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718A -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 Google Patents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718A
KR20200042718A KR1020180123227A KR20180123227A KR20200042718A KR 20200042718 A KR20200042718 A KR 20200042718A KR 1020180123227 A KR1020180123227 A KR 1020180123227A KR 20180123227 A KR20180123227 A KR 20180123227A KR 20200042718 A KR20200042718 A KR 2020004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integrated
terminal
ser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678B1 (ko
Inventor
윤병완
김경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2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6Mapping or translating multi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 및 단말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통합 에이전트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INTEGRATION TERMINAL FOR HOME SERVICE}
본 발명은 댁 내에 설치되는 통합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원격 서비스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IoT는, 이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물들을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정보통신 기술 내지 서비스이다.
이러한 IoT 기술은 스마트 홈(smart home), 스마트 헬스(smart health), 스마트 카(smart car)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IoT 기술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목한 스마트 홈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통신 네트워크가 구축된 주거 환경에서 사물인터넷 기능이 포함된 IoT 기기를 통해 생활 수준의 향상을 추구하는 시스템 전반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홈 서비스를 댁 내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WiFi AP(Access Point) 장치, IoT 게이트웨이(Gateway) 장치 및 셋탑박스(Set Top Box, STB)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단말들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댁 내 서비스 단말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하드웨어(H/W) 및 에이전트(Agent)를 기반으로 독립적인 관리, 제어 및 자동 개통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댁 내 서비스 단말들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가령, SNMP, TR-069 등)을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댁 내 서비스 단말들이 독립적인 프로토콜 및 제어 항목으로 운용될 경우, 단말 관리 서버에서는 각 서비스 단말 별로 독립적인 관리 및 제어만이 가능하고 통합적인 관리 및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댁 내 서비스 단말들과 단말 관리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하여 관리 및 제어 항목이 서비스 별로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댁 내에서 사용하던 복수의 서비스 단말들이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통합되어,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통합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한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정합시킬 수 있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각 서비스 에이전트 별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의 개별 제어 및 공통 제어가 가능한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 및 단말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통합 에이전트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은, AP 에이전트, G/W 에이전트, STB 에이전트 및 모뎀 에이전트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들은, TR-069 프로토콜 및 SNMP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단말 관리 서버와 통신할 때는 클라이언트(client) 역할을 수행하고,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과 통신할 때는 서버(server)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의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서비스 에이전트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개별 제어하거나 혹은 공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STB 에이전트의 자가 개통이 가능하도록, 단말 관리 서버와 STB 에이전트 간에 송수신되는 STB 개통 관련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단말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과의 통신을 위해 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단말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부,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과 통신하는 복수의 서버부,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합 에이전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댁 내에서 사용하던 복수의 서비스 단말들을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통합시킴으로써,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원격 서비스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시킴으로써,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통합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에이전트 별 식별자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AP 에이전트, G/W 에이전트 및 STB 에이전트의 개별 제어 및 공통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 서비스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서비스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서비스 에이전트 별 고유 식별자를 이용한 통합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와 셋탑박스 간의 자가 개통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와 통합 단말 간의 자가 개통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댁 내에서 사용하던 복수의 서비스 단말들이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통합되어,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통합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한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할 수 있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서비스 에이전트 별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의 개별 제어 및 공통 제어가 가능한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서비스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서비스 단말 관리 시스템(100)은, 댁 내에 위치하는 통합 단말(110)과, 댁 외에 위치하는 통신 네트워크(120) 및 단말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단말(110)은 댁 내에서 사용하던 복수의 서비스 단말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단말들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통해 다양한 홈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이다. 일 예로, 통합 단말(110)은 AP 서비스 기능, G/W 서비스 기능 및 STB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단말(110)은 통합 에이전트(111),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통합 단말(110)은 통신 모뎀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AP 에이전트(113)는 댁 내에 존재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주는 A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P 에이전트(113)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주소(IP address)를 댁 내 단말들이 서로 나눠 쓸 수 있도록 하는 IP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P 에이전트(113)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TR(Technical Report)-069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G/W 에이전트(115)는 댁 내에 존재하는 IoT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해주는 G/W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W 에이전트(115)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라우터(rout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G/W 에이전트(115)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STB 에이전트(117)는 텔레비전(TV)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텔레비전으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해주는 ST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TB 에이전트(117)는 주문형 비디오(VOD), IPTV, 홈쇼핑, 인터넷, 유튜브, 네트워크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TB 에이전트(115)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는, 단말 관리 서버(130)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를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는 단말 관리 서버(130)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113, 115, 117) 간의 통신을 중계하거나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통합 에이전트(111)는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각 서비스 에이전트(113, 115, 117)로 전달하고, 각 서비스 에이전트(113, 115, 11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에이전트(111)는 단말 관리 서버(130)와 통신할 때는 클라이언트(client)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각 서비스 에이전트(113, 115, 117)와 통신할 때는 서버(serv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단말 관리 서버(130)와 통합 에이전트(111)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합 에이전트(111)와 특정 서비스 에이전트(115, 117)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단말 관리 서버(130)와 통합 에이전트(111) 간에는 제1 통신 프로토콜(TR-069)이 사용될 수 있고, 통합 에이전트(111)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113, 115, 117) 간에는 제1 통신 프로토콜(TR-069) 및 제2 통신 프로토콜(SNMP)이 사용될 수 있다.
TR-069(Technical Report 069) 프로토콜은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WAN Management Protocol(CWMP)이라고 명명된 DSL 포럼의 기술 사양이다. TR-069 프로토콜은 단말장치의 원격 관리를 위한 응용 층 프로토콜로 정의된다. TR-069프로토콜은 양방향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HTTP로서 CPE와 ACS(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통상, TR-069 프로토콜은 SNMP보다 유연하고 신뢰성 있게 홈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은 전송제어통신규약(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인터넷통신규약(Internet Protocol, IP)에서 표준통신규약으로 채용된 관리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SNMP는 TCP/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TCP/IP 기반 네트워크에서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는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에이전트 별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의 개별 제어 및 공통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는 단말 관리 서버(130)와 STB 에이전트(117) 간에 송수신되는 STB 개통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여 전달함으로써, 통합 단말에서도 원격 제어를 통한 STB 자가 개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합 단말(110)과 연결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통합 단말(110)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상기 단말 관리 서버(130)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관리 및 제어가 용이한 TR-069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통합 에이전트(111)와의 통신을 통해,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를 원격에서 통합 관리하고, 일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관리 서버(130)는, 통합 에이전트(111)와의 통신을 통해, 통합 단말(110) 내의 STB 에이전트(117)를 자동으로 개통시킬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댁 내 가입자 별로, AP 정보, G/W 정보 및 STB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기존의 단말 관리 서버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AP 정보, G/W 정보 및 STB 정보를 관리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AP 정보, G/W 정보 및 STB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단말(110)은 통합 에이전트(111, 200),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에이전트(111, 200)는 클라이언트부(210),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제1 서버부(240) 및 제2 서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통합 에이전트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통합 에이전트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부(210)는 단말 관리 서버(130)와 통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부(210)는 TR-069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부(210)는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1 및 제2 서버부(240, 2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거나 혹은 상기 제1 및 제2 서버부(240, 2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부(240)는 AP 에이전트(113)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서버부(240)는 TR-069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P 에이전트(113)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서버부(240)는 클라이언트부(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AP 에이전트(113)로 전송하거나 혹은 AP 에이전트(11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버부(250)는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서버부(250)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서버부(250)는 클라이언트부(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거나 혹은 상기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통합 에이전트(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30)는 통합 에이전트(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통합 에이전트(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하기 위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230)는 TR-069 프로토콜과 SNMP 프로토콜을 서로 매핑하기 위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TR-069 프로토콜과 SNMP 프로토콜은 관리 및 제어 항목이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TR-069 프로토콜의 MO(Management Object)에 대응하는 SNMP 프로토콜의 OID(Object Identifier)를 정의한 다음 상기 TR-069 프로토콜의 MO와 SNMP 프로토콜의 OID를 서로 매핑시켜주어야 한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관리 서버(130)와 STB 에이전트(117) 간에 사용되는 TR-069 프로토콜의 제어 및 관리 항목들과 SNMP 프로토콜의 제어 및 관리 항목들을 서로 매핑하여 TR069-SNMP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통합 에이전트(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22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에이전트(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단말 관리 서버(130)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를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클라이언트부(210)와 제1 및 제2 서버부(240, 250) 간의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113, 115, 117)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정합(mapping)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제어 항목에 해당하는 OID를 포함하는 패킷(또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OID에 대응하는 MO를 검출하고, 상기 MO를 포함하는 패킷을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특정 제어 항목에 해당하는 MO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토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MO에 대응하는 OID를 검출하고, 상기 OID를 포함하는 패킷을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에이전트 별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의 개별 제어 및 공통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STB 에이전트(117)의 자가 개통이 가능하도록, 단말 관리 서버(130)와 STB 에이전트(117) 간에 송수신되는 STB 개통 관련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단말은 댁 내에서 사용하던 복수의 서비스 단말들을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통합시킴으로써,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원격 서비스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합 단말은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정합(mapping)시킴으로써,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한 통합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기존의 단말 관리 서버는 대표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기반으로 댁 내 서비스 단말들을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서버는 AP MAC 주소를 이용하여 AP 장치를 관리하고, G/W MAC 주소를 이용하여 G/W 장치를 관리하며, STB MAC 주소를 이용하여 STB 장치를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통합 단말의 경우, 통합 에이전트의 MAC 주소가 대표 MAC 주소이기 때문에, AP 에이전트, G/W 에이전트 및 STB 에이전트가 서로 구분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 및 제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통합 단말 입장에서는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최종 목적지를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말 관리 서버에서 서비스 에이전트 별 식별자 정보(또는 product class)를 활용하여 통합 단말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공통 및 개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5는 서비스 에이전트 별 고유 식별자를 이용한 통합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단말(110)은 통합 에이전트(111), AP 에이전트(113), G/W 에이전트(115) 및 STB 에이전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단말(110)은 통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미리 정의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단말(110)을 구성하는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공통적으로 관리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리셋(reset) 명령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통합 에이전트(111)에 해당하는 식별자 정보(S0)를 포함하는 패킷을 통합 단말(11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합 단말(110)은 상기 식별자 정보(S0)에 기초하여 모든 서비스 에이전트들(113, 115, 117)을 리셋하게 된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미리 정의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단말(110)을 구성하는 서비스 에이전트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리셋(reset) 명령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AP 에이전트(113)에 해당하는 식별자 정보(S1)를 포함하는 패킷을 통합 단말(11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합 단말(110)은 상기 식별자 정보(S1)에 기초하여 AP 에이전트(113)만을 리셋하게 된다.
또한,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리셋(reset) 명령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G/W 에이전트(115)에 해당하는 식별자 정보(S2)를 포함하는 패킷을 통합 단말(11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합 단말(110)은 상기 식별자 정보(S2)에 기초하여 G/W 에이전트(115)만을 리셋하게 된다.
또한,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리셋(reset) 명령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STB 에이전트(117)에 해당하는 식별자 정보(S3)를 포함하는 패킷을 통합 단말(11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합 단말(110)은 상기 식별자 정보(S3)에 기초하여 STB 에이전트(117)만을 리셋하게 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와 셋탑박스 간의 자가 개통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와 통합 단말 간의 자가 개통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STB 에이전트(20)가 댁 내에 최초로 설치되는 경우, STB 에이전트(20)는 단말 관리 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STB 자가 개통을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STB 에이전트(20)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STB 에이전트(20)는 STB 초기화 상태를 진행하게 된다(S610). STB 초기화 상태 완료 시, STB 에이전트(20)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미 등록 상태임을 지시하는 개통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10)로 전송하게 된다(S620). 이에 대응하여, 단말 관리 서버(10)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개통 및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개통 명령 메시지를 STB 에이전트(20)로 전송하게 된다(S630). 이를 수신한 STB 에이전트(20)는 자가 개통 및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STB 개통 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게 된다(S6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단말의 경우에도, 단말 관리 서버(130)와 STB 에이전트(117)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하여 STB 자가 개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합 단말(110)이 댁 내에 최초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통합 단말(110)의 STB 에이전트(117)는 통합 에이전트(111)를 통한 단말 관리 서버(130)와의 통신을 통해 STB 자가 개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단말(110)이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통합 단말(110)의 STB 에이전트(117)는 STB 초기화 상태를 진행하게 된다(S710). STB 초기화 상태 완료 시, STB 에이전트(117)는 개통 요청 명령에 해당하는 SNMP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Coldstart SNMP TRAP (CPEID: not-registered))을 포함하는 제1 개통 요청 메시지를 통합 에이전트(111)로 전송하게 된다(S720). 통합 에이전트(111)는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SNMP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에 대응하는 TR-069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을 검출할 수 있다(S730).
통합 에이전트(111)는 개통 요청 명령에 해당하는 TR-069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0 BOOTSTRAP (TR069 inform))을 포함하는 제2 개통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게 된다(S740). 이에 대응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는 개통 개시 명령에 해당하는 TR-069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CPEID, user pin, 개통시작요청)을 포함하는 제1 개통 명령 메시지를 통합 에이전트(110)로 전송하게 된다(S750).
통합 에이전트(111)는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TR-069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에 대응하는 SNMP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을 검출할 수 있다(S760). 통합 에이전트(111)는 개통 개시 명령에 해당하는 SNMP 프로토콜의 제어 항목(CPEID, userpin, hdsRequestSet)을 포함하는 제2 개통 명령 메시지를 STB 에이전트(117)로 전송하게 된다(S770). 이를 수신한 STB 에이전트(117)는 자가 개통 및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STB 개통 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게 된다(S780).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홈 서비스 단말 관리 시스템 110: 통합 단말
111/200: 통합 에이전트 113: AP 에이전트
115: G/W 에이전트 117: STB 에이전트
120: 통신 네트워크 130: 단말 관리 서버
210: 클라이언트부 22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40: 제1 서버부
250: 제2 서버부

Claims (10)

  1.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 및
    단말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통합 에이전트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은, AP 에이전트, G/W 에이전트, STB 에이전트 및 모뎀 에이전트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들은, TR(Technical Report)-069 프로토콜 및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통신할 때는 클라이언트(client)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에이전트들과 통신할 때는 서버(server)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각 서비스 에이전트 간의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개별 제어하거나 혹은 공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STB 에이전트의 자가 개통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상기 STB 에이전트 간에 송수신되는 STB 개통 관련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과의 통신을 위해 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에이전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부, 상기 서비스 에이전트들과 통신하는 복수의 서버부, 상기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합 에이전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KR1020180123227A 2018-10-16 2018-10-16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KR10260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27A KR102600678B1 (ko) 2018-10-16 2018-10-16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27A KR102600678B1 (ko) 2018-10-16 2018-10-16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18A true KR20200042718A (ko) 2020-04-24
KR102600678B1 KR102600678B1 (ko) 2023-11-10

Family

ID=7046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27A KR102600678B1 (ko) 2018-10-16 2018-10-16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6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668A (ko) * 2009-03-09 2011-11-21 알까뗄 루슨트 장치의 원격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482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1891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단말의 트래킹 서버 및 방법
KR20180064170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케이티 홈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668A (ko) * 2009-03-09 2011-11-21 알까뗄 루슨트 장치의 원격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482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1891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단말의 트래킹 서버 및 방법
KR20180064170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케이티 홈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678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7732B (zh) UPnP/DNLA兼容的MR-DVR
KR100854393B1 (ko) Xml 기반의 개인용 미디어 방송 플랫폼 및 자동 ip설정 방법
KR101482090B1 (ko) 재생 장치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US10412433B2 (en) Device provisioning
CN105282577B (zh) 智能家居机顶盒
US11012260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client devices using a virtual anchor manager
CN103491424A (zh) 一种用于iptv多屏互动的服务器系统及多屏互动的实现方法
US10264075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ultiplexing service information from sensor data
US20170288894A1 (en) Hdmi smart switch
CN104426726A (zh) 一种保护用户隐私和信息安全的智能家居系统
KR20130041600A (ko) 이종 플랫폼 단말 간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26431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P-based HDMI device
KR101563223B1 (ko)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조합을 통해 보안성과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스마트 가전 자원 기반의 하이브리드 홈 클라우드 시스템
CN103354595A (zh) 实现用户零配置的p2p网络摄像机系统
US20080168513A1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ption status of the broadcast receiver
KR102600678B1 (ko) 홈 서비스용 통합 단말
KR20150075827A (ko)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72100A (ko) 웹 콘텐트 서비스와 홈네트워크의 연동을 위한 웹 미디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3297666A (zh) 基于通用即插即用实现视频监控的方法、装置及系统
JP5584186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ストレージ装置
KR101038999B1 (ko) Dlna 디바이스 및 dlna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dlna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제어방법
KR101782884B1 (ko)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5282491A (zh) 基于智能电视的远程监视方法和系统
KR20070079860A (ko)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공인 ip를 통해 관리하는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99997A (ja) 学習型リモコン装置およびその操作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