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791A - Mouth prop - Google Patents

Mouth pr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791A
KR20200038791A KR1020180118452A KR20180118452A KR20200038791A KR 20200038791 A KR20200038791 A KR 20200038791A KR 1020180118452 A KR1020180118452 A KR 1020180118452A KR 20180118452 A KR20180118452 A KR 20180118452A KR 20200038791 A KR20200038791 A KR 20200038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projection
maxillary
mandibular
teeth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2089B1 (en
Inventor
송제선
박원서
신유석
임재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089B1/en
Publication of KR2020003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ouse prop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ouse prop is inserted between a molar part of a maxilla (upper jaw) and a molar part of a mandible (lower jaw) during dental diagnosis or treatment to support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hereby allowing a patient to keep a mouth open, and the mandible forwardly moves relative to the maxilla, thereby ensuring an airway. The mouse pr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xillary fixture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molar part of the maxillary, and formed with a concave-convex first engaging protrusion on a surface facing the molar part of the mandible; a mandible fixture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molar part of the mandible corresponding to the molar part of the maxillary, and formed with a concave-convex second engaging protrusion on a surface facing the molar part of the maxillary; and an intermediate fixtu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with third and fourth engaging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trusions, respectively, and interposed between the maxillary fixture and the mandible fixture to adjust a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above two fixtures.

Description

마우스 프롭{Mouth prop}Mouse prop {Mouth prop}

본 발명은 마우스 프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악(위턱)의 구치(어금니)부와 하악(아래턱)의 구치(어금니)부 사이에 끼워져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 확보까지 가능한 마우스 프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prop, in particular,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molar (molar) portion of the upper jaw (upper jaw) and the molar (molar) portion of the lower jaw (lower jaw), while allowing the patient to maintain the mouth open, and the lower jaw relatively. It is related to a mouse prop capable of moving forward to secure an airway.

기관 삽관을 위한 기도 확보 시 주로 사용되는 후두경은 하악 및 혀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상악 전치부위를 지지대(Fulcrum)로 삼기 때문에, 기도 확보 과정에서 치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The laryngoscope, which is mainly used to secure the airway for tracheal intubation, can cause tooth damage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airway because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is used as a support (Fulcrum)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mandible and tongue.

또한, 최근 환자가 느끼는 두려움을 최소화하고 협조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진정법(Sedation)을 이용한 의과적/치과적 치료가 각광받고 있는데, 진정법은 전신마취와는 달리 스스로 기도를 확보하고 자발호흡을 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질식 등의 의료사고 가능성이 있는 진료 행위이다. In addition, recently, medical and dental treatments using sedation have been spotlighted in order to minimize the fears of patients and to promote cooperation. Sedation methods, unlike general anesthesia, secure airways and breathe spontaneously.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o, and if it is not, it is a medical practice with possible medical accidents such as choking.

의식이 저하된 경우 혀의 긴장성 감소로 인한 후방 기도 폐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도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서 고개를 뒤로 젖힌 후 턱을 들어올리는 것이 기도 확보의 최우선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raising the chin after tilting the head back as a means for securing the airway is a priority method for securing the airway, because the rear airway obstruction may occur due to a decrease in the tension of the tongue when the consciousness is lowered.

그러나 치과의 경우 진정법 하에서 치료를 할 때 단순히 입만 벌려주는 마우스 프롭(Mouth prop)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입을 벌리고 치료를 하기 때문에 기도 확보가 어려워져 후방 기도의 폐쇄가 빈번하게 발생된다.However, in the case of dentistry, since the mouth is opened and treated using a tool such as a mouse prop that simply opens the mouth when treating under seda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irway and frequent occlusion of the posterior airway occurs.

한편, 후방 기도 확보 문제로 인한 코골이를 치료하는 치과장치로써 코골이 방지 장치가 있다. 이는 상악에 대하여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장치이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noring prevention device as a dent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due to the problem of securing the posterior airway. This is a device using the principle of moving the mandible relative to the maxilla.

이 외에도 하악의 상대적인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하악을 전방 이동시켜주는 교정장치에는 Herbst, Frankel, Twinblock 등의 많은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고정식 혹은 가철식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이 제한적이며, 사용상 불편함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many devices such as Herbst, Frankel, and Twinblock are known as corrective devices that move the mandible forward to corr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andible. However, most of these are fixed or removable, and have a complicated configuration, limited use, and inconvenience in use.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8339(공개일 2012.06.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8339 (Publication date 2012.06.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악의 구치부와 하악의 구치부 사이에 끼워져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프롭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 확보를 위한 개구기로서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마우스 프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 as a mouse prop tha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teeth to maintain the patient's mouth open, as well as an opening for securing the airway by moving the lower jaw relatively forward. This is to provide a mouse prop that can serve as a role.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상악의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하악의 구치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1 계합돌기가 형성된 상악 고정대;A maxillary fixture fixed in a form of covering the teeth of the maxillary teeth and having an uneven first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posterior teeth of the mandible;

상기 상악 구치부와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악의 구치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2 계합돌기가 형성된 하악 고정대;A mandibular fixation stationary fixed in a form of covering the teeth of the mandibular teeth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and having a second concave-convex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상부와 하부면에 상기 제1 계합돌기와 제2 계합돌기 각각에 계합되는 제3 계합돌기 및 제4 계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악 고정대와 하악 고정대 사이에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재되는 중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을 제공한다.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third engaging protrusion and a fourth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are formed, and interposed so as to adjust a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wo fixtures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xtures. It provides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 intermediate stand.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상악의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하악의 구치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1 계합돌기가 형성된 상악 고정대;A maxillary fixture fixed in a form of covering the teeth of the maxillary teeth and having an uneven first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posterior teeth of the mandible;

상기 상악 구치부와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악의 구치부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2 계합돌기가 형성된 하악 고정대;A mandibular fixation stationary fixed in a form of covering the teeth of the mandibular teeth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and having a second concave-convex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상부와 하부면에 상기 제1 계합돌기와 제2 계합돌기 각각에 계합되는 제3 계합돌기 및 제4 계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악 고정대와 하악 고정대 사이에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재되는 중간 받침대;를 포함하며,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third engaging protrusion and a fourth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are formed, and interposed so as to adjust a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wo fixtures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xtures. It includes a middle pedestal;

상기 중간 받침대는, 상부면에 상기 제3 계합돌기가 형성된 상부 받침대와, 하부면에 상기 제4 계합돌기가 형성된 하부 받침대로 분할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받침대에 대하여 하부 받침대가 중간 받침대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을 제공한다.The middle pedestal is divided into an upper pedestal on which the third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pedestal on which the fourth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wherein the lower pedestal with respect to the upper pedestal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ddle pedestal. It provides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lidable.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상악 고정대 및 하악 고정대는, 서로 인접한 2 ~ 3개의 구치의 저작면과 양 측면부를 동시에 에워쌀 수 있도록 하나의 평면부와 평면부 양 옆의 두 개의 측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부에 외측에 제1 또는 제2 계합돌기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In one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xtures are adjacent to one flat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so as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chewing surface and two side portions of two or three molar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composed of two side parts, and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or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is formed outside the flat part.

여기서, 상기 상악 고정대 및 하악 고정대는, 상기 하나의 평면부와 두 개의 측면부에 의해 구획되는 구치 수용부에 도포되는 치과용 인상재를 통해 해당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xtures may be attached and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teeth of the posterior teeth through a dental impression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partition divided by the one flat portion and the two side portions.

또한, 상기 평면부 양 옆의 측면부에는 상기 치과용 인상재의 부분적인 유출을 위한 유출구멍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 partial outflow of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may be formed on side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그리고, 상기 제1 계합돌기와 제2 계합돌기는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3 계합돌기와 제4 계합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계합돌기 각각에 대응하여 정확히 맞물릴 수 있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are formed in a serrated shap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and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are teeth that can be accurately engag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It can be formed into a shape.

또한, 상기 중간 받침대에는 견인줄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줄 구멍에 견인줄이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tow line hole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edestal, and a tow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tow lin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받침대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이 실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pedestal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nd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may be mounted therein.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받침대와 하부 받침대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 받침대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에 대한 하부 받침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나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편 하부 또는 상부 받침대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체결블록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중간 받침대에 의하여 두 고정대(상악 고정대 및 하악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조절이 구현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position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stand relative to the upper st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tand between the upper stand and the lower stand, and the position adjusting screw is provided on the opposite lower or upper stand. By being provided with a fastening block in which a fastening hole formed with a screw is integrally provided, horizontal positioning between the two fasteners (maxillary and mandibular supports) can be realized by an intermediate stan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에 의하면, 상악의 구치부와 하악의 구치부 사이에 끼워져 상악과 하악을 지지함으로써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따라 치과 진료나 치료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posterior and posterior teeth of the maxilla to support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hereby functioning to maintain the patient's mouth open. Accordingly, it can be usefully used for dental treatment or treatment.

또한, 계합돌기가 형성된 상악 고정대와 하악 고정대 사이에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계합돌기와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계합돌기를 구성한 중간 받침대가 개재됨으로써, 중간 받침대를 통해 상악 고정대에 대한 하악 고정대의 수평방향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rposing an intermediate pedestal configured with corresponding engaging projection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so that the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two anchors can be adjusted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chors where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the mandibular anchors to the maxillary anchors through the intermediate brackets The horizontal position of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예를 들어, 상악 고정대에 대하여 하악 고정대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악 고정대가 부착된 상악에 대하여 하악 고정대가 부착된 하악을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도 확보도 가능해 진다.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radle relative to the maxillary cradle may be moved forward in stages. In other words, the mandible with the mandibular cradle can be moved forward in stages with respect to the maxilla with the maxillary cradle attached to maintain the condi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the airway.

즉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프롭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 확보를 위한 개구기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식이 없는 응급환자의 기도 확보와 구강 내 이물질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provide a function as a mouse prop that allows the patient to keep his mouth open, as well as a function of opening the airway by moving the mandible relatively forward, thereby securing the airway of an unconscious emergency patient. And the effect of enabling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may be exhibited.

또한, 상악에 대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확보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종래 개구와 동시에 기도 확보를 위한 응급 조치 시 사용되는 후두경에 의한 치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진정법을 이용한 의과적 치료 시 자발호흡을 위한 기도 확보에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securing the airway by moving the mandibl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maxilla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eeth caused by laryngoscope, which is used for emergency measures to secure the airway at the same time as the conventional opening. In medical treatment,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securing the airway for spontaneous breath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 프롭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에 적용되는 중간 받침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중간 받침대의 결합 측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se prop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iddle pedestal applied to the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se prop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intermediate base applied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or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You can.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 프롭의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se prop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3)은, 상악의 구치부(1)와 하악의 구치부(2) 사이에 끼워져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프롭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 확보를 위한 개구기로서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상악 고정대(30), 하악 고정대(34), 중간 받침대(32)로 구성된다.1 and 2, the mouse prop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maxillary molar 1 and the mandibular molar 2 to maintain the patient's mouth open As a function as a mouse prop, the mandible is relatively moved forward to serve as an opening for securing airways, and is largely composed of the maxillary fixture 30, the mandibular fixture 34, and the middle pedestal 32. do.

상악 고정대(30)는 상악의 구치부(1) 치아를 덮는 형태로 상기 구치부 치아에 부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상악 고정대(30)는 도 1 내지 도 2의 예시와 같이, 서로 인접한 2 ~ 3개의 상악 구치의 저작면과 양 측면부(304)를 동시에 에워쌀 수 있도록 하나의 평면부(302)와 평면부(302) 양 옆의 두 개의 측면부(304)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The maxillary fixture 3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in the form of covering the teeth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1. To this end, the maxillary fixture 30 is planar with one flat part 302 so as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chewing surfaces and the two side parts 304 of two or three maxillary molar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S. 1 to 2. The portion 302 may be composed of two side portions 304 on either side.

하악 고정대(34)는 상기 상악 고정대(30)가 부착되는 상악 구치부와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2) 치아를 덮는 형태로 상기 구치부 치아에 부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악 고정대(34)는 바람직하게, 서로 인접한 2 ~ 3개의 하악 구치의 저작면과 양 측면부(304)를 동시에 에워쌀 수 있도록 하나의 평면부(302)와 평면부(302) 양 옆의 두 개의 측면부(304)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The mandibular fixture 34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in a form that covers the teeth of the mandibular teeth 2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to which the maxillary fixtures 30 are attached. The mandibular cradle 34 preferably has two flat sides 302 and two sides of the flat portion 302 so as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chewing surfaces and two side portions 304 of two or three mandibular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It may be of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side portion 304.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는 구치부 치아의 배열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면의 예시와 같은 직선형태이거나, 소정의 곡률로 곡선상으로 굽은 형태(도시 생략)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악 고정대(30) 및 하악 고정대(34) 각각의 평면부(302) 외측(하악의 구치부(2)와 마주하는 면과 상악의 구치부(1)와 마주하는 면)에는 요철형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가 각각 형성된다.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may be made in a straight form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s a whole, or in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not shown),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osterior teeth. (30) and the mandibular base (34) of each flat portion 302 outside (the face facing the mandibular molar (2) and the maxilla molar (1)) on the uneven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340 are formed, respectively.

상악 고정대(30) 및 하악 고정대(34)는, 하나의 평면부(302)와 두 개의 측면부(304)에 의해 구획되는 구치 수용부(301)에 실리콘 고분자와 같은 치과용 인상재를 도포 또는 채우고, 구치 수용부(301) 채워진 상기 치과용 인상재를 통해 해당 고정대가 대상 구치부에 틈새 없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형태로 해당 구치부 치아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apply or fill dental impression materials, such as silicone polymer, to the posterior receiving portion 301 partitioned by one flat portion 302 and two side portions 304, Through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filled with the molar accommodating portion 301, the corresponding holder can be fixedly attached to the molar tooth in a form such that it is securely fixed and fixed without gaps in the target molar portion.

구치부에 고정을 위하여 치과용 인상재를 사용하는 경우, 평면부(302) 양 옆의 측면부(304)에는 구치부 치아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치아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상기 치과용 인상재가 구치 수용부(301) 밖으로 유출되면서 양각의 치아 형상에 정확히 대응되는 음각의 결속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상재의 부분적인 유출을 위한 유출구멍(305)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When a dental impression material is used for fixing to the posterior teeth,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is out of the posterior teeth receiving portion 301 by the volume occupied by the teeth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osterior teeth to the side portions 304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302.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305 for partial outflow of the impression material may be formed so as to form an engraved binding surface that exactly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embossed tooth as it flows out.

물론, 치과용 인상재를 이용한 부착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치과용 인상재를 이용한 부착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일 뿐, 상악 및 하악 고정대(34) 자체를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치아 형상이나 치열에 맞춰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e attachment method using a dental impression material. That is, the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is only one preferred exampl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and lower jaw fixtures 34 are made of soft rubber or silicone to be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r teeth of the teeth. A variety of options can be considered, including the configuration to enable them.

중간 받침대(32)는 상악의 구치부(1)에 부착 고정된 상기 상악 고정대(30)와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2)에 부착 고정된 상기 하악 고정대(34) 사이에 개재되어 환자가 입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중간 받침대(32)는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서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도 겸한다.The middle pedestal 32 is interposed between the maxillary fixture 30 fixedly attached to the posterior molar portion 1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fixedly attached to the mandibular posterior portion 2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mouth open It functions to help maintain.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also serves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two fixtures between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서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을 위하여 상기 중간 받침대(32)에는, 그 상부와 하부면에 상악 고정대(30)의 상기 제1 계합돌기(300)와 하악 고정대(34)의 상기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맞물림 가능한 구조의 요철형의 제3 계합돌기(320)와 제4 계합돌기(32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계합돌기(322)는 예를 들어, 톱니모양일 수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two fixtures between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the intermediate base 32 has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of the maxillary fixture 30 on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 And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320 and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2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with each of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of the mandibular base 34. At this time, the first to fourth engaging projections 322 may be, for example, serrated.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는 바람직하게, 도면의 예시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또는 쐐기) 모양일 수 있으며, 제1 계합돌기(300) 및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대응되어 맞물리는 제3 계합돌기(320)와 제4 계합돌기(322)는 상기 제1 계합돌기(300) 및 제2 계합돌기(340)에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톱니(또는 쐐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may preferably be in the form of teeth (or wedges)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third engagement protrusion 320 and the fourth engagement protrusion 322 that are engaged with each of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340 may be accurate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300 and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340. It may be formed in a serrated (or wedge) shape having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중간 받침대(32)에는 견인줄 연결을 위한 견인줄 구멍(32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견인줄(39)은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 끼워진 상기 중간 받침대(32)가 두 고정대(30, 34) 사이로부터 이탈했을 때 부주의로 환자가 이를 삼키지 못하도록 방지하거나, 혹여 삼키더라도 중간 받침대(32)를 빼낼 수 있도록 구비된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기능한다.The intermediate pedestal 32 may be formed with a tow line hole 324 for connecting the tow line. At this time, the tow line 39 prevents the patient from being inadvertently swallowed by the patient when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sandwiched between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deviates from between the two fixtures 30, 34. Even if swallowed, it functions as a kind of safety device provided so that the intermediate bracket 32 can be pulled ou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에 적용되는 중간 받침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iddle pedestal applied to the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예시와 같이, 중간 받침대(32)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수단(도시 생략)과 빛을 방출하는 광원(36)이 실장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수단이 제공하는 전기에너지로 광원(36)이 생성시킨 빛은 중간 받침대(32)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이에 따라 구강 내 시야 확보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intermediate base 32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nd a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such as a battery and a light source 36 that emits light are mounted therein. It may be a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6 with the electric energy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means passes through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an advantageous effect may be exhibited in terms of securing a visual field in the oral cavity.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se of a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use p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의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고정대(30)는 상악의 구치부(1)에 부착 고정하고,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2)에는 하악 고정대(34)를 부착 고정한다. 그리고 두 고정대 사이에 중간 받침대(32)를 끼워 넣는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patient's mouth is open, the maxillary fixture 30 is fixedly attached to the posterior teeth 1,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sterior teeth 2.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ase 32 is inserted between the two fixtures.

바람직하게는, 중간 받침대(32)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제3 및 제4 계합돌기(322)가 대응되는 고정대의 제1 및 제2 계합돌기(340)에 맞물리도록 중간 받침대(32)를 끼워 넣는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base 32 so that the third and fourth engaging projections 32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racket 32 engage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340 of the corresponding fixture. Insert it.

즉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악의 구치부(1)와 하악의 구치부(2) 사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3)을 끼워 상악과 하악을 지지함으로써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도 5의 예시와 같이 하악(아래턱) 또는 하악의 전치(앞니)를 잡고서 상악에 대하여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기도 확보도 가능해 진다.That is,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ure 4, by placing the mouse prop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upper jaw portion (1) and the lower jaw portion (2) of the patient to open the mouth b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jaw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irway by moving the mandible relative to the maxilla by holding the mandible (lower jaw) or the anterior teeth (front teeth) of the mandible as illustrated in FIG. 5 in this state.

즉 계합돌기(300, 340)가 형성된 두 고정대(30, 34)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받침대(32)에 상기 계합돌기(300, 340) 각각에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계합돌기(320, 322)가 형성됨으로써,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고정대(30)가 부착된 상악에 대하여 하악 고정대(34)가 부착된 하악을 환자의 신체적인 특징, 예컨대 구강구조에 맞춰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rmediate projections (32)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two anchors (30, 34) o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s (300, 340) are formed are corresponding to engage with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300, 340). As the engaging projections 320 and 322 are formed, the mandible with the mandibular fixture 34 attached to the maxilla with the maxillary fixture 30 attached in an open mouth stepwise forwar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such as the oral structure After moving, you can try to keep that state.

바르게 누운 자세에서 상대적으로 하악이 전방으로 당겨지면, 신체구조 상 자연스럽게 기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기도 확보를 위한 개구기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식이 없는 응급환자의 기도 확보와 더불어 구강 내 이물질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When the mandible is relatively pulled forward in the reclined position, the airway is naturally secured in the body structure, so it can provide a function as an opening for securing the airway, through which the airway of the unconscious emergency patient is secured and the oral cavity The effect of enabling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exert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간 받침대의 결합 측면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se prop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intermediate base shown in FIG. 6.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는,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받침대(32)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3)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가 있는 중간 받침대(32)의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interposed between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mouse prop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same. Therefore, hereinafter, a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ouse pro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mediate stand 32 having a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중간 받침대(32)는 상부와 하부면에 상기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계합되는 제3 계합돌기(320) 및 제4 계합돌기(322)가 형성되고, 상기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재되는 구성인 점에서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 받침대(32)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middle pedestal 32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ird engaging projections (3) engaged to each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320) and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2 is forme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fixture 30 and the lower fixture 34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two fixture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the intermediate base 32.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중간 받침대(32)는, 상부면에 상기 제3 계합돌기(320)가 형성된 상부 받침대(32a)와, 하부면에 상기 제4 계합돌기(322)가 형성된 하부 받침대(32b)로 분할 구성된 점이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다르며, 또한 상부 받침대(32a)에 대하여 하부 받침대(32b)가 중간 받침대(32)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점 역시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다르다.However, the middle pedestal 32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pedestal 32a in which the third engaging protrusion 3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pedestal 32b in which the fourth engaging protrusion 322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and also the point where the lower support 32b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2 with respect to the upper support 32a is also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상부 받침대(32a)에 대한 하부 받침대(32b)의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도면의 예시와 같은 볼트-너트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받침대(32a)와 하부 받침대(32b) 사이의 하부 받침대(32b)에 위치 조절 나사(326)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반대편 상부 받침대(32a)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326)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구멍(329)이 형성된 체결블록(328)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slide of the lower pedestal 32b relative to the upper pedestal 32a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bolt-nut metho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adjustment screw 326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32b between the upper support 32a and the lower support 32b, and the position adjustment screw () is provided on the opposite upper support 32a. 326) and the fastening block 329 having a fastening hole 329 that is screwe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integrally forms.

물론, 반대로 위치 조절 나사(326)를 상부 받침대(32a)에 설치하고 체결블록(328)을 하부 받침대(32b)에 구성하는 변형 또한 가능하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의 포함될 수 있으며, 예시된 볼트-너트 방식 외에도 볼-스크류나 랙 앤 피니언 방식을 비롯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하부 받침대(32b)를 상대적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지된 모든 형태의 작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Of course, on the contrary, since the position adjusting screw 326 is installed on the upper pedestal 32a and the deformation that constitutes the fastening block 328 on the lower pedestal 32b is also possible, thi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d In addition to the bolt-nut method, all known types of operation methods capable of relatively linearly moving the lower pedestal 32b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to a linear motion, including a ball-screw or a rack-and-pinion type, may be appli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프롭에 의하면, 상악의 구치부와 하악의 구치부 사이에 끼워져 상악과 하악을 지지함으로써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따라 치과 진료나 치료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use pro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posterior teeth and the posterior teeth of the mandible to support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hereby functioning to maintain the patient's mouth open. Accordingly, it can be usefully used for dental treatment or treatment.

또한, 계합돌기가 형성된 상악 고정대와 하악 고정대 사이에 두 고정대 간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계합돌기와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계합돌기를 구성한 중간 받침대가 개재됨으로써, 중간 받침대를 통해 상악 고정대에 대한 하악 고정대의 수평방향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rposing an intermediate pedestal configured with corresponding engaging projection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so that the horizontal position between the two anchors can be adjusted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chors where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the mandibular anchors to the maxillary anchors through the intermediate brackets The horizontal position of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예를 들어, 상악 고정대에 대하여 하악 고정대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악 고정대가 부착된 상악에 대하여 하악 고정대가 부착된 하악을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도 확보도 가능해 진다.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radle relative to the maxillary cradle may be moved forward in stages. In other words, the mandible with the mandibular cradle can be moved forward in stages with respect to the maxilla with the maxillary cradle attached to maintain the condi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the airway.

즉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프롭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하악을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 확보를 위한 개구기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식이 없는 응급환자의 기도 확보와 구강 내 이물질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provide a function as a mouse prop that allows the patient to keep his mouth open, as well as a function of opening the airway by moving the mandible relatively forward, thereby securing the airway of an unconscious emergency patient. And the effect of enabling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may be exhibited.

또한, 상악에 대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확보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종래 개구와 동시에 기도 확보를 위한 응급 조치 시 사용되는 후두경에 의한 치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진정법을 이용한 의과적 치료 시 자발호흡을 위한 기도 확보에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securing the airway by moving the mandibl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maxilla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eeth caused by laryngoscope, which is used for emergency measures to secure the airway at the same time as the conventional opening. In medical treatment,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securing the airway for spontaneous breathing.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 : 상악 구치부
2 : 하악 구치부
3 : 마우스 프롭
30 : 상악 고정대
32 : 중간 받침대
32a : 상부 받침대
32b : 하부 받침대
34 : 하악 고정대
36 : 광원
39 : 견인줄
300 : 제1 계합돌기
301 : 구치 수용부
302 : 평면부
304 : 측면부
305 : 유출구멍
320 : 제3 계합돌기
322 : 제4 계합돌기
324 : 견인줄 구멍
326 : 위치 조절 나사
328 : 체결블록
329 : 체결구멍
340 : 제2 계합돌기
1: maxillary posterior teeth
2: mandibular posterior teeth
3: mouse prop
30: maxillary fixture
32: middle stand
32a: upper pedestal
32b: lower pedestal
34: mandibular fixture
36: light source
39: tow line
300: first engaging projection
301: detention center
302: flat part
304: side part
305: outlet hole
320: third engaging projection
322: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4: tow line hole
326: Position adjustment screw
328: fastening block
329: fastening hole
340: second engaging projection

Claims (15)

상악의 구치부(1)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하악의 구치부(2)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1 계합돌기(300)가 형성된 상악 고정대(30);
상기 상악 구치부와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2)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악의 구치부(1)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2 계합돌기(340)가 형성된 하악 고정대(34);
상기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와 하부면에 상기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계합되는 제3 계합돌기(320) 및 제4 계합돌기(322)가 형성된 중간 받침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Upper jaw portion (1) is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teeth, the upper jaw protrusion (30)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on the surface facing the mandibular portion (2) of the mandible;
The mandibular posterior teeth (2)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is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teeth, the mandibular anchor (34) having an uneven typ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1);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32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nchors 30 and the lower anchor 34 and engaged with each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termediate support 32 is formed with a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고정대(30) 및 하악 고정대(34)는,
서로 인접한 2 ~ 3개의 구치의 저작면과 양 측면부(304)를 동시에 에워쌀 수 있도록 하나의 평면부(302)와 평면부(302) 양 옆의 두 개의 측면부(304)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부(302)에 외측에 제1 또는 제2 계합돌기(300 또는 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According to claim 1,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are,
It consists of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302 and two side portions 304 on either side of the flat portion 302 so as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chewing surface and the two side portions 304 of two or three molar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or second engaging projection (300 or 34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lat portion (30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고정대(30) 및 하악 고정대(34)는, 상기 하나의 평면부(302)와 두 개의 측면부(304)에 의해 구획되는 구치 수용부(301)에 도포되는 치과용 인상재를 통해 해당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According to claim 2,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the posterior teeth through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receiving portion 301 partitioned by the one flat portion 302 and the two side portions 304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is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302) 양 옆의 측면부(304)에는 상기 치과용 인상재의 부분적인 유출을 위한 유출구멍(305)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3,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305 for partial outflow of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are formed on side surfaces 304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30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는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3 계합돌기(320)와 제4 계합돌기(322)는 상기 제1 및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대응하여 정확히 맞물릴 수 있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are formed in a serrated shap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320 and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2 are the first and second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errated shape that can be accurately engag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 (3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받침대(32)에는 견인줄 구멍(324)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줄 구멍(324)에 견인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has a tow line hole 324 is formed, the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the tow line is connected to the tow line hole 3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받침대(32)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36)이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base 32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nd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a light source 36 emitting light is mounted therein.
상악의 구치부(1)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하악의 구치부(2)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1 계합돌기(300)가 형성된 상악 고정대(30);
상기 상악 구치부와 대응되는 하악의 구치부(2) 치아를 덮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악의 구치부(1)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형 제2 계합돌기(340)가 형성된 하악 고정대(34);
상기 상악 고정대(30)와 하악 고정대(34)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와 하부면에 상기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계합되는 제3 계합돌기(320) 및 제4 계합돌기(322)가 형성된 중간 받침대(32);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받침대(32)는, 상부면에 상기 제3 계합돌기(320)가 형성된 상부 받침대(32a)와, 하부면에 상기 제4 계합돌기(322)가 형성된 하부 받침대(32b)로 분할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받침대(32a)에 대하여 하부 받침대(32b)가 중간 받침대(32)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Upper jaw portion (1) is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teeth, the upper jaw protrusion (30)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on the surface facing the mandibular portion (2) of the mandible;
The mandibular posterior teeth (2)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is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teeth, the mandibular anchor (34) having an uneven typ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1);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32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nchors 30 and the lower anchor 34 and engaged with each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ncluding;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2 is formed,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is divided into an upper pedestal 32a in which the third engaging protrusion 3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pedestal 32b in which the fourth engaging protrusion 322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 The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base (32b) with respect to the upper base (32a)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ddle base (3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고정대(30) 및 하악 고정대(34)는,
서로 인접한 2 ~ 3개의 구치의 저작면과 양 측면부(304)를 동시에 에워쌀 수 있도록 하나의 평면부(302)와 평면부(302) 양 옆의 두 개의 측면부(304)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부(302)에 외측에 제1 또는 제2 계합돌기(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8,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are,
It consists of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302 and two side portions 304 on either side of the flat portion 302 so as to simultaneously enclose the chewing surface and the two side portions 304 of two or three molar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or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lat portion 302,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se pro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고정대(30) 및 하악 고정대(34)는, 상기 하나의 평면부(302)와 두 개의 측면부(304)에 의해 구획되는 구치 수용부(301)에 도포되는 치과용 인상재를 통해 해당 구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로 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9,
The maxillary fixture 30 and the mandibular fixture 34, the posterior teeth through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receiving portion 301 partitioned by the one flat portion 302 and the two side portions 304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is fixed in the form of cover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302) 양 옆의 측면부(304)에는 상기 치과용 인상재의 부분적인 유출을 위한 유출구멍(305)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10,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305 for partial outflow of the dental impression material are formed on side surfaces 304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30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돌기(300)와 제2 계합돌기(340)는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3 계합돌기(320)와 제4 계합돌기(322)는 상기 제1 및 제2 계합돌기(340) 각각에 대응하여 정확히 맞물릴 수 있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40 are formed in a serrated shap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the third engaging projection 320 and the fourth engaging projection 322 are the first and second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errated shape that can be accurately engag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 (34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받침대(32)에는 견인줄 구멍(324)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줄 구멍(324)에 견인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rmediate pedestal 32 has a tow line hole 324 is formed, the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the tow line is connected to the tow line hole 3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받침대(32)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36)이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rmediate base 32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nd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a light source 36 emitting light is mounted therei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대(32a)와 하부 받침대(32b)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 받침대(32b)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32a)에 대한 하부 받침대(32b)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나사(32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편 하부 또는 상부 받침대(32a)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326)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구멍(329)이 형성된 체결블록(328)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프롭.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or lower pedestal 32b between the upper pedestal 32a and the lower pedestal 32b is rotatable with a position adjusting screw 326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pedestal 32b with respect to the upper pedestal 32a. Installe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or upper pedestal (32a) is a mouse prop,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lock 328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329 that is screwed with the position adjustment screw 326 is provided integrally.
KR1020180118452A 2018-10-04 2018-10-04 Mouth prop KR102122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52A KR102122089B1 (en) 2018-10-04 2018-10-04 Mouth pr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52A KR102122089B1 (en) 2018-10-04 2018-10-04 Mouth pro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91A true KR20200038791A (en) 2020-04-14
KR102122089B1 KR102122089B1 (en) 2020-06-11

Family

ID=7029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52A KR102122089B1 (en) 2018-10-04 2018-10-04 Mouth pr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089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359A (en) * 1997-07-25 2000-04-04 Tucker; John Hilliard Dental impression tray
KR100768030B1 (en) * 2006-05-17 2007-10-17 김동빈 Mouth prop for dental treatment
CN201987697U (en) * 2011-02-24 2011-09-2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Adjustable medical mouth gag
KR20120068339A (en) 2010-12-17 2012-06-27 김무갑 Mouth prop
CN202437058U (en) * 2011-12-21 2012-09-19 王丹 Mouth gag for oral treatment
KR20120139180A (en) * 2011-06-17 2012-12-27 김무갑 Mouth prop
US20130164702A1 (en) * 2006-10-24 2013-06-27 Louie Khouri Illuminated Dental Prop
KR20130142754A (en) * 2012-06-20 2013-12-30 김창원 Device for opening mouth
CN205866902U (en) * 2016-04-18 2017-01-11 张盘德 Medical gag with adjust and measurement function
CN206730005U (en) * 2017-01-18 2017-12-12 武汉大学 A kind of opener of personalized record position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359A (en) * 1997-07-25 2000-04-04 Tucker; John Hilliard Dental impression tray
KR100768030B1 (en) * 2006-05-17 2007-10-17 김동빈 Mouth prop for dental treatment
US20130164702A1 (en) * 2006-10-24 2013-06-27 Louie Khouri Illuminated Dental Prop
KR20120068339A (en) 2010-12-17 2012-06-27 김무갑 Mouth prop
CN201987697U (en) * 2011-02-24 2011-09-2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Adjustable medical mouth gag
KR20120139180A (en) * 2011-06-17 2012-12-27 김무갑 Mouth prop
CN202437058U (en) * 2011-12-21 2012-09-19 王丹 Mouth gag for oral treatment
KR20130142754A (en) * 2012-06-20 2013-12-30 김창원 Device for opening mouth
CN205866902U (en) * 2016-04-18 2017-01-11 张盘德 Medical gag with adjust and measurement function
CN206730005U (en) * 2017-01-18 2017-12-12 武汉大学 A kind of opener of personalized record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089B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CN107088101B (en) Invisible correction device
JP5758396B2 (en) Adjustable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to prevent epilepsy and sleep apnea
US20190083202A1 (en)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for remodeling maxillofacial bone using light therapy,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optionally, vitamin d administration
US20170135850A1 (en) Sleep apnea oral appliance for us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US20090032030A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9314320B2 (en) Device for mitig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KR20150032180A (en) 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Ⅲ problems of mandibular proganthism
JP2020501837A (en) Maxillary orthodontic appliance
JP2009028084A (en) Intraor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272240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applying a power force to a tooth
Koya et al.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therapy using Figueroa's NAM technique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US8523896B2 (en) Dynamic nasal molding method
US6244862B1 (en) Orthodontic appliance
CN109862848B (en) Denture retaining bar and system
US7121824B2 (en) Protraction headgear
KR102122089B1 (en) Mouth prop
KR102087727B1 (en) A lingual orthodontic device
RU117803U1 (en) INNEROROTHIC THERAPEUTIC APPARATUS OF LUGAN
GR1009833B (en) Extraoral orthopaedic device for the direct protraction of the maxilla and the indirect protraction of the mandible
KR20180025676A (en)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JP2017532159A (en) Device that promotes or corrects mandibular growth
KR102529478B1 (en) Relieving Appliance of Sleep Apnea Using Skeletal Anchorage
Teixeira et al. Non-surgical treatment of severe open bite using CTOR Plates
TWI726787B (en) Mandible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