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933A -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933A
KR20200044933A KR1020207009243A KR20207009243A KR20200044933A KR 20200044933 A KR20200044933 A KR 20200044933A KR 1020207009243 A KR1020207009243 A KR 1020207009243A KR 20207009243 A KR20207009243 A KR 20207009243A KR 20200044933 A KR20200044933 A KR 20200044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ing gas
particle
cooling
coolant
coo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 브링커
라파엘 폴 불라
외르그 엔노 카르페르
Original Assignee
도이치 벤케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치 벤케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이치 벤케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4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 함유 가스(3)를 흡입하기 위한 마우스피스(2)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1)에 관한 것으로서, 입자 함유 가스(3)는 가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표는, 흡연 물품의 사용자에 의해 흡수되는 가스, 에어로졸 또는 습기의 온도가 감소된 흡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흡연 물품은 입자 함유 가스(3)를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4)를 포함하고, 입자 함유 가스(3)는 흡입 동작 동안 냉각 요소(4)를 통과하여 흐르며, 냉각 요소(4)는 냉각재(5)를 포함하고, 냉각 요소(4)는 냉각재(5)의 흡열 프로세스에 의해 냉각을 수행하며, 흡열 프로세스는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3)에 의해 활성화된다.

Description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 방법
본 발명은 입자 함유 가스(particle-loaded gas)를 흡입하기 위한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구비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에 관한 것으로서, 입자 함유 가스는 가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연 물품의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연 물품, 대표적으로 궐련(cigarette)은, 피복재(covering material)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담배 섹션(tobacco section)을 갖는다. 많은 경우, 흡연 물품은 연기에 있는 물질들의 종류와 양에 영향을 주기 위해 필터(filters)를 갖춘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또는 종이로 만들어진, 이러한 필터는, 연기의 입자 분율(particle portion)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필터는 또한 활성탄(activated charcoal) 또는 향미제(flavoring agents)와 같은 다른 재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흡연 물품의 담배가 연소하는 동안 건강에 유해한 많은 물질들이 발생한다고 흔히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기에 훨씬 더 적은 유해 물질들이 함유된 흡연 물품을 생산하는 것은 본 산업의 관심사이다.
한편, 전자 담배(electronic cigarettes 또는 e-cigarettes) 및 전자 기화 장치(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s)는 종래 기술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이들은 다양한 설계로 알려져 있고 연소되는 전통적인 담배 궐련의 대용품(substitute)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제공되는 액체의 기화 덕분에, 그렇지 않았다면 많은 양의 독소들이 배출되었을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담배 궐련에 비해 건강 면에서 이점이 있다. 그 결과, 이들은 건강에 덜 해롭다고 여겨질 수 있다.
알려진 전자 담배들에 있어서, 탱크(tank)에 수용된 유체(fluid) 또는 액체(liquid)는 기화기(vaporizer)에 이르게 되어, 그 안에서 기화된다. 증기(vapor)는 그 후 유로(flow channel)를 통해 마우스피스의 배출 개구(outlet opening)에 이르고,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기화기에 액체를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캐리어 재료들(carrier materials)이 사용된다. 이들은, 예컨대 유리 섬유(glass fiber), 정제면(cotton batting), 스테인리스강 스트레이너(stainless steel strainers)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연소하지 않고 가열하는(heat not burn)”제품들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여기에서, 담배는 전통적인 궐련처럼 연소되지 않고, 추가적인 전자 장치에 의해 가열되기만 한다. 이로써, 연소 중에 담배의 열 분해(thermal decomposition)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유해 물질들의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제품들 및 전통적인 흡연 물품들은, 사용자가 자신이 들이마신 증기 또는 연기를 높은 온도로 삼키게 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사용자에게 이러한 점은 불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흡연 물품으로부터 삼키는 가스, 에어로졸(aerosol) 또는 증기의 온도가 감소한 흡연 물품 및 냉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되고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흡연 물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입자 함유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cooling element)가 포함되고, 흡입 동작(drawing-in action) 중에 입자 함유 가스가 냉각 요소를 통과하여 흐르며, 냉각 요소는 냉각재(cooling material)을 갖고, 냉각 요소에 의한 냉각은 냉각재의 흡열 프로세스(endothermic process)에 의해 구현되며, 흡열 프로세스는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입자 함유 가스는, 일반적으로,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로서, 특히 또한 증기, 미스트(mist) 그리고 연기 등과 같이 고체 성분 및/또는 유체 성분을 갖는 에어로졸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흡연 물품을 소비할 때, 사용자는 보통 마우스피스를 통해 공기를 들이마신다. 공기는 흡연 물품을 통과하여 흐른다. 전통적인 궐련의 경우, 담배 연기가 추가적으로 흡입되고, 이 담배 연기는 처음에는 담배 섹션을 통과하여 흐르며 가능하게는 마우스피스를 나가기 전에 필터를 통과하여 흐르고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 요소가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이하에서 입자 함유 가스라고 지칭되는 가스의 흐름, 즉, 흡입된 공기 및 담배 연기 또는 전자 담배의 습식 증기의 혼합물의 흐름이 마우스피스를 나갈 수 있기 전에, 흡입된 공기 및 예컨대 담배 연기가 이 냉각 요소를 통해 흘러야만 한다.
냉각 요소는 냉각재를 수용하고, 입자 함유 가스가 이를 지나서 그리고/또는 이를 통과하여 흐른다. 입자 함유 가스는 기화 또는 연소 프로세스에 의해 가열된다. 이 열기는 냉각재 내의 흡열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데 사용된다. 흡열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수행될 수 있으려면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추가되어야 한다. 이 에너지는 가열되거나 또는 가온된(warmed) 입자 함유 가스에 의해 제공된다. 냉각 요소를 나갈 때, 입자 함유 가스는, 그 결과, 그 이전인 냉각 요소에 들어갈 때보다 낮아진 열함량(엔탈피)(heat content(enthalpy))을 갖게 된다. 보다 낮은 열함량은 보다 낮은 온도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자 함유 가스는, 냉각 요소 내의 냉각재의 흡열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가졌을 온도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로 마우스피스를 나가게 된다.
흡열 프로세스의 일련의 작용 방식은 냉각재의 종류와 속성에 좌우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흡열 반응은 탈착(desorption)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에서, 흡수된 물을 주변으로 방출할 수 있는 냉각재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그에 따라, 특히 실리카겔(silica gel) 및/또는 제올라이트(zeolite)가 냉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흡열 프로세스는 냉각재의 용융(melting) 및/또는 기화(vaporizing)에 의해 구현된다. 용융 및/또는 기화 동안 에너지가 또한 냉각재에 전해진다. 용융 또는 기화에 요구되는 열함량; 즉 일정한 압력에서 재료 샘플(material sample)을 그 용융점(melting point)에서 용융시키기 위해 또는, 비등점(boiling point)에서 이를 기화시키기 위해, 즉 재료 샘플을 고체에서 유체로 또는 유체에서 가스의 집합체 상태(gaseous aggregate state)로 전환하기 위해 각각 요구되는,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에너지의 양;은 입자 함유 가스가 마우스피스를 나가기 전에 냉각되도록 보장한다. 냉각재로서 유기물 및 무기물 모두 적합하다.
흡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가능성으로서, 무기염(inorganic salt)의 결정수(water of crystallization)를 배출함으로써 흡열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글라우버염(Glauber salt), 즉 황산나트륨 하이드레이트(sodium sulfate hydrate), 및 엡솜염(Epsom salt), 즉 황산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magnesium sulfate hydrate)가 냉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황산나트륨은 부분적으로 담배 산업에서 피복재가 너무 빠르게 연소되지 않도록 피복재들의 훈소를 지연(smoldering retardation)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및 대응하는 유사한 무기염들은 정상 상태에서 결정성 고체(crystalline solid bodies)로 존재한다. 결정수 또는 수화수(hydration water)는 그 결정 격자 구조(crystalline lattice structure)로 인해 고체 내에 구속된다. 탈착의 경우 물 분자들이 결정 격자의 일부가 아닌 반면, 이 염들(salts)의 물 분자들은 이온 배위결합(dative bonds to ions) 또는 수소결합(hydrogen bonds)을 한다. 결정수의 배출을 위해 에너지가 요구된다. 이 에너지는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에 의해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입자 함유 가스는 그 결과 마우스피스를 나가기 전에 냉각된다.
냉각 요소는 흡연 물품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필터 요소가 포함되고, 필터 요소는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의 앞에 마련되며, 필터 요소는 냉각 요소를 포함한다. 냉각 요소를 필터 요소 안에 마련함으로써, 흡연 물품은, 예컨대 전통적인 궐련이라면, 거의 어떠한 변경도 없이 설계될 수 있다. 필터 요소를 가진 궐련은, 냉각재를 갖춘 냉각 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이미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냉각 요소는 길게 연장된(elongated) 캐리어 재료를 갖고, 이 길게 연장된 캐리어 재료는 냉각재를 포함한다. 캐리어 재료는 또한 동시에 냉각 요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유리한 실시 예에서 캐리어 재료는 다중으로 접힌다(multiply folded). 이러한 방식에 의해, 가능한 한 넓은 표면이 생성되고, 입자 함유 가스가 이를 지나서 흐르거나, 또는 통과하여 흐른다. 캐리어 재료는, 가능한 한 많은 횟수로 접히기 위해,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흡연 물품의 크기가 불균형적으로 커지지 않으면서 넓은 표면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얇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접힘부들(folds)은 또한 캐리어 재료가 부분적으로 롤링되거나(rolled) 절단되고(cut) 적층될(stacked)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냉각재는 캐리어 재료 상에 미리 인쇄(pressed)되거나 펴질(brushed)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가능한 한 넓은 면적의 적용(application)이 가능하고, 그 결과 입자 함유 가스가 보다 우수하게 냉각될 수 있다.
캐리어 재료는, 접힘부들이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련되도록 흡연 물품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입자 함유 가스는 캐리어 재료를 통해 흘러야만 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흡입할 때 마우스피스 상에 큰 압력차를 야기하지 않는 캐리어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권장되고, 이로써 흡입이 힘이 들거나 불쾌하다고 여겨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 재료는 통기성(permeable to air)이 있어야 한다.
캐리어 재료는 또한, 접힘부들이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마련되도록 흡연 물품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입자 함유 가스는 캐리어 재료를 향해 흐르지만, 이를 통과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캐리어 재료의 통기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나아가, 캐리어 재료가 동시에 냉각 요소의 일부이자 필터 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 접힘부들을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또는 그에 횡방향으로 마련함으로써, 입자 함유 가스의 필터링을 위한 추가적인 필터 재료가 접힘부들 사이의 공간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재료가 직접 필터 재료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시에 캐리어 재료의 접힘부들의 대안적인 배열이 흡연 물품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연 물품은, 캐리어 재료의 접힘부들이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마련된 섹션과, 접힘부들이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 횡방향으로 마련된 섹션을 갖는다.
냉각재는 캐리어 재료 상에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연 물품의 일 실시 예에서, 냉각재는 캐리어 재료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냉각재를 인쇄하거나 펴는 것이 좋다. 따라서, 냉각재를 가능한 넓은 표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입자 함유 가스는 보다 우수하게 냉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각재는 캐리어 재료 안에 배치된다. 예컨대 종이로 만들어진, 캐리어 재료의 생산 동안, 냉각재는 이미 제지 펄프에 통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냉각재는 냉각 요소 안에 작은 입자들로 배치될 수 있다. 작은 입자들은, 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에 더하여, 냉각 요소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캐리어 재료의 접힘부들 사이의 빈 공간들에 배치될 수 있다. 흡연 물품이, 마찬가지로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필터를 갖춘 경우, 냉각재는 또한 필터 재료 내에 산재(interspersed)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요소는 이중의 기능을 갖게 되는데, 독성 물질들을 입자 함유 가스로부터 필터링하고 동시에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을 책임진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냉각 요소는 담배 혼합물(tobacco mixture)을 가지는 전통적인 흡연 물품의 담배 혼합물에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작은 입자들은 담배 혼합물 안에 배치된다. 입자들의 크기는 냉각재의 속성에 좌우된다. 대체로, 흡연 물품의 크기를 불균형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선에서 모든 입자 크기의 분포가 가능하다. 이 경우, 불균형하다는 것은, 전통적인 흡연 물품과 크기(dimension)가 크게 차이나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 물품의 다른 실시 예에서, 냉각 요소는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의 앞에, 별도의 세그먼트(separate segment)로 마련된다. 별도의 세그먼트는 복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 바람직한 실린더(cylinder) 형태가 예로서 설명된다. 전통적인 흡연 물품들은 보통 근본적으로 실린더 형태이다. 별도의 세그먼트는 그 부근에 추가적으로,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 따라, (있을 수 있는) 필터의 앞에 마련될 수 있다. 별도의 세그먼트로서의 냉각 요소는, 예컨대, 완전히 냉각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별도의 세그먼트가 하우징 종류를 갖춤으로써, 냉각재가 다공성 재료(porous material) 혹은 분말(powder)로서 하우징(housing) 안에 캡슐화(encapsulated)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은 입자 함유 가스를 위한 유입 개구(inlet opening) 및 배출 개구(outlet opening)를 갖고,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흡입하면 이 개구들을 통해 입자 함유 가스가 흐른다. 냉각 요소는 또한 선택적으로 흡연 물품의 안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는 그가 필요하다고 느낄 때만 입자 함유 가스를 냉각할 수 있는 옵션을 갖게 된다.
상기 목표는 서두에 서술된 흡연 물품의 입자 함유 가스를 냉각하는 방법으로서 청구범위 제12항의 특징들을 갖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흡입 동작 시에 입자 함유 가스가 냉각 요소를 통해 유도되고, 냉각 요소는 냉각재를 갖추며, 냉각 요소에 의한 냉각은 냉각재의 흡열 프로세스에 의해 구현되고, 흡열 프로세스는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냉각재는 다양한 흡열 프로세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한편으론, 흡열 프로세스는 탈착에 의해 구현된다. 나아가 흡열 프로세스가 냉각재의 용융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흡열 프로세스가 무기염의 결정수의 배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물품 및 본 발명에 따른 냉각 방법을 설계 및 개발하기 위한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 청구범위 제1항과 제12항의 종속항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논의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냉각 요소를 갖춘 흡연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냉각 요소를 갖춘 흡연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흡연 물품을 위한 냉각 요소의 개략도, 및
도 4는 흡연 물품 안의 캡슐화된 냉각 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은 마우스피스(2)를 갖춘 흡연 물품(1)을 나타내며, 마우스피스(2) 상에서의 흡입 동작 동안 입자 함유 가스(3)가 이를 통해 흐른다. 궐련 형태의 흡연 물품(1)은 냉각 요소(4)를 갖고, 냉각 요소(4)는 냉각재(5)를 포함한다. 냉각 요소(4)는 입자 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화살표로 도시됨)에 있어서 필터 요소(6)의 앞에 마련된다. 캐리어 재료(7)는 냉각 요소(4) 안에 마련되고(도 3 참조), 그 위에서 냉각재(5)의 입자들(8)이 접힌 캐리어 재료(7) 사이의 빈 공간들로 산재한다. 냉각 요소(4)는 궐련의 실린더형 배열에서 별도의 세그먼트(9)로 설계된다. 마우스피스(2)를 갖는 필터 요소(6)는 냉각 요소(4)의 일단에서 경계를 이룬다. 담배 섹션(11)을 둘러싸는 피복재(10)는 타단에서 경계를 이룬다.
흡연 물품(1)이 담배 섹션(11)의 단부에서 점화될 경우, 담배는 약 800°C에서 피복재(10)와 함께 연소하고, 마우스피스(2)를 통해 흡연 물품(1)을 통과하여 흡입될 수 있는 담배 연기를 발생시킨다. 연기는 사용자에게 도달할 때에는 더 이상 대단히 뜨겁지 않지만, 여전히 사용자에게 불쾌하게 여겨질 수 있을 정도로 고온이다. 담배 연기 또는, 일반적으로, 입자 함유 가스(3)는 흡연 물품(1)을 통해 냉각재(5)가 마련된 냉각 요소(4)를 통과하여 흐른다. 입자 함유 가스(3)의 높은 온도는 냉각재(5)의 흡열 프로세스를 활성화하기에 충분하다. 이 흡열 프로세스를 위해 에너지가 요구되고, 입자 함유 가스(3)로부터 이 에너지를 얻는다. 얻어진 에너지는 입자 함유 가스(3)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고, 입자 함유 가스(3)는 그 후 필터 요소(6)로 더 흐르며 사용자에게 쾌적하게 여겨지는 온도로 마우스피스(2)를 나간다.
도 2는 냉각 요소(5)를 갖춘 흡연 물품(1)의 단면도의 단면을 나타낸다. 냉각 요소(5)는 다중으로 접힌 캐리어 재료(7)로부터 형성된다. 접힘부들(12)은 그 부근에 입자 함유 가스(3)의 흐름 방향에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캐리어 재료(7)는 그에 따라 통기성이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흡입을 쉽게 할 수 있다. 캐리어 재료(7)는 냉각재(5)로 코팅(coated)된다. 냉각재(5)는 생산 과정에서 캐리어 재료(7) 상에 미리 인쇄된다. 이 실시예에서, 냉각 요소(4)는 동시에 필터 요소(6)를 나타내고, 담배 섹션(11)의 연소로 인해 형성된 입자 함유 가스(3)의 독소들을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 재료는 캐리어 재료(7)의 접힘부들(12) 사이에 산재한다.
도 3은 흡연 물품(1)을 위한 냉각 요소(4)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다중으로 접힌 캐리어 재료(7)가 나타난다. 캐리어 재료(7)는, 냉각재(5)로 캐리어 재료(7)를 미리 인쇄함으로써, 냉각재(5)로 코팅된다. 추가적으로, 냉각 요소(4)의 냉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냉각재(5)의 작은 입자들(8)이 캐리어 재료(7)의 접힘부들(12) 사이에 마련된다. 냉각 요소(4)의 캐리어 재료(7)는 통기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생산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캐리어 재료(7)의 접힘부들(12)은 흡연 물품(1)에서 입자 함유 가스(3)의 흐름 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하고, 이로써 입자 함유 가스(3)는 사용자가 들이마실 때 냉각 요소(4)를 쉽게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입자 함유 가스는 캐리어 재료(7)의 표면을 지나갈 뿐이고, 이를 통과하여 흐르지는 않는다.
도 4는 별도의 냉각 요소(4)를 갖춘 흡연 물품(1)의 단면도의 단면을 나타낸다. 냉각 요소(4)는 하우징(13)을 가지며, 하우징(13) 상에 냉각재(5)가 작은 다공성 입자들(8)로 마련된다. 하우징(13)은 냉각재(5)가 흡연 물품(1) 안에 흩어지지 않도록 냉각재를 둘러싸기 위해 사용된다. 냉각 요소(4)의 하우징(13)은, 유입되는 입자 함유 가스(3)를 위한 천공된 유입 개구(14) 및 천공된 배출 개구(15)를 갖는다. 입자 함유 가스(3)는 유입 개구(14) 및 배출 개구(15)를 통과하여 흐를 수 있고, 그럼으로써 냉각재(5)와 접촉하게 되며, 입자 함유 가스(3)의 높은 온도로 인해 입자 함유 가스(3)의 냉각이 활성화된다. 별도의 세그먼트(9)로서의 냉각 요소(4)는, 흡연 물품(1)에서 제거될 수 있고 필요한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는 마우스피스(2)를 나가는 입자 함유 가스(3)의 냉각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1 흡연 물품
2 마우스피스
3 입자 함유 가스
4 냉각 요소
5 냉각재
6 필터 요소
7 캐리어 재료
8 입자
9 세그먼트
10 피복재
11 담배 섹션
12 접힘부들
13 하우징
14 유입 개구
15 배출 개구

Claims (15)

  1. 흡연 물품(1)으로서,
    입자 함유 가스(3)를 흡입하기 위한 마우스피스(2)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 함유 가스(3)는 가열되어 있으며,
    입자 함유 가스(3)의 냉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4)가 포함되고, 흡입 동작 동안 상기 입자 함유 가스(3)는 상기 냉각 요소(4)를 통과하여 흐르며,
    상기 냉각 요소(4)는 냉각재(5)를 갖고, 상기 냉각 요소(4)에 의한 냉각은 상기 냉각재(5)의 흡열 프로세스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상기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3)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탈착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상기 냉각재(5)의 용융 및/또는 기화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무기염의 결정수의 배출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6)가 포함되고, 상기 필터 요소(6)는 상기 입자 함유 가스(3)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2)의 앞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 요소(6)는 상기 냉각 요소(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는 길게 연장된 캐리어 재료(7)를 갖고, 상기 길게 연장된 캐리어 재료(7)는 상기 냉각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재료(7)는 여러 번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5)는 상기 캐리어 재료(7)의 표면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5)는 상기 캐리어 재료(7) 안에 도입된(incorpor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5)는 상기 냉각 요소(4) 안에 작은 입자들(8)로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4)는 상기 입자 함유 가스(3)의 흐름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2)의 앞에 별도의 세그먼트(9)로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연 물품의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3)를 냉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입자 함유 가스(3)는 흡입 동작 동안 냉각 요소(4)를 통과하고, 상기 냉각 요소(4)는 냉각재(5)를 가지며, 상기 냉각 요소(4)의 냉각은 상기 냉각재(5)의 흡열 프로세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상기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3)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탈착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상기 냉각재(5)의 용융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프로세스는 무기염의 결정수의 배출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방법.
KR1020207009243A 2017-09-01 2018-08-14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 방법 KR202000449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0202.1 2017-09-01
DE102017120202.1A DE102017120202B4 (de) 2017-09-01 2017-09-01 Rauchartikel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s erwärmten partikelbeladenen Gases
PCT/EP2018/072033 WO2019042762A1 (de) 2017-09-01 2018-08-14 Rauchartikel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s erwärmten partikelbeladenen ga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933A true KR20200044933A (ko) 2020-04-29

Family

ID=6340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243A KR20200044933A (ko) 2017-09-01 2018-08-14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329757A1 (ko)
EP (1) EP3675659B1 (ko)
JP (1) JP2020531052A (ko)
KR (1) KR20200044933A (ko)
CN (1) CN111601519A (ko)
DE (1) DE102017120202B4 (ko)
ES (1) ES2943087T3 (ko)
LT (1) LT3675659T (ko)
PL (1) PL3675659T3 (ko)
WO (1) WO2019042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83A1 (ko) * 2021-12-31 2023-07-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냉각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528B (zh) * 2019-05-27 2020-09-04 江南大学 一种香烟加热器
CN112401298A (zh) * 2019-08-27 2021-02-26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降温嘴棒及具有该降温嘴棒的低温卷烟
WO2022215177A1 (ja) * 2021-04-06 2022-10-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式たばこ用多孔質材、非燃焼加熱式たばこ、及び電気加熱式たばこ製品
KR20230154471A (ko) * 2021-04-06 2023-11-0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연소 가열식 담배용 냉각제, 비연소 가열식 담배, 및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3859A (en) * 1967-11-06 1970-05-26 H2O Filter Corp The Filter for smoking devices
US3547130A (en) * 1968-02-12 1970-12-15 American Tobacco Co Method of cooling cigarette smoke
US3625228A (en) * 1969-10-16 1971-12-07 H 2 O Filter Corp The Heat activated filter for smoking devices
US3669128A (en) * 1970-11-09 1972-06-13 Joseph H Cohen Device for filtering tobacco smoke
GB8329501D0 (en) 1983-11-04 1983-12-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JP4166365B2 (ja) * 1999-04-09 2008-10-15 秀希 青木 タバコ及び紙巻タバコ
DE102004043222A1 (de) 2004-09-03 2006-03-23 Fachhochschule Jena Zigarette mit Brandschutzfilter
GB0915814D0 (en) * 2009-09-10 2009-10-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e filtration
GB201114675D0 (en) * 2011-08-25 2011-10-1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filter
EP2625975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n aerosol-cooling element
EP2625974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flavour-generating component
AU2013255554B2 (en) * 2012-04-30 2016-07-28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mouthpiece with cooling agent inclusion complex
GB201318055D0 (en) * 2013-10-11 2013-11-2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dditive Releasing Materials
CN104449586B (zh) * 2014-11-06 2017-06-06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控卷烟滤嘴烟气温度的有机/无机复合相变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720112B (zh) * 2015-01-29 2017-09-2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加热不燃烧烟草制品的外接烟嘴
CN104720101B (zh) * 2015-01-29 2017-10-1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过滤嘴及卷烟
CN107087811B (zh) * 2017-05-26 2019-10-11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具有降低烟气温度和防止嘴棒热塌陷的低温卷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83A1 (ko) * 2021-12-31 2023-07-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냉각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0202B4 (de) 2022-08-11
WO2019042762A1 (de) 2019-03-07
DE102017120202A1 (de) 2019-03-07
US20200329757A1 (en) 2020-10-22
EP3675659B1 (de) 2023-01-25
LT3675659T (lt) 2023-07-25
EP3675659A1 (de) 2020-07-08
CN111601519A (zh) 2020-08-28
PL3675659T3 (pl) 2023-09-04
JP2020531052A (ja) 2020-11-05
ES2943087T3 (es)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4933A (ko) 흡연 물품 및 가열된 입자 함유 가스의 냉각 방법
RU2715260C1 (ru) Контейнер
RU27296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и изделие для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RU2713995C1 (ru) Изделие обеспечения аэрозоля
RU2713322C1 (ru) Контейнер
JP7295860B2 (ja) 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物品内のエアロゾルアンモニアの減少法
EP2597976B1 (en) Smokeless flavor inhalator
JP5831885B2 (ja) 無煙の煙草代用製品
JP3012714B2 (ja) 喫煙物品
CN103501644B (zh) 吸烟物品
JP7074413B2 (ja) シガレット
JP2021520787A (ja) シガレット
JP7438948B2 (ja) 喫煙代替消耗品
CN110087497A (zh) 具有非晶态碳酸镁的吸烟制品过滤器
JP7411551B2 (ja) 喫煙代替消耗品
JP7291867B2 (ja) 喫煙代替消耗品
WO2019048685A1 (en) 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DEVICE
JP2010532666A (ja) タバコフィルタ
JP2022529599A (ja) 消耗品
CA3134471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JPH06501154A (ja) タバコの煙の濾過
KR20230132463A (ko) 흡연 물품용 필터
CN116889295A (zh) 一种加热不燃烧装置
JP2024012057A (ja) 加熱式喫煙物品
CA3213806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