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324A - Direct Current Relay - Google Patents

Direct Current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324A
KR20200045324A KR1020180126236A KR20180126236A KR20200045324A KR 20200045324 A KR20200045324 A KR 20200045324A KR 1020180126236 A KR1020180126236 A KR 1020180126236A KR 20180126236 A KR20180126236 A KR 20180126236A KR 20200045324 A KR20200045324 A KR 2020004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ovable contactor
contactor
sup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6007B1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12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0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4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curr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ect current relay having a mov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support for a movable contactor. A direct current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xed contactors; a movable contactor that moves up and down by an actuator to make contact with or be separated from the pair of fixed contacts; a movable supporter provided below the movable contactor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by a shaft; a movable hold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and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movable supporter to provide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or, wherein an insert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and a protrusion which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hole to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Description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Direct current relay

본 발명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접촉자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 가동자 어셈블리를 갖는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입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C relay having a mov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support for a movable contactor.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또는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In general, a direct current relay or a magnetic switch is a type of electric circuit switch that transmits mechanical driving and current signals using the principle of an electromagnet, and is installed in various industrial equipment, machinery, and vehicles. do.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골프 카트 및 전동 지게차 등과 같은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의 전력을 동력발생장치 및 전장부에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Electric Vehicle Relay)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 부품의 하나이다.In particular, electric vehicles, such as hybrid vehicles, fuel cell vehicles, golf carts, and electric forklifts, include electric vehicle relays for supplying and block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the electric field. This relay for electric vehicles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core parts for electric vehicles.

도 1에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조도가 나타나 있다.1 show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DC rel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직류 릴레이는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으로 구성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미들 플레이트(9), 미들 플레이트(9)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점부(3,4)와 소호부(8), 미들 플레이트(9)의 하부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7)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7)는 전자석의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The DC relay is a case (1,2) composed of an upper frame (1) and a lower frame (2), a middle plate (9)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contact por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iddle plate (9) 3, 4), an arc extinguishing portion 8, and an actuator 7 installed under the middle plate 9. Here, the actuator 7 may be a device that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an electromagnet.

상부 프레임(1)의 상면에는 접점부(3,4)의 고정 접점(3)이 노출되어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 the fixed contacts 3 of the contact portions 3 and 4 are exposed and connected to a load or power source.

상부 프레임(1)의 내부에는 접점부(3,4)와 소호부(8)가 마련된다. 접점부(3,4)는 상부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접점(3)과, 액추에이터(7)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고정 접점(3)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 접점(4)으로 구성된다. 소호부(8)는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소호부(8)는 아크 챔버(arc chamber)라고도 한다. 소호부(8) 내부는 아크 소호를 위해 소호용 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Inside the upper frame 1, contact portions 3 and 4 and an arc extinguishing portion 8 are provided. The contact parts 3 and 4 are composed of a fixed contact 3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 and a movable contact 4 that is movable by an actuator 7 and is contacted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3. do. The arc extinguishing portion 8 is usually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The arc extinguishing part 8 is also called an arc chamber. The arc extinguishing portion 8 may be filled with gas for arc extinguishing for arc extinguishing.

접점부(3,4)의 차단시(분리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영구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영구자석은 접점부 주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켜 급속한 전기의 흐름인 아크를 제어하게 되고, 영구자석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영구자석 홀더(6)가 마련된다.A permanent magne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arc generated when the contact portions 3 and 4 are cut off (when separated). The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around the contact portio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to control the arc, a rapid flow of electricity, and a permanent magnet holder 6 is provided to fix the permanent magnet.

액추에이터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고정코어(7a), 가동코어(7b), 가동축(7c) 및 복귀스프링(7d)을 포함한다. 고정코어(7a)와 가동코어(7b)를 실린더(7e)가 감싸고 있다. 실린더(7e)와 소호부(8)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The actuator operates using the principle of an electromagnet and includes a fixed core 7a, a movable core 7b, a movable shaft 7c, and a return spring 7d. Cylinder 7e surrounds the fixed core 7a and the movable core 7b. The cylinder 7e and the arc extinguishing portion 8 form a closed space.

실린더(7e) 주변에는 코일(7f)이 구비되어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주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고정코어(7a)는 코일(7f)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여자(magnetized)되며, 가동코어(7b)는 고정코어(7a)의 자기력에 의해 흡인된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7b)에 결합된 가동축(7c) 및 가동축(7c)의 상부에 결합된 가동접촉자(4)은 함께 움직여서 고정접촉자(3)에 접촉되어 회로는 통전 상태가 된다. 복귀스프링(7d)은 코일의 제어 전원 차단시 가동코어(7b)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A coil 7f is provided around the cylinder 7e to generate electromagnetic force when the control power is applied. The fixed core 7a is magnetized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coil 7f, and the movable core 7b is suck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ixed core 7a. Accordingly, the movable shaft 7c coupled to the movable core 7b and the movable contactor 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shaft 7c move together to contact the stationary contactor 3 so that the circuit is energized. The return spring 7d provides an elastic force capable of returning the movable core 7b to its initial position when the control power of the coil is cut off.

가동접촉자(4)는 가동축(7c)에 연결되어 상하운동한다. 가동접촉자(4)는 가동자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동자 어셈블리는 가동접촉자(4), 가동자 지지대(4a), 가동자 홀더(4b), 가동축(7c) 및 접압 스프링(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동자 지지대(4a)와 가동자 홀더(4b)는 가동축(7c)과 함께 성형 사출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가동자 어셈블리는 가동자 지지대(4a)와 가동자 홀더(4b)는 자로를 형성하여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3)에 접촉하는 접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The movable contactor 4 is connected to the movable shaft 7c and moves up and down. The movable contactor 4 may be composed of a movable assembly. At this time, the movable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able contactor (4), the movable support (4a), the movable holder (4b), the movable shaft (7c) and the pressure spring (5). The mover support 4a and the mover holder 4b are molded and injected together with the mover shaft 7c to move integrally. In this type of mover assembly, the mover support (4a) and mover holder (4b) form a magnetic path,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 (4) contacts the fixed contactor (3)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There is this.

가동자 지지대(4a)와 가동자 홀더(4b) 사이에 가동접촉자(4)와 접압 스프링(5)을 압축조립해 밀어서 끼워넣는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4)는 상면이 가동자 홀더(4b)에 접촉하고 하면은 접압 스프링(5)의 압력을 받아 지지된다. The movable contactor (4) and the contact spring (5) are compression-assembled and pushed between the mover support (4a) and the mover holder (4b). Accordingly, the movable contactor 4 is supported by receiving the pressure of the contact spring 5 when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holder 4b.

접압 스프링(5)은 가동자 지지대(4a)의 상부 돌기와 가동접촉자(4)의 하부 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The contact spring 5 is installed and supported between the upper projection of the movable support 4a and the lower proj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4.

가동접촉자(4)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유격을 갖는다. The movable contactor 4 has some clear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ase of assembly.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있어서 가동접촉자(4)는 접압 스프링(5)의 지지력에 의해 고정될 뿐이므로 접압 스프링(5)의 힘이 약하거나 외부의 강한 힘을 받는 경우 가동접촉자(4)가 가동자 어셈블리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By the way, in the DC rel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contactor 4 is only fixed by the holding force of the contacting spring 5, so that when the force of the contacting spring 5 is weak or receives strong external force, the movable contactor There is a risk that the case (4) deviates from the mover assembl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접촉자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가동자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provided with a movable assembly that improves support for a movable conta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한 쌍의 고정접촉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샤프트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가동자 지지대;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 지지대에 고정되는 가동자 홀더; 상기 가동접촉자와 가동자 지지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자 홀더에는 중앙부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하 운동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xed contacts; A movable contactor that moves up and down by an actuator to contact or separate the pair of fixed contacts; A movable supporter provided below the movable contactor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by a shaft; A movable holder disposed on the movable contactor and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Include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supporter of the support to provide a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or; includes, an insert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the insertion ho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 to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여기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면에는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압 스프링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o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pring is inserted and supported.

또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동자 홀더의 상부에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샤프트의 오버 트래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vertravel of the shaft.

또한, 상기 가동자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기 접압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spring is formed protruding.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홈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is formed protruding.

또한, 상기 가동접촉자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at is connected up and down, a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as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3단으로 형성되어 제1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돌출되고, 제2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에 삽입되고, 제3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three sta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d protrudes below the movable contactor, the second end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third end protrudes below the movable contactor. do.

그리고, 상기 제1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2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3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end is formed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is formed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의하면 가동자 홀더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가동접촉자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호 지지력에 의해 가동접촉자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가동접촉자가 이탈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mover holder, and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movable contacto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is smoothly performed by mutual support force and the movable contactor Do not deviat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가동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가동자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가동자 어셈블리의 작용상태도로서, 각각 차단 상태 및 통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8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가동자 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가동자 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1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DC rel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er assembly in FIG. 1.
3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over assembly in FIG.
6 and 7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mover assembly of the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howing a blocked state and a energized state.
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mover assembly applied to a DC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mover assembly applied to a DC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in FIG. 9.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to such an extent tha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limi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가동자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가동자 어셈블리의 작용상태도로서, 각각 차단 상태 및 통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3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mover assembly in FIG. 3. 5 and 6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mover assembly of the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howing a blocked state and a energized state. The DC rela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한 쌍의 고정접촉자(14); 액추에이터(60)에 의해 상하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접촉자(14)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50); 상기 가동접촉자(5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샤프트(57)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연결되는 가동자 지지대(40); 상기 가동접촉자(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 지지대(40)에 고정되는 가동자 홀더(45); 상기 가동접촉자(50)와 가동자 지지대(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50)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55);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자 홀더(45)에는 중앙부에 삽입홀(46)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5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홀(46)에 삽입되어 상하 운동을 지지하는 돌출부(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C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xed contactors (14); A movable contactor 50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actuator 60 to contact or separate the pair of fixed contacts 14; A movable supporter 40 provided below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60 by a shaft 57; A movable holder (45) disposed on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40); Includes;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the movable supporter 40 to provide a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or 50,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includes, the movable holder 45 in the central portion The insertion hole 46 is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6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51 supporting vertical movement is formed.

프레임(11,12)은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고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는 상자형의 케이스로 형성된다. 프레임(11,12)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s 11 and 12 are formed of a box-shaped case that can house, protect and support the components. The frames 11 and 12 may be composed of an upper frame 11 and a lower frame 12.

아크챔버(arc chamber, 13)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프레임(11) 내부에 설치된다. 아크챔버(13)는 차단시 접점부(14,5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도록 절연성, 내압성,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아크챔버(13)는 세라믹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크챔버(13)는 미들 플레이트(7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The arc chamber (arc chamber 13)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frame (11). The arc chamber 1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insulation, pressu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so as to extinguish the arc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s 14 and 50 when blocked. For example, the arc chamber 13 may be made of a ceramic material. The arc chamber 1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late 70.

고정접촉자(fixed contact, 14)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아크챔버(13)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4)는 상부 프레임(11)에 노출된다. 고정접촉자(14)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전원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A fixed contact (14) is provided in a pair is fixedly installed in the arc chamber (13). The fixed contact 14 is exposed on the upper frame 11. One of the fixed contactors 14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other may be connected to the load side.

가동접촉자(moving contact, 50)는 소정 길이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촉자(14)의 하부에 설치된다. 가동접촉자(50)는 가동자 어셈블리(30)에 설치되어 일체로 움직인다. 가동접촉자(50)는 하부 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60)에 의해 상하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되어 고정접촉자(14)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한다.The moving contact (50) is formed of a plate-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talled under the pair of fixed contacts (14). The movable contactor 50 is installed in the movable assembly 30 and moves integrally. The movable contactor 50 is linearly movable up and down by the actuator 60 installed inside the lower frame 12 so as to contact or separate the fixed contactor 14 to connect or block the circuit.

접점부(14,50)의 차단시(분리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영구자석(미도시)이 구비된다. 영구자석은 접점부(14,50) 주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켜 급속한 전기의 흐름인 아크를 제어한다. 영구자석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영구자석 홀더(15)가 마련된다.A permanent magnet (not shown) is provid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arc generated when the contact portions 14 and 50 are cut off (when separated). The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around the contact portions 14 and 50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to control the arc, which is a rapid flow of electricity. A permanent magnet holder 15 is provided to fix the permanent magnet.

가동자 어셈블리(30), 즉 가동접촉자(50)를 움직이기 위하여 액추에이터(60)가 마련된다. 액추에이터(60)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자로(a magnetic circuit)를 이루는 요크(61), 요크(61) 내부에 설치되는 보빈(62)에 권선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63), 상기 코일(63)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코일(63)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코어(65), 상기 고정코어(65)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코어(65)의 자기흡인력에 의해 고정코어(65)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67), 하단이 가동코어(67)에 결합되고 상단이 가동자 지지대(40)에 고정되는 샤프트(57) 및 상기 고정코어(65)와 가동코어(67)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67)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69), 상기 고정코어(65), 가동코어(67) 및 리턴 스프링(69)을 수용하는 실린더(68)를 포함할 수 있다.An actuator 60 is provided to move the mover assembly 30, that is, the moveable contactor 50. The actuator 60 is formed in a 'U' shape and is wound on a yoke 61 forming a magnetic circuit, a bobbin 62 installed inside the yoke 61, and is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coil (63),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il (63) is magnetiz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63) to generate a magnetic suction force (65), the fixed core (65) linear motion below The movable core 67, which is installed as possible, is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re 65 by the magnetic suction force of the fixed core 65,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movable core 67,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movable supporter 40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haft 57 and the fixed core 65 and the movable core 67, a return spring 69 for returning the movable core 67 downward, the fixed core 65, the movable core 67 And a cylinder 68 accommodating the return spring 69.

액추에이터(60)와 아크챔버(13)의 사이에는 미들 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미들 플레이트(70)는 요크(61)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성체로 형성되어 요크(61)와 함께 자로를 형성한다. 미들 플레이트(70)는 상부의 아크챔버(13) 및 하부의 액추에이터(6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는 지지판의 역할도 한다. 미들 플레이트(70)의 하부에 실린더(68)가 밀봉 결합된다.The middle plate 70 is provided between the actuator 60 and the arc chamber 13. The middle plate 7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yoke 61 and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form a magnetic path along with the yoke 61. The middle plate 70 also serves as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upper arc chamber 13 and the lower actuator 60 can be installed, respectively. The cylinder 68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plate 70.

미들 플레이트(70)와 아크챔버(13)의 사이에는 밀봉용 부재(7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아크챔버(13)을 하부 둘레를 따라 밀봉용 부재(72)가 구비되어 아크챔버(13), 미들 플레이트(70)(미들 플레이트 중앙부의 홀) 및 실린더(68)가 형성하는 공간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A sealing member 7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iddle plate 70 and the arc chamber 13. That is, the space for forming the arc chamber 13, the middle plate 70 (hole in the middle of the middle plate) and the cylinder 68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72 provid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arc chamber 13 To be able to.

가동자 어셈블리(30)는 샤프트(57), 가동자 지지대(40)와 가동자 홀더(45), 가동접촉자(50), 접압 스프링(55)을 포함한다.The mover assembly 30 includes a shaft 57, a mover support 40 and a mover holder 45, a moveable contactor 50, and a pressure spring 55.

샤프트(57)는 일자형 봉이나 로드로 구성된다. 샤프트(57)의 하단은 가동코어(67)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샤프트(57)는 가동코어(67)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 운동을 하여 가동자 어셈블리(30)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가동접촉자(50)를 고정접촉자(14)에 접촉 또는 분리시킨다.The shaft 57 consists of a straight rod or rod. The lower end of the shaft 57 is fixed to the movable core 67. Therefore, the shaft 57 moves up and down togeth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re 67 to move or move the movable assembly 30 up and down, thereby bringing the movable contactor 50 into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or 14.

샤프트(57)의 상단부에는 결합부(58)가 형성된다. 결합부(58)는 판상, 예를 들면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57)는 결합부(58)가 가동자 지지대(4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된다. 샤프트(57)의 결합부(58)는 가동자 지지대(40)에 삽입 결합,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에 의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An engaging portion 58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57. The engaging portion 58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for example, a disc. In the shaft 57, the engaging portion 58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over support 40. The engaging portion 58 of the shaft 57 can be manufactured by inserting and engaging the mover support 40, for example by insert injection.

가동자 지지대(40)는 샤프트(57)가 고정 설치되고 가동접촉자(50)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가동자 지지대(40)는 제1 평판부(41)와 상기 제1 평판부(41)의 양측단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아암부(arm)(42)로 구성된다. The mover support 40 is provided with a shaft 57 fixedly installed and supports a movable contactor 50 and the like. The mover support 40 is composed of a first flat plate portion 41 and an arm portion 42 that protrudes upward on both side ends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41.

가동자 지지대(40)의 제1 평판부(41)에는 상부에 스프링 지지부(43)가 돌출 형성된다. A spring support portion 4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41 of the mover support 40.

가동자 지지대(40)의 아암부(42)에는 삽입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4)에 가동자 홀더(45)가 고정 설치된다.An insertion groove 44 is formed in the arm portion 42 of the mover support 40, and the mover holder 45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 44.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도 3 내지 5 참조), 제1 평판부(41)의 (좌우 방향) 길이는 가동접촉자(5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50)의 접점은 가동자 지지대(40)의 양측으로 각각 노출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see FIGS. 3 to 5), the length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41 (left and right)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movable contactor 50 (left and right). Accordingly, the contacts of the movable contactor 50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supporter 40, respectively.

제1 평판부(41)의 내측면(상면)의 (전후 방향) 폭은 가동접촉자(50)의 (전후 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50)는 가동자 지지대(40)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다.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41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ovable contact 50. Accordingly, the movable contactor 50 can stably move up and down within the movable supporter 40.

가동접촉자(50)를 지지하기 위하여 가동자 홀더(45)가 마련된다.In order to support the movable contactor 50, a movable holder 45 is provided.

가동자 홀더(45)는 가동자 지지대(40)에 고정 설치된다. 가동자 홀더(45)는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가동자 홀더(45)는 제2 평판부(46)와 양 측면부(47)를 갖는다. 양 측면부(47)는 상기 제2 평판부(46)의 양단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mover holder 45 is fixed to the mover support 40. The movable holder 45 is formed in a 'U' shape. That is, the movable holder 45 has a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and both side portions 47. Both side portions 47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제2 평판부(46)는 폭(좌우 방향 길이)은 가동접촉자(5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50)의 접점은 가동자 홀더(45)의 양측으로 각각 노출된다.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is formed to have a width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movable contactor 50. Accordingly, the contacts of the movable contactor 50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holder 45, respectively.

제2 평판부(46)의 중앙부에는 삽입홀(48)이 형성된다. 삽입홀(48)에는 가동접촉자(50)의 돌출부(51)가 끼워진다. 상기 삽입홀(48)은 돌출부(5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50)의 상하 운동은 가동자 홀더(45)의 지지를 받으면서 매끄럽에 이루어진다.The insertion hole 48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The protrusion 51 of the movable contactor 5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48. The insertion hole 48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51. Accordingl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contactor 50 is performed smooth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movable holder 45.

측면부(47)는 제2 평판부(46)에 인접하여 하부로 연장된다. 측면부(47)의 폭(좌우 방향 길이)은 제2 평판부(46)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portion 47 extends downwardly adjacent to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47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측면부(47)에는 복수 개의 홀(4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서트 사출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49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47.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during injection of the insert.

가동접촉자(50)는 제2 평판부(46)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가동접촉자(50)는 가동자 홀더(45)에 고정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자 어셈블리(30)가 상방으로 이동시 가동접촉자(50)는 제2 평판부(46)로부터 분리되어 접압 스프링(55)에 의한 접압력을 받아 고정접촉자(14)에 밀착하게 된다(도 7 참조).The movable contactor 50 is install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The movable contactor 50 may be separated without being fixed to the movable holder 45. Accordingly, when the mover assembly 30 moves upward, the moveable contactor 5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46 to receive the contact pressure by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or 14 ( See Figure 7).

가동접촉자(50)의 상면에는 돌출부(51)가 형성된다. 돌출부(51)는 가동자 홀더(45)의 삽입홀(48)에 삽입된다. 이때 돌출부(51)는 가동자 홀더(45)의 상부에 돌출된다. 돌출부(51)가 가동자 홀더(45)의 상부에 돌출되는 길이는 가동접촉자(50)의 오버 트래블(over travel)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otrusion 5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or 50. The protrusion 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8 of the movable holder 45. At this time, the protrusion 51 protrude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er holder 45.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51 protrud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45 is preferably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over travel (over travel) of the movable contactor (50).

가동접촉자(50)의 하면에는 접압 스프링(55)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홈(52)이 형성된다. 스프링 지지홈(52)에 접압 스프링(55)의 상단부가 고정 설치된다. A spring support groove 5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or 50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pring 55.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spring 55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pring support groove 52.

접압 스프링(55)이 가동접촉자(50)와 가동자 지지대(40) 사이에 구비된다. 접압 스프링(55)은 가동접촉자(50)를 지지하고 통전시 가동접촉자(50)에 접압력을 제공한다. 접압 스프링(55)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A contact spring 55 i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the movable support 40. The contact spring 55 supports the movable contact 50 and provides the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 50 when energized. The contact spring 55 may be compos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접압 스프링(55)의 상단부는 가동접촉자(50)의 스프링 지지홈(52)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접압 스프링(55)의 하단부는 가동자 지지대(40)의 스프링 지지부(43)에 끼워져 지지된다. 차단 상태(도 6 참조)에서도 접압 스프링(55)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가동접촉자(50)와 가동자 지지대(40)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pring 55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groove 52 of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spring 55 is fitted and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43 of the mover support 40. . Even in the blocked state (see FIG. 6), the contact spring 55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it does not deviate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the movable support 4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는 편의상 가동자 어셈블리(30)와 고정접촉자(14)만 도시되었다. The operation of the DC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6 and 7 for convenience only the mover assembly 30 and the fixed contact 14 are shown.

도 6과 같은 차단 상태에서 가동접촉자(50)는 고정접촉자(14)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놓여 있다. 가동접촉자(50)는 접압 스프링(55)의 지지를 받아 가동접촉자(50)의 상면은 가동자 홀더(45)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이다. In the blocking state as shown in FIG. 6, the movable contactor 50 is place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or 14. The movable contactor 50 is supported by the contact spring 5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or 5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holder 45.

액추에이터(60)가 작용하여 샤프트(57)가 상승하면 이에 연결된 가동자 지지대(40) 및 가동자 홀더(45)도 상승한다. 접압 스프링(55)의 지지를 받는 가동접촉자(50)도 상승하여 고정접촉자(14)에 접촉한다. 가동접촉자(50)가 고정접촉자(14)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샤프트(57)는 더 상승한다. 가동접촉자(50)가 고정접촉자(14)에 접촉한 이후 샤프트(57)가 더 상승하는 길이를 오버 트래블이라고 함은 익히 일려진 바와 같다. 이에 따라, 가동자 지지대(40) 및 가동자 홀더(45)도 오버 트래블의 길이만큼 더 상승한다. 즉, 가동자 홀더(45)는 가동접촉자(50)로부터 분리되어 오버 트래블의 길이만큼 상승하고 접압 스프링(55)은 압축되어 가동접촉자(50)에 접압력을 가하게 된다(도 7 참조).When the actuator 60 acts and the shaft 57 rises, the mover support 40 and the mover holder 45 connected thereto also rise. The movable contactor 50 supported by the contact spring 55 also rises to contact the fixed contactor 14. The shaft 57 is further raised even when the movable contact 50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4. It is well known that the length of the shaft 57 further rising after the movable contactor 50 contacts the stationary contactor 14 is referred to as overtravel. Accordingly, the mover support 40 and the mover holder 45 are further raised by the length of the over travel. That is, the movable holder 45 is separated from the movable contact 50, rises by the length of the over travel, and the contact spring 55 is compressed to apply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 50 (see FIG. 7).

이와 같은 차단 상태 및 통전 상태의 전환에 따른 가동자 어셈블이의 작용에 있어서 가동접촉자(50)의 돌출부(51)가 가동자 홀더(45)의 삽입홀(48)에 삽입된 상태에서 운동하므로 가동접촉자(50)는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가동접촉자(50)의 돌출부(51)가 가동자 홀더(45)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오버 트래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통전 상태에서도 가동접촉자(50)는 안정적으로 지지를 받는다.In the action of the mover assembl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cut-off state and the energized state, the protrusion 51 of the movable contactor 50 moves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8 of the movable holder 45, so that it is movable. The contactor 50 does not deviate.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51 of the movable contactor 50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45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vertravel, the movable contactor 50 is stably supported even in the energized state.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가동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mover assembly of the DC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이 실시예의 가동자 어셈블리(30A)에서 가동접촉자(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st of the components except the movable contactor 50 in the movable assembly 30A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이전 실시예와 달리, 가동접촉자(50)에는 스프링 지지홈(52)의 중앙부에 스프링 지지돌기(53)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압 스프링(55)은 스프링 지지홈(52) 및 스프링 지지돌기(53) 사이에 끼워지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ovable contactor 50 has a spring support protrusion 53 protruding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52. Accordingly,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is more stably supported because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groove 52 and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53.

가동접촉자(50)는, 상부에서는 가동접촉자(50)의 돌출부(51)와 가동자 홀더(45)의 삽입홀(48) 사이에서 발생하는 지지력을 받고, 하부에서는 가동접촉자(50)의 스프링 지지돌기(53)와 스프링 지지홈(52) 및 접압 스프링(55) 사이에서 받생하는 지지력을 받으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을 하게 된다.The movable contactor 50 receives the support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rotrusion 51 of the movable contactor 50 and the insertion hole 48 of the movable holder 45 in the upper part, and the spring support of the movable contactor 50 in the lower part Since it receives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etween the protrusion 53 and the spring support groove 52 and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stable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deviatin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가동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로 한다.A mover assembly of a DC re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이 실시예의 가동자 어셈블리(30B)에서 가동접촉자(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st of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movable contactor 50 in the movable assembly 30B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이전 실시예와 달리, 가동접촉자(50)에는 중앙부에 상하를 연결하는 관통홀(54)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54)의 직경은 가동자 홀더(45)의 삽입홀(4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ovable contactor 5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54 that connects the top and bottom of the central portion. Here,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54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48 of the movable holder 45.

지지부재(80)가 마련된다. 지지부재(80)는 3단의 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80)는 제1단부(81), 제2단부(82), 제3단부(8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부(81), 제2단부(82), 제3단부(83)의 직경은 제1단부(81) > 제2단부(82) > 제3단부(83)의 순으로 형성된다. 즉, 제1단부(81)의 직경은 제2단부(82)의 직경보다 크고, 제2단부(82)의 직경은 제3단부(8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upport member 80 is provided. The support member 8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ee-stage tower. That is, the support member 80 may be composed of a first end 81, a second end 82, and a third end 83. Here, the diameters of the first end 81, the second end 82, and the third end 83 are formed in the order of the first end 81> the second end 82> the third end 83. . That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end 8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82,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82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end 83.

또한, 제2단부(82)의 길이는 가동접촉자(5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end portion 82 may be form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ovable contact 50.

한편, 제3단부(83)의 길이는 가동자 홀더(45)의 두께와 오버 트래블이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ngth of the third end portion 83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vable holder 45 plus the overtravel length.

제1단부(81)는 가동접촉자(50)의 하부에 돌출되어 접압 스프링(55)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제1단부(81)는 접압 스프링(55)의 지지를 받는다.The first end portion 81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50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is fitted. The first end portion 81 is supported by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제2단부(82)는 가동접촉자(50)의 관통홀(54)에 삽입 고정된다. 제2단부(82)는 가동접촉자(50)의 관통홀(54)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end portion 82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hrough hole 54 of the movable contactor 50. The second end portion 82 may be forcibly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54 of the movable contactor 50.

제3단부(83)는 가동자 홀더(45)의 삽입홀(48)에 삽입된다. 제3단부(83)는 가동자 홀더(45)의 상부에 돌출된다. The third end 8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8 of the movable holder 45. The third end portion 83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45.

가동접촉자(50)는, 상부에서는 지지부재(80)의 제3단부(83)와 가동자 홀더(45)의 삽입홀(48) 사이에서 발생하는 지지력을 받고, 하부에서는 지지부재(80)의 제1단부(81)와 접압 스프링(55) 사이에서 받생하는 지지력을 받으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을 하게 된다.The movable contactor 50 receives the support force generated between the third end 83 of the support member 80 at the top and the insertion hole 48 of the movable holder 45, and the support member 80 at the bottom. Since it receives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 81 and the contact pressure spring 55, stable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departing.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의하면 가동자 홀더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가동접촉자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호 지지력에 의해 가동접촉자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가동접촉자가 이탈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DC rela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movable holder, and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movable contacto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is smoothly performed by mutual support force and the movable contactor Do not deviat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at i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12 프레임 13 아크챔버
14 고정접촉자 15 영구자석 홀더
30,30A, 30B 가동자 어셈블리 40 가동자 지지대
41 제1 평판부 42 아암부
43 스프링 지지부 44 삽입홈
45 가동자 홀더 46 제2 평판부
47 측면부 48 삽입홀
49 홀 50 가동접촉자
51 돌출부 52 스프링 지지홈
53 스프링 지지돌기 54 관통홀
55 접압 스프링 57 샤프트
58 결합부 60 액추에이터
61 요크 62 보빈
63 코일 65 고정코어
67 가동코어 68 실린더
69 리턴 스프링 70 미들 플레이트
72 밀봉용 부재 80 지지부재
81 제1단부 82 제2단부
83 제3단부
11, 12 frame 13 arc chamber
14 Fixed contactor 15 Permanent magnet holder
30,30A, 30B mover assembly 40 mover support
41 1st plate part 42 Arm part
43 Spring support 44 Insertion groove
45 Movable holder 46 Second flat plate
47 Side 48 Insertion hole
49 hole 50 movable contactor
51 Projection 52 Spring Support Groove
53 Spring support protrusion 54 Through hole
55 contact spring 57 shaft
58 Coupling 60 Actuator
61 York 62 Bobbin
63 Coil 65 Fixed Core
67 Movable core 68 cylinder
69 return spring 70 middle plate
72 Sealing member 80 Support member
81 First end 82 Second end
83 Section 3

Claims (8)

한 쌍의 고정접촉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샤프트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가동자 지지대;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 지지대에 고정되는 가동자 홀더;
상기 가동접촉자와 가동자 지지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자 홀더에는 중앙부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하 운동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A pair of fixed contactors;
A movable contactor that moves up and down by an actuator to contact or separate the pair of fixed contacts;
A movable supporter provided below the movable contactor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by a shaft;
A movable holder disposed on the movable contactor and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Includes; a contact pressur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movable support to provide a contact pressure to the movable contactor,
An insert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The DC re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o form a protrusion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면에는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압 스프링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DC re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 support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o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pring is inserted and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동자 홀더의 상부에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샤프트의 오버 트래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DC re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ngth of the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lder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overtravel of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기 접압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DC re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pressure contact spring is protru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er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홈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DC rela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pring support protrusion is protru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DC re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movable contactor is formed, a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s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3단으로 형성되어 제1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돌출되고, 제2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에 삽입되고, 제3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three stages, the first end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the second end inserted into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third end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DC relay,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2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3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The DC rela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iameter of the first end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end.
KR1020180126236A 2018-10-22 2018-10-22 Direct Current Relay KR102606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36A KR102606007B1 (en) 2018-10-22 2018-10-22 Direct Current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36A KR102606007B1 (en) 2018-10-22 2018-10-22 Direct Current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24A true KR20200045324A (en) 2020-05-04
KR102606007B1 KR102606007B1 (en) 2023-11-24

Family

ID=7073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236A KR102606007B1 (en) 2018-10-22 2018-10-22 Direct Current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0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38A1 (en) * 2020-09-25 2022-03-31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Movable contact part and dc relay including same
KR20220088016A (en) * 2020-12-18 2022-06-27 엘에스일렉트릭(주) Direct current relay
KR102483841B1 (en) * 2022-04-05 2023-01-03 주식회사 와이엠텍 Dc bi-directional arc extinguishing switch with improved insulation capabi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964U (en) * 2009-06-01 2010-12-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Relay
KR20150089383A (en) * 2014-01-27 2015-08-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magnetic relay
KR20180045360A (en) * 2016-10-25 2018-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irect Relay
JP2018133347A (en) * 2013-06-28 2018-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mounted with the contac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964U (en) * 2009-06-01 2010-12-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Relay
JP2018133347A (en) * 2013-06-28 2018-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mounted with the contact device
KR20150089383A (en) * 2014-01-27 2015-08-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magnetic relay
KR20180045360A (en) * 2016-10-25 2018-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irect Re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38A1 (en) * 2020-09-25 2022-03-31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Movable contact part and dc relay including same
KR20220088016A (en) * 2020-12-18 2022-06-27 엘에스일렉트릭(주) Direct current relay
KR102483841B1 (en) * 2022-04-05 2023-01-03 주식회사 와이엠텍 Dc bi-directional arc extinguishing switch with improved insulation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007B1 (en)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46194B1 (en) Direct current relay
US11574784B2 (en) Direct current relay
KR102388586B1 (en) Direct Current Relay
US9275815B2 (en) Relay having two switches that can be actuated in opposite directions
EP3846195B1 (en) Direct current relay
JP6343642B2 (en) DC relay
KR101846224B1 (en) Magnetic Switch
KR20200045324A (en) Direct Current Relay
KR102537549B1 (en) Direct Current Relay
KR102388587B1 (en) Direct Current Relay
KR102097642B1 (en) Direct Current Relay
KR101697577B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KR20170000938U (en) Magnetic Switch
KR102531476B1 (en) Moving contactor par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e the same
KR101116386B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