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596A -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596A
KR20200042596A KR1020180122891A KR20180122891A KR20200042596A KR 20200042596 A KR20200042596 A KR 20200042596A KR 1020180122891 A KR1020180122891 A KR 1020180122891A KR 20180122891 A KR20180122891 A KR 20180122891A KR 20200042596 A KR20200042596 A KR 2020004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frame
printer
print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희태
이원수
문린철
Original Assignee
(주)안마이크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마이크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안마이크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2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596A/en
Publication of KR2020004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5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2Printhead constructions to prevent nozzle clogging or facilitate nozzle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B41J2002/165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nd a method for recovering ink us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a nozzle from being clogged and allow a uniform amount of ink to be discharged at a head unit of a printer (including a coating machine, and referred to as ″printer″ hereinafter) which can perform printing or coating on a printing medium such as paper, an iron plate and the like,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and printing quality of a printing proces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recovered ink from flying to the periphery when a nozzle cleaning work is performed through a spitting process or a purging process which discharg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head unit of the printer. To this end, the present printer may comprise: an ink receiving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ink falling after being recovered by an ink recovery unit which recovers the ink generated during a cleaning work with respect to each nozzle of the head unit of the printer; an elevating unit which vertically elevates the ink receiving container; a support unit which supports such that the elevating unit may maintain a predetermined space from the floor; and an ink recovery container which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store the ink which is recovered. Here, the ink recovery unit has a structure which can be horizontally moved to the outside of a frame, in order to minimize the recovered ink from flying to the periphery during a nozzle cleaning work of the head unit of the printer. Consequently, contamination around the ink recovery container can be prevented, and the outer design of the device can be further beautified.

Description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nd an ink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이, 철판, 합성수지판 등의 인쇄매체에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기('코팅기'를 포함한다. 이하 '프린트기'라 함)의 헤드부에서 노즐의 막힘 등을 방지하고 균일한 양의 잉크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 공정의 신뢰성과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할 때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에 대하여 회수되어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과;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가 바닥과 일정 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일정 공간내에 위치하여 상기 회수되는 잉크를 보관하는 잉크 회수통;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잉크 회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노즐 청소 작업을 할 때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회수 잉크통 주위의 오염을 방지하고 장치의 외형 디자인을 한층 미려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logging of the nozzle and the like in a uniform amount of ink at the head of a printing machine (including a 'coat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nting machine') that prints or coats on a printing medium such as paper, iron plate, synthetic resin plate, etc.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print quality of the printing process by discharging, the nozzle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 a spit operation or a purging operation that discharges th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for minimizing scattering of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and an ink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nk generated when cleaning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unit An ink receiving passage accommodating ink which is collected and dropped with respect to an in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 lifting unit for moving the ink container up and down;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ifting portio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floor; An ink recovery container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store the recovered ink; Consisting of, etc., b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horizont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the ink recovery part can minimize the scattering of the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when cleaning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round the collected ink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nd an ink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to prevent and further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트기는 종이, 철판, 합성수지판 등의 인쇄매체에 헤드내에 다수개의 노즐을 사용하여 인쇄 또는 코팅하는 장치이다. 상기 프린트기는 인쇄 또는 코팅할 때 프린트 헤드부의 노즐들이 막힘 없이 동일한 양의 잉크를 토출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프린트기가 장시간 사용되면 상기 노즐들의 주변에 잔존 하는 미량의 잉크 및 상기 노즐들 내의 존재하는 잉크에 이물을 포함하고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노즐 청소 작업이 필요하다.In general, an inkjet printer is a device that prints or coats a printing medium such as paper, iron plate, or synthetic resin plate by using a plurality of nozzles in the head. When printing or coating, it is important that the nozzles of the print head discharge the same amount of ink without clogging. When the printer is us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use a small amount of ink remaining around the nozzles and ink existing in the nozzles. Nozzle cleaning is requi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o completely remove them.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상기 노즐 청소작업으로는, 인쇄 작업 중 5~10분 정도 인쇄를 중단하여 프린트 헤드부의 노즐들의 관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를 조금씩 마침 침을 뱉듯이 분사하는 작업인 스핏(SPIT) 작업과, 장시간 설비를 미사용하다가 재사용시 또는 하루 프린트 작업 시작 전에 노즐 상태를 점검하거나 노즐 표면을 청소하거나 프린트 헤드부의 노즐이 막힘을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잉크를 토해내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이 있다.As the nozzle cleaning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portion, the ink is stopped for 5 to 10 minutes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to finish ink little by little to prevent clogging of the nozzles of the print head portion. SPIT operation, which is a spraying operation, and a large amount of equipment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nozzle, clean the nozzle surface, or prevent clogging of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during reuse or after a day of printing after a long period of non-use There is a purging operation that throws up ink.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 프린트 헤드와 잉크 회수통의 높이 차이가 있어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시 발생되는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잉크 회수통의 주위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when the nozzle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pit operation or purging oper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ink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generated during the spit operation or purging opera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k was scattered around and the surroundings of the ink collection container were easily contaminated.

상기와 같이 프린트기에 노즐을 청소하는 기술에 관해서는 공개특허공보 10-2008-0051794호와 특허공보 제10-120583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cleaning a nozzle in a print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5179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0583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프린트 헤드부에서 노즐의 막힘 등을 방지하고 균일한 양의 잉크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 공정의 신뢰성과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할 때 프린트 헤드부로부터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를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하부와 최대한 접근 시키게 하여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revents clogging of nozzles, etc., and discharges a uniform amount of ink from the print hea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print quality of the printing process. In order to do this, the ink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ink falling from the print head portion when performing nozzle cleaning through a spit operation or purging operation that discharges th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for minimizing scattering of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by ascending and allowing the ink container to approach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nk recovery method using a printer equipped with the improved ink recover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는, 인쇄 또는 코팅될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인쇄매체 투입부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린트기에 있어서, 상기 잉크 회수부는, 회수되어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과;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가 바닥과 일정 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일정 공간내에 위치하여 상기 회수되는 잉크를 보관하는 잉크 회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잉크 회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inter equipped with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inting medium input unit for inputting a print medium to be printed or coated, and a horizontal position to the outside of the frame, located at the top of the frame A printing machine comprising a print head portion capable of printing or coating the print medium and an ink recovery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to recover ink generated when cleaning the nozzles of the print head portion , The ink recovery unit, the ink receiving passage to receive the recovered and dropped ink; A lifting unit for moving the ink container up and down;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ifting portio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flo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k recovery container that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store the recovered ink, and the ink recovery un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horizontally moved outside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 회수부가 상기 프레임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프린트 헤드부도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뒤, 상기 잉크 회수부의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하부에 최대한 가깝게 접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ink recovery unit moves out of the frame and the print head unit moves out of the frame in order to recover the ink generated when cleaning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unit,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collecting container is raised so that the ink collecting container is approach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X자형 리프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portion for lifting the ink container up and down uses an X-shaped lif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 양측면에 슬라이드 바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 이동 안내바를 설치하여, 상기 잉크 회수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ba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horizontal movement guide bar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ink recovery portion can be horizontally moved outside the fra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은, 인쇄 또는 코팅될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인쇄매체 투입부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린트기를 이용하여 잉크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잉크 회수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린트 헤드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잉크 회수부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부로부터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를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하부와 최대한 접근 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린트 헤드부에서 노즐 청소작업 시행하여 노즐 내에 잔존 잉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k recovery method using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ing medium input unit for inputting a print medium to be printed or coated, and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can be horizontally moved outside the frame And a print head unit for printing or coating the print medium and an ink recovery uni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to recover ink generated when cleaning the nozzles of the print head unit. A method for recovering ink, comprising: moving the ink recovery unit to the outside of the frame; Moving the print head portion out of the frame; A step in which the ink collecting portion raises an ink collecting container for receiving ink falling from the print head portion, so that the ink collecting container approa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portion as much as possible; And removing residual ink in the nozzle by performing a nozzle cleaning operation in the print head .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회수방법은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할 때 프린트 헤드부로부터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를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하부와 최대한 접근 시키게 함으로써,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k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the nozzl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spit operation or a purging operation that discharges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portion By doing so, the ink receiving container containing the ink falling from the print head portion is raised to allow the ink receiving container to approach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portion as much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scattering of the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또한,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부의 노즐 청소 시에는 상기 잉크 회수부를 설비 프레임 외측으로 노출시키지만, 평상 시에는 잉크 회수부를 설비 프레임의 내부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the ink recovery unit outside the facility frame when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is cleaned, but at normal times, the ink recovery unit is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facility frame to improve the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에서 일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서 잉크 회수부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된 외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그 측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에서 잉크 회수부의 외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잉크 회수통의 상세도
도 5의 (a)는 본 발명에서 프린트 헤드부가 잉크 회수부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된 외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잉크 받이통이 상승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부가 프레임 내부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회수 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that can confirm the interior part of the printer with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k recovery unit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side view thereof
Figure 4 (a) is a detailed view of the appearance of the ink recovery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detailed view of the ink recovery container
Figure 5 (a) is a print hea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ternal view of the ink recovery portion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Figure 5 (b) is a side view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ink container is raised in the state of Figure 5
7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int head is moved into the frame in the state of FIG. 6;
8 is a process flow diagram for an ink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종이, 철판, 합성수지판 등의 인쇄매체에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기(‘코팅기’ 포함) 의 헤드부에서 노즐의 막힘 등을 방지하고 균일한 양의 잉크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 공정의 신뢰성과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린트기에서 헤드부에 있는 노즐들의 상태를 유지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전 또는 작업중에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을 실시하여 헤드부의 노즐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해야만 하는데,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할 때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logging of nozzles, etc., and discharges a uniform amount of ink from the head of a printing machine (including a 'coating machine') that prints or coats on a printing medium such as paper, iron plate, synthetic resin plate, etc.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print quality, in order to maintain and check the condition of the nozzles in the head part of the printer, the nozzle condition of the head part must be maintained at the best by performing a spit or purging operation before or during work. However, when the nozzle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 a spit operation or a purging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an improvement is made to minimize scattering of the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A printer having an ink recovery unit and an ink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concretely referring to the attached drawings Explain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에 대하여 도 1 , 도 2 및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4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는, 외형으로 볼 때 도 1및 도 2에 도시된 사각통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인쇄 또는 코팅될 종이, 철판, 합성수지판 등의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인쇄매체 투입부(21)와, 상기 인쇄매체를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 헤드부(30)가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40) 등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 회수부(40)가 위치한 프레임(10)에는 상기 잉크 회수부(40)를 커버하기 위한 잉크 회수부 커버(11)이 설치되어 있다. 그 외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잉크매체의 인쇄 또는 코팅 위치를 확인하는 얼라인 카메라부(22)와 상기 얼라인 카메라부(22)에 촬영한 영상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23) 등이 설치된다.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externally, the frame 10 of the rectangular cylinder shape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paper to be printed or co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 A printing medium input section 21 for inputting a printing medium such as an iron plate or a synthetic resin plate, and a print head section 30 for printing or coating the printing medium are formed, and the print head sec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10. An ink recovery unit 40 is configured to recover the ink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for each nozzle. The frame 10 in which the ink recovery unit 40 is located is provided with an ink recovery unit cover 11 for covering the ink recovery unit 40. In addition, an alignment camera unit 22 for checking the printing or coating position of the ink medium and a monitor 23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on the alignment camera unit 22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frame.

상기 프린트 헤드부(30)는 헤드부 수용케이스(31) 내에 수납되어 상기 헤드부 수용케이스(31) 외부인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잉크 회수부(40)도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The print head part 30 is housed in the head part accommodating case 31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horizontally moved outside the frame 10 outside the head part accommodating case 31, and the ink recovery part 40 is also the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horizont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상기 잉크 회수부(40)는, 회수되어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41)과,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45)가 바닥과 일정 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일정 공간내에 위치하여 상기 회수되는 잉크를 보관하는 잉크 회수통(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잉크 받이통(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파지할 수 있는 잉크 받이통 손잡이(41a)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잉크 받이통(41)으로 낙하되는 회수잉크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구비된 잉크 받이통 배출구(41b)를 향해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는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 리프트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부는 X자형 리프트(45a)의 상부 일측이 상기 잉크 받이통(41)과 고정축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X자형 리프트(45a)의 하부 일측이 상기 지지부와 고정축(45c)에 의하여 고정되며, X자형 리프트(45a)의 상부 타측이 상기 잉크 받이통(41)이 슬라이딩축에 결합되고 상기 X자형 리프트(45a)의 하부 타측이 상기 지지부와 슬라이딩축(45d)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실린더(45b)를 신장시키면 X자형 리프트(45a)가 상기 슬라이딩축(45d)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강되고, 상기 실린더(45b)를 수축시키면 X자형 리프트(45a)가 상기 슬라이딩축(45d)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X자형 리프트(45a)를 사용하되 상기 실린더(45b)를 대신하여 완충기를 사용하고 수동으로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승강시키게 하거나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직접 승강시키는 상승 실린더를 사용하든지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하 이동 볼스크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5)가 바닥과 일정 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의 지지프레임(43a)과, 상기 지지프레임(43a)의 네모서리를 지지하는 포스트(43b)와, 상기 지지부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의 하부 양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드바(43c)와, 바닥에 형성된 바닥부(43d)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3a)의 측면에는 상기 잉크 회수부(40)를 이동할 때 파지하여 사용되는 잉크 회수부 손잡이(44)가 설치된다. 상기 잉크 회수부 손잡이(44)는 상기 잉크 받이통 손잡이(41a)와 직교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k recovery part 40 includes: an ink receiving container 41 accommodating the collected and dropped ink, and a lifting unit for moving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up and down;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ifting portion 45 to maintain a floor and a predetermined space; It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is composed of an ink recovery container (46) for storing the recovered ink. The ink container 41 is provided with an ink container handle 41a capable of holding the ink container 41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4, and therein the ink container 41 It has a structure inclined toward the ink container outlet (41b)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recovered ink that is dropped into it can be easily discharged. As an embodiment, the elevating unit for vertically elevating the ink container 41 may be an X-shaped lift as shown in FIG. 4. In this case, the lifting part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X-shaped lift 45a by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and a fixed shaft, and the lower one side of the X-shaped lift 45a by the support part and the fixed shaft 45c. It is fixed, the upper other side of the X-shaped lift (45a) is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is coupled to the sliding shaft, and the lower other side of the X-shaped lift (45a)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liding shaft (45d). In this structure, when the cylinder 45b is extended, the X-shaped lift 45a descends while moving to the right along the sliding shaft 45d, and when the cylinder 45b is contracted, the X-shaped lift 45a causes the sliding As it moves to the left along the axis 45d, it rises. The elevating unit for vertically elevating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uses an X-shaped lift 45a as another embodiment, but uses a shock absorber instead of the cylinder 45b and manually raises and lowers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It is possible to use an upward cylinder that causes the ink container 41 to elevate, or to use a vertically moving ball screw operated by a motor.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lifting part 45 to maintain the floor and a predetermined space, a support frame 43a having a square frame shape, and a post 43b supporting a square of the support frame 43a. ), And a slide bar (43c)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43d) formed on the floor.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43a is provided with an ink recovery part handle 44 that is gripped and used when moving the ink recovery part 40. The ink recovery part handle 44 is preferably install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ink container handle 41a.

상기 바닥부(43d)의 상부에는 노즐 청소 작업 중 회수되는 상기 잉크 회수통(46)과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노즐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통(46a)을 구비한다. 상기 잉크 공급통(46a)의 측부에는 상기 헤드부(30)에 노즐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 펌프(47)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잉크 회수통(46)에 잉크가 가득차는 경우를 감지하는 만수위 센서를 더 설치하여 상기 잉크 회수통(46)의 잉크가 만수위가 될 경우 상기 만수위 센서가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하게 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43d) is provided with an ink supply container (46a) for supplying ink to the ink collection container (46) and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unit 30 is recovered during the nozzle cleaning operation. On the side of the ink supply container 46a, an ink supply pump 47 for supplying ink to the nozzle is installed in the head part 30. In addition,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when the ink is full is installed in the ink collection container 46, so that when the ink in the ink collection container 46 reaches a water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senses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상기 잉크 회수부(40)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 양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바(43c)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 이동 안내바(12)를 따라 상기 잉크 회수부(40)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수평 이동 수단이 슬라이드바(43c) 대신에 LM 가이드 또는 도브 데일(dove tale) 구조 등으로 할 수 있다.The ink recovery unit 40 is a slide bar (43c)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guide bar 12 installed below the frame 10, the ink recovery unit 40 is the frame (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horizontal movement to the outside of 10). As another embodiment, the horizontal moving means may be an LM guide or a dove tale structure instead of the slide bar 43c.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회수부(40)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프린트 헤드부(30)도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뒤, 상기 잉크 회수부(40)의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41)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하부에 최대한 가깝게 접근되게 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ink recovery unit 40 moves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and recovers the ink generated when cleaning jobs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unit 30 are performed. After moving the print head unit 30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of the ink recovery unit 40 is raised to raise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so that the print head unit ( 30) to be approach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ottom of the print head portion 3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cattering of the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when cleaning for each nozz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잉크 회수 방법에 대하여 도 3. 도 5내지 도8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ink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를 이용한 잉크 회수 방법은, 인쇄 또는 코팅될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인쇄매체 투입부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 헤드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40) 등으로 구성된 프린트기를 이용하여 잉크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ink recovery method using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 media input unit for inputting a print medium to be printed or coated, and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frame, and is horizontally movable outside the frame. The print head portion 30 for printing or coating a print medium, and the ink recovery to b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to recover ink generated when cleaning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portion 30 It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ink using a printer consisting of a portion (40).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할 때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잉크 회수 방법으로서,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설치된 잉크 회수부 커버(11)를 제거하고 상기 잉크 회수부(40)를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수작업으로 상기 잉크 회수부(40)를 당겨 상기 잉크 회수부(40)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한다(S11 단계). 상기 잉크 회수부(40)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 양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바(43c)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 이동 안내바(12)를 따라 이동하므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다.For minimizing the scattering of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when performing a nozzle cleaning operation through a spit operation or a purging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portion 30 As an ink recovery method, first, as shown in FIG. 3, the ink recovery unit cover 1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10 is removed, and the ink recovery unit 4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 In this case, the ink recovery unit 40 is manually pulled to cause the ink recovery unit 40 to move horizontally outside the frame 10 (step S11). The ink recovery part 40 is smoothly movable since the slide bars 43c installed on both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part move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guide bar 12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0.

다음으로, 수작업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부(30)를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S12 단계). 이 경우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이동 변위는 상기 잉크 회수부(40)의 이동 변위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5 by hand, the print head unit 3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step S12). In this case,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print head portion 30 is set equal to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ink recovery portion 40.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회수부(40)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부(30)로부터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41)를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31)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하부와 최대한 접근 시킨다(S13 단계). 이 경우 상기 프린트 헤드부(30)로부터 낙하되는 잉크가 상기 잉크 받이통(31)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한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ink collecting container 40 raises the ink receiving container 41 for receiving ink falling from the print head part 30 in the ink collecting part 40, so that the ink receiving container 31 is The bottom of the print head 30 is approached as much as possible (step S13).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alling from the print head part 30 from being scattered outside the ink container 31.

다음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부(30)의 각 노즐들에 포함되어 있는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핏(SPIT) 작업 또는 퍼징(PURGING) 작업 등을 통하여 노즐 청소 작업을 시행하여 노즐 내에 잔존 잉크를 제거한다(S14 단계).Next, a nozzl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spit operation or a purging operation to discharge the ink contained in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unit 30 to remove residual ink in the nozzle ( Step S14).

다음으로, 상기 노즐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잉크 받이통(41)을 하강시킨다(S15 단계)..Next, when the nozzl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ink container 41 is lowered (step S15).

다음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부(30)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S16 단계).Next, the print head unit 30 is moved to the interior of the frame 10 (step S16).

여기에서 S15 단계와 S16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꿀수 있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받이통(41)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프린트 헤드부(30)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steps S15 and S16 may be reversed.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7, the print head unit 30 may be moved into the frame 10 while the ink container 41 is maintained in an elevated state.

다음으로, 상기 잉크 회수부(40)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로 이동시키면(S17 단계), 상기 노즐 청소작업이 완료되어(S18단계) 정상적인 인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 ink recovery unit 4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0 (step S17), the nozzl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step S18), so that a normal prin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회수 잉크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프린트 헤드부(30)의 노즐 청소 시에는 상기 잉크 회수부(40)를 프레임(10) 외측으로 노출시키지만, 평상 시에는 잉크 회수부를 설비 프레임의 내부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By do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cattering of the recovered ink to the surroundings, and when cleaning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portion 30, the ink recovery portion 40 is exposed outside the frame 10, but the ink is normally used.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appearance by placing the recovery unit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equipment fram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프레임 11: 잉크 회수부 커버
12: 수평 이동 안내바 21: 인쇄매체 투입부
22: 얼라인 카메라부 23: 모니터
30: 프린트 헤드부 31: 헤드부 수용케이스
40: 잉크 회수부 41: 잉크 받이통
41a: 잉크 받이통 손잡이 41b: 잉크 받이통 배출구
43a: 지지프레임 43b: 포스트
43c: 슬라이드바 43d: 바닥부
44: 잉크 회수부 손잡이 45a: X자형 리프트
45b: 실린더 45c: 고정축
45d: 슬라이딩축 46: 잉크 회수통
46a: 잉크 공급통 47: 잉크공급 펌프
10: frame 11: ink recovery unit cover
12: horizontal movement guide bar 21: printing media input
22: alignment camera unit 23: monitor
30: print head 31: head housing case
40: ink recovery unit 41: ink container
41a: ink container handle 41b: ink container outlet
43a: support frame 43b: post
43c: Slide bar 43d: Bottom
44: ink recovery unit handle 45a: X-shaped lift
45b: Cylinder 45c: Fixed shaft
45d: sliding shaft 46: ink return container
46a: ink supply box 47: ink supply pump

Claims (5)

인쇄 또는 코팅될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인쇄매체 투입부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린트기에 있어서,
상기 잉크 회수부는, 회수되어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과;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가 바닥과 일정 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일정 공간내에 위치하여 상기 회수되는 잉크를 보관하는 잉크 회수통;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잉크 회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A print medium input unit for inputting a print medium to be printed or coated, a print head unit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orizontally movable outside the frame, and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for printing or coating the print medium. In the printing machine comprising an in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ink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The ink recovery part includes: an ink receiving passage accommodating the collected and dropped ink; A lifting unit for moving the ink container up and down;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ifting portio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flo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k recovery container that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store the recovered ink, and the ink recovery un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horizontally moved outside the frame.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par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 회수부가 상기 프레임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프린트 헤드부도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뒤, 상기 잉크 회수부의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하부에 최대한 가깝게 접근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recover the ink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After the ink recovery portion moves out of the frame and the print head portion also moves out of the frame, the ink collection portion of the ink recovery portion is raised so that the ink collection portion is approach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portion. that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par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받이통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는 X자형 리프트를 사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the ink container up and down using an X-shaped lift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par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 양측면에 슬라이드 바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 이동 안내바를 설치하여,
상기 잉크 회수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 프린트기.
According to claim 1,
Slide ba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horizontal moving guide ba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The ink recovery part is made to be horizontally movable outside the frame
A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recovery part, characterized in that.
인쇄 또는 코팅될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인쇄매체 투입부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인쇄 또는 코팅하는 프린트 헤드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각 노즐에 대한 청소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린트기를 이용하여 잉크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잉크 회수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린트 헤드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잉크 회수부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부로부터 낙하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받이통를 상승시켜 상기 잉크 받이통이 상기 프린트 헤드부의 하부와 최대한 접근 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린트 헤드부에서 노즐 청소작업 시행하여 노즐 내에 잔존 잉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회수 방법.
A print medium input unit for inputting a print medium to be printed or coated, a print head unit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orizontally movable outside the frame, and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for printing or coating the print medium. In the method for recovering ink using a print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ink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for each nozzle of the print head,
Moving the ink recovery unit to the outside of the frame;
Moving the print head portion out of the frame;
A step in which the ink collecting portion raises an ink collecting container for receiving ink falling from the print head portion, so that the ink collecting container approa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portion as much as possible;
Removing the residual ink in the nozzle by performing a nozzle cleaning operation in the print head portion;
Ink recover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80122891A 2018-10-16 2018-10-16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KR202000425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91A KR20200042596A (en) 2018-10-16 2018-10-16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91A KR20200042596A (en) 2018-10-16 2018-10-16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96A true KR20200042596A (en) 2020-04-24

Family

ID=7046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91A KR20200042596A (en) 2018-10-16 2018-10-16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259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9450A (en) * 2020-09-28 2020-12-22 黄振明 Printing machine ink recovery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9450A (en) * 2020-09-28 2020-12-22 黄振明 Printing machine ink recovery method
CN112109450B (en) * 2020-09-28 2022-06-10 珠海市豪迈实业有限公司 Printing machine ink recovery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738B1 (en) Printing device with modular printhead system
EP3192658B1 (en) Waste liquid container and attachment
JP2018086737A (en)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production device
KR20140064876A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20200042596A (en) Printer having an improved ink collecting unit, and Method for collecting ink using the same
US20140035996A1 (en) Print head servicing units and methods
KR102337653B1 (en) Inkjet-head cleaning device and method
CN111791594B (en) Inkjet printhead cleaning by means of ultrasound
JP7102368B2 (en) Waste liquid amount measuring device and printer equipped with it
CN109703198B (en) Spray head cleaning system of printing machine and spray head cleaning method of printing machine
KR100399115B1 (en) Removal device of dust for ink cartridge
CN211138669U (en) Printing part cleaning equipment of printer
KR102372125B1 (en) Binder jet 3d printer
JP2009285898A (en) Maintenance method for line type recording head
JP5371468B2 (en) Head maintenance mechanism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JP5614146B2 (en) Liquid ejector
KR10095608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k head nozzles
KR101870193B1 (en) Head wiping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machine
KR20110017492A (en) A stamp washing device
CN217259154U (en) Cleaning device and ink jet system
JP7015281B2 (en) Inkjet printer
CN115214235A (en) Recording apparatus
JP2009285902A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6652475B2 (en) Support device for borderless printing and ink jet printer
JP2018069703A (en) Inkjet type recor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