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233A -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233A
KR20200042233A KR1020180122551A KR20180122551A KR20200042233A KR 20200042233 A KR20200042233 A KR 20200042233A KR 1020180122551 A KR1020180122551 A KR 1020180122551A KR 20180122551 A KR20180122551 A KR 20180122551A KR 20200042233 A KR20200042233 A KR 2020004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
flotation
hole
m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884B1 (ko
Inventor
최지훈
임청환
정홍량
Original Assignee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훈 filed Critical 최지훈
Priority to KR102018012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84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ventilating means, e.g. mattress or cushion with ventilating holes or venti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신체를 지지하며, 일 방향을 따라 번갈아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부양부가 구비된 매트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에 공기를 번갈아 주입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공기 주입기와; 상기 매트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 사이에 구비되는 관통공부; 및 상기 관통공부를 통해 신체와 상기 매트 본체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흡입기;를 포함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Air mat for bedsore prevention}
본 발명은 교대 부양을 통해 매트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장시간 누워있는 환자에게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누워있는 환자들의 경우, 욕창을 줄이기 위하여 간호사나 간병사들이 2시간마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해주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는 제1 부양부와 제2 부양부가 번갈아 연속적으로 배치된 구조로서 제1 부양부와 제2 부양부에 공기를 번갈아 주입하는 압력 교대 부양 방식을 갖는다. 이에 따르면 제1 및 제2 부양부 중 어느 한 쪽이 올라가면 다른 한 쪽이 내려가 환자의 몸을 움직여 주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환자 몸의 수직 항력을 줄여주고 피부의 장기간 눌림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대 부양에도 불구하고 환자와 에어 매트 사이에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환자가 땀을 흘려 피부의 강성이 낮아지며, 이에 따라 욕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박테리아나 감염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환자복을 입은 상태에서도 땀이 차지 않게 하여 욕창, 박테리아 및 감염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 매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7351호 (2016.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신체와 매트 본체 사이에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여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신체를 지지하며, 일 방향을 따라 번갈아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부양부가 구비된 매트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에 공기를 번갈아 주입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공기 주입기와; 상기 매트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 사이에 구비되는 관통공부; 및 상기 관통공부를 통해 신체와 상기 매트 본체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흡입기;를 포함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매트 본체는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접합된 접합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부는 관통공이 구비된 공기 흡입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부는 복수 개가 조합되어 일정 면적의 흡입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 본체의 저면에는 공기 흡입 노즐이 구비된 흡입 패드가 상기 흡입 영역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부양부는 제1 및 제2 공기 주입 호스를 통해 상기 공기 주입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부는 공기 흡입 호스를 통해 상기 공기 흡입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본체의 상부에는 메쉬 형태의 커버 시트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매트 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버 시트의 탈부착을 위한 탈부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공부를 통해 환자의 신체와 매트 본체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환자의 피부의 온도와 습도를 양호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부 시트의 접합부에 관통공부를 설치하여, 단순한 구조 및 제작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부착 기능을 갖는 메쉬 형태의 커버 시트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오염이나 청소가 힘든 기존의 에어 매트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누어 있기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면서도 공기 흡입에 적합한 환경을 구현할 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매트에 부착되는 메쉬 형태의 커버 시트는 에어 매트와 함께 압력 분산을 도와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구조를 일 예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매트는 매트 본체(10), 공기 주입기(20), 관통공부(30) 및 공기 흡입기(40)를 포함한다.
매트 본체(10)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매트 본체(10) 위에 누워있는 신체를 지지한다. 매트 본체(10)에는 일 방향을 따라 번갈아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1 부양부(11)와 제2 부양부(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의 제1 부양부(11)는 서로 연통되어 있고, 복수의 제2 부양부(12) 또한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부양부(11, 12) 사이는 서로 차단되어 있다.
매트 본체(10)는 상부 시트(17) 및 하부 시트(18)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부 시트(17)와 하부 시트(18) 사이의 공간이 제1 및 제2 부양부(11, 12)를 형성한다. 상부 및 하부 시트(17, 18)는 PVC 재질로 형성되거나, PVC 레이어와 적어도 하나의 표면 레이어(예를 들어, 황토 원단)가 합지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시트(17)와 하부 시트(18)는 이들 사이가 접합되는 접합부(13)를 구비하며, 열융착법 등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합부(13)는 제1 부양부(11)와 제2 부양부(12)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의 도시와 같이 특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구성 가능하다.
공기 주입기(20)는 제1 부양부(11)와 제2 부양부(12)에 공기를 번갈아 주입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른 제1 및 제2 부양부(11, 12)의 교대 부양에 따라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공기 주입기(20)는 제1 및 제2 부양부(11, 12) 중 어느 한 쪽에는 공기가 공급시키고 다른 한 쪽에서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은 신체 지지 부위가 상승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은 신체 지지 부위가 하강하여 환자의 신체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부양부(11, 12)는 제1 및 제2 공기 주입 호스(21, 22)를 통해 공기 주입기(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제1 부양부(11) 중 하나에는 제1 연결 노즐(23)이 설치되어 제1 공기 주입 호스(2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부양부(12) 중 하나에는 제2 연결 노즐(24)이 설치되어 제2 공기 주입 호스(22)와 연결될 수 있다.
관통공부(30)는 매트 본체(10)의 제1 부양부(11)와 제2 부양부(12)의 사이에 구비되며, 매트 본체(10)와 환자의 신체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관통공부(3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관통공이 구비된 공기 흡입관(31)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관통공부(30)는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관통공을 구비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관통공부(30)는 제1 및 제2 부양부(11, 12)를 구획하는 접합부(13)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공부(30)가 공기 흡입관(31)의 형태를 갖는 경우 접합부(13) 상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공기 흡입기(40)는 관통공부(30)를 통해 환자의 신체와 매트 본체(10) 사이의 공기, 즉, 뜨거운 공기를 흡입하여 새로운 신선한 공기가 채워져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공기 흡입기(40)로서 에어 펌프, 송풍 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 흡입 호스(41)를 통해 관통공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흡입기(40)는 공기 주입기(20)와 함께 컨트롤러(50, 제어 패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50)에 내장되거나 컨트롤러(50)의 외부에 부착되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서 설치 가능하다. 컨트롤러(50)의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관통공부(30)는 복수 개가 조합되어 일정 면적의 흡입 영역(6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 형태를 이루는 9개의 관통공부(30)에 의해 하나의 흡입 영역(60)이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형태 이외에도 흡입 영역(60)을 이루는 관통공부(30)의 개수, 배열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흡입 영역(60)은 매트 본체(10)의 복수의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흡입 영역(60)이 구비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흡입 영역(60)은 환자가 매트 본체(10)에 누웠을 때 매트 본체(10)와 접촉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흡입 영역(60)을 환자의 후두부 부위, 어깨 부위, 꼬리뼈 부위, 발 뒷꿈치 부위 총 4위치에 위치되게 하였다. 다만, 흡입 영역(60)의 개수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매트 본체(10)의 저면에는 공기 흡입 노즐(75)이 구비된 흡입 패드(70)가 중 흡입 영역(60)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흡입 패드(70)는 각 흡입 영역(6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테두리가 흡입 영역(60)의 테두리와 접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공기 흡입기(40)가 작동하여 관통공부(3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흡입 영역(60)이 인접한 부위보다 하강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통풍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흡입 영역(60)과 흡입 패드(7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 흡입 패드(70)의 공기 흡입 노즐(75)에 연결 호스를 각각 연결하고, 이들 각 연결 호스를 연결 수단을 통해 공기 흡입 호스(41)와 연결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매트 본체(10)의 상부에는 메쉬 형태의 커버 시트(80)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시트(80)는 매트 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커버 시트(80)가 매트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화살표 방향을 따라 커버 시트(80)가 매트 본체(10)에 부착된다. 매트 본체(10)와 커버 시트(80)의 테두리에는 탈부착을 위한 탈부착부(85)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탈부착부(85)는 벨크로 방식, 단추 고정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벨크로 방식의 탈부착부(85)가 커버 시트(80)와 매트 본체(10)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직사각형 밴드 형태)로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기존의 교대 부양식 에어 매트의 경우 환자의 땀 흡수를 위해 매트 위에 담요나 이불을 깔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환자의 각질이나 음식물 등에 의해 오염이 될 수 있고 청소도 힘든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메쉬형 커버 시트(80)를 부착할 경우,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누워 있기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면서도 공기 흡입에 적합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메쉬 형태의 커버 시트(80)는 매트 본체(10)와 함께 압력 분산을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구조를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컨트롤러(50)에는 전원 스위치(51), 부양 압력 조절 다이얼(52)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 주입기(20)와 공기 흡입기(40)가 케이스(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전기 신호의 인가에 의해 유로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90)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90)의 입력측은 연결 호스(25)를 통해 공기 주입기(20)와 연결되며, 2개의 출력 측은 제1 및 제2 주입 호스(26, 27)와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밸브(90)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 측으로 주입된 공기가 2개의 출력 측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도록 내부 유로가 제어된다. 컨트롤러(50)에 내장된 제어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주입 호스(26)와 제2 주입 호스(27) 쪽으로 번갈아 공기가 주입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9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공기 흡입기(40)에는 흡입 호스(45)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주입 호스(26, 27)와 흡입 호스(45)는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넥터(95)와 연결되며, 커넥터(95)는 이들 각각이 제1 및 제2 공기 주입 호스(21, 22)와 공기 흡입 호스(41)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흡입기(40)는 상시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공기 흡입기(40)의 작동에 의해 환자의 신체와 매트 본체(10) 사이의 뜨거운 공기가 공기 흡입기(40)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작동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기(40)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분)만큼 간격을 두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타이머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매트 본체 11: 제1 부양부
12: 제2 부양부 13: 접합부
20: 공기 주입기 30: 관통공부
40: 공기 흡입기 50: 컨트롤러
60: 흡입 영역 70: 흡입 패드
75: 공기 흡입 노즐 80: 커버 시트
85: 탈부착부

Claims (6)

  1.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신체를 지지하며, 일 방향을 따라 번갈아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부양부가 구비된 매트 본체;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에 공기를 번갈아 주입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공기 주입기;
    상기 매트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 사이에 구비되는 관통공부; 및
    상기 관통공부를 통해 신체와 상기 매트 본체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흡입기;를 포함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양부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접합된 접합부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부는 관통공이 구비된 공기 흡입관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부는 복수개가 조합되어 일정 면적의 흡입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매트 본체의 저면에는 공기 흡입 노즐이 구비된 흡입 패드가 상기 흡입 영역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양부는 제1 및 제2 공기 주입 호스를 통해 상기 공기 주입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관통공부는 공기 흡입 호스를 통해 상기 공기 흡입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의 상부에는 메쉬 형태의 커버 시트가 추가로 부착되며,
    상기 매트 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버 시트의 탈부착을 위한 탈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KR1020180122551A 2018-10-15 2018-10-15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KR102141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551A KR102141884B1 (ko) 2018-10-15 2018-10-15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551A KR102141884B1 (ko) 2018-10-15 2018-10-15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233A true KR20200042233A (ko) 2020-04-23
KR102141884B1 KR102141884B1 (ko) 2020-08-07

Family

ID=7047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551A KR102141884B1 (ko) 2018-10-15 2018-10-15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843A (ko) * 2021-12-30 2023-07-07 (주)대성마리프 웨어러블 커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453A (zh) * 2020-08-12 2020-11-03 昆明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重症病人防压力性损伤装置
KR102488696B1 (ko) * 2021-04-13 2023-01-17 양일석 바람이 토출되는 완충매트
KR102614883B1 (ko) * 2021-10-22 2023-12-15 양관식 에어매트리스 및 에어매트리스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10Y1 (ko) * 2005-06-16 2005-09-13 부영필 교대부양 에어 매트리스
KR20060030877A (ko) * 2006-03-22 2006-04-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을 방지 및 치유하는 기능성 침대
KR20160047351A (ko)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욕창예방과 경사 자세변환 일체형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10Y1 (ko) * 2005-06-16 2005-09-13 부영필 교대부양 에어 매트리스
KR20060030877A (ko) * 2006-03-22 2006-04-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을 방지 및 치유하는 기능성 침대
KR20160047351A (ko)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퍼스트케어 욕창예방과 경사 자세변환 일체형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843A (ko) * 2021-12-30 2023-07-07 (주)대성마리프 웨어러블 커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84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884B1 (ko) 욕창 방지용 에어 매트
US11938071B2 (en) Climate-controlled bed system
US8220090B2 (en) Multi-chamber air distribution support surface product and method
KR101302238B1 (ko) 특히 돌보는 시설 및 병원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
US3757356A (en) Therapeutic bed pan
US20110010855A1 (en) Therapy and Low Air Loss Universal Coverlet
KR102119128B1 (ko) 송풍 기능을 구비한 욕창 방지 방석 장치
CN101442924A (zh) 多层支撑系统
KR102119127B1 (ko) 욕창 방지 방석 장치
KR101965647B1 (ko) 침구용 송풍 매트
US20140259400A1 (en) Patient support with microclimate management system
CN104207902A (zh) 一种多功能调温病床
CN216535882U (zh) 一种新型防水透气防褥疮垫
CN87108079A (zh) 防褥疮用空气垫
KR100786752B1 (ko) 침대용 매트레스
KR200228882Y1 (ko) 요통방지를 위한 통기성 매트리스 카바와 매트리스
JP2005270568A (ja) エアーマット
KR20120005141A (ko) 욕창 방지용 침대
TWM523364U (zh) 透氣保潔墊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