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503A - 패널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503A
KR20200041503A KR1020180121607A KR20180121607A KR20200041503A KR 20200041503 A KR20200041503 A KR 20200041503A KR 1020180121607 A KR1020180121607 A KR 1020180121607A KR 20180121607 A KR20180121607 A KR 20180121607A KR 20200041503 A KR20200041503 A KR 2020004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anel form
sealing
press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선
Original Assignee
안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림 filed Critical 안혜림
Priority to KR102018012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503A/ko
Priority to PCT/KR2019/013392 priority patent/WO2020076131A1/ko
Publication of KR2020004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링; 상기 실링과 연결되어 패널폼을 가압하는 가압 암;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가압 팁; 및 상기 실링 및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 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실링을 관통하는 지지 부재 샤프트;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가압 암을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지지 부재 링크;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 부재 링크에 전달하기 위한 지지 부재 플랫폼;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지지 부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패널폼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패널폼 고정 장치{CLAMPING DEVICE FOR PANEL FORM}
본 출원은 패널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널폼 시공 시 서로 연접한 다수 개의 패널폼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만들 때,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부어 모양을 잡아줄 거푸집을 만드는데, 그 거푸집을 바로 폼(Form)이라고 한다. 폼(Form)은 재질, 규격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폼(Form)은 복수 개의 패널폼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시공자는 복수 개의 패널폼들을 이어 붙여 원하는 형태의 거푸집을 만든다. 이렇게 복수 개의 패널이 이어 붙여져 만들어진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붓고 굳힘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복수 개의 패널폼들로 구성되는 패널폼(Pannel Form)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구조물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고, 패널폼들을 사용 후 분해해서 보관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이러한 패널폼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패널폼들 사이가 단단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복수 개의 패널폼들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고정 부재는 패널폼 사이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 분해가 쉬워야 한다.
본 출원의 목적은 패널폼 사이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시공 시간과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패널폼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는 실링; 상기 실링과 연결되어 패널폼을 가압하는 가압 암;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가압 팁; 및 상기 실링 및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 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실링을 관통하는 지지 부재 샤프트;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가압 암을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지지 부재 링크;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 부재 링크에 전달하기 위한 지지 부재 플랫폼;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지지 부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팁은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면을 갖는 가압 팁 본체; 및 상기 가압 팁 본체와 수직하게 만나며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는 가압 팁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팁 링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 암 내부로 삽입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팁 본체와 상기 가압 암은 이격되어 제공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팁 본체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갖고,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를 감싸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와 만나는 면에 제공되는 나사선을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과 상기 가압 암은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 암은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암과 상기 가압 팁은 제2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 팁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암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굴곡 없이 일자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제1 실링 확장부 및 제2 실링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 확장부는 상기 가압 암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실링 확장부는 상기 제1 실링 확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패널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는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는 복수 개의 패널폼들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가동 범위가 넓고,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는 지지 부재 플레이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패널폼을 뒤틀리게 할 우려가 없다.
아울러,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는 가압 팁이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평행하게 맞닿은 패널폼들뿐만 아니라 수직하게 맞닿은 패널폼들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조여지기 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조여진 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맞닿은 패널폼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패널폼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패널폼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기술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는 특유의 가압 암과 지지 부재 플레이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패널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단단하게 패널폼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조여지기 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10)는 실링(110), 가압 암(120), 가압 팁(130), 지지 부재(140)를 포함한다.
실링(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가압 암(120), 지지 부재(140)를 지탱한다. 구체적으로, 실링(110) 안쪽에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링(110) 안쪽에 제공된 빈 공간에는 가압 암(120) 및 지지 부재(140) 중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제공될 수 있다.
실링(110)에는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실링(110)에 제공된 개구부는 실링(110)의 상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110)에 제공된 개구부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110)의 개구부에 의해 지지 부재 샤프트(141)는 실링(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110)에 제공된 개구부에 제공된 나사선과 지지 부재 샤프트(141) 상에 제공된 나사선이 맞물림으로써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실링(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부재 샤프트(141)는 실링(110)의 개구부에 제공된 나사선과 맞물리며 회전하며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실링(110)은 가압 암(120), 지지 부재(140)를 지탱하는 한편 패널폼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110)은 철(Fe), 니켈(Ni), 알루미늄(Al), 티타늄(Ti), 텅스텐(W), 크롬(Cr),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110)이 철(Fe)을 포함하는 경우, 순철, 탄소강, 주철, 합금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링(110)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실링(110) 표면에 제공되는 코팅층은 내부식성(Corrosion resistance)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실링(110) 표면에 내부식성 코팅이 제공됨으로써, 패널폼 고정 장치(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패널폼 고정 장치(10)에 물, 콘크리트 등이 묻더라도 패널폼 고정 장치(10)가 부식될 우려가 없다.
가압 암(120, Pressurizing Arm)은 패널폼을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가압 암(120)은 지지 부재(14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패널폼을 가압할 수 있다. 지지 부재(140)의 위치에 따라 가압 암(120)이 패널폼을 가압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고자 한다.
가압 암(120)은 실링(110)과 연결되며, 실링(110)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가압 암(120)은 제1 연결부재(115)에 의해 실링(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15)는 실링(110)의 측면에 제공되어 실링(110) 및 가압 암(120)을 관통할 수 있다. 가압 암(120)은 실링(110)과 연결된 제1 연결부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가압 암(120)이 움직일 수 있다.
가압 암(120)은 실링(110)의 상면과 닿지 않도록, 실링(110)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암(120)이 제1 연결부재(115)를 중심으로 가압 암(120)이 회전하여도 실링(110) 상면에 의해 가압 암(120)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는다.
가압 암(120)은 상하 방향으로 약 8cm 내지 약 11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폼 고정 장치(10)를 이용하여 패널폼을 고정하는 때, 가압 암(120) 말단에 제공된 가압 팁(130)은 패널폼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팁(130)이 패널폼의 가장자리를 가압할 경우, 패널폼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압 암(120)은 패널폼 안쪽까지 닿도록 제공되므로 가압 암(120) 말단에 제공된 가압 팁(130)이 패널폼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패널폼을 파손시킬 우려가 없다.
가압 암(12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굴곡 없이 일자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암(120)과 지지 부재(140) 사이의 제1 거리(D1)가 증가할 수 있다. 가압 암(120)과 지지 부재(140) 사이의 제1 거리(D1)가 증가함에 따라, 가압 암(120)의 이동 자유도가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가압 암(120)이 제1 연결부재(11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우로 움직일 때, 가압 암(120)의 움직임이 지지 부재(140)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두꺼운 패널폼도 패널폼 고정 장치(10)를 이용하여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가압 암(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U자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암(120)의 안쪽 면에는 지지 부재(140)의 일부(예를 들어, 지지 부재 링크(144)) 및 가압 팁(130)이 제공될 수 있다.
가압 암(120)은 적어도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가압 암(120)이 마주보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암(120)은 양 방향에서 패널폼을 가압하여 패널폼을 고정할 수 있다. 다만, 가압 암(12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다.
가압 팁(130)은 가압 암(120) 말단에 제공되며, 패널폼과 맞닿아 가압 암(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패널폼에 전달한다.
가압 팁(130)은 패널폼과 맞닿는 가압 팁 본체(131) 및 가압 암(120)과 연결되는 가압 팁 링크(132)를 포함한다.
가압 팁 본체(131)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각 기둥의 넓은 면이 패널폼과 맞닿을 수 있다. 사각 기둥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압 팁 본체(131)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팁 본체(131)는 패널폼과 맞닿는 면에서 평면과 평면의 양쪽에 경사면이 이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압 팁 본체(131)가 상술한 것과 같이 경사면을 포함함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맞닿은 패널폼의 패널폼들뿐만 아니라,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패널폼의 패널폼들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가압 팁 링크(132)는 가압 팁 본체(131)와 수직하게 만나며 가압 암(120)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압 암(120) 안쪽에 제공된 가압 팁 링크(132)는 제2 연결부재(125)에 의하여 가압 암(1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가압 팁(130)은 제2 연결부재(12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압 팁 링크(132)는 일부만 가압 암(120)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팁 본체(131)와 가압 암(120) 사이는 제2 거리(D2)만큼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압 팁 본체(131)와 가압 암(120)이 이격되어 제공됨에 따라, 가압 팁(130)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팁(130)이 제2 연결부재(125)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가압 팁(130)은 가압 암(120)에 의한 움직임의 제한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상술한 제2 거리(D2)는 약 2mm 내지 약 5mm일 수 있다. 제2 거리(D2)가 약 2mm 미만일 경우, 가압 팁(130)이 가압 암(120)에 의한 움직임 제한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 반대로, 제2 거리(D2)가 약 5mm를 초과할 경우, 마주보는 가압 팁(130)간 거리가 지나치게 줄어들어 두꺼운 패널폼을 고정하는데 패널폼 고정 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지지 부재(140)는 실링(110) 및 가압 암(120)과 연결되는데, 지지 부재(140)를 조절함으로써 지지 암(120)이 패널폼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 부재(140)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 지지 부재플랫폼(143), 및 지지 부재 링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샤프트(141)는 실링(110)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며, 실링(110)을 관통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지지 부재 샤프트(141)는 나사선을 포함하며 실링(110)의 개구부와 맞물리는 지지 부재 샤프트 상부(141a)와 지지 부재 샤프트 상부(141a)와 이어지며 지지 부재 플랫폼(143) 및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와 연결되는 지지 부재 샤프트 하부(141b)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 샤프트 상부(141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링(110)의 개구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 부재 샤프트 상부(141a)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나사선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지지 부재 샤프트 하부(141b)는 지지 부재 플랫폼(143) 및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와 연결된다. 지지 부재 샤프트 하부(141b)는 지지 부재 샤프트 상부(141a)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데, 지지 부재 샤프트 하부(141b)가 움직임에 따라 지지 부재 플랫폼(143) 및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도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와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 샤프트 하부(141b)가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를 관통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에 꿰인 상태로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 샤프트(141)의 회전과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의 회전은 독립적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가 패널폼과 맞닿도록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움직여도, 지지 부재 플레이트(142)가 지지 부재 샤프트(141)와 함께 회전하여 맞닿은 패널폼은 뒤틀리게 할 우려가 없다.
지지 부재 플랫폼(143)은 지지 부재 샤프트(141)에 꿰인 형태로 제공되며, 지지 부재 샤프트(141)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인다. 지지 부재 플랫폼(143)은 지지 부재 샤프트(141)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 부재 링크(144)를 통해 가압 암(12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 부재 샤프트(141)의 움직임이 가압 암(120)으로 전달되는 과정은 후술하고자 한다.
지지 부재 플랫폼(14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 플랫폼(143)은 상대적으로 평평하며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관통하는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지지 부재 링크(144)와 연결되는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지 부재 플랫폼(143)의 형태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관통하며 지지 부재 링크(144)와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지지 부재 링크(144)는 지지 부재 플랫폼(143)과 가압 암(120)을 연결한다. 지지 부재 링크(144)는 예를 들어, 가압 암(120)과 제3 연결부재(145a)를 통해 연결되고, 지지 부재 플랫폼(143)과 제4 연결부재(145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 링크(144)는 제3 연결부재(145a) 및 제4 연결부재(145b)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 링크(144)가 제3 연결부재(145a) 및 제4 연결부재(145b)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지지 부재 샤프트(141)의 움직임이 가압 암(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10)는 특유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패널폼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설치 제거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그 가동 범위가 넓고, 사용 과정에서 패널폼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10)가 패널폼을 고정하기 위해 작동되는 모습을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조여진 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지지 부재(140)의 움직임이 가압 암(12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가압 암(120) 및 가압 팁(130)이 패널폼에 가하는 압력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수록 가압 암(120)은 안쪽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가압 암(120)이 패널폼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실링(110)의 개구부에 제공된 나사선을 따라 회전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때, 지지 부재 플랫폼(143)이 지지 부재 샤프트(141)와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지지 부재 플랫폼(143)은 제4 연결부재(145b)에 의해 지지 부재 링크(14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 링크(144)의 일단은 지지 부재 플랫폼(143)과 함께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지지 부재 링크(144)의 타 단은 가압 암(120)과 제3 연결부재(145a)로 연결되어 있는 바, 지지 부재 링크(144)의 일단이 아래쪽으로 움직임일 때 가압 암(120)도 함께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 샤프트(141)와 지지 부재 플랫폼(143)의 상하 운동은 지지 부재 링크(144)에 의해 횡방향 회전 운동으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암(120)은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아래로 움직일 때 안쪽으로 횡방향 회전 운동하고, 지지 부재 샤프트(141)가 위로 움직일 때 바깥쪽으로 횡방향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지지 부재(140)와 가압 암(120)의 연관된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을 움직임으로써 간단히 가압 암(120)이 패널폼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널폼 고정 장치(10)가 패널폼을 고정하도록 설치할 때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아래쪽으로 움직이고, 패널폼 고정 장치(10)를 해체할 때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패널폼은 재질에 따라 목재폼, 철재폼, 플라스틱폼, 알루미늄 폼, 갱폼, ICF 등일 수 있으며, 규격에 따라 유로폼, 스틸 플라이(Steel Ply, 페리폼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패널폼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 고정 장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패널폼을 고정하기 위한 패널폼 고정 장치의 적용 예에 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맞닿은 패널폼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패널폼에 포함된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은 평행하게 맞닿아 있다. 평행하게 맞닿은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을 고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개의 가압 팁(130)은 각각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과 만나며, 한 쌍의 가압 암(120)은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이 서로 맞닿아 있을 수 있도록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에 압력을 가한다.
가압 팁(13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모양을 갖는데 서로 평행하게 맞닿은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을 가압할 때는 사다리꼴의 가압 팁(130)의 넓은 평면이 제1 패널폼(21) 및 제2 패널폼(22)과 만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팁(130)에 제공된 두 경사면은 제1 패널폼(21) 및 제2 패널폼(22)과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아래방향으로 움직여, 한 쌍의 가압 암(120)이 더 강하게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을 누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지지 부재 샤프트(141)를 위 방향으로 움직여 한 쌍의 가압 암(120)이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에 가하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패널폼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은 수직하게 만나는데,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은 각각 가압 팁(130)의 두 경사면과 만난다. 이에 따라 가압 팁(130)은 수직하게 만나는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패널폼(21)과 제2 패널폼(22)이 수직하게 만날 때뿐만 아니라 예각을 이룰 때 또는 둔각을 이룰 때도 패널폼 고정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패널폼 고정 장치(1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 플랫폼(143)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 플랫폼(143)의 측면은 상술한 것과 같이 고정 부재 링크와 연결되는데, 본 실시 예와 같이 고정 부재 플랫폼(143)의 측면 면적이 넓을 경우 고정 부재 플랫폼(143)이 견디는 강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 플랫폼(143)의 양쪽에 연결된 고정 부재 링크들이 고정 부재 플랫폼(143)을 서로 반대쪽으로 당김에 따라 고정 부재 플랫폼(143)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더 잘 견딜 수 있다.
고정 부재 플랫폼(143)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스트레스를 더 잘 견디는 경우, 고정 부재 플랫폼(143)을 상대적으로 가벼운 소재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고정 부재 플랫폼(143)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 고정 장치(10')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플랫폼 고정 장치(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패널폼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구성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거나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6에서, 패널폼 고정 장치(10'')는 두 쌍의 가압 팁(130) 및 가압 암을 포함한다. 각각의 쌍의 가압 팁(130)과 가압 암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제공된다.
패널폼 고정 장치(10'')가 두 쌍의 가압 팁(130)과 가압 암을 포함함에 따라, 수직하게 교차하는 패널폼들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음. 특히, 패널폼들의 모서리에 패널폼 고정 장치(10'')를 설치하여 패널폼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두 쌍의 가압 암은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지지 부재 샤프트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안쪽으로 더 세게 패널폼을 가압하고, 지지 부재 샤프트를 위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패널폼을 가압하는 세기가 약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폼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실링(110)은 패널폼 고정 장치(1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실링(110)은 가압 암(120)의 적어도 일부, 지지 부재 플랫폼(143), 지지 부재 링크(144)를 커버하도록 일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110)은 제1 실링 확장부(110a)와 제2 실링 확장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확장부(110a)와 제2 실링 확장부(110b)는 실링(110)-제1 실링 확장부(110a)-제2 실링 확장부(110b)의 순서로 제공되며, 패널폼을 향해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제1 실링 확장부(110a)는 가압 암(120)의 적어도 일부 커버한다. 제1 실링 확장부(110a)는 가압 암(120)이 가압 암(120)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받는 힘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어, 가압 암(120)에 가압 암(120)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제1 실링 확장부(110a)가 가압 암(120)을 커버함으로써 가압 암(120)에 가해지는 힘은 제1 실링 확장부(110a)로 분산될 수 있다.
제1 실링 확장부(110a)는 또한 제1 실링 확장부(110a)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가압 암(1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패널폼을 향해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 확장부(110a)는 상술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더 높은 기계적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링 확장부(110b)는 제1 실링 확장부(110a)의 일단으로부터 패널폼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실링 확장부(110b)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확장부(110b)의 오목부의 폭(D3)은 두 장의 패널폼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맞닿은 두 장의 패널폼을 패널폼 고정 장치(10''')가 고정할 때, 두 장의 패널폼은 제2 실링 확장부(110b)의 오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링 확장부(110b)의 외경(D4)는 두 장의 패널폼이 서로 수직하게 만났을 때, 서로 수직하게 만난 두 장의 패널폼 사이에 위치할 정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수직하게 만나는 두 장의 패널폼을 패널폼 고정 장치(10''')가 고정할 때, 각각의 패널폼은 제2 실링 확장부(110b)와 가압 팁(13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110)이 패널폼을 향해 확장되는 제1 실링 확장부(110a)와 제2 실링 확장부(110b)를 포함함으로써, 패널폼 고정 장치(10''')의 뒤틀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평행하게 맞닿은 패널폼 또는 수직하게 만나는 패널폼을 고정할 때, 고정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질 것이다.
10: 패널폼 고정 장치 110: 실링
120: 가압 암 130: 가압 팁
140: 지지 부재 141: 지지 부재 샤프트
142: 지지 부재 플레이트 143: 지지 부재 플랫폼
144: 지지 부재 링크

Claims (10)

  1. 실링;
    상기 실링과 연결되어 패널폼을 가압하는 가압 암;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가압 팁; 및
    상기 실링 및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 암의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실링을 관통하는 지지 부재 샤프트;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가압 암을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지지 부재 링크;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 부재 링크에 전달하기 위한 지지 부재 플랫폼;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지지 부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패널폼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팁은
    상기 패널폼과 맞닿는 면을 갖는 가압 팁 본체; 및
    상기 가압 팁 본체와 수직하게 만나며 상기 가압 암과 연결되는 가압 팁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팁 링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 암 내부로 삽입된, 패널폼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팁 본체와 상기 가압 암은 이격되어 제공되는, 패널폼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팁 본체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갖고,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인, 패널폼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를 감싸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패널폼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와 만나는 면에 제공되는 나사선을 더 포함하는, 패널폼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과 상기 가압 암은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 암은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패널폼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암과 상기 가압 팁은 제2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압 팁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패널폼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암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굴곡 없이 일자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패널폼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제1 실링 확장부 및 제2 실링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 확장부는 상기 가압 암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실링 확장부는 상기 제1 실링 확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패널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는, 패널폼 고정 장치.
KR1020180121607A 2018-10-12 2018-10-12 패널폼 고정 장치 KR20200041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07A KR20200041503A (ko) 2018-10-12 2018-10-12 패널폼 고정 장치
PCT/KR2019/013392 WO2020076131A1 (ko) 2018-10-12 2019-10-11 패널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07A KR20200041503A (ko) 2018-10-12 2018-10-12 패널폼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03A true KR20200041503A (ko) 2020-04-22

Family

ID=704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07A KR20200041503A (ko) 2018-10-12 2018-10-12 패널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5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714A (ko) * 2020-05-06 2021-11-16 남준식 유로폼 고정구
WO2021246663A1 (ko) * 2020-06-03 2021-12-09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714A (ko) * 2020-05-06 2021-11-16 남준식 유로폼 고정구
WO2021246663A1 (ko) * 2020-06-03 2021-12-09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1503A (ko) 패널폼 고정 장치
JP2013528722A (ja)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可変型ファスナー
KR101029102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KR101047809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형틀지지대
KR101589042B1 (ko)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KR101936335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KR100728072B1 (ko) 거푸집용 주밴드 고정장치
KR20210061251A (ko) 유로폼 고정 장치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KR101533829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JP2017206936A (ja)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US20030148137A1 (en) Round formwork module
CN212804593U (zh) 一种钢结构管线定位装置
KR101135831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정착장치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080005217U (ko) U볼트형 가설물 고정장치
CN211052960U (zh) 一种用于钢构件焊接的固定夹具
CN108457385B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连接部件
CN209799162U (zh) 一种高精度房屋建筑钢构梁
KR20130025295A (ko) 에프알피 패널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105232B1 (ko) 강관 말뚝에 밀착되는 가설벤트 연결용 강관 말뚝 캡
CN209942046U (zh) 灌浆套筒固定工装
JP6551912B2 (ja) 型枠板固定器具
KR20210149995A (ko) 유로폼 고정 장치
CN219864145U (zh) 张紧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