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609A -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609A
KR20200042609A KR1020180122920A KR20180122920A KR20200042609A KR 20200042609 A KR20200042609 A KR 20200042609A KR 1020180122920 A KR1020180122920 A KR 1020180122920A KR 20180122920 A KR20180122920 A KR 20180122920A KR 20200042609 A KR20200042609 A KR 2020004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gital content
mode
switching
wor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683B1 (ko
Inventor
송재원
Original Assignee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83B1/ko
Priority to US16/553,270 priority patent/US10788961B2/en
Publication of KR2020004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609A/ko
Priority to US16/999,195 priority patent/US113473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이 아니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 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작업 영역을 판단하여 현재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모드 또는 실행모드로 자동 전환해주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플래쉬(Flash) 등과 같이 실행이 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저작 과정에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은 디지털 컨텐츠의 GUI 구성요소 편집 중 사용자의 트리거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리스폰스를 확인하려면, 별도의 인스턴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윈도우 등을 두어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의 편집과 실행을 번갈아 하기 위해, 여러 인스턴스를 사용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편집과 중간 산출물의 재연을 병렬적으로 진행함에 있어, 별도의 인스턴스 전환 없이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5-011041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 없이 작업 영역의 모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 전환된 모드와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의 일치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 영역 모드 전환 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를 변경시켜, 자동으로 전환된 모드에 대한 직관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작업 영역 모드 전환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상기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 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이 아니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실행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연 영역을 감싸는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연 영역의 일부만 상기 작업 영역에서 노출된 경우, 상기 재연 영역이 상기 작업 영역에 전부 표시되도록 뷰포인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연 영역의 외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재연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오브젝트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포인터가 상기 재연 영역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가 바뀌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추가하거나,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오프젝트를 편집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의 동적 변경을 정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기능은, 특히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프로토타입 툴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프로토타입 툴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트리거를 정의하기 위하거나, 상기 트리거 발생 시 상기 오브젝트에 발현되는 리스폰스를 정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 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실행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할 수 있는 상태인, 단계와 상기 재연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UI 객체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능이 정지된 UI 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는 상태인,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 외부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인터페이스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사이에 작업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 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 및 편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단위 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 상기 실행 모드 또는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로서, 기존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위해 별도의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GUI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에 의해 실행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에 의해 편집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 모드에서 재연 영역 밖으로 뷰 포인트가 벗어난 경우, 제2 UI객체의 선택에 의해 실행 모드로 전환 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UI객체 선택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전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mouse over)입력에 의해,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에 의해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을 위한 마우스 오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에 의해 작업 영역의 모드가 전환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에 의해, 재연 영역 외부의 UI객체 기능이 정지되고,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를 전환시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컨텐츠란, 텍스트, 음성, 화상, 영상 등 각종 정보형태를 결합하여 디지털화 한 컨텐츠로, 컴퓨팅 기기의 신호에 의하여 실행되는 형태의 컨텐츠로 정적 요소와 동적 요소로 구성된 형태를 의미한다. 정적 요소와 동적 요소에 대하여는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플래쉬, 동영상, 프로토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작업 영역이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서 제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재연 영역이란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영역으로 실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작업 영역에서 재연 영역의 외부의 오브젝트는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지만,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될 때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입력이란,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 또는 저작 단말에 대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타입 저작 툴에 대해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UI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 및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예를 들어 태블릿, 스마트폰, 노트북, PC등의 컴퓨팅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을 예시로 들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프로토타입 재생 툴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프로토타입 재생 툴은 프로토타입을 해석하고, 프로토타입에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실행 단말로 표현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예를 들어 태블릿, 스마트폰, PC, 노트북 등의 컴퓨팅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토타입 저작 단말을 예시로 들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팅 장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인 프로토타입 저작 툴이 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작 단말 또는 저작 단말로 표현 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은 일종의 소프트웨어로 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활동을 지원하는 저작 도구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실행시키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도 3)가 실행되며, 일정한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고,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말이며,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말로 볼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과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LAN,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 모두를 포함하며 이하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는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PDA,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에 접속하여 프로토타입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서버(130)에 상기 생성된 프로토타입을 업로드 할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게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200)이 디지털 컨텐츠 재연을 위해 별도의 인스턴스(220)를 사용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 UI객체(21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201)이 필요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별도의 인스턴스(220)를 만들어 디지털 컨텐츠의 시뮬레이션(221)을 실행하였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과 시뮬레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별도의 인스턴스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 하였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위한 별도의 인스턴스 및 사용자 입력을 없앰으로써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효율성을 제고 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장치(110)일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저작 장치(110)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장치(110)의 제조 시 기본 설치 된 소프트웨어 이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301)는 작업 영역(330)과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332)의 정적 요소를 편집하는 제1 UI객체가 위치하는 제1 영역(310) 및 상기 오브젝트(332)의 동적 요소를 편집하는 제2 영역(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적 요소란,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332)의 정적인 특징으로 재연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특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경우, 편집모드에서 사용자가 구획하고자 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레이어를 편집하거나,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을 정적 요소의 편집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적 요소란,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332)의 동적인 특징으로 재연해야 알 수 있는 특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경우,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인 트리거(Trigger), 트리거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응답인 리스폰스(Response), 트리거와 리스폰스의 연결관계를 의미하는 인터랙션(Interaction)을 편집하고 실행하는 것을 동적 요소의 편집이라고 한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프로토타이핑 툴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프로토타이핑 툴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프로토타입 저작 툴(301)은 오브젝트 및 레이어 등에 대해 추가, 삭제 및 변경 등의 정적 요소의 편집을 할 수 있는 제1 영역(310)과 트리거와 리스폰스 등에 대해 추가, 삭제 및 변경 등의 동적 요소의 편집할 수 있는 제2 영역(320), 그리고 저작되는 프로토타입이 표시되는 작업 영역(330)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프로토타입의 레이어 및 오브젝트(341)의 추가, 편집 등의 기능을 하는 제1 UI객체(311, 312)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로토타입의 레이어1를 표시하고 싶은 경우, 레이어1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UI객체(311)를 선택하면 작업 영역(330)에 레이어1을 표시하고, 오브젝트A(341)의 편집을 위한 UI객체(321)를 선택하면, 오브젝트A(332)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객체 선택에 의해 상기 정적 요소 편집 기능 외에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 할 수 있다. 편집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 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영역(320)은 프로토타입의 트리거 및 리스폰스의 추가, 편집 등의 기능을 하는 제2 UI객체(321)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오브젝트 A에 대한 드래그(Drag) 트리거가 입력되면 오브젝트A(332)가 움직인다는 리스폰스 설정을 하고 싶은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UI객체(321)를 선택함으로써 오브젝트A(332)에 대한 트리거 및 리스폰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객체(321) 객체 선택에 의해 상기 동적 요소 편집 기능 외에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할 수 있다. 실행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 영역(330)은 프로토타입 저작 툴에 의해 제작되는 프로토타입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310)과 상기 제2 영역(320)뿐 아니라, 작업 영역(330)도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프로토타입 저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332)의 위치를 수정하고 싶은 경우, 작업 영역(330)에 위치한 오브젝트(332)를 선택하고 드래그 함으로써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재연 영역(340)를 선택하고 드래그 함으로써, 재연 영역(3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재연 영역이 작업 영역에 모두 표시 되지 않는 경우는 이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작업 영역(330)은 편집 모드와 실행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할 수 있고,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 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GUI를 변경 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4 내지 도 7 에서 설명한다.
재연 영역(340)은 프로토타입이 실행되기 위해 확보 되어야 하는 영역으로, 프로토타입이 실행되는 경우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작업 영역(330)의 모드 전환 시, 재연 영역(340)의 외부를 둘러 싸는 프레임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사용자가 작업 영역의 모드를 구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상태(330a)에서, 사용자의 제1 UI객체(311)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330a)에서 편집 모드(330b)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상태(330a)에서, 레이어1의 표시 기능을 가진 UI객체(311)을 선택 할 경우, 사용자는 작업 영역에서 레이어 및 오브젝트의 편집을 하기 위해 편집 모드를 사용 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고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330b)로 전환한다. 만약,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이미 편집 모드인 상태(330b)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1 UI객체(311)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실행 모드의 재연 영역에서의 포인터(402)를 다른 형상(302)으로 변경할 수 있다. 포인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에서 재연하는 프로토타입에 대한 입력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 시 작업 영역(330a)의 인터페이스 중 재연 영역(330a)의 외부를 둘러 싸고 있던 프레임(341)을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연 영역의 외부를 둘러 싸고 있던 프레임(341)은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의 형태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로 인해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작업 영역(330a)이 실행 모드이고, 실행 모드에서 프로토타입을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처럼 재연 할 수 있음을 직감 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 변경으로 인해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에 대한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모드의 경우, 실행 모드에서 프로토타입의 재연을 위해 표시한 재연 영역(340) 내부에 표시 되는 오브젝트(332, 333)뿐 아니라 재연 영역(340)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1)도 편집할 수 있어야 한다. 제1 UI객체(312, 313, 314)에 대한 선택에 의해 작업 영역(330)이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실행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재연 영역(340)의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1)를 표시한다. 실행 모드에서 표시 되지 않는 오브젝트에 대하여는 이하 도 6에서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는 재연 영역(330) 외부의 오브젝트가 표시됨으로써,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브젝트A(331)를 표시하기 위해 제1 UI객체(312)를 선택하여 작업 영역(330)이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재연 영역(340) 내부에 표시 되는 오브젝트(332, 333)뿐 아니라, 재연 영역(340) 외부에 위치한 오브젝트(331)와 재연 영역의 경계에 있는 오브젝트(333)의 재연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부분도 표시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로 전환 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상태(330a)에서, 사용자의 제2 UI객체(321)에 대한 선택(302)이 있는 경우,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330a)에서 실행 모드(330b)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상태(330a)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해 오브젝트A가 움직이는 인터랙션을 정의하는 기능을 가진 제2 UI객체(32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302)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선택(302) 후 작업 영역에서 상기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재연할 것 이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고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330b)로 전환한다. 만약,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이미 실행 모드인 상태(330b)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2 UI객체(321)에 대한 선택(302)이 있는 경우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재연 영역(340)에 포인터가 진입함에 따라 포인터의 형상을 편집 모드에서의 포인터(302)와 다른 형상(40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행 모드의 재연 영역(340)에 진입함에 따라 포인터가 변경되면, 사용자는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재연 되는 것 임을 인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시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에 재연 영역(340)을 둘러 싸는 프레임(341)을 추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중인 프로토타입이 스마트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이라면, 재연 영역 외부에 스마트폰의 프레임 형태(341)을 추가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연 영역 외부에 프레임(341)이 추가됨에 따라, 현재 작업 영역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재연 할 수 있다고 직감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시 재연 영역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해 표시하지 않는 경우와 뷰포인트의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드는 프로토 타입 실행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만 재연하므로, 재연 영역(340b) 외부에 존재하는 프로토타입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재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330b)로 전환된 경우, 재연 영역(340b)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는 표시 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재연 영역(340b) 외부의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작업 영역(340b)이 실행 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330a)이 편집 모드일 때에는 재연 영역(340a) 내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2a), 재연 영역(340a)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1), 재연 영역(340a)의 경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3a)를 표시한다. 이후,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하면, 실행 모드의 재연 영역(340b)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1)는 표시 하지 않고, 재연 영역(340b) 내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2b)는 표시하며, 재연 영역(340b)의 경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3b)는 재연 영역(340b)에 속하는 일부만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드는 프로토타입을 재연해야 하므로, 프로토타입의 재연을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340b) 전부가 디스플레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편집 모드에서 재연 영역(340a) 밖으로 뷰 포인트가 벗어난 경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할 때 작업 영역(330a)의 뷰 포인트를 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330b)의 뷰포인트가 재연 영역(340b)의 중심에 맞춰진 경우 재연 영역(340b)은 작업 영역(330b)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행 모드로 전환 시, 작업 영역(330b)의 뷰포인트는 재연 영역(340b)을 전부 표시하도록 맞춰진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330a)에서 오브젝트(331)를 재연 영역(340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편집 하면, 해당 오브젝트(331)에 뷰포인트가 맞춰짐에 따라 재연 영역(340a)이 작업 영역(330a)에 전부 표시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프로토타입의 동적 편집을 위한 제2 UI객체(321)의 선택(302)에 따라 작업 영역(330a)의 모드 전환이 발생하면, 재연 영역(340a)을 작업 영역(330a)이 전부 표시하도록 뷰 포인트를 변경한다. 만약, 도 6과 같이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330a)이 재연 영역(340a)을 전부 표시하는 경우, 작업 영역(330a)의 모드가 전환되더라도 뷰 포인트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의 UI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작업 영역에 대한 입력이나, 제1 UI객체나 제2 UI객체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사용자가 정적 요소의 편집을 위해 제1 UI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기능을 수행한 후 편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거나 상기 제1 UI객체의 기능과 유사한 편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자동으로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S521).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편집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와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522).
단계 S530에서, 사용자가 동적 요소의 편집 위해 제2 UI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기능을 수행한 후,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가 의도한 트리거의 발생시 올바른 리스폰스를 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제2 UI객체의 기능과 유사한 편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모드로 전환한다(S531).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실행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의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의 형상과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다(S532).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 모드는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에 뷰 포인트를 맞추고, 재연 영역 내의 오브젝트만 표시할 수 있다(S532).
상기 설명한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상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마우스 오버(mouse over)에 의해 작업 영역의 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포인터가 제 1영역(310)과 제 2영역(320)중 어느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제 1영역(310)과 제 2영역(320) 사이에 작업 영역(330)이 위치하도록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영역, 제 2영역, 작업 영역을 수평으로 배열했으나,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디지털 컨텐츠의 예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할 때,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330a), 프로토타입의 정적 요소를 편집 할 수 있는 제1 영역(31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를 하면, 사용자가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UI객체를 선택하기 전이라도 정적 요소를 편집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31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가 되는 경우, 작업 영역(330a)을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집 모드로 전환 시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재연 영역 외부를 둘러 싸던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마우스 포인터(302c) 변경을 함으로써,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할 때,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경우(330a), 프로토타입의 동적 요소를 편집 할 수 있는 제 2영역(32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를 하면, 사용자가 제2 영역(320)에 존재하는 제2 UI객체를 선택하기 전이라도 동적 요소를 편집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32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가 되는 경우, 작업 영역(330a)을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6 및 7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 모드로 전환 시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재연 영역 외부를 프레임으로 둘러 싸거나, 마우스 포인터 변경을 함으로써,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포인터가 진입하는 영역만 고려하여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한다면, 사용자가 상기 진입하는 영역을 지나쳐 다른 영역의 UI객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불필요한 모드 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포인터(302a, 302b, 302b)가 머물고 있는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인 경우, 포인터의 이동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린 경우 및 포인터가 머물고 있는 위치의 좌표 등을 고려하여 작업 영역의 화면 전환을 수행 한다면 불필요한 모드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 기준속도 및 특정 위치의 좌표는 사용자가 지정한 값일 수 있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한 평균값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연산 및 통계를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할 때, 사용자 제 2영역(320)이 아닌 다른 영역(350)에 가기 위해 제2 영역(320)을 지나친 경우, 제2 영역(320)에 마우스가 진입함에 따라, 작업 영역(330)을 실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 경우, 포인터(302a, 302c)는 제2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제2 영역으로 진입한 포인터(302a, 302b)와 달리 기준 속도 이상으로 제2 영역(320)을 지나칠 것이다. 따라서 작업 영역(330)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용자가 제2 UI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제2 영역(320)에 마우스 오버를 한 경우(302a, 302b), 제2 영역 에서의 포인터의 이동 속도는 기준 속도보다 낮고, 제2 영역(320)에 기준 시간 이상 머문다. 따라서, 작업 영역(330)을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
이하,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의 모드가 전환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의 UI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610).
단계 S620에서 오브젝트의 정적 요소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제1 UI객체들이 있는 제1 영역에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21).
예를 들어, 단계 S620에서 레이어 추가를 위한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제1 영역에 포인터가 진입한 경우, 작업 영역은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21).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편집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 모드로 전환 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작업 영역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622).
한편, 단계 S630에서 오브젝트의 동적 요소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제2 UI객체들이 있는 제2 영역에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31).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리스폰스를 추가하기 위한 UI객체의 선택을 위해 제2 영역에 포인터가 진입한 경우, 작업 영역은 실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편집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작업 영역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63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드는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재연 영역에 뷰 포인트를 맞추고, 재연 영역 내의 오브젝트만 표시할 수 있다(S632).
상기 설명한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301)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를 전환시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디지털 컨텐츠의 예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할 때,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프로토타입 저작 툴(301)의 재연 영역(340)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입력(302)을 받아 작업 영역(330)을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 모드에서는, 재연 영역(340) 외부 UI객체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저작을 할 수 없고, 재연 영역(340) 내에서 프로토타입의 재연만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프로토타입 저작 툴에서 재연 영역(340) 외부의 GUI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재연 영역 외부를 어둡게 처리 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흐릿한 표시, 블러(BLUR) 표시, 초점을 흐리는 표시 등을 통해 재연 영역(340)과 구별되고, 재연 영역(340) 외부 GUI가 비활성화 되었음을 직관할 수 있는 표시를 모두 포함한다. 재연 영역(340) 외부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재연 영역(340) 외부 UI객체의 기능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려 줄 수 있다.
따라서, 재연 영역(340) 외부 UI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302)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실행 모드를 끝내고 프로토타입의 GUI를 편집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므로, 자동으로 작업 영역(330)은 편집 모드로 전환된다.
도 14을 참조하여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UI객체(321)를 선택(302)하여, 실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드래그가 트리거로 입력되면 오브젝트A가 움직이는 리스폰스를 하는 인터랙션을 정의하는 기능을 가진 제2 UI객체(32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302)이 있는 경우, 작업 영역은 실행모드로 전환된다. 실행 모드의 경우 재연 영역에서 프로토타입을 재연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재연 영역 외부의 UI객체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켜도 프로토타입을 재연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고, 재연 영역 외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재연 영역에 집중 할 수 있어,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직관성이 높아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6 및 7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 모드로 전환 시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재연 영역 외부를 프레임(341)으로 둘러 싸거나, 마우스 포인터(302, 402) 변경을 함으로써,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의 사용자 입력을 제한함에 따라 모드를 전환시키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편집 모드로 실행 한다(S701).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을 시작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처음 실행 시킨 경우, 사용자는 먼저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추가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GUI를 편집한다. 따라서, 초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은 편집 모드로 시작한다.
단계 S702에서, 사용자가 동적 요소를 편집하기 위해 제2 UI객체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가 의도한 트리거에 대한 올바른 리스폰스를 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제2 UI객체의 기능과 유사한 편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S703).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실행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다(S704).
또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 UI객체의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실행 모드에서 사용자는 재연 영역의 내부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하므로, 재연 영역 외부 UI객체의 기능을 비활성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연 영역에 집중 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재연 영역 외부 UI객체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다시 디지털 컨텐츠 GUI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으므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을 다시 편집 모드 전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작업 영역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706).
상기 설명한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디스플레이(8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 스토리지(805)를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제작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1)는 제작 단말(11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8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작 단말(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802)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80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방법을 수행하기 하여 스토리지(805)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806)을 로드(Load)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03)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GUI상에서 레이어를 편집하기 위한 UI객체, 트리거와 리스폰스를 편집하기 위한 UI객체, 저작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 및 재연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803)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출력부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태블릿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 이거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제작 단말(11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각종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인터넷을 통해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 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 단말(120)은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디지털 컨텐츠 상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스토리지(805)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등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805)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80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806)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프로그램(806)의 예시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소프트웨어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805)에 실행 단말(120)로부터 수신되거나, 제작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컨텐츠 저작을 위한 입력 사항 및 각종 설정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작 단말(11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실행 단말(12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실행 단말(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작 단말(110)에 대한 설명 중,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에 관련된 실시예는 실행 단말(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행 단말(120)은 상기 제작 단말(110)의 각 구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이 아니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편집하기 위한 모드이고,
    상기 실행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하기 위한 모드인,
    화면 모드 전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을 감싸는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의 일부만 상기 작업 영역에서 노출된 경우, 상기 재연 영역이 상기 작업 영역에 전부 표시되도록 뷰포인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의 외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재연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영역이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된 후에 포인터가 상기 재연 영역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의 형상이 상기 작업 영역이 상기 편집 모드일 때와 상이하게 바뀌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추가하거나,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오프젝트를 편집하는 기능인,
    화면 모드 전환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의 동적 변경을 정의하기 위한 기능인,
    화면 모드 전환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프로토타이핑 툴(prototyping tool)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트리거(trigger)를 정의하거나, 상기 트리거 발생 시 상기 오브젝트에 발현되는 리스폰스(response)를 정의하기 위한 기능인,
    화면 모드 전환 방법.
  9.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한 실행 모드에서, 상기 작업 영역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재연 영역 외부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편집하기 위한 모드인,
    화면 모드 전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한 실행 모드에서, 상기 작업 영역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 외부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되도록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11.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사이에 작업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 영역에 지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2 영역에 지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
KR1020180122920A 2018-10-16 2018-10-16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KR10222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20A KR102221683B1 (ko) 2018-10-16 2018-10-16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US16/553,270 US10788961B2 (en) 2018-10-16 2019-08-28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mode of work screen of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US16/999,195 US11347382B2 (en) 2018-10-16 2020-08-21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mode of work screen of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20A KR102221683B1 (ko) 2018-10-16 2018-10-16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54A Division KR102230389B1 (ko) 2021-02-23 2021-02-23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609A true KR20200042609A (ko) 2020-04-24
KR102221683B1 KR102221683B1 (ko) 2021-03-03

Family

ID=7016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20A KR102221683B1 (ko) 2018-10-16 2018-10-16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788961B2 (ko)
KR (1) KR1022216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891A (ko) * 2020-08-07 2022-02-15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20954B2 (en) 2019-12-24 2022-05-03 Studio Xid Kore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417A (ko) 2004-05-19 2005-11-23 이은혜 레이어 기능을 이용한 웹페이지 구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00054330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저작 방법 및저작 도구
KR20120134932A (ko) * 2011-06-03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4683A (ja) * 2006-01-04 2007-07-19 Eastman Kodak Co 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474438B1 (ko) * 2008-05-08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통신서비스 차단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US8856950B2 (en) * 2010-12-21 2014-10-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information therein including first operating system acting in first mode and second operating system acting in second mode
JP5802234B2 (ja) * 2013-03-28 2015-10-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US9998781B2 (en) * 2013-06-05 2018-06-12 Hulu, LLC Media player operating in multiple modes
US10853837B2 (en) * 2013-10-07 2020-12-01 Adobe Inc. Integrated testing, targeting and measuring of web site components
KR102206053B1 (ko) * 2013-11-18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5168849A1 (zh) * 2014-05-05 2015-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拟真桌面建立方法及相关装置
JP2016206352A (ja) * 2015-04-20 2016-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ならびに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417A (ko) 2004-05-19 2005-11-23 이은혜 레이어 기능을 이용한 웹페이지 구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00054330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저작 방법 및저작 도구
KR20120134932A (ko) * 2011-06-03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954B2 (en) 2019-12-24 2022-05-03 Studio Xid Kore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20018891A (ko) * 2020-08-07 2022-02-15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683B1 (ko) 2021-03-03
US20200117327A1 (en) 2020-04-16
US20200379618A1 (en) 2020-12-03
US11347382B2 (en) 2022-05-31
US10788961B2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1487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US117752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d interacting with a companion-display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11392283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window manipulation and management
TWI522889B (zh) 管理使用者介面中之工作空間
KR1018998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NL2007617C2 (en) Manag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US9081491B2 (en) Controlling and editing media files with touch gestures over a media viewing area using a touch sensitive device
WO2016034023A1 (zh) 触发终端的方法及相关设备
US20160092043A1 (en) Timeline View of Recently Opened Documents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KR2014007273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280777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において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30389B1 (ko)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US1196592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adverse device conditions
TW201525836A (zh) 頁面操作回饋的方法和裝置
JP2016528600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一部分の選択方法
CN10414279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TW201324312A (zh) 具有觸摸屏的電子設備及其頁面處理方法
KR2019002101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1683B1 (ko)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
JP202005304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ビルダ
KR201401358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238879A (zh) 应用程序窗口的移动方法和装置
CN105183707A (zh) 一种内容编辑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