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052A -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 Google Patents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052A
KR20200042052A KR1020180121938A KR20180121938A KR20200042052A KR 20200042052 A KR20200042052 A KR 20200042052A KR 1020180121938 A KR1020180121938 A KR 1020180121938A KR 20180121938 A KR20180121938 A KR 20180121938A KR 20200042052 A KR20200042052 A KR 2020004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unit
electrode
housing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주)프로스테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스테믹스 filed Critical (주)프로스테믹스
Priority to KR10201801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2052A/ko
Publication of KR2020004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트 분사구와 이온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스트 원액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를 상기 미스트 분사구를 통해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 및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이온을 상기 이온 방출구를 통하여 방출하는 이온 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끝단은 상기 초음파 진동자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Mist Spray for Beauty Treatment}
본 발명은 인체나 동물의 피부, 두피, 모발 등에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스트 분사뿐만 아니라 이온의 방출이 가능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미스트(mist)는 기체 속에 함유되는 미립자를 말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액체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스트 발생을 위하여 미스트 분사기(미스트 발생장치)가 사용된다.
미스트 분사기는 탱크 내부에 저장된 용액을 세분화{무화(霧化)}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사용자의 피부에 미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미용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미용용의 미스트 분사기는 미스트를 사용자(인체, 동물)의 피부, 두피, 모발을 향하여 분무하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미스트 원액으로부터 미스트를 생성하여 분사하거나, 미스트 원액을 가열하여 따뜻한 미스트를 배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에 저장되는 미스트 원액은 물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피부 미용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물뿐만 아니라 다른 유기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미스트 분사와 함께 보습 효과 향상을 위하여 음이온을 방출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는 이온의 분사로 인하여 미스트 분사기의 몸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는 보습효과 향상을 위한 이온 분사만을 수행하므로 그 기능에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미스트 분사에 의한 물방울 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피부/두피에 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미스트 분사구와 이온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스트 원액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를 상기 미스트 분사구를 통해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 및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이온을 상기 이온 방출구를 통하여 방출하는 이온 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끝단은 상기 초음파 진동자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온 방출부는 제1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이온 방출부와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이온 방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 방출구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서 각각 생성된 이온을 방출하도록 하나의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온 방출구에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동시에 수용하는 전극수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전극수용부재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스트 분사구의 중앙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를 이등분하는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온 방출부와 제2 이온 방출부는 서로 다른 극성의 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스트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미스트의 입자 사이즈의 평균은 20㎛ 이하의 값을 갖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상기 이온 방출부는 진동자 설치부와 전극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는 상기 미스트 분사구의 미스트 분사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되는 개폐버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개폐버튼의 개방위치에서 전원이 온되고, 폐쇄위치에서 전원이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분사구는 상기 개폐버튼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버튼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진동자 설치부와 전극 설치부, 그리고 상기 개폐버튼이 슬라이딩시 접촉하는 몸체와, 상기 개폐버튼의 폐쇄동작시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온 방출부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둘레에 돌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는,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이온 방출부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노출부를 통하여 상기 조명부의 작동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양측으로 조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탱크를 덮는 탱크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탱크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고정되도록 상기 탱크커버의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나뭇잎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스트 원액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생성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며, 제1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이온방출부와,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이온방출부를 구비하는 이온 방출부; 상기 제1 이온방출부와 제2 이온방출부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방출부와 미스트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제1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거나 제2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탱크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생성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와,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방출부와, 상기 이온방출부를 구동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스트 분사 및 이온방출을 개시하는 작동단계; 및 미리 설정된 작동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미스트 분사 및 이온방출을 종료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거나 제2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미스트 분사에 의한 물방울 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이온 및/또는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이온에 의한 보습효과뿐만 아니라, 양이온에 의한 피부/두피의 pH 밸런스 개선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전면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에서 개폐버튼이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후면 하방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전면 방향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후면 방향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에서 탱크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하우징의 제2 몸체와 탱크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탱크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탱크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b)는 탱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에서 하우징의 제1 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미스트 분사부와 이온 방출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c)는 (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b)는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c)는 (b)에서 오링과 실링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13에서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이 이루어지는 작동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미스트 분사기에서 음이온 방출로 인한 보습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미스트 분사기에서 양이온 방출로 인한 pH 밸런스 유지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는 인체나 동물의 피부나 두피, 모발 등에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의 전면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에서 개폐버튼이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후면 하방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전면 방향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의 후면 방향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100)에서 탱크커버(118)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하우징(110)의 제2 몸체(115)와 탱크커버(118)의 내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탱크(130)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탱크(130)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b)는 탱크(130)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는,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탱크(130)와, 상기 탱크(130)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미스트를 생성 및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120)와, 전압 인가에 의해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방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개폐버튼(150), 이온 방출부(140)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160), 미스트 분사와 이온 방출을 제어하는 제어부(220),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90), 미스트 분사기(100)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명부(21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5)가 합형되어 그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에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몸체(111)는 하우징(110)의 전면을 형성하며, 제2 몸체(115)는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몸체(111) 측을 미스트 분사기(100)의 전면으로 설명하지만, 미스트 분사기(100)의 전면과 후면은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몸체(111)에는 미스트가 토출되는 미스트 분사구(113)와 이온 방출이 이루어지는 이온 방출구(112)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113)는 미스트 분사부(120)에서 생성되는 미스트가 방출되는 미스트 분사영역을 포함하는 개구로 정의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 방출뿐만 아니라 개폐버튼(150)이 슬라이딩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몸체(112)에는 제2 몸체(115)에는 미스트 원액이 수용된 탱크(1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몸체(115)로부터 분리 가능한 탱크커버(11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커버(118)는 하우징(110)의 제2 몸체(115)에 결합시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걸림돌기(119)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몸체(115)에는 상기 걸림돌기(119)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115)에는 결합돌기(116)의 성형을 위하여 개구부(117)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17)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직접 연결되므로, 개구부(117)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경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회로부(P) 등 각종 부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7)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17)에는 개구부(117)를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부재가(SL)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SL)는 일 예로서, 개구부(117) 형상에 대응하도록 성형된 실리콘 재질의 후크 커버(Hook Cover)로 이루어져 개구부(117)에 착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 도 5,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탱크(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탱크(130)는 미스트 원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탱크(130)에 수용되는 미스트 원액은 정제수와 같은 물이 수용될 수도 있지만, 피부에 유용한 다양한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 보습효과 및/또는 피부 침투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능성 화장수가 수용될 수도 있고,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한 살균수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pH 밸런스 개선을 위한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는 등 미스트 원액의 종류나 함유 물질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30)는 탱크 몸체(131)의 전면에 미스트 분사부(120)에 구비되는 초음파 진동자(121)가 장착되는 진동자 장착부(136)를 구비하며, 후면에 탱크 몸체(131)의 내부 공간에 미스트 원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입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구(133)는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주입구 커버(132)에 의해 확실한 밀봉이 가능하도록 단차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주입구 커버(132)에도 주입구(133)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차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탱크(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커버(118)를 분리하는 경우 주입구 커버(1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입구 커버(132)를 열고 탱크(130) 내부에 미스트 원액을 보충하거나 다른 종류의 미스트 원액을 채울 수 있다.
그리고, 미스트 분사부(120)는 상기 탱크(130)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미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미스트 분사부(120)는 일 예로서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미스트 분사부(120)는 탱크(130)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공급받아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121)를 구비할 수 있다(도 4, 도 5 및 도 11(c) 참조).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121)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주파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탱크(130)로부터 공급된 미스트 원액을 무화시켜 미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스트를 생성하는 경우, 별도의 송풍수단 없이도 생성된 미스트가 유동을 형성하므로 미스트 분사를 위한 구성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스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미세한 입자의 미스트가 생성되고, 생성된 미스트가 분사될 수 있다면 미스트 분사부(120)의 작동방식은 초음파 진동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미스트 분사에 의한 결로현상은 미스트의 입자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미스트 입자 사이즈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미스트 분사부(120)에는 초미세 미스트 입자를 생성할 수 있는 초음파 진동자(121)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인체의 모공 크기가 대략 20~50㎛이므로 미스트가 피부에 흡수되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미스트의 입자 사이즈는 모공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스트 분사부(120)에서 분사되는 미스트의 입자 사이즈의 평균은 인체의 모공 크기보다 작도록 2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공 사이즈(20~50㎛)보다 작은 초미세 미스트 분사를 통하여 피부 각질층까지 수분을 전달할 수 있으며, 메이크업 후 미스트 분사를 하여도 초미세 미스트 입자의 흡수성이 높아 메이크업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미스트 분사부(120)에서 분사되는 미스트 입자의 사이즈는 전술한 20㎛ 이하의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의 모공 크기와 유사하도록 40㎛ 이하의 값, 또는 30㎛ 이하의 값을 갖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온 방출부(140)는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전극(142, 146)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142, 146)을 통해 생성된 이온을 하우징(110)에 형성된 이온 방출구(112)를 통하여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이온 방출부(140)는 고전압을 전극에 인가하여 이온을 생성하게 되며, 본 발명에 구비되는 이온 방출부(140)는 플라즈마 방식에 의한 이온발생장치 등 공지의 이온발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온 방출부(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온 방출부(14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이온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 전극(142)을 구비하는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전극(146)을 구비하는 제2 이온 방출부(14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온 방출부(141)는 제1 전극(142)을 통하여 음이온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온 방출부(145)는 제2 전극(146)을 통하여 양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온 방출부(140)를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온 방출부(141)가 동작하는 경우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고, 제2 이온 방출부(145)가 동작하는 경우 양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음이온은 기미, 주근깨, 노화 등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없애 주는 항산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미스트(수분)를 피부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효과가 있어서 보습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은 미스트 분사부(120)에서 분사되는 미스트 입자에 달라 붙게 되고, 이로 인해 미스트가 피부에 흡수되는 효과가 향상된다. 즉, 미스트 분사와 함께 음이온을 방출함으로써 미스트의 피부 흡수도 향상 및 보습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피지선(피지-기름), 한선(땀샘-수분)에서 나오는 저급 지방산, 아스코르빈산, 젖산, 아미노산 등의 분비물에 의해 피부 표면의 수소이온농도(pH)는 약산성을 띠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피부 겉의 얇은 산성막은 천연 보호막으로서 피부를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방어하게 된다.
즉, 건강한 피부는 pH 4.2 ~ 5.6의 약산성으로 유지되며, 이러한 약산성의 상태에서는 알칼리성을 띠고 있는 세균, 박테리아 등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알칼리성에 의한 피부 과민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가 알칼리성으로 기울수록 저항력이 떨어져 세균 번식에 의한 피부병이 생기기 쉽다. 예를 들어, 여드름성 피부는 pH 7.5 정도, 아토피 피부는 pH 8.5 ~ 9.0로 높은 알칼리성이므로, 건강한 피부를 위해서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는 H+ 이온을 포함하는 양이온을 음이온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pH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양이온의 방출을 통해 피부의 pH를 낮출 수 있고, pH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는 미스트 분사와 함께 음이온을 방출함으로써 미스트의 피부 흡수도 향상 및 보습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미스트 분사와 함께 양이온을 방출함으로써 pH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피부 미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이온과 음이온의 동시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음이온과 양이온의 효과를 중첩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에 각각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생성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양(개수)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크기 및 펄스 주기에 의해 이온의 양(개수)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 방출부(141, 145)에서 발생하는 이온의 양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을 가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설정이나 미리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온 방출부(140)에서 생성되는 이온의 개수는 이온 방출부(140)에 구비되는 전극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방출부(140)에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100)에 사용되는 이온 방출부(140)에 대하여, 실내에서 음이온을 방출하는 플라즈마 전극모듈(제1 이온 방출부에 대응)와 양이온을 방출하는 플라즈마 전극모듈(제2 이온 방출부에 대응)을 각각 작동시킨 후 20cm 거리에서 이온의 개수를 측정한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분 최저값 최고값 평균
음이온 1,421,200개/cc 1,498,300개/cc 1,477,700개/cc
양이온 1,357,700개/cc 1,568,200개/cc 1,468,100개/cc
실험방법 : JIS B 9929:2006- 공기 중의 이온밀도 측정방법
측정환경조건 : 날씨-맑음, 온도 24.1℃, 상대습도 48%
측정장비 : Air Ion Counter COM-3200PRO II (COM SYSTEM, INC., JAPAN),
0 ~ 2,000,000개/cc 측정가능
측정기관 : 한국분석시험연구원(Korea Analysis Test Researchr)
상기의 테스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100)에 사용되는 이온 방출부(140)는 대략 150만개/cc 정도의 이온 방출이 이루어져 통상 10만개 정도인 종래의 이온발생 모듈에 비해 많은 개수의 이온이 발생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습효과나 pH 밸런스 달성에 유리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충분한 보습효과 및 pH 밸런스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온 방출부(140)에서 방출되는 이온의 개수는 100~150만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스트에 이용된 음이온 생성용 이온 방출부(140)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보습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미스트 분사와 함께 음이온을 방출한 경우(30초 수행)에는 처리 직후에 수분 함유량이 크게 증가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대조군에 비해 대략 50% 정도의 수분 함유량이 많아 보습효과가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테스트에 이용된 양이온 생성용 이온 방출부(140)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pH 밸런스 유지 기능과 관련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미스트 분사와 함께 양이온을 방출한 경우(30초 수행)에는 처리 직후에 피부 pH가 대략 1 정도 낮아졌으며, 1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대략 0.3 정도의 pH 하강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4 ,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온 방출부(140)의 전극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100)에서 하우징(110)의 제1 몸체(111)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100)의 미스트 분사부(120)와 이온 방출부(140)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c)는 (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에 형성된 이온 방출구(112)는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에서 생성된 이온이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온 방출구(112)는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에서 각각 생성된 이온을 방출하도록 하나의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미스트 분사와 함께 이온이 방출되는 경우에는 이온이 미스트와 결합하여 응결핵(seed)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110)의 표면, 특히 이온 방출구(112) 및 하우징(110) 표면에 물울 맺힘(결로) 현상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온 방출구(112)를 하나의 통로로 구성하여 그 크기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에서 생성된 이온이 이온 방출구(112)를 통해 쉽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온 방출구(112)에는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을 동시에 수용하는 전극수용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은 전극수용부재(180)에 수용된 상태로 이온 방출구(11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온 방출구(112)의 측면에는 미스트가 분사되는 미스트 분사구(113)의 분사영역 및 분사개구(173)가 구비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미스트 분사구(113)의 중앙부, 즉 분사영역은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 사이를 이등분하는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6)은 미스트 분사구(113)의 중앙부에서 동일한 수직 거리(d1, d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및 제2 전극(142, 146)과 미스트 분사구(113)를 최대한 멀리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전극(142, 146)에서 생성된 이온으로 인하여 전극(142, 146)과 미스트 분사구(113) 사이의 하우징(110) 표면에 결로 현상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1(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극(142, 146)의 끝단은 미스트 분사부(120)에 구비되는 초음파 진동자(121)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142, 146)의 끝단의 위치는 초음파 진동자(121)보다 h1 만큼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스트 분사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극(142, 146)의 끝단을 초음파 진동자(121)보다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전극에서 생성된 이온이 이온 방출구(112)를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온 방출구(112) 및 전극수용부재(180) 주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142, 146)의 끝단에 사용자 또는 외부 물체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수용부재(180)에는 전극(142, 146)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리브(181)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장착부재(1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장착부재(170)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b)는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c)는 (b)에서 오링과 실링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장착부재(170)는 미스트 분사부(120)가 설치되는 진동자 설치부(174)와, 이온 방출부(140)가 설치되는 전극 설치부(175)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70)에는 이온 방출부(140)의 전극이 수용되는 전극수용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전극 설치부(175)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70)는 그 하면에 초음파 진동자(121)가 설치되는 진동자 설치부(174)가 형성되며, 도 11(c)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 설치부(174)에는 초음파 진동자(121)와 탱크(13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오링(OR)과 실링부재(S)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 설치부(174)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121)에서 생성된 미스트는 분사개구(173) 및 미스트 분사구(113)의 분사영역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장착부재(170)가 이온 방출부(140) 및 미스트 분사부(120)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므로, 이온 방출부(140) 및 미스트 분사부(120)의 설치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170)는 후술하는 개폐버튼(150)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접촉하는 몸체(171)와, 개폐버튼(150)의 폐쇄동작 시 개폐버튼(150)과 접촉하여 개폐버튼(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17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재(170)가 전술한 이온 방출부(140) 및 미스트 분사부(120)의 설치를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개폐버튼(150)의 설치를 위해서도 사용되므로 이온 방출부(140), 미스트 분사부(120) 및 개폐버튼(150)의 설치에 사용되는 부품수의 절감이 가능하고 조립성이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조작부(160)의 입력신호에 따라 이온 방출부(140)와 미스트 분사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후술하는 조명부(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방출부(140)는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220)는 후술하는 조작부(16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미스트 분사부(120), 제1 이온 방출부(141), 제2 이온 방출부(145)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미스트 분사부(120), 제1 이온 방출부(141) 및/또는 제2 이온 방출부(14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거나 제2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미스트의 분사와 함께 이온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미스트의 분사만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110)의 표면에 물방울 맺힘(결로) 현상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이 미스트와 결합하여 응결핵(seed)의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하우징(110) 표면에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결로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음이온 방출의 경우에는 음이온이 미스트와 쉽게 결합하여 이러한 결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20)는 미스트 분사부(120)를 먼저 구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미스트 분사부(12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이온 방출부(140)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스트 분사가 먼저 이루어져 미스트의 유동이 충분히 형성된 이후에 이온 방출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방출되는 이온이 미스트의 유동과 합쳐져 함께 이동하므로, 하우징(11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미스트 분사를 먼저 수행하고 지연시간 경과한 이후에 이온을 방출하는 실험을 통해서도 결로 현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연시간은 미스트 분사부(120)의 성능, 예을 고려하여 미스트의 유동이 충분히 형성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0.5 ~ 3초 사이의 값에서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1초).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 분사부(120)에서 분사되는 미스트의 입자 사이즈의 평균값이 작은 경우(예를 들어, 40㎛ 이하인 경우) 이러한 결로 현상의 개선은 더욱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스트 입자 사이즈의 평균값이 작아질수록(예를 들어, 20㎛ 이하인 경우) 결로 현상은 더욱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온 방출부(140)에서 다량의 이온이 생성되는 경우 전술한 보습효과나 pH 밸런스 확보 등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너무 많은 개수의 이온이 분사되는 경우 오존 발생량이 증가하여 오존 냄새가 심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오존 냄새로 인한 불편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100)는 방출되는 이온의 전체적인 개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어부(220)는 이온 방출부(140)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음이온 및/또는 양이온 방출에 의한 긍정적인 효과 및 오존 발생량 증가에 의한 냄새 문제 등의 부정적 효과를 감안하여, 적정한 개수의 이온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온 방출부(140)를 1초간 온(ON)한 후 2초간 오프(OFF)함으로써, 미스트 분사기(100)의 작동 시간 동안 방출되는 전체 이온의 개수를 적정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이온 방출부(140)의 온오프 시간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의 성능, 이온 방출부(140)에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 등을 고려하여 목표로 설정하는 이온의 개수, 오존 냄새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 방출부(140)의 간헐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의 편의성을 위해 이온 방출부(140)에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일정한 값으로 고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4, 도 5, 도 10, 도 12를 참조하여 개폐버튼(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개폐버튼(150)은 미스트 분사구(113)에 구비되는 미스트 분사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 분사부(120)의 분사개구(173)가 위치하는 미스트 분사영역이 개방된 개방위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개구(173)가 위치하는 미스트 분사영역이 폐되된 폐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버튼(15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개폐버튼(150)의 양측에는 하우징(110)과 장착부재(17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도 4 및 도 5의 1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스트 분사기(100)는 개폐버튼(150)의 개방위치(도 1 참조)에서 전원이 온(ON)되고, 폐쇄위치(도 2 참조)에서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버튼(150)은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는 스위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버튼(150)은 미스트 분사영역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스트 분사영역을 폐쇄할 뿐만 아니라, 전원의 온오프 기능까지 담당하므로 미스트 분사기(100)에 별도의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버튼(150)이 개방위치로 이동한 경우, 전원이 온(ON)된 상태가 되므로,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 전원 온(ON) 상태가 계속되어 불필요한 전기가 낭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220)는 개폐버튼(150)의 개방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예를 들어, 3분) 상기 조작부(160)로부터의 작동신호 입력을 대기하는 대기모드가 유지되도록 하며, 대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전원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버튼(1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 분사구(113)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미스트 분사구(113)는 미스트 분사영역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개폐버튼(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버튼(15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160)는 이온 방출부(14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조작부(160)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60)는 하우징(110)의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5) 사이의 연결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그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방출부(140)는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조작부(160)는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제1 작동버튼(161)과 제2 작동버튼(16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작동버튼(161)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종류와 상기 제2 작동버튼(162)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종류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조작부(160)에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제1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거나 제2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서로 다른 극성의 이온을 생성하는 경우, 제1 이온 방출부(141)는 음이온을 생성하고, 제2 이온 방출부(145)는 양이온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작동버튼(161)은 제1 이온 방출부(14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작동버튼(162)은 제2 이온 방출부(145)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동버튼(161)의 동작시 제어부(220)에 의해 제1 이온 방출부(141)가 작동하여 음이온이 생생되고, 제2 작동버튼(162)의 동작시 제어부(220)에 의해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작동하여 양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작동버튼(161)은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를 모두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작동버튼(162)은 상기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작동버튼(161)의 동작시 제어부(220)에 의해 제1 이온 방출부(141) 및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작동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작동버튼(162)의 동작시 제어부(220)에 의해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작동되어 양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작동버튼(161)과 제2 작동버튼(162)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이온의 종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음이온의 생성, 양이온의 생성, 음이온과 양이온의 동시 생성의 조합 중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작동버튼(161)과 제2 작동버튼(162)만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에 구비되는 작동버튼의 개수는 3개 이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온의 방출 없이 미스트의 분사만 이루어지는 작동버튼이나, 미스트 분사 없이 이온의 방출만이 이루어지는 작동버튼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작부(160)를 조작함으로써, 음이온, 양이온, 음이온과 양이온의 방출을 독립적으로(별개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피부 보습효과, pH 밸런스 개선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기능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양이온과 음이온의 동시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음이온과 양이온의 효과를 중첩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조작부(160)를 구성하는 제1 작동버튼(161)과 제2 작동버튼(162)은 눌림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미스트 분사 시 발생한 물방울 맺힘(결로)으로 인하여 작동버튼(161, 162)과 하우징(110) 사이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에는 조작부(160)의 둘레에 돌출 리브(도 1 및 도 2의 1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210)는 미스트 분사부(120)와 이온 방출부(140)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부(210)는 전원부(19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2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작동한다.
예를 들어, 조명부(210)는 개폐버튼(150)이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대기모드임을 표시하도록 발광될 수 있으며, 제1 작동버튼(161)이나 제2 작동버튼(162)의 선택에 따라 미스트 분사 및/또는 이온 방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의 전원이 부족한 상태 등 다양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조명부(210)는 엘이디(LED) 등과 같은 발광요소로 구성되며, 점등 여부, 발광되는 색상, 점멸(dimming) 주기의 조합 등을 통해 미스트 분사기(100)의 여러가지 작동모드를 서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30)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13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노출부(135)를 통하여 조명부(210)의 작동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7,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30)의 노출부(135)는 하우징(110)의 후면에서 탱크커버(118) 주위를 통해 하우징(110)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부(135)를 통해 하우징(110)의 후면에서도 조명부(210)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탱크(130)는 노출부(135)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노출부(135)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는 노출부(135)를 통하여 조명부(210)의 작동상태뿐만 아니라 탱크(130)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의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이온 방출구(112) 및/또는 미스트 분사구(113)를 통하여 조명부(21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서는 이온 방출구(112) 및/또는 미스트 분사구(113)를 통하여, 하우징(110) 후면에서는 탱크(130)의 노출부(135)를 통하여 빛의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하우징(110)의 양면을 통하여 미스트 분사기(1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부(190)는 미스트 분사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에 대해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90)는 미스트 분사부(120), 이온 방출부(140), 조명부(210), 제어부(22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충전 가능하도록 전원공급단자(19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191)와 배터리는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P)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전원공급단자(191)를 개폐하기 위한 단자커버(19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의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파지 편의성과 심미성 향상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나뭇잎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조작부(16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조작부(160)는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5)가 합형되는 측면 부분 중에서 미스트 분사구(113)와 이온 방출구(112)가 형성된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이 이루어지는 작동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의 제어방법(S100)은 도 1 내지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탱크(130)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생성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120)와,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방출부(140)와, 상기 이온 방출부(140)를 구동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조작부(160)를 구비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에 적용된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의 제어방법(S100)은, 작동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을 개시하는 작동단계(S200)와, 미리 설정된 작동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을 종료하는 종료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단계(S200) 이전에,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대기모드를 수행하는(S120) 대기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100)는 개폐버튼(150)의 개방위치에서 전원이 온(ON)되고, 폐쇄위치에서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버튼(150)이 개방위치로 이동하면(S110) 전원이 온(ON)되어(S115) 대기단계가 수행된다.
개폐버튼(150)이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전원이 온(ON)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불필요한 전기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기단계는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대기모드가 수행되며(S120),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S130)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S135)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 이내에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0) 작동단계(S200)가 수행된다. 이러한 작동단계(S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거나 제2 종류의 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방출부(140)는 제1 전극(142)을 구비하는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전극(146)을 구비하는 제2 이온 방출부(145)를 구비할 수 있고, 조작부(160)는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제1 작동버튼(161)과 제2 작동버튼(16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작동버튼(161)을 선택하여 제1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1) 미스트 분사 및 제1 종류의 이온의 방출이 수행되고(S210), 사용자가 제2 작동버튼(162)을 선택하여 제2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2) 미스트 분사 및 제2 종류의 이온의 방출이 수행된다(S220).
이때, 상기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는 서로 다른 극성의 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온 방출부(141)는 음이온을 생성하고, 제2 이온 방출부(145)는 양이온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작동버튼(161)은 제1 이온 방출부(14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작동버튼(162)은 제2 이온 방출부(145)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작동버튼(161)을 선택하여 제1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1) 제1 이온 방출부(141)가 작동하여 제1 종류의 이온인 음이온이 생생되고, 사용자가 제2 작동버튼(162)을 선택하여 제2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2)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작동하여 제2 종류의 이온인 양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작동버튼(161)은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를 모두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작동버튼(162)은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작동버튼(161)의 동작에 따라 제1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1) 제1 이온 방출부(141) 및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작동하여 제1 종류의 이온인 음이온과 양이온이 동시에 방출될 수 있고, 제2 작동버튼(162)의 동작에 따라 제2 작동신호가 입력되면(S142) 제2 이온 방출부(145)가 작동되어 제2 종류의 이온인 양이온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작동신호의 입력과 제2 작동신호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이온의 종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음이온의 생성, 양이온의 생성, 음이온과 양이온의 동시 생성의 조합 중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작동버튼(161)에 의한 제1 작동신호의 입력과 제2 작동버튼(162)에 의한 제2 작동신호의 입력만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작동버튼 및 이에 따라 입력되는 작동신호의 개수(종류)는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온의 방출 없이 미스트의 분사만 이루어지는 작동신호의 입력이나, 미스트 분사 없이 이온의 방출만이 이루어지는 작동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작동신호의 입력과 제2 작동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스트 분사와 함께 생성되는 이온의 종류를 달리 함으로써, 음이온, 양이온, 음이온과 양이온 중 적어도 일부의 방출을 독립적으로(별개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피부 보습효과, pH 밸런스 개선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기능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온 방출부(140)에서 다량의 이온이 생성되는 경우 보습효과나 pH 밸런스 확보 등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너무 많은 개수의 이온이 분사되는 경우 오존 발생량이 증가하여 오존 냄새가 심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오존 냄새로 인한 불편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음이온과 양이온 방출에 의한 긍정적인 효과 및 오존 발생량 증가에 의한 냄새 문제 등의 부정적 효과를 감안하여, 적정한 개수의 이온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방출되는 이온의 전체적인 개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단계(S200)에서의 이온 방출은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온 방출부(140)를 1초간 온(ON)한 후 2초간 오프(OFF)함으로써, 작동단계(S200) 수행 중에 방출되는 전체 이온의 개수를 적정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이온 방출부(140)의 온오프 시간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의 성능, 이온 방출부(140)에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 등을 고려하여 목표로 설정하는 이온의 개수, 오존 냄새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 방출부(140)의 간헐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 이온 방출부(140)에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의 값은 일정한 값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단계(S200)는 미스트 분사를 수행한 후(S231)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한 이후에(S232) 미스트 분사와 함께 이온 방출이 수행(S233)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의 분사와 함께 이온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온이 미스트와 결합하여 응결핵(seed)의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하우징(110) 표면에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결로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음이온 방출의 경우에는 음이온이 미스트와 쉽게 결합하여 이러한 결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동단계(S200)의 수행시, 미스트 분사를 먼저 수행하고(S231), 미리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한 이후(S232)에 미스트 분사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이온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스트 분사가 먼저 이루어져 미스트의 유동이 충분히 형성된 이후에 이온 방출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방출되는 이온이 미스트의 유동과 합쳐져 함께 이동하므로, 하우징(11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시간은 미스트 분사부(120)의 성능, 예을 고려하여 미스트의 유동이 충분히 형성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0.5 ~ 3초 사이의 값에서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1초).
한편,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이 이루어지는 작동단계(S200)의 수행 중간에 사용자에 의해 종료신호가 입력되면(S160),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이 종료되고 대기모드가 수행된다(S120). 이러한 종료신호는 작동단계(S200)의 수행을 위해 작동하였던 작동버튼(161, 162)과 동일한 작동버튼(161, 162)을 다시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별도의 종료 버튼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작동단계(S200)가 수행된 후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예를 들어, 30초)이 경과되면(S170), 미스트 분사부(120) 및 이온 방출부(140)의 작동이 중지되는 종료단계(S180)가 수행된다. 그리고, 종료단계(S180) 이후에는 대기모드(S120)가 복귀하여 대기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동단계(S200)의 수행 중간에 사용자가 개폐버튼(150)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원이 오프(OFF)되므로 미스트 분사부(120)와 이온 방출부(140)의 동작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스트 분사기(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미스트 분사기(100)의 제어방법은 작동단계(S200)가 수행된 이후에 전환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이온 방출이 수행되는 전환단계가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외하고는 도 13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제어방법(S100)에 대한 실시예는 이온의 종류의 전환하고자 하는 전환신호가 입력되면(S150), 작동부를 전환하게 된다(S155). 예를 들어, 제1 작동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스트 분사와 함께 제1 종류의 이온이 방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S150), 미스트 분사와 함께 제2 종류의 이온이 방출된다. 이러한 전환신호는 작동단계(S200)의 수행을 위해 작동하였던 작동버튼(161, 162)과는 다른 작동버튼(161, 162)을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동버튼(161)에 의한 제1 작동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스트 분사와 함께 제1 종류의 이온이 방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작동버튼(162)이 선택된 경우 제1 종류의 이온 방출을 정지하고 제2 종류의 이온 방출을 수행하도록 제1 이온 방출부(141)와 제2 이온 방출부(145)의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전환신호의 발생을 위한 버튼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별도의 전환버튼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환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버튼(161, 162)을 잘못 선택한 경우 또는 사용 중 다른 종류의 이온 방출이 필요한 경우에 미스트 분사기(100)의 사용을 종료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이온이 이루어지도록 쉽게 전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환단계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S170) 이온 방출부(140)와 미스트 분사부(120)의 작동이 종료되고(S170), 대기모드가 수행되어(S120) 대기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다만, 전환단계가 수행된 경우에 작동시간이 리셋되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미스트 분사 및 이온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미스트 분사기 110... 하우징
111... 제1 몸체 112... 이온 방출구
113... 미스트 분사구 114... 돌출 리브
115... 제2 몸체 116... 결합돌기
117... 개구부 118... 탱크커버
119... 걸림돌기
120... 미스트 분사부 121... 초음파 진동자
130... 탱크 131... 탱크 몸체
132... 주입구 커버 133... 주입구
135... 노출부 136... 진동자 장착부
140... 이온 방출부 141... 제1 이온 방출부
142... 제1 전극 145... 제2 이온 방출부
146... 제2 전극
150... 개폐버튼 151... 가이드 돌기
160... 조작부 161... 제1 작동버튼
162... 제2 작동버튼
170... 장착부재 171... 몸체
172... 이동제한돌기 173... 분사개구
174... 진동자 설치부 175... 전극 설치부
180... 전극수용부재 181... 보호 리브
190... 전원부 191... 전원공급단자
195... 단자커버
210... 조명부 220... 제어부
P... 회로부 OR... 오링
S... 실링부재 SL... 밀봉부재

Claims (17)

  1. 미스트 분사구와 이온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스트 원액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수용된 미스트 원액을 이용하여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를 상기 미스트 분사구를 통해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 및
    전압인가에 의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이온을 상기 이온 방출구를 통하여 방출하는 이온 방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끝단은 상기 초음파 진동자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방출부는 제1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이온 방출부와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이온 방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 방출구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서 각각 생성된 이온을 방출하도록 하나의 통로로 형성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방출구에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동시에 수용하는 전극수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전극수용부재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리브를 구비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의 중앙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를 이등분하는 선상에 위치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온 방출부와 제2 이온 방출부는 서로 다른 극성의 이온을 생성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미스트의 입자 사이즈의 평균은 20㎛ 이하의 값을 갖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상기 이온 방출부는 진동자 설치부와 전극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에 각각 장착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의 미스트 분사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되는 개폐버튼;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개폐버튼의 개방위치에서 전원이 온되고, 폐쇄위치에서 전원이 오프되도록 구성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는 상기 개폐버튼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버튼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상기 이온 방출부는 진동자 설치부와 전극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개폐버튼이 슬라이딩시 접촉하는 몸체와, 상기 개폐버튼의 폐쇄동작시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를 구비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온 방출부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둘레에 돌출 리브가 형성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이온 방출부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출부를 통하여 상기 조명부의 작동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양측으로 조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탱크를 덮는 탱크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탱크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고정되도록 상기 탱크커버의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설치되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나뭇잎의 형상을 갖는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KR1020180121938A 2018-10-12 2018-10-12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KR20200042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938A KR20200042052A (ko) 2018-10-12 2018-10-12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938A KR20200042052A (ko) 2018-10-12 2018-10-12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052A true KR20200042052A (ko) 2020-04-23

Family

ID=7047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938A KR20200042052A (ko) 2018-10-12 2018-10-12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20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464B1 (ko) * 2020-07-10 2021-03-02 (주)지 메디 미스트 개인생활방역기
KR102467144B1 (ko) * 2021-10-18 2022-11-16 요크공조(주) 모공 클리너
WO2024101467A1 (ko) * 2022-11-09 2024-05-16 요크공조(주) 모공 클리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464B1 (ko) * 2020-07-10 2021-03-02 (주)지 메디 미스트 개인생활방역기
KR102467144B1 (ko) * 2021-10-18 2022-11-16 요크공조(주) 모공 클리너
WO2024101467A1 (ko) * 2022-11-09 2024-05-16 요크공조(주) 모공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2052A (ko)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US9694199B2 (en) Fluid dispenser
US20180036553A1 (en) Light irradiation device
RU2732087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лости рта
US11058874B2 (en) Iontophoresis device, iontophoresis method, and skin care device including same
US7204846B2 (en) Beauty device
KR200438831Y1 (ko) 휴대용 수분공급기
KR20190130287A (ko) 미스트 및 갈바닉 겸용 미용기기
JPH039709A (ja) 便座除菌装置
CN101242799A (zh) 喷雾装置
KR20200042053A (ko) 미용용 미스트 분사기 및 그 제어방법
CN214074715U (zh) 用于经皮导入护肤液的美容装置
CN212067374U (zh) 一种多功能生发梳
JP6243169B2 (ja) 噴霧器
JP6192451B2 (ja) 噴霧器
JP6243170B2 (ja) 噴霧器
JP2004148107A (ja) 美肌装置及びトリートメント装置
JP2019025196A (ja) 噴霧式美容器
CN113145375A (zh) 超声静电喷雾装置
KR200351639Y1 (ko) 스팀 사우나 및 샤워 설비
CN114452522A (zh) 护肤液的导入装置
KR102394719B1 (ko) 안면용 미스트 분사장치
CN108144181A (zh) 可增强吸收的便携式负离子雾化美容仪
JP2010187766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CN211095959U (zh) 一种超声雾化薰眼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