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096A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096A
KR20200038096A KR1020180117785A KR20180117785A KR20200038096A KR 20200038096 A KR20200038096 A KR 20200038096A KR 1020180117785 A KR1020180117785 A KR 1020180117785A KR 20180117785 A KR20180117785 A KR 20180117785A KR 20200038096 A KR20200038096 A KR 2020003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heater
lower tray
upp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9631B1 (en
Inventor
이동훈
염승섭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631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77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631B1/en
Priority to PCT/KR2019/012882 priority patent/WO2020071769A1/en
Priority to CN202211726090.3A priority patent/CN116222072A/en
Priority to AU2019355673A priority patent/AU2019355673B2/en
Priority to CN201980064173.0A priority patent/CN112771333A/en
Priority to CN202310035847.2A priority patent/CN116086075A/en
Priority to CN202310073356.7A priority patent/CN116086086A/en
Priority to RU2021112443A priority patent/RU2765255C1/en
Priority to CN202310078886.0A priority patent/CN116086087A/en
Priority to PCT/KR2019/012869 priority patent/WO2020071756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71 priority patent/WO2020071758A1/en
Priority to CN201980065428.5A priority patent/CN112805521B/en
Priority to PCT/KR2019/012875 priority patent/WO2020071762A1/en
Priority to AU2019354477A priority patent/AU2019354477B2/en
Priority to CN202310744393.6A priority patent/CN116753649A/en
Priority to AU2019354475A priority patent/AU2019354475B2/en
Priority to EP19869274.1A priority patent/EP3862671A4/en
Priority to US17/282,565 priority patent/US11906230B2/en
Priority to AU2019352420A priority patent/AU2019352420B2/en
Priority to CN201980065200.6A priority patent/CN112805518A/en
Priority to PCT/KR2019/012853 priority patent/WO2020071743A1/en
Priority to EP19869919.1A priority patent/EP3862684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70 priority patent/WO2020071757A1/en
Priority to US17/281,749 priority patent/US20210396441A1/en
Priority to EP19869400.2A priority patent/EP3862673B1/en
Priority to CN201980064597.7A priority patent/CN112805516B/en
Priority to US17/282,144 priority patent/US20220003477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79 priority patent/WO2020071766A1/en
Priority to CN201980065211.4A priority patent/CN112789467B/en
Priority to PCT/KR2019/012859 priority patent/WO2020071748A1/en
Priority to CN201980064202.3A priority patent/CN112789461B/en
Priority to US17/282,640 priority patent/US20210348821A1/en
Priority to US17/282,232 priority patent/US20210356192A1/en
Priority to CN201980064601.XA priority patent/CN112789464B/en
Priority to US17/282,324 priority patent/US11898785B2/en
Priority to EP19869273.3A priority patent/EP3862670A4/en
Priority to EP19869689.0A priority patent/EP3862695A4/en
Priority to CN202310014072.0A priority patent/CN116182454A/en
Priority to RU2022101439A priority patent/RU2022101439A/en
Priority to CN201980064142.5A priority patent/CN112771330B/en
Priority to US17/282,320 priority patent/US11994331B2/en
Priority to EP19869502.5A priority patent/EP3862677A4/en
Priority to EP19869811.0A priority patent/EP3862709A4/en
Priority to CN202310854205.5A priority patent/CN116892810A/en
Priority to CN201980064143.XA priority patent/CN112771331B/en
Priority to EP19868945.7A priority patent/EP3862708A4/en
Priority to US17/281,768 priority patent/US11740001B2/en
Priority to PCT/KR2019/012856 priority patent/WO2020071746A1/en
Priority to EP19869810.2A priority patent/EP3862681A4/en
Priority to EP19868712.1A priority patent/EP3862692A4/en
Priority to US17/282,374 priority patent/US20210341210A1/en
Priority to CN201980064554.9A priority patent/CN112789468B/en
Priority to CN201980064194.2A priority patent/CN112789460B/en
Priority to CN201980064201.9A priority patent/CN112771334B/en
Priority to US17/281,833 priority patent/US20210389036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68 priority patent/WO2020071755A1/en
Priority to CN202310745808.1A priority patent/CN116753650A/en
Priority to US17/281,777 priority patent/US20210404724A1/en
Priority to CN201980064580.1A priority patent/CN112789463B/en
Priority to EP19870026.2A priority patent/EP3862685A4/en
Priority to US17/281,779 priority patent/US11920846B2/en
Priority to AU2019354482A priority patent/AU2019354482B2/en
Priority to PCT/KR2019/012872 priority patent/WO2020071759A1/en
Priority to CN202310014244.4A priority patent/CN116202263A/en
Priority to EP19869398.8A priority patent/EP3862672A4/en
Priority to CN202310033550.2A priority patent/CN115930511A/en
Priority to US17/281,864 priority patent/US11835282B2/en
Priority to US17/282,099 priority patent/US11994330B2/en
Priority to PCT/KR2019/012867 priority patent/WO2020071754A1/en
Priority to EP19869401.0A priority patent/EP3862674A4/en
Priority to EP19870028.8A priority patent/EP3862687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74 priority patent/WO2020071761A1/en
Priority to EP19868711.3A priority patent/EP3862665A4/en
Priority to CN202210945279.5A priority patent/CN115289761B/en
Priority to CN201980063994.2A priority patent/CN112771328A/en
Priority to CN201980065442.5A priority patent/CN112912675B/en
Priority to AU2019352426A priority patent/AU2019352426B2/en
Priority to PCT/KR2019/012888 priority patent/WO2020071775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62 priority patent/WO2020071751A1/en
Priority to EP19868829.3A priority patent/EP3862693A4/en
Priority to RU2022101436A priority patent/RU2022101436A/en
Priority to PCT/KR2019/012887 priority patent/WO2020071774A1/en
Priority to CN202210946306.0A priority patent/CN115289764B/en
Priority to CN201980064190.4A priority patent/CN112789471B/en
Priority to PCT/KR2019/012863 priority patent/WO2020071752A1/en
Priority to US17/282,070 priority patent/US20210341204A1/en
Priority to AU2019352419A priority patent/AU2019352419B2/en
Priority to US17/282,304 priority patent/US20210341209A1/en
Priority to EP19869500.9A priority patent/EP3862676A4/en
Priority to CN201980064193.8A priority patent/CN112789466A/en
Priority to US17/281,786 priority patent/US11971204B2/en
Priority to CN201980063701.0A priority patent/CN112771327A/en
Priority to US17/281,722 priority patent/US20220003479A1/en
Priority to EP19869687.4A priority patent/EP3862680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50 priority patent/WO2020071740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76 priority patent/WO2020071763A1/en
Priority to US17/282,590 priority patent/US20210348824A1/en
Priority to US17/282,553 priority patent/US20210372683A1/en
Priority to EP19868947.3A priority patent/EP3862668A4/en
Priority to US17/282,672 priority patent/US20210341201A1/en
Priority to AU2019352421A priority patent/AU2019352421B2/en
Priority to US17/282,376 priority patent/US11835283B2/en
Priority to US17/282,600 priority patent/US11874044B2/en
Priority to AU2019352423A priority patent/AU2019352423B2/en
Priority to EP19868238.7A priority patent/EP3862707A4/en
Priority to EP19869888.8A priority patent/EP3862683A4/en
Priority to US17/282,122 priority patent/US11874043B2/en
Priority to AU2019355675A priority patent/AU2019355675B2/en
Priority to CN202310911482.5A priority patent/CN117168039A/en
Priority to CN201980064141.0A priority patent/CN112771329B/en
Priority to PCT/KR2019/012884 priority patent/WO2020071771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52 priority patent/WO2020071742A1/en
Priority to US17/282,337 priority patent/US11859888B2/en
Priority to EP19870029.6A priority patent/EP3862688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81 priority patent/WO2020071768A1/en
Priority to CN202310855901.8A priority patent/CN116878201A/en
Priority to PCT/KR2019/012880 priority patent/WO2020071767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73 priority patent/WO2020071760A1/en
Priority to AU2019352422A priority patent/AU2019352422B2/en
Priority to CN201980064212.7A priority patent/CN112789462A/en
Priority to AU2019353490A priority patent/AU2019353490B2/en
Priority to EP19868368.2A priority patent/EP3862662A4/en
Priority to EP19868828.5A priority patent/EP3862667A4/en
Priority to US17/282,100 priority patent/US20210372685A1/en
Priority to AU2019355677A priority patent/AU2019355677B9/en
Priority to PCT/KR2019/012861 priority patent/WO2020071750A1/en
Priority to US17/282,081 priority patent/US20210372686A1/en
Priority to EP19869043.0A priority patent/EP3862669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86 priority patent/WO2020071773A1/en
Priority to EP19870027.0A priority patent/EP3862686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85 priority patent/WO2020071772A1/en
Priority to AU2019354473A priority patent/AU2019354473B2/en
Priority to CN201980065212.9A priority patent/CN112789465A/en
Priority to CN201980063985.3A priority patent/CN112771340B/en
Priority to EP19868594.3A priority patent/EP3862691A4/en
Priority to AU2019353487A priority patent/AU2019353487B2/en
Priority to PCT/KR2019/012857 priority patent/WO2020071747A1/en
Priority to AU2019352424A priority patent/AU2019352424B2/en
Priority to CN202210946301.8A priority patent/CN115289763B/en
Priority to CN201980064153.3A priority patent/CN112771332A/en
Priority to CN202210946300.3A priority patent/CN115289762B/en
Priority to PCT/KR2019/012878 priority patent/WO2020071765A1/en
Priority to US17/281,955 priority patent/US11892221B2/en
Priority to EP19869591.8A priority patent/EP3862679A4/en
Priority to US17/282,330 priority patent/US11846460B2/en
Priority to US17/281,701 priority patent/US11892220B2/en
Priority to EP19868827.7A priority patent/EP3862666A4/en
Priority to CN202310990134.1A priority patent/CN116972591A/en
Priority to CN201980063695.9A priority patent/CN112771326B/en
Priority to US17/281,776 priority patent/US20210404722A1/en
Priority to US17/281,753 priority patent/US11879679B2/en
Priority to CN201980064602.4A priority patent/CN112805517A/en
Priority to CN202310087331.2A priority patent/CN116123784A/en
Priority to US17/282,283 priority patent/US20210389037A1/en
Priority to RU2021112395A priority patent/RU2765876C1/en
Priority to PCT/KR2019/012854 priority patent/WO2020071744A1/en
Priority to PCT/KR2019/012860 priority patent/WO2020071749A1/en
Priority to CN201980063550.9A priority patent/CN112752940B/en
Priority to CN201980064582.0A priority patent/CN112823264B/en
Priority to PCT/KR2019/012866 priority patent/WO2020071753A1/en
Priority to EP23188915.5A priority patent/EP4242558A3/en
Priority to EP19868592.7A priority patent/EP3862663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51 priority patent/WO2020071741A1/en
Priority to EP19868593.5A priority patent/EP3862664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83 priority patent/WO2020071770A1/en
Priority to EP19869501.7A priority patent/EP3862701A4/en
Priority to CN202310035805.9A priority patent/CN116294337A/en
Priority to EP19869688.2A priority patent/EP3862694A4/en
Priority to US17/282,310 priority patent/US20210341205A1/en
Priority to CN201980064555.3A priority patent/CN112805522B/en
Priority to CN202310004026.2A priority patent/CN116182467A/en
Priority to CN202310732873.0A priority patent/CN116772472A/en
Priority to AU2019354500A priority patent/AU2019354500B2/en
Priority to CN201980064204.2A priority patent/CN112771335B/en
Priority to CN202310994787.7A priority patent/CN116972571A/en
Priority to PCT/KR2019/012919 priority patent/WO2020071792A1/en
Priority to CN201980063553.2A priority patent/CN112867899B/en
Priority to EP19869276.6A priority patent/EP3861262A4/en
Priority to EP19869048.9A priority patent/EP3861261A4/en
Priority to US17/281,936 priority patent/US20210381741A1/en
Priority to PCT/KR2019/012943 priority patent/WO2020071804A1/en
Priority to US17/282,076 priority patent/US11874049B2/en
Priority to AU2019353516A priority patent/AU2019353516B2/en
Priority to EP19868715.4A priority patent/EP3862699A4/en
Priority to US17/281,950 priority patent/US11841180B2/en
Priority to CN202310015402.8A priority patent/CN116164465A/en
Priority to EP19870035.3A priority patent/EP3861263A4/en
Priority to PCT/KR2019/012979 priority patent/WO2020071825A1/en
Priority to US17/282,579 priority patent/US20210396445A1/en
Priority to US17/282,061 priority patent/US20210396444A1/en
Priority to PCT/KR2019/012975 priority patent/WO2020071822A1/en
Priority to EP23192691.6A priority patent/EP4253879A3/en
Priority to CN201980063556.6A priority patent/CN112771337B/en
Priority to CN201980064213.1A priority patent/CN112771336B/en
Priority to AU2019355698A priority patent/AU2019355698B2/en
Priority to EP19869690.8A priority patent/EP3862702B1/en
Priority to PCT/KR2019/012977 priority patent/WO2020071824A1/en
Priority to AU2019355691A priority patent/AU2019355691B2/en
Publication of KR2020003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096A/en
Priority to AU2023203969A priority patent/AU2023203969A1/en
Priority to AU2023203978A priority patent/AU2023203978A1/en
Priority to US18/214,732 priority patent/US20230341166A1/en
Priority to AU2023204190A priority patent/AU2023204190A1/en
Priority to AU2023204204A priority patent/AU2023204204A1/en
Priority to AU2023204229A priority patent/AU2023204229A1/en
Priority to AU2023204228A priority patent/AU2023204228A1/en
Priority to AU2023204339A priority patent/AU2023204339A1/en
Priority to AU2023204363A priority patent/AU2023204363A1/en
Priority to AU2023204359A priority patent/AU2023204359A1/en
Priority to US18/219,406 priority patent/US20230349615A1/en
Priority to AU2023204603A priority patent/AU2023204603A1/en
Priority to AU2023206135A priority patent/AU2023206135A1/en
Priority to AU2023206156A priority patent/AU2023206156A1/en
Priority to AU2023206157A priority patent/AU2023206157A1/en
Priority to AU2023206136A priority patent/AU2023206136A1/en
Priority to AU2023206205A priority patent/AU2023206205A1/en
Priority to AU2023206206A priority patent/AU2023206206A1/en
Priority to AU2023208102A priority patent/AU2023208102A1/en
Priority to AU2023208097A priority patent/AU2023208097A1/en
Priority to AU2023208100A priority patent/AU2023208100A1/en
Priority to AU2023208188A priority patent/AU2023208188A1/en
Priority to AU2023208173A priority patent/AU2023208173A1/en
Priority to AU2023210670A priority patent/AU2023210670A1/en
Priority to AU2023211723A priority patent/AU2023211723A1/en
Priority to AU2023214235A priority patent/AU2023214235A1/en
Priority to US18/231,892 priority patent/US20230384014A1/en
Priority to US18/242,823 priority patent/US20230408161A1/en
Priority to US18/385,070 priority patent/US20240093928A1/en
Priority to US18/386,517 priority patent/US20240068728A1/en
Priority to US18/511,242 priority patent/US20240085079A1/en
Priority to US18/511,176 priority patent/US20240085081A1/en
Priority to US18/532,020 priority patent/US20240102713A1/en
Priority to US18/538,053 priority patent/US20240110738A1/en
Priority to US18/543,155 priority patent/US20240118009A1/en
Priority to US18/396,059 priority patent/US20240125532A1/en
Priority to US18/402,314 priority patent/US20240133607A1/en
Priority to US18/409,336 priority patent/US20240151447A1/en
Priority to US18/415,215 priority patent/US20240151448A1/en
Priority to US18/425,673 priority patent/US20240167748A1/en
Priority to US18/432,820 priority patent/US202401756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including: an upper tray having a hemispherical cell; a lower tray provided in a lower part of the upper tray and having the hemispherical cell; and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tray. The heater is operated to supply heat to the lower tray while cold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o make ice.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형태의 투명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er capable of providing transparent ice in a spherical shap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된 제빙기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얼음은 사방에서 얼어 들어가는 방식으로 얼려진다. 따라서 얼음의 내부에 공기가 포집이 되고, 어는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이 된다.Ice produced by using an ice machine applied to a general refrigerator is frozen by freezing in all directions. Therefore, the air is trapped inside the ice, and the freezing speed is high, so opaque ice is generated.

투명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흘리던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뿌리면서 한쪽 방향으로 얼음을 성장시키면서 만드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냉장고 내에서는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물을 흘리거나 뿌릴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냉장고에 적용되는 제빙기에는 적용될 수 없다.In order to make transparent ice, there is a way to make water while flowing from top to bottom or sprinkling from bottom to top while growing ice in one direction. However, in the refrigerator, ice must be made at sub-zero temperatures, so water cannot be spilled or sprayed. Therefore, this method cannot be applied to an ice maker applied to a refrigerator.

따라서, 냉장고에 사용되는 제빙기에서 투명하면서, 구형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new method to make ice having a spherical shape while being transparent in an ice maker used in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투명하면서 구형 형상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ncludes an ice maker and a transparent ice maker capable of providing spherical 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이스메이커 하단에 히터를 부착하여 얼음이 어는 속도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다. 구형의 투명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구형아이스메이커의 하단 실리콘 트레이에 히터를 부착하여 구형이면서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상판이 없는 경우 사각이나 반구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의 투명얼음도 만들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heater to the bottom of the ice maker, it is possible to make transparent ice by controlling the speed and direction in which the ice freezes. In order to manufacture spherical transparent ice, heaters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silicon tray of a spherical ice maker made of upper and lower plates to make spherical and transparent ice.If there is no top plate, transparent ice of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or hemisphere shape can also be mad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빙기의 하단에 구비하는 히터를 이용해서, 얼음이 어는 속도와 방향을 조절한다. 히터를 다단으로 제어해서,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투명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얼음을 만들기 위해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포함하고, 하측 트레이에 히터를 설치해서, 상부에서 하부로 얼음이 성장하도록 제어를 한다. 특히 얼음이 성장하는 속도를 늦추어 투명얼음을 생성한다. 이때 히터는 발열량이 다단형식으로 변화되도록 제어해서, 얼음이 아래쪽으로 증가하면서, 어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빙속도도 증가 시키고 고르게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and direction in which ice is frozen is controlled by using a heat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ce maker. By controlling the heater in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ice making and to manufacture transparent ic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included to make spherical ice, and a heater is installed on the lower tray to control ice growth from top to bottom. In particular, it slows the rate of ice growth and creates transparent ice. At this time, the heater is controlled so that the amount of heat is changed in a multi-stage type, and as the ice increases downward, the freezing speed is kept constant to increase the ice making speed and evenly transparent ice can be m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빙 시에 상측 트레이에 배치된 히터에 의해 얼음의 표면을 녹여 이빙을 한다. 이때 녹은 물이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스버킷 위에 떨어지면서 얼음이 엉겨 붙을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상측 트레이에서 얼음을 이빙한 이후 일정시간 대기를 하여 상부에서 녹은 물이 하측 트레이로 안내되어서, 아이스 버킷으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량이 부족하여 얼음이 상부에 붙어있는 경우에도 얼음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어서, 이빙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ice is melted by the heater disposed on the upper tray when ice is used for ice. At this time, the melted water may drop onto the ice bucke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tray, and the ice may stick. In order to prevent this, after ice is iced from the upper tray, the water melted from the top is guided to the lower tray by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falling into the ice bucket.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heat supplied from the heater is insufficient, even when the ic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it can wait until the ice is dropped, so that reliability in i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빙을 하기 전에 얼음이 아이스버킷에 만빙되었는지를 감지해서, 얼음의 이빙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아이스버킷에 얼음이 충분히 쌓여 있다고 판단되면 얼음을 아이스버킷에 이빙하지 않고, 아이스버킷에 얼음이 더 공급되어서 저장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얼음을 아이스버킷으로 이빙한다. 이를 위해서 만빙감지레버가 스윙되면서 아이스버킷 내에 얼음이 만빙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ice has been iced by detecting whether the ice has been iced in the ice bucket before iced.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bucket has sufficiently accumulated ice, the ice is not iced into the ice bucket, but when it is determined that more ice is supplied to the ice bucket and stored, ice is iced into the ice bucket. To this end, as the ice detection lever swing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ice is iced in the ice bucket.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상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에의 셀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얼음이 응고되면, 상기 히터를 구동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에 접촉된 부분을 액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tray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e shape;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nd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tray, when ice is solidified in a space formed by cells of the upper tray and cells in the lower tray, the heater is driven to contact ice with the upper tray. It provides an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liquefied.

얼음이 응고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히터를 구동하기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start driving the heater without rotating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while ice is solidified.

상기 히터가 구동되기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하측 트레이에 거치된 얼음이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하측 트레이를 90도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heater starts to be drive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lower tray by an angle less than 90 degrees so that the ice mounted on the lower tray does not fall.

상기 하측 트레이를 90도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는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rotate the lower tray by an angle less than 90 degrees, and while the lower tray is stopped, the heater can be driven.

상기 하측 트레이를 90도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가 구동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is rotated by an angle less than 90 degrees,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e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being driven.

상기 히터는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heater is disposed above the cell of the upper tray.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하측 푸셔에 상기 하측 트레이가 눌려져, 상기 하측 트레이가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It further includes a lower pusher protruding upward, and when the lower tray is rotated, the lower tray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pusher, so that the lower tray can be deformed.

하측으로 돌출된 상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상측 푸셔가 상기 상측 트레이를 관통하도록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It further includes an upper pusher protruding downward, and when the lower tray is rotated, it is possible that the upper pusher is moved to penetrate the upper tray.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 급수가 완료되고, 상기 트레이에 냉기가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히터의 온도는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tray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e shape;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nd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tray,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changed stepwise while water supply is completed to the tray and cold air is supplied to the tray.

상기 히터의 온도는 제1온도 범위로 유지되다가, 제2온도 범위로 유지되고, 제3온도 범위로 유지되는 세 단계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maintained 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then maintained in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and controlled in three stages maintained in the third temperature range.

상기 제2온도 범위, 상기 제1온도 범위, 상기 제3온도 범위의 순서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the first temperature range, and the third temperature range.

상기 히터의 용량은 제1용량으로 구동되다가, 제2용량으로 유지되고, 제3용량으로 유지되는 세 단계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pacity of the heater is driven by the first capacity, it is possible to be maintained in the second capacity, it is possible to be controlled in three stages maintained in the third capacity.

상기 제2용량, 상기 제1용량, 상기 제3용량의 순서로 용량이 작아지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capacity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second capacity, the first capacity, and the third capacity.

상기 제1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2용량으로 구동되거나 상기 제3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에 비해서 짧은 것이 가능하다.The time driven by the first capacity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driven by the second capacity or the third capacity.

상기 상측 트레이에 위치한 물이 먼저 얼고, 상기 하측 트레이에 위치한 물이 나중에 어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hat the water located in the upper tray freezes first, and the water located in the lower tray freezes later.

상기 상측 트레이에 맞닿은 물이 얼면서, 얼음은 아래쪽 방향으로 성장해가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water abutting on the upper tray freezes, it is possible for the ice to grow downward.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복수 개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상기 하측 트레이에서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버킷; 및 상기 하측 트레이와 일정 각도 만큼 함께 회전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tray having a plurality of cells forming a part of the space to freeze ice;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ving a cell coupled to a plurality of cells of the upper tray to form a space in which ice freezes; An ice bucket in which ic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is stored; It provides an ice machine comprising; and a full ice sensing lever that rotates with the lower tray by a certain angle.

상기 상측 트레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동작되기 전에 구동되기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heater provided in the upper tray, and the heater may start to be driven before the full ice sensing lever is operated.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함께 회전되다가 얼음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면, 만빙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is rotated with the lower tray and can no longer be rotated by 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it is full.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얼음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면, 상기 하측 트레이도 회전을 멈추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stops rotating by ice, it is possible for the lower tray to stop rotating.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얼음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면, 상기 하측 트레이와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기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ice detection lever stops rotating by ice, it is possible that the lower tray and the ice detection lever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xisting rotation direction.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함께 회전되다가 얼음에 의해서 걸리지 않으면, 만빙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ice detection lever is rotated with the lower tray and is not caught by 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it has not been iced.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정해진 위치까지 회전되면,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는 더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lower tray can be further rotated even if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is not rotated.

상기 아이스버킷은 경사지게 마련되어서, 얼음을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멀어지게 모으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ce bucket is provided to be inclined, and it is possible to include an inclined plate that collects ice away from the lower tray.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히터가 구동되어, 상기 하측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tray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e shape;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nd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tray, wherein the heater is driven while cold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o make ice, thereby supplying heat to the lower tray. Provides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 상기 상측 트레이를 향해서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상측 트레이보다 상기 하측 트레이의 온도가 높은 것이 가능하다.While ice is being produced, cold air is supplied toward the upper tray, so that it is possible that the lower tray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upper tray.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는 상기 상측 트레이에 대해서 일정 각도 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의 셀이 맞닿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he lower tray is disposed to be inclined by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so that it is possible that the cells of the upper tray and the cells of the lower tray do not contact each other.

상기 하측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의 간격 사이로 복수 개의 셀에 분배되는 것이 가능하다.Water supplied to the lower tray may be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cells between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물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의 셀이 맞닿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water supply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hat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combined so that the cells of the upper tray and the cells of the lower tray abut.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하측 푸셔에 상기 하측 트레이가 눌려져, 상기 하측 트레이가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It further includes a lower pusher protruding upward, and when the lower tray is rotated, the lower tray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pusher, so that the lower tray can be deformed.

상기 하측 트레이가 상기 하측 푸셔에 의해서 변형되면,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접촉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lower tray is deformed by the lower pusher, it is possible that the heater is not contacted from the lower t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트레이에 히터가 필요에 따라 접촉하기 때문에 구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투명빙을 구현할 수가 있다. 즉 제빙시에는 트레이와 히터가 접촉해 있지만, 이빙시에는 트레이와 히터가 분리되어서 히터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히터의 단선 등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er contacts the tray made of silicon as need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transparent ice such as spherical and square. That is, the tray and the heat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ice-making, but since the tray and the heater are separated at the time of ice-breaking, the heater is not deformed, so breakage of the heater or the like does not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빙을 제빙하기 위해서 제빙속도가 빠른 영역은 히터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제빙 속도를 늦추고, 상대적으로 제빙속도가 느린 영역은 히터의 발열량을 감소시켜 제빙 속도를 증가시킨다. 결론적으로 전체적으로 제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서, 투명한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frost transparent ice, a region having a high ice-making speed increases the heating value of the heater to slow the ice-making speed, and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slow ice-making speed decreases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er to increase the ice-making speed. Ord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transparent ice to the user by keeping the ice making rate constant throughout.

또한, 히터를 다단으로 제어해서, 히터의 발열량을 줄일 수 있고, 제빙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heater in multiple stages,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the heater can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ice-making can also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트레이에 인접한 히터를 이용해서 열을 공급해, 상측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고, 하측 트레이를 일정각도 회전한 이후 추가 히팅을 함으로써 이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상측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추가히팅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ce reliability by supplying heat using a heater adjacent to the upper tray, separating ice from the upper tray, and further heating after rotating the lower tray at an angle. In addition, ice already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melted due to additional heating.

또한, 상측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한 이후 하측 트레이를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대기함으로써 상측 트레이를 히팅할 때에 발생한 잔수가 아이스 버킷으로 떨어져, 얼음이 엉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ice from the upper tray and waiting while rotating the lower tray by a certain angle, the residual water generated when the upper tray is heated falls to the ice bucket, so that ice may not be entang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빙감지 레버를 스윙타입으로 회전해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얼음이 트레이의 하부에 위치한 아이스버킷으로 안내될 때에, 아이스버킷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차례대로 쌓이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 높이가 낮은 아이스버킷 내에서도 만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can be detected by rotating the full ice sensing lever in a swing type. In addition, when the ice is guided to the ice bucke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y, it can be induced to accumulate sequentially in one direction within the ice bucket,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fullness even in the low height ice buck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설명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빙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제빙기의 일부 구성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제빙기에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제빙기에서 이빙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터의 예를 설명한 도면.
도 17은 하측 트레이를 설명한 도면.
도 18은 하측 트레이와 히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9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하측 트레이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설명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in which an ice maker is install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ce mak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6 to 11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ice maker are combined.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water supply to the ice maker.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being iced in the ice machine.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heater applied to one embodiment.
17 is a view explaining a lower tray.
18 is a view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wer tray and the heater.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ce formation.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tray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fullness is not detec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fullness is detec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fullness is not detec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fullness is detec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specifically realiz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설명한 측단면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in which an ice maker is installed.

도 1(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10, 20, 3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 20, 30)는 회전되는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 2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10, 20,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room. The door (10, 20, 30) includes a door (10,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in a rotating manner and a door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in a sliding manner.

도 1(b)는 냉장고의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인데, 냉장고 캐비닛(14)는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4)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32)은 하측에 배치되어서, 각각의 도어에 의해서 각각의 저장실이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배치된 냉장고에서도 적용가능하다.1 (b)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cabinet 14 may include a refrigerator compartment 18 and a freezer compartment 32.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4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reezer compartment 32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so that each storage compartment can be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by each doo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상기 냉동실(3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서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 공간은 공간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한 드로워(4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32)는 하나의 도어(3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더라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eezer compartment 32 may have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ower space is provided with a drawer 40 capable of drawing in and out of the space. The freezer compartment 32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into two spaces, even if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door 30.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빙기(200)에서 생산된 얼음이 낙하되어 보관되는 아이스 버킷(60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스 버킷(600)을 꺼내서,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저장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600)은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가르는 수평 벽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An ice maker 200 capable of manufacturing ice may be provided in an upper space of the freezer 32. An ice bucket 600 in which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200 is dropped and stored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200. The user can take out the ice bucket 600 and use the ice stored in the ice bucket 600. The ice bucket 600 may b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a horizontal wall separating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of the freezer 32.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4)에는 상기 제빙기(200)에 냉기를 공급하는 턱트(5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50)는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토출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를 냉각한다. 상기 제빙기(200)에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기(200)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abinet 14 is provided with a tuck 50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ice maker 200. The duct 50 discharges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evaporator in which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is evaporated, thereby cooling the ice maker 200. Ice may be generated inside the ice maker 200 by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도 2에서 우측은 냉장고의 후방이고, 좌측은 냉장고의 전방 즉 도어가 설치된 부분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덕트(50)는 상기 캐비닛(14)의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캐비닛(14)의 전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덕트(50)의 전방에 배치된다. In FIG. 2, the right side may be a rea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left side may be a front portion of the refrigerator, that is, a portion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duct 5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14 to discharge cold ai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4. The ice maker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uct 50.

상기 덕트(50)의 토출구는 상기 냉동실(32)의 천장에 위치해서, 상기 제빙기(200)의 상측에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utlet of the duct 50 is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freezer 32, so it is possible to discharge cold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ice maker 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빙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ce maker,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도 3a와 도 4a는 상기 냉동실(32)에 제빙기(200)를 고정하는 브라켓(220)이 포함된 도면이고, 도 3b와 도 4b는 상기 브라켓(220)이 제거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빙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200)가 상기 냉동실(32)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3A and 4A are views showing a bracket 220 for fixing the ice maker 200 to the freezer 32, and FIGS. 3B and 4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220 is removed. Each component of the ice maker 200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bracket 220, so that the ice maker 200 may constitute one assembly. Therefore, the ice maker 20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freezer 32.

상기 브라켓(200)의 내측면 상측에는 필컵(240)이 설치된다. 상기 필컵(24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필컵(240)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필컵(240)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필컵(240)의 상측 개구부는 하측 개구부보다 커서,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하부로 안내되는 물의 토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A fill cup 240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racket 200. The pill cup 240 is provided with opening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o guid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pill cup 240 to the lower side of the pill cup 240. The upper opening of the fill cup 240 is larger than the lower opening, thereby limiting the discharge range of water guided downward through the fill cup 240.

상기 필컵(240)의 상측으로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이 설치되어서, 상기 필컵(240)으로 물을 공급되고,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은 상기 급수 배관에서 토출되는 물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해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은 상기 급수 배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상기 필컵(240)까지 튀지 않고 안내되고, 낮아진 높이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물이 튀는 양을 줄일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is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fill cup 240,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fill cup 240 and may be moved downward. The fill cup 240 may prevent wa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rom falling at a high position,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splashing. Since the pill cup 240 is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ipe, water is guided without splashing to the pill cup 240,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splashed even if it is moved downward by the lowered height.

상기 제빙기(200)는 상측 트레이(320)와 하측 트레이(38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복수 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마련된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마련된 셀이 겹쳐지면, 구형 형상을 이루에 되면서 그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냉각이 이루어지면,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The ice maker 200 includes an upper tray 320 and a lower tray 380.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ices can be generated. When the cells provided in the upper tray 320 and the cells provided in the lower tray 380 overlap, when water is supplied and cooled in a spherical shape, spherical ice may be generated.

상기 상측 트레이(32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된다.The upper tray 320 is provided with opening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can be moved to the lower side.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하측에는 상측 트레이 커버(340)가 마련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 형상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tray cover 340 is provided below the upper tray 320. The upper tray cover 340 has openings formed to correspond to respective cell shapes of the upper tray 320, and thus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y 320.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는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 히터 케이스(280)가 마련된다. 상기 히터 케이스(280)에는 히터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의 상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케이스(280)에 매립되거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tray case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An upper heater case 280 is provided in the upper tray case 300. A heater is provided in the heater case 280 to supply heat to the top of the ice maker 200. The heater may be provided in a manner embedded in the heater case 280 or installed on one side.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은 경사지고, 하측은 수직하게 연장된 가이드 홈(30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302)은 상기 트레이 케이스(30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재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tray case 300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02 in which the upper side is inclined and the lower side is vertically extended. The guide groove 302 may be provided inside the member extending upwards of the tray case 300.

상기 가이드 홈(302)에는 상측 푸셔(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삽입되어서,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푸셔(26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의 갯수와 동일하게 연장된 연장부(264)가 구비되어서, 각각의 셀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262 of the upper pusher 2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02, and the guide protrusion 262 may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302. The upper pusher 260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portion 264 that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each cell of the upper tray 320, so as to push ice located in each cell.

상기 상측 푸셔(260)의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푸셔 링크(500)가 움직이면 상기 상측 푸셔(260)도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262 of the upper pusher 260 is coupled to the pusher link 500.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262 is coupled to the pusher link 500 so as to be rotatable, and when the pusher link 500 moves, the upper pusher 260 may als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302.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상측에는 하측 트레이 커버(360)가 구비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외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각각의 개별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복수 개의 셀이 구분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하측 트레이 커버(360)는 상측으로 돌출된 셀을 감쌀 수 있다. The lower tray cover 38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38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lower tray 380 can be maintained. The lower tray 380 forms a shape protruding upward so that a plurality of cells constituting a space in which each individual ice can be generated is distinguished. The lower tray cover 360 can wrap a cell protruding upward. have.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하부에는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가 구비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하부로 돌출된 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스프링(402)이 구비된다. A lower tray case 400 is provided below the lower tray 380 to maintain a cell shape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ray 380. A spring 40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tray case 400.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하측에는 하측 트레이 히터 케이스(420)가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히터 케이스(420)에는 히터가 마련되어서,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A lower tray heater case 420 is provided below the lower tray case 400. A heater is provided on the lower tray heater case 420 to supply hea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maker 200.

상기 제빙기(200)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80)가 구비된다.The ice maker 200 is provided with a motor unit 480 providing rotational force.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에는 관통공(282)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 연장된 연장부에는 관통공(40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82)과 상기 관통공(404)을 함께 관통하는 샤프트(440)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440)의 양단에는 회전 암(46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440)은 상기 모터부(4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A through hole 282 is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on one side of the upper tray case 300. A through hole 404 is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lower tray case 400. A shaft 440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282 and the through hole 404 together is provided, and rotating arms 46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440, respectively. The shaft 44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unit 480.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402)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링(402)이 인장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암(460)의 위치가 초기 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ng arm 46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ring 402, so that when the spring 402 is tensioned,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arm 460 may be moved to an initial value by a restoring force.

상기 모터부(480)내에는 모터와 복수 개의 기어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A motor and a plurality of gear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motor unit 480.

상기 모터부(480)에는 만빙 감지 레버(520)가 연결되어서,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480, and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unit 480.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어서, 양 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하게 배치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모터부(48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저장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may have a 'c' shape as a whole, and may include a part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and a horizontally arranged part connecting two parts extending vertically. One of the two parts extending vertically is coupled to the motor unit 480, and the other is coupled to the bracket 220, so that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is rotated to the ice bucket 600. Stored ice can be detected.

상기 브레켓(220)의 내부 하측면에는 하측 푸셔(540)가 구비된다. 상기 하측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는 결합편(542)과 상기 결합편(542)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연장부(544)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544)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셀의 갯수와 동일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lower pusher 540 is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bracket 220. The lower pusher 54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ece 542 coupled to the bracket 220 and a plurality of extensions 544 installed on the coupling piece 542. The plurality of extensions 544 are provided to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ells provided in the lower tray 380, so that ice generated in the cells of the lower tray 38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ushing to be possible.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샤프트(44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tray case 300 and the lower tray case 40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haft 440, so that the angle may be changed around the shaft 440.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각각 실리콘과 같이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푸셔에 의해서 가압될 때에 순간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져 생성된 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each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such as silicon, so that when it is pressed by each pusher, it is instantaneously deformed so that the ice generate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

도 6 내지 도 11은 제빙기의 일부 구성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to 11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ice maker are combined.

도 6은 상기 브라켓(220), 상기 필컵(240), 상기 하부 푸셔(540)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하부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푸셔(540)의 연장부가 상기 결합편(542)로부터 연장된 방향이 수직하지 않고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220, the peel cup 240, and the lower pusher 540 are combined. The lower pusher 54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220,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lower pusher 540 is disposed so that th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engaging piece 542 is not vertical but inclined downward.

도 7은 상측 히터 케이스(280)와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the upper tray case 300 are combined.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하측면에서 수평면이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와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은 상측에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개구부의 형상은 각각의 셀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The upper heater case 280 may be disposed such that a horizontal surface is spaced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the upper tray case 300 have openings corresponding to each cell of the upper tray 320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and the shape of each opening is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ll.

도 8은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측 트레이(320), 상측 트레이 커버(34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tray 320, and the upper tray cover 340 are combined.

상기 트레이 커버(340)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tray cover 3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tray 320 and the upper tray case 300.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기 상측 트레이(320), 상기 트레이 커버(340)은 하나의 모듈과 같이 결합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기 상측 트레이(320), 상기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샤트프(440)에 하나의 부재와 같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tray 320, and the tray cover 340 are combined as one module, so that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tray 320, and the tray cover 340 ) Is arranged to be rotatable together as one member on the shaft 440.

도 9는 하측 트레이(380), 하측 트레이 커버(360),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380, the lower tray cover 360, and the lower tray case 400 are combined.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측 트레이 커버(360)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은 하측에 배치된다.With the lower tray 380 therebetween, the lower tray cover 36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tray case 4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은 구형 얼음의 하부를 이룰 수 있도록 반구형상을 가진다.Each cell of the lower tray 380 has a hemispherical shape to form a lower portion of spherical ice.

도 10은 하측 트레이 커버(360), 하측 트레이(380),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 하측 히터 케이스(42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cover 360, the lower tray 380, the lower tray case 400, and the lower heater case 420 are combined.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를 고정할 수 있다.The lower heater case 42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tray case, and can fix a heater that supplies heat to the lower tray 380.

도 11은 도 8과 도 10이 결합되고, 회전암(460), 샤프트(440), 푸셔 링크(5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GS. 8 and 10 are combined, and the rotary arm 460, the shaft 440, and the pusher link 500 are combined.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4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402)에 결합된다. 상기 푸셔 링크(500)의 일단은 상기 상측 푸셔(26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One end of the rotating arm 460 is coupled to the shaft 44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pring 402. One end of the pusher link 500 is coupled to the upper pusher 260,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shaft 440.

도 12 및 도 13은 제빙기에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water supply to the ice maker.

도 12는 제빙기를 측면에서 바라보면서, 물이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빙기를 정면에서 바라보면서 물이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water is supplied while looking at the ice maker from the side, and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water is supplied while looking at the ice maker from the front.

도 12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서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다가,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를 향해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 일부가 겹쳐지기는 하지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완전히 맞물려서 그 내부 공간이 구형 형상을 이루지는 않는다.12A,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12B,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toward the upper tray 320.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overlap, but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completely engaged so that the inner space does not have a spherical shape.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물이 트레이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완전히 맞물린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물의 일부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바깥으로 넘어간다. 다만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을 이격되도록 감싸게 형성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물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넘치지는 않는다. As shown in Figure 12c, water is supplied into the tray through the fill cup 240. Since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t in a fully engaged state, a portion of water is passed out of the upper tray 320. However, since the lower tray 380 has a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to be spaced apart, water does not overflow the lower tray 380.

도 13은 도 12c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인데, 도 13a와 도 13b의 순서로 상태가 변화된다.FIG. 13 is a view for specifically explaining FIG. 12C, in which the state changes in the order of FIGS. 13A and 13B.

도 12c와 같이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물이 공급될 때에, 상기 필컵(240)은 트레이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through the fill cup 240 as shown in FIG. 12C, the fill cup 240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tray.

즉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셀(322, 324, 326)이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도 복수 개의 독립적인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셀(382, 384, 386)이 구비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배치된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배치되는 셀이 합쳐지면서 하나의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tray 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lls (322, 324, 326)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ice. The lower tray 380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lls 382, 384, 386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ices. One spherical ice may be generated when cells disposed in the upper tray 320 and cells disposed in the lower tray 380 are combined.

도 13에서는 각각의 셀에 차 있는 물이 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12c에서와 같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전방 측이 벌이진다.In FIG. 13,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t completely engaged as in 12c so that water in each cell can move between cells, and the front side is opened.

도 13a에서와 같이 물이 좌측에 위치한 셀(322, 382)의 상측에 공급되면, 물은 셀(322, 382)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하측에 위치한 셀(382)를 넘치면, 물은 좌측에 위치한 셀(384, 486)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은 각각 서로 완전히 격리되지 않기 때문에, 셀 내에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 상승되면 물은 주변의 셀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셀에 물을 모두 채울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A,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lls 322 and 382 located on the left side, water moves into the cells 322 and 382. At this time, if the cell 382 located at the lower side is overflowed, water may be moved to the cells 384 and 486 located at the left side. Since the plurality of cells are not completely isol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water level in the cell rises above a certain level, the water can move to the surrounding cells and fill each cell with water.

상기 제빙기(200)의 외부에 마련된 급수 배관에 배치된 급수 밸브에서 정해진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유로를 닫아서, 물이 상기 제빙기(200)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predetermin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pipe provided outside the ice maker 200, the flow path may be closed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any more.

도 14는 제빙기에서 이빙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being iced in the ice maker.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도 12c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도 14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셀이 구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상측 트레이(320)가 완전히 결합되어 각각의 셀에 물이 구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lower tray 38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in FIG. 12C, the upper tray 320 has a lower tray 380 and a cell as shown in FIG. 14A. It can be arranged to form a shape. The lower tray 380 and the upper tray 320 may be completely combined and disposed to separate water in each cell.

도 14a의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냉기가 공급되면, 트레이의 셀에는 얼음이 생성된다. 냉기에 의해서 물이 얼음으로 변화되는 동안 도 14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서로 맞물려서 물이 이동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When cold air is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of FIG. 14A, ice is generated in the cells of the tray. While the water is changed to ice by cold air,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4A, so that water is not moved.

트레이의 셀에 얼음이 생성되면, 도 14b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는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When ice is generated in the cells of the tray, as shown in FIG. 14B, while the upper tray 320 is stopped,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clockwise.

이때 얼음은 자체적으로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는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는 상기 상측 푸셔(260)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얼음이 붙어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ice has its own weight, it may fall from the upper tray 320. In this case, ice may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upper tray 320 while the upper pusher 260 descends on the upper tray 320.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얼음의 하부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14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수직한 각도를 넘길 정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얼음이 붙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Since the lower tray 38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even when the lower tray 380 is moved in a clockwise direction, ice is held in the lower tray 380. As shown in FIG. 14B, ice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tray 380 even w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to a degree exceeding a vertical angl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바닥을 변형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변형되면서 얼음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접착력이 약화되어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pusher 540 deforms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380,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ice and the lower tray 380 is weakened as the lower tray 380 is deformed, so that ice is lowered. It may fall off the tray 380.

이후에 얼음은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이스 버킷(600)으로 낙하될 수 있다.Thereafter, ice is not shown in FIG. 14, but may be dropped into the ice bucket 600.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온도를 측정하는 트레이 온도 센서(700)가 구비된다. 15,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y temperature sensor 70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320 or the lower tray 380.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800)에 전달된다.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0.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모터부(480)를 제어해서, 상기 모터부(480)에서 모터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motor unit 480 so that the motor rotates in the motor unit 480.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빙기(200)에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740)를 제어해서, 상기 제빙기(200)로 물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740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or supply is stopped.

상기 모터부(480)가 동작되면, 상기 하측 트레이(380) 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motor unit 480 is operated, the lower tray 380 or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may be rotated.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는 제1히터(430)가 마련된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배치되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히터를 의미할 수 있다.A first heater 430 is provided on the lower heater case 420. The first heater 43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to supply heat. Since the first heater 430 is disposed under the tray, it may mean a lower heater.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는 제2히터(290)가 마련된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배치되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는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 히터를 의미할 수 있다.A second heater 290 is provided on the upper heater case 280. The second heater 29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heater case 280 to supply heat. Since the second heater 29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it may mean an upper heater.

상기 제1히터(430)와 상기 제2히터(290)에는 상기 제어부(800)의 명령에 따라 전력이 공급되어서, 열을 발생할 수 있다.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heater 430 and the second heater 290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800 to generate heat.

도 16은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터의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heater applied to an embodiment.

도 16에서 도시된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설치된다.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의 상측에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430 illustrated in FIG. 16 is install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The first heater 43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eater case 420. The first heater 43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eater case 420.

물론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상기 제1히터(430)가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heater 430 is embedd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상기 제1히터(430)은 직선부(432)와 곡선부(4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에서는 모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에는 전류가 흐르면 저항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발열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430 may include a straight portion 432 and a curved portion 434. Both the straight portion 432 and the curved portion 434 are made of an element capable of generating hea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traight portion 432 and the curved portion 434, overall heat may be generated by resistance.

상기 직선부(432)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곡선부(434)는 바깥쪽으로 벌어졌다가 안쪽으로 오무라드는 형태로 대체로 반원의 호를 궤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하나의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가 번갈아가도록 배치되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진다.The straight portion 432 means a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The curved portion 434 may have a trajectory of an arc of a semicircle in the form of spreading outwards and then tumbling inwards. The first heater 4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line, while the straight portion 432 and the curved portion 434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이 배치된 위치에, 상기 곡선부(43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은 반구 형상을 이루는데 평단면은 원형을 이루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곡선부(434)는 원형의 호의 일부를 이루도록 배치된다.The curved portion 43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each cell of the lower tray 380 is disposed in the first heater 430. Since the cells form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flat cross-section is circular, the two curved portions 434 facing each other are arranged to form part of a circular arc.

상기 제1히터(43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heater 43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도 16에서는 제1히터(430)만을 위주로 설명했지만, 상술한 내용은 제2히터(2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제2히터(290)도 상기 제1히터(430)와 같이 곡선부와 직선부가 번갈아가면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제1히터(430)와는 달리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설치되어서, 트레이의 상측에 배치된다는 차이가 있다.In FIG. 16, only the first heater 430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above-described content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heater 290. That is, the second heater 290 may be provided with the curved por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alternately as in the first heater 430. However, unlike the first heater 430, the second heater 290 is installed in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has a difference that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y.

도 17은 하측 트레이를 설명한 도면이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lower tray.

도 17에서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복수 개의 셀(322, 324, 326) 중에 하나의 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은 대략 반구 형상을 가져서, 물이 채워져 얼음으로 변할 때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의해서 반구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상측 반구 형상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의해서 구현된다.1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cells 322, 324, and 326 of the lower tray 380. The cell of the lower tray 380 has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so that the hemispherical shape can be maintained by the lower tray 380 when water is filled and turns into ice. The upper hemisphere shape is implemented by the upper tray 320.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의 바깥쪽면에는 안착턱(38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턱(382)는 도 17b에서와 같이 상기 제1히터(430)이 접촉할 수 있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안착턱(382)은 양 쪽에 각각 구성되어, 하나의 셀에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턱(382)는 평평한 면을 이루어서, 상기 제1히터(430)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430)는 대략 원형 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안착턱(382)이 상기 제1히터(430)에 의해서 일정 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안착턱(382)을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대문에, 조립 및 양산 시에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상기 히터(430)와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A seating jaw 382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cell of the lower tray 380. The seating jaw 382 may form a surface that the first heater 430 can contact as shown in FIG. 17B. The seating jaws 382 are configured on both sides, and may be provided in one cell. The seating jaw 382 has a flat surface, and the first heater 430 can stably contact. In addition, the first heater 43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seating jaw 382 is arranged to overlap a portion by the first heater 430, so that the first heater 430 is seated. It is possible to squeeze the jaw 382. Because it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manner, even if a tolerance occurs during assembly and mass production, the lower tray 380 may maintain contact with the heater 430.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에는 상기 제1히터(430)의 상기 곡선부(434)가 배치된다. 상기 셀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곡선부(434)가 상기 셀의 하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rved portion 434 of the first heater 430 is disposed in each cell of the lower tray 380. In the portion where the cell is located, the curved portion 434 is arrange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ll, so that heat can be supplied to the lower tray 380.

도 18은 하측 트레이와 히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wer tray and the heater.

도 18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밀어 올리기 전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고, 실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밀어 올린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접촉은 하지만 붙어있도록 고정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밀어올리거나 밀어올리지 않는 상태에 무관하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고정되는데,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하측 케이스(420)는 생략했다.Referring to FIG. 18, a part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represents a state before the lower pusher 540 pushes up the lower tray 380, and a part represented by a solid line indicates that the lower pusher 540 is the lower tray. It expresses the state in which 380 is pushed up. Since the first heater 43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tray 380 but is not fixed to be attached, regardless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pusher 540 does not push or push the lower tray 380. It is placed in the same location. The first heater 430 is fixed to the lower heater case 420. In FIG. 18, the lower case 420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외력이 가해지면 힘이 가해지는 부위를 중심으로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에 얼음이 얼려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변형시키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얼음이 분리될 수 있다.The lower tray 380 may be made of silicon material.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ower tray 380 may be deformed around a portion to which force is applied. Therefore, when ice is frozen in the cells of the lower tray 380,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when the lower pusher 540 deforms the lower tray 380.

구체적으로,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압착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얼려진 얼음을 상기 하측 트레이(4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하측 푸셔(540)이 상기 하측 트레이(420)를 누를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420)는 변형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로부터 상기 제1히터(430)가 접촉되지 않고 떨어진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일체형으로 붙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상기 제1히터(430)가 붙어 있는 방식에 비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히터(430)의 단선 등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heater 430 is compressed to the lower tray 420, thereby maintaining a state in contact with the lower tray 420. Then, in order to separate the ice frozen in the lower tray 420 from the lower tray 420, the lower pusher 540 may press the lower tray 420. As the lower tray 420 is deformed, the first heater 430 falls from the lower tray 420 without contact. This is because the first heater 430 is not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wer tray 420. Therefore, compared to the manner in which the first heater 430 is attached to the lower tray 420, the first heater 430 even if the lower tray 420 is deformed to separate ice from the lower tray 42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such as disconnection.

본 실시예는 구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트레이는 물론, 사각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빙기에서 상측과 하측 트레이가 함께 구비되는 형태이외에도, 하측 트레이만을 구비하는 제빙기에서도 상술한 개념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가 트레이에 열을 가할 때, 즉 얼음이 생성될 때에는 히터와 트레이가 접촉하게 된다. 반면에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분리될 때, 즉 이빙이 이루어질 때에는 히터와 트레이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의 형상에 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히터가 손상되지 않는다.This embodiment can be equally applied to an ice maker that generates square-shaped ice, as well as a tray capable of producing spherical ice. That is, in addition to the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rays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ice maker, it is possible to apply the above-described concept to the ice maker having only the lower tray.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heater applies heat to the tray, that is, when ice is generated, the heater contacts the tray.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tray, that is, when the ice is formed, the heater and the tray can be separated, so that even if the tray is deformed, the heater is not damag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기에 급수거 되고, 제빙이 된 후에 최종적으로 이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ocess in which ice is finally collected by the ice maker and finally iced after ice is formed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수평을 이루지 않고,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한다. 이때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대략 6도 정도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2B, the lower tray 380 is disposed not to be horizontal, but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clined state by rotating the lower tray 380 about 6 degrees based on the horizontal plane.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트레이에 급수가 될 때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셀로 공급되는 물은 다른 셀로 퍼져나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C, when the tray is fed with water, the lower tray 380 is inclined, so that water supplied to one cell can spread to another cell.

한편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진행될 때에는 도 14a에서와 같이 하측 트레이(380)의 상측면이 수평면에 대해서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완전히 결합되어 각각의 셀이 구형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making proceeds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380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surface as shown in FIG. 14A. At this time,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completely combined, and each cell is disposed to form a spherical shape.

제빙이 될 때에는 상기 셀의 상부에서부터 얼음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히터(430)을 on한다. 즉 상기 제어부(800)에서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히터(4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제빙기(100)의 상측에는 덕트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온도가 하강된다. 즉 상기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측은 온도가 낮은 반면에 하측은 온도가 높아서, 상측에 얼음이 생성되는 조건이 만족된다.When making ice, the first heater 430 is turned on so that ice can grow from the top of the cell.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heater 430 such that heat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eater 430. The first heater 430 is disposed under the tray.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er 100 is lowered by cold air supplied from a duct. That is, based on the tray, the upper side has a low temperature while the lower side has a high temperature, so that conditions for generating ice on the upper side are satisfied.

트레이의 상측은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얼음이 커져가는데, 물속에 함유된 공기는 얼음에 포집되지 않고, 점점 아래로 빠져나가서 얼음에는 공기가 포집되지 않는다. 따라서 생성된 얼음에는 공기가 포집되지 않고, 투명한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얼음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성장해 가는데, 상측보다 하측이 온도가 높은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얼음의 생성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얼음이 투명해질 수 있다.Since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y is low, the ice grows, but the air contained in the water is not trapped in the ice, and it gradually escapes downwards, so that the air is not trapped in the ice. Therefore, air is not trapped in the generated ice, and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In this embodiment, the ice grows from the top side to the bottom side, because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the lower side than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direction in which ice is formed is kept constant, so that ice may be transparent.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 의해서 트레이의 온도를 측정해서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되면, 도 14a에서와 같이 얼음 생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히터(290)을 동작시킨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ray is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and the temperatur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determined that ice gener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A.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second heater 290 is operated.

상기 제2히터(290)는 얼음 생성이 완료된 후에 열을 공급해서,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되는 조건을 만든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설치되는데,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열을 가해서, 얼음이 상기 상특 트레이(32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제2히터(290)에서 열을 가하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얼음이 접촉된 부분이 녹으면서 물로 변화되고,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된다. The second heater 290 supplies heat after ice generation is completed, thereby creating a condition in which ic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The second heater 290 is installed in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heat is applied to the upper tray 320 to separate ice from the upper tray 320. When heat is applied from the second heater 290,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320 and ice is melted and changed into water, and ic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트레이의 온도를 측정하고, 트레이의 온도가 일정 온도만큼 상승하면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촉한 부분이 녹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4b 및 도 14c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회전시키면,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상측 푸셔(260)에서 얼음을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밀어낸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는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각각의 셀에 상기 상측 푸셔(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은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데, 상기 덕트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냉기에 접촉하면서 물의 온도가 하강하고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tray,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ray rises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rtion of the ice contacting the upper tray 320 is melted. In this case, w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as shown in FIGS. 14B and 14C,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and mounted on the lower tray 380. In this case, since ice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the ice is pushed from the upper tray 320 in the upper pusher 260. Since the openings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s of the upper tray 320, the upper pushers 260 may be disposed in each cell through the opening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is exposed to external air through each opening, and cold air supplied through the duct may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tray 320 through the opening. Therefore, as the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ld ai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ecreases and ice may be generated.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회전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상기 하측 푸셔(540)가 눌러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변형시킨다. 얼음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되어서, 하측으로 낙하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s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tray 380 increases, the lower pusher 540 pushes the lower tray 380 to deform the lower tray 380.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and dropped to the lower side to be finally provided to the user.

도 19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0은 하측 트레이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설명한 도면이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ce formation, and FIG.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tray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투명빙을 만들기 위해서 트레이의 하부에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만약 히터의 용량을 일정하게 투입을 할 경우 제빙을 하는 초기, 즉 상부에 얼음이 만들어질 때에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가 빠른 반면에, 하단 제빙시에는 속도가 느려서 상부가 상대적으로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된다. In order to make transparent ice, a heater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ay. If the heater capacity is constant, ice is produced at the initial stage of ice making, i.e., when ice is made at the top, the speed at which ice is formed is high, while at the bottom ice, the speed is slow, creating relatively opaque ice at the top. do.

또한 상부를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히터의 발열량을 증가시키면 상부에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려져서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지만, 하단부 얼음 생성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빙시간이 길어져 제빙량이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heating value of the heater is increased to make the upper portion transparent, the speed at which ic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is slow, so that transparent ice can be generated.

얼음을 만드는 동안에 히터의 발열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 상부에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와 하부에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If the heating value of the heater is constantly controlled while making ice,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speed at which ice is formed at the top and the speed at which ice is formed at the bottom.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의 발열량을 변화시켜서,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can be changed to generate transparent ice.

투명빙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단에 설치된 상기 제1히터(430)를 통해서 상부에서 하단으로 얼어가는 속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빠르게 얼어가면 에어스크레치(air scratch)가 발생하여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된다. 따라서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얼음 내에 공기가 포집되지 않도록 히터를 이용하여 천천히 얼려야 한다. 냉기는 상측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상부 얼음이 성장할 때는 빠르게 성장하고 하부는 상부에 대비해서 천천이 얼어들어가게 된다. 상부 얼음 성장 속도에 맞추어 히터를 발열하면 하부 얼음생성시 너무 천천히 얼어서 제빙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하부 어는 속도에 맞추어 히터를 발열하면 상부가 불투명한 얼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속도를 확보하면서 투명빙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히터용량을 가변한다.In order to manufacture transparent ice, the rate of freezing from top to bottom must be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heater 430 installed at the bottom. When it freezes quickly, air scratches occur, resulting in opaque ice.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transparent ice, it is necessary to freeze slowly using a heater so that air is not trapped in the ice. Since the cold air is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upper ice grows, it grows rapidly, and the lower portion freezes compared to the upper portion. If the heater is heated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the upper ice, the ice-making time is increased by freezing too slowly when the lower ice is generated, and when the heater is heated according to the freezing rate of the lower portion, opaque ice is generat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heater capacity is varied step by step in order to make transparent ice while securing the ice-making spe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의해서 생성되는 얼음은 전체적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형 얼음은 전체적으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제3영역(A3)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as a whole. As shown in FIG. 19, the spherical ic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1, a second region A2, and a third region A3 as a whole.

상기 제1영역(A1)은 히터 제어가 없어도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는 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물이 만나는 부분으로, 구형 얼음이 초기에 생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만나는 부분은 초기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유사한 온도분포를 가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A1 may mean a portion in which transparent ice is generated even without heater control. The first region is a portion where the upper tray 320 meets with water, and is a portion where spherical ice is initially generated. Since the portion that meets the upper tray 320 initially has a temperature distribution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tray 320, the temperature may be relatively low.

상기 제2영역(A2)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인접하지는 않지만,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형성된 셀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영역은 구형 얼음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공기가 빠져나가기 어려워서 투명도가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부분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삼각뿔과 유사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area A2 is not adjacent to the upper tray 320, but is a portion located in a cell formed in the upper tray 320. Since the second region is a portion disposed close to the center of the spherical ice, transparency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because air is difficult to escape. The second area is a part surrounded by the first area, and may mean an area similar to a triangular pyramid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based on the drawing.

상기 제3영역(A3)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구비되는 셀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3영역은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히터(430)에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열되는 열이 쉽게 전달될 수 있다.The third region A3 is a space in which ice is generated in a cell provided in the lower tray 380. The third reg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s a whole, but since it is a portion disposed close to the first heater 430,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430 can be easily transferr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영역(A3)에 해당되는 부분에 얼음이 생성될 때에 히터의 발열량을 변화시킨다. 나아가 상기 제3영역(A2)에 해당되는 부분에 얼음이 생성될 때에도 상기 제1영역(A1)이나 상기 제3영역(A3)과 얼음이 생성되는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의 발열량을 변화시킨다. 즉 상기 제1히터(430)의 온도를 변화시켜서, 얼음이 어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ice is generat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A3, the heating value of the heater is changed. Furthermore, even when ice is generat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A2, the first heater 430 because the conditions for generating ice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A1 or the third region A3. Changes the calorific value. That is,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4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ate at which ice freezes.

도 20에서 점선은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고, 실선은 상기 제1히터(430)의 온도를 표시한 것이다.In FIG. 20,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and the solid line indicat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430.

상기 제빙기(200)에 물이 급수되고, 일정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1히터(430)는 구동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히터(430)에서는 열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상기 트레이는 가열되지 않는다. 다만 물이 공급될 때에 물의 온도가 제빙기가 위치한 냉동실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트레이의 온도는 일시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and the first heater 430 is not dri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at is, since the first heater 430 does not generate heat, the tray is not heated.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hen the water is supplied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reezer where the ice maker is located, the temperature of the tray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may be temporarily increased.

급수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히터(430)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은 제1설정 시간 동안 제1용량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상기 제1영역(A1)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는 제1온도 범위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설정 시간은 대략 45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1용량은 4.5W를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first heater 430 is driven. At this time, the first heater 430 may be driven with the first capacity during the first set time. At this time, ice may be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A1. At this time, the first heater 430 generates heat 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the first set time may mean approximately 45 minutes, and the first capacity may mean 4.5W.

또한,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히터(430)을 제2설정 시간 동안 제2용량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상기 제2영역(A2)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는 제2온도 범위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설정 시간은 대략 195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2용량은 5.5W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the second heater 430 may be driven with the second capacity for the second set time. At this time, ice may be generated in the second region A2. At this time, the first heater 430 generates heat in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the second setting time may mean approximately 195 minutes, and the second capacity may mean 5.5W.

상기 제2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3히터(430)을 제3설정 시간 동안 제3용량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상기 제3영역(A3)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는 제3온도 범위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설정 시간은 대략 198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3용향은 4W를 의미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preset time has elapsed, the third heater 430 may be driven with a third capacity for a third preset time. At this time, ice may be generated in the third region A3. At this time, the first heater 430 generates heat in the third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the third preset time may mean approximately 198 minutes, and the third flavor may mean 4W.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를 시작하여 일정시간은 히터를 Off된 후 대기하고 있다가 1차 히팅을 하고 일정온도가 도달하면, 2차 히팅을 하며 또 다음 온도에 도달하면, 3차 히팅을 하고 마지막으로 히터를 off하는 방식으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fter starting the water supply and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heater is turned off, the first heating is perform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reached, the second heating is performed, and when the next temperature is reached, the third heating is performed and finally Ice can be produced by turning off the heater.

상기 제1온도 범위, 상기 제2온도 범위, 상기 제3온도 범위를 비교해보면 상기 제2온도 범위가 가장 높고, 상기 제1온도 범위가 그 다음으로 높고, 상기 제3온도 범위가 가장 낮다. 상기 제1영역(A1)에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에는 두 번째로 높은 온도 범위로 제1히터를 구동한다. When comparing the first temperature range,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and the third temperature range,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is the highest, the first temperature range is the next highest, and the third temperature range is the lowest. While ice is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A1, the first heater is driven in the second highest temperature range.

상기 제1영역(A1)에 얼음이 얼려지는 동안에는 물 안에 포함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기가 포집될 가능성이 작다. 따라서 가장 높은 온도로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하지 않아도 상기 제1영역에서는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While the ice is frozen in the first region A1, there are many paths through which the air contained in the water can escape, so that the air is relatively less likely to be trapped. Therefore, transparent ice can be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without driving the first heater at the highest temperature.

상기 제2영역(A2)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작고, 구형 형상을 기준으로 얼려지는 얼음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를 가장 높은 온도로 구동한다.In the second region (A2), the first heater is driven to the highest temperature because the path through which air can escape is relatively small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ice that is frozen based on the spherical shape is large.

상기 제3영역(A3)에서는 상기 히터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얼음이 생성되고, 상기 제1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쉽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를 가장 낮은 온도로 구동한다.In the third region A3, ice is gener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heater, and sin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heater can be easily transferred, the first heater is driven to the lowest temperature.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제1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2용량으로 구동되거나 상기 제3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에 비해서 짧은 것이 가능하다. 제1용량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제1영역(A1)에 얼음이 생성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상기 제2영역(A2)나 상기 제3영역(A3)에 비해서 생성되는 얼음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상기 제1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2용량이나 상기 제3용량보다 작게 해서, 전체적으로 얼음이 어는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time when the first heater 430 is driven by the first capacity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by which the second capacity is driven or the third capacity. When driven with the first capacity, since the ice is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A1, the amount of ice generate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second region A2 or the third region A3. Therefore, the time driven by the first capacity is smaller than the second capacity or the third capacity, so that the ice freezing speed as a whole can be kept constant.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급수를 마친 후에 제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살펴보면, 대략 0도에서 -8도로 일정한 기울기로 점차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온도는 일정한 속도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에서 생성되는 얼음도 일정한 속도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는 얼음에 포집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서, 투명한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0,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while ice-making is performed after water supply is finish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at a constant slope from 0 ° to −8 °. As the temperature of the tray decreases at a constant rate, ice generated in the tray may also grow at a constant rate. Therefore, the air contained in the water is not trapped in ic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본 실시예 보다 히터를 좀 더 많은 단계로 나누어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heater by dividing it into more steps than in this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해서, 구형 얼음이 생성된 후에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4, a process of separating ice from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will be described after spherical ice is generated.

본 실시예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설치된 상기 제2히터(290)을 이용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구비된 상기 제2히터(290)에서 열이 공급되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형성된 얼음의 바깥면(상기 상측 트레이(320)과 만나는 면)이 가열되면서 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측 푸셔(260)는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eat may be supplied to the upper tray 320 by using the second heater 290 installed in the upper tray 320. When heat is supplied from the second heater 290 provided in the upper tray 320,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formed on the upper tray 320 (the surface that meets the upper tray 320) is heated to turn into water. do. In addition,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Of course, the upper pusher 260 can confirm that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so that the reliability of ice can be improved.

또한 얼음은 하방에서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by being pressed by the lower pusher 540 from below.

얼음이 완성된 후에 얼음을 이빙하기 위해서, 도 14a의 상태에서 우선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한다. 상기 제2히터(290)에서 열을 공급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은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트레이 온도가 상승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히터(290)을 구동한다.In order to ice the ice after the ice is completed, the second heater 29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is first driven in the state of FIG. 14A. By supplying heat from the second heater 290,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320 may be increased. The second heater 290 drives the second heater 290 until the tra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rises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상기 제2히터(29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이동시키지 않고,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즉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형성된 셀에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부착된 얼음을 가열한다.While the second heater 290 is being driven,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t moved, and ice is kept in engagement with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 That is, while the ice is filled in the cells formed in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to attach to the upper tray 320 and the upper tray 320. Heated ice.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하는 얼음의 표면이 녹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설정 각도 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되는 각도는 도 14b에 도시된 만큼이 아니라, 도 14a(하측 트레이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와 도 14b(하측 트레이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태)의 중간에 위치하는 대략 10~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정 각도는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는 각도이다. 상기 설정 각도만큼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잔존할 수 있는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떨어질 수 있다. After driving the second heater 290,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or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it is determined that ice has melted the surface of the ice contacting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is set at an angle. Rotate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is not as shown in FIG. 14B, but is approximately 10 to 45 degrees located between FIG. 14A (the lower tray is not rotated) and FIG. 14B (the lower tray is rotated by 90 degrees or more). desirable. At this time, the set angle is an angle at which ice may not escape from the lower tray 380.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by the set angle, ice that may remain in the upper tray 320 may fall to the lower tray 380.

한편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설정 각도 만큼(대략 10~45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히터(290)이 구동되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위치한 얼음은 상기 제2히터(290)로부터 거리가 멀어져 있고,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얼음이 과도하게 녹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even if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while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10 to 45 degrees), ice located in the lower tray 380 is the second heater 290. Since the distance is far from,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excessive melting of ice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설정 각도 만큼 회전되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된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라면 추가로 얼음을 가열할 수 있다. 즉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접한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2히터(290)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얼음이 맞닿은 면이 물로 변화되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by a set angle, so that even wh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c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so that the ic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tray ( If it is not separated from 320), the ice may be additionally heated. That is, when the state in which the i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320 is maintained, the surface of the upper tray 320 and the ice contacting the water is changed to water by heat supplied from the second heater 290, and ic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tray 320. )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separation.

다만, 이미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제2히터(290)에서 공급되는 열은 전도 방식으로는 얼음에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 분리된 얼음이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f the ice is already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the heat supplied from the second heater 290 is difficult to be transferred to the ice in a conductive manner, so that the already separated ice is the second heater. It can be prevented from melting by (290).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설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히터(290)가 구동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히터(290)의 구동을 중지한다. 즉 상기 제2히터(290)이 열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W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tray 320,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and the second heater 290 is stopped when the set time elapses. That is, the second heater 290 does not supply heat.

상기 제2히터(290)이 꺼진 후에도 일정 시간(대략 1~10분)을 대기한 후에, 도 14c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는 점까지 회전시킨다. 즉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열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설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으로부터 아직 떨어지지 않은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떨어져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Even after the second heater 290 is turned off, after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pproximately 1 to 10 minutes),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to a point pressed by the lower pusher 540 as in FIG. 14C. . That is, even when the heat is not supplied by the second heater 290, the lower tray 380 is stopped in a state rotated by a set angle, so that ice that has not yet fallen from the upper tray 320 is lowered. Off the tray 380,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남아 있는 물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떨어지고, 상기 아이스 버킷(600)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얼음이 아이스 버킷이나 다른 얼음과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remaining in the upper tray 320 also falls to the lower tray 380 and does not fall into the ice bucket 600, ice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with the ice bucket or other ice.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the case where fullness is not detec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the case where fullness is detec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서 만빙을 감지하는 종래기술은 만빙감지부를 상하로 작동하는 방식이 있다. 트레이에 물을 공급한 후에 트레이를 뒤틀어서 얼음을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방식인 트위스팅(twisting type) 제빙기는 레버를 상하로 동작시켜서 만빙여부를 감지한다. 즉 레버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얼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레버가 아래로 충분히 내려가는 경우에는 트레이의 하부에 얼음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레버가 아래로 충분히 내려가지 않는 경우에는 트레이의 하부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한다. The prior art for detecting full ice in an ice maker that manufactures ice has a method of operating the full ice sensor up and down. After supplying water to the tray, twisting type ice machine, which is a method of discharging ice from the tray by twisting the tray, operates the lever up and down to detect whether the ice is full.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is ice as the lever moves down. When the lever is sufficiently lowered, it is determined that ice is not sufficiently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and when the lever is not sufficiently lowered, ice is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Therefore, ice is discharged from the tray.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가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트위스팅 제빙기에 비해서 트레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아이스버킷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하로 이동되어서 얼음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레버를 이용할 경우에는 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얼음은 감지할 수 있지만 레버의 하부를 벗어나는 측면에 위치하는 얼음은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tray is composed of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tray is larger than that of the twisting ice maker. Therefore, the space in which the ice bucket that can store ice is located is also reduced. In addition, when using a lever that moves up and down to determine whether to store ice, there is a problem that ic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can be detected, but ice located at a side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cannot be detected.

도 21에서는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얼음이 추가로 저장될 공간이 있는 경우(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2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the ice bucket 600 has space to additionally store ice (when full ice is not detected).

도 21a에서와 같이, 얼음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되기 전에 상기 제2히터(290)을 구동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촉해서 붙어 있는 면을 녹이고,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다.As in FIG. 21A, after the ice is completed,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before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so that the ice contacts the upper tray 320 and melts the attached surface.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히터(290)가 구동되는 경우에 도 21b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상측 푸셔(260)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을 관통해서 얼음을 눌러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충분히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상측 푸셔(260)에 의해서 얼음 분리가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lower tray 380 starts to rotate as shown in FIG. 21B. At this time, the upper pusher 260 may push the ice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to separate ice from the upper tray 320. When the ice is not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by the second heater 290, ice separation may be certainly performed by the upper pusher 260.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되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도 함께 회전된다. 도 21b의 위치까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이동이 얼음에 의해서 방해되지 않으면, 도 21c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추가로 회전되면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된다. As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is also rotated. If the movement of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not disturbed by ice while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rotated to the position of FIG. 21B,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as shown in FIG. The lower tray 380 continues to rotate clockwise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은 도 21b의 위치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초기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함께 회전되지만,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충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만 더 회전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회전되는 각도는 대략 아이스버킷(600)의 바닥면 즉,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각도인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수평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각도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회전이 멈추는 각도는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일단이 회전되면서 가장 하부까지 하강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ull-scale detection lever 520 maintains a stopped state at the position of FIG. 21B. That is, initially, the lower tray 380 and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are rotated together, but whe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sufficiently rotated,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not rotated and the lower tray ( 380) are rotated further. It is possible that the angle at which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is rotated is an angle that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a bottom surface of the ice bucket 600, that is, a horizontal surface. That is, the full-scale detection lever 520 is rotated clockwise to an angl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The angle at which the full-scale detection lever 520 stops rotating is the lowest as one end of the full-scale detection lever 520 is rot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can be lowered to.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서, 하나의 회전 반경을 그리면서 회전될 수 있다.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and the lower tray 380 may be rotated together or individually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unit 480.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and the lower tray 380 may be connected to one rotation shaft provided by the motor unit 480 and rotated while drawing one rotation radius.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정지해 있을 때와는 달리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이동하는 궤적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만빙감지레버(520)도 회전에 의한 방식으로 만빙을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보다 낮은 높이까지 회전되어야 한다. Since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by an axis of rot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a trajectory in which the lower tray 380 moves, unlike when the lower tray 380 is stationary. In addition, since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detects full ice in a rotational manner,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must be rotated to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tray 380.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길이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일단보다 길게 연장되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이 위치하는 지를 감지해야 한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은 상기 모터부(480)에 마련되는 회전축에 연결되어서,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the length of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extends longer than one end of the lower tray 380, so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ice is located in the ice bucket 600. That is, the full-scale detection lever 520 may be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provided in the motor unit 480 and rotated.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회전될 때에 회전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얼음이 완성된 후에 회전되기 때문에, 만빙여부는 얼음이 완성된 후에 감지될 수 있다.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starts rotating w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Since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after the ice is completed, whether the full ice is detected or not can be detected after the ice is completed. have.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하이동방식이 아닌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스윙타입이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회전궤적을 따라 움직이면서 감지할 수 있다.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is a swing type that is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that is not an up-and-down movement method, and thus can detect whether ice is stored in the ice bucket 600 while moving along a rotation trajectory.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얼음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이동된 후에, 도 21d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반 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도 21b와 같은 위치까지 회전되기 전에는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도 21b와 같이 회전되는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함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초기 위치인 도 21a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After ice is moved from the lower tray 380 to the ice bucket 600, as shown in FIG. 21D, the lower tray 380 rotates counterclockwise again. The full motion detection lever 520 remains stationary until it is rotated to a position as shown in FIG. 21B. When the lower tray 380 reaches an angle of rotation as shown in FIG. 21B,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the lower tray 380,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FIG. 21A. can do.

도 22a에서와 같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하부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어서, 추가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을 저장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만빙이라고 판단해서 얼음을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As shown in FIG. 22A, since ice is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bucket 600,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is full when ice is hardly stored in the ice bucket 600, and the ice is determined as the ice bucket 600. Do not move to.

우선 얼음이 완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2히터(290)을 구동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한다. 이 과정은 도 21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First, when ice is completed, the second heater 290 is driven to separate ice from the upper tray 320.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21A,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어서 도 22a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만빙여부를 감지한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22A, the lower tray 380 and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are rotated together in a clockwise direction to detect whether the ice bucket 600 is full.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도 21b까지 회전되기 전에 도 22b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얼음에 닿아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이 차있다(만빙) 라고 판단한다. If the ice sensing lever 520 touches the ice and cannot rotate any more, as shown in FIG. 22B before the ice sensing lever 520 is rotated to FIG. 21B, ice is filled in the ice bucket 600 ( Full).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고, 트레이에 급수가 되는 급수 위치(도 22c)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를 함께 회전시켜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Accordingly,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 longer rotated, and the tray is returned to a water supply position (FIG. 22C) that is water supply. At this time, the lower tray 380 and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are rotated together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리고 도 22d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추가로 만빙여부를 다시 감지한다. 즉 다시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만빙여부를 감지한다. Then, as shown in FIG. 22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further sensed whether or not it is full. That is, the lower tray 380 and the full ice sensing lever 520 are rotated clockwise to detect whether the ice bucket 600 is full.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fullness is not detec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fullness is detec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1 및 도 22와는 달리 만빙감지레버의 두께가 더 넓은 형태이다. 와이어보다는 두꺼운 바의 형태로 구비되어서, 아이스버킷(600)에 담겨지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unlike the FIGS. 21 and 22, the full thickness sensing lever has a wider thicknes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hicker bar than the wire, so that ice contained in the ice bucket 600 can be detected.

도 23 및 도 24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바닥에 경사판(610)이 배치된다. 상기 경사판(610)은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바닥에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저장되는 얼음이 일정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3 and 24, unlike one embodiment, the inclined plate 61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ice bucket 600. The inclined plate 610 is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ottom of the ice bucket 600, and serves to guide the ice stored in the ice bucket 600 to be collected in a certain direction.

상기 경사판(61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가까운 부분은 높이가 높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먼 부분은 높이가 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낙하된 얼음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된다.The inclined plate 610 is disposed such that a portion close to the lower tray 380 has a high height, and a portion distant from the lower tray 380 has a low height. Therefore, the ic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and dropped on the ice bucket 600 is guided away from the lower tray 380.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하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 and 24,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서 얼음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아이스버킷(600)이 만빙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도 23b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추가로 회전되면서 얼음을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낙하해서 이동시킨다. As shown in FIG. 23, when the ice sensing lever 530 and the lower tray 380 are rotated, when the ice is not detected by the ice sensing lever 530, the ice bucket 600 ) Has not been filled. Therefore, as shown in FIG. 23B, the full ice sensing lever 530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while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lower tray 380 is further rotated to move ice by dropping into the ice bucket 600. .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모여진 얼음은 상기 경사판(610)의 높이차로 인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모인다.The ice collected in the ice bucket 600 is collec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lower tray 380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inclined plate 610.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서 얼음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 감지되지 않면 상기 아이스버킷(600)이 만빙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도 24a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가 얼음에 닿으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되지 않고, 다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원래 위치에 복귀한다. As shown in FIG. 24, when the ice sensing lever 530 and the lower tray 380 are rotated, when the ice is not detected by the ice sensing lever 530, the ice bucket 600 ) Is considered full. Therefore, as shown in FIG. 24A, when the full ice sensing lever 530 touches the ice, the full ice sensing lever 53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 longer clockwise, and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again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To return to.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30)를 다시 회전시켜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내부에 얼음을 감지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을 다시 회전시키는 이유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부터 얼음을 인출하였거나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서 만빙여부를 감지하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ice sensing lever 530 is rotated again to detect ice in the ice bucket 600. The reason for rotating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30 again is that a user may withdraw ice from the ice bucket 600 or an error in detecting whether full ice is generated i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30 may occur.

다른 실시예에서 적용된 상기 경사판(610)은 일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형 얼음을 제빙하는 경우에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깊이가 길면 상기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낙하할 때에 얼음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아이스버킷(600)의 두께는 구형 얼음이 저장될 수 있되, 가능하면 깊이가 얕은 것이 좋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깊이가 얕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얼음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저장되는 얼음은 순차적으로 일정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얼음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고르게 펴질 수 있도록 해서 얼음 저장공간을 넓게 활용하는 것이 좋다.The inclined plate 610 applied in another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ice-making of spherical ice, when the depth of the ice bucket 600 is long, ice may be broken when ice falls from the tray to the ice bucket 600.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ice bucket 600 may be stored in spherical ice, if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is shallow. When this condition is satisfied, the depth of the ice bucket 600 is inevitably shallow, so storage space of ice may be insufficient. Therefore, the ice stored in the ice bucket 600 is sequentially moved to a certain place, so that the ice can be spread evenly over the ice bucket 600, it is good to utilize the ice storage space widel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히터가 구동되어, 상기 하측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Upper tray having a hemispherical cell;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ving a cell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nd
It includes;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tray;
The ice m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r is driven while cold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o make ice, thereby supplying heat to the lower tray.
제1항에 있어서,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 상기 상측 트레이를 향해서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상측 트레이보다 상기 하측 트레이의 온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While ice is being produced, cold air is supplied toward the upper tray,
An ic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tray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upper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는 상기 상측 트레이에 대해서 일정 각도 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의 셀이 맞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he lower tray is dispos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so that the cells of the upper tray and the cells of the lower tray do not contact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의 간격 사이로 복수 개의 셀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3,
The ic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tray is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cells between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물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의 셀이 맞닿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3,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he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coupled so that the cells of the upper tray and the cells of the lower tray are in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하측 푸셔에 상기 하측 트레이가 눌려져, 상기 하측 트레이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wer pusher protruding upward,
When the lower tray is rotated, the lower tray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pusher, so that the lower tray is de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가 상기 하측 푸셔에 의해서 변형되면,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lower tray is deformed by the lower pusher, the heater does not contact from the lower tray.
KR1020180117785A 2008-01-21 2018-10-02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69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3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785A KR102669631B1 (en) 2018-10-02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CT/KR2019/012882 WO2020071769A1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CN202211726090.3A CN116222072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AU2019355673A AU2019355673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173.0A CN112771333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310035847.2A CN116086075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2310073356.7A CN116086086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RU2021112443A RU2765255C1 (en) 2018-10-02 2019-10-01 Refrigirator
CN202310078886.0A CN116086087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PCT/KR2019/012869 WO2020071756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9/012871 WO2020071758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5428.5A CN112805521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PCT/KR2019/012875 WO2020071762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4477A AU2019354477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744393.6A CN116753649A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AU2019354475A AU2019354475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274.1A EP3862671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282,565 US11906230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2420A AU2019352420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980065200.6A CN112805518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12853 WO2020071743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9869919.1A EP3862684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70 WO2020071757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1,749 US2021039644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9869400.2A EP3862673B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597.7A CN112805516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US17/282,144 US20220003477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79 WO2020071766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980065211.4A CN112789467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59 WO2020071748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202.3A CN112789461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US17/282,640 US2021034882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282,232 US20210356192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980064601.XA CN112789464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324 US11898785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273.3A EP3862670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689.0A EP3862695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014072.0A CN116182454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RU2022101439A RU2022101439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142.5A CN112771330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320 US11994331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502.5A EP3862677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811.0A EP3862709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310854205.5A CN116892810A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CN201980064143.XA CN112771331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945.7A EP3862708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281,768 US11740001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56 WO2020071746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810.2A EP3862681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712.1A EP3862692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374 US20210341210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554.9A CN112789468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1980064194.2A CN112789460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64201.9A CN112771334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US17/281,833 US20210389036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68 WO2020071755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310745808.1A CN116753650A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US17/281,777 US20210404724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980064580.1A CN112789463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70026.2A EP3862685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7/281,779 US11920846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4482A AU2019354482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9/012872 WO2020071759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014244.4A CN116202263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EP19869398.8A EP3862672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310033550.2A CN115930511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1,864 US11835282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099 US11994330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67 WO2020071754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401.0A EP3862674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70028.8A EP3862687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74 WO202007176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711.3A EP3862665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210945279.5A CN115289761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1980063994.2A CN112771328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65442.5A CN112912675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2426A AU2019352426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88 WO2020071775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62 WO202007175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829.3A EP3862693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RU2022101436A RU2022101436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87 WO2020071774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210946306.0A CN115289764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1980064190.4A CN112789471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12863 WO2020071752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070 US20210341204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2419A AU2019352419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7/282,304 US20210341209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500.9A EP3862676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980064193.8A CN112789466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US17/281,786 US11971204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3701.0A CN112771327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US17/281,722 US20220003479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687.4A EP3862680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50 WO2020071740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9/012876 WO2020071763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7/282,590 US20210348824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282,553 US20210372683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947.3A EP3862668A4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17/282,672 US2021034120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2421A AU2019352421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376 US11835283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282,600 US11874044B2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AU2019352423A AU2019352423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238.7A EP3862707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9869888.8A EP3862683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122 US11874043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5675A AU2019355675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911482.5A CN117168039A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CN201980064141.0A CN112771329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PCT/KR2019/012884 WO202007177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52 WO2020071742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282,337 US11859888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9870029.6A EP3862688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81 WO2020071768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855901.8A CN116878201A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PCT/KR2019/012880 WO2020071767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9/012873 WO2020071760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2422A AU2019352422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212.7A CN112789462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9353490A AU2019353490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368.2A EP3862662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828.5A EP3862667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282,100 US20210372685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5677A AU2019355677B9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61 WO2020071750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081 US20210372686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043.0A EP3862669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9/012886 WO2020071773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70027.0A EP3862686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85 WO2020071772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4473A AU2019354473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980065212.9A CN112789465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63985.3A CN112771340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868594.3A EP3862691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3487A AU2019353487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9/012857 WO2020071747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U2019352424A AU2019352424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210946301.8A CN115289763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1980064153.3A CN112771332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CN202210946300.3A CN115289762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PCT/KR2019/012878 WO2020071765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1,955 US11892221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591.8A EP3862679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330 US11846460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1,701 US11892220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9868827.7A EP3862666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990134.1A CN116972591A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CN201980063695.9A CN112771326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US17/281,776 US20210404722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1,753 US11879679B2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980064602.4A CN112805517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CN202310087331.2A CN116123784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US17/282,283 US20210389037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RU2021112395A RU2765876C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54 WO2020071744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9/012860 WO2020071749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3550.9A CN112752940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64582.0A CN112823264B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door
PCT/KR2019/012866 WO2020071753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23188915.5A EP4242558A3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8592.7A EP3862663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51 WO202007174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9868593.5A EP3862664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PCT/KR2019/012883 WO2020071770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501.7A EP3862701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2310035805.9A CN116294337A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EP19869688.2A EP3862694A4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US17/282,310 US20210341205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CN201980064555.3A CN112805522B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2310004026.2A CN116182467A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2310732873.0A CN116772472A (en) 2018-10-02 2019-10-02 Ice machine
AU2019354500A AU2019354500B2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980064204.2A CN112771335B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310994787.7A CN116972571A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12919 WO2020071792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CN201980063553.2A CN112867899B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EP19869276.6A EP3861262A4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EP19869048.9A EP3861261A4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281,936 US20210381741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9/012943 WO2020071804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US17/282,076 US11874049B2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U2019353516A AU2019353516B2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EP19868715.4A EP3862699A4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US17/281,950 US11841180B2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CN202310015402.8A CN116164465A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EP19870035.3A EP3861263A4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PCT/KR2019/012979 WO2020071825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US17/282,579 US20210396445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US17/282,061 US20210396444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PCT/KR2019/012975 WO2020071822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3192691.6A EP4253879A3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CN201980063556.6A CN112771337B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01980064213.1A CN112771336B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U2019355698A AU2019355698B2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EP19869690.8A EP3862702B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PCT/KR2019/012977 WO2020071824A1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U2019355691A AU2019355691B2 (en) 2018-10-02 2019-10-02 Refrigerator
AU2023203969A AU2023203969A1 (en) 2018-10-02 2023-06-23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U2023203978A AU2023203978A1 (en) 2018-10-02 2023-06-23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8/214,732 US20230341166A1 (en) 2018-10-02 2023-06-27 Refrigerator
AU2023204190A AU2023204190A1 (en) 2018-10-02 2023-06-30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U2023204204A AU2023204204A1 (en) 2018-10-02 2023-06-30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U2023204229A AU2023204229A1 (en) 2018-10-02 2023-06-30 Refrigerator
AU2023204228A AU2023204228A1 (en) 2018-10-02 2023-06-30 Refrigerator
AU2023204339A AU2023204339A1 (en) 2018-10-02 2023-07-06 Refrigerator
AU2023204363A AU2023204363A1 (en) 2018-10-02 2023-07-06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23204359A AU2023204359A1 (en) 2018-10-02 2023-07-06 Refrigerator
US18/219,406 US20230349615A1 (en) 2018-10-02 2023-07-07 Refrigerator
AU2023204603A AU2023204603A1 (en) 2018-10-02 2023-07-12 Refrigerator
AU2023206135A AU2023206135A1 (en) 2018-10-02 2023-07-19 Refrigerator
AU2023206156A AU2023206156A1 (en) 2018-10-02 2023-07-19 Refrigerator
AU2023206157A AU2023206157A1 (en) 2018-10-02 2023-07-19 Refrigerator
AU2023206136A AU2023206136A1 (en) 2018-10-02 2023-07-19 Refrigerator
AU2023206205A AU2023206205A1 (en) 2018-10-02 2023-07-20 Refrigerator
AU2023206206A AU2023206206A1 (en) 2018-10-02 2023-07-20 Refrigerator
AU2023208102A AU2023208102A1 (en) 2018-10-02 2023-07-25 Refrigerator
AU2023208097A AU2023208097A1 (en) 2018-10-02 2023-07-25 Refrigerator
AU2023208100A AU2023208100A1 (en) 2018-10-02 2023-07-25 Refrigerator
AU2023208188A AU2023208188A1 (en) 2018-10-02 2023-07-27 Refrigerator
AU2023208173A AU2023208173A1 (en) 2018-10-02 2023-07-27 Refrigerator
AU2023210670A AU2023210670A1 (en) 2018-10-02 2023-08-04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23211723A AU2023211723A1 (en) 2018-10-02 2023-08-07 Refrigerator
AU2023214235A AU2023214235A1 (en) 2018-10-02 2023-08-08 Refrigerator
US18/231,892 US20230384014A1 (en) 2018-10-02 2023-08-09 Refrigerator
US18/242,823 US20230408161A1 (en) 2018-10-02 2023-09-06 Refrigerator
US18/385,070 US20240093928A1 (en) 2018-10-02 2023-10-30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8/386,517 US20240068728A1 (en) 2018-10-02 2023-11-02 Refrigerator
US18/511,242 US20240085079A1 (en) 2018-10-02 2023-11-16 Refrigerator
US18/511,176 US20240085081A1 (en) 2018-10-02 2023-11-16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8/532,020 US20240102713A1 (en) 2018-10-02 2023-12-07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18/538,053 US20240110738A1 (en) 2018-10-02 2023-12-13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8/543,155 US20240118009A1 (en) 2018-10-02 2023-12-18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8/396,059 US20240125532A1 (en) 2018-10-02 2023-12-26 Refrigerator
US18/402,314 US20240133607A1 (en) 2018-10-01 2024-01-02 Refrigerator
US18/409,336 US20240151447A1 (en) 2018-10-02 2024-01-10 Refrigerator
US18/415,215 US20240151448A1 (en) 2018-10-02 2024-01-17 Refrigerator
US18/425,673 US20240167748A1 (en) 2008-01-21 2024-01-29 Refrigerator
US18/432,820 US20240175620A1 (en) 2018-10-02 2024-02-0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785A KR102669631B1 (en) 2018-10-02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6565A Division KR20240082279A (en) 2024-05-22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096A true KR20200038096A (en) 2020-04-10
KR102669631B1 KR102669631B1 (en) 2024-05-2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35B1 (en) Method for Ice Making and Ice Maker Apparatus
KR20200038118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10005799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488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5111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00038096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00038095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00038093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69631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10341201A1 (en) Refrigerator
KR20240082279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40073831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10005498A (en) Refrigerator
KR2020003810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10005798A (en) Refrigerator
US2023032409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185988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251007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10005797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31261A (en) Refrigerator
KR20210005789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5792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38116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10381742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210005791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