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82A -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82A
KR20200041182A KR1020180121295A KR20180121295A KR20200041182A KR 20200041182 A KR20200041182 A KR 20200041182A KR 1020180121295 A KR1020180121295 A KR 1020180121295A KR 20180121295 A KR20180121295 A KR 20180121295A KR 20200041182 A KR20200041182 A KR 2020004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set
product
unit
distributed led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088B1 (ko
Inventor
노순국
Original Assignee
제노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노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0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가전에 대한 사양 정보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백색가전을 구입할 경우에 분산원장을 통해 IT 자산관리하면서 그 백색가전의 상품거래정보를 저장하여 IT 자산의 존재 증명에 대한 신뢰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유하는 IT 자산과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에 대한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소유자기기(100)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생성된 IT 자산정보와 재활용정보를 분산하여 블록체인으로 저장하는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하기 위한 존재증명생성부(101)와, 상기 존재증명이 생성된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수명주기관리부(102)와, 상기 IT 자산의 존재증명과 상기 IT 자산의 수명주기와 소유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부(103)와,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기 위해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요청부(104)와, 상기 재활용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하는 IT자산분할부(105)와,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의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재활용판단부(106)와, 상기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가상각 처리하여 잔존가치를 재계산하고 관리하기 위한 재활용관리부(107)와,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포함한 정보를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정보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IT ASSET MANAGEMENT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백색가전, 커넥티드 카, 드론을 포함하는 IT 자산의 존재를 증명하고 관리하면서 IT 자산의 상품거래 및 재활용 현황을 추적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자산은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IT 기술이 접목되어 있는 백색가전, 커넥티드 카, 드론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백색가전은 냉장고ㆍ세탁기ㆍ에어컨ㆍ전자레인지 등이 백색으로 통일하면서 굳어진 용어이며, 최근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IT 기술이 접목된 제품이 개발되면서 IT 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IT 자산은 기업 내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IT 자산관리는 기업 내 각종 IT 자산의 취득에서 운용, 보전, 이동, A/S, 업그레이드, 폐기까지의 전 수명주기에 따라 비용이나 계약관리, 지원, 재고관리 등을 파악하여 관리함으로써 연관성 있는 타 부서와의 원활한 업무 조율 및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면서 유지·보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효율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최근 IT 환경에서 IT 자산관리는 시스템의 구축뿐만 아니라 이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IT 자산관리는 IT 자산들의 종류가 다양하면서 IT 사용환경의 변화가 매우 급변하고 있어 별도의 관리부서를 통해 관리되며, 관리부서에서 필요한 IT 자산을 구매하여 연관성 있는 타 부서에 설치한 후 별도의 관리 목록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업은 단지 실물 IT 자산에 대한 자원 관리가 이루어질 뿐이며, 해당 IT 자산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하드웨어 변경 이력 정보 등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821687호(등록일자: 2018년 03월 08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서버, 상기 서버가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복수의 통신 장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복수의 단말기, 상기 서버에 탑재되는 관리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에 탑재되는 단말 모듈을 포함하는 IT 자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사전에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통신 장비에 접속하여 해당 통신 장비의 로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각 단말기에 탑재된 단말 모듈은 사전에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통신 장비와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는 장비 목록, 상기 각 통신 장비의 로그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 이력 정보 및 상기 각 단말기에 탑재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이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 목록은 각 장비를 구분하는 고유아이디, 해당 장비가 통신 장비인지 단말기인지 구분하는 장비 구분, 해당 장비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IP, 해당 장비의 사용자 아이디인 ID 및 해당 장비의 패스워드인 PW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장비 목록의 IP, ID 및 PW를 이용하여 각 통신 장비에 접속하며, 상기 통신 이력 정보는 접속 시간인 시간, 해당 통신 장비의 고유아이디 및 해당 시간에 해당 통신 장비에 접속하여 확인한 로그 상태를 나타내는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IT 자산 관리 시스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IT 자산을 관리할 수 있지만, IT 자산의 소유자가 변경되는 경로 등을 파악하기 어려워 소유자를 추적하기 어려우며, IT 자산을 증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때, IT 자산을 판매할 경우에 그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광고비용을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악화되고, 구매자가 그에 대한 광고비용가 포함된 금액으로 상품을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전손실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IT 자산의 판매를 위해 판매자나 구매자의 정보가 거래내역에 포함될 경우에 해킹 등으로 인한 개인정보유출의 위험성을 갖고 있으면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거래내역의 불투명 등으로 인해 거래내역의 정확도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T 자산의 잔존가치 등을 재계산하기 어려워 재활용 현황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블록체인(Block Chain)은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을 말하며, 블록체인 기술이 쓰인 가장 유명한 사례는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기며,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주체는 사용자다.
상기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된다.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한다.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어지며, 이는 신용 기반이 아니다.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제3자가 거래를 보증하지 않고도 거래 당사자끼리 가치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 블록체인 구상이다.
즉, 블록체인(Block Chain)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블록체인(Block Chain)의 장점으로는 통제 기구의 개입이나 승인없이 수정할 수 있고, 체인이나 HEM 하나의 연결이 끊겼을 때도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탄력성을 갖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Block Chain)은 별도의 중개 기관이 없더라도 전체 네트워크가 거래 블록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고, 모든 거래에 기록이 남아 감시가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을 IT 자산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IT 자산관리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IT 자산의 판매나 구입할 경우에 과도한 광고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고 IT 자산에 대한 거래내역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IT 자산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백색가전, 커넥티드 카, 드론을 포함하는 IT 자산의 존재를 증명하고 사양정보 변경, 재고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IT 자산의 분할 및 재구성에 의한 재활용 현황 및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통해 해당 IT 자산의 소유권 이전과 같은 상품거래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무결성을 보장한 후 분산원장으로 구성하여 IT 자산의 거래내역을 공개하고 IT 자산의 소유자를 추적할 수 있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은, 소유하는 IT 자산과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에 대한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소유자기기(100)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생성된 IT 자산정보와 재활용정보를 분산하여 블록체인으로 저장하는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하기 위한 존재증명생성부(101)와, 상기 존재증명이 생성된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수명주기관리부(102)와, 상기 IT 자산의 존재증명과 상기 IT 자산의 수명주기와 소유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부(103)와,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기 위해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요청부(104)와, 상기 재활용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하는 IT자산분할부(105)와,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의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재활용판단부(106)와, 상기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가상각 처리하여 잔존가치를 재계산하고 관리하기 위한 재활용관리부(107)와,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포함한 정보를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정보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상기 IT 자산정보 중에서 판매하길 원하는 IT 자산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IT 자산추출부(109)와, 상기 추출된 IT 자산정보와 해당되는 IT 자산의 상품금액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하여 해시함수에 의해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상품정보부(110)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받아 상품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상품접수부(111)와, 상기 IT 자산정보에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기 위한 소유권이전기록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유자기기(100)의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 후 상기 상품정보와 전달자정보를 포함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전달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전달자기기(200)와, 상기 전달자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달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자정보를 포함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구매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구매자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달자기기(200) 및 상기 구매자기기(200)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품구매를 결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전달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서 다른 전달자기기와 다른 구매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전달정보의 전달시각을 추출하고 비교하여 가장 빠른 전달시각이 포함된 전달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전달정보선택부와, 상기 상품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전달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품정보추출부와, 상기 복호화된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매결정부와, 상기 구매결정부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에 구매하는 상품정보 또는 전달정보와 구매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해시함수의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구매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상품구매부와, 상기 구매결정부에서 상품을 구매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 또는 구매자기기로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전달자의 정보와 전달시각이 포함된 전달정보를 암호화하여 생성하기 위한 전달정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IT 자산을 소유한 소유자기기(100)에서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IT 자산의 존재증명 및 수명주기와 IT 자산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소유자정보를 포함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하여 저장하는 IT 자산정보저장단계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IT 자산의 재활용을 요청하기 위한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되면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한 후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재활용판단단계와, 상기 재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부품이 재활용되어 재구성될 경우에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재계산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하여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하여 저장하는 재활용정보저장단계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IT 자산을 판매하길 원할 경우에 상기 IT 자산정보 중 판매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를 추출하는 IT 자산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IT 자산정보에 해시함수를 생성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하여 저장하는 상품정보저장단계와, 상기 전달자기기(200)에서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유자기기(100)의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200)로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와 전달시각을 포함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전달정보를 전달하는 상품정보전달단계와, 상기 구매자기기(200)에서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구매결정단계와, 상기 구매자기기(200)에서 상기 전달정보에 구매자정보를 추가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구매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품구매단계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구매정보에 저장된 구매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T 자산의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는 소유권이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백색가전, 커넥티드 카, 드론을 포함하는 IT 자산의 존재를 증명하는 IT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함으로써 IT 자산을 식별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IT 자산을 보증하는 인증 또는 허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IT 자산의 사양정보 변경, 재고 등을 관리함으로써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파악하기 용이하면서 IT 자산관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T 자산 분할 및 재구성에 의한 재활용 현황 및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IT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가상가 처리 및 잔존가치를 재계산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통해 해당 IT 자산의 소유권 이전과 같은 상품거래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무결성을 보장한 후 분산원장으로 구성하여 IT 자산의 거래내역을 공개하고 IT 자산의 소유자를 추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T 거래내역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백엔드의 가상화 인프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소유자기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IT 자산관리부의 IT 자산에 대한 생명주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전달자기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구매자기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을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백엔드의 가상화 인프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소유자기기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IT 자산관리부의 IT 자산에 대한 생명주기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전달자기기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구매자기기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을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유하는 IT 자산과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에 대한 재활용정보를 생성하며, 판매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소유자기기(100)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생성된 IT 자산정보와 재활용정보와 상품정보를 분산하여 블록체인으로 저장하는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유자기기(100)의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 후 상기 상품정보와 전달자정보를 포함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전달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전달자기기(200)와, 상기 전달자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달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자정보를 포함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구매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구매자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은 IT 제품의 전자상거래와 자산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의 생성, 상품계약 및 구매, 유통 추적, 재활용, 그리고 소멸까지의 IT 제품의 자산 관리를 지원하게 되며,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물리적 측면의 백엔드 “가상화 인프라”와 논리적 측면의 프론트엔드 “분산원장 기반의 P2P 거래 플랫폼“, 그리고 네트워크 운영(프로토콜)으로 구분되며, 경량 클라이언트를 지원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의 소유자, 전달자, 그리고 구매자들 간의 P2P 거래를 위한 거래 원장, 분산원장의 스마트 계약, 거래의 위임 기능 및 보안 기능(비밀성, 무결성, 가용성)들과 가상 인프라의 거래 정보를 위한 저장 및 복합 색인, 검색 및 시각화, 그리고 모니터링 기능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산원장 기반 P2P 거래 플랫폼은 네트워크 운영에서 많은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백엔드의 마이크로 서비스와 프론트엔드에서 역할이 상대적으로 얇다. 특히, 상기 프론트엔드는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성하게 되며, 분산 원장 기반 P2P 거래 플랫폼의 네트워크 운영은 가상화 인프라와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상기 프런트엔드의 경량 클라이언트를 지원하기 위해 중요한 서비스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엔드의 가상화 인프라에서 지원하게 되며, 가상화 기반의 마이크로 서비스형태로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산원장기술은 IT 자산정보와 그에 대한 판매 및 구매 거래정보를 개별적 데이터 블록으로 만들고, 이를 체인처럼 차례차례 연결하는 블록체인기술이다. 이로 인해 IT 자산에 대한 존재를 증명하는 존재증명을 생성하고, IT 자산의 소유자를 역으로 추출할 수 있고, 그에 대한 판매 및 구매 거래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하기 위한 존재증명생성부(101)와, 상기 존재증명이 생성된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수명주기관리부(102)와, 상기 IT 자산의 존재증명과 상기 IT 자산의 수명주기와 소유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부(103)와,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기 위해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요청부(104)와, 상기 재활용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하는 IT자산분할부(105)와,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의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재활용판단부(106)와, 상기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가상각 처리하여 잔존가치를 재계산하고 관리하기 위한 재활용관리부(107)와,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포함한 정보를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정보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존재증명생성부(101)는, 상기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IT 자산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존재증명을 생성한다. 즉, 상기 존재증명생성부(101)는 상기 IT 자산인 백색가전, 커넥티드 카, 드론 등의 특징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하고 암호화하여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한다.
상기 존재증명생성부(101)로 인해 소유자가 상기 IT 자산을 증명하기 위해 존재 증명서를 보증하는 인증 또는 허가 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존재증명생성부(101)를 통해 IT 자산 존재 증명의 신뢰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비지니스 가속화에 대한 이점과 신용정보도 저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정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존재증명생성부(101)에서 IT 자산에 대한 존재증명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IT 자산을 관리자가 없어지더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IT 자산에 대한 정보는 상기 IT 자산에 대한 위치, 사용상태 등과 함께 단순히 네트워크 주소로만 특정하지 않고 IT 자산의 특징과 일련번호 등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T 자산에 대한 위치는 IT 자산의 위치 변경 정보를 추적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IT 자산에 대한 위치는 건물-실-Rack-Rack 상 위치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T 자산에 대한 정보에는 IT 자산의 총 투자비용에 대한 효과관리와 IT 자산 취득 비용 이외에 유지보수 및 하자보수 비용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IT 자산의 투자비용을 입력하여야 한다.
상기 수명주기관리부(102)는, 상기 존재증명이 생성된 IT 자산의 도입, 사용 및 폐기에 대한 수명주기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상기 수명주기는 하나의 기술이나 제품이 세상에 발표된 때부터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거나 시장에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만들어져서 사라질 때까지의 기간이다.
또한, 상기 수명주기는 생명주기(life cycle) 또는 생존 기간(life time)과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어떤 기술이나 제품이 발표된 후에 다른 기술이나 제품에 의해 대체되는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특히, 상기 생명주기는 컴퓨터, 정보 처리, 전기 통신 분야에서 기술의 급속한 진보와 발전에 따라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수명주기는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의 개념 형성에서부터 사용 정지에 이르기까지 발전상의 변화의 전 과정을 말한다.
즉, 상기 수명주기관리부(102)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T 자산에 대한 도입, 구매, 취득, 검수, 등재, 사용, 재활용, 폐기 등이 포함된 자산의 수명주기를 관리하고 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명주기관리부(102)는 상기 IT 자산에 대한 소유자의 자산 운영 및 사용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류체계를 유지하고 상기 IT 자산 간의 관계 정보 정규화 및 유지하고 관리한다.
이때, 상기 수명주기관리부(102)는 상기 IT 자산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 상기 IT 자산의 위치변경을 추적하여 변경된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명주기관리부(102)에서 상기 IT 자산의 위치변경에 대한 정보를 더 입력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 IT 자산의 현 상황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며, IT 자산의 운영 현황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IT 자산의 유지에 대한 비용소요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IT 자산정보부(103)는, 상기 IT 자산의 존재증명과 상기 IT 자산의 수명주기와 소유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소유자의 정보는 IT 자산을 소유한 소유자의 이름, 연락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IT 자산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블록체인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IT 자산정보의 공개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밀분산법(Secure Sharing Scheme)기술에 의해 IT 자산정보를 분할 및 암호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비밀분산법(Secure Sharing Scheme)은 (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임계 치를 갖으며, 정보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개의 분산 정보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으로 부호화하고, 그 중 임의의
Figure pat00007
개 분산 정보를 모으면 원래 정보
Figure pat00008
를 완전히 복원할 수 있으며, 임의의
Figure pat00009
개까지 분산정보로는
Figure pat00010
에 관해 정보를 얻을 수 없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비밀분산법(Secure Sharing Scheme)에 의해 암호화되어 관리되는 IT 자산정보는 사용자들의 합의된 승인에 의한 정보의 복호화 및 분할된 정보의 공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재활용요청부(104)는, 상기 IT 자산 중에서 재활용하길 원하는 IT 자산에 대한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재활용요청신호로 인해 추후 상기 IT 자산의 재활용을 위한 재활용여부판단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IT자산분할부(105)는, 상기 재활용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해당되는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한다.
이때, 상기 IT자산분할부(105)에는 미리 IT 자산별 부품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활용요청신호에 따라 IT 자산의 부품목록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재활용판단부(106)는,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이 재활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재활용판단부(106)는,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별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재활용판단부(106)를 통해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IT 자산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상기 IT 자산의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하여 새로운 IT 자산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재활용관리부(107)은, 상기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각상각 처리하여 잔존가치를 재계산하여 관리한다.
상기 재활용관리부(107)는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파악하여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재활용기록부(108)는,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포함한 정보를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재활용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저장된다.
상기 재활용기록부(108)로 인해 상기 IT 자산의 부품에 대한 재활용 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을 관리하기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상기 IT 자산정보 중에서 판매하길 원하는 IT 자산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IT 자산추출부(109)와, 상기 추출된 IT 자산정보와 해당되는 IT 자산의 상품금액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하여 해시함수에 의해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상품정보부(110)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받아 상품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상품접수부(111)와, 상기 IT 자산정보에 구매자정보를 포함하여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기 위한 소유권이전기록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T 자산추출부(109)는, 상기 생성된 IT 자산정보 중에서 소유자가 판매를 원하는 IT 자산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IT 자산추출부(109)에서 추출된 IT 정보를 상품정보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상품정보부(110)는, 상기 소유자정보와 상기 IT 자산정보를 포함하여 의 상품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부(110)는 소유자가 다수의 IT 자산을 판매하길 원할 경우에 각각의 IT 자산마다 상품정보를 생성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에는 상기 IT 자산에 대한 상품금액을 더 포함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상품정보는 IT 자산 뿐만 아니라 IT 자산의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상품정보부(110)에서는 상기 소유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의 무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상품정보에 해시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해시함수에 의해 생성된 값인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한다.
상기 상품정보부(110)에서 생성된 상품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상품접수부(111)는,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품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품주문에 따라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인 IT 자산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유권이전기록부(112)는,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의 IT 자산이 판매됨으로 인해 상기 IT 자산의 변경된 소유자를 기록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소유권이전기록부(112)는 상기 IT 자산정보에 구매자정보를 블록단위로 저장하게 되며, 상기 IT 자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을 기록한다.
상기 소유권이전기록부(112)에 의해 상기 IT 자산의 현재 소유자를 파악하기 용이하며, 상기 IT 자산정보에 블록체인으로 저장된 소유자를 역추적하여 소유권 이전의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달자기기(200)와 상기 구매자기기(300)는,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매되는 IT 자산의 구매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자기기(200) 및 상기 구매자기기(300)는,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품정보를 수신받거나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부(201,301)와, 상기 송수신부(201,301)를 통해 수신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품구매를 결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202,302)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202,302)에 전달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203,303)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서 다른 전달자기기(200)와 다른 구매자기기(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전달정보의 전달시각을 추출하고 비교하여 가장 빠른 전달시각이 포함된 전달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전달정보선택부(204,304)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상품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전달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품정보추출부(205,305)와, 상기 복호화된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6,306)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매결정부(207,307)와, 상기 구매결정부를 통해 구매하는 상품정보 또는 전달정보와 구매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해시함수의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구매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상품구매부(208,308)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300)로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전달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와 전달시각이 포함된 전달정보를 생성하고 암호화하여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전달정보부(209,3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201,301)는, 상기 소유자기기(100) 또는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부(202,302)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품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203,303)는, 상기 전달자기기(200)일 경우에 상기 전달자의 이름, 주소 등이 입력되어 전달자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매자기기(300)일 경우에 상기 구매자의 이름, 주소 등이 포함된 정보를 입력하여 구매자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정보선택부(204,304)는, 둘 이상의 다른 전달자기기(200)나 다른 구매자기기(300)로부터 동일한 상품정보가 포함된 전달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각 전달정보의 전달시각을 추출하고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 중 가장 빠른 전달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추출부(205,305)는, 상기 전달정보선택부(204,304)에서 선택된 전달정보의 상품정보 또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6,306)는, 상기 상품정보추출부(205,305)에서 복호화된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구매결정부(207,307)는, 상기 디스플레이한 상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구매결정부(207,307)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상기 상품구매부(208,308)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상품구매부(208,308)는, 상기 상품정보 또는 전달정보에 구매자정보를 포함하여 구매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상품정보가 구매자기기(300)로 전달되기까지 거쳐간 전달자기기(200)의 전달자정보가 각각 블록단위로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블록단위로 저장된 전달자정보를 통해 각각 작업증명(Proof-of-Work)를 진행한 후 구매자정보를 추가하고 해시함수를 재계산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매자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해시함수의 해시값을 구매자의 개인키로 암호화시킨 후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매정보를 생성할 때 작업증명을 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거래가 유효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구매결정부(207,307)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전달정보부(209,309)를 통해 상품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달정보부(209,309)는,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300)로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상품정보전달부(208)는 상기 전달자기기(200)가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300)로 상품정보를 전달할 때 전달할 상품정보에 전달자정보를 추가한 후 해시함수에 의해 무결성을 보장하여 전달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전달정보는 기저장된 전달자정보가 블록단위로 저장되어 있으며, 블록단위로 저장된 전달자정보에 추가로 자신의 전달자정보를 입력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전달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전달정보를 생성할 때 기저장된 블록단위의 전달자정보를 통해 각각 작업증명을 진행한 후 전달자정보를 추가하여 상품의 거래가 유효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달정보부(209,309)는 상기 상품정보의 전달횟수를 최대 6번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달정보에 기 저장된 전달자정보가 6번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전달자기기(200)가 상품정보를 더 이상 전달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품정보의 전달횟수는 6번에 한정하지 않고 6번을 초과하거나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IT 자산관리방법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다수의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IT 자산의 존재증명 및 수명주기와, 상기 IT 자산의 소유자정보를 포함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IT 자산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분산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IT 자산의 재활용을 요청하기 위한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재활용요청신호가 생성될 경우에는 상기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한다.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에 대해 각각의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추출한다.
반면,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재활용요청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하지 않고 기존의 수명주기에 따라 관리한다.
상기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부품이 재활용되어 재구성될 경우에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계산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재활용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IT 자산정보 중 판매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상품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저장한다.
상기 전달자기기(200)에서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품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전달자기기(200)는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300)로 상기 디스플레이한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와 전달시각을 포함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전달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상기 전달정보를 수신받은 구매자기기(300)에서 상품의 구매를 결정한다.
상기 구매자기기(300)에서 상기 전달정보에 구매자정보를 추가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구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구매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T 자산의 소유권 이전을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T 자산관리방법은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백색가전, 커넥티드 카, 드론을 포함하는 IT 자산의 존재를 증명하는 IT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함으로써 IT 자산을 식별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IT 자산을 보증하는 인증 또는 허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IT 자산의 사양정보 변경, 재고 등을 관리함으로써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파악하기 용이하면서 IT 자산관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T 자산 분할 및 재구성에 의한 재활용 현황 및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IT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가상가 처리 및 잔존가치를 재계산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통해 해당 IT 자산의 소유권 이전과 같은 상품거래정보를 해시함수에 의해 무결성을 보장한 후 분산원장으로 구성하여 IT 자산의 거래내역을 공개하고 IT 자산의 소유자를 추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T 거래내역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소유자기기 101: 존재증명생성부
102: 수명주기관리부 103: IT 자산정보부
104: 재활용요청부 105: IT 자산분할부
106: 재활용판단부 107: 재활용관리부
108: 재활용정보부 109: IT 자산추출부
110: 상품정보부 111: 상품접수부
112: 소유권이전기록부 200: 전달자기기
300: 구매자기기 201,301: 송수신부
202,302: 어플리케이션부 203,303: 정보입력부
204,304: 전달정보선택부 205,305: 상품정보추출부
206,306: 디스플레이부 207,307: 상품결정부
208,308: 상품구매부 209.309: 전달정보부

Claims (6)

  1. 소유하는 IT 자산과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에 대한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소유자기기(100)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생성된 IT 자산정보와 재활용정보를 분산하여 블록체인으로 저장하는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IT 자산의 존재증명을 생성하기 위한 존재증명생성부(101)와, 상기 존재증명이 생성된 IT 자산의 수명주기를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수명주기관리부(102)와, 상기 IT 자산의 존재증명과 상기 IT 자산의 수명주기와 소유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부(103)와, 상기 IT 자산을 재활용하기 위해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요청부(104)와, 상기 재활용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하는 IT자산분할부(105)와, 상기 분할된 IT 자산의 부품의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재활용판단부(106)와, 상기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IT 자산의 감가상각 처리하여 잔존가치를 재계산하고 관리하기 위한 재활용관리부(107)와, 상기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포함한 정보를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재활용정보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유자기기(100)는, 상기 IT 자산정보 중에서 판매하길 원하는 IT 자산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IT 자산추출부(109)와, 상기 추출된 IT 자산정보와 해당되는 IT 자산의 상품금액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하여 해시함수에 의해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상품정보부(110)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받아 상품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상품접수부(111)와, 상기 IT 자산정보에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기 위한 소유권이전기록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유자기기(100)의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 후 상기 상품정보와 전달자정보를 포함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전달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전달자기기(200)와, 상기 전달자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달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자정보를 포함하여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구매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구매자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달자기기(200) 및 상기 구매자기기(200)는,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품구매를 결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전달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서 다른 전달자기기와 다른 구매자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전달정보의 전달시각을 추출하고 비교하여 가장 빠른 전달시각이 포함된 전달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전달정보선택부와, 상기 상품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전달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품정보추출부와, 상기 복호화된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매결정부와, 상기 구매결정부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에 구매하는 상품정보 또는 전달정보와 구매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해시함수의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구매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상품구매부와, 상기 구매결정부에서 상품을 구매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 또는 구매자기기로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전달자의 정보와 전달시각이 포함된 전달정보를 암호화하여 생성하기 위한 전달정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5. IT 자산을 소유한 소유자기기(100)에서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IT 자산의 존재증명 및 수명주기와 IT 자산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소유자정보를 포함하여 IT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하여 저장하는 IT 자산정보저장단계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IT 자산의 재활용을 요청하기 위한 재활용요청신호를 생성되면 IT 자산을 부품별로 분할한 후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재활용판단단계와,
    상기 재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부품이 재활용되어 재구성될 경우에 재구성된 IT 자산의 잔존가치를 재계산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재활용정보를 생성하여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하여 저장하는 재활용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IT 자산관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IT 자산을 판매하길 원할 경우에 상기 IT 자산정보 중 판매하기 위한 IT 자산정보를 추출하는 IT 자산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IT 자산정보에 해시함수를 생성하고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하여 저장하는 상품정보저장단계와,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자기기(200)에서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유자기기(100)의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품정보의 해시값을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미리 저장된 다른 전달자기기(200) 또는 구매자기기(300)로 상기 상품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품정보와 전달시각을 포함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전달정보를 전달하는 상품정보전달단계와,
    상기 구매자기기(300)에서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구매결정단계와,
    상기 구매자기기(300)에서 상기 전달정보에 구매자정보를 추가하여 해시함수를 재계산한 후 생성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구매정보를 상기 분산원장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품구매단계와,
    상기 소유자기기(100)에서 상기 구매정보에 저장된 구매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T 자산의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는 소유권이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의 IT 자산관리방법.
KR1020180121295A 2018-10-11 2018-10-11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KR10226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95A KR102265088B1 (ko) 2018-10-11 2018-10-11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95A KR102265088B1 (ko) 2018-10-11 2018-10-11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82A true KR20200041182A (ko) 2020-04-21
KR102265088B1 KR102265088B1 (ko) 2021-06-15

Family

ID=7045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95A KR102265088B1 (ko) 2018-10-11 2018-10-11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0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58961A (ja) * 2020-09-29 2022-04-12 株式会社リコー ノード、取引システム、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82533B1 (ko) * 2022-07-13 2023-01-02 주식회사 제이티체인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695044A (zh) * 2022-11-29 2023-02-0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it资产安全管控平台及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7727A (ja) * 2012-06-12 2013-12-26 Shunji Sugaya 資産管理サーバ、資産管理方法、及び、資産管理サーバ用プログラム
KR101811430B1 (ko) * 2016-09-13 2017-12-21 농협은행(주) It 자산 통합 관리 장치
JP2018515833A (ja) * 2015-03-31 2018-06-14 ナスダ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asdaq, Inc. ブロックチェーン取引記録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7727A (ja) * 2012-06-12 2013-12-26 Shunji Sugaya 資産管理サーバ、資産管理方法、及び、資産管理サーバ用プログラム
JP2018515833A (ja) * 2015-03-31 2018-06-14 ナスダ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asdaq, Inc. ブロックチェーン取引記録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11430B1 (ko) * 2016-09-13 2017-12-21 농협은행(주) It 자산 통합 관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58961A (ja) * 2020-09-29 2022-04-12 株式会社リコー ノード、取引システム、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82533B1 (ko) * 2022-07-13 2023-01-02 주식회사 제이티체인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695044A (zh) * 2022-11-29 2023-02-0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it资产安全管控平台及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088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A blockchain-based framework of cross-border e-commerce supply chain
CN109829824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商品交易信息共享方法
US20200043001A1 (en) Pet Food Traceabili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6838000B2 (ja) 暗号技法を使用した取引における意思の難読化
CN103918219B (zh) 基于秘密共享的电子内容分发的方法和装置
CN108370314A (zh) 使用数据的安全存储和检索的装置
US20190238319A1 (en) Rights management of content
TW200907843A (en) Trusted third party clearing house for lead tracking
WO2020026676A1 (ja) 流通管理装置、流通管理システム、及び流通管理方法
US73701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n-way authentication in a network
KR102265088B1 (ko)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it 자산관리시스템
US20230360042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ecured multi-lateral data exchange over a computer network
CN110493268A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11727414B2 (en) Internet data usage control system
JP6293245B1 (ja) 強化されたセキュリティを有する取引相互監視システム
CN111340590A (zh) 一种基于电子商务的协同作业方法及其分布式转售平台
JP2013045460A (ja) 非有形商品の電子商取引方法
US7451308B2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evaluate a participant in a trust management infrastructure
CN110969465A (zh) 一种基于区块链通证的促销方法及系统
CN11142931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知识产权交易共享系统及方法
Liu et al. A blockchain‐based privacy‐preserving advertising attribution architecture: Requirements, design, and a prototype implementation
KR20190090699A (ko) 통합 암호화폐 보관 및 보안강화를 위한 월렛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327271A (zh) 一种生鲜供需信息查询系统
CN116185974B (zh) 基于区块链的渔业种质资源数据共享方法及系统
JP7403306B2 (ja) サーバ、データ処理方法、計算機システム及び計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