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558A -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558A
KR20200039558A KR1020190113721A KR20190113721A KR20200039558A KR 20200039558 A KR20200039558 A KR 20200039558A KR 1020190113721 A KR1020190113721 A KR 1020190113721A KR 20190113721 A KR20190113721 A KR 20190113721A KR 20200039558 A KR20200039558 A KR 20200039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ner shell
body portion
contact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환
황현주
전형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출원은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은, 속이 빈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쉘(inner shell); 및 상기 이너쉘 내에 포함되며, 상기 이너쉘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대물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컨텍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쉘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절곡되어, 상기 컨텍트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Contact module and plug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팅(float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종래에는 기판 사이의 RF(Radio Frequency) 연결을 위하여 원형의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동축 커넥터의 경우 암형과 수형을 정합한 후 원통형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암형과 수형을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신호가 연결되지 않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실질적인 제조 공차에 대한 오차가 허용되지 않아 제조공정 상 어려움이 있었으며, 원통형의 스크류의 경우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등록특허 8,989,042에서는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즉,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80)에 플러그 커넥터(60)를 삽입하는 형태로 RF 연결을 구현하였으므로, 기존의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국 등록특허 8,989,042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80)와 플러그 커넥터(60)의 4면이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동에 취약한 단점이 존재한다. 즉, 커넥터에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손될 위험이 존재하므로 차량용 커넥터 등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커넥터(60)에서 컨텍트(62)를 지지하는 암형부(female portion, 61)는 통공이 많아 외부 충격에 약하며, 암형부(61)가 복수의 면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리셉터클 커넥터(80)의 삽입시 정렬해야할 부분이 많아 체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은,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강인한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체결이 용이한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100)은, 속이 빈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쉘(inner shell, 110); 및 상기 이너쉘(110) 내에 포함되며, 상기 이너쉘(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물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컨텍트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이너쉘(1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111); 및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로 절곡되어, 상기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을 절개하여 형성하며, 내부에 응력분산을 위한 통공(P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로 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절곡에 따른 탄성에 의하여, 상기 상대물의 삽입시 상기 상대물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절곡기준선(P1); 상기 절곡기준선(P1)으로부터 절곡각도에 따라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편(P2); 상기 연결편(P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통공(P3); 및 상기 연결편(P2)으로부터 완충각도로 휘어지는 완충부(P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P4)는, 상기 연결편(P2)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1)는, 상기 몸체부(111)의 개구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서 외부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120)는, 상기 이너쉘(1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단은 상기 이너쉘(110) 내에서 플로팅(floating)하고, 타단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120)는, 도전성 재질의 컨텍트핀(121); 및 상기 컨텍트핀(121)의 타단을 상기 이너쉘(110) 내에 고정하고, 상기 이너쉘(110) 내에 플로팅되는 상기 컨텍트핀(121)의 일단을 절연하는 몰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핀(121)은, 상기 상대물과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부(C1); 상기 몰딩부(122)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부(C2); 및 상기 접점부(C1) 및 고정부(C2) 사이를 연결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C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C3)는, 상기 접점부(C1) 또는 고정부(C2) 보다 좁은 폭(width)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핀(121)은, 상기 접점부(C1)에서 연장되어 상기 컨텍트핀(121)의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몰딩부(12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컨텍트핀(121)의 가동구간을 제한하는 들림방지부(C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몰딩부(122)는, 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접점부(C1)를 노출시키는 노출부(D1); 상기 이너쉘(110)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부(122)를 상기 이너쉘(110) 내에 고정하는 바디부(D3); 및 상기 노출부(D1)와 상기 바디부(D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D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컨텍트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존재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플로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용 RF(Radio Frequency)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이너쉘 내에 플로팅되는 컨텍트부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대물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쉘 및 컨텍트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의 상대물과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8 및 도9는 종래의 스퀘어 형태의 RF 커넥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100)은 이너쉘(110) 및 컨텍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을 설명한다.
이너쉘(inner shell, 110)은 도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각기둥 또는 원통형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너쉘(110) 내부에는 컨텍트부(1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너쉘(110)은 도전성 재질로 구현되므로, 컨텍트부(120)에 대한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너쉘(110)은 몸체부(111)와 지지편(11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내부에 컨텍트부(1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영역(111A)와 지지영역(111B)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영역(111A)은 몸체부(111) 중에서 플러그 커넥터(미도시) 내에 삽입되는 영역으로, 컨텍트 모듈(100)을 플러그 커넥터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영역(111B)은 몸체부(111) 중에서 지지편(112)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와의 결합시 상대물이 지지영역(111B)의 내부에 삽입되어 컨텍트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영역(111B)에는 가이드부(G)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부(G)는 몸체부(111)의 개구부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몸체부(111)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물의 삽입시 상대물은 가이드부(G)의 표면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G)에 의하여 용이하게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지지편(112)은 몸체부(111)의 측면으로부터 몸체부(111)의 내부로 절곡될 수 있으며, 이너쉘(110) 내부에 위치하는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부(111)의 측면을 절개하는 방식으로 지지편(11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1) 중 지지영역(111B)의 3개 측면을 각각 절개하여 지지편(1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3개의 지지편(112)에 의하여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이너쉘(120) 내에 일정한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112)이 몸체부(111)로부터 절곡되는 각각의 절곡각도들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컨텍트부(120)의 일단이 목표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절곡각도를 0 이상 45도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지지편(112)의 내부에는 통공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지편(112)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컨텍트부(120)의 일단은 이너쉘(110) 내에서 플로팅(floating)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 등에 따라 컨텍트부(120)의 일단이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컨텍트부(120)의 구조를 이용하면 진동이나 충격에 강인한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컨텍트부(120)의 일단이 플로팅하는 경우에는, 상대물과의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컨텍트부(120)의 일단이 고정되지 않고 가변되므로,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상대물과 정확하게 정렬하지 않으면 결합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치게 결합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컨텍트 모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100)에서는 지지편(112)이 이너쉘(110) 내에서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하여, 컨텍트부(1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편(112)이 각각 하부와, 좌, 우측에서 지지하므로, 컨텍트부(120)를 일정한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너쉘(110) 내의 컨텍트부(120)의 정렬여부 등을 고려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상대물을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몸체부(111)와 연결되는 절곡기준선(P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후 지지편(112)을 이너쉘(110)의 내부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대물은 지지편(112)에 의하여 가이드(guide)되어 이너쉘(11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지지편(112)은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절곡에 따른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물의 삽입 전에는 절곡되어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으나, 상대물이 삽입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물에 의하여 절곡된 반대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때, 지지편(112)은 탄성에 의하여 상대물쪽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대물과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편(112)은 절곡기준선(P1), 연결편(P2), 통공(P3) 및 완충부(P4)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기준선(P1)은 몸체부(111)와 연결되는 영역으로, 몸체부(111)와 연결편(P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절곡기준선(P1)을 기준으로 연결편(P2)이 절곡될 수 있으며, 연결편(P2)은 절곡기준선으로부터 절곡각도에 따라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연결편(P2)은 설정된 절곡각도에 따라 이너쉘(110)의 내부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각도는 실시예에 따라, 0 이상 45도 이하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며, 연결편(P2)은 이너쉘(110)의 측면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통공(P3)은 연결편(P2)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연결편(P2)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완충부(P4)는 연결편(P2)으로부터 완충각도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P4)는 연결편(P2)의 단부에 형성되며, 완충부(P4)에 의하여 컨텍트부(120)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P4)는 일정한 완충각도로 절곡각도와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므로, 상대물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삽입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컨텍트부(120)는 이너쉘(11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너쉘(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대물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부(120)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은 이너쉘(110) 내에서 플로팅(floating)되고 타단은 이너쉘(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텍트부(12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21)과 몰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텍트핀(121)은 금속 등 도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너쉘(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대물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핀(121)은 선형의 금속핀에 해당하므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압력에 대응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21)은 접점부(C1), 고정부(C2), 탄성부(C3) 및 들림방지부(C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부(C1)는 컨텍트핀(121)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대물과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접촉면적 확장을 위한 접촉돌기(미도시) 등을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C2)는 컨텍트핀(121)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몰딩부(122)에 의하여 이너쉘(1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컨텍트핀(121)의 후단부인 고정부(C2)가 이너쉘(110) 내에 고정되므로, 컨텍트핀(121)의 전단부인 접점부(C1)가 이너쉘(110) 내에서 플로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부(C3)는 접점부(C1) 및 고정부(C2)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탄성부(C3)의 폭이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설정하여, 컨텍트핀(121)에 압력이나 전단력의 인가시, 탄성부(C3)부터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탄성부(C3)가 컨텍트부(120)에 대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탄성부(C3)에 의하여 컨텍트핀(121)이 이너쉘(110) 내에서 변위하는 등 플로팅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C3)는 미리 설정된 설정폭 또는 설정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부(C3)의 설정폭이나 설정두께는 각각 접점부(C1) 또는 고정부(C2)의 폭(width)이나 두께(thickness)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설정폭이나 설정두께를 접점부(C1) 또는 고정부(C2)의 폭이나 두께에 대한 설계비율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고정부(C2)의 폭에 대해 0.5의 비율로 설정폭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C3)의 두께는 접점부(C1) 및 고정부(C2)의 두께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들림방지부(C4)는 접점부(C1)에서 연장되어 컨텍트핀(121)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2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들림방지부(C4)는 몰딩부(122)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들림방지부(C4)에 의하여 컨텍트핀(121)의 가동구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들림방지부(C4)는 접점부(C1)가 외력 등에 의해 휘어져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몰딩부(122)는 컨텍트 핀(121)의 일단을 이너쉘(110) 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너쉘(110) 내에 플로팅되는 컨텍트 핀(121)을 절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딩부(122)의 일단을 이너쉘(110)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이너쉘(110)의 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몰딩부(122)의 일단에는 컨텍트 핀(121)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후 몰딩부(12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컨텍트핀(121)은 이너쉘(110)의 내부에 플로팅될 수 있다. 즉, 컨텍트핀(121)의 일단은 이너쉘(11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이너쉘(110) 내에 떠있을 수 있다.
다만, 컨텍트핀(121)과 이너쉘(11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 등으로 컨텍트핀(121)이 이너쉘(110)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누전이나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몰딩부(12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핀(12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컨텍트핀(121)을 이너셀(110)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대물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컨텍트핀(121)이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몰딩부(122)는 컨텍트핀(121)의 접점부(C1)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5(b)를 참조하면, 몰딩부(122)는 노출부(D1), 연결부(D2) 및 바디부(D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D1)는 통공을 포함하여 접점부(C1)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몰딩부(122)는 컨텍트핀(121)의 절연을 위하여 컨텍트핀(12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부 영역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몰딩부(122)에 노출부(D1)를 형성하여 컨텍트핀(121)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연결부(D2)는 노출부(D1)와 바디부(D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노출부(D1)와 바디부(D3) 사이의 컨텍트핀(121)의 절연을 위해, 연결부(D2)가 컨텍트핀(12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컨텍트핀(121)의 탄성에 의한 플로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컨텍트핀(121)의 일부를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부(D1)와 연결부(D2) 사이 또는 연결부(D2)와 바디부(D3) 사이에서 컨텍트핀(121)이 일부 노출되도록 연결부(D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D3)는 이너쉘(110)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몰딩부(122)를 이너쉘(110)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바디부(D3)의 단면적을 이너쉘(111)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바디부(D3)를 이너쉘(111)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바디부(D3)에는 컨텍트 핀(121)의 일단이 고정되므로, 컨텍트핀(121)의 타단은 이너쉘(110) 내에서 플로팅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텍트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는 복수의 컨텍트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로팅(floating) B2B(board to board)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각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후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0)에 포함되는 컨텍트 모듈(100)은 플로팅되므로, 진동이나 외부충격에도 강인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인슐레이터(11)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소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에 컨텍트 모듈(100)을 실장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홈(H)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인슐레이터(11)는 각각의 컨텍트 모듈(100)을 결합홈(H)으로 구별하여 실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각각의 컨텍트 모듈(100)들을 절연할 수 있다.
한편,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11)는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 등의 상대물과 결합하는 경우, 가장 먼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러그 인슐레이터(11)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T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 등과 결합시 두꺼운 삽입부부터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컨텍트 모듈 110: 이너쉘
111: 몸체부 112: 지지편
120: 컨텍트부 121: 컨텍트핀
122: 몰딩부

Claims (14)

  1. 속이 빈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너쉘(inner shell, 110); 및
    상기 이너쉘(110) 내에 포함되며, 상기 이너쉘(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물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컨텍트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이너쉘(1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111); 및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로 절곡되어, 상기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을 절개하여 형성하며, 내부에 응력분산을 위한 통공(P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컨텍트부(12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절곡에 따른 탄성에 의하여, 상기 상대물의 삽입시 상기 상대물과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12)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절곡기준선(P1);
    상기 절곡기준선(P1)으로부터 절곡각도에 따라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편(P2);
    상기 연결편(P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통공(P3); 및
    상기 연결편(P2)으로부터 완충각도로 휘어지는 완충부(P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P4)는
    상기 연결편(P2)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1)는
    상기 몸체부(111)의 개구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서 외부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120)는
    상기 이너쉘(1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단은 상기 이너쉘(110) 내에서 플로팅(floating)하고, 타단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120)는
    도전성 재질의 컨텍트핀(121); 및
    상기 컨텍트핀(121)의 타단을 상기 이너쉘(110) 내에 고정하고, 상기 이너쉘(110) 내에 플로팅되는 상기 컨텍트핀(121)의 일단을 절연하는 몰딩부(122)를 포함하는 컨텍트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핀(121)은
    상기 상대물과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부(C1);
    상기 몰딩부(122)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부(C2); 및
    상기 접점부(C1) 및 고정부(C2) 사이를 연결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C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C3)는
    상기 접점부(C1) 또는 고정부(C2) 보다 좁은 폭(width)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핀(121)은
    상기 접점부(C1)에서 연장되어 상기 컨텍트핀(121)의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몰딩부(12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컨텍트핀(121)의 가동구간을 제한하는 들림방지부(C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122)는
    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접점부(C1)를 노출시키는 노출부(D1);
    상기 이너쉘(110)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부(122)를 상기 이너쉘(110) 내에 고정하는 바디부(D3); 및
    상기 노출부(D1)와 상기 바디부(D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모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텍트 모듈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190113721A 2018-10-05 2019-09-16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20200039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92 2018-10-05
KR20180119292 2018-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58A true KR20200039558A (ko) 2020-04-16

Family

ID=7045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21A KR20200039558A (ko) 2018-10-05 2019-09-16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5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95323B (zh)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EP3547459A1 (en) 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signal contact unit and ground contact unit are interlocked
US9608388B2 (en) Connector
US7431616B2 (en) Orthogonal electrical connectors
US7186126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US20080102654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with self-aligning, self-fixturing mounting terminals
KR101980975B1 (ko) 접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접지 단자 및 접지 피스를 함께 구비하는 신호 커넥터
EP2330693B1 (en) Electric connector
CN102185220A (zh) 卡缘连接器
EP2946444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backplane connector and daughtercard connector
JP2008535162A (ja) コネクタ装置
US9039449B2 (en) Staggered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US20170331235A1 (en) Connector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US9318858B2 (en)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500853B1 (ko) 평평한 판상 접속 대상물의 접속에 적합한 동축 커넥터
US11031712B2 (en)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equipped with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line conducting enclosure
US8721352B2 (en) System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KR2020000884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8011114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200039558A (ko) 컨텍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20060047763A (ko) 일체형 전자기 간섭 차폐부를 가진 커넥터
KR101667301B1 (ko)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용 커넥터
US9502825B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