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084A -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084A
KR20200043084A KR1020180123723A KR20180123723A KR20200043084A KR 20200043084 A KR20200043084 A KR 20200043084A KR 1020180123723 A KR1020180123723 A KR 1020180123723A KR 20180123723 A KR20180123723 A KR 20180123723A KR 20200043084 A KR20200043084 A KR 2020004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emission
amount
electric vehicle
user
emissi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908B1 (ko
Inventor
장경욱
김경우
조성원
예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8012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908B1/ko
Priority to PCT/KR2019/013357 priority patent/WO2020080754A1/ko
Publication of KR2020004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은,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누적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rbon gases emission reductions based on amount of electric vehicle charg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를 운행함으로써 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는 만큼 이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배출권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6대 온실가스, 즉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과불화탄소(PFC), 수소불화탄소(HFC), 육불화황(SF6)을 일정 기간동안 일정량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2015년 1월부터 한국거래소(KRX; Korea Exchange)를 통해 탄소 배출권 거래를 허용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대표적인 탄소 배출권으로는 UN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통해 실적이 인증되면 UNFCCC(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 신청하여 획득할 수 있는 CER(Certified Emission Reduction)이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의 연소가 아닌 전기 에너지로부터 동력을 얻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어 공해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구온난화 방지책의 일환으로 각국에서는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전기 자동차를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 사용자들에게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혜택을 주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공개특허공보 10-2013-0007158호)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하여 탄소 배출권을 생성하고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각 사용자(운행자)의 전기 충전량에 따른 개별적인 탄소 배출권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있으며, 각 사용자의 상황이나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 자동차에 충전되는 충전량을 단순히 그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에 대응하여 산정하므로 탄소 배출 감축량을 합리적으로 산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 탄소 배출권 확보 및 이를 통해 전기 자동차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데 있어 현실과 맞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715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83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를 운행함으로써 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는 만큼 이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자동차 사용자 개개인의 탄소 배출 감축량을 일정 기간 누적하여 전체 사용자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신청하여 발급받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합리적으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에 대해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량 관리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량 관리 장치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및 충전량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누적하여 관리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응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 후,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과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산출 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한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자동차 등록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 자동차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를 포함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서버; 탄소 배출권 신청을 수신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발급하는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 등과 연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산정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 상기 산정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사용자 별로 누적하여 관리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 및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관리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사용자 식별자,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 모델명,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자동차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를 포함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 관리부; 탄소 배출권의 가격 정보를 관리하는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관리부 등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은,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누적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응되는 기준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과 상기 기준 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를 운행함으로써 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는 만큼 이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권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별 사용자에게는 전기 자동차를 운행함으로써 경제적인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보급 및 확대에 기여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사용자 개개인의 탄소 배출 감축량을 일정 기간 누적하여 전체 사용자의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사업자가 신청하여 발급받기 때문에, 그 동안 개인이 개별적으로 획득하기 어려운 탄소 배출권을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기 때문에, 실제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현실적이면서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배출 감축량에 대해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고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시간 변동되는 탄소 배출권 시세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공정하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NFCCC에 UN 청정개발체제 사업으로 인정받으면 탄소 배출권(CER)을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비록 UN 청정개발체제 사업으로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UNFCCC에 탄소 배출권(CER)을 신청하여 발급받기 위해서는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개인이 개별적으로 탄소 배출권(CER)을 획득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실제 UNFCCC에 UN 청정개발체제 사업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면서도 전기 자동차 사용자 개개인의 탄소 배출 감축량을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310),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320), 탄소 배출권 가격정보 서버(330),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 등을 포함한다.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는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 충전량을 관리하는 장치로, 주로 전기 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체나 사업장 등에 구비된다.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는 전기 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기(미도시)와 직접 연동되어 충전량을 체크하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충전기로부터 충전량을 전송받아 충전량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충전기를 통해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면서 결제를 하면, 사용자 식별자(예; 성명, ID, 개인고유번호, 전화번호)와 전기 에너지 충전량이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에 수집되고,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식별자와 충전량을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로부터 사용자 식별자와 전기 에너지 충전량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전기 에너지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 또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별로 산정된 탄소 배출 감축량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누적하여 관리하고, 기 설정된 기준이 충족되면(예컨대 일정 기간 누적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모아 탄소 배출권을 신청하여 발급받는다.
이를 위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여러 종류의 외부 시스템, 예컨대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310),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320),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서버(330),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 등과 연동된다.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310)는 사용자의 자동차 등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컨대 전자정부 시스템에 운영하는 서버(장치)이다. 자동차 등록 정보는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자동차 모델명, 배기량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이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의 모델명을 알 수 있다.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320)는 전기/내연기관 자동차 모델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컨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운영하는 서버(장치)이다. 자동차 모델 정보는,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모델명, 제조사, 유종(연료), 배기량, 연비, 탄소배출계수(CO2 배출량)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이를 통해 자동차 모델명에 따른 연비 및 탄소배출계수를 알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서버(330)는 탄소 배출권의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컨대 한국거래소(KRX; Korea Exchange)에서 운영하는 서버(장치)이다.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시세 정보)는 시장 거래 내역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이를 통해 시간별/날짜별/기간별 탄소 배출권 가격을 알 수 있다.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는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로부터 탄소 배출권 신청을 수신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발급하는 서버로, 예컨대 UNFCCC에서 운영하는 서버(장치)이다. 참고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와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의 연동은 선택적인 사항이며, 오프라인 상으로 탄소 배출권을 신청하여 발급받아 해당 정보를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 자동차 모델 정보 관리부(220),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관리부(230),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 탄소 배출권 관리부(260), 제어부(27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에 대해 회원 가입, 계약 체결 등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는 인터넷 등을 통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계약 체결 등을 할 수 있으며, 물론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 등을 통해서도 회원 가입, 계약 체결 등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자(예; 성명, ID, 개인고유번호, 전화번호), 탄소 배출 감축량의 비즈니스 활용에 대한 계약서,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 모델명,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 사용자의 탄소 배출 감축량, 사용자에 대한 보상(예, 포인트, 마일리지, 가상화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에 대해 회원 가입, 계약 체결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310)로부터 제공되는 자동차 등록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 모델명,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보유하기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 등이 맞는지 검증할 수 있다.
자동차 모델 정보 관리부(220)는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320)가 제공하는 전기/내연기관 자동차 모델 정보를 관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모델 정보는 자동차의 모델명, 제조사, 유종(연료), 배기량, 연비, 탄소배출계수(CO2 배출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관리부(230)는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서버(330)가 제공하는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를 날짜별 및/또는 기간별로 관리한다.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는 사용자 정보, 자동차 모델 정보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전기 에너지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는 사용자 타입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는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에서 산정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사용자 별로 누적하여 관리한다. 예컨대,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는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에서 탄소 배출 감축량이 산정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해 탄소 배출 감축량 및 날짜를 저장하고 현재까지 누적된 탄소 배출 감축량을 합산한다. 또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는 탄소 배출 가격 정보를 참조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을 날짜별/기간별로 경제적 가치(예, 포인트, 마일리지, 가상화폐)로 환산하고, 계약서 내용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예; 충전요금 할인, 멤버쉽 포인트/마일리지)를 제공한다.
탄소 배출권 관리부(260)는 기 설정된 기준이 충족되면, 예컨대 일정 기간 누적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로 신청하여 탄소 배출권을 발급받는다. 예컨대, 탄소 배출권 관리부(260)는 일년 단위로 그 동안 누적된 전체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합산하여 이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로 한번에 신청하고, 전체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권을 부여 받아 관리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탄소 배출권 관리부(260)는 한국거래소(KRX; Korea Exchange)의 탄소 배출권 거래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탄소 배출권을 판매하고, 판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로 전송하여 각 사용자에 대해 포인트, 마일리지, 가상화폐 등으로 정산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10), 자동차 모델 정보 관리부(220),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관리부(230),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 탄소 배출권 관리부(2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을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단계 S350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필요시 및/또는 주기적으로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310),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320), 탄소 배출권 가격정보 서버(330) 등의 외부 시스템과 연동되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310)로부터 사용자의 자동차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S311 참조),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320)로부터 전기/내연기관 자동차 모델 정보를 수신하며(단계 S312 참조),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서버(330)로부터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3 참조). 참고로, 단계 S311, S312, S313은 상호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니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가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기 위해 자동차의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 등을 확인하는 단계 S340 이전까지 수신하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가 충전기를 통해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면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가 이를 확인하고(단계 S320 참조), 충전량 관리 장치(100a, 100b, 100c, ...)는 해당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와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 충전량을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단계 S330 참조).
그러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자와 충전량을 수신하고,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 모델명을 확인하고, 만약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보유 직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가 있으면 그 모델명을 확인한다(단계 S340 참조). 그리고,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전기/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에 기초하여 자동차 모델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전기/내연기관 자동차의 연비 및 탄소배출계수를 확인한다(단계 S340 참조).
해당 사용자에 대해 충전량, 전기/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 등이 확인되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구체적으로는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는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단계 S350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타입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데,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상술한다.
먼저,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보유 이전에(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보유 직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타입을 구분한다(단계 S351 참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였는지 여부는 단계 S340에서 사용자 정보를 통해 확인된다.
만약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보유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한 경우(A 타입),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전 보유한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를 비교 대상(기준)으로 설정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
예컨대,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의 연비에 기초하여 전기 에너지 충전량에 상응하는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한다(단계 S352 참조).
그리고,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상기 계산된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단계 S354 참조).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은 전력 믹스에 기반하여 산출된다. 전기 에너지는 그 생산 방식(예; 석탄, 석유, 가스,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열)에 따라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이 다르고, 이에 따라 전체 전기 에너지 생산에 있어 각각의 생산 방식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전체 탄소 배출량이 달라지게 되는데, 전력 믹스는 이러한 여러 종류의 전기 에너지 생산 방식 및 그 적용 비율을 반영한 것이다.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 (충전량 × 전기 자동차 연비) × 전기 자동차 탄소배출계수
수학식 1에서, 충전량(단위; kWh)과 전기 자동차 연비(단위; km/kWh)의 곱은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단위; km)에 해당하고, 전기 자동차 탄소배출계수(단위; g/km)는 해당 전기 자동차가 일정 거리 주행하는데 소요된 탄소 배출량(단위; g)을 나타낸다.
또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상기 계산된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기준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단계 S356 참조). 그리고, 이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 (충전량 × 전기 자동차 연비) × 내연기관 자동차 탄소배출계수
수학식 2에서, 충전량(단위; kWh)과 전기 자동차 연비(단위; km/kWh)의 곱은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단위; km)에 해당하고, 내연기관 자동차 탄소배출계수(단위; g/km)는 사용자가 기존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가 일정 거리 주행하는데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단위; g)을 의미한다. 참고로, 단계 S354와 단계 S356은 상호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니며,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만약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보유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B 타입),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를 비교 대상(기준)으로 설정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
예컨대,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구체적으로는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240))는 전기 자동차의 연비에 기초하여 전기 에너지 충전량에 상응하는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한다(단계 S353 참조).
그리고,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상기 계산된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단계 S355 참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은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상기 계산된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동급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기준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단계 S357 참조). 그리고, 이는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2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탄소배출계수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기 자동차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일정 거리 주행하는데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동차의 급수는 예컨대 승용차의 경우 소형, 준중형, 중형, 준대형, 대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해당 급수의 내연기관 자동차 탄소배출계수는 해당 급수에 포함된 모든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수배출계수를 단순 평균하거나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균하여 평균 탄소배출계수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계 S355와 단계 S357은 상호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니며,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타입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이 산출되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과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기준 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한다(단계 S358 참조). 하기 수학식 3은 이를 예시한 것이다.
[수학식 3]
탄소 배출 감축량
=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50에서 탄소 배출 감축량이 산정되면,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구체적으로는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해당 사용자에 대해 누적한다(단계 S360 참조). 예컨대,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25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해 탄소 배출 감축량 및 날짜를 저장하고 현재까지 누적된 탄소 배출 감축량을 합산한다.
그리고,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탄소 배출 가격 정보를 참조하여 탄소 배출 감축량을 날짜별/기간별로 경제적 가치(예, 포인트, 마일리지, 가상화폐)로 환산하고, 계약서 내용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예; 충전요금 할인, 멤버쉽 포인트/마일리지)를 제공한다(단계 S370 참조).
한편,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는 일정 기간(예컨대, 일년 단위) 누적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합산하여 이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에 신청한다(단계 S380 참조).
그러면,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400)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단계 S390 참조).
참고로,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S370은 탄소 배출권을 신청하고 발급받는 단계 S380 및 S390과 상호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그 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술하였는데, 본 발명은 반드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수소를 연료로 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인 경우 전기 충전량을 수소 충전량으로 대체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량 관리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량 관리 장치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및 충전량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고,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누적하여 관리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응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 후,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과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자동차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된 자동차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자동차 모델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된 자동차 모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모델명에 대응되는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연비 및 탄소배출계수를 확인하여,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타입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를 보유하기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산출 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한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전기 에너지의 생산 방식에 따른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생산 방식이 적용된 비율을 반영한 전력 믹스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된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에 상응하는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일정 기간 누적된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의 신청을 탄소 배출권 발급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8.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산정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
    상기 산정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사용자 별로 누적하여 관리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 및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권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관리하는 탄소 배출권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는,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응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 후,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과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 모델명,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자동차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를 포함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자동차 모델 정보 관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타입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를 보유하기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는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산출 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한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산정부는, 전기 에너지의 생산 방식에 따른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생산 방식이 적용된 비율을 반영한 전력 믹스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 배출권의 가격 정보를 관리하는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부는 상기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장치.
  14.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충전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타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탄소 배출 감축량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누적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량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주행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응되는 기준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과 상기 기준 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탄소 배출량은 전기 에너지의 생산 방식에 따른 탄소 배출량 및 상기 생산 방식이 적용된 비율을 반영한 전력 믹스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타입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를 보유하기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기준 탄소 배출량은,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한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이고,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내연기관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행거리에 대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와 동급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탄소 배출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산정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자동차 등록 정보 및 자동차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를 포함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은 사용자의 보유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 모델명, 사용자가 이전 보유한 내연기관 자동차 모델명, 연비, 탄소배출계수를 반영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을 일정 기간 누적하여 관리하는 단계 이전에,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배출 감축량은 상기 탄소 배출권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방법.
KR1020180123723A 2018-10-17 2018-10-17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7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723A KR102177908B1 (ko) 2018-10-17 2018-10-17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9/013357 WO2020080754A1 (ko) 2018-10-17 2019-10-11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723A KR102177908B1 (ko) 2018-10-17 2018-10-17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084A true KR20200043084A (ko) 2020-04-27
KR102177908B1 KR102177908B1 (ko) 2020-11-12

Family

ID=7028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723A KR102177908B1 (ko) 2018-10-17 2018-10-17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7908B1 (ko)
WO (1) WO202008075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806B1 (ko) * 2022-05-01 2023-01-20 주식회사 지미션 탄소 중립 기여도에 따른 포인트 리워딩 시스템, 및 탄소 중립 기여도에 따른 포인트 리워딩 방법
KR20230101356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KR102616128B1 (ko) 2022-12-01 2023-12-20 남궁진성 전기 이륜차를 이용한 배달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탄소 배출 감축 보상 시스템 및 방법
KR102621239B1 (ko) * 2023-01-25 2024-01-08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Ev 에코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1749A (zh) * 2020-08-31 2020-12-18 上海置信碳资产管理有限公司 一种公共充电站桩碳减排量计算方法
CN114461980A (zh) * 2021-10-11 2022-05-10 北京国家新能源汽车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动力电池全生命周期碳排放当量测算方法、装置及介质
CN114218679A (zh) * 2021-12-20 2022-03-22 北京联行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车网互动碳减排量核算方法及系统
KR102420061B1 (ko) * 2022-04-28 2022-07-12 (주)파비콘 개인 탄소 배출권 인증 거래 시스템
CN116118552A (zh) * 2022-09-15 2023-05-16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考虑碳排放的汽车动力电池管控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66B1 (ko) * 2009-06-19 2010-03-04 주식회사 드림피아 차량의 탄소저감량 산출 및 관리 시스템
JP2010149586A (ja) * 2008-12-24 2010-07-08 Rohm Co Ltd 車両用の環境対策システム
JP2010198279A (ja) * 2009-02-25 2010-09-09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二酸化炭素排出量算出装置
KR20100098837A (ko) 2009-03-02 2010-09-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탄소 배출권(탄소 포인트)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07158A (ko) 2011-06-29 2013-01-18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에 충전된 충전량을 기반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생성 방법
KR20130082925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발전원에 따른 차등적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0203A (ko) * 2015-05-29 2016-12-07 스마클(주) 배출원별 온실가스 목표감축량 할당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853A (ko) * 2009-03-02 2010-09-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탄소 배출량 산출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586A (ja) * 2008-12-24 2010-07-08 Rohm Co Ltd 車両用の環境対策システム
JP2010198279A (ja) * 2009-02-25 2010-09-09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二酸化炭素排出量算出装置
KR20100098837A (ko) 2009-03-02 2010-09-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탄소 배출권(탄소 포인트)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0944866B1 (ko) * 2009-06-19 2010-03-04 주식회사 드림피아 차량의 탄소저감량 산출 및 관리 시스템
KR20130007158A (ko) 2011-06-29 2013-01-18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에 충전된 충전량을 기반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생성 방법
KR20130082925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발전원에 따른 차등적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0203A (ko) * 2015-05-29 2016-12-07 스마클(주) 배출원별 온실가스 목표감축량 할당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356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KR102490806B1 (ko) * 2022-05-01 2023-01-20 주식회사 지미션 탄소 중립 기여도에 따른 포인트 리워딩 시스템, 및 탄소 중립 기여도에 따른 포인트 리워딩 방법
KR102616128B1 (ko) 2022-12-01 2023-12-20 남궁진성 전기 이륜차를 이용한 배달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탄소 배출 감축 보상 시스템 및 방법
KR102621239B1 (ko) * 2023-01-25 2024-01-08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Ev 에코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908B1 (ko) 2020-11-12
WO2020080754A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90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량에 기반한 탄소 배출 감축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im et al. Dynamic analysis of well-to-wheel electric and hydrogen vehicles greenhouse gas emissions: Focusing on consumer preferences and power mix changes in South Korea
Szinai et al. Reduced grid operating costs and renewable energy curtailment with electric vehicle charge management
Alvaro-Hermana et al. Peer to peer energy trading with electric vehicles
Daina et al. Modelling electric vehicles use: a survey on the methods
KR101914576B1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탄소배출감축을 위한 보상 시스템
Boulanger et al. Vehicle electrification: Status and issues
Fluhr et al. A stochastic model for simulating the availability of electric vehicles for services to the power grid
Muratori et al. Highly-resolved modeling of personal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in the United States
US8725551B2 (en) Smart electric vehicle interface for managing post-charge information exchange and analysis
Faria et al. Electric vehicle parking in European and American context: Economic, energy and environmental analysis
Hilton et al. A stochastic method for prediction of the power demand at high rate EV chargers
Gorbunova et al. Assessment of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electric vehicles
Hahn et al. Model-based quantification of load shift potentials and optimize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Betz et al. Analysis of the charging infrastructure for battery electric vehicles in commercial companies
Pfahl et al. When will electric vehicles capture the German market? And why?
Abbasi et al. Assessing feasibility of overnight-charging electric bus in a real-world BRT system in the context of a developing country
Torkey et al. Framework for planning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Where should cities start?
Göhler et al. Load profile generator for electric vehicle home charging
Pilay System dynamics simulation of income distribution and electric vehicle diffusion for electricity planning in South Africa
CN11554548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电动汽车充电调度方法
Gopal et al. Battery Electric Vehicles can reduce greenhouse has emissions and make renewable energy cheaper in India
EP3709253A1 (en) A system for processing and storing charge event information, a method to process and store charge event information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Roy et al. Optimise prime: interim learnings from the world's largest trial of commercial electric vehicles
Gough Electric vehicle energy integration scenarios: a feasibility analysis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