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152A -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152A
KR20200045152A KR1020180125826A KR20180125826A KR20200045152A KR 20200045152 A KR20200045152 A KR 20200045152A KR 1020180125826 A KR1020180125826 A KR 1020180125826A KR 20180125826 A KR20180125826 A KR 20180125826A KR 20200045152 A KR20200045152 A KR 20200045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s
birefringent film
polarizer
azimuth
optic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853B1 (ko
Inventor
류성호
벨리아에프 세르게이
박문수
윤혁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2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6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fluids in transparent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상기 광학 필터는 유기 발광 장치에 적용되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Optical filters for anti-reflection and use therof}
본 출원은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근래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의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가 주목받고 있다. 유기 발광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유기 발광 장치는 유기 발광 패널에 형성된 금속 전극 및 금속 배선에 의해 외부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반사된 외부 광에 의해 시인성과 대비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이 유기 발광 패널의 일면에 원 편광판을 부착하여 상기 반사된 외부 광이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원편광판은 시야각 의존성이 강하여 측면으로 갈수록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어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2138호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한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상기 광학 필터를 적용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유기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기 광학 필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학 필터는 편광자(10)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배치된 복굴절 필름(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자는 입사 광에 대하여 선택적 투과 및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예를 들어,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 광으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에 포함되는 편광자는 선편광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편광자는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이고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이 상기 선편광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선 편광자는 일 방향의 흡수축과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PVA 연신 필름 등과 같은 고분자 연신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한 편광자 또는 배향된 상태로 중합된 액정을 호스트로 하고, 상기 액정의 배향에 따라 배열된 이방성 염료를 게스트로 하는 게스트-호스트형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편광자로는 PVA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 내지 편광도는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42% 내지 45%일 수 있고, 편광도는 65% 내지 99.9997%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면서,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인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조 오차(error) 또는 편차(variation) 등을 감안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경우는, 약 ±15도 이내의 오차, 약 ±10도 이내의 오차 또는 약 ±5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은 복굴절과 같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x축, y축 및 z축을 기재하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x축은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면내 지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y 축은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면내 진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x축과 y축은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면내에서 서로 직교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광축을 기재하면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지상축을 의미한다. 상기 복굴절 필름이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지상축은 막대 형상의 장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디스크 형상의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지상축은 디스크 형상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굴절률을 기재하면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약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local optical axis)은 복굴절 필름 내에서 국소 두께(local thickness)에 해당하는 광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굴절 필름의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하거나 또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굴절 필름의 국소 두께에 해당하는 광축에 대해 기술할 필요가 있을 때, "국소 광축"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국소 광축의 방위각(Azimuth angle)은 국소 광축의 복굴절 필름의 평면으로의 투영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 면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위각은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위각을 0도 기준으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고, 위상차 필름에 비해 편광자를 상부에(즉, 관찰자에 가깝게) 배치하고 관찰할 때, 편광자의 흡수축 대비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 또는 부호 없이 표기할 수 있고, 편광자의 흡수축 대비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 부호로 표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국소 광축의 경사각(Tilt angle)은 국소 광축이 복굴절 필름의 평면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평면을 0도 기준으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각은 편광자의 흡수축의 경사각을 0도 기준으로 한 경우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고, 편광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측정한 경우 (+) 또는 부호 없이 표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은 복굴절 필름의 하나의 주표면과 그와 대향하는 주표면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자를 향하는 면은 복굴절 필름에서 편광자와 가장 가까운 표면을 의미할 수 있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은 복굴절 필름에서 편광자와 가장 먼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편광자를 향하는 면은 상부(upper part)로 호칭할 수 있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은 하부(bottom part)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의 중간 부(middle part)는 복굴절 필름의 전체 두께의 1/2이 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상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고, 복굴절 필름의 하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전체 두께의 1/2이 되는 지점에서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 값은(Rin)은 하기 수식 1로 계산될 수 있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Rth)은 하기 수식 2로 계산될 수 있다.
[수식 1]
Rin = d × (nx - ny)
[수식 2]
Rth = d × (nz - ny)
수식 1에서 Rin은 면상 위상차 값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며, d는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두께이며, nx, ny 및 nz는 각각 상기 정의한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위상차 값을 기재하면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약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위상차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역분산 특성(reverse wavelength dispersion)은 하기 수식 3을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고, 정분산 특성(normal wavelength dispersion)은 하기 수식 4를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플랫분산 특성(flat wavelength dispersion)은 하기 수식 5를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식 3]
R(450)/R(550) < R(650)/R(550)
[수식 4]
R(450)/R(550) > R(650)/R(550
[수식 5]
R(450)/R(550) = R(650)/R(550)
수식 3 내지 수식 5에서 R(λ)는 복굴절 필름 또는 액정층의 λ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광학 필터에 따르면,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굴절 필름의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의 방위각은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의 방위각에 비해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설계를 통해 상기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이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은, 복굴절 필름의 국소 두께에 따른 국소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 측정 시, 상기 방위각 또는 경사각이 상이한 적어도 두 지점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위각 또는 경사각이 상이하다는 것은, 그 각도의 차이가 적어도 5도 이상, 6도 이상, 7도 이상, 8도 이상, 9도 이상 또는 10도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경사각 또는 방위각이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예로는, 상부에서 최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고, 하부에서 최소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는 예, 상부에서 최소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고, 하부에서 최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는 예,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최소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고, 중간부에서 최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는 예,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최대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고, 중간부에서 최소 방위각 또는 경사각을 갖는 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위각 또는 경사각의 "최소" 및 "최대"는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른 국소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 중에서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이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라 일정하다는 것은, 복굴절 필름의 두께에 따른 국소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 측정 시, 모든 두께 지점에서 경사각 또는 방위각이 일정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위각 또는 경사각이 일정하다는 것은, 그 각도의 차이가 5도 미만, 3도 미만, 1도 미만 또는 0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상부 방위각은 -15도 내지 35도 범위 내일 수 있다. 상부 방위각은 구체적으로 -15도 이상, -10도 이상, 0도 이상 또는 5도 이상일 수 있고, 35도 이하, 30도 이하, 20도 이하, 15도 이하 또는 1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하부 방위각은 45도 내지 13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하부 방위각은 구체적으로 45도 이상, 50도 이상, 60도 이상, 70도 이상, 80도 이상, 85도 이상 또는 90도 이상일 수 있고, 120도 이하, 115도 이하 또는 110도 이하, 100도 이하, 90도 이하, 80도 이하, 75도 이하, 70도 이하 또는 65도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방위각 범위 내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하거나 또는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0도 내지 55도 범위 내일 수 있다. 즉,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라 0도 내지 55도 범위 내에서 변화하거나 또는 일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사각이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그 최대 각도는 10도 이상, 15도 이상, 20도 이상, 25도 이상, 30도 이상 또는 35도 이상일 수 있고, 50도 이하, 45도 이하 또는 40도 이하일 수 있다. 그 최소 각도는 0도 이상, 5도 이상일 수 있고, 10도 이하일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사각이 두께 방향에 따라 일정한 경우, 그 각도는 10도 이상, 12도 이상 또는 15도 이상일 수 있고, 25도 이하 또는 20도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각 범위 내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상부)에서 최소 각도를 갖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하부)에서 최대 각도를 가지면서,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방위각(αB)과 상부 방위각(αU)의 차이(αB - αU)는 30도 이상, 40도 이상, 50도 이상, 60도 이상, 70도 이상, 80도 이상 또는 90도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후술하는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이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구체적인 예는 하기 제 1 내지 제 3 구현예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상부)에서 최대 각도를 갖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하부)에서 최소 각도를 가지면서,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때, 복굴절 필름의 상부 경사각은 15도 내지 50도 범위 내이고, 복굴절 필름의 하부 경사각은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이는 약 5도 이상, 약 10도 이상, 15도 이상, 20도 이상, 25도, 30도 또는 35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후술하는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제 2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상부)에서 최소 각도를 갖고 편광자 의 반대 면(하부)에서 최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굴절 필름의 상부 경사각은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일 수 있고, 하부 경사각은 25도 내지 45도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이는 약 5도 이상, 약 10도 이상, 15도 이상, 20도 이상, 25도 또는 3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후술하는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제3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상부)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하부)에서 각각 최소 각도를 갖고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서 최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굴절 필름의 상부 경사각 및 하부 경사각은 각각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 경사각은 10도 내지 4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 경사각의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이는 약 5도 이상, 약 10도 이상, 15도 이상, 20도 이상 또는 25도 이상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과 경사각을 각각 상기와 같이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정 물질과 광 배향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향막 상에 도포한 후, 상기 배향막의 정렬 방향의 방위각과 편광 방향이 상이하도록, 상기 조성물에 편광을 조사함으로써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을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되는 편광의 각도를 비스듬하게 할 경우 국소 광축의 경사각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73152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복굴절 필름의 범위가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 또는 경사각이 두께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선형 규칙(linear rule), 근접 선형 규칙(near linear rule) 또는 점진적 규칙(progressive rule)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선형 규칙, 근접 선형 규칙, 점진적 규칙은, 복굴절 필름의 국소 두께에 대한 국소 광축의 경사각 내지 방위각을 프로파일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굴절 필름이 두께 방향에 따라 경사각이 변화하는 경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고, 하기 관계식 1의 z/d를 x축으로 하고, {T(z/d) - Tm)/ (TM + Tm)}를 y축으로 하여 도시된 그래프로부터 상기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복굴절 필름이 두께 방향에 따라 방위각이 변화하는 경우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고, 하기 관계식 2의 z/d를 x축으로 하고, {A(z/d) - Am)/ (AM + Am)}를 y축으로 하여 도시된 그래프로부터 상기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관계식 1]
T(z/d) = Tm + (TM + Tm) × (z/d)Tf
[관계식 2]
A(z/d) = Am + (AM + Am) × (z/d)Af
관계식 1에서, TM은 국소 광축의 최대 경사각이고, Tm은 국소 광축의 최소 경사각이며, z/d는 상대적인 국소 두께(relative local thickness)이며, T(z/d)는 z/d에 해당하는 국소 광축의 경사각이다.
관계식 2에서, 관계식 1에서, AM은 국소 광축의 최대 방위각이고, Am은 국소 광축의 최소 방위각이며, z/d는 상대적인 국소 두께(relative local thickness)이며, A(z/d)는 z/d에 해당하는 국소 광축의 방위각이다.
상기 z/d는 복굴절 필름의 전체 두께(d)에 대한 국소 두께(z)의 비(z/d)이다. 도 2와 도 3의 그래프는 x축과 y축이 각각 0 내지 1의 범위를 갖도록 정규화(normalization)된 그래프이다. x=0인 경우 복굴절 필름의 상부 면, 예를 들어, 편광자를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x=1인 경우 복굴절 필름의 하부 면, 예를 들어,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을 의미한다.
상기 관계식 1에서 Tf는 Tilt factor 이고, 상기 관계식 2에서 Af는 Azimuth factor로서 그 값에 따라, 선형 규칙, 근접 선형 규칙, 점진적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선형 규칙은, 경사각의 경우, Tf≒1.0이면, 선형 규칙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방위각의 경우 Af≒1.0이면, 선형 규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형 규칙은, 도 2 또는 도 3의 그래프에서 x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일정하게(constant) 나타난다. 한편, 선형 규칙의 경우, z/d를 x축으로 하고 T(z/d) 또는 A(z/d)를 y축으로 하는 그래프에서도, x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일정하게 나타난다.
근접 선형 규칙은, 경사각의 경우, 0.9 < Tf < 1.1이면, 근접 선형 규칙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방위각의 경우, 0.9 < Af < 1.1이면, 근접 선형 규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선형 규칙은 Tf≒1.0과, Af≒1.0인 선형 규칙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각의 근접 선형 규칙의 경우, 0.9 초과, 0.92 이상, 0.94 이상, 0.96 이상 또는 0.98 이상일 수 있고, 1.1 미만, 1.08 이하, 1.06 이하, 1.04 이하 또는 1.02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위각의 근접 선형 규칙의 경우, 0.9 초과, 0.92 이상, 0.94 이상 또는 0.95 이상일 수 있고, 1.1 미만, 1.08 이하, 1.06 이하, 1.04 이하 또는 1.03 이하일 수 있다. 근접 선형 규칙의 경우, 도 2 또는 도 3의 그래프에서 x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난다. 한편, 근접 선형 규칙의 경우, z/d를 x축으로 하고 T(z/d) 또는 A(z/d)를 y축으로 하는 그래프에서도, x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난다.
점진적 규칙은, 경사각의 경우, Tf ≤ 0.9이거나 또는 1.1 ≤ Tf인 경우, 점진적 규칙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방위각의 경우, Af ≤ 0.9이거나 또는 1.1 ≤ Af인 경우, 점진적 규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경사각의 점진적 규칙은, 구체적으로, Tf ≤ 0.9인 경우, 하한은 0.1 이상, 0.2 이상, 0.25 이상, 0.3 이상, 0.35 이상 또는 0.4 이상일 수 있고, 1.1 ≤ Tf 인 경우, 상한은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또는 2.5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방위각의 점진적 규칙은, 구체적으로, 1.1 ≤ Tf인 경우, 상한은 5 이하, 4.5 이하, 4 이하, 3.5 이하, 3.2 이하, 3 이하, 2.5 이하 또는 2 이하일 수 있고, 하한은 1.1 이상, 1.2 이상, 1.4 이상, 1.6 이상, 1.8 이상 또는 1.9 이상일 수 있다.
점진적 규칙의 경우, 도 2 또는 도 3의 그래프에서 x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점진적 규칙의 경우, z/d를 x축으로 하고 T(z/d) 또는 A(z/d)를 y축으로 하는 그래프에서도, x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출원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방위각의 점진적 규칙은 x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출원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점진적 규칙은 x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 및/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출원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점진적 규칙의 경우, 두께 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영역과 기울기가 점전직으로 감소하는 영역이 전체적으로 하나만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두 영역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2개 영역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z/d를 x축으로 하고 T(z/d)를 y축을 하여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복굴절 필름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서 최소 경사각을 나타내고, 중간부에서 최대 경사각을 나타내면서, 위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이 양면(z/d=0 및 1)에서 최소 값을 갖고 중간부(z/d=0.5)에서 최대 값을 갖는 경우, 점진적 규칙은 Half tilt factor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Half tilt factor는, 복굴절 필름의 z/d=0~0.5 범위 내의 국소 경사각의 tilt factor(상부 half tilt factor) 및/또는 z/d=0.5~1 범위 내의 국소 경사각의 tilt factor(하부 half tilt factor)를 의미한다. 상기 Half tilt factor는 예를 들어, 0.1 내지 0.9 범위 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이상, 0.2 이상 또는 0.3 이상일 수 있고,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또는 0.4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Half tilt factor가 소정 범위 내라는 것은, 상부 half tilt factor와 하부 half tilt factor가 모두 상기 범위 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half tilt factor와 하부 half tilt factor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이 150nm 내지 450nm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면상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150nm 이상, 160nm 이상, 170nm 이상, 210nm 이상, 220nm 이상, 270nm 이상, 280nm 이상 또는 360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면상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450nm 이하, 320nm 이하, 310nm 이하, 260nm 이하, 240nm 이하 또는 220n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면상 위상차 값 범위 내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구체적으로, 0.3㎛ 이상, 0.6㎛ 이상, 0.9㎛ 이상, 1㎛ 이상, 1.2㎛ 이상, 1.5㎛ 이상, 1.8㎛ 이상 또는 2㎛ 이상일 수 있고, 5㎛ 이하, 4.5㎛ 이하 또는 4㎛ 이하, 3.5㎛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내에서, 전 방위에서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한 광학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액정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 또는 중합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물질은 중합성 또는 경화성 액정 물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액정 물질은, 액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 예를 들면 메조겐(mesogen) 골격 등을 포함하고, 중합성 또는 경화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또한, 중합성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 또는 중합된 상태로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액정 물질이 중합되어 복굴절 필름 내에서 액정 고분자의 주쇄 또는 측쇄와 같은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에 따른 방위각 내지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복굴절 필름은 광 배향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물질의 복굴절 값은 0.03 내지 0.2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값(△n)은 이상 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ne) - 정상 굴절률(ordinary refractive index, no)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상 굴절률은 액정 물질을 일정 방향으로 수평 배향시킨 액정 층에 대한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할 수 있고, 정상 굴절률은 액정 물질을 일정 방향으로 수평 배향시킨 액정 층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복굴절 값 범위 내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액정 물질은 막대 형상 또는 디스크 형상의 액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로는 분자 구조에 직사슬의 알킬기나 알콕시기, 치환 벤조일옥시기 등이 치환되어 막대상 구조를 가지고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로는 소위 네마틱상(Nematic phase)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액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네마틱 상」은 액정 물질의 위치에 대한 규칙성은 없으나 장축 방향으로 질서를 가지고 배열된 액정상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막대상의 액정화합물은 경교성 또는 중합성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가교성 또는 중합성 관능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케닐기, 에폭시기, 시아노기, 카복실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형상의 액정 물질로는 분자 중심을 모핵으로 하고, 직사슬의 알킬기나 알콕시기, 치환 벤조일옥시기 등이 그 직사슬로서 방사상으로 치환되어 원반상 구조를 가지고,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형상의 액정 물질로는 소위 디스코틱상 (Discotic phase)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액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형상의 액정화합물은 부의 굴절률 이방성 (1 축성)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어, C. Destrade 등의 Mol.Cryst.71권, 111페이지 (1981년)에 기재되어 있는 벤젠 유도체; B.Kohne 등의 Angew.Chem.96권, 70페이지 (1984년)에 기재된 시클로헥산 유도체; 및 J.M.Lehn 등의 J.Chem.Commun., 1794페이지(1985년), J.Zhang 등의 J.Am.Chem.Soc.116권, 2655페이지 (1994년)에 기재되어 있는 아자크라운계 또는 페닐아세틸렌계 매크로사이클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반상의 액정화합물은 경화성 또는 중합성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가교성 또는 중합성 관능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케닐기, 에폭시기, 시아노기, 카복실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물질은 상기 수식 3을 만족하는 역분산 특성을 갖거나 또는 상기 수식 4를 만족하는 정분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산 특성은, 액정 물질을 일정 방향으로 수평 배향시킨 액정층에 대해 R(450)/R(550) 값과 R(650)/R(550) 값으로부터 정의할 수 있다. 액정 물질이 역분산 특성 또는 정분산 특성을 갖는지와 무관하게, 본 출원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나, 역분산 특성을 갖는 경우 반사 방지 특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복굴절 필름이 역분산 특성을 갖는 경우, 상기 복굴절 필름이 R(450)/R(550) 값은 (450)/R(550)은 0.81 내지 0.99, 0.85 내지 0.95 또는 0.85 내지 0.90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R(650)/R(550)의 값은 상기 R(450)/R(550)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1.01 내지 1.19, 1.01 내지 1.15, 1.01 내지 1.10 또는 1.01 내지 1.05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복굴절 필름이 정분산 특성을 갖는 경우, 상기 복굴절 필름의 R(450)/R(550) 값은 1.01 내지 1.19, 1.05 내지 1.15 또는 1.08 내지 1.12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R(650)/R(550)의 값은 상기 R(450)/R(55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서 0.81 내지 0.99, 0.85 내지 0.99, 0.90 내지 0.99 범위 내일 수 있다.
이하, 액정 물질의 분산 특성에,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복굴절 필름의 광학 물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액정 물질이 역분산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방위각의 Azimuth factor는 0.9 초과 내지 1.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Azimuth factor는 구체적으로, 0.9 초과, 0.92 이상, 0.94 이상 또는 0.95 이상일 수 있고, 1.1 미만, 1.08 이하, 1.06 이하, 1.04 이하 또는 1.03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160nm 내지 260nm 범위 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60nm 이상, 170nm 이상, 210mnm 이상 또는 260nm 이상일 수 있고, 260nm 이하, 240nm 이하 또는 220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상부 방위각은 -15도 이상, -10도 이상, 0도 이상 또는 5도 이상일 수 있고, 35도 이하, 30도 이하, 20도 이하 또는 15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하부 방위각은 45도 이상 또는 50도 이상일 수 있고, 75도 이하, 70도 이하 또는 65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최대 값이 25도 이상 또는 35도 이상일 수 있고, 50도 이하 또는 4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의 최소 값이 0도 이상이고, 10도 이하일 있다. 또는,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15도 이상 내지 25도 범위 내에서 일정할 수 있다. 또는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상부 및 하부에서 0도 내지 10도이고, 중간부에서 25도 내지 40도 일 수 있다.
액정 물질은 역분산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반사 방지 특성 향상 측면에서, 복굴절 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과, 방위각과 경사각의 효과적인 조합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170 nm 내지 24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0도 내지 35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45도 내지 70도 범위 내에서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35도 내지 5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에서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제 2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160nm 내지 22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5도 내지 3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50도 내지 70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25도 내지 4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제 3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10nm 내지 26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5도 내지 15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45도 내지 7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15도 내지 2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제 4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20nm 내지 26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0도 내지 15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50도 내지 6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0도 내지 10도이고, 중간부 경사각은 25도 내지 40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중간부까지의 경사각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중간부까지의 경사각은 각각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Half tilt factor는 0.1 내지 0.9일 수 있고, 0.1 내지 0.7, 0.2 내지 0.6 또는 0.2 내지 0.4 범위 내일 수 있다. Half tilt factor의 정의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액정 물질은 정분산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방위각의 Azimuth factor는 1.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zimuth factor는 구체적으로, 5 이하, 4.5 이하, 4 이하, 3.5 이하, 3.2 이하, 3 이하, 2.5 이하 또는 2 이하일 수 있고, 1.1 이상, 1.2 이상, 1.4 이상, 1.6 이상, 1.8 이상 또는 1.9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70nm 내지 450nm 범위 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70nm 이상, 280nm 이상, 300nm 이상, 330nm 이상, 360nm 이상일 수 있고, 450nm 이하, 400nm 이하, 350nm 이하, 320nm 이하 또는 310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상부 방위각은 -10도 이상, -5도 이상 또는 0도 이상일 수 있고, 20도 이하, 15도 이하 또는 1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하부 방위각은 70도 이상, 80도 이상, 85도 이상 또는 90도 이상일 수 있고, 120도 이하, 115도 이하 또는 11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의 최대 값이 15도 이상, 25도 이상 또는 30도 이상일 수 있고, 45도 이하 또는 40도 이하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최소 값이 0도 이상이고, 10도 이하일 있다. 또는,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은 12도 이상 내지 25도 범위 내에서 일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0도 내지 10도 이고, 중간부에서 10도 내지 30도 일 수 있다.
액정 물질은 정분산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반사 방지 특성 향상 측면에서, 복굴절 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과, 방위각과 경사각의 효과적인 조합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 5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80nm 내지 32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5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70도 내지 110도 범위 내에서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5도 내지 4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에서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제 6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360nm 내지 45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80도 내지 110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30도 내지 4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근접 선형 규칙 또는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제 7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80nm 내지 32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85도 내지 11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12도 내지 25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제 8 구현예에 따르면,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70nm 내지 310nm 일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0도 내지 15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90도 내지 120도 범위 내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0도 내지 10도이고,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에서 10도 내지 35도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중간부까의 경사각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중간부까지의 경사각은 각각 점진적 규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Half tilt factor는 0.1 내지 0.9일 수 있고, 0.1 내지 0.7, 0.2 내지 0.6 또는 0.3 내지 0.5 범위 내일 수 있다. Half tilt factor의 정의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광학 필터는 표면처리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층으로는 반사 방지 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층은 상기 편광자의 외측에, 즉 복굴절 필름이 배치된 반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층으로는 굴절률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 필터의 편광자와 복굴절 필름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되어 있거나 혹은 편광자에 복굴절 필름을 직접 코팅에 의해 서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로 또는 접착제로는 광학 투명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예를 들면, 경사각 60도에서 측정한 반사율이 1.3% 미만,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또는 0.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반사율은 가시광 영역 내의 어느 한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 예를 들면, 380nm 내지 780nm 또는 400nm 내지 700nm 범위 중 어느 한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이거나, 혹은 가시광 전 영역에 속하는 광에 대한 반사율일 수 있다. 상기 반사율은, 예를 들면, 광학 필터의 편광자 측에서 측정한 반사율일 수 있다. 상기 반사율은 경사각 60도의 특정 방위각 또는 소정 범위의 방위각에서 측정한 반사율이거나 혹은 경사각 60도에서의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측정한 반사율 혹은 경사각 60도에서의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측정한 최대 반사율을 의미할 수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재된 방식으로 측정한 수치이다.
본 출원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외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장치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비편광된 광(incident unpolarized light)(이하 "외광"이라 한다)은 편광자를 통과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 즉 제 1 편광 직교 성분만이 투과되고, 편광된 광은 복굴절 필름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원편광된 광은 기판, 전극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패널에서 반사되면서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고 상기 원편광된 광이 복굴절 필름을 다시 통과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다른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 즉 제 2 편광 직교 성분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 2 편광 직교 성분은 편광자를 통과하지 못하여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외광 반사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측면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장치의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편광 보상 원리를 통해 측면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한 장의 복굴절 필름으로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방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상기 편광자와 복굴절 필름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한, 본 출원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상기 편광자의 상기 복굴절 필름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적층되어 있는 추가적인 층(이하, 외곽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층의 종류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하드코팅층,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층 또는 액정 코팅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곽층으로 사용되는 각 구성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업계에서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또한, 상기 복굴절 필름의 상기 편광자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적층되어 있는 추가적인 층(이하, 하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층의 종류로는, 상기 복굴절 필름 이외의 위상차 층이나, 상기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를 다른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 접착제층 또는 상기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 내지는 이형 필름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에서는, 상기 편광자와 복굴절 필름의 사이에는 별도의 층(중간층)이 존재하거나 혹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편광자와 복굴절 필름의 사이에 별도의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편광자와 복굴절 필름이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상기 편광자와 복굴절 필름을 접착하기 위한 층, 예를 들면, 점착제층, 접착제층 및/또는 프라이머층 등을 제외하고는 다른 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는 유기 발광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유기 발광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 발광 장치는 유기 발광 패널(200)과 유기 발광 패널(200)의 일면에 위치하는 광학 필터(10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필터의 복굴절 필름(20)이 편광자(10)에 비하여 유기 발광 패널(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널은 베이스 기판,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상부 전극 및 봉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캐소드는 전자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 는 IZO 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 및 상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부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 기판은 유리, 금속 및/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터(100)는 유기 발광 패널에서 빛이 나오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 측으로 빛이 나 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100)는 외광이 유기 발광 패널(200)의 전극 및 배선 등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유기 발광 장치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기 발광 장치의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 (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필터는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전 방위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며, 상기 광학 필터는 유기 발광 장치에 적용되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광학 필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경사각의 선형, 근접 선형 및 점진적 규칙을 설명한다.
도 3은 방위각의 선형, 근접 선형 및 점진적 규칙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유기 발광 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1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2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3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4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5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6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7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예 8의 광학 필터의 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 4와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시예 5와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19는 실시예 6과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20은 실시예 7과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도 21은 실시예 8과 비교예 1의 60° 입사 전 방위 반사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반사율 시뮬레이션 평가를 위해, 편광자의 일면에 복굴절 필름이 배치된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를 설정했다. 상기 편광자는 일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지고, 단체 투과율(Ts)이 42.5%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국소 광축의 경사각이 0도이고, 두께 방향을 따라 방위각이 일정한 1/4 파장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1/4 파장판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065이고, 역분산 특성(R(450)/R(550): 0.86, R(650)/(R(550): 1.02)을 가지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는, 두께가 2.15㎛인 액정층으로서,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 45도를 이룬다.
비교예 2
편광자와 1/4 파장판 사이에 +C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를 설정하였다. 상기 +C 플레이트는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이 0nm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20nm이다.
실시예 1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의 복굴절 필름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과 국소 광축의 경사각이 각각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tilt factor: 1.0, Azimuth factor: 1.0)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1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60도이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대 값인 45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소 값인 0.2도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065이고, 역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3.5㎛이다.
실시예 2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의 복굴절 필름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과 국소 광축의 경사각이 각각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tilt factor: 1.02, Azimuth factor: 1.0)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9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64도이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0.2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30도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065이고 역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3.2㎛이다.
실시예 3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의 복굴절 필름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이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Azimuth factor: 0.95)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3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63도이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19도로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하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065이고, 역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3.3㎛이다.
실시예 4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의 복굴절 필름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이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Azimuth factor: 1.03)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3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60도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최소 값으로서 0.2도이고,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에서 최대 값으로서 32도이다.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양면에서 중간부로 가면서 점점 증가한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Half tilt factor는 0.3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065이고, 역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3.7㎛이다.
실시예 5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의 복굴절 필름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점진적 규칙(Azimuth factor: 3.2)에 따라 변화하고,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근접 선형 규칙(Tilt factor: 0.98)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0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95도이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각각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0.2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35도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12이고, 정분산 특성(R(450)/R(550): 1.083, R(650)/(R(550): 0.96)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3.6㎛이다.
실시예 6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6의 복굴절 필름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점진적 규칙(Azimuth factor: 2.5)에 따라 변화하고,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근접 선형 규칙(Tilt factor: 1.04)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7도이고, 편광자에 대한의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97도이다. 또한,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각각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대 값인 35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소 값인 0도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12이고, 정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2.6㎛이다.
실시예 7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7의 복굴절 필름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Azimuth factor: 2.0)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8.5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98.5도이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18도로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하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12이고, 정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2.52㎛이다.
실시예 8
복굴절 필름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8의 복굴절 필름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Azimuth factor: 1.9)에 따라 변화한다.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값인 10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값인 105도이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최소 값으로서 0.2도이고,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에서 최대 값으로서 25도이다.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양면에서 중간 부로 가면서 점점 증가한다 상기 복굴절 필름의 경사각의 Half tilt factor는 0.4이다.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복굴절 값이 0.12이고, 정분산 특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액정 물질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며, 두께가 2.48㎛이다.
평가예 1 반사율 시뮬레이션 평가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반사 방지용 광학필터를 OLED 패널의 일면에 부착한 구조를 설정했다. 이때, 편광자에 비해 복굴절 필름이 OLED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편광자의 상부에는 제로 반사를 나타내는 반사 방지층을 코팅하였다. 상기 OLED 패널은 주변 광에 대한 50%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상기 광학필터가 부착된 OLED 패널에 대하여, 정면 반사율과 경사각 60도 기준 전 방위 반사율을 시뮬레이션(Dimos software, AUTRONIC-MELCHERS (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14 내지 도 21 에 도시하였고, 표 1에 정리하였다. 정면 반사율은 광학 필터에 대하여 정면에서(광학 필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 입사한 광에 대한 반사율이며, 경사각 60도 반사율은 정면에서 60도 경사각으로(광학 필터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경사각으로) 입사한 광에 대한 반사율이다. 상기 반사율은, 광학 필터가 적용되지 않은 OLED 패널 자체의 반사율이 50%인 것을 기준으로 한다. 광학 필터가 적용되지 않은 OLED 패널은, 정면 반사율과 경사각 반사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반사율은 400nm 내지 700nm 파장에 대한 평균 반사율을 의미하며, 광학 필터의 편광자 측에서 측정된 값이다. 최대 반사율은 방위각 0도 내지 360도에서 반사율 중에 가장 높은 반사율을 의미한다.
도 14 내지 도 21에서 점선은 비교예 1의 그래프를 의미하고, 실선은 각 실시예의 그래프를 의미한다. 또한, 도 14에는 비교예 2의 그래프(이중선)도 나타내었다. 비교예 2는 정면 반사율이 0.19%이고, 경사각 60도 최대 반사율이 0.83%이다. 실시예 1 내지 8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60도 반사율이 최소 약 1.6배(실시예 6의 경우) 감소된 반사율을 나타내고, 전 방위에서 균일한 반사율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역분산 액정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가 정분산 액정을 사용한 실시예 5 내지 8에 비해 전반적으로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위각 경사각 두께
(㎛)
정면 반사율
(On-axis)
(%)
60도
최대 반사율 (%)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중간부
비교예 1 45도 0 - 2.15 0.19 1.3
실시예 1 -1 60 45 0.2 - 3.5 0.17 0.4
실시예 2 9 64 0.2 30 - 3.2 0.18 0.75
실시예 3 3 63 19 - 3.3 0.174 0.55
실시예 4 3 60 0.2 0.2 32 3.7 0.23 0.5
실시예 5 0 95 0.2 35 - 3.6 0.62 0.34
실시예 6 7 97 35 0 - 2.6 0.26 0.8
실시예 7 8.5 98.5 18 - 2.52 0.33 0.57
실시예 8 10 105 0.2 0.2 25 2.48 0.28 0.8
100: 광학필터 10: 편광자 20: 복굴절 필름 200: OLED 패널
αP: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위각, αU: 복굴절 필름의 상부 방위각, αB: 복굴절 필름의 하부 방위각
θU: 복굴절 필름의 상부 경사각, θM: 복굴절 필름의 중간부 경사각, θB: 복굴절 필름의 하부 경사각
Side U: 복굴절 필름의 상부 면(편광자를 향하는 면), Side B: 복굴절 필름의 하부 면(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

Claims (16)

  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배치된 복굴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상이하며, 상기 복굴절 필름의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의 방위각은 -15도 내지 35도 범위 내이고, 상기 복굴절 필름의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의 방위각은 45도 내지 130도 범위 내이며,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0도 내지 55도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은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이 150 nm 내지 450 nm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최소 각도를 갖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최대 각도를 가지면서,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변화하거나 또는 일정한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수식 3]
    R(450)/R(550) < R(650)/R(550)
    수식 3에서 R(λ)는 상기 액정 물질을 일정 방향으로 수평 배향시킨 액정층의 λ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을 의미한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수식 4]
    R(450)/R(550) > R(650)/R(550)
    수식 4에서 R(λ)는 상기 액정 물질을 일정 방향으로 수평 배향시킨 액정층의 λ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을 의미한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160nm 내지 260nm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5도 내지 35도 범위 내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45도 내지 75도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근접 선형 규칙(near linear rule)에 따라 변화하는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550nm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270nm 내지 450nm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에서 -10도 내지 15도이고,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방위각은 70도 내지 120도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방위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점진적 규칙(progressive rule)에 따라 변화하는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 중 어느 하나에서 15도 내지 50도 범위 내이고, 다른 하나에서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편광자를 향하는 면과 편광자에 대한 반대 면에서 각각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고,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서 10도 내지 40도 범위 내인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필름의 국소 광축의 경사각은, 복굴절 필름의 두께 방향을 따라 15도 내지 25도 범위 내에서 일정한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16. 제 1 항의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의 복굴절 필름이 편광자에 비하여 유기 발광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기 발광 장치.
KR1020180125826A 2018-10-22 2018-10-22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KR10244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26A KR102442853B1 (ko) 2018-10-22 2018-10-22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26A KR102442853B1 (ko) 2018-10-22 2018-10-22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52A true KR20200045152A (ko) 2020-05-04
KR102442853B1 KR102442853B1 (ko) 2022-09-14

Family

ID=7073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826A KR102442853B1 (ko) 2018-10-22 2018-10-22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185A1 (ja) * 2020-08-25 2022-03-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138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KR101023979B1 (ko) * 2003-11-21 2011-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시야각 보상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액정표시장치
JP2013003491A (ja) * 2011-06-21 2013-01-07 Seiko Epson Corp 偏光変換素子、偏光変換ユニット及び投射装置
KR20150038834A (ko) * 2013-10-01 2015-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KR20160079687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KR20180087871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79B1 (ko) * 2003-11-21 2011-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시야각 보상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액정표시장치
KR20090122138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JP2013003491A (ja) * 2011-06-21 2013-01-07 Seiko Epson Corp 偏光変換素子、偏光変換ユニット及び投射装置
KR20150038834A (ko) * 2013-10-01 2015-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KR20160079687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KR20180087871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185A1 (ja) * 2020-08-25 2022-03-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853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242B (zh) 用于抗反射的滤光器和有机发光器件
KR102126681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101966831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EP3783404B1 (en) Elliptical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83675B1 (ko)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20190120928A (ko)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102024264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CN109716183B (zh) 用于抗反射的滤光器和有机发光器件
KR102442853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KR102261688B1 (ko)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