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168A -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168A
KR20200044168A KR1020180118734A KR20180118734A KR20200044168A KR 20200044168 A KR20200044168 A KR 20200044168A KR 1020180118734 A KR1020180118734 A KR 1020180118734A KR 20180118734 A KR20180118734 A KR 20180118734A KR 20200044168 A KR20200044168 A KR 2020004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personality
virtual
personality
corpu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005B1 (ko
Inventor
윤홍노
Original Assignee
윤홍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노 filed Critical 윤홍노
Priority to KR102018011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 상기 가상 인격 프로필에 포함된 공개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corpus)들을 선별적 학습시켜 상기 가상 인격체를 육성하는 가상 인격체 육성부 및 상기 공개 속성을 기초로 상기 가상 인격체 및 상기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공유하는 가상 인격체 공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단지성 방식으로 사용자들 간에 가상 인격체를 공유하거나 함께 성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COLLECTIVE INTELLIGENCE-BASED VIRTUAL PERSONALITY APPARATUS}
본 발명은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단지성 방식으로 사용자들 간에 가상 인격체를 공유하거나 함께 성장시킬 수 있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 또는 관공서의 경우, 홍보 담당자가 SNS를 기반으로 관리 및 감독하는 브랜드의 가상 캐릭터를 직접 연기하는 방식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 교류와 콘텐츠를 유통함으로써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있다. 실제 인공지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더욱 다양화되고 세분화되어 왔으며, 다양한 콘텐츠 IP와 개인화된 감성 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 중심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6121(2009.05.26)호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서버 네트워크를 통한 캐릭터 성향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캐릭터를 통해 애완 동물을 키우는 듯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캐릭터의 인공지능으로 인해 게임을 기존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가 아닌 캐릭터가 포함된 형태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방 사용자의 수준 뿐만 아니라 그 스타일까지 참조되어 캐릭터의 인공지능 수준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에 대한 흥미 유발을 가속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23304(2003.04.14)호는 협동적 인공지능을 이용한 대화형 에이전트에 관한 것으로, 사람 간에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던 기존 메시징 수단을 개량해, 데이터베이스 등 사람이 아닌 에이전트와 대화가 가능하며, 네트워크 협동게임의 형식을 적용하여 기존의 인공지능 또는 자연어 처리 시스템이 소화하지 못하는 일상 용어, 온라인 채팅 용어, 유행어 등의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학습해 나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6121(2009.05.2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23304(2003.04.1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집단지성 방식으로 사용자들 간에 가상 인격체를 공유하거나 함께 성장시킬 수 있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메신저 타입이 사용자 앱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고 육성 및 공유할 수 있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말뭉치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생성 및 공유되는 가상 인격체를 성격, 대화 상대와의 관계 및 환경요소에 맞게 개인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 상기 가상 인격 프로필에 포함된 공개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corpus)들을 선별적 학습시켜 상기 가상 인격체를 육성하는 가상 인격체 육성부 및 상기 공개 속성을 기초로 상기 가상 인격체 및 상기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공유하는 가상 인격체 공유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인격체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 중 하나로서 미리 정의된 복수의 성격들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해당 성격으로 사전 학습된 가상 인격을 상기 가상 인격체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복수의 말뭉치들을 정제하여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격 형성 데이터를 선별적 학습시킴으로써 상기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특정 기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들 중 해당 가상 인격체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말뭉치를 선별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말뭉치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 및 평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피드백을 수신하여 상기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정에 의해 변경된 말뭉치를 기초로 상기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가상 인격체의 육성 과정에서 상기 선별적 학습에 사용되고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말뭉치의 개수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인격체 공유부는 상기 가상 인격체 및 상기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에 대한 호출 횟수를 기초로 상기 가상 인격체 생성 또는 육성에 참여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는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메신저 타입이 사용자 앱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고 육성 및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는 말뭉치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생성 및 공유되는 가상 인격체를 성격, 대화 상대와의 관계 및 환경요소에 맞게 개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가상 인격체 생성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가상 인격체 공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의 전체 개념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생성, 육성 및 공유의 각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고 가상 인격체와 대화하는 방식을 통해 가상 인격을 부여함으로써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육성한 가상 인격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고 학습을 통해 가상 인격체를 육성하며 육성된 가상 인격체를 공유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 인격체는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에 해당할 수 있고, 과거에 학습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대화를 실시간으로 학습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계속 갱신되는 정보를 반영하여 성장할 수 있는 성장형 인공지능에 해당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가 직접 대화형 인공지능을 생성하거나 육성하고, 다시 다른 사용자에게 인공지능을 공유함으로써 다양하고 개인화된 인공지능을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또는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RESTful API나 플로우 차트(Flow Chart)와 같은 개발도구가 아닌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메신저 타입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용하거나 생성하고 육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손쉽게 사용 가능한 메신저 앱(APP)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사용자가 입력한 Raw 데이터를 받아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이 가능하여 빅데이터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대화 말뭉치(corpus)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생성 혹은 공유되는 인공지능의 성격, 대화 상대와의 관계 및 환경 요소에 맞게 개인화할 수 있다. 말뭉치(corpus)는 단어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의 학습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 메시지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집단지성 기반으로 축적되는 말뭉치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즉시 가공함으로써 별도의 재가공없이 활용 가능한 정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상 인격체의 지속적인 성장과 실시간 개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통상적으로 단어 및 어절 단위로 구분되는 말뭉치 시스템에 순환인공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RNN)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라 계속 갱신되는 메타데이터를 가상 인격체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 가상 인격체, 말뭉치 및 채팅방에 모두 고유 ID와 공통적인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가상 인격체 육성에 사용되는 말뭉치에 대한 정제와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가상 인격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가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고 육성하여 공유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가상 인격 프로필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로부터 수신한 특정 가상 인격체에 관한 평가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상 인격체의 생성을 기초로 육성에서 공유까지의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인격 프로필은 가상 인격체에 관한 다양한 속성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름, 별명, 생년월일, 성별, 국가(지역) 및 상태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인격 프로필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로서 가상 인격체의 성격이나 공개 여부에 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성격 속성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성격 카테고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공개 속성은 비공개와 공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가상 인격체에 관한 다양한 속성 정보를 입력한 후 생성을 요청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기초로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가상 인격체에 고유 메타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상 인격체 식별을 위한 고유 인덱스(ID) 등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 가상 인격체의 성격이나 대화 특징 등에 관한 성격/특징 정보, 소유자나 공개 상태 등에 관한 권한 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평가 등에 관한 관계(소셜) 정보 등을 고유 메타데이터로서 부여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가상 인격체에 대한 고유 메타데이터 생성을 위해 사용자 고유 메타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 중 하나로서 미리 정의된 복수의 성격들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해당 성격으로 사전 학습된 가상 인격을 가상 인격체에 부여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생성 요청에 따라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가 특정 성격을 기본적으로 가지도록 가상 인격을 부여할 수 있다. 가상 인격은 미리 정의된 성격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정, 4차원, 도도, 명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에 의해 부여된 가상 인격은 가상 인격체의 육성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미리 정의된 복수의 성격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상 인격을 가상 인격체에 부여한 후 해당 가상 인격에 해당하는 공개된 가상 인격체 중 인기도가 가장 높은 가상 인격체를 결정하고 해당 가상 인격체와 연관된 복수의 말뭉치들 중 랜덤하게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 학습시킬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동일한 가상 인격을 부여받은 복수의 가상 인격체들 간의 차별화를 위하여 가상 인격을 부여한 이후 랜덤하게 선택된 말뭉치를 추가 학습시킬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가상 인격 프로필에 포함된 공개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들을 선별적 학습시켜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다. 공개 속성은 공개 또는 비공개에 해당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로부터 입력되는 말뭉치를 이용하여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고,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해당 가상 인격체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단독으로 입력되는 말뭉치만을 이용하여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특정 가상 인격체의 육성에 사용된 말뭉치들에게 각각의 고유코드를 할당하여 특정 가상 인격체와 연관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들을 모두 학습시킬 수도 있고,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선별된 말뭉치만을 선별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말뭉치 중에서 나쁜 말, 비속어 및 성적표현 등이 포함된 경우,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평가가 부정적인 경우, 특정 횟수를 초과하여 신고된 경우 등에 해당하는 말뭉치는 가상 인격체 학습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복수의 말뭉치들을 정제하여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격 형성 데이터를 선별적 학습시킴으로써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다. 인격 형성 데이터는 말뭉치를 정제하여 실제 학습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된 학습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의 가상 인격 형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말뭉치들을 일정한 형식을 가진 정형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말뭉치에서 의사 표현에 상관없는 기호, 문자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말뭉치의 길이가 긴 경우 복수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복수의 말뭉치들을 질의 또는 응답으로 분류하고 해당 질의와 응답을 연관 말뭉치로 정제하여 인격 형성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특정 기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들 중 해당 가상 인격체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110)과 연관된 말뭉치를 선별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가상 인격체의 학습은 해당 가상 인격체를 생성한 사용자가 단독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해당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말뭉치만을 가상 인격체 학습에 사용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대화 말뭉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고, 과거에 수신된 대화 말뭉치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110)과 연관된 말뭉치만을 선별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복수의 말뭉치들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 및 평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피드백을 수신하여 말뭉치에 대한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는 공개된 대화방에서 가상 인격체가 생성하는 말뭉치를 공유할 수 있고, 해당 말뭉치에 대한 정정을 원하는 사용자는 해당 말뭉치를 선택하여 정정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해당 말뭉치에 대한 정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해당 말뭉치를 정정 내용으로 정제하여 가상 인격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가상 인격체가 생성하는 말뭉치에 대해 특정 수 이상의 신고가 접수되거나 또는 특정 수 이상의 부정 평가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말뭉치를 학습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말뭉치에 대한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기초로 사용자들에게 가상 인격체의 실시간 인기 순위를 제공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성향에 매칭되는 가상 인격체를 친구로서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정정에 의해 변경된 말뭉치를 기초로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을 원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되는 대화방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 말뭉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정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정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해당 대화방 내에서 기존 말뭉치 대신 새롭게 정정된 말뭉치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정정된 말뭉치를 기초로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가상 인격체 육성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특정 말뭉치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특정 말뭉치를 인격 형성 데이터 생성에서 자동으로 배제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사용자들로부터 실시간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말뭉치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 평가를 피드백으로서 수신할 수 있으며, 특정 말뭉치에 대한 신고를 피드백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부정 평가가 특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말뭉치를 가상 인격체 학습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특정 횟수를 초과하는 신고가 접수된 경우 해당 말뭉치를 제거하여 사용자들 간에 공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와 연동하여 복수의 말뭉치들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함과 동시에 해당 가상 인격체의 육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된 가상 인격체와의 대화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말뭉치는 정제 후 해당 가상 인격체의 육성에 사용될 수 있고, 대화 도중 발생하는 각각의 말뭉치는 실시간으로 정제되어 가상 인격체의 육성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해당 가상 인격체의 육성 과정에서 선별적 학습에 사용되고 동일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말뭉치의 개수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다수의 말뭉치를 학습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공개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일 사용자에 의해 학습되는 말뭉치의 개수가 기준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개 시점을 기준으로 1일 동안은 동일 사용자에 의해 학습되는 말뭉치의 수를 100개로 제한할 수 있고, 이후 1주일 동안은 동일 사용자에 의해 학습되는 말뭉치의 수를 300개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후 1달 동안은 동일 사용자에 의해 학습되는 말뭉치의 수를 1000개로 제한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공개 속성을 기초로 가상 인격체 및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공유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 또는 육성된 가상 인격체를 공유할 수 있고, 해당 가상 인격체의 학습에 사용된 말뭉치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의 공유는 특정 메신저의 대화 친구를 등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QR(Quick Response)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배포하여 사용자가 특정 링크 페이지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가상 인격체 및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에 대한 호출 횟수를 기초로 가상 인격체 생성 또는 육성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가상 인격체 및 해당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가상 인격체 또는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호출한 횟수를 각각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각각의 호출 횟수에 비례하여 산출되는 보상을 해당 가상 인격체의 생성 또는 육성에 관여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가상 인격체의 생성 또는 육성에 관여한 비율을 산출하여 사용자별 보상 제공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가상 인격체 육성에 사용된 말뭉치의 고유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가상 인격체 육성에 관여한 사용자 단말(110)을 결정할 수 있고, 각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제공된 말뭉치 중에서 가상 인격체 육성에 사용된 말뭉치를 기초로 육성에 관여한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공유된 가상 인격체 및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에 관한 사용자 평가를 피드백으로서 수신하여 특정 말뭉치의 평가를 기초로 해당 말뭉치를 제공한 사용자의 성향을 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가상 인격체에 의해 생성된 말뭉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긍정 또는 부정의 평가를 수신할 수 있고, 각 말뭉치별 수집된 긍정 또는 부정 평가 횟수를 기초로 해당 말뭉치를 제공한 사용자의 성향을 지정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말뭉치를 많이 제공한 사용자일수록 긍정적인 성향으로 지정할 수 있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말뭉치를 많이 제공한 사용자일수록 부정적인 성향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10).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를 통해 가상 인격 프로필에 포함된 공개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들을 선별적 학습시켜 가상 인격체를 육성할 수 있다(단계 S330).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를 통해 공개 속성을 기초로 가상 인격체 및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가상 인격체 생성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인격체 생성을 위한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의 그림 (a)에서, 가상 인격 프로필은 생성하고자 하는 가상 인격체의 기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가상 인격 프로필로서 가상 인격체의 이름, 설명, 상태메시지, 성별, 성격 및 생년월일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생성하여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 중 하나로서 미리 정의된 복수의 성격들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해당 성격으로 사전 학습된 가상 인격을 가상 인격체에 부여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기본적인 정보를 가진 가상 인격 프로필을 기초로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가상 인격체는 학습이 전혀 진행되지 않아 인격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성격 정보를 기초로 기본적으로 형성된 가상 인격을 가상 인격체에 부여할 수 있다. 가상 인격은 해당 성격에서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말뭉치들을 학습하여 형성된 기본 성격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의 그림 (b)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를 통해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생성되어 공개된 가상 인격체를 검색하거나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스티브잡스, 세종대왕, 니체, 셜록, 밤 등은 내 친구 목록에 등록된 가상 인격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가상 인격체를 선택하여 해당 가상 인격체와의 일대일 대화 또는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단체 대화를 위한 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와 실제로 대화하듯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가상 인격체 공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인격체를 학습시킬 수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는 일대일 대화방을 통해 실제 상대방과 대화하는 방식으로 가상 인격체인 '셜록'과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림 (b)에서, 사용자는 특정 말뭉치를 선택하여 해당 말뭉치를 정정할 수 있고, 정정된 내용은 대화방 내의 대화 메시지에 즉시 적용될 수 있으며, 정정된 말뭉치에 기초하여 가상 인격체의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림 (c)에서,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고 공개 속성이 공개인 가상 인격체들 중에서 사용자들로부터 인기 있는 가상 인격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전체 사용자에게 인기 있는 가상 인격체 목록을 별점순, 조회순,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고, 성격별로 인기 있는 가상 인격체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의 전체 개념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생성 단계,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육성 단계 및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공유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7 내지 9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도 1에 있는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인격체 생성, 육성 및 공유의 각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를 통해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인격체에 관한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가상 인격 프로필을 기초로 가상 인격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성격 중 하나를 입력 받아 해당 성격으로 사전 학습된 가상 인격을 가상 인격체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상 인격체의 공개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의 공유에 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해당 가상 인격체의 소유자 외에 다른 사용자도 가상 인격체를 호출하여 사용하고 학습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반면,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해당 가상 인격체의 소유자 만이 사용하고 학습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를 통해 가상 인격체를 육성시킬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가상 인격체의 공개 속성에 따라 별도의 육성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공개 속성이 공개인 가상 인격체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해당 가상 인격체가 사용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말뭉치를 기초로 학습을 수행하여 가상 인격체를 육성시킬 수 있다.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각 가상 인격체 별로 관계 메타데이터, 개인 메타데이터, 고유 메타데이터, 기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 다양하게 육성되는 과정에서 메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권한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가상 인격체의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를 통해 제공되는 말뭉치를 기초로 학습하여 육성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인격체 육성부(230)는 가상 인격체를 개인 메타데이터와 기본 메타데이터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130)는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를 통해 가상 인격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가상 인격체에 관한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가상 인격체에 관한 추천과 말뭉치에 관한 학습 배제를 결정할 수 있다.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사용자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패널티(penalty)를 부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가상 인격체에 대하여 공개 속성을 공개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인격체 공유부(250)는 가상 인격체에 대한 공개 속성의 변경 뿐만 아니라 해당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들에 대해서도 공개 상태로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가상 인격체 생성부 230: 가상 인격체 육성부
250: 가상 인격체 공유부 270: 제어부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인격 프로필을 수신하여 가상 인격체를 생성하는 가상 인격체 생성부;
    상기 가상 인격 프로필에 포함된 공개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corpus)들을 선별적 학습시켜 상기 가상 인격체를 육성하는 가상 인격체 육성부; 및
    상기 공개 속성을 기초로 상기 가상 인격체 및 상기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를 공유하는 가상 인격체 공유부를 포함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 중 하나로서 미리 정의된 복수의 성격들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해당 성격으로 사전 학습된 가상 인격을 상기 가상 인격체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복수의 말뭉치들을 정제하여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격 형성 데이터를 선별적 학습시킴으로써 상기 가상 인격체를 육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공개 속성이 비공개인 경우 특정 기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말뭉치들 중 해당 가상 인격체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말뭉치를 선별하여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공개 속성이 공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말뭉치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 및 평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피드백을 수신하여 상기 정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말뭉치에 대한 정정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정에 의해 변경된 말뭉치를 기초로 상기 인격 형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육성부는
    상기 가상 인격체의 육성 과정에서 상기 선별적 학습에 사용되고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말뭉치의 개수를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인격체 공유부는
    상기 가상 인격체 및 상기 가상 인격체에 할당된 말뭉치에 대한 호출 횟수를 기초로 상기 가상 인격체 생성 또는 육성에 참여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KR1020180118734A 2018-10-05 2018-10-05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KR102113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34A KR102113005B1 (ko) 2018-10-05 2018-10-05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34A KR102113005B1 (ko) 2018-10-05 2018-10-05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168A true KR20200044168A (ko) 2020-04-29
KR102113005B1 KR102113005B1 (ko) 2020-05-20

Family

ID=7046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34A KR102113005B1 (ko) 2018-10-05 2018-10-05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66B1 (ko) * 2021-05-28 2022-10-26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가상 캐릭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342A (ko) 2022-11-03 2024-05-14 안성현 아바타, 챗봇, 대화 가능한 로봇 등에 적용할 다수의 인격체를 개발, 사용 및 모니터링 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304A (ko) 2001-09-13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장치
KR20090046121A (ko) 2007-11-05 2009-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동버튼장치
KR20140016785A (ko) * 2012-07-31 2014-02-10 진삼순 가상친구 대화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150107927A (ko) * 2014-03-13 2015-09-24 백기호 채터봇을 이용한 온라인 채팅 커뮤니티 운용방법
KR20170103586A (ko) * 2016-02-24 2017-09-1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답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304A (ko) 2001-09-13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장치
KR20090046121A (ko) 2007-11-05 2009-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동버튼장치
KR20140016785A (ko) * 2012-07-31 2014-02-10 진삼순 가상친구 대화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150107927A (ko) * 2014-03-13 2015-09-24 백기호 채터봇을 이용한 온라인 채팅 커뮤니티 운용방법
KR20170103586A (ko) * 2016-02-24 2017-09-1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답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66B1 (ko) * 2021-05-28 2022-10-26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가상 캐릭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005B1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334B1 (ko) 언어 모델을 사용한, 메시지들에서 수신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자동적인 제안 응답들
US11430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in a live conversation
CN104813311B (zh) 用于多人的虚拟代理推荐的系统和方法
Gentsch et al. Conversational AI: how (chat) bots will reshape the digital experience
Gudkova Interviewing in qualitative research
Loch et al. The microevolution of routines: How problem solving and social preferences interact
Kreutzer et al. Fields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customer service, marketing and sales
CN107909391A (zh) 多圈层朋友间传递社交信息和奖赏的商业模式
KR102113005B1 (ko)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Pennington Build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in the Digital Age: Using Social Penetration Theory to Explore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CN114896498A (zh) 课程推荐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Grossmann et al. Wise reasoning in an uncertain world
Gratch The promise and peril of automated negotiators
Liu et al. How journalism experience translates to social entrepreneurship: An intention formation study of the Art Yard at Dadaocheng in Taiwan
KR102059419B1 (ko) 챗봇 스토어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EP3834056A1 (en) Live bi-directional video/audio feed generation between a consumer and a service provider
JP2021192186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会合開催方法
Selvaraj et al. Allocating scarce medical resources: Using social usefulness as a criterion
CN111369275A (zh) 识别和描述群体方法、协调装置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Tan et al. The real digital househusbands of China: The alienable affects of China’s male ‘virtual lovers’
Henriksson Organising Intimacy: Exploring heterosexual singledoms at Swedish singles activities
Ireland Three explanations for the link between language style matching and liking
US20140317533A1 (en) Information technology tool for exchange of questions and responses
KR20150006931A (ko) 개인화된 페르소나 그룹을 통한 소셜 질의응답 시스템
Leonard Conversational AI: How (Chat) Bots Will Reshape the Digital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