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970A -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970A
KR20200039970A KR1020180119615A KR20180119615A KR20200039970A KR 20200039970 A KR20200039970 A KR 20200039970A KR 1020180119615 A KR1020180119615 A KR 1020180119615A KR 20180119615 A KR20180119615 A KR 20180119615A KR 20200039970 A KR20200039970 A KR 2020003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ata
module
initial value
io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367B1 (en
Inventor
정현철
이병호
장병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아이티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아이티언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67B1/en
Publication of KR2020003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5/0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 G08C15/0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successively, i.e. using time divi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08C19/025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using fixed values of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of power time series data and to a method thereof. The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module unit transmitting whether to analyze and transmit measurement data, and then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receiving and analyzing power data from the at least one IoT sensor and generating time series statistics data for each detection target of a corresponding power generation facility; a client requesting data by connecting to the big data analysis unit and receiving and monitoring result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IoT sensor,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nd the client by communication.

Description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본 발명은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설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방대한 전력데이터로 인해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power time series data, and more specifically, increases network load due to massive power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 installed in a power generation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power time series data, which can improve a problem.

일반적으로 산업 인터넷(즉,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만든 용어로서, 제조 공장, 의료, 철도, 전력 등 산업 현장 전방에 사용되는 인터넷)은 타 빅데이터 분야에 비교하여 2배 이상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생산함과 동시에 생성 주기가 짧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발전 설비로부터 파생되는 전력 빅데이터를 고속의 효율적인 기법을 통하여 수집 및 분석처리 함으로써 전력 빅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general, the industrial Internet (ie, the term used by General Electric, which is used in front of industrial sites such as manufacturing plants, medical, railways, and electric power) produces data at twice as fast as other big data fields. At the same time, since the generation cycle has a short characteristic,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power big data processing by collecting and analyzing power big data derived from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rough high-speed and efficient techniques.

특히 산업 인터넷의 중요 분야인 전력에너지 데이터의 경우,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고정밀의 시계열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외부로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 부하현상(즉, 과부하)이 발생하거나, 데이터저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In the case of power energy data, which is an important field of the industrial Internet, the network load phenomenon (ie, overload) occurs or data storage occurs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s it is because the amount of high-precision time series data produced in real time is vast. I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efficiency.

여기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는 일정 기간에 대해 시간의 함수로 표현되는 데이터로서, 과거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한 데이터를 이용해 이후의 결과를 예측하는 작업에 사용된다.Here, the time series data is data expressed as a function of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s used for predicting future results using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in the past.

따라서 전력 산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시계열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 아니면 무효한 데이터인지를 사전에 판별한 후, 유효한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효율적인 전송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종래에는 이러한 방식의 데이터 전송방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fficient transmission technology that determines whether time series data generated in the power industry environment is valid data or invalid data in advance, and then transmits only valid data.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is metho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8983호(2013.10.10. 등록, 전력량계의 이상 여부를 알리는 무정전 전력품질 측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18983 (October 10, 2013, uninterruptible power quality measurement device to notify whether the electricity meter is abnorm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발전설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방대한 전력데이터로 인해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network load increases due to massive power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installed in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power time series data.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발전설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전력데이터가 전송될 필요성이 낮은 조건을 특정한 후, 해당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a condition in which power data is low need to b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IoT sensor installed in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network data load is not transmitted.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power time-series data that can reduce th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은, 발전설비의 상태를 측정하고, 이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 후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모듈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해당 발전설비의 각 감지대상에 대한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IoT 센서와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r more of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state of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alyzes this measurement data,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it, and then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 module unit;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hat receives and analyzes power data from the at least one IoT sensor and generate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for each detection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 client accessing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o request data, and receiving and monitoring result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IoT sensor,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nd the client by communic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위치확인센서, 물리센서, 환경감지센서, 품질감지센서, 및 화재감시센서, 또한 상기 발전설비의 운영에 관련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물리적 및 화학적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nsor module, at least one of a physical sensor and a physical sensor, a physical sensor, an environmental sensor, a quality sensor, a fire sensor, and a physical and chemical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감지대상의 특성에 따른 초기값 및 임계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이용하여 수집된 전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이 전력데이터의 전송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nsor module, the initial value and the threshold r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ion target is preset and stored, and analyzes the collected power data using the initial value and the threshold range to transmit this power data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기값은, 상기 발전설비의 해당 감지대상에서 측정되는 통상의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임계범위는, 초기값으로부터 변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수 있는 변동범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value means a normal measurement value measured at a corresponding sensing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threshold range means a variation range that can be determined to have not changed from the initial value Is d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발전설비에서 측정된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전력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되, 상기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의미하며, 상기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데이터가 기 설정된 인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nsor module transmits the power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meaningful, and transmits the power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is meaningless.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is meaningful, it means that the power data is outside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is meaningless, the power data is pres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eans a cas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handover ran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IoT 센서 모듈의 기 설정된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저장하며,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상기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았는지를 탐색하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지 않았을 경우,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하여,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를 초기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stores a predetermined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of the IoT sensor module, and searches whether pow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every predetermined period (T), When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it is determined that power data of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module is included 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and power data of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module is determined as an initial valu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단기간의 전력예측을 목표로 하는 기 설정된 머신러닝 알고리즘(Machine learn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전력데이터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예측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분석하여 단기간 전력을 예측 및 진단하며, 상기 예측 결과가 나오면, 상기 클라이언트에 예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uses the received power data as an input value, but uses the preset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short-term power prediction. Learning, analyzing the power data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using the learned prediction pattern, predicting and diagnosing short-term power, and when the prediction result comes out, it is implemented to transmit prediction data to the client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감지대상의 특성에 대응하는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지정된 방식에 따라 센싱과 센싱된 전력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nsor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memory for storing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target;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sensing and transmission of sensed power data according to a designated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주기(T) 마다 기 설정된 감지대상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모듈;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전력데이터가 측정되면 구동되며, 상기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모듈; 및 상기 비교모듈 구동 시 만약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만약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the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preset detection target every period (T); A comparison module that is driven when power data is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and compares whether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an initial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driving the comparison module, if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and if the measured power data is outside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the corresponding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at the data should be transmit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횟수 동안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측정된 전력데이터들이 상기 초기값으로부터 임계범위를 벗어나면서, 아울러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값들인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초기값을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재설정하는 재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when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ut of the threshold range from the initial value, and also when the deviation of the power data is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et module for resetting the preset initial value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모듈에 의해 재설정된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은,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되고,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재설정된 초기값을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value of the IoT sensor module reset by the reset module is transmitted to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nd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resets the received reset initial value to the initial value of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resetting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IoT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 각 발전설비에 대한 정보,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과 임계범위,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 전력데이터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전력데이터, 기 설정된 분석알고리즘, 머신러닝 알고리즘, 및 패턴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IoT 센서 모듈에서 전력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에 기 설정된 초기값이나 재설정된 초기값으로 대체하거나 갱신하는 전력데이터 갱신부; 상기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 및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전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데이터 생성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선택되거나 등록된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시계열 통계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출력하는 대시보드를 관리하는 대시보드 관리부; 및 전력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전력예측을 목표로 하는 기 설정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이벤트 예측패턴을 학습하는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data of the IoT sensor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IoT sensor module, information about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initial value and threshold range of IoT sensor module, power data received from IoT sensor module, power data updated by power data update unit, preset analysis algorithm, machine A database server storing at least one of a running algorithm and a pattern detection algorithm; A power data update unit that replaces or updates a preset initial value or a reset initial value when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A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by utilizing the power data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and the power data updated by the power data update unit; A data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ime-series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n analysis algorithm selected or registered by the client; A dashboard management unit managing a dashboard that output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or analysis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client's request; And a learning unit that uses power data as an input value and learns a power event prediction pattern using a preset machine learning algorithm aimed at power predi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는, IoT 센서 모듈 중 지정된 주기(T) 동안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이 존재하는지 탐색하는 탐색모듈; 상기 탐색모듈에 의해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된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이나 재설정된 초기값을 추출하는 추출모듈; 및 상기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초기값이나 재설정된 초기값을 해당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로 대체하는 대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data update unit, a search module for searching whether there is an inactive IoT sensor module that does not transmit power data for a specified period (T) of the IoT sensor module; An extraction module extracting an initial value or a reset initial value of the inactive IoT sensor module detected from the database server when the inactive IoT sensor module is detected by the search module; And a replacement module that replaces the initial value or the reset initial value extracted by the extraction module with power data of the corresponding inactive IoT sensor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측 분석부는, 기 설정된 패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발전설비의 패턴을 검출하는 패턴검출모듈; 상기 패턴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패턴과 학습부에 의해 학습된 이벤트 데이터의 유사도를 검출하는 유사도 검출모듈; 및 상기 유사도 검출모듈에 의해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는 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ive analysis unit, by using a predetermined pattern detection algorithm, analyze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detect a pattern of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pattern detection module; A similarity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ttern detected by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and the event data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And a prediction module that predicts that a corresponding event will occur when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by the similarity detec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방법은, IoT 센서 모듈에 감지대상의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 상기 IoT 센서 모듈이 지정된 주기(T) 마다 기 설정된 감지대상의 전력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IoT 센서 모듈이 상기 측정한 전력데이터가 상기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IoT 센서 모듈이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정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of a detection target in advance in an IoT sensor module; Measuring, by the IoT sensor module, power data of a preset sensing target every designated period (T); Comparing, by the IoT sensor module, whether the measured power data is outside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Determining that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power data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when the measured power data out of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in the comparing step of the IoT sensor module; And determining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when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발전설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방대한 전력데이터로 인해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improve the problem of an increase in network load due to massive power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installed in a power generation facil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발전설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전력데이터가 전송될 필요성이 낮은 조건을 특정한 후, 해당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a condition in which power data is low need to b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IoT sensor installed in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network data load is not transmitted.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IoT 센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IoT 센서의 개략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IoT 센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전력데이터 갱신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예측 분석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n in FIG. 1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wer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sensor in FIG. 1.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chematic operation method of the IoT sensor in FIG. 3.
5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oT sensor in FIG. 3.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in FIG. 1.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data update unit in FIG. 6.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diction analysis unit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ow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은 IoT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초기값과 비교하여 초기값과 임계범위 이내일 때, 해당 데이터를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하지 않되,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지정된 주기(T)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은 IoT센서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IoT센서의 초기값을 전송할 데이터 값으로 대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하여 빅데이터 전송 및 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data measured by the IoT sensor with a preset initial value, and when it is within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the corresponding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but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performs data for a specified period (T). When the IoT sensor that does not transmit is detected, the initial value of the IoT sensor is replaced with the data value to be transmitted, thereby minimizing the network load in data transmiss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ig data transmission and management system.

여기서 상기 IoT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는, 발전모듈(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전설비)에서 발생한 전압, 전류, 주파수 등 전력 파라미터 데이터 뿐만이 아니라, 온도, 습도, 조도 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까지 동시에 센싱하여 통합한 시계열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 본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전력데이터(또는 전력 빅데이터)'는 상기 통합 시계열데이터(즉, 전력 파라미터 데이터 + 환경 데이터)를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전력데이터(또는 전력 빅데이터)'로 통칭하여 기술할 수 있다.Here, the data measured by the IoT sensor simultaneously senses not only power parameter data such as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module (or at least one power generation facility), but also environmental data includ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Refers to the integrated time series data. Accordingly, `` power data (or power big data) ''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the integrated time series data (i.e., power parameter data + environment data),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simply `` power data (or power big data) ''. It can be described collectively as'.

또한 본 발명은 IoT센서가 기 설정된 설정회수 동안 측정된 전력데이터들이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서, 전력데이터들의 차이값이 모두 임계범위 이내일 때, 초기값을 전력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재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nsor resets the initial value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data when the power data measured during the preset number of times is out of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difference values of the power data are all within the threshold range. Prevent network overloa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in FIG. 1.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n for this purpo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전설비(4)로부터 수집된 전력데이터를 전송 및 처리하여 발전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영 및 관리함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시킨다. As shown in FIG. 1, the power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s and processes power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power generation facility 4 to effectively operate and manag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t the same time, it reduces cost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은, 이벤트를 사전에 예측하되, 전력 IoT센서(5)가 측정한 전력데이터를 초기값과 비교하여 큰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IoT센서(5)가 측정한 전력데이터를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으로 인한 네트워크 부하(또는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킨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serie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dicts an event in advance, and compares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power IoT sensor 5 with an initial value, and whe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the IoT sensor 5 By not transmitting the power data measured by)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network load (or overload) due t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effectively reduc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전설비(4, 4-1, 4-N)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5)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또는 전력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 요청데이터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IoT 센서(5)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 및 클라이언트(9)에 제공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sures the state of at least one power generation facility 4, 4-1, 4-N generating power,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ncludes at least one IoT sensor (5). It also includes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for analyzing power data (or power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IoT sensor 5. It also includes a client 9 that connects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requests data, and receives and monitor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data. It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10 that provides a movement path for providing data measured from the IoT sensor 5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the client 9.

이때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oT 센서(5)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 및 클라이언트(9)에 제공하여 처리하기 위한 플랫폼은 전력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PaaS는 서비스로서의 플랫폼이라는 뜻으로, 인터넷으로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설계, 개발, 및 배포 등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체계를 의미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platform for providing and processing the data measured from the IoT sensor 5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the client 9 is a power platform as a service (PaaS). ) Use the platform. Here, the PaaS means a platform as a service, and means a system that provides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designing, developing, and distributing computer applications (applications) over the Internet.

참고로 상기 발전설비(4)는 발전소, 변전소, 및 마이크로 그리드 등과 같이 전력을 생산하는 설비를 의미한다.For referenc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4 means a facility that generates power, such as a power plant, a substation, and a micro grid.

상기 IoT 센서(5)들은 발전설비(4)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대상을 측정한다.The IoT sensors 5 are installed i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4 to measure a preset object.

예컨대 상기 IoT 센서(5)들은 위치확인센서, 물리센서, 환경감지센서, 품질감지센서, 및 화재감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발전설비의 운영에 관련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oT sensors 5 may include a location sensor, a physical sensor, an environmental sensor, a quality sensor, and a fire sensor, and also various physical / for detecting a stat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t can consist of chemical sensors.

또한 상기 IoT 센서(5)들 각각에는 감지대상의 특성에 따른 초기값 및 임계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이용하여 수집된 전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력데이터의 전송여부를 판단한다. In addition, in each of the IoT sensors 5,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target are preset and stored, and the collected power data is analyzed using the initial value and the threshold range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power data. Judge.

따라서 본 실시에에서 상기 IoT 센서(5)들은 단순히 센싱 소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센싱 소자를 통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송할지 여부까지도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oT sensors 5 are not only meant to be sensing element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sensor modules including control means for analyzing and transmitting whether to sense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elements.

이때 상기 초기값은, 상기 발전설비의 해당 감지대상에서 측정되는 통상의 측정값(예 : 평균값)으로 정의되며, 임계범위는 초기값으로부터 변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수 있는 변동범위로 정의된다.At this time, the initial value is defined as a normal measurement value (for example, an average value) measured at a corresponding sensing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threshold range is defined as a variation range that can be determined to have not changed from the initial value.

따라서 상기 IoT 센서(5)는 해당 발전설비(4)의 기 설정된 감지대상을 측정하되, 측정된 전력데이터의 송신이 의미가 있는지를 판단한 후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예 : 측정값(즉, 측정된 전력데이터)이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력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의미없는 전력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여 네트워크 부하(과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IoT sensor 5 measures a preset detection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4, but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meaningful after determining whether transmission of the measured power data is meaningful (for example, a measured value (i.e. , Measured power data) is out of the threshold range), by transmitting the power data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meaningless power data to reduce the network load (overload) .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프로세서 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includes hardware and software such as an operating system, middleware, and processor, which form a basis o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can be executed.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IoT 센서(5)들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Local DB(미도시)에 분산 저장한다.In addi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receives the power data from the IoT sensors 5, and stores the received power data in a local DB (not shown).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상기 IoT 센서(5)들의 기 설정된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저장되며,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상기 IoT센서(5)들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았는지를 탐색하며, 만약 특정 IoT센서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지 않았을 경우, 해당 IoT센서(즉,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지 않은 IoT 센서)의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하여 해당 IoT센서의 전력데이터를 초기값으로 결정한다.In addi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stores the predetermined initial values and threshold ranges of the IoT sensors 5, and whether pow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s 5 every predetermined period T If the power data is not received from a specific IoT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data of the IoT sensor (i.e., the IoT sensor that does not receive the power data) is included in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The power data is determined as the initial valu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IoT센서(5)에 기 설정된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데이터의 전송여부를 판단하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만약 특정 IoT센서(5)로부터 데이터수신이 누락되는 경우, 기 설정된 초기값으로 전력데이터를 대체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ransmission of the measured power data is performed by using the initial value and the threshold range set in each IoT sensor 5, and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if the specific IoT sensor 5 When data reception from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etwork load by replacing the power data with a preset initial value.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기 설정된 주기 동안 저장된 전력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발전설비의 각 감지대상에 대한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generate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for each detection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by utilizing the power data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생성된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치있는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분석알고리즘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클라이언트(9)로부터 기 설정된 분석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한다.In addi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is pre-set and stored analysis algorithms for detecting valuable data by analyzing generated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and any one of the preset analysis algorithms from the client 9 When selected,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generated using the selected analysis algorithm is analyzed.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단기간의 전력예측을 목표로 하는 기 설정된 머신러닝 알고리즘(Machine learn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전력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uses the received power data as an input value, but uses the preset machine learning algorithm aimed at short-term power prediction to learn the input power data. You can.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기 학습된 예측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IoT센서(5)들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분석하여 단기간 전력을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may predict and diagnose short-term power by analyzing power data received from the IoT sensors 5 using a previously learned prediction pattern.

또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예측 분석의 결과가 나오면, 상기 클라이언트(9)에 예측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예측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result of the predictive analysis comes out,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transmits the predicted data to the client 9, so that a quick response to the prediction is made.

상기 클라이언트(9)는 상기 통신망(10)의 접속을 지원하며,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의 형식에 맞게 인자를 제공하여,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제공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디지털 단말기이다. 상기 클라이언트(9)는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에 접속하여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에 데이터를 요청하며,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부터 전송받은 연산처리 데이터를 모니터(미도시)에 디스플레이 한다.The client 9 supports the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provides factors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so that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requests a service provided It is a digital terminal. The client 9 connects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to request data from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monitors calculation processing data received from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Not shown).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9)에는 웹 연동 프로그램(웹 브라우저, Netscape 등)이 설치되어 연동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에 접속한다.In addition, a web interlocking program (web browser, Netscape, etc.) is installed in the client 9 to access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through the interlocking program.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9)는 상기 통신망(10)의 형태에 따라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세하게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ient 9 is provided wit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n detail, it can be applied to a desktop computer, note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smart phone, tablet PC, etc. You can.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IoT 센서(즉, 센싱 소자를 통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송할지 여부까지도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IoT 센서의 개략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sensor (ie, a sensor module including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analyze and transmit sensing data measured through a sensing element) in FIG. 1,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schematic operation method of the IoT sensor in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oT 센서(5)는 제어모듈(51), 통신모듈(53), 및 메모리(5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51)은 센싱모듈(511), 비교모듈(513), 판단모듈(515) 및 재설정모듈(517)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IoT sensor 5 includes a control module 51, a communication module 53, and a memory 55.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51 includes a sensing module 511, a comparison module 513, a determination module 515 and a reset module 517.

상기 통신모듈(53)은 상기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53 connect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상기 메모리(55)는 해당 IoT센서(5)에서 측정되는 감지대상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 설정된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저장한다.The memory 55 stores preset initial values and threshold range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a sensing target measured by the IoT sensor 5.

상기 제어모듈(51)은 상기 IoT센서(5)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The control module 51 is a microprocessor of the IoT sensor 5.

상기 센싱모듈(511)은 주기(T) 마다 기 설계된 바에 따라 기 설정된 감지대상의 상태를 측정한다. 이때 감지대상은 온도, 환경, 화재, 속도, 거리, 및 이동범위 등을 포함한다. The sensing module 511 measures the state of a preset detection target according to a pre-designed period (T). At this time, the detection target includes temperature, environment, fire, speed, distance, and moving range.

상기 비교모듈(513)은 상기 센싱모듈(511)에 의해 전력데이터가 측정되면 구동되며, 상기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상기 메모리(55)에 저장된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하는지를 비교한다. The comparison module 513 is driven when power data is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511 and compares whether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an initial value stored in the memory 55.

상기 판단모듈(515)은 상기 비교모듈(513) 구동 시 만약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515)은 상기 비교모듈(513) 구동 시 만약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comparison module 513 is driven, the determination module 515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if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do.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module 515 determines that the power data must be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when the measured power data is outside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when the comparison module 513 is driven. do.

이때 통신모듈(53)은 상기 판단모듈(515)에 의해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한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should be transmitted by the determination module 515, the communication module 53 transmits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IoT센서(5)의 감지대상이'온도'이며, 초기값이 19도, 임계범위가 0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할 경우(①), 만약 상기 IoT센서(5)가 측정한 전력데이터(온도)가 19도인 경우(②),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하지 않는다(③). 그러나 만약 상기 측정된 전력데이터(온도)가 23도인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여(③) 상기 통신모듈(53)을 통해 전송한다(④). 이에 따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상기 IoT센서(5)에서 전송된 전력데이터를 다시 확인하그 결과를 서버에 저장하는 프리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한다(①, ⑤~⑦).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when it is assumed that the detection target of the specific IoT sensor 5 is 'temperature', the initial value is set to 19 degrees, and the threshold range is set to 0 (①), if the IoT sensor 5 is When the measured power data (temperature) is 19 degrees (②),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is not transmitted (③). However, if the measured power data (temperature) is 23 degre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③)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3 (④). . Accordingly,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checks the power data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5 again and performs pre-processing processing to store the result in the server (①, ⑤ to ⑦).

상기 재설정모듈(517)은 기 설정된 횟수 동안 상기 센싱모듈(511)에 의해 측정된 전력데이터들이 상기 초기값으로부터 임계범위를 벗어나면서, 또한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값들인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초기값을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재설정한다. The reset module 517 when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511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out of the threshold range from the initial value, and also if the deviation of the power data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 Reset the preset initial value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data.

이에 따라 차후에 상기 비교모듈(513)이 동작 시 상기 재설정된 초기값을 활용하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comparison module 513 is operated later, the reset initial value is utilized.

또한 재설정모듈(517)에 의해 재설정된 초기값은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되고,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상기 전송받은 재설정된 초기값을 해당 IoT센서(5)의 초기값으로 재설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센서(5)는 주변 환경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데이터의 값이 초기값과 큰 차이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경우, 초기값을 재설정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더욱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itial value reset by the reset module 517 is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receives the reset initial value received by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5 Reset to the initial value of. That is, the IoT sensor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sets the initial value to further increase the network load when the value of the power data measured by various causes such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ontinuously measured while having a large difference from the initial value. 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IoT 센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oT sensor in FIG. 3.

도 5를 참조하면, 각 IoT센서(5)는 감지대상의 초기값 및 임계범위가 미리 설정되고(S110), 지정된 주기(T) 마다 기 설정된 감지대상을 측정(센싱)한다(S120). 상기 센싱 단계(S120)에 의해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상기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비교하고(S130), 상기 비교 단계(S130)에서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140의 예)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에 전송한다(S150). Referring to FIG. 5, each IoT sensor 5 presets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of a sensing target (S110), and measures (sensing) a preset sensing target every designated period T (S120). If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step (S120) is out of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S130), and the power data measured in the comparison step (S130) is out of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S140) Ex)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S150).

그런데 만약 상기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S140의 아니오)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센싱 단계(S120)로 진행한다.However, if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NO in S140),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ensing step S120. To proceed.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in FIG.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제어부(30), 데이터베이스 서버(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전력데이터 갱신부(33), 통계데이터 생성부(34), 데이터 분석부(35), 예측 분석부(36), 대시보드 관리부(37), 및 학습부(3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includes a control unit 30, a database server 31,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2, a power data update unit 33, and a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 34), a data analysis unit 35, a prediction analysis unit 36, a dashboard management unit 37, and a learning unit 38.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의 O.S(Operating System)로서 기능하며, 제어대상(예 : 31, 32, 33, 34, 35, 36, 3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0 functions as an O.S (Operating System) of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nd manages and controls control objects (eg, 31, 32, 33, 34, 35, 36, 37).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상기 IoT센서(5)들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33) 및 상기 통계데이터 생성부(34)로 입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inputs the power data received from the IoT sensors 5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2 to the power data update unit 33 and the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34.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지정된 주기(T) 마다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33)를 구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drives the power data update unit 33 every specified period (T).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IoT센서(5)로부터 재설정된 초기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재설정된 초기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1)에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reset initial value from the IoT sensor 5, the control unit 30 stores the received reset initial value in the database server 31.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1)에는 각 IoT센서(5)의 식별정보와, 각 발전설비(4)에 대한 관련정보와, 각 IoT센서(5)의 초기값(or 재설정된 초기값) 및 임계범위와, 각 IoT센서(5)들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 및 전력데이터 갱신부(33)에 의해 대체(갱신)된 전력데이터와, 기 설정된 분석알고리즘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및 패턴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저장된다.The database server 31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5,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4, initial values (or reset initial values) and threshold ranges of each IoT sensor 5, and , Power data received from each IoT sensor 5 and power data replaced (updated) by the power data update unit 33, at least one of a preset analysis algorithm,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a pattern detection algorithm This is saved.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33)의 동작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전력데이터 갱신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The operation of the power data update unit 3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data update unit in FIG.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33)는, 각 IoT센서(5)들 중 지정된 주기(T) 동안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IoT센서(5)(즉, 비활성 IoT센서)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탐색모듈(331)과, 상기 탐색모듈(331)에 의해 비활성 IoT센서가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1)로부터 검출된 비활성 IoT센서의 초기값(or 재설정된 초기값)을 추출하는 추출모듈(332)과, 상기 추출모듈(332)에 의해 추출된 초기값(or 재설정된 초기값)을 해당 비활성 IoT센서의 전력데이터로 대체하는 대체모듈(333)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power data update unit 33 is an IoT sensor 5 that does not transmit power data during a designated period T of each IoT sensor 5 (ie, an inactive IoT sensor). Search module 331 for searching for the existence of, and when the inactive IoT sensor is detected by the search module 331, extracts the initial value (or reset initial value) of the inactive IoT sensor detected from the database server 31. It includes an extraction module 332 and a replacement module 333 to replace the initial value (or reset initial value) extracted by the extraction module 332 with power data of the corresponding inactive IoT sensor.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상기 IoT센서(5)들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지 않더라도, 이전 주기에 전송받은 전력데이터와 변동이 없다고 판단하여 초기값을 전력데이터로 자동 대체함으로써, 방대한 데이터송수신으로 인한 네트워크 부하(과부하)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receive power data from the IoT sensors 5, 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hange from the power data received in the previous cycle and uses the initial value as the power data. By automatically substitut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network load (overload) due to massiv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통계데이터 생성부(34)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각 IoT센서(5)들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 및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33)에 의해 생성(갱신)된 전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생성한다.The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34 utilizes power data transmitted from each IoT sensor 5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2 and power data generated (updated) by the power data update unit 33. To generate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상기 데이터 분석부(35)는 유저(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분석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또는 유저(사용자)에 의해 자체 제작된 분석알고리즘이 등록되면, 상기 선택되거나 등록된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한다.The data analysis unit 35 uses the selected or registered analysis algorithm when any one of the preset analysis algorithms is selected from the user (user), or when an analysis algorithm manufactured by the user (user) is registered. Therefore, the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is analyzed.

상기 예측 분석부(36)의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예측 분석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The operation of the predictive analysis unit 3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diction analysis unit in FIG.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측 분석부(36)는 기 설정된 패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발전설비의 패턴을 검출하는 패턴검출모듈(361)과, 상기 패턴검출모듈(361)에 의해 검출된 패턴과 후술되는 학습부(38)에 의해 학습된 이벤트 데이터의 유사도를 검출하는 유사도 검출모듈(362)과, 상기 유사도 검출모듈(362)에 의해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는 예측모듈(36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prediction analysis unit 36 uses a preset pattern detection algorithm to analyze the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for a preset period to detect a pattern of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361 And, the similarity detection module 362 for detec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ttern detected by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361 and the event data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38 described later, and the similarity detection module 362 And a prediction module 363 predicting that the corresponding event will occur when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상기 대시보드 관리부(37)는 상기 클라이언트(9)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시계열 통계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출력하는 대시보드(dashboard, 웹에서 한 화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중압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를 관리한다.The dashboard management unit 37 is a dashboard that outputs time-series statistical data or analysis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lient 9 (dashboard, to manage and find various information intensively on a single screen on the web) User interface screen).

상기 학습부(38)는 전력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전력예측을 목표로 하는 기 설정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이벤트 예측패턴을 학습한다.The learning unit 38 takes power data as an input value, and learns a power event prediction pattern by using a preset machine learning algorithm aimed at power prediction.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IoT센서가 측정한 전력데이터를, 기 설정된 초기값과 비교하여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일 때, 해당 전력데이터는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3)는 지정된 주기(T) 동안 전력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은 IoT센서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IoT센서의 초기값을 해당 주기의 전력데이터로 대체함으로써, 즉, 불필요한 전력데이터(즉, 이전 주기의 전력데이터와 동일한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전송의 효율성을 높여 네트워크 부하(과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IoT sensor is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compared to a preset initial value,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nd accordingly The big data analysis unit 3 replaces the initial value of the IoT sensor with the power data of the corresponding period when the IoT sensor that has not transmitted the power data is detected during the designated period T, that is, unnecessary power data (ie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etwork load (overload)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ata transmission by not transmitting the same power data as the previous period.

또한 본 실시예는 각 IoT센서가 기 설정된 설정 횟수 동안 측정된 전력데이터들이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서, 전력데이터들의 차이값이 모두 임계범위 이내일 때 초기값을 전력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재설정(즉,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값들인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초기값을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재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resets the initial value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data when the power data measured for the preset number of times each IoT sensor is out of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difference values of the power data are all within the threshold range ( That is, when the deviation of the power data is within a preset threshold range, the network load can be more efficiently reduced by resetting the preset initial value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data).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3 :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 30 : 제어부
31 : 데이터베이스 서버 32 : 통신 인터페이스부
33 : 전력데이터 갱신부 331 : 탐색모듈
332 : 추출모듈 333 : 대체모듈
34 : 통계데이터 생성부 35 : 데이터 분석부
36 : 예측 분석부 361 : 패턴검출모듈
362 : 유사도 검출모듈 363 : 예측모듈
37 : 대시보드 관리부 38 : 학습부
4 : 발전설비 5 : IoT센서
51 : 제어모듈 511 : 센싱모듈
513 : 비교모듈 515 : 판단모듈
517 : 재설정모듈 53 : 통신모듈
55 : 메모리 9 : 클라이언트
10 : 통신망
1: Power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3: Electric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30: Control Unit
31: database server 32: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 power data update unit 331: search module
332: extraction module 333: replacement module
34: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35: data analysis unit
36: predictive analysis unit 361: pattern detection module
362: similarity detection module 363: prediction module
37: dashboard management unit 38: learning unit
4: Power generation equipment 5: IoT sensor
51: control module 511: sensing module
513: Comparison module 515: Judgment module
517: Reset module 53: Communication module
55: memory 9: client
1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5)

발전설비의 상태를 측정하고, 이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 후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모듈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해당 발전설비의 각 감지대상에 대한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IoT 센서와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를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t least one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module unit that measures the state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alyzes the measurement data,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it, and then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hat receives and analyzes power data from the at least one IoT sensor and generate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for each detection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 client accessing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o request data, and receiving and monitoring result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IoT sensor,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nd the client by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위치확인센서, 물리센서, 환경감지센서, 품질감지센서, 및 화재감시센서,
또한 상기 발전설비의 운영에 관련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물리적 및 화학적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ensor module,
Position sensor, physical sensor, environmental sensor, quality sensor, and fire sensor,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physical and chemical sensors for detecting a stat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감지대상의 특성에 따른 초기값 및 임계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이용하여 수집된 전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이 전력데이터의 전송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ensor module,
The initial value and threshold r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ion target are preset and stored,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power data by analyzing the collected power data using the initial value and the threshold ran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값은,
상기 발전설비의 해당 감지대상에서 측정되는 통상의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임계범위는,
초기값으로부터 변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수 있는 변동범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initial value is,
Means a normal measurement value measured at a corresponding sensing targe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he critical range,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means a range of variation that can be judged to have not changed from the initial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발전설비에서 측정된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전력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되,
상기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의미하며,
상기 전력데이터의 전송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전력데이터가 기 설정된 인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ensor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meaningful, the power data is transmit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is meaningless, the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is meaningful, it means that the power data is outside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data is meaningless,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of the power time series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means that the power data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take-over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IoT 센서 모듈의 기 설정된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저장하며,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상기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았는지를 탐색하며, 전력데이터를 전송받지 않았을 경우,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하여,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를 초기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Stores a preset initial value and threshold range of the IoT sensor module,
It searches for whether power data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every predetermined period (T), and if power data has not been transmit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data of the IoT sensor module is included in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and Power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data of the IoT sensor module is determined as an initial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단기간의 전력예측을 목표로 하는 기 설정된 머신러닝 알고리즘(Machine learn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전력데이터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예측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를 분석하여 단기간 전력을 예측 및 진단하며,
상기 예측 결과가 나오면, 상기 클라이언트에 예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aking the transmitted power data as an input value, learning the input power data using a preset machine learning algorithm aiming at short-term power prediction,
Predicting and diagnosing short-term power by analyzing power data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using the learned prediction pattern,
When the prediction result comes out,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to transmit the prediction data to the cli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센서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감지대상의 특성에 대응하는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지정된 방식에 따라 센싱과 센싱된 전력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ensor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memory for storing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target;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sensing and transmission of sensed power data according to a specified metho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주기(T) 마다 기 설정된 감지대상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모듈;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전력데이터가 측정되면 구동되며, 상기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모듈; 및
상기 비교모듈 구동 시 만약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만약 측정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module,
A sensing module that measures a state of a preset detection target every period T;
A comparison module that is driven when power data is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and compares whether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an initial value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driving the comparison module, if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and if the measured power data is outside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the corresponding power data A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at it is necessary to transmit;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횟수 동안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측정된 전력데이터들이 상기 초기값으로부터 임계범위를 벗어나면서, 아울러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값들인 경우, 기 설정되어 있던 초기값을 상기 전력데이터들의 평균값으로 재설정하는 재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module,
When the power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eviates from a threshold range from the initial value, and when the deviations of the power data are value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the preset initial value is the power. And a reset module for resett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dat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모듈에 의해 재설정된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은,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되고,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재설정된 초기값을 해당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itial value of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module reset by the reset module,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which is transmitted to a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nd resets the received reset initial value to an initial value of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IoT 센서 모듈의 식별정보, 각 발전설비에 대한 정보,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과 임계범위,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 전력데이터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전력데이터, 기 설정된 분석알고리즘, 머신러닝 알고리즘, 및 패턴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IoT 센서 모듈에서 전력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에 기 설정된 초기값이나 재설정된 초기값으로 대체하거나 갱신하는 전력데이터 갱신부;
상기 IoT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전력데이터 및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전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데이터 생성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선택되거나 등록된 분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시계열 통계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출력하는 대시보드를 관리하는 대시보드 관리부; 및
전력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되, 전력예측을 목표로 하는 기 설정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이벤트 예측패턴을 학습하는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power data of the IoT sensor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IoT sensor module, information about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initial value and threshold range of IoT sensor module, power data received from IoT sensor module, power data updated by power data update unit, preset analysis algorithm, machine A database server storing at least one of a running algorithm and a pattern detection algorithm;
A power data update unit that replaces or updates a preset initial value or a reset initial value when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A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by utilizing the power data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module and the power data updated by the power data update unit;
A data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ime-series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n analysis algorithm selected or registered by the client;
A dashboard management unit managing a dashboard that outputs time series statistical data or analysis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client's request;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for power time series data, comprising: a learning unit that learns a power event prediction pattern using a preset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at targets power prediction using power data as an input valu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데이터 갱신부는,
IoT 센서 모듈 중 지정된 주기(T) 동안 전력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이 존재하는지 탐색하는 탐색모듈;
상기 탐색모듈에 의해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된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의 초기값이나 재설정된 초기값을 추출하는 추출모듈; 및
상기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초기값이나 재설정된 초기값을 해당 비활성 IoT 센서 모듈의 전력데이터로 대체하는 대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ower data update unit,
A search module for searching whether there is an inactive IoT sensor module that has not transmitted power data during a designated period T of the IoT sensor modules;
An extraction module extracting an initial value or a reset initial value of the inactive IoT sensor module detected from the database server when the inactive IoT sensor module is detected by the search module; And
And a replacement module that replaces the initial value or the reset initial value extracted by the extraction module with the power data of the corresponding inactive IoT sensor modu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분석부는,
기 설정된 패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시계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발전설비의 패턴을 검출하는 패턴검출모듈;
상기 패턴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패턴과 학습부에 의해 학습된 이벤트 데이터의 유사도를 검출하는 유사도 검출모듈; 및
상기 유사도 검출모듈에 의해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는 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edictive analysis unit,
A pattern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a pattern of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by analyzing time-series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preset pattern detection algorithm;
A similarity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ttern detected by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and the event data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And
And a prediction module for predicting that a corresponding event will occur when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by the similarity detection module.
제 1항의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방법에 있어서,
IoT 센서 모듈에 감지대상의 초기값 및 임계범위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
상기 IoT 센서 모듈이 지정된 주기(T) 마다 기 설정된 감지대상의 전력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IoT 센서 모듈이 상기 측정한 전력데이터가 상기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IoT 센서 모듈이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정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전력데이터가 초기값의 임계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전력데이터를 상기 전력 빅데이터 분석부로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계열 데이터의 전송처리 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time series data using the power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system of claim 1,
Pre-setting an initial value and a threshold range of the detection target in the IoT sensor module;
Measuring, by the IoT sensor module, power data of a preset sensing target every designated period (T);
Comparing, by the IoT sensor module, whether the measured power data is outside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Determining that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power data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when the measured power data out of the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in the comparing step of the IoT sensor module; And
And determining that the power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power big data analysis unit when the measured power data is included within a threshold range of the initial value.

KR1020180119615A 2018-10-08 2018-10-08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KR102534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15A KR102534367B1 (en) 2018-10-08 2018-10-08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15A KR102534367B1 (en) 2018-10-08 2018-10-08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70A true KR20200039970A (en) 2020-04-17
KR102534367B1 KR102534367B1 (en) 2023-05-22

Family

ID=7046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15A KR102534367B1 (en) 2018-10-08 2018-10-08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6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403B1 (en) * 2022-06-23 2023-04-04 주식회사 티팩토리 Cloud-based ESS remo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gateway
US11734388B2 (en) 2020-01-17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ime-series data
KR102600657B1 (en) * 2023-06-15 2023-11-08 김종현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igital twin mod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040A (en)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prediction of electricity generation amount
KR20130020386A (en)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케이티 Device for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system for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KR20170112463A (en)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이노템즈 Integrated monitoring facilitie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040A (en)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prediction of electricity generation amount
KR20130020386A (en)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케이티 Device for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system for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verifying electric energy data
KR20170112463A (en)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이노템즈 Integrated monitoring facilitie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4388B2 (en) 2020-01-17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ime-series data
KR102517403B1 (en) * 2022-06-23 2023-04-04 주식회사 티팩토리 Cloud-based ESS remo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gateway
KR102600657B1 (en) * 2023-06-15 2023-11-08 김종현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igital twin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367B1 (en) 202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ng et al. Vibration analysis for IoT enabled predictive maintenance
KR1025343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power time series data
KR102017561B1 (en) Algorith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data of machine based on machine-learning technique
CN104899127A (en)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of server
CN101438251A (en) Adaptive multivariate fault detection
US10630869B1 (en) Industrial process event detection using motion analysis
CN116614177B (en) Optical fiber state multidimensional parameter monitoring system
KR20220127474A (en) Abnormal status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automated process
CN115248873A (en) Cable tunnel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fusion
CN101657770A (en) Use the machine condition monitoring of discontinuity detection
CN116822115A (en)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park based on digital twin technology
KR20190114155A (en) The Mobile Unmann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6704729A (en) Industrial kiln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analysis
CN116488302A (en) Integrated intelligent quick charging charger and data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KR101896442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onitoring wind plant with ICT fusion
KR102430962B1 (en) Internet of Things-based distribution board system of internal status management and control
CN115899991A (en) Air conditioner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un et al. A data-driven framework for tunnel infrastructure maintenance
KR101693873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building
Nichiforov et al. Embedded on-line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measurement and forecasting in buildings
US11012457B1 (en) Building security analysis system with site-independent signature generation for predictive security analysis
CN114429148A (en) Power equipment state detection method based on multi-source data fusion
Hore et al. Intelligent Predictive Maintenance for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
KR102639070B1 (en) Data center monitoring system
CN116207863B (en) Circuit safety control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