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598A -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598A
KR20200041598A KR1020180121856A KR20180121856A KR20200041598A KR 20200041598 A KR20200041598 A KR 20200041598A KR 1020180121856 A KR1020180121856 A KR 1020180121856A KR 20180121856 A KR20180121856 A KR 20180121856A KR 20200041598 A KR20200041598 A KR 2020004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powder
coupl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98B1 (ko
Inventor
장상호
김지안
이재호
구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Priority to KR102018012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시반응으로 피부에 도포 가능한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도록 액제와 분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상부커넥터(111)가 고정결합되고, 하부에 플런져(115)가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플런져(115) 사이에 상기 액제(A)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하부캡(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커넥터(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130)과; 내부에 상기 분말제(B)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캡(120)이 분리된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플런져(115)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분말제용기(140)와;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된 용기본체(110)로부터 상기 상부캡(130)이 분리되면 상기 상부커넥터(111)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말제용기(140)의 내부로 수용되는 스포이드(151)가 구비된 스포이드캡(15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상부커넥터(111)로부터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까지 연장형성되며, 상부영역의 표면에 액제유입공(113a)이 형성된 액제이동관(113)이 구비되며,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플런져(115)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액제(A)가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상기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분말제용기(140)로 상기 액제(A)가 공급되어 상기 분말제(B)와 즉시반응되어 상기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COSMETIC CONTAINER ASSEMBLY TO MIX LIQUID AND POWDER IMMEDIATELY}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하나의 용기에서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 중 피부재생력이 우수하여 최근 관심이 증가되는 즉시 혼합 화장품 제형이 있다. 즉시 혼합 화장품 제형은 액체형태의 액제와 가루형태의 분말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보관하고, 피부에 사용하기 직전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시켜 사용하게 된다.
종래 즉시 혼합 화장품 제형은 액제가 수용된 액제용기와, 분말제가 수용된 분말용기를 각각 보관한다. 그리고, 사용 직전 액제용기를 개봉한 후, 분말용기에 액제를 공급하고, 분말용기의 상부에 피부공급용 캡을 결합시킨 후, 액제와 분말제를 흔들어 반응시켜 화장품 제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화장품 제형을 손에 덜어 얼굴에 바르게 된다.
이러한 종래 즉시 혼합 화장품 제형의 사용방법은 액제용기와 분말용기를 각각 밀봉보관하게 되므로, 각 용기의 상부에 몇 겹의 포장캡을 씌우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제용기와 분말용기를 개봉하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장시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밀봉을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를 사용하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 손을 다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액제를 분말용기에 붓는 과정에서 액제의 정해진 양을 온전히 다 붓지 못하고 외부로 흘려버리는 경우도 있어 정량의 화장품 제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 즉시 혼합 화장품 제형의 사용방법은 혼합용기의 위에 분말이 있고 아래에 용액이 있는 상태에서 분말이 터지면서 액체와 섞이게 된다. 이에 따라 분말이 습기를 머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품 핵심 원료 중 단백질 원료는 액체 상태에서 안정성이 떨어져 화장품을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단백질, 펩타이드를 핵심원료로 사용하거나 항산화 물질을 원료로 하는 경우, 수용액상에서 점차 활성을 잃어가는 본래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등의 공정을 거친 분말과 사용감을 증대시키는 용액제를 사용하기 직전 혼합하여 사용 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사용 직전에 액상의 스킨 또는 에센스와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분말형 화장품을 혼합함으로써, 피부 및 모발에 영양을 주는 성분들을 간편하게 보관,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즉시 혼합 화장품에서 하나의 용기에 액제와 분말제가 함께 있고, 사용 직전 혼합하게 되는 경우, 보관 중 액제의 습기가 분말에 스며들어 분말이 온전히 액제와 다 섞이지 않는 문제도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액제와 분말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장품 원료의 변질을 막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즉시반응으로 피부에 도포 가능한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도록 액제와 분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조립체는, 상부에 상부커넥터(111)가 고정결합되고, 하부에 플런져(115)가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플런져(115) 사이에 상기 액제(A)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하부캡(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커넥터(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130)과; 내부에 상기 분말제(B)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캡(120)이 분리된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플런져(115)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분말제용기(140)와;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된 용기본체(110)로부터 상기 상부캡(130)이 분리되면 상기 상부커넥터(111)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말제용기(140)의 내부로 수용되는 스포이드(151)가 구비된 스포이드캡(15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상부커넥터(111)로부터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까지 연장형성되며, 상부영역의 표면에 액제유입공(113a)이 형성된 액제이동관(113)이 구비되며,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플런져(115)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액제(A)가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상기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분말제용기(140)로 상기 액제(A)가 공급되어 상기 분말제(B)와 즉시반응되어 상기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상부캡(130) 및 상기 스포이드캡(150)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런져(115)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액제(A)를 가압하는 가압단(115a)과; 하부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분말제용기(140)의 상단이 결합되는 용기삽입공간(115b)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포이드캡(150)은 상기 스포이드(151)를 이용해 혼합된 화장품 제형을 외부로 드롭하거나,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즉시반응으로 피부에 도포 가능한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도록 액제와 분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조립체는, 상부에 상부커넥터(111)가 고정결합되고, 하부에 플런져(115)가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플런져(115) 사이에 상기 액제(A)가 수용되는 액제이동공간(1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액제유입공(113a)이 형성된 액제이동관(113)을 갖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캡(120)과; 상기 상부커넥터(111)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액제이동관(113) 내부에 수용되는 스포이드(151)가 구비된 스포이드캡(150)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분말제(B)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캡(120)이 분리된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플런져(115)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분말제용기(140)를 포함하되, 상기 스포이드(151)는 단면이 좌우방향 외경과 상하방향 외경이 상이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외경은 상기 액제이동관(113)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 외경은 상기 액제이동관(113)과 일정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하부캡(120)이 결합되면 상기 스포이드(151)는 상기 좌우방향 외경이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되면 상기 스포이드(151)는 상기 상하방향 외경이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향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플런져(115)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액제(A)가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상기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분말제용기(140)로 상기 액제(A)가 공급되어 상기 분말제(B)와 반응되어 상기 화장품제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는 액제가 수용된 용기본체에 분말제용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켜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반응시켜 화장품 제형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분말제용기와 액제용기의 포장을 각각 벗겨내고 액제용기의 액제를 분말제용기에 쏟아 반응시켜야 했던 복잡한 과정을 간단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에 스포이드캡을 결합시켜 화장품 제형을 편리하게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는 분말이 아래에 있고 액체가 위에 있으며, 따로 보관하다가 결합시키면서 액체가 분말에 섞이기 때문에 분말이 습기를 머금는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의 용기본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분말제용기와 스포이드캡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분말제용기와 스포이드캡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조립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의 스포이드캡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분말제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는 액제(A)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캡(120)과,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130)과, 하부캡(120)이 분리된 후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며 내부에 분말제(B)가 수용되는 분말제용기(140)와, 분말제용기(140)가 용기본체(110)에 결합된 후 상부캡(130) 대신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포이드캡(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는 액제(A)와 분말제(B)를 즉시 혼합하여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시켜 사용자가 피부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조립체(100)에 적용되는 액제(A)는 일례로 버퍼일 수 있고, 분말제(B)는 일례로 기능성 펩타이드일 수 있다. 그리고, 액제(A)와 분말제(B)가 즉시 혼합되어 형성된 화장품 제형은 기능성 펩타이드가 피부에 적용될 수 있는 제형으로 변화된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 제형은 미백, 주름개선, 피부결 개선, 세포재생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에 하부캡(120)과 상부캡(130)이 결합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자가 피부에 적용하기 직전에 용기본체(110)로부터 하부캡(120)과 상부캡(130)을 분리하고, 분말제용기(140)와 스포이드캡(150)을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하부캡(120)과 상부캡(130)이 결합된 용기본체(11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는 원통형 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용기본체(110)의 상부에는 상부커넥터(111)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플런져(115)가 용기본체(1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상부커넥터(111)와 플런져(115) 사이에 액제이동공간(114)이 형성되고, 액제이동공간(114)에 액제(A)가 수용된다.
상부커넥터(111)의 중심영역에는 수직방향으로 액제이동관(113)이 구비된다. 액제이동관(113)의 상부 표면에는 복수개의 액제유입공(113a)이 관통형성된다.
하부캡(120)과 상부캡(130)이 용기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제(A)가 액제유입공(113a) 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된다. 이 때, 액제이동관(113)의 상부에는 상부캡(130)의 밀폐바(133)가 삽입되어 액제유입공(113a)을 막는다.
즉, 밀폐바(133)가 액제이동관(113)의 내부로 삽입되어 액제유입공(113a)을 폐쇄하므로, 용기본체(110)가 넘어지거나 외력에 의해 용기본체(110)가 흔들리더라도 액제이동공간(114)의 액제(A)가 액제유입공(113a)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상부커넥터(111)의 외주연에는 제1나사산(111a)이 형성되어 상부캡(130) 또는 스포이드캡(150)과 나사결합된다.
플런져(115)는 외경이 용기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플런져(115)는 액제이동관(113)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액제이동관(113)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플런져(115)의 상부 중심영역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가압단(115a)이 구비된다.
가압단(115a)은 분말제용기(140)가 플런져(115)에 삽입되어 플런져(115)를 상부로 밀어올릴 때, 액제이동공간(114)에 수용된 액제(A)를 가압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제용기(140)의 결합이 완료되어 플런져(115)가 상부커넥터(111)에 접촉되는 높이까지 이동되었을 때, 가압단(115a)은 상부커넥터(111)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플런져(115)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해 함몰 형성된 용기삽입공간(115b)이 구비된다. 용기삽입공간(115b)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제용기(140)의 결합헤드(141)가 삽입된다.
하부캡(120)은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런져(115)를 지지하고, 액제(A)가 액제이동관(113)으로 이동된 경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캡(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캡(120)은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어, 하부캡(120)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된다.
하부캡(120)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된 분리돌기(121)가 구비된다. 분리돌기(121)는 사용자가 하부캡(12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할 때,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캡(120)의 상부에는 액제이동관(113)과 용기본체(110)의 내벽면 사이로 삽입되어 플런져(115)의 하부를 지지하는 플런져가압단(123)이 구비된다.
상부캡(130)은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본체(110)의 상부를 막아 액제(A)의 외부 누설을 방지한다. 상부캡(130)은 내벽면에 제2나사산(131)이 구비되어 상부커넥터(111)의 제1나사산(111a)과 나사결합된다.
상부캡(130)의 가운데 영역에는 액제이동관(113) 내부로 삽입되어 액제유입공(113a)을 차폐시키는 밀폐바(133)가 구비된다. 밀폐바(133)는 액제이동관(113)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액제유입공(113a)을 막아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되기 전에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액제(A)가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분말제용기(140)는 내부에 분말제(B)를 수용한다. 분말제용기(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와 별도로 보관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품 제형을 적용해야할 때 용기본체(110)에 결합된다.
분말제용기(140)의 상부에는 결합헤드(141)가 구비되고, 결합헤드(141)에는 이동관삽입공(141a)이 구비된다. 결합헤드(1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져(115)의 용기삽입공간(115b)에 끼움결합된다. 이를 위해 결합헤드(141)는 용기삽입공간(115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동관삽입공(141a)은 용기본체(110)에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될 때, 액제이동관(113)이 삽입된다. 또한, 액제이동관(113)을 통해 스포이드캡(150)의 스포이드(151)도 함께 삽입된다.
스포이드캡(150)은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말제용기(140)에 혼합되어 형성된 화장품 제형(A+B)을 사용자의 피부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스포이드캡(150)은 용기본체(110)의 상부커넥터(111)에 나사결합된다. 스포이드캡(150)의 하부에는 스포이드(151)가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스포이드캡(150)의 상부에는 스포이드(151)로 화장품 제형(A+B)이 유입될 수 있도록 펌핑하는 펌핑버튼(153)이 구비된다.
스포이드(151)는 외경이 액제이동관(113)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포이드(151)의 외경과 액제이동관(113)의 내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액제(A)가 이동되어 분말제용기(140)로 공급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는 펌핑에 의해 스포이드(151)로 화장품 제형(A+B)을 일정량 유입시킨 후, 스포이드캡(15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사용자의 피부로 스포이드(151)를 갖다댄 후 펌핑하여 스포이드(151) 내부의 화장품 제형(A+B)을 피부로 떨어뜨려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일예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스포이드캡(150)은 일측에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스포이드(151)를 통해 유입된 화장품 제형(A+B)을 사용자의 피부로 분사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 전에 화장품 용기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120)과 상부캡(130)이 결합된 용기본체(110)와, 분말제(B)가 수용된 분말제용기(140)와, 스포이드캡(150)이 각각 구비된다. 이 때, 분말제용기(140)의 상부는 밀폐되어 구비되고, 스포이드캡(150)은 오염방지를 위해 포장되어 구비된다.
사용자가 피부에 즉시 혼합 화장품 제형(A+B)을 도포하길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부캡(120)의 분리돌기(121)를 손으로 파지하고 하부로 가압하여 하부캡(12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120)이 분리된 용기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분말제용기(140)를 삽입한다. 사용자는 분말제용기(140)의 포장을 벗겨 이동관삽입공(141a)을 개방한다.
그리고, 분말제용기(140)의 결합헤드(141)를 플런져(115)의 용기삽입공간(115b)으로 가압하여 용기삽입공간(115b)에 끼움 결합시킨다. 그리고, 분말제용기(140)를 용기본체(110) 내부로 밀어넣어 플런져(115)를 상부커넥터(111)와 맞닿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플런져(115)가 상승하면, 액제(A)는 상부커넥터(111)와 액제이동관(113)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서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상부캡(130)의 밀폐바(133)가 액제유입공(113a)을 막고 있으므로 액제(A)는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부캡(130)을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해제하고 상부캡(13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한다. 상부캡(130)이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제(A)는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액제이동관(113) 내부로 이동되고, 스포이드(151)와 액제이동관(113)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분말제용기(140)로 공급된다.
액제(A)가 분말제용기(140)로 공급되면, 분말제(B)와 반응하여 즉시 반응 화장품 제형(A+B)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부캡(130)을 분리시킨 후, 스포이드캡(150)을 상부커넥터(111)에 나사결합시킨다. 스포이드(151)는 액제이동관(113) 내부를 통해 분말제용기(140) 내부로 삽입된다.
사용자는 스포이드캡(150)의 펌핑버튼(153)을 가압하여 분말제용기(140) 내부의 화장품 제형(A+B)을 스포이드(151) 내부로 이동시키고, 스포이드캡(15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한 후 피부에 화장품 제형(A+B)을 떨어뜨려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는 액제가 수용된 용기본체에 분말제용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켜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반응시켜 화장품 제형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분말제용기와 액제용기의 포장을 각각 벗겨내고 액제용기의 액제를 분말제용기에 쏟아 반응시켜야 했던 복잡한 과정을 간단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에 스포이드캡을 결합시켜 화장품 제형을 편리하게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a)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는 보관시에 용기본체(110)에 상부캡(130)과 하부캡(120)이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분말제용기(140)와 스포이드캡(150)이 별개로 구비된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a)는 보관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120)과 스포이드캡(150a)이 용기본체(110)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된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a)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조립체(100)에 비해 상부캡(130)의 구성이 생략되어 전체 구성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드캡(150a)의 스포이드(151a)가 좌우직경(r1)과 상하직경(r2)이 상이한 타원형상으로 단면이 구비된다.
이 때, 좌우직경(r1)은 액제이동관(113)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하직경(r2)은 액제이동관(113) 보다 작게 형성되어 액제이동관(113) 사이에 일정 유격(d)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보관시, 즉 분말제용기(140)를 결합하기 전에는 액제이동관(113)의 액제유입공(113a)과 동축상으로 스포이드(151a)의 좌우직경(r1)이 위치되도록 스포이드캡(150a)을 배치한다.
도 6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드(151a)의 좌우직경(r1)이 액제이동관(113)의 액제유입공(113a)이 형성된 방향의 내벽면을 막아 용기본체(110) 내부의 액제(A)가 액제이동관(11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면,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품 제형을 적용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120)을 분리하고 분말제용기(140)를 결합시키면, 사용자는 스포이드캡(150a)을 90 또는 270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8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직경(r2)의 스포이드(151) 방향이 액제이동관(113)의 액제유입공(113a) 측을 향하게 되어 액제이동관(113)과 스포이드(151a) 사이에 이격간격(d)이 형성되고, 액제유입공(113a)이 개방된다.
분말제용기(140)의 결합에 의해 플런져(115)가 상승하면서 상부로 이동된 액제(A)는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고, 분말제용기(140)로 공급되어 즉시 반응 화장품 제형(A+B)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포이드캡(150a)의 상면 또는 용기본체(110)의 측면에는 보관시 스포이드캡(150a)의 위치와 화장품 제형 적용시 스포이드캡(150a)의 위치를 안내하는 눈금이 음각 또는 양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조립체(100a)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조립체(100)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화장품 용기조립체 110 : 용기본체
111 : 상부커넥터 111a : 제1나사산
113 : 액제이동관 113a : 액제유입공
114 : 액제이동공간 115 : 플런져
115a : 가압단 115b : 용기삽입공간
120 : 하부캡 121 : 분리돌기
123 : 플런져가압단 130 : 상부캡
131 : 제2나사산 133 : 밀폐바
140 : 분말제용기 141 : 결합헤드
141a : 이동관삽입공 150 : 스포이드캡
151 : 스포이드 153 : 펌핑버튼
A : 액제
B : 분말제
A+B : 즉시반응 화장품제형

Claims (5)

  1. 즉시반응으로 피부에 도포 가능한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도록 액제와 분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있어서,
    상부에 상부커넥터(111)가 고정결합되고, 하부에 플런져(115)가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플런져(115) 사이에 상기 액제(A)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하부캡(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커넥터(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130)과;
    내부에 상기 분말제(B)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캡(120)이 분리된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플런져(115)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분말제용기(140)와;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된 용기본체(110)로부터 상기 상부캡(130)이 분리되면 상기 상부커넥터(111)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말제용기(140)의 내부로 수용되는 스포이드(151)가 구비된 스포이드캡(15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상부커넥터(111)로부터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까지 연장형성되며, 상부영역의 표면에 액제유입공(113a)이 형성된 액제이동관(113)이 구비되며,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플런져(115)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액제(A)가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상기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분말제용기(140)로 상기 액제(A)가 공급되어 상기 분말제(B)와 즉시반응되어 상기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상부캡(130) 및 상기 스포이드캡(150)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115)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액제(A)를 가압하는 가압단(115a)과;
    하부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분말제용기(140)의 상단이 결합되는 용기삽입공간(115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캡(150)은 상기 스포이드(151)를 이용해 혼합된 화장품 제형을 외부로 드롭하거나,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5. 즉시반응으로 피부에 도포 가능한 화장품 제형으로 변화되도록 액제와 분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에 있어서,
    상부에 상부커넥터(111)가 고정결합되고, 하부에 플런져(115)가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와 상기 플런져(115) 사이에 상기 액제(A)가 수용되는 액제이동공간(1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넥터(11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액제유입공(113a)이 형성된 액제이동관(113)을 갖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캡(120)과;
    상기 상부커넥터(111)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액제이동관(113) 내부에 수용되는 스포이드(151)가 구비된 스포이드캡(150)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분말제(B)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캡(120)이 분리된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플런져(115)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분말제용기(140)를 포함하되,
    상기 스포이드(151)는 단면이 좌우방향 외경과 상하방향 외경이 상이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외경은 상기 액제이동관(113)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 외경은 상기 액제이동관(113)과 일정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하부캡(120)이 결합되면 상기 스포이드(151)는 상기 좌우방향 외경이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결합되면 상기 스포이드(151)는 상기 상하방향 외경이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향하게 배치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분말제용기(140)가 상기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5)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플런져(115)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액제(A)가 상기 액제유입공(113a)을 통해 상기 액제이동관(113)으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분말제용기(140)로 상기 액제(A)가 공급되어 상기 분말제(B)와 반응되어 상기 화장품제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KR1020180121856A 2018-10-12 2018-10-12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KR10215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56A KR102157298B1 (ko) 2018-10-12 2018-10-12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56A KR102157298B1 (ko) 2018-10-12 2018-10-12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98A true KR20200041598A (ko) 2020-04-22
KR102157298B1 KR102157298B1 (ko) 2020-09-17

Family

ID=7047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856A KR102157298B1 (ko) 2018-10-12 2018-10-12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99Y1 (ko) * 2001-03-02 2001-09-26 강성일 혼합식 화장품 용기
KR200407438Y1 (ko) * 2005-11-18 2006-01-31 강성일 내용물 혼합 사용이 용이한 용기
KR20120054715A (ko) * 2010-11-22 2012-05-31 (주)연우 회전식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86192Y1 (ko) * 2017-02-27 2018-04-11 김윤호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99Y1 (ko) * 2001-03-02 2001-09-26 강성일 혼합식 화장품 용기
KR200407438Y1 (ko) * 2005-11-18 2006-01-31 강성일 내용물 혼합 사용이 용이한 용기
KR20120054715A (ko) * 2010-11-22 2012-05-31 (주)연우 회전식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86192Y1 (ko) * 2017-02-27 2018-04-11 김윤호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98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293B1 (ko)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JP3405952B2 (ja) 多成分系の保存混合機能兼有計量分配装置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0530202B1 (ko) 1 이상의 제품, 특히 화장품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US200400608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at least one product and method for mixing at least two products
KR20200041598A (ko)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KR20120139328A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200270335Y1 (ko) 이종의 화장품 저장용기
KR101656234B1 (ko) 롤 마스크팩 용기
KR101802270B1 (ko) 분리형 화장품 용기
US20220169432A1 (en)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KR101857013B1 (ko)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조성물이 분리수용된 간편 화장품
KR200362397Y1 (ko)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CN113212984B (zh) 一种预分离式双腔瓶
KR102206002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CN211495196U (zh) 滴管装置
KR102219673B1 (ko) 용기 세트
KR102116430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N110589213A (zh) 滴管装置
KR101673263B1 (ko) 마스크팩용 포장용기
KR20160133703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90045751A (ko) 멀티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