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027A - desk - Google Patents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027A
KR20200044027A KR1020207007621A KR20207007621A KR20200044027A KR 20200044027 A KR20200044027 A KR 20200044027A KR 1020207007621 A KR1020207007621 A KR 1020207007621A KR 20207007621 A KR20207007621 A KR 20207007621A KR 20200044027 A KR20200044027 A KR 20200044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desk
vertical wall
plat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쿠 쿠마자와
Original Assignee
아이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59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208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59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208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2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701439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92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7014399B2/en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0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00Tabl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7/02Stackable tables; Nest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판과 가림판을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천판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에는, 천판 연결 접속부가 설치된다. 또한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가 설치된다. 천판과 가림판은, 연결 접속되어 있다.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천판 또는 가림판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having a top plate and a blanking plate.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in a top plate. In addition, a shield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plate or the blank plate.

Description

책상desk

[0001] 본 국제출원은, 2017년 8월 2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159380호, 및 일본 특허출원 제2017-159381호에 근거하는 우선권, 및, 2017년 10월 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192790호, 및, 일본 특허출원 제2017-192791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출원 제2017-159380호, 제2017-159381호, 제2017-192790호 및 제2017-192791호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0001] This international application ha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59380 filed with the Japanese Patent Office on August 22, 2017,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59381, and October 2, 2017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92790,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92791, filed with the Japanese Patent Office o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59380, 2017-159381, All the contents of Nos. 2017-192790 and 2017-192791 are incorporated in this international application by reference.

[0002] 본 개시(開示)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0002]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esk.

[0003]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천판(天板, top panel)과 가림판(幕板, modesty panel)을 구비한 책상이 있다. 또한 종래, 하물(荷物)을 유지하기 위한 후크 등의 유지부는,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천판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었다.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there is a desk equipped with a top plate (天 판, top panel) and a blanking plate (幕 板, modesty panel). In addition, conventionally, a holding portion, such as a hook for holding the article, was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below.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4-21308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213086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100748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2-100748

[0005]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책상, 특히 사람의 손에 의해 빈번히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책상은, 가능한 한 책상 전체의 중량이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천판 및 가림판을 얇게 성형하면 경량화가 가능하지만, 그와 같이 구성된 천판이나 가림판은 강도가 저하되어 변형되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Desks that are not fixed to the floor surface, especially desks that are likely to move frequently by the hand of a person, are preferably as light as possible over the entire desk. Althoug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by forming the top plate and the cover plate thi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p plate and the cover plat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deteriorated in strength and easily deformed.

[0006] 또한, 천판의 하방에 후크를 구비하는 책상에서는, 후크에 걸린 하물은 사용자의 발 밑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리를 두는 공간이 한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후크의 위치를 천판의 하방으로부터 밖으로 변경하면, 후크에 걸린 하물이 책상의 다리부 등에 닿기 어려워지므로, 하물이 정지(靜止)하기 어려워진다.In addition, in a desk having a hook under the top plate, since the baggage caught on the hook is located near the user's foo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pace for placing the user's leg is limited. However, if the position of the hook is changed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o the outside, it is difficult for the baggage caught on the hook to reach the desk leg or the like, and the baggage becomes difficult to stop.

[0007] 또한, 스택킹(stacking) 가능한 책상은, 스택킹의 피치(pitch)가 작을수록 다수의 책상을 안정적으로 쌓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택킹의 피치는, 천판의 두께뿐만 아니라, 천판의 하방에 배치되는 다양한 부재의 높이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이들 부재의 높이가 작을수록, 스택킹의 피치가 작아진다. 천판의 하방에 후크 등의 유지부를 구비할 경우, 유지부에 의해 스택킹의 피치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Also, a stackable desk is preferable because the smaller the pitch of the stacking, the more stable the stack can be stacked. The pitch of the stacking is determined not only by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but also by the height of various members arranged below the top plate. And, the smaller the height of these members, the smaller the pitch of the stacking. When a holding portion such as a hook is provided below the top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tch of the stacking is increased by the holding portion.

[0008] 본 개시의 하나의 국면은,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desk capable of suppressing deformation.

또한 본 개시의 다른 국면은, 걸린 하물의 안정적인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desk that enables stable holding of the jammed luggage.

[0009] 또한 본 개시의 다른 국면은, 스택킹의 피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desk that can suppress the pitch of the stacking is increased.

[0010] 본 개시의 제1 양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 책상이다. 이 책상은, 천판과 가림판을 구비한다. 상기 천판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에 설치되는 천판 연결 접속부(連接部)와, 상기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설치되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sk having the following features. This desk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and a blanking plat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plate or the blanking plate. .

[0011] 이러한 구성이면,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가 중복된 중복 부분이 강고해져,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If it is such a configuration, the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overlap is strengthened, and deformation is unlikely to occur.

또한, 상술한 책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천판 연결 접속부 및 상기 가림판 연결 접속부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을 제1 부로 하고, 상기 일방과는 다른 타방(他方)을 제2 부로 한다. 또한, 제1 부로부터 제2 부로 향하는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한다. 이때, 제1 부는, 상기 제1 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 측의 면이, 상기 제1 부가 설치된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에 인접하는 인접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 측의 면보다, 상기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영역에 위치한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desk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t least on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is regarded as a first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different from the one is defined as a second por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is set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portion may have a surface on the sid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portio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an adjacen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portion in the top plate or the cover plate provided with the first portion. It is located in a region opposite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rather than the side surface.

[0012] 이러한 구성이면,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 간의 중복 부분의 두께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책상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hickness of the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from becoming excessively larg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desk.

또한, 상술한 제1 부는, 상기 제2 부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의 이면 측(裏側)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표면 측(表側)에 배치되는 제2 부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portion may be disposed relatively on the back side of the top plate or the blanking plate, relative to the second portion. With such a structure, it can suppress that the thickness of the 2nd part arrange | positioned on the surface side becomes too thin.

[0013]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천판의 전방의 단부(端部)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세로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세로벽은,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고, 상기 천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전방 세로벽에 설치되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k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top plate is a fron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in front of the top plate and a bottom side from the left end of the top plate. It may have a left vertical wall extending from and a righ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top plate. Further, the front vertical wall has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an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vertical wall.

[0014] 이러한 구성이면, 천판의 주된 부분과 교차하는 전방 세로벽, 좌측 세로벽, 및 우측 세로벽에 의해 천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trength of the top plate can be improved by the front vertical wall,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that intersect the main portion of the top plate.

또한 이러한 책상에 있어서, 나아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천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하단에는, 상방을 향하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치의 내부를 통과해 상기 천판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such a desk, fur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top plate support portion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a notch facing upwar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p plate support par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It may be extended.

[0015] 이러한 책상이면, 천판과 천판 지지부의 일체감이나 서로에 관련됨에 따른 미관을 창출할 수 있어, 책상의 미관이 향상된다.If it is such a desk, it is possible to create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support or related to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desk.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메인 패널부(主板部)와, 상기 메인 패널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확대되는 서브 패널부(副板部)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서브 패널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k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blanking plate includes a main panel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b-panel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panel portion ( You may have a part. Moreover, the said blanking board connection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said sub-panel part.

[0016] 이러한 구성이면, 가림판의 주된 부분인 메인 패널부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서브 패널부에 의해 가림판의 강도가 향상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trength of the blanking plate is improved by the sub-panel portion extending in a crossing direction from the main panel portion which is the main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in the desk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 hook portion may be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0017]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recess)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책상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을 형성할 수가 있다. 예컨대 책상의 상면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오목하게 패인 부분을 펜 트레이(pen tray)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desk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 recess recessed in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 plate may be formed. If it is such a structure, a recessed part can be formed in a desk. For example, by forming a recessed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the recessed portion can be used as a pen tray.

[0018] 본 개시의 제2 양태는, 천판을 구비하는 책상이다. 상기 천판은, 상기 천판의 전방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세로벽을 갖고 있다. 상기 전방 세로벽은,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다.[0018]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sk provided with a top plate. The top plate includes: a fron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top plate, a lef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top plate, and a righ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top plate. Have The front vertical wall has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0019] 이러한 구성이면, 전방 세로벽, 좌측 세로벽, 및 우측 세로벽에 의해, 천판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천판의 변형이 억제된다. 나아가, 전방 세로벽이 가장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천판의 전방 부분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천판은 전후 방향보다 좌우가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한 비틀림을 일으키는 변형이 일어나기가 쉽다. 상기 책상은, 천판의 전방 부분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상술한 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좌측 세로벽과 우측 세로벽이 하방으로 지나치게 길게 연장되면 사용자에게 불편이 생기기 쉽지만, 전방 세로벽은 길게 연장되어도 사용자에 대한 영향이 적어 바람직하다.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top plate is improved by the front vertical wall,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deformation of the top plate is suppressed. Furthermore, since the front longitudinal wall is formed the longest, the streng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can be further increased. In general, because the top plate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ft and right tha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is easy to deform deformation that causes twist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In addition, if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are extended too long downward, it is easy to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but even if the front vertical wall is extended for a long tim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mall effect on the user.

[0020] 상술한 책상은, 추가로, 가림판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세로벽에 설치되는 천판 연결 접속부와, 상기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설치되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above-described desk may further include a blanking plate. In additio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vertical wall and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plate or the blanking plate.

[0021] 이러한 구성이면,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가 중복된 중복 부분이 강고해져,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If it is such a configuration, the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overlap is strengthened, and deformation is unlikely to occur.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책상은, 추가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천판 지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하단에는, 상방을 향하는 노치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천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치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천판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desk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op plate support that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In addition, a notch facing upwar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Fur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and extend out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0022] 이러한 책상이면, 천판과 천판 지지부의 일체감이나 서로에 관련됨에 따른 미관을 창출할 수 있어 책상의 미관이 향상된다. If it is such a desk, the aesthetics of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support can be created or the aesthetics associated with each other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desk.

본 개시의 제3 양태는, 굴곡 부재와 확장 부재를 구비하는 책상이다. 굴곡 부재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확대되는 수평부와, 대략 수직 방향으로 확대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확장 부재는,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연결 접속되며, 그 일방이 확대되는 면을 따라 확대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sk provided with a flexure member and an expansion member. The bending member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enlarg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portion that is enlarg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expansion member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nd is expanded along a surface on which one side is enlarged.

[0023] 이러한 책상이면, 교차하는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체로 된 굴곡 부재가 높은 강도를 갖기 때문에, 굴곡 부재나 그 주위의 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다. If it is such a desk, since the bent member in which the crossing horizontal and vertical parts are integrated has high strength,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bent member or its surroundings.

또한 상기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해당 책상의 천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해도 되며, 상기 확장 부재는 해당 책상의 가림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해당 책상의 가림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해도 되며, 상기 확장 부재는 해당 책상의 천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k, the horizontal portion may constitute at least a part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the expansion member may constitute at least a part of the cover plate of the desk. Further, the vertical portion may constitute at least a part of the cover plate of the desk, and the expansion member may constitute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0024] 이러한 구성이면, 천판과 가림판을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서로의 강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trength of each other can be increased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top plate and the blank plate.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천판과 가림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재와 상기 확장 부재의 경계 부분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Moreover, in the desk of the 2nd aspect of this indication mentioned above, when providing a top plate and a blanking plate, a hook part may be provided in the boundary part of the said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In addition, in the desk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 hook portion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member and the expansion member.

[0025]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천판과 가림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재와 상기 확장 부재 간의 경계 부분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k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wh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are provided, a concavely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In addition, in the desk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 concavely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bending member and the expansion member.

[0026] 본 개시의 제4 양태는, 천판과, 유지부와, 접촉면(當接面)을 구비하는 책상이다. 유지부는, 하물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물을 걸었을 때에 상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면인 하물 유지면을 갖는다. 접촉면은, 상기 하물 유지면에 걸린 하물이 상기 천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접촉한다. 상기 하물 유지면은, 상기 천판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천판의 측면의 일부이다.[0026]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sk having a top plate, a holding portion, and a contact surface. The hold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hang the baggage, and has a baggage holding surface which is a surface that receives a load from an upward direction when the baggage is hung. The contact surface comes into contact when the baggage caught on the baggage holding surface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ate is located. The bag holding surfac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op plate, and the contact surface i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0027] 이러한 책상이면, 하물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천판의 하방이 아닌 측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유지부에 하물이 걸렸을 때에, 하물의 일부, 예컨대 손잡이가 접촉면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로써, 하물의 요동이 제한되어 하물의 움직임을 조기에 정지시킬 수 있어, 하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If it is such a desk, the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luggage is located on the side, not below the top plate. Then, when the baggage is caught in the holding portion, a part of the baggage, such as a handle, is liable to contact the contact surface. Thereby, the fluctuation of the load is limited, and the movement of the load can be stopped early, so that the load can be stably maintained.

[0028] 상술한 책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천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천판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책상이면, 유지부와 천판 지지부를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부로서 개별적으로 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0028] The above-described desk may have a top plate support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hold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With such a desk, since the holding portion and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can be formed of the same membe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parts as the holding portion.

[0029] 또한 천판 지지부에 하물 유지면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천판 지지부는, 상기 천판의 무게중심(重心)을 통과해 높이 방향으로 확대되는 가상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천판을 2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을 때에, 그 양방의 부분을 지지해도 된다. 이러한 책상이면, 천판을 지지하는 강도가 높은 부재에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의 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bottom retaining surface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top plate by a virtual plane that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p plate. When separated by, you may support both parts. With such a desk, since th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on a member having high strength to support the top plate, the strength of the holding portion can be increased.

[0030] 또한 천판 지지부에 하물 유지면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에는, 상기 천판의 측면에 도달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천판 지지부 중, 상기 홈의 내부를 통과해 상기 천판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bottom retaining surface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a groove reaching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holding portion may include the top plate. It may be a part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groove and extends laterally to the top plate.

[0031] 이러한 책상이면,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If it is such a des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또한, 상술한 책상은, 상기 천판을 바닥면(床面)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유지하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esk may be provided with a leg portion having a length up and down, which holds the top plat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holding portion may be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0032] 이러한 책상이면, 다리부에 의해 유지부가 지지되기 때문에, 유지부에 하물이 걸렸을 때에 책상이 불안정해지기가 어렵다.If it is such a desk, since the hold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it is difficult for the desk to become unstable when a load is caught on the holding portion.

본 개시의 제5 양태는, 스택킹 가능하게 구성된 책상으로서, 천판과, 상기 천판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하부구조체와, 하물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구조체는, 복수의 상기 책상을 스택킹했을 때에,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책상의 상기 하부구조체의 하단이, 하측에 배치되는 책상의 천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구조체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상기 책상을 상기 천판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에 투영했을 때에는, 상기 유지부의 일부가 상기 천판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천판의 하방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구조체의 하단을 통과하는 상기 천판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과, 상기 천판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천판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나온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sk configured to be stackable, and includes a top plate, a substructur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top plate, and a holding portion configured to hang a load. The lower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he desks,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desk disposed on the upper side contacts the top plate of the desk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holding portion extends from the lower structure, and when the desk is projected onto a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a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top plate. 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under the top plate,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ubstructure.

[0033] 이러한 구성이면, 천판의 하방에 있어서는, 유지부가, 적어도 천판과 하부구조체의 하단 사이의 높이에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부에 의해 책상의 스택킹의 피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the holding portion is present at least at a height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ructure. For this reason, it can suppress that the pitch of the stacking of a desk increases by a holding part.

[0034] 상기 책상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여도 된다. 이러한 책상이면, 유지부와 하부구조체를 동일한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부로서 개별적으로 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In the desk, the holding part may be a part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substructure. With such a desk, since the holding portion and the substructure can be configured by the same membe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parts as the holding portion.

[0035] 이 경우, 상기 하부구조체는, 상기 천판의 무게중심을 통과해 높이 방향으로 확대되는 가상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천판을 2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을 때에, 그 양방의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부여도 된다. 이러한 책상이면, 천판을 지지하는 강도가 높은 부재에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의 강도가 높아진다.In this case, the substructure, when the top plate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a virtual plane that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p plate, when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both parts of the top plate You may include. In addition, the holding member may be part of the support member. With such a desk, since th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on a member having a high strength to support the top plate, the holding portion has a high strength.

[0036] 또한, 상술한 책상은, 상기 천판을 바닥면(床面)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유지하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esk is provided with a leg portion having a length up and down, which holds the top plat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holding portion may be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

이러한 책상이면, 다리부에 의해 유지부가 지지되기 때문에, 유지부에 하물이 걸렸을 때에 책상이 불안정해지기가 어렵다.With such a desk, since the hold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it is difficult for the desk to become unstable when a load is caught on the holding portion.

도 1은 실시형태의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책상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천판 및 가림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책상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책상이 스택킹 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그 주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가림판 연결 접속부 및 그 주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의 (A)가 도 3의 ⅨA-ⅨA 단면도이며, (B)가 도 3의 ⅨB-Ⅸ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유지부 주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ⅩⅡ-ⅩⅡ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의 ⅩⅢ-XⅢ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실시형태의 접촉면이 손잡이와 접촉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의 (B)는 종래의 후크가 손잡이와 접촉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A), (C), (E), (G)가, 변형예의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의 단면도이며, (B), (D), (F), (H)가, 변형예의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의 (A)가 변형예의 책상의 사시도이며, (B)가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의 우측면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변형예의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의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변형예의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변형예의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변형예의 책상의 접촉면이 손잡이와 접촉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의 (A)~(D)는, 변형예의 유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의 (A)~(D)는, 변형예의 유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의 (A) 및 (B)는, 변형예의 천판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in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of the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of the desk of the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plate and the blank plate of the embodiment.
5 is a plan view of the desk of the embodiment.
6 is a side view showing a desk in an embodiment in a stacked state.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art of an embodiment, and its peripheral part.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of the embodiment and its peripheral portion.
9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XA in FIG. 3, and (B) i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X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3.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around the holding portion of the embodiment.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ⅡⅡ-ⅡⅡ in FIG. 5.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XIII in FIG. 5.
14A is a view showing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of the embodiment contacts the handle, and FIG. 14B is a view showing a range in which the conventional hook contacts the handle.
(A), (C), (E), and (G) in Fig.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a cover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of a modified example, wherein (B), (D), (F), and (H) , It is a side view of a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art and a cover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art of a modified example.
Fig. 1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of a modified example, and (B) is an enlarged view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sid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of a modifica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of a modifica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of a modified exampl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of a modification.
21 is a view showing a rang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of the desk of the modified example contacts the handle.
22A to 22D are front views showing a holding portion of a modified example.
23 (A) to 23 (D) are front views showing a holding portion of a modified example.
24A and 24B are plan views showing a top plate support of a modified example.

[0039]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0039]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rawings.

[1. 실시형태][One. Embodiment]

[1-1. 전체 구성][1-1. Overall configuration]

본 실시형태의 책상(1)은, 도 1~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11)과, 가림판(13)과, 프레임(15)을 갖고 있다. 책상(1)은 사용자의 착석 위치가 상정되는 것으로서, 천판(11)의 후방이 착석 측이다. 또한 좌우의 방향은, 책상(1)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방향이다. 책상(1)은 좌우 방향에 관해서 대칭형이다.The desk 1 of this embodiment has the top plate 11, the cover plate 13, and the frame 15, as shown in FIGS. 1-3. The desk 1 assumes a seating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rear of the top plate 11 is the seating sid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directions based on the user of the desk 1. The desk 1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0040] 천판(11)은, 메인 패널(21)과, 전방 세로벽(23)과, 좌측 세로벽(25L)과, 우측 세로벽(25R)과, 후방 세로벽(26)을 구비한다. 천판(11)을 구성하는 다리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The top plate 11 includes a main panel 21, a front vertical wall 23, a left vertical wall 25L, a right vertical wall 25R, and a rear vertical wall 26. The leg part constituting the top plate 11 is integrally formed.

메인 패널(21)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또한 메인 패널(21)은 전후 좌우 방향, 바꾸어 말하면 수평 방향으로 확대된다. 전방 세로벽(23)은, 메인 패널(21)의 전방 부분에 설치되어, 메인 패널(21) 전방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전방 세로벽(23)은 수직 방향으로 확대된다. 좌측 세로벽(25L)은, 메인 패널(21)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우측 세로벽(25R)은, 메인 패널(21)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후방 세로벽(26)은, 메인 패널(21)의 후방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메인 패널(21)이 수평부의 일례이며, 전방 세로벽(23)이 수직부의 일례이다. 또한 천판(11)이 굴곡 부재의 일례이다.The main panel 21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addition, the main panel 21 is enlar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other wor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main panel 21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panel 21. That is, 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enla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 vertical wall 25L i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main panel 21. The right vertical wall 25R i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main panel 21. The rear vertical wall 26 i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panel 21. The main panel 21 is an exampl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an example of the vertical portion. In addition, the top plate 11 is an example of a bending member.

[0041] 이러한 천판(11)은, 하방이 개방된 상자형이다. 전방 세로벽(23)은, 좌측 세로벽(25L) 및 우측 세로벽(25R)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고, 보다 하방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다. 메인 패널(21)의 후단(後端)에 있어서의 일부의 범위는 하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후방 세로벽(26)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좌측 세로벽(25L) 및 우측 세로벽(25R)보다 짧다.[0041] Such a top plate 11 is a box-shaped open bottom. The front vertical wall 23 has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eft vertical wall 25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25R, and extends further downward. Since the range of a part of the rear end of the main panel 21 is inclined downward,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vertical wall 26 is shorter than the left vertical wall 25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25R. .

[0042] 전방 세로벽(23)은, 그 좌우의 하부에 설치된 좌측 하단부(23L) 및 우측 하단부(23R)에 있어서 가림판(13)과 연결 접속된다. 전방 세로벽(23)과 가림판(13)의 전방 측면의 단차는 작기 때문에, 천판(11)과 가림판(13)이 연속된 일체적인 인상을 준다. 또한 전방 세로벽(23) 하단의 중앙부와 가림판(13) 상단의 중앙부의 사이, 즉 천판(11)과 가림판(13)의 경계 부분에는, 손가락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걸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천판(11)과 가림판(13)의 연결 접속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connected to the blanking plate 13 in the lower left portion 23L and the lower right portion 23R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Since the steps between the front vertical wall 23 and the front side of the blanking plate 13 are small, the top plate 11 and the blanking plate 13 give a continuous unified impression. In addi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front vertical wall 23 and the central portion at the top of the blanking plate 13, that i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11 and the blanking plate 13, a hook portion 31 through which a finger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s formed. The details of the connectio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op plate 11 and the cover plate 13 will be described later.

[0043]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좌측 세로벽(25L) 및 우측 세로벽(25R)에는, 전후 방향에 관하여 중앙보다 약간 후방 부근의 위치에, 반원형의 상방을 향하는 노치(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27)는, 바꾸어 말하면, 천판(11)의 하측의 면에 형성된, 천판(11)의 측면에 도달하는 홈이다. 메인 패널(21)의 하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대략 직육면체인 돌조(突條)부(28)가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eft vertical wall 25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25R are formed with a notch 27 facing upward in a semicircular shape at a position slightly rearward than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done. In other words, this notch 27 is a groove reaching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1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11.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panel 21, a protrusion 28, which is a hollow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one on each side.

[0044] 다시 도 1~도 3으로 돌아와 설명한다. Return to Figure 1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again.

가림판(13)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부재로서, 책상(1)의 전방에 있어서 전방 세로벽(23)의 하단에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가림판(13)의 상단의 좌측 부분에 설치된 좌측 상단부(13L)가 좌측 하단부(23L)와 연결 접속되고, 가림판(13)의 우측 부분에 설치된 우측 상단부(13R)가 우측 하단부(23R)와 연결 접속된다. 가림판(13)이, 확장 부재의 일례이다.The obstruction plate 13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and is disposed to extend from the front side of the desk 1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vertical wall 23. Specifically, the upper left portion 13L installed on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13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portion 23L, and the upper right portion 13R installed on the right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13 is the lower right portion. It is connected to (23R). The cover plate 13 is an example of an expansion member.

[0045] 프레임(15)은, 좌우 양측에 다리부(41)를 갖는다. 다리부(41)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천판(11) 및 가림판(13)을 바닥면(床面)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한다. 다리부(41)는, 전방 다리(42), 후방 다리(43), 및 연결부(44)를 갖는다. 전방 다리(42)는, 다리부(41)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방 다리(43)는, 다리부(41)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부(44)는, 전방 다리(42)와 후방 다리(43)의 하단을 앞뒤로 연결한다.The frame 15 has leg portions 41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leg portion 41 has a length up and down, and holds the top plate 11 and the cover plate 13 at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The leg portion 41 has a front leg 42, a rear leg 43, and a connecting portion 44. The front leg 42 is positioned relatively forward among the leg portions 41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ar leg 43 is positioned relatively rear among the leg portions 41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44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front legs 42 and the rear legs 43 back and forth.

[0046] 또한 프레임(15)은, 천판(11)을 지지하는 하부구조체(50)를 구비한다. 하부구조체(50)는, 전방 막대(51), 천판 지지부(52),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전후 막대(53), 및 스택 가드(stack guard, 54)를 갖는다. 이들은, 천판(11)의 하측면을 따라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rame 15 is provided with a lower structure 50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1). The substructure 50 has a front rod 51, a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a pair of front and rear rods 53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stack guard 54. These are arrang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11.

[0047] 전방 막대(51)는, 좌우 양측의 전방 다리(42)의 상단들을 연결한다. 천판 지지부(52)는, 좌우 양측의 후방 다리(43)의 상단들을 연결한다. 전후 막대(53)는, 돌조부(28)를 좌우 및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되어, 앞뒤로 나란한 전방 막대(51)와 천판 지지부(52)를 연결한다. 스택 가드(54)는 전후 막대(53)의 하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스택 가드(54)는 하부구조체(50)의 하단에 위치한다.The front bar 51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ront legs 42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rear legs 43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The front and rear rods 53 are provided to cover the protrusions 28 from left and right and from the bottom, and connect the front rods 51 and the top plate supports 52 side-by-side. The stack guard 54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rear bar 53 and has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so, the stack guard 5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ucture 50.

[0048] 천판 지지부(52)는, 천판(11)의 무게중심을 통과하여 높이 방향으로 확대되는 가상적인 평면에 의해 천판(11)을 좌우의 2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을 때에, 그 좌우 양방의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천판 지지부(52)는, 천판(1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심을 경계로 한 일방(一方) 측 및 타방(他方) 측의 양방에 있어서, 천판(11)의 하중을 받는 부분을 갖고 있다. 천판 지지부(52)가,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Top plate support 52, when the top plate 11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left and right by a virtual plane that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p plate 11, 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both Support from below. In other words,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is a portion that receives the load of the top plate 11 on both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boundary in the top plate 11. Have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corresponds to a support member.

[0049] 또한, 전방 막대(51), 천판 지지부(52), 및 전후 막대(53)는, 메인 패널(21)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천판(11)을 지지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rod 51,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and the front and rear rods 53 directly or indirectly contact the main panel 21 from below, supporting the top plate 11. .

천판 지지부(52)는, 그 좌우 양단 부분보다 좌우 중앙 부분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또한 천판 지지부(52)는, 좌우 양방의 단부(端部)에 있어서, 노치(27)의 내부를 통과하여 천판(11)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천판(11)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이, 유지부(61)이다. 즉, 유지부(61)는 하부구조체(50)를 구성하는 부재인 천판 지지부(52)의 일부이며, 유지부(61)는 하부구조체(50)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유지부(61)는,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11)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다리(43)는, 유지부(61)에 있어서 천판 지지부(52)와 연결되어 있다.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is bent so that the left and right center portions are located behind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Moreover,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11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27 at the ends of both right and left sides. The part which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11 is the holding part 61. That is, the holding part 61 is a part of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which is a member constituting the lower structure 50, and the holding part 61 extends from the lower structure 50. As shown in FIG. 5,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61 is located outside the left-right direction than the top plate 11. As shown in FIG. The rear leg 43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in the holding portion 61.

[0050] 이 책상(1)은, 스택킹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복수의 책상(1)이 스택킹 된 상태에서는, 상측의 책상(1)이, 하측의 책상(1)보다 약간 전방으로 어긋나 배치된다. 하측에 배치되는 책상(1)의 천판(11)의 메인 패널(21)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에, 상측에 배치되는 책상(1)의 스택 가드(54)의 하단면이 접촉한다. 따라서, 상하로 포개진 2개의 책상(1)의 상하 방향의 높이의 차, 즉 스택킹의 피치는, 하나의 책상(1)에 있어서의 메인 패널(21)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으로부터 스택 가드(54)의 하단면까지의 높이이다.This desk 1 is configured to be stackable. As shown in FIG. 6,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desks 1 are stacked, the desk 1 on the upper side is slightly shifted from the desk 1 on the lower 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stack guard 54 of the desk 1 disposed on the upper sid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anel 11 of the top plate 11 of the desk 1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difference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desks 1 stacked up and down, that is, the pitch of the stacking, is a stack gu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panel 21 in one desk 1. It is the height to the bottom surface of 54.

[0051] [1-2. 천판과 가림판의 연결 구조][0051] [1-2. Connection structure of top plate and blank plate]

도 7~도 10을 이용해 천판(11)과 가림판(13)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op plate 11 and the cover plate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도 7은 천판(11)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좌측 하단부(23L) 및 그 주변을 도시한다. 우측 하단부(23R)는 좌측 하단부(23L)의 좌우를 반전(反轉)시킨 형상이다. 천판(11)의 전방 세로벽(23)에는, 천판 연결 접속부(71)가 설치되어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plate 11 seen from below. 7 shows the lower left portion 23L and its surroundings. The lower right portion 23R is a shape in whic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left portion 23L are reversed. A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is provided on the front vertical wall 23 of the top plate 11.

[0052] 천판 연결 접속부(71)는, 좌측 하단부(23L)의 하단에 있어서, 후방 측의 면(75)이 전방으로 오목한 부분이다. 바꾸어 말하면, 천판 연결 접속부(71)의 후방 측의 면(75)이, 천판(11)의 좌측 하단부(23L)에 있어서의 천판 연결 접속부(71)에 인접한 제1 인접부(81)에 있어서의 후방 측의 면보다, 전방 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is a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left portion 23L, where the rear side surface 75 is concave forward. In other words, the surface 75 on the rear sid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is in the first adjacent portion 81 adjacent to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71 in the lower left portion 23L of the top plate 11. It is located in the area on the front side, rather than on the back side.

[0053] 천판 연결 접속부(71)의 우단부(右端部)에는, 후방을 향해 길이를 갖는 내측 접촉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천판 연결 접속부(71)의 좌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길이를 갖는 외측 접촉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접촉부(83)의 후단에는, 외측 접촉부(83)보다 내측(우측)을 향해 돌출하는 후방 접촉부(84)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 inner contact portion 82 having a length toward the rear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 outer contact portion 83 having a length toward the rear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a rear contact portion 84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ide (right side) than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is provided.

[0054] 도 8은 가림판(13)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에서는 좌측 상단부(13L) 및 그 주변을 도시한다. 우측 상단부(13R)는 좌측 상단부(13L)의 좌우를 반전시킨 형상이다. 좌측 상단부(13L)의 상단에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가림판(13)의 상방 부분에 설치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ank plate 13 seen from above. In addition, FIG. 8 shows the upper left portion 13L and its surroundings. The upper right portion 13R is a shape inverted left and right of the upper left portion 13L.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left portion 13L, a blank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72 is provided. That is,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13.

[0055]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좌측 상단부(13L)의 상단에 있어서, 전방 측의 면(76)(도 9의 (A), 도 9의 (B) 참조)이 후방으로 오목한 부분이다. 바꾸어 말하면,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전방 측의 면(76)이, 가림판(13)의 좌측 상단부(13L)에 있어서의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에 인접한 제2 인접부(91)에 있어서의 전방 측의 면보다, 후방 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0055]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a portion in which the front side surface 76 (see FIG. 9 (A) and FIG. 9 (B)) is concave to the rear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left portion 13L. to be. In other words, the second adjacent portion 91 adjacent to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n the upper left portion 13L of the blanking plate 13 is the front side 76 of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portion 72. It is located in the region on the back side, rather than on the front side surface.

[0056]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우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길이를 갖는 내측 연장 돌출부(92)가 설치되어 있다.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좌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길이를 갖는 외측 연장 돌출부(93)가 설치되어 있다.At the right end of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an inner extension protrusion 92 having a length toward the rear is provided. An outer extension protrusion 93 having a length toward the rear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0057] 도 9의 (A), 도 9의 (B)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 연결 접속부(7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가림판(13)의 두께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상대적으로 가림판(13)의 이면 측(후방 측)에 배치된다. 천판 연결 접속부(71)가 제2 부의 일례이며,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제1 부의 일례이다. 또한, 전방이 소정 방향에 상당한다.9 (A), 9 (B) and 10, as shown i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lank plate 13, That is,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relatively disposed on the back side (rear side) of the blanking plate 13.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71 is an example of the second portion, and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72 is an example of the first portion. In addition, the fron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0058]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판 연결 접속부(71)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사이에는 작은 클리어런스(clearance)가 형성되어 있는데, 천판 연결 접속부(7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서로 접촉되어 있어도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mall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portion 72, and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72 are They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천판 연결 접속부(7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위보다 전후 방향에 관하여 오목한 형상이다. 이 때문에, 천판 연결 접속부(7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었을 때에, 천판 연결 접속부(71)의 전방 측의 표면과 제2 인접부(91)의 전방 측의 표면은, 단차가 거의 없는, 이른바 면 일치의 상태가 된다. 또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후방 측의 표면과 제1 인접부(81)의 후방 측의 표면의 단차도 거의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cover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are conca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rather than around. For this reason, whe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ind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front side surface of the second adjacent portion 91 Silver is a so-called coincidence state with few steps. In addition, there is almost no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and the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adjacent portion 81.

[0059] 또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외측 연장 돌출부(93)가, 천판 연결 접속부(71)와 후방 접촉부(84)에 의해, 앞뒤로 끼인다. 또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내측 접촉부(82)와 외측 접촉부(83)에 의해 좌우로부터 끼인다. 즉,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전방 세로벽(23)에 의해 전후 좌우로부터 끼인 상태가 된다. 또한, 좌측 상단부(13L)와 우측 상단부(13R), 및 좌측 하단부(23L)와 우측 하단부(23R)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우측 상단부(13R)의 외측 연장 돌출부(93)는, 우측 하단부(23R)의 외측 접촉부(83)에 의해 우측이 덮이는 동시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측 상단부(13L)의 외측 연장 돌출부(93)는, 좌측 하단부(23L)의 외측 접촉부(83)에 의해 좌측이 덮인다. 즉, 가림판(13)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가림판(13)에 설치되는 좌우 2개의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좌우로부터 외측 접촉부(83)에 의해 끼인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fitted back and forth by the outer extension protrusion 93 by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71 and the rear contact portion 84. In addition,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sandwiched from the left and right by the inner contact portion 82 and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That is,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sandwiched from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by the front vertical wall 23. In addition, the upper left portion 13L and the upper right portion 13R, and the lower left portion 23L and the lower right portion 23R are symmetrical shapes.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10, the outer extension protrusion 93 of the right upper end portion 13R is covered with the right side by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of the right lower end portion 23R, but is not shown. The outer extension protrusion 93 of the upper end portion 13L is covered with the left side by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of the left lower end portion 23L. That is, when viewed as a whole of the blanking plate 13, the two right and left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s 72 provided on the blanking plate 13 are sandwiched by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from the left and right.

[0060] [1-3. 유지부][1-3. Holding part]

도 11~도 14를 이용해 유지부(61)를 설명한다. 책상(1)을 천판(11)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에 투영했을 때에는, 유지부(61)는,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유지부(61)의 일부가 천판(11)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말하는 가상적인 면이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평면이다. 또한 후방 다리(43)는, 유지부(61)에 있어서 천판 지지부(52)와 연결되어 있다.The holding part 61 is demonstrated using FIGS. 11-14. When the desk 1 is projected on a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11, the holding portion 61 is a part of the holding portion 61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top plate 11,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on the outside. The virtual surface referred to herein is a plane that expa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left-right direction. Moreover, the rear leg 43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in the holding part 61.

[0061] 또한 유지부(61)의 주된 부분은, 좌우 방향에 관하여, 다리부(41)에 있어서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인 연결부(44)보다 책상(1)의 중앙 측에 위치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main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61 is located in the center side of the desk 1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ather than the connecting portion 44, which is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41.

유지부(61)의 상하 방향에 관한 배치에 대하여, 도 12를 이용해 설명한다. 천판(11)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으로서, 하부구조체(50)의 하단을 통과하는 면을, 하단면(271)으로 한다. 책상(1)에 있어서는, 하단면(271)은, 스택 가드(54)의 하단을 통과한다.The arrang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ding portion 6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s a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11, a surfac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ructure 50 is referred to as a lower surface 271. In the desk 1, the lower surface 271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tack guard 54.

[0062] 유지부(61)는 천판 지지부(5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천판 지지부(52)는, 유지부(61)의 부분도 포함하여 수평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 지지부(52)의 하단은 스택 가드(54)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부(61)는, 그 전체가, 하단면(271)보다 상방을 통과하여 천판(11)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다.[0062] The holding part 61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In other words,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is enlar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61. And, the bottom of the top plate support 52 is located above the bottom of the stack guard 54. Therefore, the whole of the holding part 61 extends beyond the lower surface 271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1.

[0063] 또한 유지부(61)는 천판(11)의 하측의 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노치(27)의 하방을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천판(11)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천판(11)의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 관해서 천판(11)의 바로 아래를 의미한다.In addition, since the holding portion 61 passes under the groove-shaped notch 2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11, it is located below the top plate 11. Here,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11 means immediately below the top plate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0064] 따라서, 유지부(61)는, 천판(11)의 하방에 있어서는, 하단면(271)과 천판(1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며, 좌우 방향에 관해서 천판(11)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다.Thus, the holding portion 61, under the top plate 11,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271 and the top plate 11,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1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Has come out.

또한 유지부(61)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물(荷物, 281)의 손잡이(283)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부(61)의 상측에 위치하는 면은, 하물(281)을 걸었을 때에 상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면인 하물 유지면(63)이다. 하물 유지면(63)은, 천판 지지부(52)에 설치되어 천판(11)의 측방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holding part 6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hang the handle 283 of the article (荷 物, 281),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portion 61 is the bag holding surface 63 which is a surface receiving a load from the upper direction when the bag 281 is hung. The bag holding surface 63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op plate 11.

[0065] 유지부(61)의 좌우 방향의 선단에는, 유지부(61)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상의 걸림고정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걸림고정부(65)는 상단이 하물 유지면(63)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물(281)이 천판(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물 유지면(63)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한다.At the leading end of the holding portion 6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locking portion 65 having a disk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holding portion 61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2, since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fastener 65 is higher than the load holding surface 63, the load 281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p plate 11 to move the load holding surface 63 ).

[0066] 하물 유지면(63)의 하방에, 유지부(61)와 후방 다리(43)의 연결 부분이 위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후방 다리(43)의 상단에, 유지부(6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61)는, 다리부(41)에 의해 지지된다.Below the load holding surface 63,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61 and the rear leg 43 is located. In other words, the holding part 6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43. Therefore, the holding part 61 is supported by the leg part 41.

[0067] 천판(11)의 측면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우측 세로벽(25R)에 있어서의 노치(27)의 주위 부분은,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물 유지면(63)에 걸린 하물(281)의 손잡이(283)가 천판(1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접촉하는 접촉면(29)이다.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11, specifically,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otch 27 in the right vertical wall 25R, as shown in FIG. 13, is a load caught on the bag holding surface 63 The handle 283 of 281 is the contact surface 29 that contacts when the top plate 1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located.

[0068] 도 14의 (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손잡이(283)가 접촉면(29)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 범위(201)는, 유지부(61)의 상방으로 한정하지 않고, 유지부(61)의 앞뒤도 포함한 넓은 범위이다. 이에 대하여, 도 14의 (B)에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후크(203)의 경우, 손잡이(283)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 범위(205)는 후크(203)에 있어서의 하물 유지면(207)의 상방의 표면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이다.As shown in (A) of FIG. 14, the contact range 201 through which the handle 283 can contact the contact surface 29 is not limi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61, and the holding portion It is a wide range including the front and back of (61).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hook 203 shown in Fig. 14B, the contact range 205 through which the handle 283 can contact is the bag holding surface 207 in the hook 203. Since it is limited to the upper surface of, it is a relatively narrow range.

[0069] 또한 유지부(61)의 주된 부분은,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관하여, 다리부(41)에 있어서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인 연결부(44)보다 책상(1)의 중앙 측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ain part of the holding portion 61, as shown in Fig. 5,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esk (1) than the connecting portion 44, which is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e leg portion 41 ).

[1-4. 효과][1-4. effect]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0070] (1a) 본 실시형태의 책상(1)에서는, 천판 연결 접속부(71)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전후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중복 부분에 있어서는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세로벽(23)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하중이 가해지면, 전방 세로벽(23)에 가해지는 하중을,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를 통해 가림판(13)에 의해 받을 수가 있다. 따라서, 책상(1)은,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천판 연결 접속부(71)의 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다.(1a) In the desk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72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this reason, deformation is unlikely to occur in the overlapping portion. Specifically, when a load from front to rear is applied to the front vertical wall 23, the load applied to 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received by the blanking plate 13 through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Can be. Therefore, the desk 1 can suppress deformation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when a load is applied.

[0071] (1b)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하여, 전방 세로벽(23)에 의해 끼인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와 천판 연결 접속부(71)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하중이 가해져 상대적으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천판 연결 접속부(71)에 접촉하고, 또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외측 연장 돌출부(93)가 후방 접촉부(84)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가 좌우의 어느 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좌우 중 어느 외측 연장 돌출부(93)가 외측 접촉부(83)에 접촉한다. 따라서, 천판 연결 접속부(71)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72) 간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워져, 어긋남에 기인하는 책상(1)의 미관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1b)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has a positional relationship sandwiched by the front vertical wall 23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position of the cover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and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71 is difficult to shift. Specifically, when a load is applied and the blind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tries to move forward, the blank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72 contacts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71, and further, the blank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72 ), The outer extension protrusion 93 contacts the rear contact portion 84 when it is about to move rearward. Likewise, when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to be moved to either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outer extension protrusions 93 contact the outer contact portion 83. Therefore, the shift betwee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less likely to occur, and a decrease in the aesthetics of the desk 1 due to the displacement can be suppressed.

[0072] (1c) 천판 연결 접속부(71)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에 대향하는 후방 측의 면(75)이, 제1 인접부(81)보다 전방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가림판 연결 접속부(72)는, 천판 연결 접속부(71)에 대향하는 전방 측의 면(76)이, 제2 인접부(91)보다 후방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천판 연결 접속부(71)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중복 부분이 두꺼워지는 것이 억제되어, 책상(1)의 미관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1c) I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the rear side surface 75 facing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portion 72 is located closer to the front than the first adjacent portion 81. In addition,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has a front side 76 facing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71 located closer to the rear than the second adjacent portion 91. For this reason, the thickening of the overlapping part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is suppressed,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desk 1 can be suppressed.

[0073] (1d) 유지부(61)는 노치(27)의 내부를 통과하여 천판(11)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기 때문에, 천판(11)과 유지부(61)의 일체감이나 상호의 관련성에 의한 미관을 창출할 수 있어, 책상(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1d) Since the retaining portion 6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27 and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11, a sense of unity or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op plate 11 and the holding portion 61 It is possible to create an aesthetic appearance by,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desk 1.

[0074] 또한, 유지부(61)는 노치(27)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천판(11)의 상단으로부터 유지부(61)의 하단까지의 거리가 작아진다. 이로써, 스택킹의 피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만일, 유지부(61)가 좌측 세로벽(25L) 또는 우측 세로벽(25R)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었을 경우, 스택 가드(54)의 하단면보다 유지부(61)의 하단이 낮아짐에 따라 스택킹의 피치가 커지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책상(1)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억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lding portion 6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27,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top plate 11 to the bottom of the holding portion 61 becomes small. Thereby, the pitch of stacking can be made small. If, when the holding portion 61 is installed to pass under the left vertical wall (25L) or the right vertical wall (25R), the stack as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portion 61 is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ck guard 54 Although the pitch of the king increases, such a problem can be suppressed in the desk 1 of the above embodiment.

[0075] (1e) 본 실시형태의 책상(1)에서는, 천판(11)이, 메인 패널(21)과 교차하는 전방 세로벽(23), 좌측 세로벽(25L), 및 우측 세로벽(25R)과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천판(11)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 때문에, 천판(11)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전방 세로벽(23)이 가장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판(11)의 전방 부분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이로써,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한 비틀림을 일으키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고도로 억제할 수가 있다.(1e) In the desk 1 of this embodiment, the top plate 11 crosses the main panel 21, the front vertical wall 23, the left vertical wall 25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25R ), The strength of the top plate 11 is improved. For this reason, deformation of the top plate 11 is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formed to be the longest, the streng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11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by, it is possible to more high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that causes twist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xample, the front-rear direction).

[0076] 또한, 전방 세로벽(23)이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나와 있어도, 전방 세로벽(23)은 착석하는 사용자로부터 멀기 때문에, 좌측 세로벽(25L)과 우측 세로벽(25R)이 하방으로 지나치게 길게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에 대한 영향이 적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front vertical wall 23 ext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ront vertical wall 23 is far from the seated user, so the left vertical wall 25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25R are downwar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less influence on the user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length is excessively long.

[0077] (1f) 본 실시형태의 책상(1)에서는, 유지부(61)의 하물 유지면(63)이 천판(11)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천판(11)의 측면의 일부가 하물이 접촉하는 접촉면(29)이다. 따라서, 유지부(61)에 하물(281)의 손잡이(283)가 걸렸을 때에, 그 손잡이(283)의 측면이 접촉면(29)에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로써, 하물(281)이 상하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바꾸어 말하면, 손잡이(283)를 비트는 것과 같은 움직임), 하물(281)이 유지부(61)를 축으로 하여 요동하는 방향의 움직임, 및, 하물(281)이 좌우로 흔들리는 움직임 등이 억제된다. 그 결과, 조기에 하물(281)의 움직임을 정지시켜 하물(281)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할 수가 있다.(1f) In the desk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g holding surface 63 of the holding portion 6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op plate 11, 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11 is also provided. It is the contact surface 29 which a baggage contacts. Therefore, when the handle 283 of the article 281 is caught by the holding portion 61,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283 easily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29 in a wide range. Thus, the movement of the object 281 is rotated around a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a movement such as twisting the handle 283),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281 swings with the holder 61 as an axis. Movement, and the movement in which the article 281 swings left and right are suppresse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article 281 can be stopped early, so that the article 281 is stably maintained.

[0078] 또한, 하물(281)이 요동할 때, 그 요동의 중심은, 손잡이(283)에 있어서의 유지부(61)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도 14의 (A), 도 14의 (B)에 있어서의 정상부(283a))이 되는데, 이 정상부(283a)는 요동 시의 움직임이 작다. 한편, 손잡이(283) 중 정상부(283a)로부터 떨어진 부분일수록, 하물(281)의 요동 시의 움직임이 크다. 따라서, 책상(1)에서는 정상부(283a)로부터 앞뒤로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손잡이(283)가 접촉면(29)에 접촉하기 때문에, 커다란 마찰력을 발생시켜 조기에 하물(281)의 요동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한편, 도 14의 (B)에 나타내는 종래의 후크(203)에서는, 손잡이(283) 중 요동 시에 크게 변위하는 부분에 있어서 접촉면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력이 생기기 어렵고, 하물(281)의 조기(早期) 정지가 어려워진다.In addition, when the article 281 swings, the center of the swing is a portion located above the holding portion 61 in the handle 283 (FIG. 14 (A), FIG. 14 ( It becomes the top part 283a in B), but this top part 283a has a small movement during swing. On the other hand, the portion of the handle 283 away from the top portion 283a, the larger the movement of the load 281 when it swings. Therefore, in the desk 1, since the handle 283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29 at a position away from the top portion 283a,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arge frictional force and stop the swing of the object 281 early.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hook 203 shown in Fig. 14 (B), since the portion of the handle 283 that is largely displaced when swinging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frictional force is unlikely to occur, and the load 281 is premature. (Iii) Stopping becomes difficult.

[0079] (1g) 유지부(61)는, 천판 지지부(5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61)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책상(1)의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천판 지지부(52)가 천판(11)을 넓게 좌우에 걸쳐 지지하기 때문에, 유지부(61) 자체의 강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1g) Since the holding portion 61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parts for constituting the holding portion 61,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sk 1 Can be. Moreover, since the top plate support part 52 supports the top plate 11 widely across left and right, the strength of the holding part 61 itself can be made high.

[0080] (1h) 유지부(61)는 노치(27)의 내부를 통과하여 천판(11)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기 때문에, 천판(11)과 유지부(61)의 일체감을 창출할 수 있어, 책상(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1h) Since the retaining portion 6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27 and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11, it is possible to create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top plate 11 and the holding portion 61 Thereby, the aesthetics of the desk 1 can be improved.

[0081] (1i) 유지부(61)는, 하물 유지면(63)의 하방으로부터 후방 다리(43)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물(61)에 걺으로써 가해지는 하중의 영향을 작게 하여, 책상(1)의 기욺 및 쓰러짐을 억제하고, 책상(1)을 안정적인 상태로 할 수가 있다.(1i) Since the holding portion 61 is supported by the rear leg 43 from below the load holding surface 63, the influence of the load applied by pulling on the load 61 is reduced, Suppression and collapse of the desk 1 can be suppressed, and the desk 1 can be made stable.

[0082] (1j) 유지부(61)는, 책상(1)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의 연결부(44)의 사이에 위치한다. 연결부(44)는 다리부(41)에 있어서의 바닥면(床面)과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유지부(61)에 하물(281)이 걸렸을 때, 그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는, 책상(1)이 바닥면과 접촉하는 좌우 단부 사이의 위치이다. 따라서, 하물(281)을 유지부(61)에 걸었을 때에, 그 하중에 의해 책상(1)이 기울거나 쓰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1j) The holding portion 61 is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ortions 44 when the desk 1 is viewed from abov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44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portion 41, when the load 281 is applied to the holding portion 61, the position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is a desk ( 1) This is the pos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when the baggage 281 is hung on the holding portion 6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sk 1 from being tilted or collapsed due to the load.

[0083] (1k) 본 실시형태의 책상(1)에서는, 상하 방향에 관해, 유지부(61)가 적어도 천판(11)과 하부구조체(50)의 하단(스택 가드(54)의 하단)을 나타내는 면인 하단면(271)의 사이에 위치한다.(1k) In the desk 1 of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ding portion 61 is at leas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1 and the lower structure 50 (bottom of the stack guard 54) It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271 which is the surface to be shown.

[0084] 이러한 책상(1)이면, 유지부(61)에 의해 책상(1)의 스택킹의 피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스택킹의 피치란, 복수의 책상(1)이 스택킹 된 상태에 있어서, 하측의 책상(1)과 상측의 책상(1)의 상하 방향의 높이의 차이다.If it is such a desk 1, it can be suppressed that the pitch of the stacking of the desk 1 by the holding portion 61 is increased. The reason is explained below. Note that the pitch of the stacking is a difference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esk 1 on the lower side and the desk 1 on the upper side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desks 1 are stacked.

[0085] 유지부(61)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책상(1)을 스택킹했을 때의 스택킹의 피치는, 메인 패널(21)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으로부터 스택 가드(54)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된다. 만일, 유지부(61)가, 적어도 유지부(61)의 일부가 하단면(271)보다 하방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스택킹의 피치에 유지부(61)가 영향을 주게 되어, 상술한 높이보다 스택킹의 피치가 커진다. 그러나 책상(1)은, 유지부(61) 전체가 하단면(271)보다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택킹의 피치에 유지부(61)가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When the holding part 61 is not considered, the pitch of the stacking when the desk 1 is stacked is from the upper surface in the main panel 21 to the lower end of the stack guard 54. It becomes the height of. If, when the holding portion 61 is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61 is below the lower surface 271, the holding portion 61 affects the pitch of the stacking. Stacking pitch is greater than one height. However, in the desk 1, since the entire holding portion 61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urface 27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holding portion 61 from affecting the stacking pitch.

[0086] [2. 그 밖의 실시형태][2. Other embodiments]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forms can be taken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0087] (2a)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천판 연결 접속부(7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형상은 일례이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2a) The shapes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72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의 책상(1)은, 걸이부(31)의 좌우 양방에, 천판 연결 접속부(7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72)의 조합이 2세트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컨대 책상이 걸이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상술한 조합이 1세트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조합이 3세트 이상이어도 된다.For example, in the desk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wo sets of combinations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 a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k portion 31. However, for example, the desk does not have a hook, and the above-described combination may be one set. Moreover, 3 or more sets may be sufficient as the above-mentioned combination.

[0088] 또한,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의 (A)~도 15의 (H)에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의 (A)는, 도 3의 X-X 단면과 동일한 위치의 단면도이다. 천판 연결 접속부(71a)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72a)가 앞뒤로 나란하기 전(즉, 천판과 가림판을 조립하기 전)의 상태의 측면도를 도 15의 (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천판 연결 접속부(71a)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72a)의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가림판 연결 접속부(72a)를 좌우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는다.In addition, the specific shap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15 (A) to 15 (H) show examples of specific shapes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ver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15A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same position as the X-X cross-section in FIG. 3. Fig. 15 (B)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a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a are arranged side by side (ie, before assembling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portion 72a,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portion 72a is inserted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0089] 이하의 도 15의 (C), 도 15의 (E), 도 15의 (G)는, 도 15의 (A)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의 (D), 도 15의 (F), 도 15의 (H)는, 도 15의 (B)와 마찬가지로,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가 앞뒤로 나란하기 전 상태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15 (C), 15 (E), and 15 (G) are sectional views at the same position as in FIG. 15 (A). 15 (D), 15 (F), and 15 (H), like FIG. 15 (B), schematic side views of the state befor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re aligned back and forth. to be.

[0090] 도 15의 (C), 도 15의 (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72b)가 앞뒤로부터 천판 연결 접속부(71b)에 끼워진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5C and 15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b is fitted to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71b from the front and rear.

도 15의 (E), 도 15의 (F)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천판 연결 접속부(71c)가, 앞뒤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부터도 가림판 연결 접속부(72c)를 끼운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5E and 15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c fits the cover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c not only from the front and rear but also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0091] 도 15의 (G), 도 15의 (H)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천판 연결 접속부(71d)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72d)가 엇갈려 배치된다.15 (G) and 15 (H),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1d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72d ar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어느 것이 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 및 도 15의 (A)~도 15의 (H)에서 나타낸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front. That i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FIGS. 15A to 15H may be reversed.

[0092] 또한,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을 제1 부, 타방(他方)을 제2 부로 하고, 제1 부로부터 제2 부로 향하는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1 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 측의 면이, 상기 제1 부가 설치된 천판 또는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에 인접하는 인접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 측의 면보다, 상기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부는, 상기 제2 부보다, 상대적으로 천판 또는 가림판의 이면 측(裏側)에 배치되는 부분이어도 된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and the blind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is the first portion, the other is the second por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is set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surfac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portion is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han the surfac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an adjacen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portion in a top plate or a cover plate provided with the first portion.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located in a reg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Moreover, the said 1st part may be a part arrange | positioned relatively to the back surface side of a top plate or a cover plate rather than the said 2nd part.

[0093] 또한, 책상이 천판 연결 접속부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desk need not have a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and a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2b)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천판(11)의 전방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세로벽(23)과, 가림판(13)이 연결 접속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천판(11)과 가림판(13)이 연결 접속되는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6의 (A)~도 16의 (B)에 나타내어지는 책상(101)과 같이, 가림판(113)이,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메인 패널부(121)와, 메인 패널부(12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확대되는 서브 패널부(122)를 갖고 있으며, 가림판 연결 접속부(132)가, 서브 패널부(122)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때, 천판(111)의 전방에는 전방 세로벽(23)에 대응하는 부분은 없고, 천판의 전단(前端)에 천판 연결 접속부(131)가 설치된다. 천판 연결 접속부(131) 및 가림판 연결 접속부(132)는, 모두 좌우로 확대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천판 연결 접속부(131)가 가림판 연결 접속부(132)의 표면 측(表側)(상측)이 되도록 겹쳐 배치된다.(2b)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onfiguration is illustrated in which the front vertical wall 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top plate 11 and the blanking plate 13 are connected and connected. However, the position where the top plate 11 and the blanking plate 13 are connected and connect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like the desk 101 shown in FIGS. 16A to 16B, the blanking plate 113 has a main panel portion 121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main panel portion ( It has a sub-panel portion 122 tha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121 toward the rear,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2 may be provided on the sub-panel portion 122.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vertical wall 23 in front of the top plate 111, an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1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top plat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1 and the blind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2 are both plate-like members that are enlarged from side to side, an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1 is the surface side of the cover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132 (upper side). It is placed so as to overlap.

[0094] 천판 연결 접속부(131)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132)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6의 (A)~도 16의 (B)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들이 상하 방향, 즉, 천판(111)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양한 형태로 해도 된다. 예컨대, 천판 연결 접속부(131)가 가림판 연결 접속부(132)의 이면 측(裏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2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16A to 16B. For example, they may be in various form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plate 111. For example,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1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2.

[0095] 책상(101)의 천판 연결 접속부(131)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132)의 경계 부분에는, 하방으로 패인 오목부(141)가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41)는, 펜 트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책상(101)에 있어서, 가림판(113)이 굴곡 부재의 일례이며, 천판(111)이 확장 부재의 일례이다. 오목하게 패인 부분의 일례인 오목부(141)는, 천판(111) 좌우 방향의 양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분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At the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1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132 of the desk 101, the recessed portion 141 recessed downward is formed to be enlar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cave portion 141 can be used as a pen tray. In this desk 101, the blanking plate 113 is an example of a bending member, and the top plate 111 is an example of an expanding member. The concave portion 141, which is an example of the concave portion, extends to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top plate 111, but may be disposed only in a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0096] 또한, 천판과 가림판은, 책상의 전방 상단의 모서리 부분에 있어서 연결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may be connected and connect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front top of the desk.

(2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이부(31)는 관통구멍이 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걸이부는,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패인 오목부여도 된다. 그 경우, 오목부의 내부 등에서 천판과 가림판이 연결 접속되게 되는데, 그 부분에는 천판 연결 접속부와 가림판 연결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2c)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ok portion 31 serves as a through hole is illustrated, but if the hook portion is configured to insert a hand or a finger, it may be a recess recessed from front to rear. In this case,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are connected and connected in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may or may not be formed in the portion.

[0097]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이부(31)로서, 전방 세로벽(23)의 하단(下端) 부분에 형성된 상측을 향하는 노치와, 가림판(13)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하측을 향하는 노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걸이부는, 전방 세로벽(23) 및 가림판(13) 중의 어느 일방(一方)에만 형성된 노치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s the hook portion 31, the notch toward the upper sid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vertical wall 23 and the notch toward the lower sid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13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exemplified. However, the hook portion may be formed by a notch portion formed only in one of the front vertical wall 23 and the blanking plate 13.

[0098] (2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부의 일례인 메인 패널(21)이 수평 방향으로 확대되고, 수직부의 일례인 전방 세로벽(23)이 수직 방향으로 확대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메인 패널(21)이 확대되는 방향은 엄밀하게 수평 방향일 필요는 없으며, 책상(101)의 천판으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에서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를 가진 대략 수평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전방 세로벽(23)도 마찬가지로, 확대되는 방향이 엄밀하게 수직 방향이 아니어도 되며, 가림판(13)과 연결 접속되어 일체감을 갖는 범위에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경사를 가진 대략 수직 방향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가림판(13)은 가림판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어도 된다.(2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in panel 21, which is an example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enlar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ront vertical wall 23, which is an example of the vertical portion, is illus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panel 21 is enlarged does not need to be stric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with an inclination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range that can be used as a top plate of the desk 101. In addition, the front vertical wall 23 may also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enlarged direction is not strictly a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having an inclination from a vertical direction in a range that is connected to the blanking plate 13 and has a sense of unity. In this case, the blanking plate 13 may be inclin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in a range capable of exerting a function as a blanking plate.

[0099] 또한, 수평부는, 적어도 천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천판의 전부가 수평부여도 되고, 천판의 일부가 수평부여도 된다. 또한, 수직부는, 적어도 가림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림판의 전부가 수직부여도 되고, 가림판의 일부가 수직부여도 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may constitute at least a part of the top plate. In other words, the entire top plate may be horizontal, or a part of the top plate may be horizontal. Further, the vertical portion may constitute at least a part of the blanking plate. In other words, all of the blanking plate may be vertical, or a part of the blanking plate may be vertical.

[0100] (2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굴곡 부재에 해당하는 천판(11)과 확장 부재에 해당하는 가림판(13)이 연결 접속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또한, 도 16의(A)~도 16의 (B)에 있어서는 가림판(113)이 굴곡 부재에 해당하고, 천판(111)이 확장 부재에 해당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책상(151)과 같이, 굴곡 부재(152)가, 천판(153) 및 가림판(154)과 연결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굴곡 부재(152)는, 일체로 구성된 수평부(155)와 수직부(156)를 구비하는 부재이다.(2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onfiguration is illustrated in which the top plate 11 corresponding to the bent member and the blanking plate 13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member are connected and connected. In addition, in Figs. 16A to 16B,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ver plate 113 corresponds to the bending member and the top plate 111 corresponds to the expansion member is illustrated. However, like the desk 151 shown in FIG. 17, the bending member 152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top plate 153 and the cover plate 154. The bending member 152 is a member having a horizontal portion 155 and a vertical portion 156 formed integrally.

[0101] (2f)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천판(11)과 가림판(13)이 다른 부재인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18에 나타내는 책상(161)과 같이, 천판과 가림판이, 천판부(162)와 가림판부(163)를 갖는 1개의 복합부(164)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책상(161)은, 책상(1)과 마찬가지로, 천판부(162)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세로벽(165) 외에, 좌측 세로벽 및 후방 세로벽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복합부(164)는 하방이 개방된 상자형이다.(2f)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op plate 11 and the blank plate 13 are different members is illustrated, as in the desk 161 shown in FIG. 18, the top plate and the blank plate, the top plate portion 162 ) And one composite portion 164 having a covering plate portion 163. The desk 161 has a left vertical wall and a rear vertical wall, in addition to the right vertical wall 16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top plate portion 162, like the desk 1. That is, the composite portion 164 is a box-shaped open bottom.

[0102] (2g)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굴곡된 원기둥 형상인 천판 지지부(52)의 일부가 유지부(61)로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유지부는, 하물 유지면이 천판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천판의 측면의 일부가, 상술한 접촉면으로서 기능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된 다양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하부구조체로부터 천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또한, 천판의 하방에 있어서는 하부구조체의 하단면과 천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천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2g)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having a curved cylindrical shape is formed as the holding portion 61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the holding portion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in which the article holding surfac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op plate, 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is dispos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functioning as the contact surfac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may extend from the lower structure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and may also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that extend below the top plat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ucture and the top plate under the top plate. .

[0103] 예컨대, 유지부는 원기둥형일 필요는 없고, 단면(斷面)이 직사각형이어도 되며, 판 형상 부재나 선 형상 부재를 묶거나 접어 구부리거나 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0103] For example, the holding portion need not be cylindrical, and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may be formed by bundling or folding a plate-like member or a linear member.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어지는 책상(190)과 같이, 유지부(191)는 천판(192)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지부(191)의 하물 유지면(193)은, 천판(192)의 메인 패널(194)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like the desk 190 shown in FIGS. 19 and 20, the holding portion 19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plate 192. The article holding surface 193 of the holding portion 191 is formed to be flush with the main panel 194 of the top plate 192.

[0104] 책상(190)의 프레임은 도 1의 프레임(15)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9 및 도 20의 예에 있어서, 책상(1)의 유지부(61)와 마찬가지의 형상인 연장돌출부(195)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유지부(191)는 하방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상자형이며, 그 내부에 연장돌출부(195)가 배치된다. 따라서, 이 책상(190)이라면, 연장돌출부(195)가 유지부(191)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아 유지부(191)를 지지함으로써, 유지부(191)가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유지부(191)의 선단에는 상방향을 향하는 돌기(196)가 형성되어 있다.Since the frame of the desk 190 i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frame 15 of FIG.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escription is omitted.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FIG. 19 and FIG. 20, the extension protrusion 195 of the shape similar to the holding part 61 of the desk 1 may be provided. The holding part 191 is a box-shap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n extended protrusion 195 is disposed therein. Therefore, if the desk 190, the extension protrusion 195 receives the load applied to the holding portion 191 to support the holding portion 19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holding portion 191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have. A protrusion 196 facing upward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olding unit 191.

[0105]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물의 손잡이(283)가 천판(192)의 측면(197)과 접촉할 수 있는 범위인 접촉 범위(198)는, 유지부(191)의 앞뒤로 2개로 나누어진다. 즉, 측면(197)에 있어서의 유지부(191)의 주위 부분이 접촉면으로서 기능한다.As shown in FIG. 21, the contact range 198, which is a range in which the handle 283 of the load can contact the side surface 197 of the top plate 192, is moved back and forth to two of the holding parts 191. Is divided. That i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191 in the side surface 197 functions as a contact surface.

[0106] 이 책상(190)이라면, 접촉 범위(198)가 앞뒤 2곳으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283)가 접촉 범위(198)와 접촉하기 쉬워진다. 또한, 하물이 요동하는 경우에는, 손잡이(283)에 있어서의 유지부(191)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여기에서 앞뒤로 떨어진 부분이 크게 변위하기 때문에, 접촉면과 접촉했을 때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접촉 범위(198)가 앞뒤 2 곳의 2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조기에 하물을 정지시켜 하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할 수가 있다.If this is the desk 190, since the contact range 198 is divided into two places, front and rear, the handle 283 becomes easy to contact with the contact range 198. In addition, when the baggage fluctuates, a portion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holding portion 191 of the handle 283 is farther away from the handle portion, so that frictional force tends to occur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 Therefore, since the contact range 198 is formed in two parts at two places in the front and back, the baggage can be stopped early so that the baggage can be kept stable.

[0107] 또한, 유지부(191)는 하방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상자형인 예를 나타내었으나, 유지부(191)는, 유지부 본체로서의 연장돌출부(195)와, 유지부를 덮는 커버(195a)의 조합이어도 된다. 책상(190)에 있어서, 커버(195a)는, 천판(192)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95a)는 하방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상자형이며, 그 내부에 유지부인 연장돌출부(195)가 배치된다.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191 shows an example of a box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the bottom open, but the holding portion 191 includes an extension protrusion 195 as a holding body and a cover 195a covering the holding portion. It may be a combination. In the desk 190, the cover 195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plate 192. In addition, the cover 195a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and an extended protrusion 195 as a holding portion is disposed therein.

[0108] 유지부를 덮는 커버는, 물론, 천판이 일부가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커버는 유지부에 대해서만 고정되는 부재여도 된다. 또한, 커버 이외의 기능을 갖는 부재가 유지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0108] Of course, the cover covering the holding portion may not be part of the top plate. For example, the cover may be a member fixed only to the holding portion. Further, a member having a function other than the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holding portion.

[0109] 또한, 상술한 커버(195a)와 같은 유지부에 부착되는 부재가, 천판의 하방에서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지부와 마찬가지로, 하부구조체의 하단을 통과하는 천판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과, 천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천판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어도 된다.In addition, when a member attached to the holding portion, such as the above-described cover 195a, is also present below the top plate, like the holding portion, the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ructure, , It may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s and extend out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0110] 또한, 도 22의 (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유지부(301)는 천판(302)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지부(301)를, 하물 유지면(303)이 천판(302)의 측면(304)의 상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면, 측면(304)이 상술한 접촉면이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A, the holding portion 30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plate 302. When the holding portion 301 is formed so that the article holding surface 303 is position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ranges of the side surface 304 of the top plate 302, the side surface 304 becomes the above-mentioned contact surface.

[0111] 또한 도 22의 (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유지부(311)는 천판(312)과도 천판 지지부와도 별개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유지부(311)의 하물 유지면(313)이 천판(312)의 측면(314)의 상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314)이 접촉면으로서 기능한다. 유지부(311)는, 천판(312)에 부착되어 있어도 되고, 프레임(315)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B, the hold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of a separate member from the top plate 312 and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Even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314 functions as a contact surface by forming the bag holding surface 313 of the holding portion 311 to be position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ranges of the side surface 314 of the top plate 312. The holding part 311 may be attached to the top plate 312 or may be attached to the frame 315.

[0112] 또한, 도 22의 (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유지부(321)는 천판(322)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유지부(321)를, 하물 유지면(323)이 천판(322)의 측면(324)의 상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324)이 접촉면으로서 기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C, the holding portion 32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plate 322. Also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324 functions as a contact surface by forming the holding part 321 so that the article holding surface 323 is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ranges of the side surface 324 of the top plate 322.

[0113] 또한, 유지부는, 하부구조체(50)를 구성하는 요소 중, 천판 지지부(52) 이외의 다른 요소의 일부여도 된다. 예컨대 유지부는 전방 막대(51)나 전후 막대(53)의 일부여도 된다. 또한, 예컨대 수지 부품인 스택 가드(54)의 두께가 실시형태보다 큰 경우 등에는, 유지부는 스택 가드(54)의 일부여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일부란, 유지부가, 하부구조체를 구성하는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들 요소에 대해서 탈부착 가능한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may be a part of elements other tha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ubstructure 50. For example, the holding portion may be a part of the front rod 51 or the front and rear rods 53.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stack guard 54 as a resin component is larger than th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may be a part of the stack guard 54. In addition, a part here means that the holding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ubstructure, and those that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se elements are not included.

[0114] 또한, 도 23의 (A)에 나타내어지는 유지부(401)와 같이, 하부구조체(403)의 하단면(404)과, 유지부(401)의 하단이 동일 면 위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유지부(401)이면, 스택킹을 실시했을 때에 유지부(401)가 스택킹의 피치를 넓히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s in the holding portion 401 shown in FIG. 23A, the lower surface 404 of the lower structure 40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401 may exist on the same surface. . With such a holding portion 40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holding portion 401 from widening the pitch of the stacking when stacking is performed.

[0115] 또한, 도 23의 (B)에 나타내어지는 유지부(411)와 같이, 하부구조체(413)와는 별개의 부재가, 하부구조체(413)에 설치되어, 하부구조체(413)로부터 천판(412)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와 있어도 된다. 또한 유지부(411)는, 하부구조체(413)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a member separate from the substructure 413, such as the holding portion 411 shown in FIG. 23 (B), is installed in the substructure 413, and the top plate from the substructure 413 ( 412). 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411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tructure 413.

[0116] 또한, 도 23의 (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구조체(423)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유지부(421)가 천판(422)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3C, the holding portion 421 extending from the lower structure 42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plate 422.

또한, 책상은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desk need not be provided with a holding portion.

[0117] (2h)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천판 지지부(52)는, 좌우 방향에 관해서, 천판(11)의 무게중심(重心)을 통과해 높이 방향으로 확대되는 가상적인 평면에 의해 천판(11)을 2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을 때에, 그 좌우 양방의 부분을 지지하는 부재인 구성을 예시하였다.(2h)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is a top plate 11 by a virtual plane that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p plate 11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structure that is a member supporting both the left and right parts is illustrated.

[0118] 그러나, 유지부는, 좌우 이외의 방향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천판을 구분했을 때에 그 양방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컨대, 도 24의 (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유지부(531)는, 전후 방향에 관해서 천판(532)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양방을 지지하는 천판 지지부(533)(하부구조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4의 (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유지부(541a~541d)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의 어느 쪽에 있어서, 그 방향에 관한 천판(542)의 양방측을 지지하는 천판 지지부(543a~543d)(하부구조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However, the hold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a supporting member that supports both sides when the top plates are divided as described above for directions other than left and righ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4 (A), the holding portion 531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33 (lower structure) supporting both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top plate 532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It may 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B, the holding portions 541a to 541d have a top plate support portion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top plate 542 in eith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543a to 543d) (substructure).

[0119] 물론, 유지부는, 천판을 지지하는 천판 지지부(하부구조체) 이외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독립된 부재여도 된다.Of course, the hold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lower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or may be an independent member.

(2i)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물 유지면(63)의 하방에 있어서 유지부(61)와 후방 다리(43)가 연결되고, 유지부(61)가 후방 다리(43)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유지부(61)는 다리부(41)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2i)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part 61 and the rear leg 43 are connected below the load holding surface 63 and the holding part 61 is supported by the rear leg 43 is provided. It was illustrated. However, the holding portion 61 need not be held by the leg portion 41.

[0120] 또한, 예컨대 도 22의 (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302)의 일부인 유지부(301)가 하방으로부터 다리부(305)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22의 (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322)으로부터 독립된 유지부(321)가 다리부(325)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A),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301, which is a part of the top plate 302,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305 from below.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C, the holding portion 321 independent from the top plate 322 may be directly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325.

[0121] (2j) 책상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천판은, 두께가 있는 판 형상의 부재여도 된다. 그 경우는, 천판의 측면을 그대로 접촉면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그와 같이 구성했을 때, 천판의 하측면에 천판 지지부(하부구조체)가 통과하는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천판의 하면에 넓게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22의 (D)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352)의 측면(354) 근방에 있어서만 홈(35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홈(356)을 통과해 유지부(351)가 천판(352)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2j) The configuration of the desk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the top plate may be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thickness. In that case,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can be used as it is as a contact surfac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when forming a groove through which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substructure) passe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 groove may be formed w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as shown in Fig. 22D.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356 may be formed only near the side surface 354 of the top plate 352. In this case, it can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 356 so that the holding portion 351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352.

[0122] 또한, 천판 지지부(52)는, 주된 부분이 넓게 천판(11)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천판 지지부는 대부분에 있어서 천판의 하측면을 따르는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천판 지지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천판의 하중을 받는 부분이, 천판의 하측면을 따르고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컨대 도 22의 (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천판 지지부(326)가 중간 부재(327)를 통해 간접적으로 천판(322)을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portion is formed along the bottom side of the top plate 11 widely, but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may not have a shape that follows the bottom side of the top plate in most cases. At least the portion under the load of the top plate in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may have various shapes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C, for example,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326 may indirectly support the top plate 322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327.

[0123] 또한, 프레임은, 파이프를 굴곡 및 용접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원목(無垢材)에 의해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천판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양태로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not be formed by bending and welding a pipe. For example, the frame may be formed of solid wood. It can be made into various aspects that can support the top plate.

[0124] 또한, 하부구조체(50)를 구성하기 전방 막대(51), 천판 지지부(52), 전후 막대(53), 및 스택 가드(54)는, 주된 부분이 천판(11)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하부구조체는, 그 대부분에 있어서 천판의 하측면을 따르고 있는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하부구조체에 있어서의 적어도 천판의 하중을 받는 부분이, 천판의 하측면을 따르고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컨대 도 23의 (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구조체(423)가 중간 부재(427)를 통해 간접적으로 천판(422)을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front rod 51,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the front and rear rods 53, and the stack guard 54 constituting the lower structure 50, the main part of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11 The configuration formed according to this was illustrated. However, the lower structure may not have a shape that follows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in most cases. At least the portion under the load of the top plate in the substructure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long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Further, as shown in FIG. 23C, for example, the lower structure 423 may indirectly support the top plate 422 through the intermediate member 427.

[0125] (2k) 하부구조체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천판의 하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천판을 지지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컨대, 하부구조체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전방 막대(51), 천판 지지부(52), 및 전후 막대(53)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하부구조체는, 천판을 지지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다양한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2k) The sub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t may be arrang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to have various configurations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For example, the lower structure does not need to be composed of a front rod 51, a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and a front-rear rod 53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ubstructure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members of various shapes that support the top plate.

[0126]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천판 지지부(52)는, 좌우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굴곡된 구성이었지만, 그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예컨대 곧은 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5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left and right center portions are bent rearward, but other shapes may be used. For example, a straight column shape may be sufficient.

또한, 하부구조체가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유지부는, 천판의 하방에 있어서는, 하부구조체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재 각각의 하단면 중, 가장 낮은 위치가 되는 하단면보다 상방의 공간을 통과해 천판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으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sub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members, the holding portion passes through a space above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bottom surfa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mbers included in the substructure under the top plate. It just needs to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0127] (2l)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개의 구성 요소를 복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하거나, 복수의 구성 요소를 1개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부가 또는 치환해도 된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한 문언(文言)에 의해 특정되는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양태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이다.(2l) One component in the above embodiment may be realized by a plurality of components, or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realized by one component. In addition,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may be omitted. Moreover, you may add or substitute at least one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another said embodiment. In addition, all the aspect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specified by the language described in the claims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책상, 11…천판, 13…가림판, 13L…좌측 상단부, 13R…우측 상단부,
15…프레임, 21…메인 패널, 23…전방 세로벽, 23L…좌측 하단부,
23R…우측 하단부, 25L…좌측 세로벽, 25R…우측 세로벽, 26…후방 세로벽,
27…노치(notch), 28…돌조(突條)부, 29…접촉(當接)면, 31…걸이부,
41…다리부, 42…전방 다리, 43…후방 다리, 44…연결부, 50…하부구조체,
51…전방 막대, 52…천판 지지부, 53…전후 막대,
54…스택 가드(stack guard), 61…유지부, 63…하물(荷物) 유지면,
65…걸림고정부, 71, 71a~71d…천판 연결 접속부,
72, 72a~72d…가림판 연결 접속부, 75…면, 76…면, 81…제1 인접부,
82…내측 접촉부, 83…외측 접촉부, 84…후방 접촉부, 91…제2 인접부,
92…내측 연장 돌출부, 93…외측 연장 돌출부, 101…책상, 111…천판,
113…가림판, 121…메인 패널부, 122…서브 패널부, 131…천판 연결 접속부,
132…가림판 연결 접속부, 141…오목부, 151…책상, 152…굴곡 부재,
153…천판, 154…가림판, 155…수평부, 156…수직부, 161…책상,
162…천판부, 163…가림판부, 164…복합부, 165…우측 세로벽,
190…책상, 191…유지부, 192…천판, 193…하물 유지면, 194…메인 패널,
195…연장돌출부, 195a…커버, 196…돌기, 197…측면, 198…접촉 범위,
201…접촉 범위, 203…후크, 205…접촉 범위, 207…하물 유지면,
271…하단면, 281…하물, 283…손잡이, 283a…정상부(頂部), 301…유지부,
302…천판, 303…하물 유지면, 304…측면, 305…다리부, 311…유지부,
312…천판, 313…하물 유지면, 314…측면, 315…프레임, 321…유지부,
322…천판, 323…하물 유지면, 324…측면, 325…다리부, 326…천판 지지부,
327…중간 부재, 351…유지부, 352…천판, 354…측면, 356…홈,
401…유지부, 403…하부구조체, 404…하단면, 411…유지부, 412…천판,
413…하부구조체, 421…유지부, 422…천판, 423…하부구조체,
427…중간 부재, 451…유지부, 452…천판, 454…측면, 456…홈,
531…유지부, 532…천판, 533…천판 지지부, 541a…유지부, 542…천판,
543a…천판 지지부
One… Desk, 11 ... Top plate, 13… Blank board, 13L… Upper left, 13R… Upper right,
15… Frame, 21… Main panel, 23… Vertical longitudinal wall, 23L… Lower left,
23R… Lower right, 25L… Left vertical wall, 25R… Right vertical wall, 26… Rear Vertical Wall,
27… Notch, 28… Doljobu, 29… Contact surface, 31 ... Hanging,
41… Legs, 42 ... Anterior leg, 43 ... Rear leg, 44… Connection, 50… Substructure,
51… Front bar, 52… Top plate support, 53… Before and After Rod,
54… Stack guard, 61 ... Retainer, 63 ... Retaining cotton,
65… Jamgogo government, 71, 71a ~ 71d… Top plate connection,
72, 72a ~ 72d… Blanking plate connection, 75… Cotton, 76… Cotton, 81… The first neighbor,
82… Inner contact, 83 ... Outside contact, 84 ... Rear contact, 91… Second Adjacent,
92… Medial extension projection, 93 ... Outer extension protrusion, 101 ... Desk, 111… Photography,
113… Blank, 121… Main panel section, 122 ... Sub-panel section, 131. Top plate connection,
132… Blank plate connection, 141… Concave, 151 ... Desk, 152 ... Bend,
153… Top plate, 154 ... Blank, 155 ... Horizontal part, 156 ... Vertical part, 161… desk,
162… Top plate part, 163… Garimpanbu, 164 ... Composite, 165 ... Right Vertical Wall,
190… Desk, 191 ... Yuji, 192 ... Top plate, 193 ... If you keep the parcel, 194… Main panel,
195 ... Extension protrusion, 195a ... Cover, 196 ... Turning, 197 ... Side, 198… Contact range,
201… Contact range, 203 ... Hook, 205 ... Contact range, 207… If you keep the cargo,
271 ... Bottom side, 281… Parcel, 283 ... Handle, 283a… Summit, 301 ... Holding,
302… Top plate, 303 ... If the cargo remains, 304… Side, 305 ... Legs, 311 ... Holding,
312 ... Top plate, 313 ... If you keep the parcel, 314 ... Side, 315… Frame, 321… Holding,
322… Top plate, 323 ... If the parcel remains, 324 ... Side, 325… Legs, 326 ... Top Plate Support,
327 ... Middle member, 351… Retainer, 352 ... Top plate, 354 ... Side, 356 ... home,
401… Yuji, 403 ... Substructure, 404 ... Bottom side, 411… Yuji, 412 ... Photography,
413 ... Substructure, 421 ... Retainer, 422 ... Top plate, 423 ... Substructure,
427 ... Intermediate absence, 451… Yuji, 452 ... Top plate, 454 ... Side, 456… home,
531 ... Yuji, 532 ... Top plate, 533 ... Top plate support, 541a… Yuji, 542 ... Photography,
543a ... Top plate support

Claims (27)

책상으로서,
천판(天板, top panel)과 가림판(幕板, modesty panel)을 구비하고,
상기 천판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에 설치되는 천판 연결 접속부(連接部)와, 상기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설치되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책상.
As a desk,
Equipped with a top panel and a modesty panel,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plate or the blanking plate. ,
de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연결 접속부 및 상기 가림판 연결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인 제1 부는, 상기 제1 부로부터 상기 일방과는 다른 타방(他方)인 제2 부를 향하는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1 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 측의 면이, 상기 제1 부가 설치된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에 인접하는 인접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방향 측의 면보다, 상기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영역에 위치하는,
책상.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part, which is at least one of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and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is directed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ne portion,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he The surfac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han the surfac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an adjacen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portion in the top plate or the blanking plate provided with the first portion. Located in an area opposite to,
des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는, 상기 제2 부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의 이면측(裏側)에 배치되는,
책상.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portion, relative to the second portion, is relatively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top plate or the cover plate (상대적),
des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상기 천판의 전방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세로벽(前縱壁)과, 상기 천판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세로벽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방 세로벽은,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고,
상기 천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전방 세로벽에 설치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op plate includes a fron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ront of the top plate, a lef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a left end of the top plate, a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op plate. It has an extended right vertical wall,
The front vertical wall has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vertical wall,
desk.
제4항에 있어서,
추가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천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하단(下端)에는, 상방을 향하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치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천판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는,
책상.
According to claim 4,
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support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a notch facing upward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and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des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메인 패널부(主板部)와, 상기 메인 패널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확대되는 서브 패널부(副板部)를 갖고 있으며,
상기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서브 패널부에 설치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lanking plate has a main panel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b-panel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panel portion toward the rear,
The blanking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in the sub-panel portion,
desk.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hook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desk.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desk.
천판을 구비하는 책상으로서,
상기 천판은, 상기 천판의 전방의 단부(端部)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세로벽과, 상기 천판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세로벽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방 세로벽은,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책상.
As a desk with a top plate,
The top plate extends downward from a fron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ront of the top plate, a left vertical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a left end of the top plate, and downwards from a right end of the top plate. Has a right vertical wall,
The front vertical wall is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desk.
제9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림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세로벽에 설치되는 천판 연결 접속부와, 상기 가림판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설치되는 가림판 연결 접속부는, 상기 천판 또는 상기 가림판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9,
In addition, a blanking plate is provided,
The top plat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vertical wall and the top plate connecting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ing plat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op plate or the blanking plate,
desk.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추가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천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세로벽 및 상기 우측 세로벽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하단에는, 상방을 향하는 노치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치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천판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9 or 10,
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support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At the bottom of at least one of the left vertical wall and the right vertical wall, a notch facing upward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otch and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desk.
책상으로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확대되는 수평부와, 대략 수직 방향으로 확대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굴곡 부재와,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연결 접속되고, 상기 일방이 확대되는 면을 따라 확대되는 확장 부재를 구비하는,
책상.
As a desk,
A horizontally expanding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ly expanding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ly curved member formed integrally,
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nd having an expansion member that extends along a surface on which the one is enlarged,
des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책상의 천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확장 부재는 상기 책상의 가림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rizontal portion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the expansion member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plate of the desk,
des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책상의 가림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확장 부재는 상기 책상의 천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12,
The vertical portion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plate of the desk, and the expansion member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des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10,
A hook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desk.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재와 상기 확장 부재 간의 경계 부분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A hook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member and the expansion member,
des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과 상기 가림판의 경계 부분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10,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lanking plate,
desk.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재와 상기 확장 부재 간의 경계 부분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A concavely recessed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bending member and the expansion member,
desk.
책상으로서,
천판과,
하물(荷物)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 유지부로서, 하물을 걸었을 때에 상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면인 하물 유지면을 갖는 유지부와,
상기 하물 유지면에 걸린 하물이 상기 천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접촉하는 접촉면(當接面)을 구비하고,
상기 하물 유지면은, 상기 천판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천판의 측면의 일부인,
책상.
As a desk,
Photography,
A holding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hang a bag, and having a bag holding surface, which is a surface receiving a load from an upward direction when the bag is hung, and
And a contact surface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when the baggage caught on the baggage holding surface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ate is located,
The bag holding surfac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op plate,
The contact surface i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desk.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천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천판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19,
At least a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support portion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support,
desk.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지지부는, 상기 천판의 무게중심(重心)을 통과해 높이 방향으로 확대되는 가상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천판을 2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을 때에, 그 양방(兩方)의 부분을 지지하는,
책상.
The method of claim 20,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portions of both sides when the top plate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a virtual plane that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p plate,
desk.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하측의 면에는, 상기 천판의 측면에 도달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천판 지지부 중, 상기 홈의 내부를 통과해 상기 천판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인,
책상.
The method of claim 20 or 21,
A groove reaching a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holding portion is a portion of the top plate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to the side of the top plat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groove,
desk.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을 바닥면(床面)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하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2,
It has a leg portion having a length up and down, maintaining the top plate in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The hold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desk.
스택킹(stacking) 가능하게 구성된 책상으로서,
천판과,
상기 천판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하부구조체와,
하물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구조체는, 복수의 상기 책상을 스택킹했을 때에,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책상의 상기 하부구조체의 하단(下端)이, 하측에 배치되는 책상의 천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구조체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고, 상기 책상을 상기 천판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에 투영했을 때에는, 상기 유지부의 일부가 상기 천판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천판의 하방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구조체의 하단을 통과하는 상기 천판과 평행한 가상적인 면과, 상기 천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천판의 상기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오는,
책상.
A desk configured to be stackable,
Photography,
A lower structur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top plate,
Equipped with a holding unit configured to hang the baggage,
The lower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he desks,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desks disposed on the upper side contacts the top plate of the desk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holding portion extends from the lower structure, and when the desk is projected onto a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a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top plate,
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the virt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plat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ubstructure, and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desk.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인,
책상.
The method of claim 24,
The holding part is a part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substructure,
desk.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체는, 상기 천판의 무게중심을 통과해 높이 방향으로 확대되는 가상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천판을 2개의 부분으로 구분했을 때에, 그 양방의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부인,
책상.
The method of claim 25,
The substructure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both portions when the top plate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a virtual plan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op plate,
The holding portion is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desk.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을 바닥면(床面)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유지하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6,
It has a leg portion having a length up and down, maintaining the top plate in a posi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The hold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desk.
KR1020207007621A 2017-08-22 2018-03-28 desk KR2020004402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9381A JP6912084B2 (en) 2017-08-22 2017-08-22 desk
JPJP-P-2017-159380 2017-08-22
JPJP-P-2017-159381 2017-08-22
JP2017159380A JP6912083B2 (en) 2017-08-22 2017-08-22 desk
JP2017192790A JP7014398B2 (en) 2017-10-02 2017-10-02 desk
JPJP-P-2017-192791 2017-10-02
JP2017192791A JP7014399B2 (en) 2017-10-02 2017-10-02 desk
JPJP-P-2017-192790 2017-10-02
PCT/JP2018/012892 WO2019038978A1 (en) 2017-08-22 2018-03-28 De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027A true KR20200044027A (en) 2020-04-28

Family

ID=6543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621A KR20200044027A (en) 2017-08-22 2018-03-28 des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4027A (en)
WO (1) WO2019038978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748A (en) 2010-11-08 2012-05-31 Okamura Corp Furniture with top plate
JP2014213086A (en) 2013-04-26 2014-11-17 愛知株式会社 Des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6828U (en) * 1987-11-30 1989-06-08
JPH03113635U (en) * 1990-03-09 1991-11-20
JPH0646350Y2 (en) * 1990-12-26 1994-11-30 ダイシン工業株式会社 Counter table structure
JP2005176884A (en) * 2003-12-16 2005-07-07 Kariya Mokuzai Kogyo Kk Table connecting device and table
US7975625B2 (en) * 2007-09-24 2011-07-12 Lifetime Products, Inc. Folding table
JP5650979B2 (en) * 2010-10-21 2015-01-07 愛知株式会社 Chair
JP3190662U (en) * 2014-02-28 2014-05-22 大和ツキ板産業株式会社 Table cover
JP3205710U (en) * 2016-05-30 2016-08-12 株式会社クレブ t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748A (en) 2010-11-08 2012-05-31 Okamura Corp Furniture with top plate
JP2014213086A (en) 2013-04-26 2014-11-17 愛知株式会社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8978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486B1 (en) Rail for drawer
JP5852290B2 (en) Headrest moving device
JP7014399B2 (en) desk
US8646856B2 (en) Bottom-mounted sl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176708B2 (en) Top board structure
JP7064311B2 (en) table
JP2020195476A (en) Storage case
KR20200044027A (en) desk
JP5061564B2 (en) Vehicle seat frame
JP7014398B2 (en) desk
CA2970001C (en) Fram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JP6426780B2 (en) Leg device
JP2019182274A (en) Vehicle seat
JP6912083B2 (en) desk
JP6797402B2 (en) Chair
JP6987373B2 (en) Chair
JP3197998U (en) chest
JP2007119026A (en) Buffer material
JP2018143786A (en) desk
KR20140043616A (en) Shelf assembly for the rerfigerator
JP2020069923A (en) Impact absorber for door
JP6909336B2 (en) Chair back
JP6453591B2 (en) desk
JP6345913B2 (en) desk
JP6501502B2 (en) Shelf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