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793A - 리노베이션 천장 매트 - Google Patents

리노베이션 천장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793A
KR20200040793A KR1020207006319A KR20207006319A KR20200040793A KR 20200040793 A KR20200040793 A KR 20200040793A KR 1020207006319 A KR1020207006319 A KR 1020207006319A KR 20207006319 A KR20207006319 A KR 20207006319A KR 20200040793 A KR20200040793 A KR 2020004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ovation
mat
filler
bind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메니코 라카메라
산데르 씨 하헨스
Original Assignee
오씨브이 인텔렉츄얼 캐피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브이 인텔렉츄얼 캐피탈 엘엘씨 filed Critical 오씨브이 인텔렉츄얼 캐피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4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8Coating with two or more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25/50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95Coating to obtain coated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27Rubber 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65Coatings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s
    • C03C25/47Coatings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particles, fibres or flakes, e.g. in a continuous phas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1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ontaining granules other than absorbent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ibres of specified chemical or physical nature, e.g. natural silk
    • D06N3/0022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3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e.g. metals, carbon fibres, Na2CO3, metal layers; Post-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8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02Synthetic cellulose fibres
    • D21H13/08Synthetic cellulose fibres from regenerated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20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24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20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26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36Inorganic fibres or flakes
    • D21H13/38Inorganic fibres or flakes siliceous
    • D21H13/40Inorganic fibres or flakes siliceous vitreous, e.g. mineral wool, 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8Inorganic fibres
    • D06N2201/082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4Fibrous additives or fi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2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acoustical properties
    • D06N2209/025Insulating, sound absorb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06Building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arpe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개별 타일로 구성된 천장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매트. 매트는 천장의 외관을 리노베이션 (예, 개선, 변경) 한다. 매트는 커버되는 타일의 음향 성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리노베이션 천장 매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직포 매트, 특히 섬유 유리 매트, 및 음향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리노베이션 (renovation) 에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향 패널, 예컨대 천장 타일은 베이스 섬유, 충전제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코어 (core) 또는 보드 (board) 를 비롯한 부직포 복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미네랄 울 보드의 경우, 코어는 일반적으로 베일 (veil) 과 조합되어 미적 특성을 제공하고 패널 구조를 형성한다. 베일은 일반적으로 바인더, 충전제, 계면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와 혼합된 유리 섬유와 같은 섬유의 매트로 구성된다. 베일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충전제는 알루미나, 클레이, 칼슘 카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일 수 있다. 바인더는 전형적으로 수지, 전분, 폴리비닐 알코올, 라텍스 등이다. 경화시, 바인더는 베이스 섬유 및 충전제와 결합을 형성하여 음향 특성을 제공하는 섬유질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드롭형 (drop) 또는 서스펜디드형 (suspended) 천장 패널은 음향 패널의 한 형태이며 다양한 구조로 사용되어 다목적의 천장 적용범위를 제공한다. 시간 경과에 따라, 개별 패널은 얼룩이 질 수 있거나 (예, 패널 위의 누수로 인해), 손상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천장의 미학 개선을 위해 교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의 발생시, 소유자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얼룩진 패널을 동일한 교체 패널로 대체한다. 그러나, 패널 전체보다 더 적은 수의 패널을 교체하는 것은 새로운 패널이 구형의 패널과 외관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미학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의 패널만 손상되는 경우, 패널 전부를 교체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피하는 음향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를 리노베이션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총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천장 타일의 음향 특성 유지와 효과적인 얼룩 커버링 (stain covering) 에 대한 요구를 성공적으로 균형 잡는 음향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리노베이션을 위한 신규한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그러므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음향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용 리노베이션 매트를 제공한다. 매트는 섬유의 부직포 웹 (web),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한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카올린, 또는 그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100 g/m2 내지 500 g/m2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는 하기의 기준을 충족한다 (추가로 하기에 정의됨):
(i) 100 Pa 에서 100 l/m2/sec 이상의 공기 다공성;
(ii) △E≤2.
본 발명자들은 이들 기준을 충족시키는 매트가 손상/얼룩진 천장 타일의 리노베이션에 사용되기에, 특히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기초가 되는 용도에 적합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본 발명의 매트의 이용 방법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고 기술된다.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시스템 및 방법은 천장의 원하는 음향 특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얼룩 커버를 제공한다.
도 1 은 상이한 충전제를 갖는 매트의 얼룩 커버링 (△E) 대 음향 개방도 (다공성) 의 산점도이다.
도 2 는 얼룩 커버링 (△E) 대 상이한 충전제를 갖는 애드-온 (add-on) 의 산점도이다.
도 3 은 얼룩 커버링 및 다공성 (음향) 의 조합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테스트된 셋업의 측정된 성능을 보여주는 산점도이다.
일반적인 설명 및 정의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 및 시스템은 섬유의 부직포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한다.
(제 1) 바인더와 함께 결합된 섬유의 부직포 웹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베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부직포", "베일" 및 "스크림 (scrim)"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섬유의 결합된 웹을 지칭한다.
용어 "매트" 및 "리노베이션 매트"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충전제가 함침되어진 섬유의 웹 (즉,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섬유의 결합된 웹) 을 포함하는 베일, 시트 등을 지칭한다. 함침은 설치된 천장 타일의 미적 성능을 리노베이션하기 위한, 즉 개선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성능 표준을 충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의 부직포 웹을 구성하는 섬유는 각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섬유는 유리 섬유이고, 즉 섬유의 웹은 유리 섬유의 부직포 웹이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합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라미드, 나일론, 레이온, 비스코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탄소 섬유), 천연 섬유 (예를 들어, 목화 (cotton), 대마 (hemp), 케나프 (kenaf), 황마 (jute), 셀룰로오스), 유기 및 무기 섬유 (천연 및 인공 모두) 와 같은 기타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의 웹은 현무암 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리 섬유는 Advantex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소위 습식용 촙드 스트랜드 (wet use chopped strands; WUCS) 이다. 이들 유리 섬유 필라멘트는 습식-공정, 부직포 응용 분야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 습식 촙드 스트랜드는 공정수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산된다.
섬유의 두께는 약 6 미크론 내지 약 21 미크론 (평균 직경) 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섬유의 길이는 약 4 mm 내지 약 38 mm 로 가변적일 수 있다. 섬유의 직경은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평균 직경은 최소 100 회 측정으로 결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이한 섬유의 혼합물 (즉, 상이한 두께 및/또는 상이한 길이 및/또는 상이한 유형의 섬유) 이 이용될 수 있다.
용어 "충전제" 및 "함침제"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의 성능 관련 속성을 개질하기 위해 섬유의 웹에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적합한 충전제는 본원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대체적으로, 적합한 충전제는 색상이 백색인 무기 미립자 고체 (분말) 이다.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에서, 충전제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카올린, 및 이의 혼합물.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난연성에 유리할 수 있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ATH) 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를 30 중량% 이상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카올린, 또는 그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및 카올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및 카올린.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티타늄 디옥시드 또는 카올린을 포함한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 매트에서 100 g/m2 내지 500 g/m2, 더욱 바람직하게 150 g/m2 내지 310 g/m2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바인더"는 리노베이션 매트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들을 함께 단결하는 (hold) 물질을 지칭한다 적합한 바인더는 본원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에서 제 1 바인더는 섬유의 부직포 웹을 함께 단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함침 전). 제 2 바인더는 섬유의 부직포 웹을 함침시키고 원하는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충전제와 함께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바인더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라텍스, 아크릴, 아크릴산, 에폭시, 폴리우레탄, 멜라민,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고; 결합제는 또한 전분, 셀룰로오스, 당류 및 그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 1 바인더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 2 바인더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라텍스, 아크릴, 아크릴산, 에폭시, 폴리우레탄, 멜라민,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고; 바인더는 또한 전분, 셀룰로오스, 당류 및 그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 2 바인더는 폴리비닐 알코올, 라텍스 또는 그의 블렌드이다.
바인더는 리노베이션 매트에 5 내지 3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즉, 리노베이션 매트의 총 중량의 5% 내지 35% 가 2 개의 바인더로 구성됨).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애드-온 (add-on)"은 리노베이션 매트에 포함되는 충전제 또는 함침제, 또는 코팅 또는 그 조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는 유리하게도 음향적으로 개방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음향 개방성"이란 일반적으로 사운드를 통과시키는 리노베이션 매트의 품질을 지칭한다. 이는 기존의 천장 패널의 음향 성능이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한 리노베이션 후에도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음향 흡수는 ASTM C423 (NRC - 소음 감소 계수) 및 EN 13964 에 의해 측정된다. 매트의 음향 성능은 각종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노베이션 매트의 음향 개방성 또는 성능을 측정하는 예시 방법에는 기류 저항 (mks rayl) 및 다공성 (l/m2/sec) 이 포함된다. 공기 다공성은 ISO9237 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기류 저항은 ASTM C522-03 (2016) 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는 바람직하게 100 Pa 에서 >100 l/m2/sec 의 공기 다공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것이 리노베이션 매트의 허용가능한 음향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즉 상기 매트는 '음향적으로 개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매트는 <600 MKS Rayl 의 기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는 또한 유리하게 본원에서 기술된 리노베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되는 경우 허용가능한 미적 성능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미적 성능"은 예를 들어 리노베이션 매트의 기존 천장 타일에 있는 얼룩을 숨기는 능력을 지칭한다. 얼룩 커버링 (미적 성능의 한 형태) 은 백색 배경 대 컬러 배경 (얼룩진 표면) 을 갖는 리노베이션 매트의 색차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어려운 얼룩은 흑색 또는 청색 배경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회색 또는 황색 얼룩 (또는 테스트 동안 상응하는 배경) 은 보다 용이하게 커버된다.
색차 (얼룩 커버링) 는 델타-E (△E, △E76) 로서 정량화될 수 있다. 이것은 색상 과학에 사용되는 단일 숫자이며 3차원 색 공간 (L*, a*, b*) 의 거리로서 산출되어 색차를 정량한다. 이것이 문헌 ["Colour difference △E - A Survey", by Mokrzycki W.S., Oct 2012, University of Warmia and Mazury] 에 기술된 바와 같이, △E, △E76, 및 이것의 임계치에 대한 세부 사항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DELTA-E, 델타-E, △E 및 △E76 은 상호교환가능하고, 모두 △E76, 즉 CIE 1976 등식에 따라 산출된 △E 를 지칭한다 (하기 참조).
1< △E76 <2 인 경우, 그 차이는 숙련된 관찰자에 의해서만 알아차릴 수 있다. △E76 >2 인 경우, 그 차이는 경험이 없는 관찰자도 알아차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것은 리노베이션 매트의 색을 백색 및 흑색 배경 위 (구체적으로, 백색 및 흑색 측정 카드, 예컨대 Leneta Company 사의 2A 불투명 카드 위) 에서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흑색 배경은 '가장 최악의 경우'를 나타내고, 즉, 가장 어려운 얼룩 커버링 과제를 나타낸다. 색상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분광광도계 또는 색도계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각 배경색에 대한 매트의 L*, a* 및 b* 값은 측정 장치로부터 직접 결정되고/되거나 x, y, z (R, G, B) 3-자극 값으로부터 용이하게 변환된다. 색상의 차이는 △E (델타-E, E76) 로서 표시되고,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Figure pct00001
그 차이가 작을 수록, △E 수는 낮아진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리노베이션 매트는 △E76 ≤ 2 (또는 < 2) 및 △E76 ≤ 1 (또는 < 1) 을 포함해; △E76 ≤ 3 (또는 < 3) 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리노베이션 매트는 2 이하의 △E 를 가진다.
본 발명의 매트는 또한 선택적인 코팅층으로 마무리될 수도 있다. 이 코팅층은 다양한 코팅 기술, 예컨대 롤 코팅, 나이프 코팅, 스크린 프린팅, 함침, 커튼 코팅, 브러시 코팅 또는 스프레이-페인팅 기술을 이용해서 적용될 수 있다. 최종 코팅된 제품은 표적 얼룩의 커버링 및 음향 성능을 지녀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범위는 구체적으로 개시되거나 그렇지 않은 것과 관계 없이, 그 범위 내 모든 수 및 수의 부분집합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나아가, 이들 수치 범위는 그 범위 내 임의의 수 또는 수들의 부분집합에 대한 청구범위의 지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 의 개시는 2 내지 8, 3 내지 7, 5 내지 6, 1 내지 9, 3.6 내지 4.6, 3.5 내지 9.9 등의 범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단수형의 특징 또는 제한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그 언급이 이루어진 문맥에 의해 그 반대가 명확하게 암시되지 않는 한, 상응하는 복수의 특징 또는 제한을 포함하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방법 또는 공정 단계의 모든 조합은 달리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언급된 조합이 이루어진 문맥에 의해 그 반대가 명확하게 암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는데, 외측부는 내측부와 반대편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외측부는 건물 공간 또는 실내 환경을 향하고 있는 전면일 수 있고, 내측부는 천장 타일 또는 커버되어진 타일을 향하는 후면일 수 있어, 매트가 장착될 때 시야로부터 숨겨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토론
본원에서 기재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에 관한 것이고 이를 고려한다.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미학을 리노베이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매트를 개발할 때, 서로에 대해 균형을 맞춰야 하는 많은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매트는 얼룩을 커버하기에 충분히 불투명해야 하면서, 기존의 천장 타일의 음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음향적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매트는 설치 시 시각적 처짐이 없을 정도로 충분히 단단하고 (stiff) 가벼워야 하지만, 동시에 기존 프레임 워크에 서스펜디드형 천장 타일 아래에 손상 없이 설치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유연하고 탄력적이어야 한다. 매트는 기존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화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트는 상기 특성들을 균형을 맞추면서 상기 모든 특징들을 통합된 구조로 조합한다.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물이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 원리의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그의 특정 구현예가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본원에서 예시된 특정 구현예에 국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기술된 물질, 시스템 및 방법은 음향 천장 타일의 기존 네트워크의 미학을 리노베이션하는데 이용되도록 의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개시되거나 제안된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는 기존의 드롭 천장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고, 기존의 천장 타일을 커버하여 기존의 천장 타일의 미학을 리노베이션하면서 (예, 얼룩을 커버함), 천장 타일의 음향 및 기타 성능 (예, 난연성) 속성에 의존한다.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물질, 시스템 및 방법의 활용으로부터 많은 이점이 얻어진다. 본원에서 기술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해 포함된 방법은 서스펜디드형 천장 프레임워크의 리노베이션을 위한, 더욱 특히 천장 타일의 미학을 개선하기 위한 간단하고 편리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오래된 천장 타일이 매트 위의 공간에서 유지되므로, 리노베이션 동안 엉망진창되는 상황은 거의 또는 전혀 발생되지 않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오래된 천장 타일을 제거하고 버리는데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이 제거되어 진다. 그러므로, 설치 비용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매트를 사용하면, 천장 유형 및 디자인과 관계 없이, 임의의 기존의 서스펜디드형 천장을 미학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기존의 천장 타일은 매트에 의해 숨겨진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 (그리드 (grid)) 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재 등급 및 음향 특성과 관련된 천장의 본래 기술적 특성은 매트의 사용에 의해 개선되지 않는다면 최소한 유지된다. 또한, 천장 타일은 어떠한 실질적인 혼란을 야기하지 않고 이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리노베이션 및 교체는 작업 영역에 대한 방해를 최소로 하면서 정상적인 작업 환경에서 행해질 수 있다.
예시적이 구현예에서,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가 제공된다. 매트 ('리노베이션 패널') 는 섬유의 부직포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한다. 섬유의 부직포 웹 및 제 1 바인더는 충전제의 포함 이전에 40 g/m2 내지 200 g/m2 의 면적 중량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를 30 중량% 이상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및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및 카올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의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가 제공된다. 이 매트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 100 Pa 에서 > 100 l/m2/sec 의 공기 다공성 및 △E < 1. 공기 다공성은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ISO9237 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가 제공된다. 이 매트는 두께가 0.5 내지 2.5 mm 이고,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 100 Pa 에서 50 l/m2/sec 이상의 공기 다공성, 바람직하게 100 Pa 에서 100 l/m2/sec 이상; 및 △E < 3, 바람직하게 △E ≤ 2, 더욱 바람직하게 △E ≤ 1.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의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가 제공되고, 이때 결합된 섬유의 웹은 충전제의 포함 이전에 40 g/m2 내지 200 g/m2 의 면적 중량을 갖고, 충전제는 매트에서 100 g/m2 내지 350 g/m2, 바람직하게 150 g/m2 내지 310 g/m2 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음향 패널의 미학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를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천장 타일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매트는 섬유의 부직포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한다. 섬유의 부직포 웹 및 제 1 바인더는 충전제 포함 이전에 40 g/m2 내지 200 g/m2 의 면적 중량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를 50 중량% 이상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포함하고,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및 카올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매트는 단일의 상응하는 천장 타일 아래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는 천장 타일과 타일을 지지하는 프레임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매트는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복수의 천장 타일 아래에 위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매트는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모든 타일 아래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설치된 천장 타일의 미학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천장 타일 아래에 부직포 섬유 유리 매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때 매트는 두께가 0.5 내지 2.5 mm 이고,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킨다: 100 l/m2/sec 의 공기 다공성, 및 △E < 3, 바람직하게 △E < 2, 더욱 바람직하게 △E < 1.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를 완전히 교체할 필요 없이, 이것의 미학을 새롭게 개조하거나 또는 리노베이션하는 "리노베이션" 천장에 대한 시장이 등장했다. 리노베이션 천장은 기존의 천장 패널 아래에 위치된 (즉, 리노베이션 매트는 기존의 천장 타일과 구조물의 점유 영역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됨) 비교적 얇은 물질 시트 (즉, 매트, 베일, 스크림, 페이서 (facer) 등) 로 이루어진다. 리노베이션 매트는 이 매트 뒤에 위치된 기존의 천장 타일의 음향 성능에 의존하면서 개선된/갱신된 외관을 제공하도록 이전에 방/구조물에서 점유된 공간에 노출된 하나 이상의 천장 패널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설계된다.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미학을 리노베이션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매트를 개발할 때, 서로 균형을 맞춰야 하는 다수의 특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리노베이션 매트는 얼룩을 커버할 정도로 충분히 불투명해야 하며, 기존의 천장 타일의 음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음향적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시각적인 처짐을 갖지 않도록 충분히 단단하고 가벼워야 한다.
설치 후, 그러나 동시에 손상 없이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서스펜디드형 천장 타일 아래에 설치되도록 충분히 유연하고 탄력적이어야 한다. 게다가, 리노베이션 매트는 기존 천장 타일의 화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이러한 경합 특성을 균형을 맞추면서 하나의 통합된 구조로 이들 특징을 조합할 수 있어, 상기 언급된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리노베이션 매트를 달성할 수 있다.
리노베이션 매트는 얼룩 커버링/불투명성과 음향적으로 개방하는 능력 (즉, 전체 천장 타일 어셈블리의 음향 흡수를 저하시키지 않음) 의 균형을 효과적으로 맞춘다. 매트는 또한, 매트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예, 추가의 얼룩 커버링 충전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천장에 설치시, 매트의 원치않는 처짐 및 편향 가능성 (중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공지됨) 이 또한 증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피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기존의 천장 패널 (타일) 어셈블리를 리노베이션할 때 사용하기 위한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10 내지 50 mm 인 음향 천장 타일과 달리, 상기 물질은 본원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리노베이션 매트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그 두께는 0.5 내지 2.5 mm 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노베이션 매트는 40 g/m2 내지 200 g/m2 의 면적 중량으로 제 1 바인더와 함께 결합된 섬유의 웹 (예, 유리) 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70 g/m2 내지 130 g/m2 의 면적 중량으로 제 1 바인더 및 웹의 섬유를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의 웹은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의 두께는 약 6 미크론 내지 약 21 미크론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유리 섬유의 길이는 약 4 mm 내지 약 38 mm 로 가변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타 섬유, 예컨대 합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라미드, 나일론, 레이온, 비스코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탄소 섬유), 천연 섬유 (예, 목화, 대마, 케나프, 황마, 셀룰로오스), 유기 및 무기 섬유 (천연 및 인공 모두) 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의 웹은 현무암 섬유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섬유의 웹은 유리 섬유의 부직포 웹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1 바인더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라텍스, 아크릴, 아크릴산, 에폭시, 폴리우레탄, 멜라민,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고; 바인더는 또한 전분, 셀룰로오스, 당류 및 그 조합물로부터도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1 바인더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에에서, 바인더는 레노베이션 매트에 5 내지 3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충전제 조성물은 부직포 섬유 물질에 적용되어 리노베이션 매트를 생성한다. 충전제 조성물은 리노베이션 매트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어, 천장 타일을 리노베이션하는데 있어서 매트를 보다 적합하게 만든다 (예, 광 반사율, 음향 개방도, 백색도, 내화성).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충전제 조성물은 부직포 유리 섬유 매트에 적용되고, 이로써 충전제는 바인더와 함께 유리 섬유의 웹에 함침되어 리노베이션 매트를 생성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 웹에는 충전제와 제 2 바인더의 혼합물 (통틀어 함침물로서 지칭) 이 함침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는 충전제의 주요 구성 성분이고, 충전제의 30 내지 100 중량% 를 구성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2 구성 성분은 충전제의 0 내지 70 중량% 의 양으로 충전제에 존재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가 충전제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50 중량% 이상 (즉, 50 내지 100%) 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2 의 구성 성분이 충전제에 0 내지 50 중량% 의 충전제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2 충전제 (즉, 충전제의 제 2 구성 성분) 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금속 옥시드, 예컨대 알루미늄 옥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칼슘 술페이트; 마그네슘 술페이트; 카올린; 차이나 클레이; 나노클레이; 그라펜; 제올라이트; 실리카; 실리케이트; 유리; 및 운모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조립 (coarse) 내지 중간 내지 미세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충전제의 입자 크기는 0.5 미크론 내지 100 미크론의 범위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허용가능한 얼룩 커버링 성능 (△E < 1) 및 허용가능한 음향 성능 (다공성 > 100 l/m2/sec) 양자 모두를 제공하며, 상기는 대안적으로 낮은 기류 저항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 600 MKS RAYLS).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2 바인더는 라텍스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 폴리비닐 알코올, 비닐 에스테르 바인더, 에폭시 바인더 및 그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 2 바인더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충전제(들) 및 제 2 바인더는 리노베이션 패널에 150 g/m2 내지 320 g/m2 를 포함하고, 180 g/m2 내지 310 g/m2 를 포함하고, 150 g/m2 내지 310 g/m2 를 포함하는 100 g/m2 내지 500 g/m2 의 양으로 포함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함침 조성물은 섬유의 결합된 웹의 외측부 표면에 분무된 액적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함침은 액체, 스프레이, 미스트, 포그 (fog), 클라우드 (cloud), 또는 에어로졸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함침은 롤 코팅, 나이프 코팅, 스크린 프린팅, 풀 배쓰 함침, 커튼 코팅, 브러쉬 코팅 또는 스프레이-페인팅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양호한 얼룩 커버링 성능을 나타낸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E < 3 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E < 2 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E ≤1 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롤 코팅, 나이프 코팅, 스크린 프린팅, 풀 배쓰 함침, 커튼 코팅, 브러쉬 코팅 또는 스프레이-페인팅에 의해 적용된 스프레이, 미스트, 포그, 클라우드, 에어로졸, 액체를 이용하여 적용된 페인트 층과 같은 마무리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허용가능한 음향 성능을 나타낸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공기 다공성 > 100 l/m2/sec (즉, 음향적으로 개방성) 을 갖는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기류 저항 < 600 MKS RAYLS (즉, 음향적으로 개방성) 을 갖는다.
음향 천장 타일의 시공 동안 부직포 베일에 코팅 (예, 페인트) 을 적용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코팅은 종종 임의의 충전제로 베일의 함침 후에 베일을 제조하고 나서 적용된다. 코팅은 전형적으로 색상을 포함하는 음향 천장 타일의 미학을 개선 또는 개질하기 위해 적용된다. 반대로,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코팅을 포함하지 않는 리노베이션 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리노베이션 매트는 음향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에 부착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타일의 음향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설치된 천장 타일의 미학을 개선시키는 방법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 내 하나 이상의 천장 타일 아래 리노베이션 매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리노베이션 매트는 섬유의 부직포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는 유리이다. 섬유의 부직포 웹 및 제 1 바인더는 충전제의 포함 이전에 40 g/m2 내지 200 g/m2 의 면적 중량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를 50 중량% 이상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포함하고,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중간 등급 차이나 클레이, 및 미세 등급 차이나 클레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천장 타일 아래에 리노베이션 매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천장의 미학의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리노베이션 매트는 섬유의 웹,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를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섬유는 유리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0.5 내지 2.5 mm 의 두께를 갖는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허용가능한 음향 성능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패널은 공기 다공성이 100 Pa 에서 > 100 l/m2/sec 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패널은 기류 저항이 < 600 MKS RAYLS 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타일의 음향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천장의 미학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천장 타일 아래에 리노베이션 매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때 리노베이션 매트는 두께가 0.5 내지 2.5 mm 이고,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 100Pa 에서 공기 다공성 >100 l/m2/sec 및 △E ≤ 1 을 포함하는 △E < 2.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그리드에 리노베이션 매트를 위치시키기 이전에 리노베이션 매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성형 단계는 그리드에 맞게 적절한 크기로 리노베이션 매트를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성형은 또한 조명 기구, 스피커, 연기 감지기, 파이프, 스프링클러 헤드, 등과 같은 장애물을 수용하기 위해 리노베이션 패널에서 개구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그리드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를 위치시키기 이전에 리노베이션 매트에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 스프레이 또는 코팅을 적용하는 선택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설치 시 천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나 초과의 리노베이션 매트가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의 타일 아래에 위치된다.
특정 실시예를 본원에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다른 요소들의 조합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에 속할 것이라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당업자는 본원에서 기재된 리노베이션 매트의 다양한 구현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점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노베이션 매트를 개발할 때, 리노베이션 매트의 얼룩 커버링/불투명도와 리노베이션 매트를 음향적으로 개방시키고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 (또는 관련된 개별 천장 타일) 의 음향적 흡수를 저하시키지 않는 능력을 균형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일련의 리노베이션 매트를 다양한 애드-온 양으로 구축 및 테스트하였다. 이들 제품은 부직포 유리 섬유의 결합된 웹에 함침물 (충전제 조성물) 의 적용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유리 섬유 85 wt% 및 폴리비닐 알코올 바인더 15 wt% 로 이루어진 50 평방 미터 당 그램 (g/m2) 베일을 이용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리 섬유는 Advantex E 유리로부터 제조된 소위 습식용 촙드 스트랜드이다. 이 실시예에서 유리 섬유는 70wt% - 30wt% 비율의 11μm / 6 mm 및 6.5 μm / 6 mm 섬유의 블렌드이다. 경사 와이어 형성기를 이용하는 습식 (wet laid) 공정에서 이들 분산된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베일을 형성한다. 베일을 벨트 건조기에 공급하고 건조시키고 경화시켜 사전-결합된 시트를 형성시킨다. 시트를 후속해서 일련의 함침 레시피 (recipe) 를 이용한 사이징 프레스 (size press) Foulard 적용기를 이용하여 라인 함침한다. 애드 온을 foulard 가압 및 진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함침된 시트를 건조기에 공급하여 생성물을 수득한다.
함침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무기 충전제 및 바인더 (종종 유기) 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함침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무기 충전제 및 유기 바인더로 이루어지고, 수 중 55 wt% 분산액으로서 적용된다. 건조 후, 충전제 대 바인더 비는 95:5 이다. 사용된 함침 레시피에서 바인더는 폴리비닐 알코올 바인더 및 라텍스 바인더의 1:5 블렌드이다. 예제 레시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예제 레시피
Figure pct00002
하기 도 4 및 표 2 및 3 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50wt% 의 무기 충전제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난연성을 위해) 이다. 충전제 물질의 다른 50wt% 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중간 등급 차이나 클레이 (카올린), 미세 등급 차이나 클레이 및 티타늄 디옥시드로부터 선택된다.
애드-온 수준 (충전제 및 바인더의 양) 은 100 g/m2 내지 500 g/m2 이다. 애드 온 수준을 달리 하여, 얼룩 커버링 성능 및 다공성 / 음향 개방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얼룩 커버링 및 음향 개방의 조합된 제품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 에서 알 수 있듯이, 얼룩 커버링 및 음향 성능 모두에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영역이 존재한다. 다른 영역들은 얼룩 커버링이 없거나 또는 다공성에 대해 너무 폐쇄적이거나, 또는 둘 다이다.
도 4 에서, 상이한 충전제들의 성능을 나타낸다. 상이한 미네랄 충전제는 고유한 성능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티타늄 디옥시드 충전제 또는 미세 차이나 클레이로 제조된 샘플은 요구되는 특성의 바람직한 균형을 나타내는 반면에, 칼슘 카르보네이트 또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는 마찬가지로 잘 수행하지 않았다. 또한, 애드-온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리노베이션 매트는 또한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노베이션 매트의 얼룩 커버링 능력 (색차 △E 로 표시) 은 또한 애드-온의 양과 상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애드-온 (즉, 더 많은 충전제) 은 더 큰 은폐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트레이드오프 (tradeoff) 가 존재한다: 더 많은 애드-온은 가공성/라인 속도 (뿐 아니라, 상응하는 원료 소비 증가)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면적 당 중량 증가를 의미한다. 결국, 면적 당 중량 증가는 리노베이션 매트의 천장 설치 때 이의 처짐 및 편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표적 충전제 물질은 낮은 애드-온 수준에서 높은 얼룩 커버링 특성을 지닌다.
도 4 에 나타낸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E 수준 도달에 필요한 애드-온 수준을 결정한다. 특정 △E 수준에서 다공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를 각각 표 2 및 3 에 나타낸다.
표 2: 2.0/1.5/1.0/0.5 의 얼룩 커버링 수준 (△E) 에 도달하기 위한 상이한 충전제에 대한 애드-온 (g/m2)
Figure pct00003
표 3: 표 2 에 보고된 애드-온에 상응하는 다공성 (l/m2/sec)
Figure pct00004
예를 들어 표 2 및 3 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이한 충전제는 상이한 성능을 가진다. 일부 충전제의 경우, 더 낮은 애드-온 (예, 155 g/m2) 이 2 의 △E 도달에 요구되고, 일부의 경우, 상기 수준에 도달하려면 더 높은 애드-온 (예, 250 g/m2) 이 요구된다. 1 의 △E 에 도달하기 위해, 더 낮은 양의 애드-온은 190 g/m2 (표 2, 티타늄 디옥시드 참조) 이고; 상기 수준의 얼룩 커버링 △E 도달을 위한 더 높은 양의 애드-온은 320 g/m2 (표 2, 칼슘 카르보네이트) 이다.
표 2 와 관련된 다공성의 상응 값을 표 3 에 보고하였다. 음향 개방도에 대한 설정 임계값은 100 Pa 에서 100 l/m2/sec 이상의 공기 다공성이다.
이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및 칼슘 카르보네이트는 1 이하의 △E 의 얼룩 커버링에서 음향적으로 너무 폐쇄되며, 티타늄 디옥시드 및 카올린은 여전히 이들 수준에서 음향적으로 개방성이다. 티타늄 디옥시드는 0.5 의 보다 나은 얼룩 커버링 수준 △E 에 도달하고 여전히 음향적으로 개방성인 것으로 동정된 유일한 충전제이다.
표 4 는 또한 개별 충전제 성분들의 평균 입자 크기를 나타낸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충전제 물질의 입자 크기는 또한 얼룩 커버링 및 불투명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더 작은 입자 크기는 주어진 애드-온 수준에서 더 나은 얼룩 커버링을 도모해야 한다.
표 4 - 1 의 △E 도달을 위한 애드-온 양 및 입자 크기
Figure pct00005
본원에서 개시되고 제안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기존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리노베이션 매트에 관한 것이고, 이를 고려한다. 나아가,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는 본원에서 나타내고 기술된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주어진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 및 수반되는 이점을 이해할 뿐만이 아니라, 또한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명백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발견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기술되고 제안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및 영역 및 이의 임의의 등가물 내에 속하는 변경 및 수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추구된다.

Claims (16)

  1. 섬유의 부직포 웹 (web);
    제 1 바인더;
    충전제; 및
    제 2 바인더
    (이때, 충전제는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 칼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탈크, 바륨 술페이트, 카올린, 또는 그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100 g/m2 내지 500 g/m2 의 양으로 존재함) 를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로서, 리노베이션 매트는:
    ISO9237 에 따르면 100 Pa 에서 100 l/m2/sec 이상의 공기 다공성을 갖고;
    △E ≤ 2 인, 리노베이션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의 웹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라미드, 나일론, 레이온, 비스코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탄소 섬유, 목화 (cotton), 대마 (hemp), 케나프 (kenaf), 황마 (jute), 셀룰로오스, 유리, 및 현무암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섬유가 유리 섬유인, 리노베이션 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 1 인, 리노베이션 매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의 웹 및 제 1 바인더가 충전제의 포함 이전에 40 g/m2 내지 200 g/m2 의 면적 중량을 갖는, 리노베이션 매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를 30 중량% 이상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를 50 중량% 이상의 충전제 중 고체의 양으로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티타늄 디옥시드, 카올린, 또는 그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티타늄 디옥시드를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150 g/m2 내지 310 g/m2 의 양으로 존재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바인더 및 제 2 바인더 중 하나 이상이 라텍스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 폴리비닐 알코올 바인더, 비닐 에스테르 바인더, 에폭시 바인더 및 그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리노베이션 매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바인더 및 제 2 바인더 중 하나 이상이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5 mm 내지 2.5 mm 의 두께를 갖는, 리노베이션 매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무리 코팅을 추가로 포함하는, 리노베이션 매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리노베이션 매트의 천장 타일 프레임워크에서의 용도.
  16. 복수의 타일로 구성되는 천장의 미학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타일 아래에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리노베이션 매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타일로 구성되는 천장의 미학을 개선하는 방법.
KR1020207006319A 2017-08-07 2018-08-03 리노베이션 천장 매트 KR20200040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5154 2017-08-07
EP17185154.6 2017-08-07
PCT/US2018/045129 WO2019032393A1 (en) 2017-08-07 2018-08-03 CEILING RENOVATION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793A true KR20200040793A (ko) 2020-04-20

Family

ID=5959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319A KR20200040793A (ko) 2017-08-07 2018-08-03 리노베이션 천장 매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363693A1 (ko)
EP (1) EP3665132B1 (ko)
JP (1) JP2020530078A (ko)
KR (1) KR20200040793A (ko)
CN (1) CN111148727A (ko)
CA (1) CA3071679A1 (ko)
DK (1) DK3665132T3 (ko)
FI (1) FI3665132T3 (ko)
MX (1) MX2020001382A (ko)
RU (1) RU2020109225A (ko)
WO (1) WO2019032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1894B1 (fr) * 2018-06-05 2020-09-25 Saint Gobain Adfors Structure textile a base de fibres de verre pour plafond acoustique ou panneau mural acoustique
DK3966178T3 (da) * 2019-05-10 2023-06-06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Formulering til et nonwoven fiberbeklædningsmateriale
KR20220024473A (ko) * 2019-06-13 2022-03-03 오웬스 코닝 인텔렉츄얼 캐피탈 엘엘씨 지붕 단열을 위한 보행용 페이서 매트
CA3183937A1 (en) * 2020-07-17 2022-01-20 Frederic TAILLAN Fiberglass veils containing fire-retardant minerals and refractive particles, and high gloss and/or fire-retardant and/or non-combustible laminates containing such veils
GB202210892D0 (en) * 2022-07-26 2022-09-07 Knauf Insulation Mineral wool ins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6520B1 (en) * 1999-07-08 2003-07-01 Hercules Incorporated Compositions for imparting desired properties to materials
US6497787B1 (en) * 2000-04-18 2002-12-24 Owens-Corning Veil Netherlands B.V. Process of manufacturing a wet-laid veil
US20030068942A1 (en) * 2001-09-28 2003-04-10 Dirk Kranendonk Polymer coated wall covering material
CN1961046A (zh) * 2004-03-30 2007-05-09 酷瑞特表面控股有限公司 涂料组合物、涂覆制品和其生产方法
DE202004005399U1 (de) * 2004-04-04 2004-07-29 Schillings, Hans Decklagenmaterial auf Vlies- oder Gewebebasis
US20060292948A1 (en) * 2005-06-27 2006-12-28 Geel Paul A Fibrous veil impregnated with surface finish formulation
WO2008133556A1 (en) * 2007-04-25 2008-11-06 Trelleborg Rubore Ab Anti-squeal shim
US20090104425A1 (en) * 2007-10-22 2009-04-23 Malay Nandi Fir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for fibrous mat
FR2967997B1 (fr) * 2010-11-26 2017-12-22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Europe Composition ignifuge pour mat a base de fibres minerales, et mats obtenus.
US20120285643A1 (en) * 2011-05-14 2012-11-15 Usg Interiors, Inc. Water repellent fiber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2393A1 (en) 2019-02-14
CA3071679A1 (en) 2019-02-14
RU2020109225A (ru) 2021-09-10
CN111148727A (zh) 2020-05-12
FI3665132T3 (fi) 2023-12-04
EP3665132A1 (en) 2020-06-17
MX2020001382A (es) 2020-03-20
US20210363693A1 (en) 2021-11-25
JP2020530078A (ja) 2020-10-15
EP3665132B1 (en) 2023-10-04
DK3665132T3 (da) 2023-12-04
RU2020109225A3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5132B1 (en) Renovation ceiling mat
US10428450B2 (en) Glass fiber reinforced facer mat
US20100189982A1 (en) Fire and SAG resistanct acoustical panel
RU2608408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ее настенное покрытие
US8536259B2 (en) Formaldehyde free coatings for panels
KR102323474B1 (ko) 음향 투과성 코팅
KR20140022798A (ko) 코팅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64161A1 (en) Acoustic panel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m
US8277596B2 (en) Method of making a ceiling panel with enhanced acoustics and texture
US10208477B2 (en) Veil finishing process
US11865579B2 (en) Hybrid coating process
US20210262226A1 (en) Face coating for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s
US20190136524A1 (en) Water stain and sag resistant acoustic building panel
EP3683373B1 (en) Utilization of porous building materials in sound absorption
SE507187C2 (sv) Ljudabsorptionssystem för innerväggar, innertak etc i byggnader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sådant ljudabsorptionssystem
EP4015728A1 (en) Sprayable acoustic coating on a modular structure
WO2023039026A1 (en) Acoustical building panel and surface cove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