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481A -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481A
KR20200040481A KR1020180120446A KR20180120446A KR20200040481A KR 20200040481 A KR20200040481 A KR 20200040481A KR 1020180120446 A KR1020180120446 A KR 1020180120446A KR 20180120446 A KR20180120446 A KR 20180120446A KR 20200040481 A KR20200040481 A KR 2020004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hose
hose
support
wa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8639B1 (en
Inventor
김미예
Original Assignee
김미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예 filed Critical 김미예
Priority to KR102018012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639B1/en
Publication of KR2020004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er with a one-way locking structure for lifting a fire ho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anger which can rapidly and safely transport a fire hose connected to a hydrant or a fire truck to high stories when a connection of the fire hose from the ground to the high stories is necessary for suppressing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thereby rapidly suppressing the fire. Particularly, the hanger forms a portion for coupling the fire hose in the shape of a handcuff to enable the fire hose to be easily connected even if the fire hose is filled with fire water (water) so that the fire hose is in an expanded state, thereby easily and rapidly transporting the fire hose in use to other stories during fire suppression. In addition, the hanger can be conveniently carried at normal times, can safely transport the fire hose to high stories by being easily used if necessary,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fter usage. Therefore, the hanger can enhanc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and fire fighting supplie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supplies related to the fire hose, and also in a field similar and related thereto.

Description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화재 진압을 위하여 지상에서 고층까지 소방호스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화전이나 소방차와 연결된 소방호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층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fire hose from the ground to a high floor in order to extinguish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a fire hos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or a fire truck By allowing them to be transported quickly and safely to high floors, it was possible to quickly extinguish fires.

특히, 본 발명은 소방호스를 결합하는 부분을 수갑형태로 구성하여, 소방호스 내부에 소방수(물)가 들어 있는 상태(소방호스가 팽창된 상태)에서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용중인 소방호스를 다른 층으로 쉽고 빠르게 운반할 수 있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extinguishing a fire by configuring the part that joins the fire hose in the form of handcuffs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even when the fire hose (water) is contained inside the fire hose (the state where the fire hose is expanded) It relates to a hook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transport the fire hose being used in another floor.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화재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각 층마다 옥내소화설비인 소화전함을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in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fire extinguishers, which are indo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re installed on each floor to quickly extinguish them in the event of a fire.

그러나, 화재로 인해 해당 층의 소화전함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해당 층에 소화전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소화전함이 설치는 되어 있으나 관리소홀로 인해 동작되지 않는 경우 등이 발생하게 되면,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대원들은 다른 층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화재를 진압해야만 한다.However, when a fire hydrant on the floor cannot be used due to a fire, or when a fire hydrant is not installed on the floor, or when a fire hydrant is installed but does not operate due to the management hole, Firefighters who fight fires must get firefighters from other floors to fight the fire.

예를 들어, 지상의 소화전이나 소방차로부터 해당 층까지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해야 할 경우, 소방호스의 일측을 소화전이나 소방차와 연결하고, 소방호스의 다른 일측은 로프를 이용하여 묶은 뒤 로프를 당겨 고층으로 올림으로써, 소방호스를 지상에서 고층까지 연결하고 지상의 소방수를 고층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you need to extinguish a fire by connecting a fire hose from the ground hydrant or fire truck to the floor, connect one side of the fire hose to the fire hydrant or fire truck,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e hose is tied with a rope and then ropes By pulling and raising it to a high floor, a fire hose can be connected from the ground to the high floor, and firefighters on the ground can be supplied to the high floor to extinguish the fire.

한편, 화재 진압시 소방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가 둥글게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방호스에 묶여있던 로프 부분도 확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e is extinguished, the fire hose expands roundly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fire water, and as a result, the rope portion tied to the fire hose also expands.

이후, 화재가 진압되고 소방수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팽창된 소방호수가 원래의 상태로 줄어들게 되고, 이 상태로 소방호스를 회수하게 되면, 소방호스를 묶고 있던 로프 부분이 확장된 상태이므로, 확장된 로프로부터 소방호수가 분리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fire is extinguished and the supply of firefighters is stopped, the expanded fire hose is reduced to its original state, and when the fire hose is recovered in this state, the rope portion that bound the fire hose is in an extended state, and thus the expanded rope The fire can be separated from.

이와 같이, 로프에 묶여 있던 소방호스가 로프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소방노즐을 포함한 소방호수가 고층에서 낙하하여 피해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e hose tied to the rope is released from the ro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 hose including the fire nozzle falls from a high floor to cause damage.

반대로 로프가 소방호스에 단단히 묶여있는 상태인 경우, 소방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로프가 묶인 부분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방대원이 소방호스를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원활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rope is tightly tied to the fire hose,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rope tied portion in the process of supplying fire water, which causes firefighters to fail to control the fire hose, resulting in smooth fire suppression. There may be cases where it cannot be achieved.

이와 같은 문제점은,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소방수의 공급과 중단이 반복되는 경우에 더욱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Such a problem may occur more and more frequently when supply and stoppage of firefighters is repeated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a fire.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2305호 '건축물 내부 소방호스 걸이대'(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618호 '휴대형 호스 걸이대'(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를 포함한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호스를 일정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소방호스를 고층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알려진 바가 없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02305 'Internal Fire Hose Han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1618, 'Portable Hose Hanger' Most of the prior ar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vious technology 2') are related to the technology for mounting the hose in a certain position, and the method of using the rope as described above for the method of mounting the fire hose to transport it to a high level. Nothing is known excep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2305호 '건축물 내부 소방호스 걸이대'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02305 'Inner building fire hose hanger'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618호 '휴대형 호스 걸이대'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1618 'Portable hose hang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화재 진압을 위하여 지상에서 고층까지 소방호스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화전이나 소방차와 연결된 소방호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층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quickly and safely transport a fire hos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or a fire truck to a high floor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fire hose from the ground to a high floor in order to extinguish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that can enable rapid fire suppression.

특히, 본 발명은 소방호스를 결합하는 부분을 수갑형태로 구성하여, 소방호스 내부에 소방수(물)가 들어 있는 상태(소방호스가 팽창된 상태)에서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용중인 소방호스를 다른 층으로 쉽고 빠르게 운반할 수 있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extinguishing a fire by configuring the part that joins the fire hose in the form of handcuffs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even when the fire hose (water) is contained inside the fire hose (the state where the fire hose is expand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transported to other floors.

또한, 평상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필요시 쉽게 사용하여 소방호스를 고층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려진 소방호스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 및 화재진압후 소방호스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의 이탈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arry on a regular basis, and if necessary, it can be easily used to safely transport a fire hose to a high floor, and prevents the fire hose from accidentally escaping, thereby extinguishing the fire and extinguishing the fir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ho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due to the escape of the fire h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는, 원웨이 락킹구조로 구성되며 소방호스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되는 호스지지부; 및 상기 호스지지부와 일체로 구성되며 리프팅로프가 연결되는 로프연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er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one-way locking structure, the hose support portion is coupled and supported so that the fire hose is detachable; And a rope connection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se support part and to which a lifting rope is connected.

또한, 상기 호스지지부는, 상기 로프연결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가 일측 방향으로는 회전되고, 다른 일측방향으로는 걸려지도록 하는 원웨이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se support portion, a fixed support portion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rope connection portion; A rotation support configured to be rotatable to the fixed support; And a one-way locking unit that rotates the rotation support unit in one direction and engages in the other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 및 회동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파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and the rotational support portion may have at least one corrugated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또한, 상기 호스지지부는, 상기 회동지지부가 다른 일측방향으로도 회전되도록 상기 원웨이락킹부를 해제하는 언락버튼(Unlock butt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se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unlock button for releasing the one-way locking portion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또한, 상기 호스지지부는, 상기 언락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se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protection cover to prevent the unlock button from being pressed.

또한, 상기 호스지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어, 상기 소방호스를 가압지지하는 가압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se support,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upport for pressurizing the fire hose.

또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소방호스를 가압지지하는 지지면에 적어도 하나의 파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support portion, at least one corrugated projection may be formed on the suppor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e hose.

또한, 상기 가압지지부는, 내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날; 및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날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support portion, a support blade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inner direction; And an elastic pressing device for pressing the support blade inward by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지지날의 이동을 제한하는 날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lade fastener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lade.

또한, 상기 호스지지부 및 로프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첨단부가 돌출형성된 유리파쇄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hose support portion and the rope connection portion, a glass crushing portion protruding the tip portion may be formed.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화재 진압을 위하여 지상에서 고층까지 소방호스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화전이나 소방차와 연결된 소방호스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층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By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e hose connected to a fire hydrant or a fire truck to be transported quickly and safely to a high floor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fire hose from the ground to a high floor in order to extinguish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quick fire suppression.

특히, 본 발명은 평상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필요 시 쉽게 사용하여 소방호스를 고층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on a regular basis, can be easily used if necessary to safely transport the fire hose to a high floo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fter use.

더불어, 본 발명은 소방호스를 결합하는 부분을 수갑형태로 구성하여, 소방호스 내부에 소방수(물)가 들어 있는 상태(소방호스가 팽창된 상태)에서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용중인 소방호스를 다른 층으로 쉽고 빠르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extinguishing a fire by constructing a portion of the fire hose that is combined in a handcuff form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even when the fire hose (water) is contained in the fire hose (the state where the fire hose is expand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easily transport fire hoses in use to other floors.

또한, 본 발명은 소방호스의 운반 시, 걸려진 소방호스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 및 화재진압 후 소방호스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의 이탈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ccidental departure of the fire hose when the fire hose is transported,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due to the departure of the fire hose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and recovering the fire hose after the fire is extinguished.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호스가 걸려지는 홀의 내측에 파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소방호스의 운반시 소방호스가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방수 공급시에도 소방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e hose from moving or deviating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fire hose by forming a corrugated protrusion inside the hole where the fire hose is hung, so that the fire water can be stably supplied even when the fire hose is supplied. There is an advantage to do.

이에,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소방수의 공급과 중단이 반복되더라도, 소방호스와 걸이구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maintain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e hose and the hook, even if the supply and interruption of firefighters is repeated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따라서, 소방 분야 및 소방용품 분야, 특히 소방호스와 관련된 소방용품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firefighting and the field of firefighting suppli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firefighting supplies related to fire hoses, as well as in similar or related field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호스지지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언락버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가압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을 사용하는 방법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hose support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nlock button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2.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ing support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8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methods using FIG. 1.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example of the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and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호스지지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언락버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hose support shown in Figure 1 in more detail, Figure 3 is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nlock button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는 호스지지부(100) 및 로프연결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ne-way locking structure having a fire hose lifting hook (A) includes a hos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rope connection portion 200.

호스지지부(100)는 원웨이 락킹구조로 구성되며 소방호스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고정지지부(110), 회동지지부(120) 및 원웨이락킹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se support portion 100 is composed of a one-way locking structure and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so that the fire hose can be detached, and may include a fixed support portion 110, a rotation support portion 120, and a one-way locking portion 130.

여기서, 원웨이 락킹구조는 수갑과 같이 일측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ne-way locking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rotation in one direction is possible and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impossible, such as handcuffs.

이에, 고정지지부(110)는 로프연결부(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동지지부(120)는 고정지지부(1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us, the fixed support 11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rope connecting portion 200, and the rotation suppor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to the fixed support 110.

또한, 원웨이락킹부(130)는 회동지지부(120)가 일측 방향(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일측방향(도 1에서는 시계방향)으로는 걸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way lock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rotation support unit 120 to rotate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FIG. 1) and to be hung in the other direction (clockwise in FIG. 1). You can.

이러한 원웨이락킹부(130)의 구성 및 구조는 일반적인 수갑의 그것과 동일 내지 유사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one-way locking unit 13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handcuff,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o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한편, 소방호스에 구성된 분사노즐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난 걸이구(A)를 이용하여 소방호스를 고층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의 종단부에 구성된 분사노즐의 무게로 인해 소방호스가 하부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pray nozzle configured in the fire hose is made of metal and has a considerable weight,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fire hose to a high floor using the hook (A) shown in FIG. 1, the spray configured in the end portion of the fire hose The fire hose may be pulled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nozzle.

이에,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반과정에서 소방호스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지지부(110) 및 회동지지부(120)의 내측방향으로 파형돌기(113, 123)를 형성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fire hose from falling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rrugated projections (113, 123)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rotation support 120 .

이때, 파형돌기(113, 123)는 오목부의 곡률반지름에 비하여 볼록부(돌출부)의 곡률반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rugated projections 113 and 123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vex portion (protrusion)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cave portion.

이와 같이, 볼록부의 곡률반지름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볼록부에 의해 소방호스의 유동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vex portion relatively sm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e hose from flowing or slipping by the convex portion.

또한, 호스지지부(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언락버튼(Unlock button, 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hose support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an unlock button 114.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웨이락킹부(130)는 회동지지부(120)와 고정지지부(110)가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방향(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방호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ne-way locking unit 130 prevents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clockwise in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support unit 120 and the fixed support unit 110 are combined to form a circle, thereby preventing fire. It plays a role to make the hose stable.

이후, 화재진압이 완료되면 연결된 소방호스를 분리해야 하는 바, 언락버튼(114)은 원웨이락킹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지지부(120)가 다른 일측방향으로도 회전되도록, 원웨이락킹부를 해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fire suppression is completed, the connected fire hose must be disconnected, and the unlock button 114 has a one-way locking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120 supported by the one-way locking unit 13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can serve to release wealth.

예를 들어, 원웨이락킹부(13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림편(131)이 구성될 수 있으면, 회동지지부(120)의 종단부에 구성된 걸림날(121)이 걸림편(131)에 걸려지면서, 회동지지부(120)가 다른 일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ne-way locking unit 130, as shown in Figure 2, if the locking piece 131 can be configured, the locking blade 121 is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pivot support 120, the locking piece (131) ),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support 120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이때,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언락버튼(114)의 하부에 경사면(114a)을 형성할 수 있고, 걸림편(131)에도 언락버튼(114)의 경사면(114a)에 밀착되는 경사면(131a)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3, the inclined surface 114a may be formed under the unlock button 114, and the engaging piece 131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14a of the unlock button 114. An inclined surface 131a may be formed.

이에,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언락버튼(114)을 누르게 되면 각 경사면(114a, 131a)의 상호작용으로 걸림편(131)이 일측방향(도 3에서 좌측방향이며, 도 2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us,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unlock button 114 is pressed, the engaging pieces 131 are in one direction (left in FIG. 3,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114a, 131a). (Bottom direction).

이와 같이, 걸림편(131)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편(131)에 의한 걸림날(121)의 지지력이 해제되면서, 회동지지부(120)를 다른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소방호스를 분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gaging piece 131 moves in one direction, the holding force of the engaging blade 121 by the engaging piece 131 is released, and the rotating support unit 1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fire hose is turned off. Can be separated.

한편, 소방대원이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 언락버튼(114)을 누르게 되면, 소방호스가 분리되면서 화재진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e crew presses the unlock button 114 by mistake or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the fire hose may be separated and difficulty in extinguishing the fire may occur.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수나 부주의에 의해 언락버튼(114)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튼보호커버(115)를 더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figure a button protection cover 115 for preventing the unlock button 114 from being pressed by mistake or carelessness.

이를 위하여, 호스지지부(100)에는 버튼보호커버(115)가 결합될 수 있는 홈형태의 결합부(116)를 더 형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hose support portion 100 may further form a groove-shaped coupling portion 116 to which the button protection cover 115 can be coupled.

또한, 버튼보호커버(115)이 결합부(116)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116)에는 결합홈(116a)을 형성할 수 있고, 버튼보호커버(115)에는 결합홈(116a)에 억지끼움되는 결합돌기(115a)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the button protection cover 115 to be stably coupled to the engagement portion 116, an engagement groove 116a may be formed in the engagement portion 116, and an engagement groove may be provided in the button protection cover 115. Coupling protrusions 115a that are forced into (116a) may be formed.

따라서, 언락보튼(114)을 누르기 위해서는, 소방대원이 충분한 힘을 이용하여 버튼보호커버(115)를 제거해야 하므로, 소방대원이 충분히 인지한 상태에서만 버튼보호커버(115)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ss the unlock button 114, the firefighter must remove the button protection cover 115 by using sufficient force, so that the button protection cover 115 can be removed only in a state sufficiently recognized by the firefighter. You can.

로프연결부(200)는 호스지지부(100)와 일체로 구성되며, 소방호스를 운반하기 위한 리프팅로프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프연결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The rope connection part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se support part 100, and a lifting rope for transporting a fire hose is connected, and as shown in FIG. 1, a rope connection hole 201 may be formed.

한편, 소방대원은 화재현장에서 상당한 두께의 방화복을 착용하게 되므로, 손가락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둔화될 수 있으며, 방화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걸이구(A)에 소방호스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걸이구(A)를 안정적으로 잡고 있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efighter wears a fire jacket of considerable thickness at the fire site, the movement of the finger may be relatively slow, an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fire hose with the hook (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earing the fire suit. , It may be difficult to hold the hook (A) stably.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립부(210)를 형성하게 되면, 소방대원이 소방호스를 호스지지부(100)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로프연결부(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방호스를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when forming the grip portion 210 as shown in Figure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pe connecting portion 200 from sliding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re hose to the hose support portion 100, the firefighter, The fire hose can be quickly coupled to the hook (A) for lifting the fire hose with a one-way lock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걸이구(A)는 호스지지부(100) 및 로프연결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첨단부가 돌출형성된 유리파쇄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hos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rope connection portion 200, the glass shatter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tip.

예를 들어, 유리파쇄부(11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glass crushing part 111 may be formed on the fixed support part 110.

이에, 소방대원은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필요시 유리파쇄부(111)를 이용하여 유리창이나 유리도어를 파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efighter can crush a glass window or a glass door by using the glass crushing unit 111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if necessary.

또한, 유리파쇄부(111)에 인접하여 비너홀(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너홀(112)의 형성목적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veneer hole 11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glass crushing unit 111, and the purpose of forming the veneer hole 1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한편, 본 발명의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는, 고정지지부(110)와 회동지지부(120)가 회동되는 회동부(미부호)의 제작공차, 걸림날(121)과 걸림편(131)의 삼각날의 형태 및 크기, 원웨이락킹부(130)의 구조적 특징 등에 의해 소방호스를 지지하는 힘이 다소 감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A)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f the rotating part (unsigned) in which the fixed supporting part 110 and the rotating supporting part 120 are rotated, the engaging blade 121 )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triangular blade of the engaging piece 131,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one-way locking portion 130, etc., the force supporting the fire hose may be somewhat reduced.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소방호스에 대한 지지력 감소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e reduction in support capacity for such a fire hos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난 가압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나타난 'a-a'선 단면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난 'a-a'선 단면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ing support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Here, Fig. 6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line 'a-a' shown in Fig. 6 (a), Fig. 7 (b) is' a shown in Fig. 7 (a) It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a 'lin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걸이구(A)는 가압지지부(3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hook (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stitute a pressing support (300).

가압지지부(300)는 호스지지부(100)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어, 소방호스를 가압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110)의 일측 외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고정지지부(11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가압지지부(300)는 회동지지부(120)의 일측 외부면 또는 내부에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pressurization support 300 is configured for at least a part of the hose support 100, to pressurize the fire hose, as shown in Figure 5 can be coupled to one out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110,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may be configured in the interior of the fixed support 110, as required.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pressing support 300 may b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pivoting support 120.

이때, 가압지지부(300)는 소방호스를 가압지지하기 위하여, 고정지지부(110)에 형성된 파형돌기(113)와 동일 내지 유사한 파형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ssurize and support the fire hose, the pressurizing support unit 300 may have a corrugated projection 323 identical or similar to the corrugated projection 113 formed on the fixed support 11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지지부(300)는, 본체(310), 지지날(320) 및 탄성가압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6 (a), the pressing support 300 may include a main body 310, a supporting blade 320, and an elastic pressing hole 330.

본체(310)는 가압지지부(3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11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에 지지날(320)이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슬릿형태의 공간(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310 constitutes the outer shape of the pressing support part 300, and can be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fixing support part 110 as shown in FIG. 5, and the support blade 320 is coupled to slide inside. A slit-like space (unsigned) can be formed.

지지날(320)은 내측방향(고정지지부와 회동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중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310)에 형성된 슬릿형태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blade 320 is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inner direction (circular center direction formed by the fixed support and the rotation support), and may be coupled to a slit-shaped space formed in the body 310 as described above. .

특히, 지지날(320)은 내측방향으로 파형돌기(323)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upport blade 3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310 so that the corrugated projection 323 protrudes outward in the inner direction.

탄성가압부(330)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날(320)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접점부에서 동일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ressing portion 330 is to press the support blade 320 inward by an elastic force, and in order to provide the same elastic force in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it may be configured as a plate spring.

이에, 본 발명의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는, 제작공차 등의 구조적 구조적 특징 등에 의해 소방호스를 지지하는 힘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를 진화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us, the hook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vents a decrease in the force supporting the fire hose due to structural structural features such as manufacturing tolerances, and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It can support the fire hose more stably.

한편, 소방호스에 공급되는 수압이 탄성가압부(330)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날(320)이 본체(3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앞서 설명한 지지력이 다시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fire hose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ressing part 330, as shown in Fig. 6 (b), the support blade 320 can be mov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310, this phenomenon Due to this, a phenomenon in which the aforementioned support force decreases again may occur.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걸이구(A)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날고정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hook (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ade fastener 340 as shown in FIG. 7.

날고정구(340)는 지지날(3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날(320)이 외측방향(도 6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화재를 진화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blade fastener 340 i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lade 320, as shown in Fig. 6 (b),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lade 320 in the outer direction (right direction in Fig. 6)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the fire hose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보다 구체적으로, 날고정구(340)는 본체(31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일측 종단부에는 지지날(32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지지부(341)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지지부(341)는 도 2에 나타난 걸림날(121) 및 걸림편(131)과 같은 형태의 삼각날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날(320)의 외측면에는 이러한 삼각날에 대응하는 삼각홈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lade fastener 34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and at one end portion, a fixed support portion 341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lade 320 Can be configured. Here, the fixed support portion 341 may be formed of a triangular blad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engaging blade 121 and the engaging piece 131 shown in FIG. 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lade 320 has a tri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iangular blade. Grooves may be formed.

이에, 도 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날고정구(34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날(32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ure 7 (b),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lade holder 34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limi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lade (320).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의 사용방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thods of using the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을 사용하는 방법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methods using FIG. 1.

도 8을 참조하면, 화재발생시 소방대원은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를 휴대한 상태에서 화재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화재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자신이 휴대한 걸이구(A)의 로프연결부(200)에 리프팅로프(R)를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fighter moves to the fire site while carrying the hook (A)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nd when he arrives at the fire site, he or she carries the fire hook. A lifting rope R may be connected to the rope connection part 200 of (A).

예를 들어, 고층에 위치한 소방대원이 지상으로 리프팅로프(R)를 내려주게 되면, 지상에 위치한 소방대원은 리프팅로프(R)의 끝부분을 로프연결홀(201)에 관통시킨 후, 옭매듭 등으로 묶어 빠지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 firefighter located on a high floor lowers a lifting rope (R) to the ground, the firefighter located on the ground penetrates the end of the lifting rope (R) through the rope connection hole (201), then knits, etc. Do not fall with a tie.

이후, 소방호스(H)를 고정지지부(110)와 회동지지부(120)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120)를 고정시킴으로써, 소방호스(H)를 거치할 수 있다.Then, after placing the fire hose (H) between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rotation support 120, by fixing the rotation support 120 as shown in Figure 9, it is possible to mount the fire hose (H) have.

물론, 소방대원은 소방호스(H)와 리프팅로프(R)의 연결순서를 변경하여, 소방호스(H)를 연결한 후, 리프팅로프(R)를 로프연결홀(201)에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firefighter can change the connection order of the fire hose (H) and the lifting rope (R), connect the fire hose (H), and then connect the lifting rope (R) to the rope connection hole (201). Of course it i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걸이구(A)에 소방호스(H)가 거치되면, 고층에 위치한 소방대원이 리프팅로프(R)를 당김으로써, 해당 소방호스(H)를 고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us, when the fire hose (H) is mounted on the hook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crew located on the high floor by pulling the lifting rope (R), it is possible to move the fire hose (H) to the high floor.

이후, 소방호스(H)에 소방수(물)가 공급되면, 소방호스(H)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파형돌기(113, 123)의 볼록부가 소방호스(H)의 둘레를 지지하게 되므로,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는 소방호스(H)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n, when a firefighter (water) is supplied to the fire hose (H), the fire hose (H) expands, and at this time, the convex portions of the corrugated projections (113, 123) support the circumference of the fire hose (H). The lifting hole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way locking structure (A) can mainta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re hose (H).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된 순서의 역순으로 하여, 소방호스(H)를 저층으로 이동시킨 후,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에서 분리하여 원래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When the extinguishing of the fire is completed, the fire hose H is moved to the lower floor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equence, and then separated from the hook A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to the original state. Can be stored.

따라서, 화재발생시 소방대원은 자신이 휴대한 걸이구(A)를 이용하여, 지상의 소방호스(H)를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시켜 화재를 신속하게 제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fighter can quickly suppress the fire by moving the fire hose H on the ground to a desired height using the hanger A carried by him.

도 10을 참조하면, 비너홀(112)과 로프연결홀(201)을 이용하여,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의 상하부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by using the veneer hole 112 and the rope connection hole 201, by supporting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ook (A)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to ensure a stable fire suppression can do.

예를 들어, 화재현장에 소방수(물)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소방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소방호스(H)가 비정형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노즐이 원하는 방향을 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활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a fire using fire water (water) at a fire site, the fire hose H may move atypically due to the supply pressure of the fire water, and such movement may prevent the nozzle from facing the desired direction. Occasionally, there may be cases where smooth fire suppression cannot be achiev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는 걸이구(A)를 고층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한 로프(R1)를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고, 하부는 다른 로프(R2)가 연결된 카라비너(CB)를 비너홀(112)에 연결한 후, 상부와 하부를 당겨 동시에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ure 10, the upper can be supported by using a rope (R1) used to move the hook (A) to a high floor, the lower part is a carabiner connected to another rope (R2) ( After the CB) is connected to the veneer hole 112,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an be pulled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m.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재진압 시 소방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소방호스(H) 및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rough such a process, the movement of the fire hose (H) and the fire hose lifting hook (A)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fire water during fire fighting can be minimized and stable fire extinguishing can be achieved. .

한편, 본 발명의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는 소방호스(H)를 고층으로 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비상상황발생시 소방대원 등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n be used not only to raise the fire hose (H) to a high floor, but also to allow the firefighters to quickly escap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1을 참조하면,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의 로프연결부(200)에 형성된 로프연결홀(201)에 로프(R)를 연결함에 있어, 앞서와 같이 로프(R)의 종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를 접어서 관통시키도록 하고, 관통된 로프(R)에 탈출용벨트(B)에 구성된 카라비너(CB)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탈출용벨트(B)는 소방대원 등이 허리나 어깨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ure 11, in connecting the rope (R) to the rope connecting hole 201 formed in the rope connecting portion 200 of the hook (A)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the rope (as before) Rather than connecting the end of R) to fol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arabiner (CB) configured in the escape belt (B) to the pierced rope (R). Here, the escape belt (B) may be configured to be worn by a firefighter or the like on a waist or shoulder,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or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소방대원 등은 탈출용벨트(B)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걸이구(A)를 이용하여 하강속도를 조절하면서 안전하게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efighters and the like can safely escape to the ground while adjusting the descending speed using the hook (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earing the escape belt (B).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A)는 소방분야 및 소방용품 분야는 물론, 유사한 분야나 연관된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As such, the hanger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n be utilized not only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and fire fighting supplies, but also in a similar field or related field.

예를 들어, 선행기술1과 같이 옥내소화설비인 소화전함에 구성하여, 소방호스를 보관하는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in the prior art 1, an indoor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 fire hydrant, can be used for storing fire hoses.

다른 예로, 선행기술2와 같이 임시구조물 등에 구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호스를 임시로 거치하는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as in the prior art 2, it can be used for temporarily mounting various types of hoses by constructing temporary structures.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hook for lifting the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 : 걸이구
100 : 호스지지부
110 : 고정지지부 111 : 유리파쇄부
112 : 비너홀 113 : 파형돌기
114 : 언락버튼 115 : 버튼보호커버
120 : 회동지지부 121 : 걸림날
123 : 파형돌기
130 : 원웨이락킹부 131 : 걸림편
200 : 로프연결부 201 : 로프연결홀
210 : 그립부
300 : 가압지지부 310 : 본체
320 : 지지날 323 : 파형돌기
330 : 가압탄성구
A: Hanger
100: hose support
110: fixed support 111: glass shredding
112: Venner hole 113: waveform projection
114: unlock button 115: button protection cover
120: rotation support section 121: jammed
123: Waveform projection
130: One-way locking section 131: Hanging
200: rope connecting portion 201: rope connecting hole
210: grip portion
300: pressing support 310: main body
320: support blade 323: waveform projection
330: pressurized elastic sphere

Claims (10)

원웨이 락킹구조로 구성되며 소방호스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되는 호스지지부; 및
상기 호스지지부와 일체로 구성되며 리프팅로프가 연결되는 로프연결부;를 포함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It is composed of a one-way locking structure and the hose support part is coupled and supported so that the fire hose can be separated; And
A hose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including; a rope connection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se support part and to which a lifting rope is conn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지지부는,
상기 로프연결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가 일측 방향으로는 회전되고, 다른 일측방향으로는 걸려지도록 하는 원웨이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ose support,
A fixed support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pe connection part;
A rotation support configured to be rotatable to the fixed support; And
A one-way locking portion for rotating the support portion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n a direction; Hanger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 및 회동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파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According to claim 2,
At least one of the fixed support and the rotation support,
A fire hose lifting hook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rrugat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지지부는,
상기 회동지지부가 다른 일측방향으로도 회전되도록 상기 원웨이락킹부를 해제하는 언락버튼(Unlock butto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According to claim 2,
The hose support,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n unlock button for releasing the one-way locking part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part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지지부는,
상기 언락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보호커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hose support,
A fire hose lifting hook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button protection cover to prevent the unlock button from being pres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지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어, 상기 소방호스를 가압지지하는 가압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According to claim 1,
It is configur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se support portion, the pressure supporting portion for pressurizing the fire hose; Hanger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소방호스를 가압지지하는 지지면에 적어도 하나의 파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ssing support,
Hanger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rrugated projection is formed on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e hos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내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날; 및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날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ssing support,
A support blade coupled to be movable inward; And
An elastic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support blade inward by an elastic force; Hanger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지지날의 이동을 제한하는 날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ssing support,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blade fastener that limits movement of the support bl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지지부 및 로프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첨단부가 돌출형성된 유리파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hose support portion and the rope connection portion,
A glass crus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tip portion; a hook for lifting a fire hose having a one-way locking structure.
KR1020180120446A 2018-10-10 2018-10-10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KR102108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46A KR102108639B1 (en) 2018-10-10 2018-10-10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46A KR102108639B1 (en) 2018-10-10 2018-10-10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81A true KR20200040481A (en) 2020-04-20
KR102108639B1 KR102108639B1 (en) 2020-05-07

Family

ID=7046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446A KR102108639B1 (en) 2018-10-10 2018-10-10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63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789A (en) * 1990-02-22 1992-08-03 Rasmussen Gmbh Hose clip
KR200243985Y1 (en) * 2001-04-10 2001-10-11 정문용 Safety belt for fireman
JP2004360795A (en) * 2003-06-05 2004-12-24 Toyota Motor Corp Hose clamp
KR100867746B1 (en) * 2008-02-15 2008-11-1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Hores binding clamp
KR101067877B1 (en) * 2011-06-23 2011-09-27 김현주 A firefighting tool
KR20150001618U (en) 2013-10-18 2015-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hose holer
KR101702305B1 (en) 2016-11-21 2017-02-03 (주)건창기술단 Fire hose hanger in build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789A (en) * 1990-02-22 1992-08-03 Rasmussen Gmbh Hose clip
KR200243985Y1 (en) * 2001-04-10 2001-10-11 정문용 Safety belt for fireman
JP2004360795A (en) * 2003-06-05 2004-12-24 Toyota Motor Corp Hose clamp
KR100867746B1 (en) * 2008-02-15 2008-11-1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Hores binding clamp
KR101067877B1 (en) * 2011-06-23 2011-09-27 김현주 A firefighting tool
KR20150001618U (en) 2013-10-18 2015-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hose holer
KR101702305B1 (en) 2016-11-21 2017-02-03 (주)건창기술단 Fire hose hanger in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639B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3130B (en) Multifunctional firefighter lifesaving device
KR102108639B1 (en) Fire hose lifting hanger with one-way locking structure
KR101713273B1 (en) Folding apparatus cradle of stubborn for fire-fighting in building
KR200388729Y1 (en) A fire extinguisher combined an oxygen haler and a lantern
KR20210026553A (en) Firefighting equipment capable of remote extinguishing and lifesaving
KR200455998Y1 (en) A safety connection belt for fire fighting
KR200480960Y1 (en) A stand for a fire hose spray test
KR20200099289A (en) Fire extinguisher M without gripping the safety pin
KR200455036Y1 (en) Waterproof amount and waterproof pressure remote control device of fire truck
KR101908883B1 (en) Fire hose lifting hanger
JPH11239625A (en) Rescuing gangway
CN202143758U (en) Fire-fighting safe escape bag
CN204972778U (en) Fire control machine people of long -distance video operation
KR101967839B1 (en) Stand of water canon
CN210186283U (en) Fire extinguisher with self-locking function
CN208355967U (en) A kind of interim portable fire-fighting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
JP3215058U (en) Rucksack for fire extinguisher transportation
KR20220014249A (en) Throwing fire extinguisher
CN106178326A (en) A kind of electric power transmission line fire-fighting unmanned plane
KR200402975Y1 (en) Extinguisher Have Automatically Removal Structure of Safety Pin
KR100243896B1 (en) Throw fire extinguisher
JP2004067324A (en) Fire engine
KR101949428B1 (en) Multi-purpose personal belt for firefighters
CN103239813B (en) High-rise fire self-escape device
CN211611398U (en) Water-based fire extingui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