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606A -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606A
KR20200043606A KR1020180124141A KR20180124141A KR20200043606A KR 20200043606 A KR20200043606 A KR 20200043606A KR 1020180124141 A KR1020180124141 A KR 1020180124141A KR 20180124141 A KR20180124141 A KR 20180124141A KR 20200043606 A KR20200043606 A KR 2020004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ignal
screen
display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850B1 (ko
Inventor
김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850B1/ko
Priority to PCT/KR2019/013482 priority patent/WO2020080781A1/en
Priority to US16/656,146 priority patent/US10964292B2/en
Publication of KR2020004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의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 영상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신호입출력부와,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영상신호의 전송을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도록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 기반한 영상을 함께 표시하도록 상호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에서 영상신호의 수신에 관한 에러에 대처하여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기 위한 구조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고, 복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비디오 월(video wall)이 있다. 비디오 월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대화면 환경을 형성하는 시스템이다.
영상소스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중에서 한 가지 방식으로는 루프아웃(Loop-Out)이 있다. 루프아웃 방식은 장치들 간의 케이블 접속을 이용한 일종의 직렬연결 방식으로서, 영상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고, 이 영상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분기하며, 분기된 영상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입출력 형태가 시스템 내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된다.
루프아웃 방식으로 연결된 시스템 내에서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와 정상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아웃 시스템 내에서 전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클린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신호가 루프아웃 시스템의 후단으로 갈수록 노이즈가 누적되며, 이러한 노이즈의 누적을 비롯한 다양한 이유로 인해 화면이 전혀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화면이 깜빡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점검을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지만, 사용자가 직접 조치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 원인이 무엇인지 판단하기에 곤란할 수도 있다.
이에, 루프아웃 방식으로 접속된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의 조치 없이 자동으로 현상을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루프아웃 방식으로 접속된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의 조치 없이 자동으로 현상을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에 대응하는 증폭값에 따라서 증폭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 보정값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깃,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화면 깜빡임을 나타내면, 상기 화면의 깜빡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위한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를 나타내면,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 회수 또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재시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접속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화면 이상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되는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처리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에 대응하는 증폭값에 따라서 증폭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 보정값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화면 깜빡임을 나타내면, 상기 화면의 깜빡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위한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를 나타내면,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 회수 또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재시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접속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화면 이상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되는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처리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표시되게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화면 이상의 증상에 대응하는 증폭값에 따라서 증폭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 보정값을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화면 이상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DP 규격에 따른 신호전송 채널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이상 증상을 감지하였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참조하는 하나의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참조하는 또 하나의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에러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영상소스(110)와, 영상소스(110)가 제공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는 평행하게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대화면을 형성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옥외 등의 개방된 장소에서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는 먼 거리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쉽게 화면의 표시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대화면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120)의 단일 화면 크기는 제조 상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장치(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가 조합되어 비디오 월을 구성함으로써 대화면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100)의 각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영상소스(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각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영상신호의 영상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에서, 시스템(100) 내 배치된 위치 또는 시스템(100) 내 자신의 ID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는 각기 대응하는 영상프레임의 일부 영역을 분담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스템(100) 전체적으로는 영상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월로 구현되는 시스템(100)을 예시로 들고 있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가 반드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필요는 없으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매트릭스 이외의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영상소스(11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아웃 방식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영상소스(11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 중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1)에 영상신호가 전송되면,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1) 내에서 영상신호가 분기하고, 분기된 영상신호 중 하나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1)의 프로세서로 전달되며 다른 하나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2)로 전송된다. 장치들 사이의 영상신호의 전송 구조는 케이블 및 무선통신 모두 가능하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가 이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고, 영상신호가 영상소스(110)로부터 각 디스플레이장치(120)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전송 형태를 루프아웃 방식이라고 편의상 지칭한다.
여기서, 루프아웃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는, 편의상 영상소스(110)를 기준으로 순서가 부여되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1)는 영상소스(110)에 다이렉트로 접속되며,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2)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1)에 다이렉트로 접속된다. 여기서, 다이렉트로 접속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면 두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상호 접속됨으로써 신호의 교환이 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영상소스(110)를 기준으로 볼 때,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1)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2)보다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앞선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가 모두 9대라면,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장치가 아홉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29)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 루프아웃 접속 순서는 영상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순서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은, 각 디스플레이장치(120)에 개별 ID가 부여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루프아웃 접속이라는 특성 상,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중 어느 하나에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면, 접속 순서가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단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사이에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점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제5디스플레이장치(125)부터 그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26, 127, 128, 129)에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오지 않는데, 그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21, 122, 123, 124)에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온다면, 제4디스플레이장치(124) 및 제5디스플레이장치(125) 사이의 신호 전송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예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루프아웃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 사이의 신호 전송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루프아웃으로 접속된다. 본 도면에서는 영상소스(200)부터 루프아웃 순서에 따라서 처음 4대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루프아웃으로 접속된 경우에 관해 나타내지만, 보다 많은 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서 제4디스플레이장치(240) 후단에 연이어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순차적으로 접속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제2디스플레이장치(220), 제3디스플레이장치(230) 및 제4디스플레이장치(240)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장치들 간의 접속이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DP) 규격에 따른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각각 신호가 입출력되는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와,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212, 222, 232, 242)를 포함한다. 또한, 각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는 신호가 입력되는 수신포트(Rx1, Rx2, Rx3, Rx4)와, 신호가 출력되는 송신포트(Tx1, Tx2, Tx3, Tx4)를 각각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모델이나 세부적인 하드웨어 사항이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다.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영상소스(2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신호입출력부(211)의 Rx1에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신호입출력부(211)는 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프로세서(212)에 전달하는 한편, Tx1을 통해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로 출력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Rx2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전달 및 처리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서, 영상소스(200)로부터의 영상신호는 모든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포트(Rx1, Rx2, Rx3, Rx4) 및 송신포트(Tx1, Tx2, Tx3, Tx4)라는 용어는 영상소스(200)로부터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의 역할에 따라서 편의상 분류한 것이며, "수신" 및 "송신"이라는 용어가 해당 포트들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정의 데이터 또는 신호가 본 실시예의 수신포트(Rx1, Rx2, Rx3, Rx4)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송신포트(Tx1, Tx2, Tx3, Tx4)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각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는 DP 규격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호간에 메인링크(main link), AUX 채널(auxiliary channel), 핫플러그 감지(hot plug detect, HPD) 신호 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메인링크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방향(uni-directional), 고대역 및 낮은 레이턴시(latency)의 채널이다. AUX 채널은 링크 관리 및 기기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양방향 채널이다. HPD 신호 라인을 통한 HPD 신호는 상호 접속된 소스기기(source device) 및 싱크기기(sink device) 중에서 싱크기기에 의한 인터럽트 리퀘스트(interrupt request)로서 동작한다. DP 규격에 따른 신호전송 라인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10)와, 영상신호 등의 소정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마련된 신호입출력부(320)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30)와,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3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50)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310)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320)는 소정의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신호입출력부(320)는 DP 규격에 따른 복수의 커넥터 또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입출력부(320)는 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영상소스에 접속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320)는 예를 들면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제1포트(321) 및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제2포트(32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이 추가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33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350)는 프로세서(360)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350)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6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60)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의 하드웨어 주체가 된다. 즉, 프로세서(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소프트웨어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소정 동작은 운영체제 또는 커널이 수행하거나 또는 커널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데, 프로세서(360)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데이터의 연산,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운영체제 또는 커널을 실행시키고, 또한 커널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들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작 상태가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면, 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특성이 보정된 영상신호의 전송을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한다.
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앞선 요청에 대응하여 신호특성이 보정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신호의 신호특성이 보정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4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앞선 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460 단계로 이행하여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타 디스플레이장치와 루프아웃 방식으로 접속된 환경 하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으로 현상을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스기기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싱크기기로 각각 지칭할 수 있다. 영상신호의 전송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싱크기기가 소스기기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영상신호의 전송방식이 데이터패킷 형태인 예시로는 DP가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DP 뿐만 아니라 데이터패킷 형태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모든 규격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영상신호의 전송방식이 DP인 경우를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데이터패킷 형태로 영상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HDMI와 같이 raw data가 클럭신호와 함께 소스기기로부터 싱크기기로 전송되는 경우에 관해서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DP 규격에 따른 신호전송 채널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를 소스기기(510)로, 소스기기(51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싱크기기(520)로 각각 편의상 지칭한다. 소스기기(510)의 신호입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Tx 포트(511)를 포함하며, 싱크기기(520)의 신호입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Rx 포트(521)를 포함한다. Tx 포트(511) 및 Rx 포트(521)는 DP 규격을 지원하며, DP 규격 케이블에 의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Tx 포트(511) 및 Rx 포트(521)는 DP 규격에 따라서, 메인링크(531), AUX 채널(532), HPD 라인(533)으로 분류되는 복수의 단자를 각각 포함한다.
메인링크(531)는 등시성 스트림(Isochronous streams)을 각기 전달하는 복수 개의 레인(lane)을 포함한다. 메인링크(531)는 클럭신호를 전달하는 별도의 채널 또는 레인을 포함하지 않으며, 싱크기기(520)가 영상신호 처리 동작의 동기화를 위해 필요한 클럭신호는 메인링크(531)를 통해 전송되는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다. 메인링크(531)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스트림, 즉 영상신호는 raw data가 아닌 데이터패킷 단위로 전송된다. 즉, 싱크기기(520)는 소스기기(5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패킷 단위로 수신하며, 또한 패킷 단위로 처리하게 된다. 소스기기(510)에서 영상신호는 전송유닛(transfer unit)이라고 불리우는 마이크로패킷(micro-packet)으로 팩키징된다. 마이크로패킷의 길이는, 예를 들면 레인 당 32에서 64 링크 심볼의 범위에 있다.
소스기기(510)가 DP 규격 케이블을 통해 Rx 포트(521)에 접속되면, 싱크기기(520)는 HPD 라인(533)을 통해 소스기기(510)에 HPD 신호를 보냄으로써 소스기기(510) 및 싱크기기(520)가 상호 접속되었음을 알린다. 소스기기(510)는 AUX 채널(532)을 통해 싱크기기(520)와의 통신을 위한 확인용 데이터를 보내고, 싱크기기(520)로부터 이 확인용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동작은 소스기기(510) 및 싱크기기(520)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접속 과정으로서,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이라고 지칭된다.
소스기기(510)는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거나 또는 인증되면, 메인링크(531)를 통해 영상신호를 어떻게 전송할 것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 구체적으로는 신호 전송에 사용할 메인링크(531)의 레인의 수, 각 레인에 대해 전송할 신호의 맵핑, 링크 레이트(Link rate) 등을 결정한다. 소스기기(510)는 이러한 구체적인 방법이 결정되면 메인링크(531)를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며, 싱크기기(520)는 Rx 포트(521)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즉, DP에서는 단순히 소스기기(510) 및 싱크기기(520)가 케이블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라고 해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 아니다. DP에서는 링크 트레이닝을 통해 구체적인 신호 전송 방법이 결정된 이후, 결정된 방법에 따라서 신호의 송수신이 수행된다.
링크 트레이닝은 소스기기(510) 및 싱크기기(520)가 서로 최초 접속되는 시점에 수행될 수 있지만, 소스기기(510) 및 싱크기기(520)가 통신이 가능한 동안에도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싱크기기(520)는 소스기기(510)에 접속된 상태에서 소스기기(51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도, 주기적으로 소스기기(510)와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신호전송 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신호가 데이터패킷 방식으로 전송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해, 영상신호의 raw data가 그대로 전송되는 관련기술을 고려한다. 관련기술인 HDMI의 경우는, 소스기기 및 싱크기기 사이에, TMDS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TMDS 채널, 클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클럭 채널, 정보 통신을 위한 DDC 등이 마련된다. TMDS는 단속적인 데이터패킷이 아닌 연속적인 데이터스트림이며, 싱크기기가 TMDS를 처리하기 위한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클럭신호가 병행하여 전송된다.
이와 같은 HDMI의 경우는 데이터스트림의 패킷을 언팩키징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클럭신호가 소스기기로부터 싱크기기에 전달되므로, 싱크기기는 TMDS 및 클럭신호의 데이터 비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러 비트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영상신호가 데이터패킷 방식으로 전달되며, 그리고 클럭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DP의 경우에, 싱크기기는 HDMI의 경우처럼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러 비트를 찾아내기가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기기는, 소스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싱크기기의 동작 상태가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신호특성이 보정된 영상신호의 전송을 소스기기에 요청한다. 이로써, 싱크기기는 소스기기로부터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 신호특성이 보정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이상 증상을 감지하였을 때의 동작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이상 증상을 감지하였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6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6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이상의 발생을 감지한다.
6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이상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한다.
6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이상 증상의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특성의 설정값을 지정한 테이블을 호출한다.
6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호출한 테이블에서, 1차적으로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특성의 설정값을 검색한다.
6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검색된 설정값을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고, 해당 설정값에 따라서 보정된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6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해당 설정값에 따라서 보정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7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이상 증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정된 영상신호에 의해 화면 이상 증상이 해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7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보정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한다.
반면에, 보정된 영상신호에 의해서도 화면 이상 증상이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7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이상 증상에 대해, 현재 카운트된 회수에서 추가로 카운트한다.
7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추가로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회수가 문턱값보다 낮으면, 7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추가로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660 단계로 이행한다.
반면에 제2회수가 문턱값보다 낮지 않으면, 7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730 단계 내지 760단계는, 최초로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여 보정된 영상신호로는 화면 이상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이상 증상을 카운트함에 있어서, 0이 아닌 최초로 카운트된 회수부터 추가적으로 카운트하고, 추가로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특성의 설정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새로 취득한 설정값에 따라서 보정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그래도 화면 이상 증상이 해결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만일 상기한 과정의 반복 회수가 기 설정된 한계에 도달하면, 화면 이상은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문제일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치하도록 알린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이상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함에 있어서, 화면 이상이 해결되지 않으면 상기한 회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한 회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하지 않고, 0부터 다시 카운트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단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케이블이 포트에서 빠진 이후에 재접속되거나, 또는 케이블이 교체되는 등의 이유 때문에, HPD 라인을 통하여 HPD 신호가 리셋되는 경우가 이러한 이벤트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의 이상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는가, 그리고 영상신호의 신호특성이 어떻게 보정되는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하여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이거나, 또는 화면이 깜빡이는 경우에, 화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의 신호특성 중에서, 영상신호를 증폭시켜 영상신호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영상신호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방법들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참조하는 하나의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800)은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에 대응하는 VOD 값 및 PRE 값을 지정하고 있다. VOD 및 PRE는 DP 기반의 Tx로부터 Rx로 신호를 보낼 때, 신호의 증폭에 관련된 설정값들이다. VOD는 Voltage swing을 의미하며, 전기적 신호의 amplitude이며, 단위는 마이크로암페어(μA)이다. PRE는 Pre-emphasis를 의미하며, 전송 신호에 overshoot를 부가하는 값이며, 단위는 데시빌(dB)이다.
본 테이블(800)에서는 링크 트레이닝 실패의 회수가 증가할수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설정값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루프아웃 방식으로 접속된 특성 상,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호간에 케이블을 통해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다고 하더라도, 후단으로 갈수록 케이블 또는 접속노드의 증가로 인해 영상신호에서 노이즈가 누적되기 때문이다. 노이즈가 누적되어 소정의 임계치를 넘게 되면, 전송되는 신호 내에서 영상신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하기에 곤란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본 테이블(800)은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가 증가할수록 노이즈 대비 영상신호의 강도를 높이게 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한다. 이 때,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함으로써 Signal Loss가 발생하면 화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하면, 링크 트레이닝의 실패 회수, 또는 링크 트레이닝의 실패 이후에 링크 트레이닝을 재시도하는 회수인 링크 트레이닝 리트라이 회수를 카운트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증폭값을 테이블(800)에서 검색한다. 본 테이블(800)에 따르면,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즉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가 0인 디폴트 상태의 경우의 VOD 값은 100이며 PRE 값은 0이다.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는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디폴트 상태의 VOD 값 및 PRE 값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링크 트레이닝 실패가 감지되어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가 1로 카운트되었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이블(800)에서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 1회에 대응하여, VOD 값 120과 PRE 값 0을 취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이블(800)에서 취득한 VOD 값 120과 PRE 값 0을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VOD 값 120과 PRE 값 0의 신호 증폭값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증폭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화면 이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화면을 표시하며, 계속 화면 이상이 감지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최초 카운트된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 1회에 추가하여, 링크 트레이닝의 실패 회수를 다시 카운트한다. 다시 카운트되는 회수는 최초 카운트된 회수보다 높다. 예를 들어 최초 카운트된 회수 1회 이후로, 링크 트레이닝 실패가 추가적으로 2회 카운트되었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시 카운트된 회수 3회에 대응하는 VOD 값 140 및 PRE 값 3.5를 테이블(800)에서 취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취득한 VOD 값 140 및 PRE 값 3.5를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며, 재보정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그래도 화면 이상이 계속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누적 카운트된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인 11회를 넘지 않을 때까지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누적 카운트된 링크 트레이닝 실패 회수가 11회를 넘게 되면, 이는 신호의 증폭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통지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방식으로 마련된 테이블을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신호특성이 보정되도록 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참조하는 또 하나의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900)은 화면의 깜빡임 발생 회수에 대응하는 VOD 값 및 PRE 값을 지정하고 있다. VOD 및 PRE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DP 기반의 Tx로부터 Rx로 신호를 보낼 때, 신호의 증폭에 관련된 설정값들이다.
본 테이블(900)에서는 화면의 깜빡임 발생 회수가 증가할수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설정값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동안이라고 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노이즈 혼입이 상대적으로 커서 정상적으로 영상의 화면을 표시하기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화면을 점멸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의 깜빡임이 발생하면, 화면의 깜빡임 발생 회수를 카운트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증폭값을 테이블(900)에서 검색한다. 본 테이블(900)에 따르면, 화면 깜빡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화면 깜빡임 회수가 0인 디폴트 상태의 VOD 값은 100이며 PRE 값은 0이다.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는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디폴트 상태의 VOD 값 및 PRE 값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화면 깜빡임이 발생하고, 화면 깜빡임 발생 회수가 3회로 카운트되었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이블(900)에서 화면 깜빡임 발생 회수 3회에 대응하여, VOD 값 160과 PRE 값 0을 취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이블(900)에서 취득한 VOD 값 160과 PRE 값 0을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VOD 값 160과 PRE 값 0의 신호 증폭값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증폭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화면 이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화면을 표시하며, 계속 화면 이상이 감지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최초 카운트된 화면 깜빡임 발생 회수 3회에 추가하여, 화면 깜빡임 발생 회수를 다시 카운트한다. 다시 카운트되는 회수는 최초 카운트된 회수보다 높다. 예를 들어 최초 카운트된 회수 3회 이후로, 링크 트레이닝 실패가 추가적으로 4회 카운트되었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시 카운트된 회수 7회에 대응하는 VOD 값 160 및 PRE 값 3.5를 테이블(900)에서 취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취득한 VOD 값 160 및 PRE 값 3.5를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며, 재보정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그래도 화면 이상이 계속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누적 카운트된 화면 깜빡임 발생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인 30회를 넘지 않을 때까지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누적 카운트된 화면 깜빡임 발생 회수가 30회를 넘게 되면, 이는 신호의 증폭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통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에러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화면 이상 증상의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을 넘으면, 영상신호에 기반한 화면을 표시할 수 없는 화면 이상 상태를 알리는 에러 메시지 또는 UI(1010)를 표시한다.
UI(1010)는 영상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없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UI(1010)는 예상되는 이상 원인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대응조치에 관해 간단히 알릴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UI(1010)를 표시하는 동안에, 또는 UI(1010)를 표시하는 대신에, 통신 가능한 서버 또는 외부장치에 본 UI(1010)가 표시되도록 UI(1010)의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서버나 휴대전화에 UI(1010)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100 : 시스템
110 : 영상소스
12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에 대응하는 증폭값에 따라서 증폭된 영상신호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 보정값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화면 깜빡임을 나타내면, 상기 화면의 깜빡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위한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를 나타내면,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 회수 또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재시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접속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화면 이상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되는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처리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에 대응하는 증폭값에 따라서 증폭된 영상신호인 디스플레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 보정값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화면 깜빡임을 나타내면, 상기 화면의 깜빡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위한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를 나타내면,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실패 회수 또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의 재시도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신호 보정값을 취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접속 과정이 인증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접속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화면 이상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되는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처리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호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데이터패킷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이 표시되게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화면의 이상을 나타내면,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성이 보정된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화면 이상의 증상에 대응하는 증폭값에 따라서 증폭된 영상신호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화면 이상의 증상의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회수에 대응하는 신호 보정값을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된 회수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화면 이상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124141A 2018-10-18 2018-10-18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56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41A KR102560850B1 (ko) 2018-10-18 2018-10-18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9/013482 WO2020080781A1 (en) 2018-10-18 2019-10-15 System with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656,146 US10964292B2 (en) 2018-10-18 2019-10-17 System with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41A KR102560850B1 (ko) 2018-10-18 2018-10-18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06A true KR20200043606A (ko) 2020-04-28
KR102560850B1 KR102560850B1 (ko) 2023-07-27

Family

ID=7028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141A KR102560850B1 (ko) 2018-10-18 2018-10-18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4292B2 (ko)
KR (1) KR102560850B1 (ko)
WO (1) WO20200807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9080A (zh) * 2020-12-17 2021-04-0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显示装置控制方法及显示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64B1 (ko) * 2019-10-31 2020-03-30 주식회사 애즈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량된 이더넷 망으로 연결한 전광판 시스템
JP7498019B2 (ja) 2020-04-27 2024-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11436579B2 (en) 2020-05-04 2022-09-0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erforming enhanced deposit item processing using cognitive automation tools
CN111930327A (zh) * 2020-07-27 2020-11-13 苏州仰邦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led镜子屏显示方法及装置
JP7281658B2 (ja) * 2020-10-23 2023-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の画像表示方法
EP4333442A1 (en) * 2021-09-30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8089A1 (en) * 2003-07-21 2005-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error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80165051A1 (en) * 2016-12-14 2018-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figuring multi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7039B2 (en) * 2007-05-14 2015-06-02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Configurable imaging system
US20130195119A1 (en) * 2011-10-14 2013-08-01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 devices
KR101548351B1 (ko) * 2014-12-08 2015-08-28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다중신호 전송라인으로 제어되는 자가진단 및 복구형 전광판 시스템
KR102251701B1 (ko) 2014-12-26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4545B1 (ko) 2015-09-03 2021-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3901B1 (ko) * 2015-11-12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293149B (zh) * 2015-12-25 2020-05-19 麦克赛尔株式会社 影像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8089A1 (en) * 2003-07-21 2005-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error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80165051A1 (en) * 2016-12-14 2018-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figuring multi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9080A (zh) * 2020-12-17 2021-04-0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显示装置控制方法及显示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64292B2 (en) 2021-03-30
WO2020080781A1 (en) 2020-04-23
KR102560850B1 (ko) 2023-07-27
US20200126514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850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US8094684B2 (en) Link training scheme for displayport source repeaters
US8886846B2 (en) Flexible implementation of serial bus support over display interface
JP5295662B2 (ja) Cec通信装置、それを用いた映像音響装置およびcec通信方法
US11276366B2 (e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26774A1 (en) Display snooping
KR102545072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013328B2 (en) Incorrectly connected HDMI cable indicator
JP6123022B2 (ja) 通信、自己診断及び制御を行うデジタル映像伝送装置
EP273361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hunderbolt interface, connecting method thereof, and docking apparatus
US8984324B2 (en) Establishing clock speed for lengthy or non-compliant HDMI cables
US20090196604A1 (en) System for combining high-definition video control signals for transmission over an optical fiber
US8982932B2 (en) Active auxiliary channel buffering
JP4970607B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伝送方法
US8144625B2 (en) DisplayPort auxiliary channel active buffer with auxiliary channel/display data channel combiner for fast auxiliary channel
JP6375922B2 (ja) 映像送信装置およびエラー検出方法
KR20180074896A (ko) 표시장치 및 컨트롤러
US11688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28152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013304B2 (en) Electrical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at control communications performed at different communication rates
US2024019613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637913B2 (en) Automatic correspondence of encoders and decoders to video ports
US20140068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input control and video device thereof
JP2016122873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0313715B2 (en) Transmission method for video data and device employ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