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385A -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 Google Patent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385A
KR20200039385A KR1020180119262A KR20180119262A KR20200039385A KR 20200039385 A KR20200039385 A KR 20200039385A KR 1020180119262 A KR1020180119262 A KR 1020180119262A KR 20180119262 A KR20180119262 A KR 20180119262A KR 20200039385 A KR20200039385 A KR 2020003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ademic
information
support
lecture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0948B1 (en
Inventor
문형조
Original Assignee
문형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조 filed Critical 문형조
Priority to KR102018011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948B1/en
Publication of KR2020003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Disclosed is a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of university academic affairs utilizing a connecting function of a university academic affairs management server and a content support server. The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of university academic affairs utilizing a connecting function of a university academic affairs management server and a content support server comprises: a university academic affairs management server sharing a university academic affairs schedule and university academic affairs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and a content support server providing a community service and a university academic affairs content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shared university academic affairs schedule and university academic affairs information. The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of university academic affairs may provide a community function and a university academic affairs content support fun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university academic affairs schedule and university academic affairs information of a university by connecting the university academic affairs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Description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본 발명은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를 연계시켜서 대학교 등의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을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기능 및 학사 콘텐츠 지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ommunity function and a bachelor content support function through an application based on the academy schedule and bachelor information by linking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근래에는 각 업계마다 자신의 업종에 맞는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정작 학사 정보 관리가 복잡한 대학교나 대형 학원 등에서는 강의 정보 등에 따른 학사 정보와 학생들의 출결 사항 등에 대한 관리가 어려워 개선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each industry has developed a variety of efficient management systems and operating methods suitable for their industry, and has been widely used, but in universities and large academies where complex information management is complicated, academic information and student attendance according to lecture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manage matters, so there are insufficient improvement measures.

특히, 방대한 학사 정보들이 효율적으로 수정 및 관리되도록 하면서, 학생, 강사, 교수 및 교직원들에게 해당 학사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이나 관리 방법들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은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In particular, it is a reality that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r management methods capable of accurately providing the bachelor information to students, lecturers, professors, and faculty members while making a vast amount of academic information efficiently corrected and managed is vulnerable. .

이를 개선하고자, 인터넷 웹 사이트로는 교무 관계자에 의해 학사 정보들이 수정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로 배치된 전산 단말기기와 정보 출력 장치들을 통해서는 학생들이 학사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Internet website also allows the academic information to be modified and managed by the school officials, and supports the students to print the academic information through the computer terminals and information output devices.

하지만, 방대한 학사 정보들을 교무 관계자나 서버 관리자들이 일일이 수정하고 관리하기가 어려웠고, 학생이나 교수들의 입장에서도 관련 학사 정보들을 수정하고 수정된 정보들을 각자 찾아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했다.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school officials or server administrators to individually modify and manage the vast academic information, and it was still difficult for students and professors to correct related academic information and find and check the modified information.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수업, 학생 상담, 및 강의 자료 배포 등의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 또한, 강의실마다 별개로 설치되어야 해서 그 설치 비용도 커지고 호환성 문제가 따를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이러한 편의 장치들은 모두 학사 일정이나 학사 정보와는 별개로 학생들이나 강사 및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학사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등과 연계되지 못하고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들이 있었다. Likewise, devices for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project classes, student counseling, and distribution of lecture materials must also be separately installed in each classroom, which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and complies with compatibility problems. In particular, since all of these convenient devices are individually operated and used by students, lecturers, and professors independently of the academic schedule or the academic information, there are problems that need to be managed separately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server managing the academic information.

이에 따라, 근래에는 학사 관리가 가능한 서버의 기능을 더욱 확대시켜 강화하고 별도의 콘텐츠 지원 서버와 연계시켜서, 관리 효율을 거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ment measure capable of further enhanc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by further expanding and strengthening a function of a server capable of undergraduate management and linking it with a separate content support serv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를 연계시켜서 대학교 등의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을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기능 및 학사 콘텐츠 지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linking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to provide a community function and bachelor content support fun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academic calendar and bachelor information, such as universiti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특히, 자동 출석 확인 기능, 프로젝트 수업 자료 배포 기능, 학생 상담 기능을 지원하는 학사 관리 서버 외에도, 콘텐츠 지원 서버를 연계하여 강의 자료 관련 콘텐츠 공유 기능 등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될 수 있도록 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academic management server that supports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function, the project class material distribution function, and the student counsel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ontent support server, the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related to the lecture material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공유하는 학사 관리 서버, 공유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지원서버, 및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제1 이동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tiliz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ared with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sharing the academic schedule and the bachelor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Content support server that provides community service and bachelor content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hat support community service and bachelor content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It includes.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를 연계시켜서 대학교 등의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을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기능 및 학사 콘텐츠 지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tiliz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ffairs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various technical features as described above is linked to the academic affairs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and the academic schedule and the academic affairs of the university.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munity functions and bachelor content support functions through application programs.

특히, 학사 관리 서버의 연계 기능을 통해서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학사 정보들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nection function of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it supports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academic calendar and the academic information, so that users can easily perform management such as checking and modifying the academic information.

이와 더불어,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통해서는 대학의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출석 확인 기능, 프로젝트 수업 자료 배포 기능, 학생 상담 기능, 및 강의 자료 관련 콘텐츠 공유 기능 등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linking function of the content support server, automatic attendance verification function, project class material distribution function, student counseling function, and lecture material related content sharing function through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university's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학사 관리 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학사 관리 서버에서 학사 일정, 강의 및 강의실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학사 정보를 전반적으로 지원하는 화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지원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의 응용 프로그램 지원 및 커뮤니티 설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5는 도 4에 도시된 강좌 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교수나 강사별 강의 정보 및 강의 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은 5는 도 4에 도시된 수강 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강의 별 출석 관리 현황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강의 일정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학생별 강의 일정 지원 화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학생 이력 및 출결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학생별 출결 현황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학생 이력 및 출결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출결 체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커뮤니티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커뮤니티 지원 응용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강의 자료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강의 프로젝트 및 콘텐츠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학습 솔루션 지원부에서 연계 지원하는 학습 지원 응용 프로그램 목록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학습 솔루션 지원부에서 연계 지원하는 전자책 콘텐츠 활용 예를 나타낸 응용 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상담 및 상담 기록 관리부에서 지원하는 학생 상담 및 상담 기능 지원 화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linkage function of a bachelor management server and a content suppor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undergraduate management server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 screen in which the undergraduat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2 supports the undergradu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undergraduate schedule, lectures, and classroom informa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ntent support server illustrated in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support and community setting of the application program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6 is a screen showing the lecture information and lecture schedule for each professor or lecturer supported by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shown in FIG. 4.
7 is a screen show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status of each lecture supported by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shown in FIG.
8 is a lecture schedule support screen for each student supported by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FIG. 9 is a screen showing attendanc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tudent supported by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ttendance check function supported by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FIG. 11 is a community support application screen supported by the community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12 is a screen showing lecture project and content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lecture material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FIG. 13 is a screen showing a list of learning support applications that are jointly supported by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FIG. 14 is an application program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using e-book content supported by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15 is a screen of student counseling and counseling function support supported by the counseling and counseling record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4.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linkage function of a bachelor management server and a content suppor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공유하는 학사 관리 서버(100), 공유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지원서버(200), 및 학생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제1 이동 통신기기(300)를 포함한다. The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provides community service and bachelor content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based on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100 sharing real-time updated academic calendar and academic information, and shared academic calendar and academic information. It includes a content support server 200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o support students to use the community service and the bachelor content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또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은 강사, 교수, 교무 관계자 등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자료들을 업로드하는 복수의 제2 이동 통신기기(400), 및 강의 시간에 프로젝트 수업 자료 및 강의 자료 관련 콘텐츠 자료들을 배포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hel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pports lecturers, professors, and school officials to manage bachelor schedules and bachelor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s, and uploads a plurality of second moves to upload materials for community service and bachelor content service support.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s 500 that support distribution and sharing of project class materials and lecture-related content materials during lecture time.

구체적으로, 학사 관리 서버(100)는 대형 학원이나 대학교 등의 교육 기관에서 학년 및 학과별 학생, 교수와 강사 등의 강의진, 교무 관계자 등의 구성원에 대한 개인 및 소속 정보, 출석, 성적, 진로 상담 내역 등을 학사 정보로 관리한다. 그리고 매년, 매 학기별 수업 일정, 특강 일정, 강의실, 강사진, 학생회 일정, 동아리 활동 일정, 교내 행사 일정 등의 관리 항목들을 학사 일정으로 관리한다. Specifically,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personal and affiliation information, attendance, grades, and career counseling for members such as lecturers, faculty and staff members of students, professors and lecturers by grade and department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large academies or universities. The history is managed as academic information. And each year, management items such as class schedule, lecture schedule, lecture room, lecturer, student council schedule, club activity schedule, and school event schedule are managed by the academic schedule.

학사 관리 서버(100)는 매년, 매 학기, 및 분기 단위로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을 계획하고 설정하며,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서는 실시간으로 변경해서, 변경된 사항들까지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100 plans and sets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on an annual, semester, and quarterly basis, and chang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quest to change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and shares the changed information in real time. .

교수와 강사 등의 강의진은 제2 이동 통신기기(400)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필요에 따라 수업 일정, 특강 일정, 강의실 등에 대한 학사 일정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학사 관리 서버(100)는 소정의 확인 과정을 거쳐 학사 일정을 변경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학생, 교수와 강사 등의 개인 정보 변경 요청시에도 학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학사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변경 및 업데이트 되는 학사 정보와 학사 일정에 대한 정보들을 콘텐츠 지원서버(200)와 공유한다. Lecturers, such as professors and lecturers, can run the application program wit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request to change the academic schedule for class schedules, special lecture schedules, and classrooms, if necessary. Accordingly,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100 may change and share the academic schedule through a predetermined verification process, and may change the academic information even when requesting to chang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students, professors, and lecturers. Subsequently,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100 shares information about the bachelor's information and the academic schedule, which are changed and updated in real time, with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콘텐츠 지원서버(200)는 학사 관리 서버(100)에서 공유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지원서버(200)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기반으로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응용 프로그램 설치 파일 및 소스 파일들을 공유한다. 이에, 복수의 제1 이동 통신기기(300), 복수의 제2 이동 통신기기(400), 및 복수의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 등에서는 콘텐츠 지원서버(200)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소스 및 설치 파일을 내려받아 실행시키고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provides a community service and an academic content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based on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shared by the academic management server 100. Specificall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creates an application capable of supporting a community service and a bachelor content service based on the academy schedule and bachelor information, and shares application installation files and source file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300, the plurality of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400, and the plurality of lecture-supporting terminal devices 500, etc., receive application source and installation files from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You can download, run, and use it.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학생, 교수, 강사 등의 소속별 학사 정보에 따라 학과, 학년, 학부. 동아리, 모임 등의 그룹별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대화창을 지원한다. 그리고 학과 과목별 강의 일정 등의 학사 일정, 강의 정보 등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지원 가능하다. The applications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include departments, grades, and undergraduate departments according to academic information by department, such as students, professors, and lecturers. Supports dialogs for communication by groups such as clubs and meeting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academic schedule, such as lecture schedule for each subject, and lectur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강의 일정, 강의 시간 및 장소 변경,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 등을 변경 요청하거나 해가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출석부, 사진첩 등 관리, 리포트 확인 및 평가, 수업 평가, 학습태도 평가, 강의 만족도 설문, 교수 평가, 학생 성적 평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 applic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request changes to lecture schedules, lecture time and place changes, reinforcements, special lecture schedules, special lecture places, etc., or to add the year. In addition, management of attendance department, photo album, etc., report confirmation and evaluation, class evaluation, learning attitude evaluation, lectur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eaching evaluation, and student grade evaluation can be supported.

특히,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출결 관리 기능, QR 코드를 이용한 출결확인 및 관리,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 등의 패드를 이용한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응응 프로그램을 통한 출결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출결 확인 기능, 유고 결석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application program includes attendance management function, confirmation and management of attendance using a QR code, function to confirm attendance with a check number using a pad such as a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and attendance using a attendance check number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t can support to perform the function of checking, the attendance checking function, the yugo absence management function, and the like.

또한,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프로젝트 수업에 필요한 프로젝트 교육 자료 배포, 강의 지원 자료 배포, 리포트 확인 및 평가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 이력 관리, 상담 신청 및 상담 일정 수립, 상담 수행 및 상담 결과 보고서(또는 리포트) 작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as an applic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distribution of project training materials necessary for project classes, distribution of lecture support materials, repo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func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it supports student history management, counseling application and counseling schedule establishment, counseling performance, and counseling result report (or report) creation function.

학사 일정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는 응용 프로그램 화면에 수강 신청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지원하고, 학생들의 수강 신청 결과에 따라서는 신청된 강의 일정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최종 결정된 학사 일정과 연계하여 일, 주, 월, 분기, 및 학기별로 학사 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 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다. 이어, 특강이나 보강 수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신청 화면을 지원한 후, 보강 과목이나 특강 및 강의 변경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As a function to check and manage the academic schedule, the application application page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the requested application schedul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screen to check the academic schedule by day, week, month, quarter, and semester in connection with the final determined academic schedule. Subsequently, after applying for an application screen to apply for special lectures or reinforcement classes, a notification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urrent status of reinforcement subjects, special lectures, and lectures can be checked in real time.

이와 더불어,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대외 체험 활동 지원, 봉사활동 지원, 체험 활동과 봉사 활동 정보 공유, 학과별, 과목별,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 생성 및 지원, 필수 학습 콘텐츠 정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현장 학습 실습 솔루션 신청, 및 현장 학습 및 실습 신청을 위해서는 연계 가능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 사이트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자책 기능, 및 전자책의 빅 데이터 활용 기능과 연계시켜, 응용 프로그램 이용이 가능한 학생, 교수, 강사, 교무 관계자 등이 모두 전자책 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콘텐츠 지원서버(200)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gram can support external experience activities, support volunteer activities, share experience activities and volunteer information, create and support essential learning content for each department, subject, major, and essential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upport linking with other applications or websites that can be linked to apply for a field study training solution and for field study and training applications. In addition, by linking with the e-book function and the big data utilization function of the e-book,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who can use the application can all use the e-book function.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progra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복수의 제1 이동 통신기기(300)는 대형 학원이나 대학교 등의 교육 기관에 입학하거나 소속된 학생들이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기로서, 스마트폰 등의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가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이 소지한 제1 이동 통신기기(300)에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한 후, 로그인 정보를 통해 인증받고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300 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used by students entering or belonging to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large academies or universities, and table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may be used. Students can install and run the application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on their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n authenticate and use the application through login information.

학생들은 제1 이동 통신기기(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그룹별 대화창 외에도 학사 일정 확인, 출석 체크, 출결 정보 및 성적 확인, 수업 관련 콘텐츠 다운로드, 현장 학습 및 솔루션 신청, 전자책 활용 등의 다양한 기능 등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 Students can use various community services and academic content services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through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he group-specific dialogue window for community activation, you can check and use various functions such as checking the academic schedule, checking attendance, checking attendance information and grades, downloading class-related content, applying for field study and solutions, and using e-books.

복수의 제2 이동 통신기기(400)는 해당 교육 기관에 소속 및 등록된 강사, 교수, 교무 관계자 등이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 등이 될 수 있다. 강사, 교수, 교무 관계자 등은 자신이 소유한 제2 이동 통신기기(400)에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한 후, 로그인 정보를 통해 인증받고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400 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used by lecturers, professors, and school officials belonging to and registered with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may be table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 Instructors, professors, school officials, etc. install and run the application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on their own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n authenticate and use the application through login information. have.

강사, 교수, 교무 관계자 등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자료들을 업로드할 수 있다. 강사, 교수, 교무 관계자 등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 일정이나 학사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사 일정을 확인하고 학생들에 대한 학사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의실 정보, 보강 및 특강 정보 등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콘텐츠 자료, 프로젝트 수업 자료 등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현장 학습 및 솔루션 신청, 전자책 활용 등의 다양한 기능 등을 확인하고 수행할 수 있다. Instructors, professors, school officials, etc. can support the management of academic schedules and academic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 programs, and upload materials for supporting community services and academic content services. Instructors, professors, school officials, etc. can register the academic calendar or academic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nd request corrections if necessary. That is,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you can check the academic calendar and also check the academic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check and change classroom information, reinforcement, and special lecture information. In addition, you can upload learning content materials, project class materials, etc., and check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on-site learning, solution application, and e-book use, as well as students.

복수의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는 강의 시간에 프로젝트 수업 자료 및 강의 자료 관련 콘텐츠 자료들을 배포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기로서,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나 프로젝트 표시장치, 강의실 PC, 문서 확인 및 출력기기 등이 될 수 있다. 강사, 교수, 교무 관계자 등은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를 통해 학습 자료나 학습 콘텐츠, 프로젝트 수업 자료 등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강의 시간에 강의 자료를 표시해 수업이 진행되도록 수 있다. A plurality of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is a terminal device that supports distribution and sharing of project class materials and lecture-related content materials during lecture time, such as a table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project display device, lecture room PC, document confirmation and It can be an output device. Lecturers, professors, school officials, etc. can upload learning materials, learning content, project class materials, etc. through the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and display class materials at class time so that classes can be conduct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학사 관리 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학사 관리 서버에서 학사 일정, 강의 및 강의실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학사 정보를 전반적으로 지원하는 화면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undergraduate management server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screen in which the undergraduat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2 supports the undergradu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academic calendar, lectures, and classroom information.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사 관리 서버(100)는 학사 일정 및 강의 시간 정보 DB(110), 강의실 사용 정보 DB(120), 학생 출결 정보 DB(140), 및 교수 정보 DB(150) 등을 포함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the academic calendar and lecture time information DB 110, classroom use information DB 120, 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DB 140, and professor information DB 150. ) And the like.

학사 일정 및 강의 시간 정보 DB(110)는 학부, 학과, 학년, 학생, 과목, 교수, 강사 정보 등에 따른 강의 목록과 일정을 설정, 변경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 화면을 통해서 학부, 학과, 학년, 학생, 과목, 교수, 강사별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학사 정보들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 academic schedule and lecture time information DB 110 may set, change, and store lecture lists and schedules according to the department, department, grade, student, subject, professor, and lecturer information.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3, it is supported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grade, student, subject, faculty, and instructor, respectively, on the screen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r a web screen.

강의실 사용 정보 DB(120)의 경우는 학부, 학과, 학년, 학생, 과목, 교수, 강사 정보 등에 강의 일정에 따라 강의실 정보를 배치하고 변경 및 저장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lassroom use information DB 120, the classroom information is arranged, chang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department, department, grade, student, subject, professor, and lecturer information.

학사 일정 및 강의 시간 정보 DB(110)와 강의실 사용 정보 DB(120)는 서로 연계되어, 매년, 매 학기별 수업 일정, 특강 일정, 강의실, 강사진, 학생회 일정, 동아리 일정, 행사 일정 등의 관리 항목들을 학사 일정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매년, 매 학기 단위로 설정된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을 저장하며,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서는 실시간으로 변경해서, 변경 사항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Academic schedule and lecture time information DB (110) and classroom use information DB (120)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each year, every semester, class schedule, special lecture schedule, lecture room, lecturer, student council schedule, club schedule, event schedule, etc. You can manage them on an academic schedule. In particular, each year, the academic schedule and the academic information set in units of each semester are stored, an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quest to change the academic schedule and the academic information, changes can be shared in real time.

학생 정보 DB(130)는 학생들 각각에 대한 학사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바, 학생들의 학부, 학과, 동아리 및 단체별 소속 정보, 성적, 진로 상담 내역 등을 학사 정보로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학생 정보 DB(130)는 학년별, 학과별, 학부별, 강의 별, 동아리별, 특수 단체 또는 모임별로 그룹을 설정하고 소속 학생들을 구분 및 분류한다. 그리고 그룹별로 각 학생들의 리스트를 관리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학생별로 분류된 분류 정보와 성적 평가 정보 또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고 저장할 수 있다. The student information DB 130 updates and stores the bachelo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tudents,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belonging to each faculty, department, club, and organization, grades, and career counseling information as bachelor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student information DB 130 sets a group for each grade, department, department, lecture, club, special group, or group and classifies and classifies students. And you can manage and update the list of each student by group. In addi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each student and grade evaluation information can also be updated and stored in real time.

학생 정보 DB(130)는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지원하는바, 콘텐츠 지원서버(200)에 학생의 학사 정보를 제공하여 학부, 학과, 학년, 동아리 등의 그룹별로 대화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학생과 강사 및 교수 간의 커뮤니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계 관계 정보를 콘텐츠 지원서버(200)로 공유할 수 있다. The student information DB 130 supports community services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and thus provides the student's academic information to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to open a dialog window for each group such as faculty, department, grade, club, etc. You can apply to help. In addition, linkage information may be shared with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so that a community between the student, the lecturer, and the professor can be formed.

학생 출결 정보 DB(140)는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출결 관리 기능, QR 코드를 이용한 출결 확인 기능,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 등의 패드를 이용한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응응 프로그램을 통한 출결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출결 확인 기능, 유고 결석 관리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학생 출결 정보 DB(140)는 콘텐츠 지원서버(200)와 실시간 연계되어 각 학생들의 수강 과목별 출결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공유하게 된다. The 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DB 140 includes a function for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a function for confirming attendance using a QR code, and a function for confirming attendance using a check number using a pad such as a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It supports the function of confirming attendance with the attendance check number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ttendance confirmation function, and function for managing absence attendance. To this end, the 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DB 140 is linked with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in real time to update and share attendance information for each student.

교수 정보 DB(150) 또한 콘텐츠 지원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출결 관리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바, 강사 또는 교수별 학사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출결정보를 콘텐츠 지원서버(200)와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The faculty information DB 150 also supports the attendance management function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so that the academic information for each instructor or professor is updated, and the updated attendance information is supported b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And share in real tim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지원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ntent support server illustrated in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지원서버(200)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도록 실행 파일과 소스 파일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210), 학부, 학과, 학년, 교과목에 따라 강의 과목을 설정하고 각 과목별 강의 일정을 수립하는 강좌 관리 지원부(211), 강의 일정에 따라 학생들이 수강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강 과목별로 학생들의 학사 정보와 교수 또는 강사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강생 관리 지원부(212), 학사 일정 변경에 따라 강의 일정, 강의 시간 및 장소 변경,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 등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의 일정 지원부(221), 및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요청되는 학사 일정 변경 요청에 따라 학사 일정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학사 일정을 변경시키는 학사 일정 변경 지원부(22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sets lecture subjec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upport unit 210, the department, the department, the grade, and the subject that supports the executable file and the source file so that the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And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211), which establishes the lecture schedule for each subject, supports students to select courses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and supports the sharing of students' academic information and professor or lecturer information for each course. Through the student management support unit 212,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221 to assist in changing or adding lecture schedules, lecture time and place changes, reinforcement, special lecture schedules, special lecture places, etc. According to the request to change the requested academic schedule, the academic schedule change support unit 222 that determines whether the academic schedule can be changed and changes the academic schedule is determined. Includes.

또한, 콘텐츠 지원서버(200)는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의 소속과 학사 정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이력 관리, 및 출결 사항이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213), 학과, 학년, 학부. 동아리, 모임에 따른 그룹별로 커뮤니티 대화창이 실행되도록 지원하는 커뮤니티 지원부(223), 학과별, 과목별,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필수 학습에 필요한 콘텐츠 자료들을 응용 프로그램으로 지원하는 강의 자료 지원부(214),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학습 실습 솔루션 신청, 및 현장 학습 및 실습을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 및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과 교수 간의 상담 신청 및 상담 일정 수립, 상담 수행 및 상담 결과 보고서 작성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담 및 상담 기록 관리부(21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is a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supporting the student history management and attendance management thr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and academic information of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 213), Department, Grade, Undergraduate. Community support unit (223), which supports community dialogues to be executed by groups according to clubs and meetings, lecture material support unit (214) that creates essential learning content for each department, subject, and major, and supports necessary content materials as applications ), Application for a field study practice solution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supporting application for field study and practice, and application and consultation schedule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through the application, consultation execution and consultation results It includes a counseling and counseling record management unit 215 to support the report writing func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의 응용 프로그램 지원 및 커뮤니티 설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support and community setting of the application program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지원서버(200)는 학사 관리 서버(100)에서 공유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지원서버(200)는 학사 정보에 따라 학과, 학년, 학부, 수강 과목, 동아리 등의 동호회나 모임 등에 따른 그룹별로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들을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된 각각의 그룹별로 커뮤니티가 구성되도록 지원한다. As shown in FIG. 5,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generates an application to support community services through an application based on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shared by the academic management server 100. Specifically, the content support server 200 may classify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according to groups according to clubs or meetings such as departments, grades, undergraduates, courses, clubs, etc. according to academic information. And it supports to organize the community for each classified group.

이를 위해, 먼저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210)에서는 커뮤니티 서비스가 지원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1 이동 통신기기(300), 제2 이동 통신기기(400), 및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에서 각각 내려받아 설치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o this end, first, the application support unit 210 downloads and installs applications for which community service is suppor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respectively. And support.

강좌 관리 지원부(211)에서는 학부, 학과, 학년, 교과목에 따라 강의 과목을 설정하고 각 과목별 강의 일정을 수립한다.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211 sets lecture courses according to departments, departments, grades, and subjects, and establishes lecture schedules for each subject.

도 6은 5는 도 4에 도시된 강좌 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교수나 강사별 강의 정보 및 강의 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6 is a screen showing the lecture information and lecture schedule for each professor or lecturer supported by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shown in FIG. 4.

도 6을 참조하면, 강좌 관리 지원부(211)는 학부, 학과, 학년, 교과목에 따라 강의 과목을 설정하고, 각 과목별 강의 일정을 수립하여 수강 신청 전에 강의 일정에 따라 학생들이 수강 과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지원한다. 또한, 각 강의 별 관련 정보들을 표시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211 sets lecture courses according to departments, departments, grades, and subjects, and establishes lecture schedules for each subject, so that students can check courses according to the course schedule before applying for classes. Support screen.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each lecture is display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facilitate selection.

도 7은 5는 도 4에 도시된 수강 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강의 별 출석 관리 현황을 나타낸 화면이다. 7 is a screen show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status of each lecture supported by the course management support unit shown in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강생 관리 지원부(212)에서는 강의 일정에 따라 학생들이 수강 과목을 선택 및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 프로그램을 통해서 신청된 수강 과목별로 학생들의 학사 정보와 교수 또는 강사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s shown in FIG. 7, the student management support unit 212 supports students to select and apply for courses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In addition, students' academic information and faculty or instructor information are shared for each course subject applied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r a web program.

이러한 수강생 관리 지원부(212)에서는 최종 결정된 학사 일정과 연계하여 일, 주, 월, 분기, 및 학기별로 학사 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해줄 수 있다. 이어, 특강이나 보강 수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신청 화면을 지원한 후, 보강 과목이나 특강 등의 강의 변경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The student management support unit 212 may display through the application to check the academic schedule for each day, week, month, quarter, and semester in connection with the final determined academic schedule. Subsequently, an application screen may be provided to apply for special lectures or reinforcement classes, and a notification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real-time status of lecture changes such as reinforcement subjects or special lectures can be checked in real time.

도 7과 같이, 제1 이동 통신기기(300)와 제2 이동 통신기기(400)를 통해서는 수강 신청 화면을 확인해서 수강 신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강 신청 결과에 따라서는 강의 일정을 표시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는 최종 결정된 학사 일정과 연계하여 일, 주, 월, 분기, 및 학기별로 학사 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roug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the course registration screen can be checked to perform the course registration, and the course schedul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urse registration result. Can be confirmed by In this case,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check the academic schedule by day, week, month, quarter, and semester in connection with the final determined academic schedule.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강의 일정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학생별 강의 일정 지원 화면이다. 8 is a lecture schedule support screen for each student supported by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8을 참조하면, 강의 일정 지원부(221)에서는 학사 일정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수강 신청 화면을 지원하고, 학생들의 수강 신청 결과에 따라 강의 일정이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221 supports a function to check and manage the academic schedule, and supports the course registration scree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schedule of lectures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course registration. Can be displayed.

특히, 강의 일정 지원부(221)는 학사 일정 변경에 따라 강의 일정, 강의 시간 및 장소 변경,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 등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는 강의 일정 지원부(221)는 학사 일정 변경에 따라 강의 일정, 강의 시간 및 장소 변경,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 등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particular,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221 supports changing or adding lecture schedules, lecture time and place changes, reinforcement, special lecture schedules, special lecture places, etc.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cademic schedule. In this case,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221 supports changing or adding lecture schedules, lecture time and place changes, reinforcement, special lecture schedules, special lecture places, etc.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cademic schedule.

교수나 강사들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 등을 변경하거나 추가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강의 일정 지원부(221)는 변경 및 추가 요청에 따라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가 변경되면, 변경 내용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Faculty or instructors can change or additionally request reinforcement, lecture schedules, lecture locations, etc.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ly, the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221 supports to display the changes on the screen when the reinforcement, the special lecture schedule, and the special lecture place are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or additional request.

반면, 학사 일정 변경 지원부(222)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로부터 요청되는 학사 일정 변경 요청에 따라 학사 일정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학사 일정을 변경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변경 사항들에 대해서는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표시하여 학생들이나 교수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cademic schedule change support unit 222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cademic schedu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academic schedule change request from the students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to change or maintain the academic schedule. Likewise, the changes ar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screen so that students or professors can check them.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학생 이력 및 출결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학생별 출결 현황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FIG. 9 is a screen showing attendanc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tudent supported by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213)는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의 소속과 학사 정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이력 관리, 및 출결 사항이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s illustrated in FIG. 9,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213 enables the management of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thr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and academic information of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Apply.

또한,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213)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출석부 관리, 사진첩 관리, 리포트 확인 및 평가, 수업 평가, 학습태도 평가, 강의 만족도 설문, 교수 평가, 학생 성적 평가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213 may perform attendance management, photo album management, repo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class evaluation, learning attitude evaluation, lecture satisfaction survey, teaching evaluation, and student grade evaluation function through an application. Support.

강사나 교수들은 응용 프로그램 화면을 통해 출석부 관리, 사진첩 관리, 리포트 확인 및 평가, 수업 평가, 학습태도 평가, 강의 만족도 설문, 학생 성정 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학생들은 응용 프로그램 화면을 통해 교수 평가, 강의 만족도 평가, 평가 점수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structors and professors can perform attendance management, photo album management, repo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class evaluation, learning attitude evaluation, lecture satisfaction survey, and student evalu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On the other hand, students can perform faculty evaluation, lecture satisfaction evaluation, and evaluation score checking fun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학생 이력 및 출결관리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출결 체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ttendance check function supported by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213)에서는 응응 프로그램을 통한 출결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교수나 강사는 제2 이동 통신기기(400), 및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 등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랜덤하게 출결 체크 번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학생들은 제1 이동 통신기기(400)의 응용 프로그램상에 출결 체크 번호를 기입하여 출석을 체크할 수 있다. 이렇게 체크된 출결 정보는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213)에 저장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213 supports a function of confirming attendance by using a attendance check number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Specifically, the professor or instructor may generate a random attendance check number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throug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Accordingly, students may check attendance by entering an attendance check number on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The checked attendan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213.

이 외에도,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213)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한 출결 확인 및 관리,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 등의 패드를 이용한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출결 확인 기능, 유고 결석 관리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to this,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213 checks and manages attendance using a QR code, checks attendance with a check number using a pad such as a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attendance confirmation function, and attendance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s functions and so on.

QR 코드를 이용한 출결 확인 기능은 강의 지원 단말기기(500) 등의 패드를 통해 QR 코드를 발생시키고, 학생들이 제1 이동 통신기기(400)로 QR 코드를 인지시켜 출석이 체크 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출력 체크 정보는 실시간으로 학사 정보 확인 화면으로 확인 가능하다. The attendance confirmation function using a QR code is a function that generates a QR code through a pad such as a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500, and allows students to recognize the QR code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check attendance. This output check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on the academic information confirmation screen.

유고 결석 관리 기능은 출석률이 낮은 학생에 대한 유고 상태를 교수나 강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예를 들면, 특정 과목에 대한 출석률, 다수 과목들과 대비된 평균 출석률 등이 고려되어 학적 상태를 예상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The yugo absence managemen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enables a professor or lecturer to check the yugo status of a student with a low attendance rate. For example, it is a function that allows students to predict and judge their academic status by considering the attendance rate for a specific subject and the average attendance rate compared to many subjects.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커뮤니티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커뮤니티 지원 응용 프로그램 화면이다. FIG. 11 is a community support application screen supported by the community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커뮤니티 지원부(223)는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의 소속과 학사 정보에 따라 학과, 학년, 학부. 동아리, 모임에 따른 그룹별로 커뮤니티 대화창이 실행되도록 지원한다. The Community Support Department (223) is based on the affiliation and academic information of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Supports the community dialogue window to be executed for each group according to clubs and meetings.

따라서,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들은 응용 프로그램의 그룹별 대화창을 통해 자신이 소속된 그룹의 인원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그룹별 대화창을 통해, 학습 콘텐츠와 리포트 자료 등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학사 일정이나 변경된 학사 정보 등의 내용을 교류할 수 있다. Therefore,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can chat with the people in their group through the application-specific dialogue window. In addition, through the dialogue window for each group, it is possible to share learning content and report materials, and exchange information such as the academic schedule or changed academic information.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들은 학사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자신이 속한 그룹별로 소속되어 대화창을 이용할 수 있고, 필수로 소속되는 그룹 외에도 별도로 추가 그룹을 형성하여 대화창을 개설할 수도 있다.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can automatically use the dialog by belonging to each group to which they belong, according to the academic information, and can also open a dialog by forming an additional group in addition to the required group.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강의 자료 지원부에서 지원하는 강의 프로젝트 및 콘텐츠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다. 12 is a screen showing lecture project and content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lecture material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자료 지원부(214)는 학과별, 과목별,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필수 학습에 필요한 콘텐츠 자료들을 응용 프로그램으로 지원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lecture material support unit 214 generates essential learning content for each department, subject, and major, and supports content materials necessary for essential learning as an application program.

구체적으로, 강의 자료 지원부(214)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젝트 수업에 필요한 프로젝트 교육 자료, 및 강의 지원 자료 등이 배포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선택적으로 리포트 확인 및 평가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pecifically, the lecture material support unit 214 supports the distribution of project training materials and lecture support materials necessary for project classes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erform repo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functions.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학습 솔루션 지원부에서 연계 지원하는 학습 지원 응용 프로그램 목록을 나타낸 화면이다. FIG. 13 is a screen showing a list of learning support applications that are jointly supported by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학습 실습 솔루션 신청, 및 현장 학습 및 실습을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supports application for a field learning practice solution and an application for field learning and practic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구체적으로,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대외 체험 활동 지원 목록, 봉사활동 지원 목록 등을 공유하여, 대외 체험 활동이나 봉사 활동 등을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체험 활동과 봉사 활동 정보를 공유하고, 학과별, 과목별,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를 확인하고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pecifically,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supports the application for external experience activities or volunteer activities by sharing an external experience activity support list, a volunteer activity support list, and the lik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information on experience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is shared, and it is supported to identify and complete required learning contents by department, subject, and major.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 정보는 해당 학과에서 꼭 이수해야 하는 체험 활동이나 현장 실습 활동 및 현장 교육 등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학생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하거나,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ssential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for each major can be experience activities, field training activities, and field education that must be completed in the department. In this way,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supports students to check and apply for the required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r to complete.

한편,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현장 학습 실습 솔루션 신청, 및 현장 학습 및 실습 신청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연계 가능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 사이트로 바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may support to be directly connected to other applications or websites that can be linked, in order to support the field learning practical solution application and the field learn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function.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학습 솔루션 지원부에서 연계 지원하는 전자책 콘텐츠 활용 예를 나타낸 응용 프로그램 화면이다. FIG. 14 is an application program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using e-book content supported by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전자책 기능, 및 전자책의 빅 데이터 활용 기능을 직접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에 연계시키거나, 전자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화면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 이에, 응용 프로그램 이용이 가능한 학생, 교수, 강사, 교무 관계자 등은 모두 전자책의 연계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4,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is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capable of directly linking the e-book function and the big data utilization function of the e-book to an application or performing an e-book function. Can be linked. Accordingly,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who can use the application program all support to use the linkage function of the e-book.

전자책의 빅 데이터 활용 기능은 선택된 책에 포함된 단어, 용어, 문장 등을 빅데이터로 추출하여, 해당 책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 및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전자책의 빅 데이터 활용 기능을 통해, 각각의 전자책에 대한 분류정보, 난이도 정보 등이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 e-book's big data utilization function is a function that extracts words, terms, and sentences contained in the selected book into big data,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book can be checked and understood in advance.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supports the sharing of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difficulty information for each e-book through the use of the big data of the e-book.

반면, 학습 솔루션 지원부(224)는 전자책의 빅 데이터 활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화면으로 연계시켜, 전자책의 빅 데이터 활용 기능이 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224 may support the use of the big data utilization function of the e-book by linking it to a site or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capable of performing the big data utilization function of the e-book.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상담 및 상담 기록 관리부에서 지원하는 학생 상담 및 상담 기능 지원 화면이다. 15 is a screen of student counseling and counseling function support supported by the counseling and counseling record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4.

상담 및 상담 기록 관리부(215)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과 교수 간의 상담 신청 및 상담 일정 수립, 상담 수행 및 상담 결과 보고서 작성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학생들과 교수들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이력 관리, 상담 신청 및 상담 일정 수립, 상담 수행 및 상담 결과 보고서 작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unseling and counseling record management unit 215 supports the application and counseling schedule between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unseling performance, and the counseling result reporting function. Accordingly, students and professors can perform student history management, counseling application and counseling schedule establishment, counseling performance, and counseling result report function through application progra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뮤니티 기능 및 학사 콘텐츠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은 대학의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기능 및 학사 콘텐츠 지원 기능 등을 학생, 강사, 교수 및 교직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ommunity function and the academic content link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mmunity function and the academic content support function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academic calendar and academic information of the university, etc. Will be available to students, instructors, faculty and staff.

또한, 학생, 강사, 교수 및 교직원들이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학사 정보들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tudents, lecturers, professors, and faculty members can perform management such as easily checking and correcting academic information by using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이와 더불어, 대학의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들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출석 확인 기능, 프로젝트 수업 자료 배포 기능, 학생 상담 기능, 및 강의 자료 관련 콘텐츠 공유 기능 등을 학생, 강사, 교수 및 교직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tudents, instructors, professors, and faculty members are provided with automatic attendance verification, project class material distribution, student counseling, and lecture-related content sharing through applications linked to the university's academic calendar and academic information. Can provide.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 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at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Claims (8)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공유하는 학사 관리 서버;
상기 공유되는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및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지원서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및 상기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제1 이동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Bachelor management server to share the academic schedule and academic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A content support server that provides community service and bachelor content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based on the shared bachelor schedule and bachelor information; And
And a plurality of fir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community service and the bachelor content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학사 일정 및 학사 정보를 수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및 상기 학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들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제2 이동 통신기기; 및
강의 시간에 프로젝트 수업 자료 및 강의 자료 관련 콘텐츠 자료들을 배포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강의 지원 단말기기를 더 포함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eco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correction and management of the academic schedule and the academic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nd uploading of materials for providing the community service and the academic content ser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to support the distribution and sharing of project materials and lecture materials related content during lecture time,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사 관리 서버는
학부, 학과, 학년, 학생, 과목, 교수, 강사 정보 등에 따른 강의 목록과 일정을 설정, 변경 및 저장하는 학사 일정 및 강의 시간 정보 DB;
상기 학부, 학과, 학년, 학생, 과목, 교수, 강사 정보 등에 강의 일정에 따라 강의실 정보를 배치하고 변경 및 저장하는 강의실 사용 정보 DB;
상기 각 학생들에 대한 학사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학생 정보 DB;
상기 각 학생들의 수강 과목별 출결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저장하는 학생 출결 정보 DB; 및
상기 강사 또는 교수별 학사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저장하는 교수 정보 DB를 포함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achelor management server
Academic schedule and lecture time information DB for setting, changing and saving lecture list and schedule according to undergraduate, department, grade, student, subject, professor, lecturer information, etc .;
A classroom usage information DB for arranging, changing, and storing classroo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department, department, grade, student, subject, professor, and lecturer information;
A student information DB that updates and stores bachelor information for each student;
A 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DB for updating and storing attendance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of the students; And
The faculty information DB for updating and storing the instructor or faculty-specific bachelor information,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지원서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가능하도록 실행 파일과 소스 파일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
학부, 학과, 학년, 교과목에 따라 강의 과목을 설정하고 각 과목별 강의 일정을 수립하는 강좌 관리 지원부;
강의 일정에 따라 학생들이 수강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강 과목별로 학생들의 학사 정보와 교수 또는 강사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강생 관리 지원부;
학사 일정 변경에 따라 강의 일정, 강의 시간 및 장소 변경, 보강, 특강 일정, 특강 장소 등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의 일정 지원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요청되는 학사 일정 변경 요청에 따라 학사 일정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학사 일정을 변경시키거나 유지시키는 학사 일정 변경 지원부를 포함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support server
An application support unit supporting executable files and source files to enabl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Course management support department that sets lecture courses according to departments, departments, grades, and subjects, and sets lecture schedules for each subject;
A student management support unit that supports students to select courses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lectures, and allows students to share their academic information and professor or lecturer information for each course;
A lecture schedule support unit to change or add lecture schedules, lecture time and place changes, reinforcement, special lecture schedules, special lecture places, etc.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ademic schedule; And
Including the academic schedule change support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academic schedule according to a request to change the academic schedule requested through the application, to change or maintain the academic schedule,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지원서버는
상기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의 소속과 상기 학사 정보에 따라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이력 관리, 및 출결 사항이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
상기 학생, 교수, 강사, 및 교무 관계자의 소속과 상기 학사 정보에 따라 학과, 학년, 학부. 동아리, 모임에 따른 그룹별로 커뮤니티 대화창이 실행되도록 지원하는 커뮤니티 지원부;
학과별, 과목별,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필수 학습에 필요한 콘텐츠 자료들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으로 지원하는 강의 자료 지원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학습 실습 솔루션 신청, 및 현장 학습 및 실습을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솔루션 지원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과 교수 간의 상담 신청 및 상담 일정 수립, 상담 수행 및 상담 결과 보고서 작성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담 및 상담 기록 관리부를 포함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support server
A student history management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unit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thr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of the student, professor, lecturer, and school official;
Departments, grades, and undergraduate departments according to the affiliations of the students, professors, lecturers, and school officials and the above information. A community support unit that supports a community dialogue window for each group according to a group or meeting;
A lecture material support unit that generates essential learning content for each department, subject, and major, and supports content materials necessary for essential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A learning solution support unit supporting application for a field study practice solution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 field study and practice application; And
Through the application, including a counseling and counseling record management unit to support the counseling application and counseling schedule between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to perform the counseling and counseling results report function,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이력 및 출결 관리 지원부는
응응 프로그램을 통한 출결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QR 코드를 이용한 출결확인 및 관리 기능, 강의 지원 단말기기를 이용한 체크 번호로 출결을 확인하는 기능, 출결 확인 기능, 유고 결석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tudent history and attendance management support department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of confirming attendance using the attendance check number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attendance verification and management function using a QR code, the function of confirming attendance by the check number using the lecture support terminal device, the attendance verification function, and the Yugo absence management function To help the function be performed,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자료 지원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젝트 수업에 필요한 프로젝트 교육 자료, 및 강의 지원 자료가 배포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선택적으로 리포트 확인 및 평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lecture materials support department
Support the project training materials and lecture support materials required for project classes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Supporting the repo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function selectively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자료 지원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대외 체험 활동 지원 목록, 봉사활동 지원 목록 등을 공유하여, 대외 체험 활동이나 봉사 활동 등을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체험 활동과 봉사 활동 정보를 공유하며, 학과별, 과목별, 전공별 필수 학습 콘텐츠를 확인하고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lecture materials support department
Through the above application, you can share the external experience activity support list, volunteer activity support list, etc., and apply to apply for external experience activities or volunteer activities,
Sharing experiences and volunteer activities information, and helping students identify and complete required learning content by department, subject, and major.
Academ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nkage function of the academic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content support server.
KR1020180119262A 2018-10-05 2018-10-05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KR102330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62A KR102330948B1 (en) 2018-10-05 2018-10-05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62A KR102330948B1 (en) 2018-10-05 2018-10-05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85A true KR20200039385A (en) 2020-04-16
KR102330948B1 KR102330948B1 (en) 2021-11-30

Family

ID=7045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62A KR102330948B1 (en) 2018-10-05 2018-10-05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9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072B1 (en) 2021-08-11 2022-01-18 주식회사 투비유니콘 Shopping-mall system of flatform that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s student
KR102376790B1 (en) 2021-08-11 2022-03-21 주식회사 투비유니콘 System for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s stud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58A (en) * 2001-07-21 2001-08-30 -- Multi-administration remote education system offering mutual interface among parents of students, sons and daughters, teacher and superintendent
JP2004157836A (en) * 2002-11-07 2004-06-03 Nec Corp Classroom reservation/change system, classroom reservation/change server and program
KR101123363B1 (en) * 2011-02-14 2012-03-23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Unmanned systems of integrated management for video and audio devices
KR20130103928A (en) * 2012-03-12 2013-09-25 이재열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al affair management using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the same
KR20150001228A (en)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유시스 A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ttendance using QR code on mobile terminals
KR20150027709A (en) * 2013-08-30 2015-03-12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 Education Providing System for University Education
KR20150069206A (en) * 2013-12-13 2015-06-23 이준성 Common knowledge particip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ool of real time using mobile apparatus
KR20170053229A (en) * 2015-11-06 2017-05-16 김동현 Smart attendance managing and scheduling method associated with university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58A (en) * 2001-07-21 2001-08-30 -- Multi-administration remote education system offering mutual interface among parents of students, sons and daughters, teacher and superintendent
JP2004157836A (en) * 2002-11-07 2004-06-03 Nec Corp Classroom reservation/change system, classroom reservation/change server and program
KR101123363B1 (en) * 2011-02-14 2012-03-23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Unmanned systems of integrated management for video and audio devices
KR20130103928A (en) * 2012-03-12 2013-09-25 이재열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al affair management using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the same
KR20150001228A (en)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유시스 A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ttendance using QR code on mobile terminals
KR20150027709A (en) * 2013-08-30 2015-03-12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 Education Providing System for University Education
KR20150069206A (en) * 2013-12-13 2015-06-23 이준성 Common knowledge particip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ool of real time using mobile apparatus
KR20170053229A (en) * 2015-11-06 2017-05-16 김동현 Smart attendance managing and scheduling method associated with universit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072B1 (en) 2021-08-11 2022-01-18 주식회사 투비유니콘 Shopping-mall system of flatform that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s student
KR102376790B1 (en) 2021-08-11 2022-03-21 주식회사 투비유니콘 System for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s stud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948B1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ley et al. Building capac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large class pedagogy (LCP) in Sub-Saharan Africa
US20090291426A1 (en) Educational system for presenting one or more learning units to student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Boggs et al. Diffusing Change: Implementing a University-Wid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ransition at a Public University
KR101576468B1 (en) After-school ag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30948B1 (en)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ty function of university management server and contents support server
Pattanayak et al. Empowering of ICT-based education system using cloud computing
Whitley et al. Educating future leaders of the sport-based youth development field
Henscheid et al. Reflection, integration, application: Intentional design strategies for senior capstone experiences
Smith et al. Delivering advanced technical education using online, immersive classroom technology
US202003650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al courses and curriculum
Imperatore CTE: Creatively supporting rural communities
Alvi et al. Automated course management system
Hawk et al. SECTIONS Model: Strategizing technology-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therapist education
Buczynski et al. Developing faculty ICT competencies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Čampelj et al. Report on Smart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Slovenia
Fridley et al. Implementing a One-to-One Technology Initiative in Higher Education.
Ivanova et al. Report on Smart Education in Latvia
Seeber Using assessment results to reinforce campus partnerships
KR102498045B1 (en) Groupware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Information to Teacher and Student
Camba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e curriculum alignment process: The case of the college of business at Abu Dhabi University
Hoskins The anatomy of online offerings
Yaskin et al. Blackboard Learning System™(Release 6)
Adams et al. THE DIGITAL UPSIDE TO THE PANDEMIC LOCKDOWN: CREATING DIGITAL EQUITY THROUGH NATIVE LANGUAGE SUPPORT AT TYSON FOODS
Gates et al. Roadmap for graduating students with expertise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secure cyber-systems
Bulaclac et 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Tools used by Universities in the Philippines: A SWOT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