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147A -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147A
KR20200042147A KR1020180122340A KR20180122340A KR20200042147A KR 20200042147 A KR20200042147 A KR 20200042147A KR 1020180122340 A KR1020180122340 A KR 1020180122340A KR 20180122340 A KR20180122340 A KR 20180122340A KR 20200042147 A KR20200042147 A KR 2020004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ray
surgery
receiving portion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281B1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18012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2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2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61B2034/258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providing specific settings for specific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bot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면에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를 포함하며,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고, 좌우 각 측은 상악 또는 하악의 좌·우측 치아의 개수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서 상기 임플란트 수용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Implant tray for preparing dental implant surgery}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의 임플란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 임플란트 수술 진행시에 발생할 수 있는 착오나 혼동, 실수를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수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이하 간략히 "임플란트"라 함)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즉, 임플란트란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티타늄계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인공 치아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 또는 인공 치아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를 심을 자리의 치조골(잇몸뼈)이 부족한 경우에는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골 조직의 부피를 늘린 후에 임플란트를 심기도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데, 공지된 여러 문헌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픽스쳐(fixture)와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인공 크라운(crown)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의 나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매식되어 뼈와 골 융합되고, 어버트먼트는 그 상단에 저작(詛嚼)과 미용을 위한 인공 크라운이 장착되는 상부 구조체로서 하부의 픽스쳐와 나사구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다.
임플란트 시술의 사전 계획과 준비가 완료되면 실제로 환자에게 시술을 시행해야 하는데, 근래 각광받고 있는 가이드 템플릿(이하, 간략히 "템플릿"이라 함)을 이용한 정밀유도 임플란트 수술법이든지 종래의 전통적인 수술법이든지,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쳐를 심기 위한 구멍을 치조골에 뚫는 작업이 시술 초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치조골을 천공한 다음에는 픽스쳐를 심어야 하는데, 한번에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심을 경우, 미리 수술 준비를 해놓았더라도 수술이 계속 진행되는 도중에 해당 치아에 심어야 할 임플란트(픽스쳐, 어버트먼트)에 착오나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오류는 수술시간의 지체로 이어져 임플란트의 오염 위험이 커지고, 원활하지 못한 수술 진행은 시술자와 환자의 심리상태에도 불안이나 짜증 등의 나쁜 영향을 미쳐 수술 품질이 하락하게 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3335호 (2016.12.30 등록)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함에 있어 사양이 다른 각종 임플란트를 환자의 구강 안에 심을 때 착오나 혼동, 지연, 실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환자 맞춤형의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면에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플란트는 상기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에 세워지는 형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고, 좌우 각 측은 상악 또는 하악의 좌·우측 치아의 개수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임플란트 수용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각각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수용부끼리 그룹을 이룰 수 있으며, 그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임플란트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표시선을 통해 임플란트 수용부의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 안쪽 영역에는 임플란트 수용부에 대응하는 치아를 표시하는 라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벨은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교체 가능한 라벨은 상악용과 하악용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라벨에는 상악 우측, 상악 좌측, 하악 좌측, 하악 우측을 각각 지정하는 10, 20, 30, 40의 아라비아 숫자가 표기되는 한편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는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은 상기 라벨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의 색상은 임플란트의 직경을 지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의 색상이 지정하는 직경의 임플란트에는 상기 도형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의 내부에는 임플란트의 길이 단계를 표시하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내측열과 외측열의 2개 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열과 외측열 중 어느 하나의 열은 픽스쳐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열은 어버트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치 형태로 배열된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 안쪽 영역에는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을 포함하는 라벨이 구비되고, 상기 도형은 상기 라벨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도형은 상기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에 대응하여 내측열과 외측열의 2개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2개 열의 도형 내부에는 각각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길이 단계를 표시하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열과 외측열 중 어느 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어버트먼트의 종류에는 일반 어버트먼트와 힐링 어버트먼트 및 커버 스크루가 포함되는데, 상기 라벨의 대응하는 도형 내부에는 힐링 어버트먼트와 커버 스크루를 각기 표시하는 알파벳 문자가 상기 아라비아 숫자 옆에 병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 사이로 형성된 방사상의 표시선을 통해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각 임플란트 수용부가 그룹으로 표시되는 한편, 상기 라벨의 도형 사이로 상기 표시선과 이어지는 연장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가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자가 해당 임플란트가 어느 치아에 사용될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 수술 진행 중에 혼동이나 실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수술 진행을 도와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는 수술해야 할 치아 및 해당 임플란트와 관련된 각종 수술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술 진행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에 상악용으로 준비된 교체 가능한 라벨을 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라벨과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에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가 환자 맞춤형으로 준비된 상태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에 대한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는 트레이 몸체(110)를 포함하고, 또한 트레이 몸체(110)의 상면에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임플란트 수용부(120)는 하나의 임플란트(200)를 수용하게 되는데(여기서 말하는 임플란트는 픽스쳐 또는 어버트먼트를 대표하는 하나의 용어로 사용된 것이며, 하나의 임플란트 수용부에는 하나의 픽스쳐 또는 어버트먼트가 수용됨), 특히 여러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상의 특정 형태로 배열되어 있음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개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 하나씩이 한 개의 치아에 대응하는 관계에 있고, 이에 따라 어느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거치된 임플란트(200)는 바로 해당 치아의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될 것으로 미리 준비되어 시술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각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대응하는 치아"란 실제 환자의 치아 그 자체에 대응함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구강 해부학적 관점에서 대응하는 치아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즉, 트레이 몸체(110)상에 치열궁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임플란트 수용부(120) 중 그 위치로 보아 제1 대구치에 해당하는 곳에 임플란트(200)가 준비되어 있다면, 그 준비된 임플란트(200)가 사용될 대응 치아는 바로 제1 대구치가 된다는 그런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처럼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은, 치의학에 정통한 시술자가 해당 임플란트(200)가 어느 치아에 사용될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만일 종래와 같이 복수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를 일렬 또는 격자로 배열하여 준비해놓으면 수술 순서에 맞춘 사전 준비는 가능할지 몰라도, 본 발명처럼 임플란트(200)와 치아 사이의 대응 정보까지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의 (수술대상인 치아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필요한 임플란트(200)를 미리 준비해놓기만 하면, 별도의 수술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도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런 직관적인 정보 제공은 임플란트 수술의 효율을 향상시켜 수술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며, 보조자인 치과위생사가 시술자에게 건네줘야 할 임플란트(200)에 착오나 혼동을 일으켜 잘못 전달하는 실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 트레이(100)가 임플란트(200)와 치아 사이의 대응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에는 수술해야 할 치아와 그렇지 않은 치아를 구별하는 정보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 중 일부에만 임플란트(200)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면, 이는 임플란트(200)가 준비된 해당 치아만 수술하면 되고 나머지 치아는 수술 대상이 아니라는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수술 전에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를 사용하여 수술계획에 맞춰 수술대상 치아마다 필요한 사양의 임플란트(200)를 정확하게 준비해 놓기만 하면, 실제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할 때에는 임플란트 트레이(100)에 준비된 대로만 수술을 하면 되기 때문에 실수할 염려 없이 빠르게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도시된 것과 같은 그 일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는 임플란트(200)가 세워질 수 있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200)가 구멍 형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곧추세워진 형태로 준비되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하겠지만, 이 외에 임플란트(200)가 약간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세워지는 것은 물론 바닥에 눕혀진 형태로 임플란트 수용부(120) 안에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각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수용된 임플란트(200)가 어느 치아를 지정하는 것인지에 서로 혼동을 일으키지만 않는다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임플란트(200), 다시 말해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는 표면 산화에 의한 친수성 열화와 오염 방지를 위해 앰플 형태의 용기 안에 밀봉된 상태로서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해부학적 관점에서 해당 치아와 임플란트(200)를 서로 대응시킨다는 관점에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는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면서 좌우 각 측이 상악 또는 하악의 좌·우측 치아의 개수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랑니(제3 대구치)는 없는 사람도 있고 통상 임플란트 수술의 대상으로 삼지 않으므로, 좌·우측에는 각각 7개씩(절치 2개, 견치 1개, 소구치 2개, 대구치 2개에 대응)의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대칭적으로 구비되면 충분할 것이다.
또한, 여러 개가 있는 각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어떤 치아를 지정하는지 좀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좌·우측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는 각각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수용부(120)끼리 그룹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임플란트 수용부(120) 사이에 표시선(126)을 형성하여 치아 그룹(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수용부(120)의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좌·우측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를 구분하도록 한가운데 표시선(126)을 더 굵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그룹별로 트레이 몸체(110)로부터의 높낮이에 차이를 둔다거나 색상을 다르게 하여 구별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가 환자 맞춤형으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더욱 발전된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이것은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라벨(130)을 더 포함하는 실시형태인데, 도 3은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에 상악용으로 준비된 교체 가능한 라벨(130)을 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라벨(130)과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라벨(130)은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 안쪽 영역에 놓여지는데, 라벨(130)에는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대응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132)이 좌우로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라벨(130)에 인쇄된 각 도형(132)은 그 외측의 임플란트 수용부(120)와 방사상으로 정렬되어 있어 서로의 대응관계가 명확히 파악되도록 배열된다.
라벨(130)은 교체가 가능한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데, 환자 맞춤형이기 때문에 환자마다 라벨(130)이 개별적으로 준비되며, 각 라벨(130)에는 환자 이름이나 QR 코드 등이 같이 표기되어 있어 서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라벨(130)은 상악용과 하악용이 각각 마련되며, 예컨대 상악용 라벨(130)을 사용한 해당 임플란트 트레이(100)는 상악 수술용으로 준비되어 있음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는 상악용과 하악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 맞춤형의 라벨(130)로 구별된다.
상악용과 하악용의 라벨(130)은 가장 널리 쓰이는 FDI(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e)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악 우측, 상악 좌측, 하악 좌측, 하악 우측을 각각 지정하는 10, 20, 30, 40의 아라비아 숫자(134)를 라벨(130)에 표기하여 라벨(130)이 상악용인지 하악용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는 좌우 양측으로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악용일 경우에는 숫자(134) 10과 20이, 그리고 하악용일 경우에는 숫자(미도시) 40과 30이 하나의 라벨(130)에 좌우로 표기된다.
또한, 라벨(130)에 표시되는 도형(132)은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에 대해서만 표기될 수 있는데, 이는 수술대상이 되지 않아 비어 있어야 할 임플란트 수용부(120) 쪽으로 의식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132)에 대해 라벨(130)의 색상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다른 색상을 입힘으로써 해당 치아 쪽으로 의식이 더욱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라벨(130)이 치아와 임플란트(200)의 대응정보 이외의 추가적인 수술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에 대한 대응 도형(132)에 입혀진 색상이 임플란트(200)의 직경을 지정하는 실시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임플란트(200)의 직경을 6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특정 색상(예를 들어, 검정, 황색, 흰색, 적색, 청색, 녹색)을 지정하였다면,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의 도형(132) 색상을 준비해야 할 임플란트(200)의 직경 단계 색상에 일치시켜놓음으로써 라벨(130)이 치아별로 임플란트(200)의 직경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실시형태에서는, 임플란트 수술 준비를 하는 사람은 도형(132)의 색상 정보에 맞춰 대응하는 직경의 임플란트(200)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한데, 더 나아가 임플란트(200)까지 대응하는 동일한 색상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실수할 가능성을 더욱 줄이는 실시형태도 바람직하다. 즉, 도형(132)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임플란트(200)를 선택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임플란트 수술을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도형(132)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임플란트(200)에 포함된다는 것은 임플란트(200) 자체에 동일 색상이 입혀지는 것은 물론 임플란트(200)를 수용하는 앰플 형태의 용기에 그 색상이 구비되는 것을 모두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라벨(130)에 임플란트(200)의 직경 이외의 다른 수술정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는 도형(132)의 내부에 임플란트(200)의 길이 단계를 표시하는 아라비아 숫자(135)를 표기하는 것이다. 임플란트(200)의 직경을 지정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임플란트(200)의 길이 또한 몇 단계로 나뉘어 준비되어 있으며, 이 임플란트(200)의 길이별 단계에 상응하는 아라비아 숫자(135)를 도형(132) 안에 기재하여 놓음으로써 적합한 길이의 임플란트(200)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숫자 3이 기재되어 있으면 해당 번호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길이의 임플란트(200)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물론, 도형(132)의 색상이 동일(직경이 동일)하더라도 임플란트(200)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는 내측열(122)과 외측열(124)의 2개 열로 배열될 수 있다. 2열의 임플란트 수용부(120)는 하나의 임플란트(200)를 구성하는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수용부(120)의 내측열(122)과 외측열(124) 중 어느 하나의 열(예컨대, 외측열)은 픽스쳐(21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열(예컨대, 내측열)은 어버트먼트(22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내·외측열(122, 124)의 2개 열로 배치되면, 이에 대응하여 라벨(130)에 인쇄된 도형(132) 또한 내측열(132-1)과 외측열(132-2)의 2개 열로 구비되며, 내측열(132-1)과 외측열(132-2)의 각 도형은 자신이 대응하는 내·외측열(122, 124)의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거치된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외측열(132-1, 132-2)의 각 도형의 색상은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의 직경 정보를 독립적으로 제공하게 되며, 나아가 2개 열의 도형(132) 내부에는 각각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의 길이 단계를 표시하는 아라비아 숫자(135)가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220)를 수용하는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대응하는 도형(132-1)의 내부에는 어버트먼트(220)의 종류를 지정하는 기호가 표기될 수 있다. 픽스쳐(210)에 결합하는 상부 부품을 통칭하여 어버트먼트(220)라 한다면, 이 어버트먼트(220)의 종류에는 일반 어버트먼트와 힐링 어버트먼트, 그리고 커버 스크루가 포함될 수 있다. 각 치아에 적용되는 어버트먼트(220)의 사양은 임플란트 수술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적용될 어버트먼트(220)의 종류를 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임플란트 수술 진행에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 어버트먼트에 대해서는 특별한 기호를 기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는 한편, 힐링 어버트먼트에 대해서는 알파벳 문자(136) "H"를 지정하고, 커버 스크루에 대해서는 알파벳 문자(136) "C"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하면, 3종류의 어버트먼트(220) 사양에 관한 정보까지 시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122, 124) 사이로 형성된 방사상의 표시선(126)을 통해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각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그룹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는데, 이와 함께 라벨(130)에 내·외측열의 2개 열로 배열된 도형(132-1, 132-2) 사이로 트레이 몸체(110)에 형성된 표시선(126)과 이어지는 연장선(138)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역시 내·외측열의 도형(132-1, 132-2)이 방사상의 어떤 치아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100)에 픽스쳐(210) 및 어버트먼트(220), 그리고 라벨(130)이 환자 맞춤형으로 준비된 상태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에 대해서만 라벨(130)의 도형(132)이 인쇄되어 있고 임플란트 수용부(120)가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임플란트(200)(픽스쳐, 어버트먼트)를 해당 치아에 대해 준비하는 것이 매우 정확하면서도 편해진다. 또한, 라벨(130)의 도형(132) 색상과 병기된 숫자(135), 알파벳 문자(136)를 통해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의 사양 정보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실수 없이 임플란트 수술 준비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임플란트(200), 다시 말해 픽스쳐(210)와 어버트먼트(220)의 친수성 유지와 오염 방지를 위해 앰플 형태의 용기 안에 밀봉된 상태로서 임플란트 수용부(120)에 거치되는 실시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임플란트 트레이 110: 트레이 몸체
120: 임플란트 수용부 122: 내측열
124: 외측열 126: 표시선
130: 라벨 132: 도형
132-1: 내측열 도형 132-2: 외측열 도형
134: 상·하악 식별 숫자 135: 임플란트 길이 식별 숫자
136: 어버트먼트 식별 기호 138: 연장선
200: 임플란트 210: 픽스쳐
220: 어버트먼트

Claims (19)

  1. 트레이 몸체; 및
    상기 트레이 몸체의 상면에 치열궁을 모사한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
    를 포함하는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상기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에 세워지는 형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좌우 대칭형태로 배열되고, 좌우 각 측은 상악 또는 하악의 좌·우측 치아의 개수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임플란트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각각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수용부끼리 그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표시선을 통해 상기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각 임플란트 수용부가 그룹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 안쪽 영역에는 임플란트 수용부에 대응하는 치아를 표시하는 라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교체 가능한 라벨은 상악용과 하악용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에는 상악 우측, 상악 좌측, 하악 좌측, 하악 우측을 각각 지정하는 10, 20, 30, 40의 아라비아 숫자가 표기되는 한편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는 도형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은 상기 라벨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의 색상은 임플란트의 직경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색상이 지정하는 직경의 임플란트에는 상기 도형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의 내부에는 임플란트의 길이 단계를 표시하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임플란트 수용부는 내측열과 외측열의 2개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열과 외측열 중 어느 하나의 열은 픽스쳐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열은 어버트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열은 어버트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외측열은 픽스쳐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태로 배열된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 안쪽 영역에는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도형을 포함하는 라벨이 구비되고, 상기 도형은 상기 라벨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도형은 상기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에 대응하여 내측열과 외측열의 2개 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2개 열의 도형 내부에는 각각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길이 단계를 표시하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열과 외측열 중 어느 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어버트먼트의 종류에는 일반 어버트먼트와 힐링 어버트먼트 및 커버 스크루가 포함되고, 상기 라벨의 대응하는 도형 내부에는 힐링 어버트먼트와 커버 스크루를 각기 표시하는 알파벳 문자가 상기 아라비아 숫자 옆에 병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열의 임플란트 수용부 사이로 형성된 방사상의 표시선을 통해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에 대응하는 각 임플란트 수용부가 그룹으로 표시되는 한편, 상기 라벨의 도형 사이로 상기 표시선과 이어지는 연장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KR1020180122340A 2018-10-15 2018-10-15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KR10219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40A KR102190281B1 (ko) 2018-10-15 2018-10-15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40A KR102190281B1 (ko) 2018-10-15 2018-10-15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47A true KR20200042147A (ko) 2020-04-23
KR102190281B1 KR102190281B1 (ko) 2020-12-11

Family

ID=7047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340A KR102190281B1 (ko) 2018-10-15 2018-10-15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2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775A (ko) * 2008-11-13 2010-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랩리스 임플란트용 수술 키트
US20110217667A1 (en) * 2010-03-08 2011-09-08 Groscurth Randall C Custom linkable imaging and multifunctional tray
JP2015529098A (ja) * 2012-08-15 2015-10-05 デンツプライ・アイエイチ・アクチエボラーグ トレイシステム、およびカスタマイズされた情報シートを準備する方法
KR101693335B1 (ko) 2016-08-24 2017-01-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보관용기
CN206443788U (zh) * 2016-09-20 2017-08-29 天津君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种植修复消毒置物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775A (ko) * 2008-11-13 2010-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랩리스 임플란트용 수술 키트
US20110217667A1 (en) * 2010-03-08 2011-09-08 Groscurth Randall C Custom linkable imaging and multifunctional tray
JP2015529098A (ja) * 2012-08-15 2015-10-05 デンツプライ・アイエイチ・アクチエボラーグ トレイシステム、およびカスタマイズされた情報シートを準備する方法
KR101693335B1 (ko) 2016-08-24 2017-01-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보관용기
CN206443788U (zh) * 2016-09-20 2017-08-29 天津君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种植修复消毒置物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281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7978B (zh) 牙科植牙用种植导板的手术指导数据显示方法
US7429175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Froum et al. The use of transitional implants for immediate fixed temporary prostheses in cases of implant restorations
US20080057467A1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Hinckfuss et al. Effect of surgical guide design and surgeon's experience on the accuracy of implant placement
US11432911B2 (en) Integrated braces with veneers, crowns, or bridges
KR102582825B1 (ko)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
CN109948271B (zh) 一种基于数据决策的义齿修复方案设计方法及系统
US9901425B2 (en) Universal digital dental implant scanning code and method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1706332B1 (ko)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236712A (zh) 自体牙移植预备牙槽窝的手术导板及其制作方法以及应用
KR101797743B1 (ko) 인공치아의 이식 가이드 시스템
KR102190281B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TWI772773B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備方法
KR102190282B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기구 트레이
KR102190280B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트레이 세트
AU2018239402B2 (en) Dental restoration method
Rosenbaum Full-arch implant-retained prosthetics in general dental practice
Malden Surgical forceps techniques
KR2018008188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Visser Coronal access of the canine dentition
KR102238385B1 (ko) 치과 임플란트 맞춤 수술 지원용 그룹 지정형 키트
Chopra et al. Cast-based guided implant placement and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a single edentulous space: case report and systematic analysis of surgical guides used in implant dentistry
KR10206994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시술을 위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