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550A -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550A
KR20200041550A KR1020180121728A KR20180121728A KR20200041550A KR 20200041550 A KR20200041550 A KR 20200041550A KR 1020180121728 A KR1020180121728 A KR 1020180121728A KR 20180121728 A KR20180121728 A KR 20180121728A KR 20200041550 A KR20200041550 A KR 2020004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yroid
thyroid cancer
module
mobile
di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550A/ko
Publication of KR2020004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7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using several separate ultrasound transducers or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5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measuring strain or elas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으로서,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과, 상기 프로브 모듈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 및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수신한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으로서,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1)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과, 상기 프로브 모듈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3) 상기 촉감 영상 및 상기 단계 (2)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층 실리콘 구조의 프로브 모듈을 이용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따라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해 가정에서도 쉽고 정확하게 갑상선암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갑상선암의 촉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언제 어디서든 갑상선암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갑상선암의 촉진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문의에 의존하지 않고도 초기 갑상선 조직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하고, 기존의 갑상선 검사에 드는 많은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발병률이 높은 갑상선암의 초기 자가 검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MOBILE BASED SELF-DIRECTED THYROID CANCER DIAGNOSIS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갑상선 조직의 촉진을 통해 가정에서 일반인이 쉽게 갑상선암을 자가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갑상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의 앞쪽 한 가운데 튀어나온 부분으로, 흔히 목울대 혹은 울대뼈라고 부르는 갑상연골의 2~3㎝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갑상선은 나비 모양으로 좌엽과 우엽, 그리고 두 엽을 이어주는 협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갑상선에 발생되는 갑상선암(thyroid cancer)은 남성보다는 특히 여성에게 많이 발병되는 암으로써, 국가 암 정보센터의 암 발병률을 살펴보면 2002년 기준 여성 전체 암의 7.4%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대한갑상선 질병학회에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2006년 기준 국내 암 발병률의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는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갑상선암은 다른 암에 비해 발병률이 높기는 하지만 진단이 조기에 이루어져 조기에 수술을 할 수 있다면 생존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갑상선암의 원인은 방사선 노출, 성호르몬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에 대한 규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갑상선암은 조기에 발견하여 수술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으므로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는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현재 갑상선 질병의 검진은 초음파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별한 예방법이 알려져 있지는 않은 실정에 있다. 또한, 석회화된 조직은 암 조직으로 발전될 확률이 높아 석회화된 조직을 조기에 찾아내는 것도 갑상선암을 예방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8952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 문헌을 보면, 진단 대상의 신체 샘플로부터 측정된 호르몬 농도를 입력하는 호르몬 농도 입력부, 정상군과 갑상선암 환자군 각각의 모집단의 신체 샘플로부터 측정된 2-히드록시에스트론(2-OH-E1), 2-히드록시에스트라디올(2-OH-E2), 2-메톡시에스트론(2-MeO-E1), 2-메톡시에스트라디올(2-M대-E2), 및 2-메톡시에스트라디올-3-메틸에테르(2-MeO-E2-3-메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3가지 이상의 호르몬 농도를 데이터로 하여 얻어진 통계치가 저장되어 있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3가지 이상의 호르몬 농도를 이용하여 통계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기초로 진단대상의 샘플값을 계산하고, 그 진단대상의 샘플값을 저장된 통계치와 비교하여 갑상선암 여부 또는 진행 정도를 판단하는 진단 프로그램 모듈 및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문헌에서는 3가지 이상의 호르몬 농도를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갑상선 기능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호르몬 농도는 별도의 측정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층 실리콘 구조의 프로브 모듈을 이용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따라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해 가정에서도 쉽고 정확하게 갑상선암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갑상선암의 촉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언제 어디서든 갑상선암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갑상선암의 촉진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문의에 의존하지 않고도 초기 갑상선 조직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하고, 기존의 갑상선 검사에 드는 많은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발병률이 높은 갑상선암의 초기 자가 검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은,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으로서,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과, 상기 프로브 모듈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 및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수신한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브 모듈은,
갑상선암 자가 진단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소형의 프로브 형태로 구성하되, 피부 계층 구조인 진피, 표피, 및 피하지방에 각각 대응하는 강도를 가진 다층의 실리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브 모듈은,
상기 프로브 모듈의 내부로 빛이 전반사 되도록 빛을 주입하는 실리콘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브 모듈은,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실리콘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주입되는 빛을 프로브 모듈의 외부로 산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포토다이오드는,
상기 프로브 모듈의 주위로 4개가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는,
상기 프로브 모듈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제어 센서모듈;
상기 프로브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모듈; 및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하에, 갑상선암 자가 진단 중인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전달하는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는,
상기 촬영 모듈에서 획득한 갑상선의 촉감 영상과 함께 상기 프로브 모듈의 자세 정보 및 상기 GPS 센서모듈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는,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연동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또는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분석 모듈을 통해 분석된 촉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프로브 모듈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에서 수신한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조직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더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분석 모듈에서 발생한 이상 신호를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에 전달하며, 상기 갑상선 측정기기는 상기 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브 모듈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은,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으로서,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1)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과, 상기 프로브 모듈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3) 상기 촉감 영상 및 상기 단계 (2)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프로브 모듈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에 상기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조직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이상 신호에 따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는,
상기 프로브 모듈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제어 센서모듈;
상기 프로브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모듈; 및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하에, 갑상선암 자가 진단 중인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전달하는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분석 모듈을 통해 분석된 촉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층 실리콘 구조의 프로브 모듈을 이용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따라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해 가정에서도 쉽고 정확하게 갑상선암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갑상선암의 촉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언제 어디서든 갑상선암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갑상선암의 촉진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문의에 의존하지 않고도 초기 갑상선 조직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하고, 기존의 갑상선 검사에 드는 많은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발병률이 높은 갑상선암의 초기 자가 검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사람들의 갑상선 위치 및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프로브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프로브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의 갑상선암 측정기기를 이용한 정상적인 갑상선 조직을 탐침 하는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의 갑상선암 측정기기를 이용한 갑상선의 이상 조직을 탐침 하는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서,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프로브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의 프로브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의 갑상선암 측정기기를 이용한 정상적인 갑상선 조직을 탐침 하는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의 갑상선암 측정기기를 이용한 갑상선의 이상 조직을 탐침 하는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에서,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10)은, 갑상선암 측정기기(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10)은 소형의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를 이용해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따라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 촉감 영상을 획득하고,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를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연동하여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도 쉽게 갑상선암 촉진을 할 수 있고, 전문의의 도움 없이도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언제 어디서든 갑상선암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110)과, 프로브 모듈(110)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과, 프로브 모듈(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모듈(140)과,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 하에, 갑상선암 자가 진단 중인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전달하는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 모듈(110)은 갑상선암 자가 진단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소형의 프로브 형태로 구성하되, 피부 계층 구조인 진피, 표피, 및 피하지방에 각각 대응하는 강도를 가진 다층의 실리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의 무선 형태의 프로브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의 (b)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의 유선 형태의 프로브 성을 일례로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의 프로브 모듈(110)이 진피, 표피 및 피하지방에 각각 대응하는 강도를 갖는 실리콘을 적층하여, 환자의 피부와 유사한 3층의 구조를 가지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다층 실리콘 구조의 프로브 모듈(110)은 정상적인 피부와 유사한 강도와 구조를 가지므로, 정상 갑상선 조직에 프로브 모듈(110)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프로브 모듈(110)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로브 모듈(110)은 프로브 모듈(110)의 내부로 빛이 전반사 되도록 빛을 주입하는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모듈(110)의 주위로 4개가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 모듈(110)은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에 의해 주입되는 빛을 프로브 모듈(110)의 외부로 산란할 수 있다. 즉, 프로브 모듈(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에 의해 주입된 빛이 프로브 모듈(110) 내에서 전반사 되도록 구성되고, 빛이 전반사되는 상태에서 프로브 모듈(110)을 갑상선 조직에 눌러서 탐침을 하게 된다.
이때, 갑상선암이 된 조직은 압박에 의하여 변형되기 어려운 응어리로서 단단하게 만져지는데, 이러한 사실로부터 조직의 탄성 변화가 질병과 높은 상관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손으로 눌러 주변의 조직보다 단단하게 경화된 부분을 촉감으로 느끼는 촉진 방법이 손쉽게 할 수 있는 갑상선암 진단 방법 중 하나이나, 일반인들의 경우 촉감만으로 경화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로브 모듈(110)을 갑상선 조직에 눌러서 빛의 산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눌러진 갑상선 조직의 경화 여부를 일반인들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정상적인 갑상선 조직에 내부로 빛이 전반사되는 상태의 프로브 모듈(110)을 누르면,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갑상선 조직에 변형이 일어나므로 프로브 모듈(110)은 그대로 전반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 조직에 프로브 모듈(110)을 누르면 경화된 조직은 주변의 조직보다 단단하여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실리콘 프로브 모듈(110)이 변형되게 되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내부에 전반사되던 빛이 프로브 모듈(110) 밖으로 산란되게 된다.
촬영 모듈(120)은 프로브 모듈(110)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촬영 모듈(120)은 산란된 빛을 촬영하여 정확하게 갑상선의 이상 조직, 즉 갑상선암의 진단을 위한 초고화질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모듈(120)은 초고화질 광학 기반으로 갑상선의 탄성도에 따른 촉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은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의 구성이다. 이러한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은 촬영 모듈(120)이 획득한 촉감 영상이 갑상선의 어느 부분의 정보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GPS 센서모듈(140)은 프로브 모듈(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의 구성이다. 이러한 GPS 모듈(140)은 촬영 모듈(120)이 획득한 촉감 영상이 갑상선 조직의 어느 부분의 정보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촬영 모듈(120)이 획득한 촉감 영상이 갑상선 조직의 어느 부분의 정보인지를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도 측정기기(100)에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과 GPS 센서모듈(140)을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프로브 모듈(110)의 면적은 갑상선 보다 작기 때문에 전체 갑상선을 프로브 모듈(110)로 스캔하면서 촉감 영상을 획득해야 한다. 따라서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 및 GPS 센서모듈(140)에서 각각 획득한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브 모듈(110)이 갑상선 조직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은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 하에, 갑상선암 자가 진단 중인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은 프로브 모듈(110) 또는 프로브 모듈(110)의 손잡이에 햅틱 반응을 유도하여 사용자가 촉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은 진동 등의 햅틱 반응을 유도하여 갑상선의 이상 조직 측정에 따른 사용자 인식신호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촬영 모듈(120)에서 획득한 갑상선의 촉감 영상과 함께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 정보 및 GPS 센서모듈(140)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연동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와 연동되어,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수신한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블루투스 또는 케이블을 이용해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PC, 스마트 카메라,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모바일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와 연동하여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구동되는 앱은 통신망 등에서 운영되는 앱 서버에서 관리하는 설치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치된 실행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갑상선암을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210)과,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220)과, 분석 모듈(220)을 통해 분석된 촉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0)은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함은 물론,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모듈(220)은 갑상선 촉감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조직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모듈(220)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해 탐침 중인 조직이 정상 조직인지 이상 조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210)은 분석 모듈(220)에서 발생한 이상 신호를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에 전달하며, 갑상선 측정기기(100)는 이상 신호에 따라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을 제어하여 프로브 모듈(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즉,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은 이상 신호를 햅틱 제어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촉감을 통해 현재 탐침 중인 갑상선 조직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모듈(220)에서 발생한 이상 신호를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에 전달하여, 갑상선암 측정기기(100)가 진동 등 햅틱 반응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갑상선 촉감 영상의 분석 결과를 자세하게 파악할 만한 지식이 없더라도, 이상 조직이 있는지 여부와 그 부위를 신속하게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 모듈(230)은 갑상선 촉감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210)에서 수신한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출력 모듈(230)을 통해 갑상선 촉감 영상에 프로브 모듈(110)의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갑상선 촉감 영상과 현재 프로브 모듈(110)의 위치를 매칭 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모듈(220)이 이상 신호를 발생한 경우, 출력 모듈(230)이 이상 신호를 전달받아 이상 조직이 발견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은,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110),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촉감 영상 및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110)과, 프로브 모듈(110)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120)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0에서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10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통신 모듈(21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0에서는 갑상선 촉감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조직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 S1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분석 모듈(2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촉감 영상 및 단계 S120의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며, 갑상선 촉감 영상에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이상 신호에 따른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알람은 시각, 청각, 촉각 등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문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30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출력 모듈(23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은, 다층 실리콘 구조의 프로브 모듈을 이용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따라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해 가정에서도 쉽고 정확하게 갑상선암을 촉진할 수 있고, 특히, 작은 크기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갑상선암의 촉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언제 어디서든 갑상선암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갑상선암 측정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갑상선암의 촉진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문의에 의존하지 않고도 초기 갑상선 조직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하고, 기존의 갑상선 검사에 드는 많은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발병률이 높은 갑상선암의 초기 자가 검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100: 갑상선암 측정기기
110: 프로브 모듈
111: 실리콘 포토다이오드
120: 촬영 모듈
130: 자세 제어 센서모듈
140: GPS 센서모듈
150: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
200: 모바일 디바이스
210: 통신 모듈
220: 분석 모듈
230: 출력 모듈
S110: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S120: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130: 촉감 영상 및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Claims (20)

  1.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10)으로서,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110)과, 상기 프로브 모듈(110)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120)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 및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와 연동되어,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수신한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모듈(110)은,
    갑상선암 자가 진단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소형의 프로브 형태로 구성하되, 피부 계층 구조인 진피, 표피, 및 피하지방에 각각 대응하는 강도를 가진 다층의 실리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모듈(110)은,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내부로 빛이 전반사 되도록 빛을 주입하는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모듈(110)은,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에 의해 주입되는 빛을 프로브 모듈(110)의 외부로 산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포토다이오드(111)는,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주위로 4개가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모듈(140); 및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 하에, 갑상선암 자가 진단 중인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전달하는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상기 촬영 모듈(120)에서 획득한 갑상선의 촉감 영상과 함께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 정보 및 상기 GPS 센서모듈(14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블루투스 또는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210);
    상기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220); 및
    상기 분석 모듈(220)을 통해 분석된 촉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 모듈(230)은 상기 통신 모듈(210)에서 수신한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220)은,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조직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분석 모듈(220)에서 발생한 이상 신호를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에 전달하며, 상기 갑상선 측정기기(100)는 상기 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브 모듈(110)을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14.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으로서,
    갑상선암 측정기기(100)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1) 압력이 가해지는 갑상선 조직의 탄성도 변화에 대응하여 빛을 산란하는 프로브 모듈(110)과, 상기 프로브 모듈(110)에서 산란되는 빛을 촬영하여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120)을 포함하는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3) 상기 촉감 영상 및 상기 단계 (2)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에 상기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조직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이상 신호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는,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자세 제어 센서모듈(130);
    상기 프로브 모듈(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모듈(140); 및
    갑상선의 촉감 영상을 분석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 하에, 갑상선암 자가 진단 중인 사용자가 갑상선 이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을 전달하는 햅틱 액추에이터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상기 갑상선암 측정기기(100)로부터 갑상선 촉감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210);
    상기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갑상선 촉감 영상을 분석하여 이상 조직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220); 및
    상기 분석 모듈(220)을 통해 분석된 촉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방법.
KR1020180121728A 2018-10-12 2018-10-12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28A KR20200041550A (ko) 2018-10-12 2018-10-12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28A KR20200041550A (ko) 2018-10-12 2018-10-12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50A true KR20200041550A (ko) 2020-04-22

Family

ID=7047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28A KR20200041550A (ko) 2018-10-12 2018-10-12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277B2 (en) * 2019-12-09 2022-01-04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elasticity of biological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277B2 (en) * 2019-12-09 2022-01-04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elasticity of biological tiss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9072A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聴診器、情報管理プログラム、測定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50121940A (ko) 의료 기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6508783A (ja) 非侵襲的健康状態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07255B1 (ko) 초음파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 의료 전문가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및 정보 공유 시스템
KR101628990B1 (ko) 모바일 유방암 촉진 기기, 시스템 및 방법
US10463280B2 (en) Examination system, mobile apparatus and examination method
CA299630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ronary, valvular, peripheral, renal, carotid and/or pulmonary abnormality detection utilizing electrocardiography
KR101518804B1 (ko)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60128577A1 (en) System for Measuring Skin Hydration
WO2018193955A1 (ja) 3dカメラを用いた摂食嚥下機能検査システム
KR102154211B1 (ko) 유방조직 이상 유무 자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711886B1 (ko) 멀티건강체크 검사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550A (ko) 모바일 기반 자기 주도형 갑상선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18175007A (ja) 情報処理装置、検査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3197366B1 (en) Ultrasou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thereof
RU228931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сихофизиологическом состоянии живого объекта
CN211409017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体外诊疗检测装置
CN115426947A (zh) Sp02小程序:ai辅助sp02测量app
KR20200041520A (ko) 갑상선암 자가 진단을 위한 초고화질 광학 기반의 탄성도 측정기기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KR101675153B1 (ko) 심전도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얼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11568469A (zh) 用于显示超声图像的方法和设备以及计算机程序产品
KR20150021638A (ko) 스마트폰의 초음파를 이용한 간이 종양 추적 장치
JP6286926B2 (ja) 超音波診断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75564B2 (en) Non-invasive non-contac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health parameters
EP3851051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