명암 및 채도 조절하여 쉐더(shader)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특징점을 반영하여 어울리다고 판단되는 컬러 스펙트럼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체형 정보를 분석하여 아바타의 바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아바타의 바디에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에 진단된 퍼스널 컬러가 반영되어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의 얼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3D로 변형하여 생성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쇼핑 서버에 접속하여 쇼핑 시 사용자가 선택한 쇼핑 물품을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여 맞춤 스타일링을 추천하는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방법.
KR1020180126664A 2018-10-23 2018-10-23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KR20200045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664A KR20200045759A (ko) 2018-10-23 2018-10-23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664A KR20200045759A (ko) 2018-10-23 2018-10-23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59A true KR20200045759A (ko) 2020-05-06

Family

ID=7073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664A KR20200045759A (ko) 2018-10-23 2018-10-23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57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92B1 (ko) * 2020-11-16 2021-08-27 구동원 추천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29863B1 (ko) * 2021-06-28 2022-08-26 주식회사 한국퍼스널컬러코디네이터협회 퍼스널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KR102447426B1 (ko) 2022-07-08 2022-09-27 클로우플레이크(주) 초개인화를 위한 퍼스널 컬러와 타임라인 기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라이프스타일 가이드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5280B1 (ko) * 2022-12-05 2023-11-24 주식회사 아울소싸이어티 사용자의 의류를 스타일링하기 위한 리폼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4048960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얼굴에 기초한 아바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124B1 (ko) 2014-02-07 2015-10-27 정연아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124B1 (ko) 2014-02-07 2015-10-27 정연아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92B1 (ko) * 2020-11-16 2021-08-27 구동원 추천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102907A1 (ko) * 2020-11-16 2022-05-19 구동원 추천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3505458A (ja) * 2020-11-16 2023-02-09 グ,ドンウォン 推奨色情報を提供する電子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2429863B1 (ko) * 2021-06-28 2022-08-26 주식회사 한국퍼스널컬러코디네이터협회 퍼스널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KR102447426B1 (ko) 2022-07-08 2022-09-27 클로우플레이크(주) 초개인화를 위한 퍼스널 컬러와 타임라인 기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라이프스타일 가이드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4048960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얼굴에 기초한 아바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05280B1 (ko) * 2022-12-05 2023-11-24 주식회사 아울소싸이어티 사용자의 의류를 스타일링하기 위한 리폼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5759A (ko) 퍼스널 컬러 매칭 스타일링 시스템
CN109310196B (zh) 化妆辅助装置以及化妆辅助方法
JP3408524B2 (ja) 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US7634103B2 (en) Analysis using a three-dimensional facial image
US7437344B2 (en)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viding beauty advice
US20030065589A1 (en) Body image templates with pre-applied beauty products
US20030065255A1 (en) Simulation of an aesthetic feature on a facial image
US20030065578A1 (en)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simulated application of beauty products
US20030063102A1 (en) Body image enhancement
EP12985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nd/or tracking changes in external body conditions
KR10231672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체 맞춤형 코디 시스템
KR102253750B1 (ko) 딥러닝을 이용한 메이크업 추천 및 추천 기반 화장품 구매 서비스 제공 플랫폼
KR20190097815A (ko) 토탈 뷰티 스타일 추천 방법
WO2011085727A1 (en) Advice information system
KR20190049555A (ko)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5122195A1 (ja) 印象分析装置、ゲーム装置、健康管理装置、広告支援装置、印象分析システム、印象分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220044311A1 (en) Method for enhancing a user's image while e-commerce shopping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item that is for sale
US119782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facial attribute classification and use thereof
US200300139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prognosis
WO2018029963A1 (ja)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
KR20200006782A (ko) 사용자 피부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102178767B1 (ko) 패션스타일링-색조화장품 매칭시스템
JP2023539159A (ja) バーチャルフィッティ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
EP1326179A2 (en) Shop-in-a-shop website construction
CN103258271A (zh) 自然人数字化形象设计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