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989A -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989A
KR20200040989A KR1020180120811A KR20180120811A KR20200040989A KR 20200040989 A KR20200040989 A KR 20200040989A KR 1020180120811 A KR1020180120811 A KR 1020180120811A KR 20180120811 A KR20180120811 A KR 20180120811A KR 20200040989 A KR20200040989 A KR 2020004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hangul
password
character st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준
김정운
Original Assignee
이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준 filed Critical 이익준
Priority to KR102018012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0989A/ko
Publication of KR2020004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5Rule-based translation
    • G06F40/56Natural languag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한글 문자열에 대응하는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한글외 문자열에 따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Password generation method based on Hangeul characters}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워드에 관한 것이다.
패스워드 증후군(Password Syndrome)이란 정보화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생기는 신종 현상으로서, 정보보안을 철저하게 하기 위하여 각기 다르게 해놓은 패스워드가 기억이 나지 않아 혼란에 빠지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는 안전한 패스워드 관리를 위해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에서 두 종류 이상의 문자를 조합하여 소정 자릿수 이상의 패스워드를 설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단순 요구 수준을 넘어서 법적 요구사항으로 강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패스워드 증후군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패스워드를 숫자만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기억하기가 쉽지 않은데, 두 종류 이상의 문자를 조합하여 8자리 혹은 10자리 이상의 패스워드를 설정하게 되면 기억하기가 당연히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보안 담당자들의 경우에는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27호 (2015년 9월 8일 공개)
본 발명은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으면서도 보안이 강화된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한글 문자열에 대응하는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한글외 문자열에 따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글외 문자열 생성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한글 문자열로 변환하며, 변환된 한글 문자열에 대응하는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한글외 문자열 생성 단계는 한글 자음과 모음별로 한글 외의 문자가 매핑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한글외 문자를 조합함에 의해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의 한글 자음에 대해서는 초성과 종성별로 한글 외의 문자가 매핑될 수 있다.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에 속한 한글외 문자의 종류는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에서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패스워드 생성 단계는 한글외 문자열을 해싱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패스워드 생성 단계는 한글외 문자열에서 소정 개수의 숫자를 추출 및 조합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은 패스워드와 한글외 문자열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숫자열이 입력되면 대응되는 복수의 한글 문자열을 생성하되, 한글 자음과 모음 별로 한글 이외의 숫자를 포함한 두 종류 이상의 한글외 문자가 매핑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한글 문자를 조합함에 의해 한글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복수의 한글 문자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억이 용이한 한글 단어를 패스워드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패스워드 증후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면서도 인증 보안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안전한 패스워드 관리를 위한 요구사항인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에서 두 종류 이상의 문자 조합으로 이루어진 패스워드 규칙을 그대로 따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흐름도이다.
도 3은 한글 입력에 따른 한글외 문자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한글 입력에 따른 숫자 패스워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숫자를 이용한 한글 단어 만들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기반 한글 문자열 생성 방법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인증 절차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인증 절차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컴퓨팅 기기(100)는 컴퓨팅 기능을 가진 통신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에는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가 설치된다.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에 기반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는 인증 서버(300)에 접속한 후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들은 서로 상이한 규칙에 따라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따라서,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마다 동일한 한글이 입력된다고 하더라도 생성되는 패스워드는 상이하다. 그리고 하나의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규칙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원 가입한 사이트별로 또는 동일 사이트라 하더라도 사용자 계정이 둘 이상인 경우 서로 다른 규칙을 적용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서버(300)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이 같은 인증 서버(300)는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로부터 제공된 패스워드가 기등록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증 서버(300)는 컴퓨팅 기기(100)로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2의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컴퓨팅 기기(1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기기(100)를 수행 주체로 표현한다. 컴퓨팅 기기(100)는 한글 문자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 제공한다(S100).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천지인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달리, 한글 문자열 입력을 위한 사용자 화면 인터페이스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S100은 생략될 수 있다.
컴퓨팅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한글 문자열을 입력받는다(S1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한글 문자열을 입력받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음성을 STT(speech to text) 기능을 통해 한글 문자열로 변환한다. 즉, 한글 문자열을 음성으로 입력받는 것이다. 컴퓨팅 기기(100)는 입력된 한글 문자열에 대응하는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한다(S120). 한글외 문자열은 한글과는 다른 하나 이상의 종류의 문자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컴퓨팅 기기(100)는 숫자와 영소문자와 영대문자 및 특수문자 중에서 두 종류 이상의 문자로 조합된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한다.
한글외 문자열이 생성되면, 컴퓨팅 기기(100)는 인증 서버(300)에 등록 또는 변경할 패스워드를 생성하거나 인증 서버(300)로 인증을 요청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생성한다(S130). 패스워드 생성이 완료되면, 컴퓨팅 기기(100)는 그 생성된 패스워드를 인증 서버(300)에 전송하며, 인증 서버(300)에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등록 또는 기등록된 패스워드를 새로 수신된 패스워드로 변경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경우에는 수신된 패스워드와 기등록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인증을 수행한다.
S120의 한글외 문자열 생성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컴퓨팅 기기(100)는 한글외 문자열 생성을 위해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한다.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은 한글 자음과 모음별로 매핑된 한글 외의 문자가 매핑된 정보를 가진 테이블이다.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한글 문자열이 입력되면 그 한글 문자열에 따라 고유 패스워드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이용된다. 즉, 위에서 언급한 규칙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은 사용자별로 상이하며, 동일 사용자라 하더라도 용도별로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과 모음별로 숫자나 영대문자 또는 영소문자가 일대일 매핑될 수 있으며, 특수문자는 예시되어 있지 않으나 추가로 들어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매핑은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표 1의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을 입력할 경우에는 한글외 문자열로 8p7h40u42e2가 생성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애국가”를 입력할 경우에는 한글외 문자열로 6p2e22h가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글 자음 중에서 일부 자음에는 숫자가 랜덤하게 매핑되는데, 홑자음에는 숫자가 랜덤하게 매핑된다. 이때, 숫자는 0부터 9까지의 한자리 숫자일 수 있다. 그리고 영대문자는 홑자음 이외의 자음과 랜덤하게 일대일 매핑될 수 있으며, 영소문자는 모음과 일대일 매핑될 수 있다. 한편, 특수문자가 추가로 들어갈 경우, 특수문자는 숫자와 영대문자 및 영소문자 중에서 일부와 랜덤하게 일대일 매핑될 수 있다. 이때, 특수문자로는 ! @ # $ % ^ & * ( ) _ + ? > < ~ ` = - / . , ; ’ [ \ ] |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일부 매핑은 사용자가 직접 행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0부터 9까지의 숫자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중에서 원하는 자음과 일대일 매핑시킬 수 있다.
한편, 아래 표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과 모음별로 한글외 문자가 일대일 매핑될 수 있는데, 한글 자음에 대해서는 초성과 종성별로 한글외 문자가 일대일 매핑될 수 있다. 초성에는 숫자가 매핑될 수 있는데, 표 2에서와 같이 초성별로 숫자와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합문자가 랜덤하게 매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초성별로 매핑되는 숫자는 모든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이 동일하며, 숫자와 조합되는 특수문자는 랜덤하게 정해진다. 그리고 중성과 종성에는 영문자가 매핑될 수 있는데, 적어도 일부는 랜덤하게 매핑될 수 있다. 표 2의 표 2의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할 경우, “대한민국”이 입력되면 한글외 문자열로 4:k7\aB0]jB1<gA이 생성되며, “애국가”가 입력되면 한글외 문자열로 9}k1<gA1<a가 생성된다.
한편, 표 2에서 보면, 1은 ㄱ(ㅋ, ㄲ), 2는 ㄴ, 3은 ㄹ, 4는 ㄷ, 5는 ㅂ(ㅍ, ㅃ), 6은 ㅅ(ㅆ), 7은 ㅎ, 8은 ㅈ(ㅊ, ㅉ), 9는 ㅇ, 0은 ㅁ에 매핑되어 있다. 이들은 랜덤하게 매핑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지정에 의해 매핑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의 매핑은 랜덤하게 이루어지되, 숫자에 한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매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인이 선호하는 바에 따라 숫자와 초성을 매핑시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S130의 패스워드 생성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는 S120에서 생성된 한글외 문자열을 해시(Hash) 알고리즘을 가지고 해싱한다. 이때, 해시 알고리즘으로는 SHA-256이 이용될 수 있다. 즉, 한글외 문자열을 해시함에 의해 해시값이 생성되며, 이 해시값이 바로 패스워드로 사용된다. 아래 표 3은 한글 문자열과 한글외 문자열 및 패스워드(해시값)를 나타내는 것으로, 패스워드 등록 또는 변경의 경우에는 S120에서 생성된 패스워드가 인증 서버(300)에 등록되며, 패스워드 인증의 경우에는 S120에서 생성된 패스워드가 인증 서버(300)에 전송되어 기등록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된다. 참고로, 표 3에서의 한글외 문자열은 표 2의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3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는 S120에서 생성된 한글외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숫자만으로 이루어진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한글 문자열로 “대한민국”을 예로 들 경우에 표 3에서 확인되는 한글외 문자열인 4:k7\aB0]jB1<gA로부터 숫자를 추출하고 그 순서 그대로 조합한다. 이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4701이라는 숫자열이 만들어진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네이버별님네를 예로 들 경우에는 295522라는 숫자열이 만들어진다. 이와 달리, 2955라는 숫자열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한글외 문자열에 속한 모든 숫자를 추출할 수도 있으나 소정 개수의 숫자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부터 네 개의 숫자만을 추출한다. 이상과 같은 방식에 따르면, 카드 비밀번호 등 숫자만으로 이루어진 패스워드에 대해서도 한글 기반 패스워드 적용이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는 S120에서 생성된 한글외 문자열을 해싱하여 해시값(제 1 패스워드)을 생성하며, 한글외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하고 조합한 숫자열(제 2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이때, 제 2 패스워드는 제 1 패스워드가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패스워드와 제 2 패스워드는 인증을 위해 인증 서버(300)에 제공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00)는 S120에서 생성된 한글외 문자열을 해싱하여 해시값(제 1 패스워드)을 생성하며, 해시값과 한글외 문자열을 함께 인증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인증 서버(300)는 해시값을 인증하며, 인증에 성공하면 한글외 문자열에서 수자를 추출하고 조합하여 숫자열(제 2 패스워드)를 생성한 후에 제 2 패스워드를 인증한다. 이상에 따르면, 한 번의 한글 문자열 입력만으로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가 혼용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기존 숫자로 구성된 비밀번호만을 요구하는 곳에서는 숫자만을 추출하여 비밀번호로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기반 한글 문자열 생성 방법 흐름도이다. 도 5 역시 하드웨어적으로는 컴퓨팅 기기(1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200)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기기(100)를 수행 주체로 표현한다. 컴퓨팅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을 제공한다(S200). 이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참고로, 도 2의 S1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도 5의 S2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팅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숫자 문자열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숫자 문자열에 대응하는 복수의 한글 문자열을 생성한다(S210)(S220). 컴퓨팅 기기(100)는 생성된 복수의 한글 문자열을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30).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한글 문자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한글 문자열은 도 2의 S110의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6은 숫자를 이용한 한글 단어 생성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4701을 입력하면, 컴퓨팅 기기(100)는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에서 4, 7, 0, 1 각각에 대응하는 한글 초성을 확인한다. 4, 7, 0, 1 각각이 ㄷ, ㅎ, ㅁ, ㄱ에 매핑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컴퓨팅 기기(100)는 ㄷ, ㅎ, ㅁ, ㄱ이 초성에 순차적으로 적용된 복수의 한글 단어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대환마감” 등의 한글 단어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되는 한글 단어의 최소 개수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숫자를 이용한 한글 단어 만들기 연습도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인증 절차도이다. 컴퓨팅 기기(100)는 한글외 문자열을 해싱하여 얻어진 제 1 패스워드(해시값)을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면서 인증 요청한다(S300). 인증 서버(300)는 해시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해시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1차 인증한다(S310). 인증 서버(300)는 1차 인증 결과를 컴퓨팅 기기(100)로 전송한다(S320). 컴퓨팅 기기(100)는 컴퓨팅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1차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일 경우에 S120에서 생성된 한글외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하여 조합한다(S330). 이에 따라, 제 2 패스워드(숫자열)가 생성된다. 컴퓨팅 기기(100)는 제 2 패스워드를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며, 인증 서버(300)는 수신된 제 2 패스워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 숫자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2차 인증한다(S340)(S350). 한편, 도 7과 달리, 컴퓨팅 기기(100)는 제 1 패스워드와 제 2 패스워드를 인증 서버(300)로 함께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하여 한 번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인증 절차도이다. 컴퓨팅 기기(100)는 한글외 문자열을 해싱하여 얻어진 제 1 패스워드(해시값)와 해싱 이전의 한글외 문자열을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S400). 인증 서버(300)는 수신된 해시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1차 인증한다(S410). 1차 인증에 성공할 경우, 인증 서버(300)는 수신된 한글외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하여 조합함에 의해 제 2 패스워드(숫자열)를 생성한다(S420). 인증 서버(300)는 생성된 제 2 패스워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 숫자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2차 인증한다(S430).
한편, 상술한 방법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컴퓨팅 기기 200 : 한글 패스워드 매니저
300 : 인증 서버

Claims (11)

  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한글 문자열에 대응하는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한글외 문자열에 따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한글외 문자열 생성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한글 문자열로 변환하며, 변환된 한글 문자열에 대응하는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한글외 문자열 생성 단계는 한글 자음과 모음별로 한글 외의 문자가 매핑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한글외 문자를 조합함에 의해 한글외 문자열을 생성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의 한글 자음에 대해서는 초성과 종성별로 한글 외의 문자가 매핑된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에 속한 한글외 문자의 종류는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에서 둘 이상을 포함한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패스워드 생성 단계는 한글외 문자열을 해싱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패스워드 생성 단계는 한글외 문자열에서 소정 개수의 숫자를 추출 및 조합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패스워드와 한글외 문자열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숫자열이 입력되면 대응되는 복수의 한글 문자열을 생성하되, 한글 자음과 모음 별로 한글 이외의 숫자를 포함한 두 종류 이상의 한글외 문자가 매핑된 사용자 고유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한글 문자를 조합함에 의해 한글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복수의 한글 문자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글 기반 패스워드 생성 방법을 컴퓨팅 기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기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80120811A 2018-10-11 2018-10-11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0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811A KR20200040989A (ko) 2018-10-11 2018-10-11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811A KR20200040989A (ko) 2018-10-11 2018-10-11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989A true KR20200040989A (ko) 2020-04-21

Family

ID=7045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811A KR20200040989A (ko) 2018-10-11 2018-10-11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09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27A (ko) 2014-02-28 2015-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및 그것의 패스워드 등록 방법 및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27A (ko) 2014-02-28 2015-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및 그것의 패스워드 등록 방법 및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2052B (zh) 微服务处理方法及服务器
US8875264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off-line two-factor user authentication
US9077710B1 (en) Distributed storage of password data
US8549314B2 (en) Password generation methods and systems
US9716699B2 (en) Password management system
EP2875606A1 (en) Method and system of login authentication
EP2150915B1 (en) Secure login protocol
JP2010061329A (ja) 認証処理方法及び認証処理システム
US11068579B2 (en) Method and system of performing an authorization mechanism between a service terminal system and a helpdesk system
KR20180077554A (ko) 키 입력 보안 방법
US20130276095A1 (en) Pass-pattern authentication for computer-based security
JP2007299353A (ja) パスワード生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をパスワード生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12463749A (zh) 文件分享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EP2947591A1 (en) Authentication by Password Mistyping Correction
KR20200040989A (ko) 한글 기반 패스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163869B2 (en) Identity authentication without entry of password
US11095435B2 (en) Keystroke dynamics anonimization
EP3855325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server,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JP2018116698A (ja) データ入力方法及びデータ入力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電子装置及びシステム
WO2018130852A1 (en) Improved authentication
JP2008005371A (ja) 日本語パスワード変換装置及びその方法
US9866562B2 (en) File and bit location authentication
WO2017013752A1 (ja) サーバ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091787A1 (en) Conversation-based report generation with report context
JP7316714B1 (ja) 認証情報生成装置、認証情報生成方法、認証情報生成プログラム、及び認証情報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