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798A -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798A
KR20200042798A KR1020180123408A KR20180123408A KR20200042798A KR 20200042798 A KR20200042798 A KR 20200042798A KR 1020180123408 A KR1020180123408 A KR 1020180123408A KR 20180123408 A KR20180123408 A KR 20180123408A KR 20200042798 A KR20200042798 A KR 2020004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screen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745B1 (ko
Inventor
이형일
차명수
신경중
신용
이경선
임채환
최광식
최준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745B1/ko
Priority to US16/576,137 priority patent/US11347538B2/en
Priority to EP19872936.0A priority patent/EP3827333A4/en
Priority to CN201980063379.1A priority patent/CN112771489A/zh
Priority to PCT/KR2019/013424 priority patent/WO2020080767A1/en
Publication of KR2020004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5Distributed object orient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62Creating, deleting, clon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5Starting, stopping, suspending or resum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METHOD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전자 장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가 빨라지면서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와 신규 서비스를 탑재한 스마트 폰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폰의 성능이 컴퓨터와 유사한 수준으로 향상됨에 따라 그 사용 빈도도 데스크 탑과 같은 전자 장치(예: PC, Note PC, 또는 Desktop computer)에 비하여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의 사용자는, 데스크 탑보다는 스마트 폰에 다양한 파일들을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데스크 탑에서 실행하거나 수정해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스마트 폰이 추후 더욱 고성능화되어 데스크 탑(또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될 수 있다면 가정 및 업무용 컴퓨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 폰을 데스크 탑(또는 외부 모니터)에 연결하여 데스크 탑에서의 환경처럼 스마트 폰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를 이용하거나 리부팅을 통해서만 다른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VNC와 같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은 동일한 하드웨어를 복수의 운영체제들이 이용하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및 리눅스는 가상 머신을 통해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에서 메인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다가 다른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경우 재부팅을 수행함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가상 머신을 통하여 실행함으로 인해 시스템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운영체제가 실행된 상태에서는 그 다른 운영체제에서만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밖에 없어 메인 운영체제 기반의 환경으로부터 분리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종 운영체제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조작함에 있어 이종 운영체제 간의 연동 기능을 원활하게 제공한다면 스마트 폰 자체 기능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스마트 폰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는,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이종 운영체제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조작함에 있어 이종 운영체제 간의 연동 기능을 원활하게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자체 기능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전자 장치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에서 서로 다른 운영체제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구동 가능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에서 리눅스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실제로 리눅스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상세 구성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눅스 패키지 획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눅스를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내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동시 실행을 위한 화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 선택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 선택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동시 실행 시의 다양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210)를 포함하며, 복수의 운영체제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운영체제(210)는 제1 운영체제(230) 및 제2 운영체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체제(23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도록 의도된 임베디드 환경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이며, 제2 운영체제(220)는 리눅스 운영체제일 수 있다. 제2 운영체제(220)는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를 위한 우분투(Ubuntu®)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운영체제(230)는 호스트(host) 운영체제라고 칭할 수 있으며, 제2 운영체제(220)는 게스트(guest) 운영체제라고 칭할 수 있다.
제1 운영체제(230) 및 제2 운영체제(220)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및 공존할 수 있으며, 리눅스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호 의존적일 수 있다. 운영체제(210)의 제1 운영체제(230) 및 제2 운영체제(220)는 커널(240)과 통신할 수 있으며, 화살표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운영체제(210)에 포함될 수 있는 운영체제의 예로 안드로이드, 리눅스를 예시하고 있으나, 안드로이드, 리눅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타입의 운영체제들이 추가 또는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체제(210)는 다양한 종류의 둘 이상의 운영체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운영체제들은 동일한 커널(240)(또는 다른 코어/커널)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커널(240)은 디바이스 하드웨어(250)의 물리적 구성요소들과 운영체제(210)의 제1 운영체제(230) 및 제2 운영체제(220)들의 개별 미들웨어 사이의 상호 작용을 연결 및 관리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리소스들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하드웨어(250)는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하드웨어(250)는 다양한 함수와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결합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하드웨어(250)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와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데,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상세 구성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00)이다. 도 3의 상세 구성 요소들은 상기 도 2의 구성 요소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3의 구성 요소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들 및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운영체제(210), 커널(240) 및 디바이스 하드웨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210)는 복수의 이종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제1 운영체제(230) 및 제2 운영체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운영체제(230)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 및 제1 어플리케이션(2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어플리케이션(232)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232)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해당될 수 있다.
제1 운영체제(230)는 전자 장치가 부팅되면 동작하는 메인 운영체제로, 호스트 운영체제라고 칭할 수 있다. 제1 운영체제(230)는 시스템 리소스의 관리와 하나 이상의 다른 운영체제인 게스트 운영체제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운영체제(230)는 제1 운영체제(230) 기반의 데이터 및 제1 운영체제(230)와는 다른 운영체제(예: 도 2의 제2 운영체제(220)) 기반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체제(230)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이며, 제2 운영체제(220)가 리눅스 운영체제일 경우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데이터 및 리눅스 기반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은, 제1 운영체제(230)의 커널(240)을 사용하는 컨테이너(container)(315)를 통해, 실행 중인 게스트 운영체제(예: 도 2의 제2 운영체제(220))의 프로세스와 통신할 수 있다.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은 게스트 운영체제의 프로세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제1 운영체제(230)(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프로세스로 전달하거나 제1 운영체제(230)의 프로세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게스트 운영체제로 전달하여 프로세스를 실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은 LoD(linux on dex)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게스트 운영체제(예: 도 2의 제2 운영체제(220))는 컨테이너(315)를 통해 실행되며,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동작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예: 제2 어플리케이션(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315)를 통해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그램(22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프로그램(222)은 제1 운영체제(230)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부로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그램(222)은 컨테이너(315)에서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체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컨테이너의 외부(예: 제1 운영체제(230)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로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운영체제(230)는 컨테이너(315)를 이용하여 격리되어 운영되는 게스트 운영체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프로그램(222)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게스트 운영체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게스트 운영체제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운영체제(210) 또는 제1 운영체제(230)는 멀티태스킹 운영체제에서의 데몬(daemon)(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몬(233)은 NST(namespace tool) 데몬이라고 칭할 수 있다. 데몬(233)은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을 위해 전자 장치의 백그라운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데몬(233)은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과 통신할 수 있으며, 게스트 운영체제를 실행시키기 위한 컨테이너(315) 생성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네임스페이스(321), Cgroups(324)와 같은 커널(240)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제어, 파일 시스템(325)의 마운트 제어와 같은 동작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데몬(233)은 호스트 운영체제의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은 채 게스트 운영체제의 동작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게스트 운영체제인 제2 운영체제와 관련한 컨테이너(315) 및 제1 운영체제(230)와는 독립적이면서도 운영체제(210)에 데몬(233)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몬(233)은 제1 운영체제(230)의 커널(240)을 이용하므로 소프트웨어 계층적 구조로 봤을 때 커널(240)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이종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315)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테이너(315)는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가 제1 운영체제(230)가 컨테이너(315)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운영체제(230)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315)을 통해 게스트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315)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테이너(315)는 제2 운영체제(220)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운영체제(22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상기 제2 운영체제(220)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315)가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이종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기존재하는(또는 기생성된) 컨테이너(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널(240)을 공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가 기존재하는 상태에서, 제1 운영체제(2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중 특정 컨테이너를 제2 운영체제(220)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컨테이너를 할당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가 제1 운영체제(230)가 특정 컨테이너를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트롤 어플리케이션(315)을 통해 할당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운영체제(220)의 실행을 위한 특정 컨테이너가 할당되면, 제2 운영체제(220)와 관련된 데이터는 특정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격리되어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운영체제(22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기존의 컨테이너들 중 상기 제2 운영체제(220)의 실행을 위한 용도로써 어느 하나의 컨테이너가 지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은 컨테이너(315)(또는 상기 특정 컨테이너)를 통해 제2 운영체제(220)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운영체제(22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들뿐만 아니라 제2 운영체제(220)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미리 할당해놓거나 저장해놓은 후 이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운영체제(220)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컨테이너(315)를 생성한 후, 생성된 컨테이너(315)에 제2 운영체제(22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할당함으로써, 이종 운영체제의 동시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운영체제(220)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예: 제2 어플리케이션(221))에 대한 실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은 컨테이너(315)를 통해 제2 운영체제(220)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예: 제2 어플리케이션(221))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할당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테이너(315)는 가상화가 아닌 격리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1 운영체제(230)가 구동 중이라면 제2 운영체제(220)를 실행하기 위한 부팅 과정 없이 격리된 제2 운영체제(220)의 프로세스만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운영체제(230)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에서 컨테이너(315)를 통해 이미지를 파일 단위로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용량으로 현재 구동 중인 운영체제와는 다른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315)는 호스트 운영체제인 제1 운영체제(230)의 커널(240)을 이용하며 제2 운영체제(220)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메모리만을 할당할 수 있어, 가상 머신이 가지는 가상화의 한계를 극복하여 호스트 운영체제의 성능에 대한 오버헤드 없이 이종 운영체제에 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널(240)은 제1 운영체제(230)(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리눅스 커널로 실행되며,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에 의해 게스트 운영체제(예: 리눅스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해 리눅스 컨테이너 기능으로 컨테이너(315)를 생성할 수 있다. 커널(240)은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널(240)은 제1 운영체제(230)에 관련된 게스트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네임스페이스에 할당하는 네임스페이스 기능(321), 보안 기능(322), 전자 장치의 디바이스 하드웨어(250)의 구성 요소들에 접근하기 위한 드라이버 기능(323), 게스트 운영체제가 사용할 수 있는 CPU의 코어나 메모리 용량을 할당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Cgroups(control groups) 기능(324), 또는 파일 저장 및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테이너(315)는 제1 운영체제(230)와 독립적으로 가상의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환경이며, 컨테이너(315)에서 실행되는 리눅스 운영체제는 리눅스 컨테이너를 지원하는 커널 기반으로 만들어진 우분투(Ubuntu®), 데비앙(Debian)과 같은 리눅스 배포판이 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315)의 생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부들에 국한되지 않고, 리눅스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하드웨어(25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프로세서(예: CPU(331)), 메모리(예: RAM(3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하드웨어(250)는 추가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335), 오디오 디바이스(333),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334)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 또는 외부 저장 장치(336)와 같이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 및 리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4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는 장치(예: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로서, 프로세서(4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43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디스플레이(46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가 전자 장치(401)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401)가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4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420)가 각종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0)는, 상기 디스플레이(460) 및 상기 프로세서(4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은 상기 제1 운영체제가 실행(또는 구동)된 상태에서의 화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0)가,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동안에,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또는 제어)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새롭게 컨테이너가 생성되거나 기존의 컨테이너가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특정 컨테이너로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특정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차지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외부 서버(예: 앱 스토어)로부터 배포되는 패키지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키지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이름,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이며, 상기 제2 운영체제는 리눅스 운영체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500)이다.
전자 장치(501)는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은 제1 운영체제가 실행된(또는 구동된) 상태에서의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은 제1 운영체제로부터 제공된 그래픽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체제의 화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홈 화면(56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제1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객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메인 홈 화면(560)의 전체 또는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메인 홈 화면(560)은 전자 장치(501)의 전원을 켰을 때 제1 운영체제가 구동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4의 디스플레이(46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홈 화면(560)은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제1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객체들(예: 아이콘)뿐만 아니라 구동 중인 제1 운영체제와는 다른 제2 운영체제의 구동을 위한 객체(570) 및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객체(5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의 구동을 위한 객체(570)는 제2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일 수 있다. 제2 운영체제의 구동을 위한 객체(570)는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이미지, 텍스트,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이콘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제2 운영체제의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제조사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501)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운영체제의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판매하는 외부 서버(예: 앱 스토어)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501)에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의 구동을 위한 객체(570)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501)는 제2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501)는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객체(590)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에서 컨테이너(315)를 통해 선택된 객체(59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우분투(Ubuntu®)와 같은 리눅스 이미지를 선택할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을 통해 리눅스 운영체제의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6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디스플레이 장치)(602)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이므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크기도 제한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601)는 예를 들어, USB 커넥터, USB-C 커넥터와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60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전자 장치(601)가 입출력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602)와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 장치(601)는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과 같은 중개 장치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60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외부 전자 장치(60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601)는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602)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1)가 외부 전자 장치(602)와 연결되면, 전자 장치(601)는 외부 전자 장치(602)를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전자 장치(60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고, 재구성된 화면을 외부 전자 장치(60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데스크 탑을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외부 전자 장치(6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복수의 운영체제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운영체제들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601)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및 리눅스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610, 620)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602)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를 차지하는 제1 윈도우(610) 및/또는 제2 윈도우(6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가 외부 전자 장치(602)에 연결되면, 전자 장치(601)의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602)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동작(예: 덱스(dex))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덱스가 자동으로 실행되면, 데스크 탑의 윈도우와 유사한 형태의 레이아웃을 가지는 화면 또는 미러링 화면이 외부 전자 장치(602)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가 외부 전자 장치(602)에 연결되면, 전자 장치(601)는 외부 전자 장치(602)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객체들과 함께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601)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으나, 전자 장치(601)의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602)는 전자 장치(601)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602)는 데스크 탑, 외부 모니터, TV,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700)이다. 동작 방법은 710 내지 740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방법의 각 단계/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1 및 도 4의 전자 장치(101)(40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 및 도 2의 프로세서(120)(4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710 내지 740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710 동작에서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운영체제에 따라 구동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서버(예: 앱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미리 저장해놓을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가 상기 제1 객체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검색 과정 및 다운로드 과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체제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1 운영체제 기반의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제2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서버에서 배포하는 패키지 프로그램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프로그램은 제2 어플리케이션 설치 파일로써,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이름, 상기 제1 운영체제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동작 740에서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더라도, 제1 운영체제는 지속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은,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동안에,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또는 제어)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새롭게 컨테이너가 생성되거나 기존의 컨테이너가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차지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배경 화면에서 일반적으로 리눅스 관련 아이콘을 클릭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안드로이드 상에서 리눅스 패키지가 바로 실행되는 것으로 보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로는 리눅스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한 번의 클릭으로 안드로이드 화면 내에서 보여지는 리눅스 실행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안드로이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와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외부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패키지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키지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이름,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한 화면 예를 들어, 호스트 운영체제의 화면에서 동시와 접근 가능하면서도 한 번의 클릭을 통해 손쉬운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눅스 패키지 획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800)이다. 리눅스 패키지 획득 과정은 811 내지 826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811 내지 826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4의 전자 장치(401))는 동작 811에서 외부 서버(예: 앱 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구성부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더(801)를 예시하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프로세서(42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각 운영체제의 통신을 담당하는 구성부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은 게스트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스트 운영체제를 리눅스 운영체제라고 할 경우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은 리눅스 패키지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할 수 있다.
만일 리눅스 패키지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면 전자 장치의 홈 화면 상에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예: 앱 스토어)는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 및 게스트 운영체제(예: 제2 운영체제(220))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패키지 프로그램 형태로 배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동작 812에서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동작 813에서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을 런처할 수 있다. 이어, 전자 장치는 동작 814에서 구동 중인 호스트 운영체제(예: 제1 운영체제(230))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으로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LoD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호스트 운영체제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호스트 운영체제 기반의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서버에서 배포하는 패키지 프로그램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프로그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파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이름, 상기 호스트 운영체제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기 게스트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리눅스 패키지 어플리케이션은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에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필요한 권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동작 815에서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권한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허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권한 정보는 게스트 운영체제가 외부 전자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브로드캐스트 시 실행될 수 있으며, 동작 816에서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데몬(803)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몬(803)은 NST(namespace tool) 데몬이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몬(803)은 도 3의 데몬(233)에 대응할 수 있다.
데몬(803)과 연결된 후, 전자 장치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동작 817에서 전달받은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 예를 들어, xenial. img 경로와 같은 정보들을 데몬(8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xenial. img은 전자 장치에서 게스트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의 이미지 파일로, 우분투 16.04 버전(xenial)의 이미지일 수 있다.
데몬(803)은 동작 818에서 xenial. img 경로와 같은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매니저(804)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마운트할 수 있으며,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를 마운트된 이미지의 스크립트(예: xstartup)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동작 819에서 데몬(803)으로부터 스크립트 업데이트와 같은 동작들에 대한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동작 820에서 다시 데몬(803)에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시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데몬(803)은 동작 821에서 스크립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매니저(804)의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VNC 서버는 동작 822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화면 구성 과정을 통해 업데이트된 스크립트 정보를 통해 필요한 타겟 패키지(예: 리눅스 패키지)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823에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1)은 VNC 서버와 디스플레이 또는 입력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배경 화면에서 한 번의 아이콘 클릭으로 원하는 리눅스 패키지를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동작 824에서 종료 요청을 데몬(8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의 종료 시 데몬(803)은 디스플레이 매니저(804)의 VNC 서버로 종료를 요청하며, 동작 825에서 해당 이미지를 언마운트(unmount)하는 정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826에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과 데몬(803)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서는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구성부들 중 예를 들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이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눅스를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내에서의 동작 흐름도(900)이다.
도 9에서는 리눅스를 실행하기 전 사전 준비 동작을 예시하고 있으며, 동작 방법은 910 내지 950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방법의 각 단계/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1 및 도 4의 전자 장치(101)(40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 및 도 2의 프로세서(120)(4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910 내지 950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910 동작에서 리눅스 패키지 객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눅스 패키지 객체는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만일 리눅스 패키지 객체가 선택되면 리눅스 운용체제와의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내에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930 동작에서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을 런처하여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예: 도 3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 도 8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802))은 사용자가 클릭한 리눅스 패키지 아이콘에 대응하여,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940 동작에서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타겟 리눅스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xenial image를 마운트하고, 스크립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어, 전자 장치는 VNC 서버를 실행하여 950 동작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스크립트 정보를 기반으로 리눅스 패키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동시 실행을 위한 화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1000)이다.
도 10에서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장치(101), 도 4의 전자 장치(401))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6a 및 도 6b의 외부 전자 장치(602))에 연결할 경우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10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검출되면, 일반 모드에서 확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모드는 예를 들어, 덱스(dex) 프로그램이 실행된 모드로, 외부 전자 장치에 또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모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4의 디스플레이(460))에만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전자 장치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의 메인 화면(1010)은 데스크 탑의 윈도우와 유사한 형태의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인 화면(1010)의 하단부의 작업표시줄 영역(1050)에 컴퓨터 윈도우의 작업표시줄에서와 같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 기능들, 설정 기능, 날짜 또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화면(1010)을 통해 웹 브라우징 윈도우(106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화면(1010) 상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 영역(1050)에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구동 중인 운영체제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화면(1010)에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과 같은 다양한 객체들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들(1020)이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들(1040)이 배치된 제2 영역들로 구성되는 레이아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레이아웃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화면(1010)은 제2 운영체제로의 진입을 위한 객체(1030)가 배치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운영체제로의 진입을 위한 객체(1030)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들(104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운영체제가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별도의 리눅스 진입을 위한 선택을 하지 않고도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를 한 번만 선택해도 리눅스 운용체제가 구동되면서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는 컨테이너(예: 도 3의 컨테이너(315))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1 운영체제(230)의 컨트롤 어플리케이션(23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화면 상에 제2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들 및 제2 운영체제로의 진입을 위한 객체는 운영체제의 구분 없이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과 리눅스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화면 내에서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리눅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 선택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도(1100)이다.
도 11에서는 메인 화면(1010)에 제2 운영체제로의 진입을 위한 객체(1030)가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운영체제로의 진입을 위한 객체(1030)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객체일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제2 운영체제로의 진입을 위한 객체(1030)를 선택할 경우, 리눅스 운영체제의 실행 화면(11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리눅스 운영체제의 실행 화면(1110)은 메인 화면(101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 선택에 대응하는 화면 예시도(1200)이다.
도 12에서는 메인 화면(1010)에 제2 운영체제에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들(1040)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객체들(1040)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할 경우, 리눅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220)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060)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220)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060)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220)은 메인 화면(1010)의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에서는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220)이 안드로이드 구동 화면인 메인 화면(1010) 상에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060)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메인 화면(1010)은 도 11의 리눅스 구동 화면(1110)으로 대체된 후에 리눅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220)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지라도 메인 화면(1010) 상에 동시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어, 실제로 리눅스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상에 표시되는 배경 화면(1310)에서 사용자가 아이콘(예: 데비안 패키지(.deb))(1320)을 선택할 경우, 리눅스 패키지가 안드로이드 상에서 실행된 것과 유사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행 화면(1330)은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하고 있으며, 제2 실행 화면(1340)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예: 데비안 패키지(.deb))(1320)을 클릭할 경우, 데비안 패키지는 실제로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지만 제2 실행 화면(1340)에서와 유사한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와 동일하게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운영체제의 동시 실행 시의 다양한 화면 예시도들(1400, 1500, 1600, 1700, 1800 및 1900)이다.
도 14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1410) 상에 제1 윈도우(1420), 제2 윈도우(1430) 및 제3 윈도우(1440)에서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운용체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도우(1420)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내 파일(my file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며, 제2 윈도우(1430)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며, 제3 윈도우(1440)에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김프(gimp)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1510) 상에 제1 윈도우(1520), 제2 윈도우(1530) 및 제3 윈도우(1540)에서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운용체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도우(1520)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며, 제 2윈도우(1530)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며, 제3 윈도우(1540)에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오피스(예: libreoffic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1610) 상에 제1 윈도우(1620) 및 제2 윈도우(1630)에서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운용체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도우(1620)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공유폴더(예: sharefolder)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며, 제 2윈도우(1630)에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공유폴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1710) 상에 제1 윈도우(1720) 및 제2 윈도우(1730)에서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운용체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도우(1720)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비디오/오디오(예: 유튜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며, 제 2윈도우(1730)에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비디오/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1810) 상에 제1 윈도우(1820) 및 제2 윈도우(1830)에서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운용체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도우(1820)에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실행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만일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입력창을 클릭한 경우 제 2윈도우(1830)에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실행한 화면이 표시되는 제1 윈도우(1820)가 전체 화면의 크기를 가지는 상태에서 제1 윈도우(1820) 및 제2 윈도우(1830)의 적어도 일부에 작게 표시되는 키보드를 예시하나, 도 19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1910) 상에 리눅스 운영체제를 실행한 화면인 제1 윈도우(1920)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입력창을 클릭할 경우 안드로이드 기반의 키보드가 확대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호스트 운영체제 기반의 화면 상에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동작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에서 리눅스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실제로 리눅스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입력 장치, 160: 표시 장치, 190: 통신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동안에,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특정 컨테이너로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특정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차지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외부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패키지 프로그램인,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이름,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이며, 상기 제2 운영체제는 리눅스 운영체제인,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서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된 동안에,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설치된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운영체제의 실행을 위한 특정 컨테이너로 할당하는 동작; 및
    상기 할당된 특정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된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1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객체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차지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외부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패키지 프로그램인,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패키지 이름,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제2 운영체제에 대한 타겟 패키지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0.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운영체제의 화면 상에 상기 제1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1 객체 및 제2 운영체제 기반에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제2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운영체제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180123408A 2018-10-16 2018-10-16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63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08A KR102631745B1 (ko) 2018-10-16 2018-10-16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6/576,137 US11347538B2 (en) 2018-10-16 2019-09-19 Method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EP19872936.0A EP3827333A4 (en) 2018-10-16 2019-10-14 PROCESS FOR ORDERING THE EXECUTION OF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A
CN201980063379.1A CN112771489A (zh) 2018-10-16 2019-10-14 控制异构操作系统和电子设备的执行的方法及其存储介质
PCT/KR2019/013424 WO2020080767A1 (en) 2018-10-16 2019-10-14 Method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08A KR102631745B1 (ko) 2018-10-16 2018-10-16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98A true KR20200042798A (ko) 2020-04-24
KR102631745B1 KR102631745B1 (ko) 2024-02-01

Family

ID=7015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408A KR102631745B1 (ko) 2018-10-16 2018-10-16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47538B2 (ko)
EP (1) EP3827333A4 (ko)
KR (1) KR102631745B1 (ko)
CN (1) CN112771489A (ko)
WO (1) WO2020080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7824A1 (zh) * 2017-06-16 2018-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设备
US20210326146A1 (en) * 2018-10-25 2021-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allation package for use with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CN111142939B (zh) * 2019-12-11 2023-04-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程序处理方法及装置
CN113641320B (zh) * 2021-08-16 2023-10-27 深圳技德智能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Linux兼容Android的共享屏幕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3691A1 (en) * 2009-07-20 2011-04-21 Galicia Joshua D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20120089992A1 (en) * 2010-10-01 2012-04-12 Imerj LLC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US20180109625A1 (en) * 2016-10-13 2018-04-19 Sierraware, Llc Method for cloud based mobile application virtualization
KR20180055627A (ko) * 2016-11-16 2018-05-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안드로이드 보안을 위한 듀오 os 모델 및 이를 탑재한 모바일 장치, 이를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보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2711B2 (en) 2009-07-20 2016-06-2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8868899B2 (en) 2009-07-20 2014-10-21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environments in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48633B2 (en) 2009-07-20 2016-05-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WO2012044539A2 (en) 2010-10-01 2012-04-05 Imerj, Llc Multi-operating system
WO2012138046A1 (ko) * 2011-04-04 2012-10-1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범용 운영체제 상에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249735B1 (ko) 2011-04-04 2013-04-03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범용 운영체제 상에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842091B2 (en) * 2013-03-15 2017-12-12 Google Llc Switching to and from native web applications
US9535569B2 (en) * 2013-05-23 2017-01-03 Rakuten Kobo, Inc. System and method for a home multimedia container
KR102296323B1 (ko) * 2015-01-14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
US9916233B1 (en) 2015-03-27 2018-03-13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containers for update deployment
US9849378B2 (en) * 2015-06-24 2017-12-26 Intel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remote play
US9961098B2 (en) * 2015-06-26 2018-05-01 Vmware, Inc. Container data offline and online scan in a cloud environment
GB201516227D0 (en) * 2015-09-14 2015-10-28 Horne Stephen And Hemmer Fabian And Von Oven Peter Running applications on a computer device
KR102000266B1 (ko) * 2016-01-15 2019-07-15 구글 엘엘씨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들에 걸친 식별자들
KR102543955B1 (ko) * 2016-05-12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607560B1 (ko) * 2016-05-1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507114B1 (ko) 2016-06-08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운영체제들의 화면을 통합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74845B2 (en) 2016-11-16 2019-11-12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Duo operating system for android security,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method of securing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3691A1 (en) * 2009-07-20 2011-04-21 Galicia Joshua D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20120089992A1 (en) * 2010-10-01 2012-04-12 Imerj LLC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US20180109625A1 (en) * 2016-10-13 2018-04-19 Sierraware, Llc Method for cloud based mobile application virtualization
KR20180055627A (ko) * 2016-11-16 2018-05-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안드로이드 보안을 위한 듀오 os 모델 및 이를 탑재한 모바일 장치, 이를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보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71489A (zh) 2021-05-07
KR102631745B1 (ko) 2024-02-01
US11347538B2 (en) 2022-05-31
EP3827333A1 (en) 2021-06-02
WO2020080767A1 (en) 2020-04-23
EP3827333A4 (en) 2021-09-15
US20200117499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745B1 (ko) 이종 운영체제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EP3092566B1 (en) Vehicle with multiple user interface operating domains
US11693707B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7507398A (ja) 複数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動作ドメインを有する車両
US20220100490A1 (en) Firmware updat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a for same
US20200310605A1 (en) Computing device with an appropriate adaptable user hardware interface
CN109271211B (zh) 应用程序的分身方法、装置、设备和介质
EP37726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data thereof
US20140351833A1 (en) Multi-computing environment operating on a single native operating system
KR10251658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업데이트 제어 방법
US116568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vehicle infotainment service
KR20140142116A (ko) 텍스트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1604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
US20160019602A1 (en) Advertise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836503B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and method therefor
KR102527824B1 (ko) 복수의 출력 화면 환경에서 가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46426A (ko) 어플리케이션의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09313B2 (en) Resource ca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90098516A (ko)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0107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클립 보드 운용 방법
CN113835846B (zh) k8s集群的创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1761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서버에 액세스하는 방법
Bhasarkar et al. Pendrive to Pendrive Selective Data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