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800A - Foldable Portable Cup - Google Patents

Foldable Portable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800A
KR20200041800A KR1020190125615A KR20190125615A KR20200041800A KR 20200041800 A KR20200041800 A KR 20200041800A KR 1020190125615 A KR1020190125615 A KR 1020190125615A KR 20190125615 A KR20190125615 A KR 20190125615A KR 20200041800 A KR20200041800 A KR 2020004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kin
cup
skin sheet
portab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6708B1 (en
Inventor
박찬식
Original Assignee
박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식 filed Critical 박찬식
Publication of KR2020004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up which maintains the shape of a cup when in use and can be folded when being carried. The portable cup comprises: a side skin unit (101) enclosing a side of a space to form the space for holding liquid contents; a lower surface skin unit (102) which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skin unit (101) and blocks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for holding liquid contents; and a guide frame unit (200) which is attached to the side skin unit (101), and can be plastically deformed to maintain a deformed state if a user applies a force to deform the same. The frame unit (200) is deformed to form the shape of a cup when in use, and the frame unit (200) is deformed to form a flat sheet shape when being carried.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휴대용 컵{Foldable Portable Cup}Foldable Portable Cup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휴대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휴대시에는 납작한 시트 형태가 되도록 접어서 휴대가 가능함과 아울러, 내용물이 남아 있을 경우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psible portable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up that can be folded and carried to form a flat sheet when carrying, and can be sealed and stored when the contents remain.

1회용 컵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 파괴에 대한 인식이 일반화되면서, 1회용 컵 대신 텀블러, 머그컵과 같은 형태의 컵을 사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텀블러나 머그컵 등은 휴대가 어렵고, 내용물이 남아 있을 경우 보관이 불가능하였다.As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abuse of disposable cups has become common, the population using cups in the form of tumblers and mugs instead of disposable cups is increasing. However, existing tumblers and mugs are difficult to carry and cannot be stored when the contents remain.

그래서 컵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의 휴대용 컵을 도시한 것인데, 컵(10)의 외측에 측면절첩부(12)를 형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납작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휴대용 컵(10)은 휴대성을 높일 수 있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컵과 형상이 상이하고, 액상의 내용물을 마시는 부분이 특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컵(10)을 잡을 때 정해진 방향에 따라 잡지 않을 경우 컵의 형상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portability of the cup have been proposed.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portable cup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the outer side of the cup 10 to form a side fold 12, so that when not in use can be folded and stored flat. 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portable cup 10 as shown in FIG. 1 can increase the portability, the shape is different from that of a commonly used cup, and the portion for drinking the liquid content is specified,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cup cannot be maintained if it is not cau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especially when holding the cup 1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1564 (공고일: 2001.07.03.)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1564 (Notice: 2001.07.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3044호 (공개일: 2019.07.11.)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83044 (Publication date: 2019.07.1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201호 (공고일: 2013.12.06.)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0201 (Notice: 2013.12.0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완벽한 컵의 형태를 유지하되, 휴대시에는 절첩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휴대용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up capable of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when folded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a perfect cup.

더 나아가 내용물이 남아 있을 경우에도 이를 밀봉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는 용기의 기능까지 가질 수 있는 휴대용 컵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ortable cup that can have the function of a container that is sealed and safely stored even when the contents remain.

그리고 보온 기능을 가지고 있어, 온음료와 냉음료의 온도를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컵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up having a warming function and capable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hot and cold drinks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사용시에는 컵의 형상을 유지하되, 휴대시에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스킨부(101); 상기 측면 스킨부(101)의 하단에 접합되되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상기 공간의 하면을 막는 저면 스킨부(102); 및 상기 측면 스킨부(101)에 부착되되,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변형시키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성 변형이 가능한 프레임부(200)를 포함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프레임부(200)가 컵의 형상을 이루도록 변형되고, 휴대시에는 상기 프레임부(200)가 납작한 시트 형태를 이루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up that maintains the shape of a cup when in use, but can be folded when carrying, a side skin portion 101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space to form a space to contain liquid contents; A bottom skin part 102 that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skin part 101 and prevents a lower surface of the space that can contain liquid contents; And a frame portion 200 attached to the side skin portion 101 and plastically deformable to maintain a deformed state when the user deforms by applying a force, and when used, the frame portion 200 is in the shape of a cup. It is deformed to form, and when carrying, the frame portion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deformed to form a flat sheet.

상기 스킨부(102)는 동일한 형상의 제1 스킨 시트(101a) 및 제2 스킨 시트(101b)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는 양 측면에서 상호 간에 접합될 수 있다. The skin portion 102 includes a first skin sheet 101a and a second skin sheet 101b of the same shape, wherein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are on both sides. They can be joined together.

더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부 프레임(202), 하부 프레임(203), 그리고 수직 프레임(201)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202)은 서로 대칭인 형태의 제1 상부 프레임(202a) 및 제2 상부 프레임(202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3)은 서로 대칭인 형태의 제1 하부 프레임(203a) 및 제2 하부 프레임(20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02a)과 상기 제1 하부 프레임(203a)은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상부 프레임(202b) 및 상기 제2 하부 프레임(203b)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에 부착되되, 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02a)과 제2 상부 프레임(202b)의 사이가 벌어지며, 상기 제1 하부 프레임(203a)과 제2 하부 프레임(203b)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프레임(200)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frame portion 200 includes an upper frame 202, a lower frame 203, and a vertical frame 201, wherein the upper frame 202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first upper frame 202a ) And a second upper frame 202b, and the lower frame 203 includes a first lower frame 203a and a second lower frame 203b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upper frame ( 202a) and the first lower frame 203a are attached to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and the second lower frame 203b are the second skin sheet 101b. Attached to, but when used as a cup, the gap between the first upper frame 202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is widened, and between the first lower frame 203a and the second lower frame 203b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200 is deformed so as to open.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201)은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가 접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의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vertical frame 201 is between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are join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ttached to.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 및 제2 스킨 시트(101b)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내피(104)와 외피(103)를 포함하되, 상기 내피(104)와 외피(103)의 사이에 단열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include an inner skin 104 and an outer skin 103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an insulating part (between the inner skin 104 and the outer skin 103). 105) may be formed.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 및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에는 지퍼부(106)가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106)를 잠궜을 때는 상기 휴대용 컵 내부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a zipper portion 106 is formed on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and when the zipper portion 106 is locked, the contents of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ortable cup are stor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be sealed and stored.

본 발명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컵은 내부에 소성변형이 가능한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할 때는 완전한 컵의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고 휴대할 경우에는 프레임이 절곡되어 컵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휴대용 컵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The collapsible portabl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ame that can be plastically deformed therein, so that when used, the shape of a complete cup is used, and when not used, the frame is bent and the cup is folde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The space occupied by the portable cup can be minimized.

그리고 휴대용 컵의 입구 부분에 밀봉용 지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는 밀폐용 용기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특히 밀봉용 지퍼부와 상부 프레임(202)의 존재로 인하여, 밀봉용 지퍼부의 밀폐력이 더 좋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a zipper portion for sealing is formed at an inlet portion of the portable cup to have a function of a sealing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or transporting liquid contents. In particular, due to the presence of the sealing zipper portion and the upper frame 202, the sealing force of the sealing zipper portion may be improved.

더 나아가, 밀봉용 지퍼부를 일부만 개봉하고, 개봉된 부위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의 형상을 동그랗게 변형하여 출수구로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걷거나 뛰면서도 안전하게 휴대용 컵 내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Furthermore, if a part of the zipper for sealing is partially opened, and the shape of the upper frame located in the opened area is used as a water outlet, the user can safely take the contents in the portable cup while walking or running. .

더 나아가 스킨부에 단연 소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휴대용 컵을 만지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막을 수 있다. Furthermore, by inserting a material by far into the sk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or cold contents can be maintained and a user touching the portable cu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urn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컵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용 컵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측면 스킨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컵이 시트 형태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시트 형태로 접혀진 상태의 휴대용 컵을 한 번 더 접어서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지퍼부의 일부만 개방하여 취수구를 만든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곡면 변형 밴드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portable cup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4 illustrates a modified state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ide skin portion.
6 and 7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the form of a sheet.
8 and 9 show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up in a folded state in the form of a sheet is folded once more to maximize portability.
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only a part of the zipper is opened to make a water intake.
11 shows a curved band tha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봉이 가능한 휴대용 컵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up capable of se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컵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컵은 사용시 컵의 형상을 가지게끔 변형된 상태로서,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 스킨부(101) 및 저면 스킨부(102)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더 나아가 측면 스킨부(101)는 필름 형태의 제1 스킨 시트(101a)와 제2 스킨 시트(101b)의 양 측면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top of the portab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bottom. The portable cups shown in FIGS. 2 and 3 are deformed to have a shape of a cup when used, and the side skin portion 101 and the bottom skin portion 102 are mutually formed to form a space capable of containing liquid contents. Spliced. Furthermore, the side skin part 101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in the form of a film are bonded to each other.

측면 스킨부(101)의 상단에는 밀봉용 지퍼부(106)가 형성될 수 있는데, 휴대용 컵의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지퍼부(106)를 잠그게 되면 액상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운반할 수 있는 용기로서 휴대용 컵이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지퍼부(106)는 파우치 등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퍼부(106)를 일부만 개봉하고, 개봉된 부위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의 형상을 동그랗게 변형하여 출수구(400)로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걷거나 뛰면서도 안전하게 휴대용 컵 내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위 출수구(400)의 사이즈에 맞도록 개폐구가 형성된 출수장치(401)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 sealing zipper portion 10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skin portion 101. When the zipper portion 106 is locked while the liquid contents are contained in the portable cup, the liquid contents are safely stored. / A portable cup can function as a transportable container. Since the zipper portion 106 can use a conventional one used in a pouch or the like, a detailed description of its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10, when the zipper portion 106 is partially opened, and the shape of the upper frame located in the opened portion is deformed to be used as the outlet 400, the user can safely walk or run while cupping. You will be able to consume your contents. More preferably,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water outlet device 401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to fit the size of the water outlet 400 above.

측면 스킨부(101)의 내부에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프레임이 내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부분은 제1 상부 프레임(202a)과 제2 상부 프레임(202b)인데, 제1 상부 프레임(202a)은 제1 스킨 시트(101a) 내부에, 제2 상부 프레임(202b)은 제2 스킨 시트(101b)의 내부에 부착된다. 더 나아가 제1 스킨 시트(101a)의 하단에는 제1 하부 프레임(203a)이, 제2 스킨 시트(101b)의 하단에는 제2 하부 프레임(203)이, 그리고 제1 스킨 시트(101a)와 제2 스킨 시트(101b)가 서로 맞붙어 접합된 양 측부에는 수직 프레임(201)이 부착된다. 하부 프레임(203)은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외부 충격에 의해서 컵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프레임부(200)만을 별도로 도신한 것인데, 도 4에 도시된 프레임부(200)는 측면 스킨부(101)에 부착되어 측면 스킨부(10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직 프레임(201)은 휴대용 컵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대형으로 형성될 때 수직 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주어서 견고성을 높이게 된다. A frame capable of plastic deformation is built in the interior of the side skin part 101. The parts illustrated in FIG. 2 are the first upper frame 202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wherein the first upper frame 202a is inside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is It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skin sheet 101b. Furthermore, a first lower frame 203a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kin sheet 101a, a second lower frame 20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skin sheet 101b, and a first skin sheet 101a is provided. 2 A vertical frame 201 is attached to both sides where the skin sheets 101b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lower frame 203 may serve to prevent the shape of the cup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when the user walks or runs. FIG. 4 shows only the frame portion 200 separately, and the frame portion 200 illustrated in FIG. 4 is attached to the side skin portion 101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ide skin portion 101. The vertical frame 201 increases the rigidity by giving the structural str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portable cup is formed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r formed in a large size.

프레임부(200)는 상온에서 사람의 힘에 의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한 물질,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서 변형을 일으키면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변형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구리, 알루미늄과 같이 상온에서 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할 정도의 소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 형상기억합금, 소성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심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레임은 이들 재료들을 철사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 형성될 수도 있고, 바 형태로 만들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변형시킨 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frame part 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plastically deformed by the force of a person at room temperature, that is, a material that maintains the deformed form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when the user applies the external force. Metal materials, such as aluminum, having plasticity sufficient to be deformed by manpower at room temperature, shape memory alloys, plastic deformable plastic core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frame may be formed by forming these materials in the form of a wire, or may be formed by forming a bar, and th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user can deform and maintain a deformed s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tructural rigidity. No.

혹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호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자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소정 부분(A)을 누르게 되면 동그랗게 말리게 되는 곡면 변형 밴드(250)를 프레임부(200), 특히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변형 밴드(250)는 아동용 팔목 시계 또는 완구용 팔찌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데, 그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력을 주는 방향에 따라 원호 형태로 말린 형태와 일자인 형태 두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일단 변형된 다음에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휴대용 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곡면 변형 밴드(250)의 소정 부분(B)를 눌러서 일자를 유지하도록 하고, 휴대용 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탄성 밴드(250)의 소정 부분(A)을 눌러서 전체적인 형상이 원호를 가지도록 변형시키면, 휴대용 컵은 컵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Or as shown in Figure 11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arc, while maintaining a straight shape, and pressing the predetermined portion (A), the curved surface deformed band 250, which curls in a circle, the frame portion 200,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upper and lower frames. The curved surface band 250 can be used as it is applied to children's wrist watches or toy bracelets,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it is dried and dated in an arc shap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external force. It can be transformed into two forms, and once deformed, the form is maintained until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portable cup is not used, the predetermined shape (B) of the curved surface deforming band 250 is pressed to maintain the date, and when the portable cup is used, the entire shape is pressed by pressing the predetermined portion (A) of the elastic band 250. When deformed to have an arc, the portable cup can have a cup shape.

측면 스킨부(101)와 저면 스킨부(102)는 폴리에틸렌(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폴리에틸렌(PE) 필름과 기타 기능성 합성 수지 필름이 적층된 복합재료(PET/LLD,PET/CPP,PET/NY/LLD,PET/NY/CPP, PET/AL/NY/LLD,PET/AL/NY/CPP)와 같이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측면 스킨부(101)와 저면 스킨부(102)에는 은나노 물질, 동나노 물질 또는 광촉매 등을 코팅하여 세균의 증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side skin portion 101 and the bottom skin portion 102 are polyethylene (PE) films,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or polyethylene (PE) films and other functional synthetic resin films laminated composite materials (PET / LLD, PET / CPP, PET / NY / LLD, PET / NY / CPP, PET / AL / NY / LLD, PET / AL / NY / CPP). If necessary, the side skin part 101 and the bottom skin part 102 may be coated with a silver nano material, a copper nano material, or a photocatalyst to reduce the growth of bacteria.

바람직하게는 측면 스킨부(101)를 구성하는 제1 스킨 시트(101a) 및 제2 스킨 시트(101b), 또는 저면 스킨부(102)는 복수 개의 합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104)와 외피(103) 사이에 수직 프레임(201)을 비롯하여 상부 프레임(202a,202b)과 하부 프레임(203a,203b)이 위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한 경우 내피(104)와 외피(103)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부(105)를 형성하여 액상의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뜨거운 액상의 내용물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단열부(105)로는 PE를 발포한 PE 발포필름, 폴리우레탄, 부직포, 단열 비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내피(104)와 외피(103) 사이의 공간 에는 단열물질과 더불어 황토, 숫, 자석, 은, 세라믹, 게르마늄, 맥반석, 맥섬석, 또는 자성물질 등과 같은 건강 기능성 물질들을 넣을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건강 기능성 물질들을 내피(104) 또는 외피(103)에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Preferably,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constituting the side skin part 101 or the bottom skin part 102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lms.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upper frame 202a, 202b and the lower frame 203a, 203b, including the vertical frame 201, are located between the inner shell 104 and the outer shell 103 made of a synthetic resin film. Can be attached. Further, if necessary, a space between the inner shell 104 and the outer shell 103 is formed to form a thermal insulation section 105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is burned by the hot liquid contents. Can be prevented. As the insulation portion 105, a PE foam film foamed with PE, polyurethane, nonwoven fabric, insulation beads, or the like can be used. Furthermore, in the space between the endothelial 104 and the outer sheath 103, health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ocher, grime, magnet, silver, ceramic, germanium, mackban stone, macksum stone, or magnetic material may be put in addition to the insulating material.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at these health functional materials on the endothelium 104 or the envelope 103.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부(200)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201), 상부 프레임(202a,202b), 그리고 하부 프레임(203a,203b)은 인력에 의해서 소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측면 스킨부(101)와 저면 스킨부(201)은 위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프레임(20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에 따라서 측면 스킨부(101)와 저면 스킨부(201)의 형상 역시 결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 상부 프레임(202a)와 제2 상부 프레임(202b)가 벌어지도록 하여 휴대용 컵의 입구 부분의 형상을 만들 수 있고, 제1 하부 프레임(203a)와 제2 하부 프레임(203b)가 벌어지도록 하여 휴대용 컵의 받침 부분의 형상을 만들어서 휴대용 컵이 스스로 직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vertical frame 201, the upper frame (202a, 202b), and the lower frame (203a, 203b) constituting the frame portion 200 ar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lastic deformation by attraction. In addition, since the side skin part 101 and the bottom skin part 201 are fixed to the upper frame 200, the side skin part 101 and the bottom skin part 201 according to the user changing the shape of the frame 200 ) Shape is also determined. 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portable cup, the first upper frame 202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may be opened to form a shape of the inlet portion of the portable cup, and the first lower frame 203a and the second By making the lower frame 203b open,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portable cup can be made so that the portable cup can stand itself.

여기에서 제1 상부 프레임(202a) 및 제1 하부 프레임(203a)는 제1 스킨 시트(101a)를 구성하는 내피(104)와 외피(103)의 사이에, 제2 상부 프레임(202b)와 제2 하부 프레임(203b)는 제2 스킨 시트(101b)를 구성하는 내피(104)와 외피(103)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201)은 제1 스킨 시트(101a)와 제2 스킨 시트(101b)가 접합되는 부위에 위치하되, 제1 스킨 시트(101a)와 제2 스킨 시트(101b)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upper frame 202a and the first lower frame 203a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upper frame 202b and the inner skin 104 and outer skin 103 constituting the first skin sheet 101a. 2 The lower frame 203b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kin 104 and the outer skin 103 constituting the second skin sheet 101b. 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201 is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are joined, bu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It is preferred.

도 6 및 도 7은 휴대용 컵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202a,202b)와 하부 프레임(203a,203b)을 소성 변형시켜 스킨 시트(101a,101b)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더 이상 컵의 형상을 가지지 아니하고 납작한 시트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skin sheets 101a and 101b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upper frames 202a and 202b and the lower frames 203a and 203b to increase portability when the portable cup is not used. Is showing. By no longer having the shape of the cup and being transformed into a flat sheet shape, portability can be improved.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휴대용 컵을 한 번 더 절첩하여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축소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수직 프레임(201)의 소정 부분을 소성변형시킴으로써, 휴대용 컵의 높이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8 and 9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up of the form shown in FIGS. 6 and 7 is folded once more and reduced to a size that can be stored in a pocket. By plastically deform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201, the height of the portable cup can be reduced to half, and portability can be maximized.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봉이 가능한 휴대용 컵은 유연한 재질의 스킨 시트 내부에 소성 변형이 가능한 프레임을 넣음으로써, 휴대용 컵의 사용시에는 완전한 컵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절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킨 시트(101a,101b)의 상단 입구 부분에 지퍼부를 형성함으로써, 컵으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액상인 내용물의 보존 및 운반이 가능한 용기로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cup capable of se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tic deformable frame inside a skin shee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a complete cup when using the portable cup, but folded when not in use. By maintaining it, portability can be maximized. Furthermore, by forming a zipper portion at the upper inlet portion of the skin sheets 101a and 101b, it can have a function as a cup as well as a container capable of preserving and transporting liquid contents.

101: 측면 스킨부 101a,101b: 스킨 시트
102: 저면 스킨부
103: 외피 104: 내피
105: 단열부 106: 지퍼부
200: 프레임부 201: 수직 프레임
202a, 202b: 상부 프레임 203a, 203b: 하부 프레임
101: side skin portion 101a, 101b: skin sheet
102: bottom skin part
103: outer shell 104: inner shell
105: insulation portion 106: zipper
200: frame portion 201: vertical frame
202a, 202b: upper frame 203a, 203b: lower frame

Claims (6)

사용시에는 컵의 형상을 유지하되, 휴대시에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스킨부(101);
상기 측면 스킨부(101)의 하단에 접합되되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상기 공간의 하면을 막는 저면 스킨부(102); 및
상기 측면 스킨부(101)에 부착되되,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변형시키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성 변형이 가능한 프레임부(200)를 포함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프레임부(200)가 컵의 형상을 이루도록 변형되고, 휴대시에는 상기 프레임부(200)가 납작한 시트 형태를 이루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
When used, the shape of the cup is maintained, but when it is carried, it relates to a portable cup that can be folded.
A side skin part 101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space to form a space capable of containing liquid contents;
A bottom skin part 102 that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skin part 101 and prevents a lower surface of the space that can contain liquid contents; And
It is attached to the side skin portion 101, and includes a frame portion 200 capable of plastic deformation to maintain a deformed state when the user deforms by applying a force,
In use, the frame portion 200 is deformed to form the shape of a cup, and when carried, the frame portion 200 is deformed to form a flat sheet shape, which can be folded, a portable cu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102)는 동일한 형상의 제1 스킨 시트(101a) 및 제2 스킨 시트(101b)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는 양 측면에서 상호 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kin portion 102 includes a first skin sheet (101a) and a second skin sheet (101b) of the same shape,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 Is a portable cup that can be fol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nd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부 프레임(202), 하부 프레임(203), 그리고 수직 프레임(201)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202)은 서로 대칭인 형태의 제1 상부 프레임(202a) 및 제2 상부 프레임(202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3)은 서로 대칭인 형태의 제1 하부 프레임(203a) 및 제2 하부 프레임(20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02a)과 상기 제1 하부 프레임(203a)은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상부 프레임(202b) 및 상기 제2 하부 프레임(203b)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에 부착되되,
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202a)과 제2 상부 프레임(202b)의 사이가 벌어지며, 상기 제1 하부 프레임(203a)과 제2 하부 프레임(203b)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프레임(200)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rame portion 200 includes an upper frame 202, a lower frame 203, and a vertical frame 201,
The upper frame 202 includes a first upper frame 202a and a second upper frame 202b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lower frame 203 includes a first lower frame 203a and a second lower frame 203b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first upper frame 202a and the first lower frame 203a are attached to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and the second lower frame 203b are the first 2 is attached to the skin sheet (101b),
When used as a cup, the gap between the first upper frame 202a and the second upper frame 202b is widened, and the frame is widened between the first lower frame 203a and the second lower frame 203b. A portable cup that can be folded, characterized in that 200 is de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201)은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가 접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와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의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vertical frame 201 is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is bonded,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 101b), which can be folded, portable cup.
청구항 2 내지 4 중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 및 제2 스킨 시트(101b)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내피(104)와 외피(103)를 포함하되,
상기 내피(104)와 외피(103)의 사이에 단열부(10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comprises an inner shell 104 and an outer shell 103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ilm,
A portable cup that can be folded, characterized in that an insulating portion (10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hell (104) and the outer shell (103).
청구항 2 내지 4 중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 시트(101a) 및 상기 제2 스킨 시트(101b)에는 지퍼부(106)가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106)를 잠궜을 때는 상기 휴대용 컵 내부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될 수 있는 휴대용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skin sheet (101a) and the second skin sheet (101b) is formed with a zipper portion (106),
When the zipper portion 106 is locked, a portable cup that can be fol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ontents contained in the portable cup can be sealed and stored.
KR1020190125615A 2018-10-12 2019-10-10 Foldable Portable Cup KR1021767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1574 2018-10-12
KR1020180121574 2018-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00A true KR20200041800A (en) 2020-04-22
KR102176708B1 KR102176708B1 (en) 2020-11-09

Family

ID=7047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15A KR102176708B1 (en) 2018-10-12 2019-10-10 Foldable Portable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08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564Y1 (en) 2001-02-14 2001-07-03 이낙철 A shrinkable portable type cup
JP2001180644A (en) * 1999-12-27 2001-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Easily disposable in-mold plastic cup
CN2819910Y (en) * 2005-09-23 2006-09-27 刘爱军 Pen type portable cup
KR20130067596A (en) * 2011-12-14 2013-06-25 손창민 Trans cup
KR200470201Y1 (en) 2012-11-01 2013-12-06 양재욱 Portable cup
JP2015039393A (en) * 2013-08-20 2015-03-02 有限会社相川合成樹脂工業所 Folding cup
JP2016209490A (en) * 2015-04-28 2016-12-15 六朗 野澤 Portable folding cup
KR20190083044A (en) 2018-01-03 2019-07-11 이주교 Portable cup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644A (en) * 1999-12-27 2001-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Easily disposable in-mold plastic cup
KR200231564Y1 (en) 2001-02-14 2001-07-03 이낙철 A shrinkable portable type cup
CN2819910Y (en) * 2005-09-23 2006-09-27 刘爱军 Pen type portable cup
KR20130067596A (en) * 2011-12-14 2013-06-25 손창민 Trans cup
KR200470201Y1 (en) 2012-11-01 2013-12-06 양재욱 Portable cup
JP2015039393A (en) * 2013-08-20 2015-03-02 有限会社相川合成樹脂工業所 Folding cup
JP2016209490A (en) * 2015-04-28 2016-12-15 六朗 野澤 Portable folding cup
KR20190083044A (en) 2018-01-03 2019-07-11 이주교 Portable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708B1 (en)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444A (en) Insulating jacket for a beverage container
MX2014010646A (en) Semi-rigid concave applicator of encapsulated liquids.
US20060102637A1 (en) One-handed meal and beverage holder
KR102176708B1 (en) Foldable Portable Cup
US20070102078A1 (en) Diaper mini
KR200466532Y1 (en) A portable cup
US20190168947A1 (en) Beverage container insulator
US5944437A (en) Single use, disposable lotion applicator
JP2008080072A (en) Cup holder
USD499647S1 (en) Collapsible/flexible pouring attachment
KR20110042889A (en) Packing box
US20190133360A1 (en) Off the floor fashion handbag
CN208307391U (en) A kind of condom packing box
KR101811870B1 (en) Compressed cup having a small volume
US20090229623A1 (en) Nail Grooming Appartus
JP3015594U (en) Fishing vessel
JP3174437U (en) Foldable mobile bottle
US10472159B2 (en) Beverage container insulator
JP2019103602A (en) Shopping bag
KR0137389Y1 (en) Cosmetic case
KR102133520B1 (en) Folding type vessel
JPH037307Y2 (en)
JP5275716B2 (en) Container with handle
JP2007039064A (en) Pet bottle
TWM465360U (en) Paper contain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