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770A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770A
KR20200037770A KR1020207000605A KR20207000605A KR20200037770A KR 20200037770 A KR20200037770 A KR 20200037770A KR 1020207000605 A KR1020207000605 A KR 1020207000605A KR 20207000605 A KR20207000605 A KR 20207000605A KR 20200037770 A KR20200037770 A KR 2020003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hr
carrier
network nod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장
웬홍 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며, 네트워크 노드 또는 기기가 단말 기기에 대해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8월 11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PCT/CN2017/097028이고, 발명의 명칭이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인 PCT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요청하며, 그 전부 내용을 인용하여 본 출원에 결합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의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미래의 무선 통신 과정에서, 무선 전송 과정은 복잡하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요구가 높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 또는 기기가 단말 기기에 대해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노드 또는 기기가 단말 기기에 대해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주파수 도메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오버되는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PDCCH 또는 PDSCH를 동시에 송신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에는 상이한 송신 빔 및 상이한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셀에 속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속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채널의 통신 품질 지표는 관련된다.
제1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1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지표는, 링크 용량, 지연 및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을 결합하면, 제2 측면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2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을 결합하면, 제3 측면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이 포함하는 상기 제1 PHR은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제3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3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제3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3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을 결합하면, 제4 측면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얻은 것이다.
제4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4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얻은 것이다.
제4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4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제3 PHR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4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이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음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측면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한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한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측이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다.
제5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5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 측면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제6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제6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임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다.
제6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다.
제6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다.
제6 측면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면, 제6 측면의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간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이나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2 측면이나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5 측면이나 제5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간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12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간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통신하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3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업 링크 또는 복수 개의 서비스 또는 복수 개의 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측에 적어도 하나의 링크 또는 서비스 또는 반송파에 대응되는 PHR을 보고하여, 네트워크측은 링크 또는 서비스 또는 반송파에 대응되는 PHR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에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함으로써, 단말 기기에 대한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기의 교호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기의 교호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온칩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유니버설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 기기(예를 들어, UE)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며,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에서의 메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제어기이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동일한 기지국의 다른 안테나 패널(Antenna panel), 송수신 포인트(Transmitting-Receiving point, TRP),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노드 또는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단말 기기는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가입자 지국, 이동국, 이동대, 원격지국,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휴대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공동으로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빔을 통해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1 및 네트워크 노드 2는 상이한 빔을 통해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 간에는 정보를 교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기지국(gNB)에서의 전송 노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기기에 복수 개의 PDCCH 또는 PDSCH를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기기는 다만 하나의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제어 채널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의 구성 또는 스케줄링 정보(이 때, 각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채널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구성 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할 수 있음)를 지시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각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채널을 각각 수신하며, 각 제어 채널은 다만 각각의 송신기가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구성 또는 스케줄링 정보만을 반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가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주파수 도메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오버되는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PDCCH 또는 PDSCH를 동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에는 상이한 송신 빔 및 상이한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업 링크 전송을 각각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된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면,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메시지를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다운 링크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대응되는 업 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업 링크 전송의 정보는 다음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운 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긍정 확인(Acknowledge, ACK)/부정 확인(Non-Acknowledge, NACK), 및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등 정보, 업 링크 데이터 및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업 링크의 전송에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방식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업 링크의 신호는 동시에 송신되지 않는다.
방식 2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업 링크의 신호는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에 대해, 네트워크측은 조정을 진행하여, 시그널링을 통해 복수 개의 업 링크의 전송을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의 방식으로 진행하고; 두 번째 방식에 대해, 복수 개의 업 링크의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면, 출력이 제한 받을 경우 출력 제어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업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측의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방법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1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100)은 다음의 내용에서 적어도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11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를 계산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한다.
단계 12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한다.
단계 130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한다.
단계 140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고, 상기 제3 PHR을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PHR을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제2 PHR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3 PHR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PHR 및 제2 PHR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PHR 및 제3 PHR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PHR 및 제3 PHR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PHR, 제2 PHR 및 제3 PHR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상기 계산된 제1 PHR, 제2 PHR 및 제3 PHR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제2 업 링크를 통해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제1 PHR, 제2 PHR 및 제3 PHR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셀에 속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PHR을 계산하고, 상기 링크의 제어 채널을 고려하고, 데이터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PHR을 계산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링크의 데이터 채널을 고려하고 제어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PHR을 계산하며; 또는 링크의 데이터 채널도 고려하고, 링크의 제어 채널도 고려하여 PHR을 계산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기기가 PHR을 계산할 때 고려하는 채널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PHR을 계산할 경우, 단말 기기는 다만 링크의 데이터 채널만을 고려하고, 제어 채널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할 때,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할지 여부를 고려하고, 제어 채널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PHR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채널의 통신 품질 지표는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의 4 가지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 있다.
시나리오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셀에 속하며, 네트워크 노드 간의 연결(backhaul)은 이상적이며, 즉 정보 교호, 동적 정보 교호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시나리오 2에 있어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셀에 속하며, 네트워크 노드 간의 연결(backhaul)은 비-이상적이며, 즉, 네트워크 노드 간에는 정보 교호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없으며,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교호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시나리오 3에 있어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속하며, 네트워크 노드 간의 연결(backhaul)은 이상적이다.
시나리오 4에 있어서,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속하며, 네트워크 노드 간의 연결(backhaul)은 비-이상적이다.
상기 4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보고되어야 하는 PHR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간 연결의 품질이 나쁜 시나리오인 경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제1 PHR 및 제2 PHR을 보고하거나, 또는 제1 PHR 및 제3 PHR을 보고하거나, 또는 PHR을 보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간 연결의 품질이 좋은 시나리오인 경우, 제1 네트워크 노드에만 제1 PHR을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통신 링크의 품질 지표는 용량, 지연 및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품질 지표는, 링크 용량, 지연 및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노드에 어느 PHR을 보고해야 하는지는, 단말 기기에 기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구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노드 간의 링크 품질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에 구성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에 몇 가지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출원을 설명한다.
실시예 1
UE는 업 링크 1의 전송 채널(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1을 계산하고; UE는 업 링크 2의 전송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2를 계산한다.
UE는 업 링크 1을 통해 PHR 1을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며; UE는 업 링크 2를 통해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한다.
실시예 1은 보고를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1에서의 구현 방식은 UE가 복수 개의 링크에서 TDM의 방식으로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하기에 더 적합하다.
실시예 2
UE는 업 링크 1의 전송 채널(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1을 계산하고; UE는 업 링크 2의 전송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2를 계산한다.
PHR의 보고 방식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다.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 및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1 및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 및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 또는,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을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1 및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이 있다.
실시예 3
UE는 업 링크 1의 전송 채널(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1을 계산하고; UE는 업 링크 2의 전송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2을 계산하며; UE는 업 링크 1의 전송 채널(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 및 업 링크 2의 전송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HR 3을 계산한다.
PHR의 보고 방식에는 다음의 몇 가지 옵션이 있다.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 PHR 2 및 PHR 3을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1, PHR 2 및 PHR 3을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 및 PHR 3을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2 및 PHR 3을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 또는,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 및 PHR 3을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2를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 또는,
UE가 업 링크 1을 통해 PHR 1을 네트워크 노드 1에 보고하는 방식 및 UE가 업 링크 2를 통해 PHR 2 및 PHR 3을 네트워크 노드 2에 보고하는 방식이 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대해, 네트워크 (TRP/Beam/Cell 간은 비-이상적인 백홀 시나리오임)는 UE가 보고하는 복수 개의 PHR에 기반하여, UE가 2 개의 업 링크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송신할 수 있다면, 구성 또는 스케줄링 방식으로 UE로 하여금 복수 개의 링크에 사용되어 동시에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도록 하며, 이로써, 자원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UE 출력이 2 개의 업 링크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없다면, 네트워크는 구성 또는 스케줄링 방식으로 UE로 하여금 매회 하나의 업 링크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기기가 보고하는 PHR을 수신한 후, 상기 PHR에 따라, 단말 기기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제2 PHR은, 제2 PHR이 단말 기기가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고 나타내면,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 협상하지 않고, 직접 단말 기기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제2 PHR은, 제2 PHR이 단말 기기가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없다고 나타내면,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기기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노드와 협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제1 PHR 및 제3 PHR을 보고하면, 제1 PHR 및 제3 PHR이 각각 많은 출력이 남았다는 것을 의미하면,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복수 개의 링크에서 동시에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하도록 협상할 수 있다.
또한 이해되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비록 제1 업 링크 및 제2 업 링크로 설명하였으나, 동시에 전송되는 업 링크가 2 개뿐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업 링크는 복수 개의 업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2 업 링크는 복수 개의 업 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제3 업 링크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고,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2 반송파를 통해 통신한다. 이 때,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반송파 및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통신하며, 이 시나리오는 이중 연결의 시나리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NR 이중 연결의 시나리오이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노드이며; 또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물리 노드를 통해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다. 예를 들어, 제1 반송파 그룹은 1차 반송파 그룹이고, 제2 반송파 그룹은 2차 반송파 그룹이다. 또는, 제1 반송파 그룹은 2차 반송파 그룹이고, 제2 반송파 그룹은 1차 반송파 그룹이다.
선택적으로,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다. 물론, 제1 통신 모드와 제2 통신 모드는 다른 상이한 통신 모드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 복수 개의 업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에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대응되는 PHR을 보고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링크에 대응되는 PHR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에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기기의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200)은 다음의 내용에서 적어도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21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한다.
단계 22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한다.
단계 230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한다.
단계 24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PHR은 상기 제3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PHR을 계산하는 것은,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서비스가 전송(다른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하지 않음)되는 경우에 얻은 PHR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기기가 보고하는 PHR을 수신한 후, 상기 PHR에 따라,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제1 PHR을 보고하고,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전송한 후, 제1 PHR이 단말 기기에 여전히 많은 출력이 남아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제2 서비스의 전송을 동시에 진행하도록 구성 또는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제1 PHR을 보고하고,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전송한 후, 제1 PHR이 단말기기에 다른 서비스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출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나타내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서비스와 다른 방식으로 제2 서비스를 전송하도록 단말 기기를 구성 또는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제2 PHR을 보고하며, 제1 PHR이 단말 기기의 출력이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동시에 전송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를 구성 또는 스케줄링하여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상이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서비스이고,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이다.
또한 이해되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비록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로 설명하였으나, 동시에 전송되는 서비스가 2개뿐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는 복수 개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2 서비스는 복수 개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제3 서비스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법(100)에서의 네트워크 노드는 방법(2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방법(2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방법(100)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PHR을 보고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서비스에 대응되는 PHR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에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 기기의 합리적인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8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800)은 다음의 내용에서 적어도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8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며,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반송파 및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통신하며, 이 시나리오는 이중 연결의 시나리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NR 이중 연결의 시나리오이다.
단계 82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측이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동시에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9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900)은 다음의 내용에서 적어도 일부 내용을 포함한다.
단계 910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이 때,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반송파 및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통신하며, 이 시나리오는 이중 연결의 시나리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NR 이중 연결의 시나리오이다.
단계 92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며,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각 방법의 설명은 충돌이 없는 한 서로 참조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각 방법은 충돌이 없는 한 임의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300)는 처리 유닛(310) 및 통신 유닛(320)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 유닛(310)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하며; 상기 통신 유닛(320)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기기(300)는 방법(1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방법(100)에서의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310)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32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기기(300)는 방법(2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방법(200)에서의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310)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320)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기기(300)는 방법(800)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방법(800)에서의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4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400)는 통신 유닛(410) 및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42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유닛(41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하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4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400)는 방법(100)에서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할 수 있고, 방법(100)에서의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5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통신 유닛(510) 및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5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통신 유닛(510)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5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방법(2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할 수 있고, 방법(2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51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5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방법(9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할 수 있고, 방법(900)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온칩(600)의 하나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10의 시스템온칩(600)은 입력 인터페이스(601), 출력 인터페이스(60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603) 및 메모리(604) 간에는 내부 통신 연결 노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603)는 상기 메모리(604)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5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7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700)는 프로세서(710) 및 메모리(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720)에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기 메모리(7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700)는 트랜시버(7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10)는 트랜시버(730)가 외부와 통신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으며, 방법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응용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성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문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다만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태인 “한 가지, "상기” 및 "해당"은 본문에서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타입 셀 그룹” 및 “제2 타입 셀 그룹”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타입의 셀 그룹은 이들 용어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다만 타입 셀 그룹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예를 들어, 문맥에 따라, 여기서 사용하는 단어 “……경우”는 “...면” 또는 “....경우” 또는 “……때”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문맥에 따라, 문구 “결정하면” 또는 “검출되면(진술된 조건 또는 사건)”은 “결정되는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되는 경우(진술된 조건 또는 사건)”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진술된 조건 또는 사건)”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다만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 개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개한 기술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118)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주파수 도메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오버되는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PDCCH 또는 PDSCH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에는 상이한 송신 빔 및 상이한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셀에 속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채널의 통신 품질 지표는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지표는, 링크 용량, 지연 및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2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노드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물리 노드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음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측이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동시에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제1 PHR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는 단계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PHR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이 포함하는 제1 PHR은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2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노드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물리 노드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4.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7.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0.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임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1.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2.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5.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8. 제55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제3 PHR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9.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0. 단말 기기로서,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3. 제6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5. 제60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고; 및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제1 업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6. 제60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주파수 도메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오버되는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PDCCH 또는 PDSCH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8. 제60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에는 상이한 송신 빔 및 상이한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9. 제60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셀에 속하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셀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0. 제60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1. 제60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되어야 하는 PHR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채널의 통신 품질 지표는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 지표는, 링크 용량, 지연 및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3. 제6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2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노드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물리 노드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5. 제73항 또는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6. 제73항 또는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8. 제76항 또는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9. 단말 기기로서,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1. 제79항 또는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2.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3.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84.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고, 통신 유닛 및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하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이 포함하는 상기 제1 PHR은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제1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이용하고,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87. 제84항 내지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노드 간의 제2 업 링크의 전송 채널에 기반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이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88. 제84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 기기는 제2 반송파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노드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물리 노드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0.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91.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93. 제91항 또는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94. 네트워크 기기로서,
    통신 유닛 및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고려하지 않고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96. 제94항 또는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제1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이용하고,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을 결합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97. 제94항 내지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제2 서비스의 업 링크 전송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제3 PHR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98. 제94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99. 단말 기기로서,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1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어야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1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1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2. 제99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하여, 제2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측에 보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제2 PH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2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4. 제99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제3 PHR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거나,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에 계산된 상기 제3 PHR을 보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5. 제99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이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동시에 송신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6. 제99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구성 또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보고되어야 하는 PHR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7. 제99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8. 제99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0. 제108항 또는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1. 네트워크 기기로서,
    통신 유닛 및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헤드룸 보고(PHR)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를 각각 이용하여 업 링크 전송을 진행하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1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3. 제111항 또는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은 제2 PHR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결합함으로써 계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4. 제111항 내지 제1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3 PHR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PHR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2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업 링크 전송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얻은 것이며;
    상기 구성 또는 스케줄링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R 및 상기 제3 PH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5. 제111항 내지 제1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 그룹이 아닌 제2 반송파 그룹 중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6. 제111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제1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이고, 상기 제1 반송파는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아닌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7.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며;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는 새로운 무선 통신 모드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롱텀 에볼루션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18. 제116항 또는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제2 반송파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207000605A 2017-08-11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 KR20200037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7/097028 2017-08-11
PCT/CN2017/097028 WO2019028815A1 (zh) 2017-08-11 2017-08-11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网络节点
PCT/CN2017/101139 WO2019028962A1 (zh) 2017-08-11 2017-09-08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网络节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770A true KR20200037770A (ko) 2020-04-09

Family

ID=6527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605A KR20200037770A (ko) 2017-08-11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84864B2 (ko)
EP (1) EP3624523B1 (ko)
JP (1) JP2020537365A (ko)
KR (1) KR20200037770A (ko)
CN (1) CN110583067A (ko)
AU (1) AU2017427139A1 (ko)
BR (1) BR112019027302A2 (ko)
CA (1) CA3066672C (ko)
RU (1) RU2745959C1 (ko)
SG (1) SG11201912256PA (ko)
WO (2) WO2019028815A1 (ko)
ZA (1) ZA201908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808A (en) * 2022-09-28 2024-04-03 Nokia Technologies Oy Device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headroom repor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992B (zh) * 2009-06-22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功率余量上报的方法及终端
US8249091B2 (en) 2009-10-21 2012-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17815A1 (en)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WO2011159123A2 (en) * 2010-06-17 2011-12-2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101276853B1 (ko) * 2010-08-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457351B (zh) * 2010-10-29 2017-02-15 广州飞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获取ue载波实际功率空间的方法及系统
CN102123437B (zh) * 2011-03-03 2016-02-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功率余量上报和调度子帧的方法、系统及设备
KR20140122748A (ko) * 2012-02-02 2014-10-20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경우에서의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의 시그널링
WO2014115196A1 (ja) * 2013-01-25 2014-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局、基地局、パワーヘッドルーム報告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50016473A (ko) 2013-08-02 2015-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 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상향링크 전송 방법
KR102281142B1 (ko) * 2013-09-04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264850B (zh) * 2013-09-11 2019-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发功率余量报告的方法、终端和系统
US9480029B2 (en) * 2014-01-06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Power headroom reporting with dual connectivity
CN104936278B (zh) * 2014-03-20 2019-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余量报告phr处理方法、装置、终端及基站
US10448374B2 (en) 2014-03-21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of dual-connectivity U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890879B1 (ja) * 2014-09-25 2016-03-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上り送信電力報告方法、及びパラメータ通知方法
CN105357682B (zh) * 2015-11-27 2018-09-25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功率余量报告的配置方法、装置及基站
US10375719B2 (en) * 2017-03-21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procedure for new radio carrier aggre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8815A1 (zh) 2019-02-14
SG11201912256PA (en) 2020-01-30
US20200213954A1 (en) 2020-07-02
CA3066672C (en) 2022-05-24
CN110583067A (zh) 2019-12-17
US11184864B2 (en) 2021-11-23
RU2745959C1 (ru) 2021-04-05
EP3624523A4 (en) 2020-04-22
BR112019027302A2 (pt) 2020-07-21
ZA201908092B (en) 2020-10-28
WO2019028962A1 (zh) 2019-02-14
AU2017427139A1 (en) 2020-01-16
EP3624523B1 (en) 2021-10-06
CA3066672A1 (en) 2019-02-14
EP3624523A1 (en) 2020-03-18
JP2020537365A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12265A1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US2020011985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terminal device
US202101367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US115708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data based on carrier sensing of at least one beam
AU20212152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reception
KR20210004965A (ko) 무선 통신 방법, 통신 디바이스, 칩 및 시스템
KR102422915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단말 기기
US20210360683A1 (en) Data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210258113A1 (en) Wireless communci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7027529B2 (ja) 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送信ノード
KR20200037770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노드
CN112399560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80352465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RU274816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
WO2024020822A1 (zh) 上行功率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990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087533A1 (zh)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2020020518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Network 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